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70년대 사업장 가족계획사업이 여성노동자 의식에 미친 영향

        박현미(Hyunmi Park)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21 여성연구 Vol.109 No.2

        본 연구는 1970년대 노동조합에서 실시한 사업장의 가족계획사업이 여성노동자 의식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1970년대 심각했던 성별임금 격차는 전혀 해소하지 못한 반면에 모성 보호제도는 상대적으로 개선시켜낸 현실을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 본 연구는 1960~70년대 남녀임금차별 문제와 모성보호 문제에 대한 여성노동자들의 의식과 대응이 달랐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는 한국노총과 여성노동자들이 기존의 성별분업 규범을 전제로 한 노동조건 개선활동을 해왔다는 점에서 두 문제에 대한 접근방식의 차이를 해명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970년대 성별화된 지도계몽활동의 성격을 띤 노동조합의 사업장 가족계획사업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노동조합의 가족계획사업이 여성노동자의 보수적인 여성 정체성을 강화시켜왔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노동조합의 가족계획 관련 교육이나 홍보사업 등에의 여성노동자들의 참여가 모성보호 등 여성권리 의식을 향상시키는 계기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1970년대 여성들이 높은 노조조직률에도 불구하고 당시 노조에서 차별임금 문제를 제대로 제기하지 못했던 현실을 이해할 수 있었다. 나아가 노동조합에서 모자보건, 2세 국민출산 및 양육자 등을 명분으로 모성보호 제도를 개선시켜 왔음을 확인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이며 핵심 자료는 한국노총의 사업보고서와 가족계획판 신문, 노동조합과 노동청 등의 가족계획사업 발간 자료 등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family planning project at the workplace conducted by the labor union in the 1970s on the consciousness of female workers. Through this, we tried to understand the reality that, while the gender wage gap, which was severe in the 1970s, was not resolved at all, the maternity protection system was relatively improved. In this regard,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and response of female workers to the issue of gender pay discrimination and maternity protection in the 1960s and 1970s. Furthermore, this study sought to explain the difference in approaches to the two issues in that the Federation of Korean Trade Unions and female workers have been working to improve labor conditions on the premise of traditional gender norm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family planning project at the workplace of the labor union, which was characterized as a gendered guidance and enlightenment activity in the 1970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labor union’s family planning project has strengthened the conservative female identity of female worker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tion of female workers in the union’s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related to family planning served as an opportunity to improve the awareness of women’s rights such as maternity protection. Through this, this thesis was able to understand the reality that women in the 1970s did not properly raise the issue of discriminatory wages in the union at the time despite the high unionization rate.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labor union had improved the maternity protection system under the pretext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second-generation national fertility and caregivers. The research method is literature research, and the core data are the business report of the Federation of Trade Unions, the newspaper for family planning, and the publications of family planning projects by the labor union and the Labor Administration.

      • KCI등재

        여자들의 공간과 자본

        고정갑희(Ko Gaphee) 한국여성학회 2005 한국여성학 Vol.21 No.3

        지구화시대 한국사회에서 여성적 빈곤은 재생산된다. 이 논문의 목적은 빈곤의 세계화와 빈곤의 여성화하고는 다른 개념으로 사용하는 여성적 빈곤의 문제를 여자들1)의 공간과 자본의 관계를 통해 살피는 것이다. 지구화시대 한국사회도 지구화가 불러온 영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상품, 자본, 노동력의 이동이 일어나는 현장인 한국사회에서 자본은 여자들을 공간화함으로써 여자들의 빈곤을 재생산한다. 여자들을 공간화하는 방식은 성별화(젠더화)와 성화(섹슈얼리티화)로 나누어지고, 이것을 기반으로 자본은 기존 성별화된 공간과 성화된 공간을 재생산하고 재구조화한다. 기존 성별화/성화된 공간이 재생산되는 양상은 가사노동, 성적 서비스 노동, 비정규직 노동으로의 노동 분절과 공간 분절로 나타난다. 그리고 이 분절은 국가, 민족, 인종의 분절로 재구조화된다. 그리고 가사노동의 이상화와 성적서비스노동의 매춘화는 임노동 공간의 여성노동을 성별화 혹은 성화하는 방식으로 또 다시 작동된다. 임노동 공간의 여성노동은 성별화와 성화로 분류되고 특징지워지는 경향이 있다. 소위 말하는 여성 직종은 젠더화와 섹슈얼리티화를 통해 자본에 복속하는 저임금노동, 시간제노동으로 화한다. 여자들은 자본의 서열화와 차등화를 특색으로 하는 공간화를 거치면서 서로 다른 공간에 배치 혹은 재배치된다. 지구화시대 한국사회 여성들의 공간과 공간화를 보는 이유는 자본과 가부장제의 공모로 인한 여성적 빈곤을 벗어날 길을 모색할 대안을 찾기 위한 것이다. 여자들은 공간에 배치되기도 하지만 동시에 공간을 선택하기도 한다. 이 논문은 이러한 공간의 서열화를 여자들이 스스로 보고, 그 공간에 대한 주체적 인식을 하게 됨으로써 불연속적인 것으로 보이고 불연 속성으로 갈라진 공간들을 나와 대안적 공간을 실천하는 행위자가 될 수 있다는 전제하에 대안적 공간에 대한 사유를 해 보기 위한 전초 작업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capital and the female space to reconsider the female poverty. The female povert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eminization of poverty' and the ‘globalization of poverty', is being reproduced in the age of globalization. In the global age, Korean society is also not free from the effect of globalization. Capital is reproducing the female poverty by spatializing women in the globalized space of the movement of product, capital, and labour. Capital's way of spatialization is through gendering and sexualizing, and it reproduces and restructures the previous gendered and sexualized space of women. The way to reproduce the gendered and sexualized space is through the space-division of home, sex-service places, and working places and through the labor-division of domestic labour, sex-service labour and irregular labour. These divisions are restructured by the division of nation and race. The idealization of the domestic labour and the prostitution of the sex-service labour are related to the gendering and sexualizing of the women's labour in the wage labour space. Women, taking the so-called ‘female job', become the subject of capital by becoming a low-paid worker and hour-paid worker. Women, through capital's classification, hierarchy and differentiation, are placed and replaced in different social spaces: domestic labour space, sex-service space,. irregular female job space, and migrant labour space. The reason to analyse the capital's spatialization of women is to seek the way to be out of the female poverty formed by the conspiracy or collaboration of capital and patriarchy. Thus women is structured into the space, however, women in individual level or in collective level can become agents of choosing space, too. Women can be agents to come out of the divided female spaces and create alternative spaces. To come out from the structured space is not easy, but recognizing the division and differentiation, women can start to think about the patriarchal capital's conspiracy and to attempt to create a new space. So far, the alternative spaces created by the women's activism have presented good examples. But in the age of globalization, women's activism requires a different apporach to the creation of the alternative spaces: spaces crossing the female division and spaces crossing the boundaries of nation, race, and class by refusing the capital's way of gendering and sexualizing.

      • KCI등재후보

        노동조합에서 젠더민주주의의 전략적 효과 분석

        이원희(Lee Won-Hee)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2017 노동연구 Vol.34 No.-

        노동조합의 젠더민주주의는 여성할당제의 실시 및 여성위원회와 같은 자체적인 조직의 건설로 나타났다. 이러한 흐름은 노동조합 내 여성조합원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의사결정 구조가 특정 성(性)에 의해 독점됨으로써 단체협약 내 여성관련 조항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는 현상을 개선하고자 전략적으로 채택되어 진행되어 왔다. 우리나라도 여성할당제 및 여성위원회와 같은 조직의 건설이 진행된 지 10여년이 지났으나 과소대표의 현실이 지속되어 젠더 민주주의의 전략적 방향에 대한 효과성이 문제제기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인식하에 젠더민주주의의 전략적 방향으로 실시된 여성위원회와 여성할당제가 노동조합 내 성차별의식을 개선하는 데 기여하였는지, 단체협약 내 여성관련 조항이 반영하는 데 영향력을 행사하였는지를 한국노총 소속 노동조합을 대상으로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여성할당제는 단체협약 내 여성관련 조항을 반영하는 데 효과적인 전략적 수단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성차별의식은 여성할당제나 여성위원회 모두 관련성을 가지고 있고 비록 분석의 결과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여성할당제나 여성위원회가 성차별의식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노조 내 젠더민주주의의 전략적 효과에 대하여 비록 탐색적인 차원이나 실증적으로 접근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노동조합의 특정 성중심 조직문화 속에서 젠더민주주의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gender Democracy of trade unions has resulted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women quota system and the construction of its own organizations such as the women’s committee. This flow is strategically adopted to improve the phenomenon that the women’s association provisions in collective agreements are not sufficiently reflected in the bureaucratic organizational culture, even though the number of female union members in the union is increasing. Although trade unions in Korea has been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organizations such as the women quota system and the women’s committee for more than 10 years, the reality of the under–representation has persisted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strategic direction of gender democracy has been rai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women’s committee and the women quota system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gender discrimination rationale in trade unions and reflect women’s provision in collective agreement. I examined the labor unions of the Korean Federation of Trade Unions from an exploratory point of view.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quota system was a powerful strategic tool to reflect women’s provisions in collective agreements. In addition, although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were not significant, it was confirmed that the gender discrimination rationale was related to both the women quota system and the women’s committee. And that women’s quota and women’s committees act towards reducing gender discrimin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pproaches empirically to investigate the strategic effects of gender democracy in union, and in that the gender democracy was identified i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specific unity of labor union.

      • KCI등재

        미국 냉전기 여성노동평등권 투쟁의 기록: 『여성노동자들을 위한 UE 투쟁』(1952)

        김진희 한국여성사학회 2020 여성과 역사 Vol.0 No.32

        This paper examines the struggle for equal rights among women workers in the Cold War period through UE Fights for Women Workers(1952), published by the UE. UE Fights for Women Workers is not just a labor union publicity pamphlet created by a declining leftist union. Rather it is a record of the era that deepens our understanding of the cold war era, the history of women’s move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and labor. In order to read UE Fights for Women Workers in depth, I look at the various conditions in which women's question emerged in the UE. Then I examine the context in which the equal pay for equal work struggle shifted into the equal pay for comparable worth. Next, I analyze the major arguments of the UE Fights for Women Workers and their implications. Lastly, I point out that the pamphlet as well as the movement of the UE workers which once had advanced ahead in the women workers’s fight for equality disappeared in the cold war situation. But the history of the women’s fight for equality rhymed if not repeated. 본 논문에서는 미국 전기노조가 1952년 발행한 『여성노동자들을 위한 UE 투쟁』을 통하여 냉전기 미국 여성노동자들의 평등권 투쟁을 검토한다. 『여성노동자들을 위한 UE 투쟁』은 단지 쇠락한 한 좌파 노조에서 만들어 낸 노조 홍보 팸플릿이 아니라 1950년대 시대상과 여성권 투쟁의 역사, 정 부와 노동의 관계를 깊이 볼 수 있게 하는 시대의 기록이다. 『여성노동자 들을 위한 UE 투쟁』을 깊이 읽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첫째, 전기노조에서 여성문제가 부각되었던 여러 조건을 검토했다. 전기산업의 노동력 구성, 제 2차 세계대전기 성별직무 재구성과 여성노조원 증가가 포함된다. 둘째, 전 기노조에서 동일임금 투쟁이 대두한 맥락, 그리고 이 투쟁이 이후 동일가치 노동에 대한 동일임금 투쟁의 전조가 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특히 전기산 업에 고착화된 성별직무분리가 동일임금 투쟁의 한계를 드러내게 되었음을 밝혔다. 셋째, 『여성노동자들을 위한 UE 투쟁』의 쟁점들과 의미를 분석 했다. 마지막으로 UE에서 여성노동자들을 위한 평등권 투쟁이 지속되지 못했던 이유와『여성노동자들을 위한 UE 투쟁』이 미국 여성평등권 투쟁에서 지닌 또 다른 함의를 짚어보았다.

      • KCI등재

        여성노동시장의 변화에 관한 여덟 가지 질문

        신경아(Shin, Kyung-Ah) 한국여성연구소 2016 페미니즘 연구 Vol.16 No.1

        이 연구는 젠더 관점에서 최근 여성노동시장의 변화에 관한 연구 동향을 살피고 주요 쟁점들을 정리하는 데 목적이 있다. 1997년 외환위기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여성노동시장은 정부의 일자리 창출정책에 따라 사회서비스 부문을 중심으로 고용이 확대 되었으며, 중간임금계층이 확대되었지만, 청소년층과 노년층 여성의 저임금 심화와 성별 임금격차의 지속이라는 특징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기업 내부노동시장의 장벽이 높아지면서 고임금 일자리에 대한 여성의 접근기회가 줄고 비정규직 여성을 중심으로 30인 미만 영세기업에의 집중은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여성노동시장 변화와 관련해 이글은 8개의 주요 쟁점들을 논의하고 있는데, 경력단절 현상, 기업내부노동시장, 일가족 양립제도, 사회서비스 일자리, 시간제 고용, 성별직업분리, 비정규직, 노동조합과 관련된 여성의 상황이다. 이같은 쟁점들을 살펴본 후 이 글은 여성들의 노동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실천은 어떤 것인지 논의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cent research trendsrelated to changes in the female labor market from gender perspectives. After the economic crises in 1997 and 2008, female labor force has expanded around the social services sector, depending on job creation policy of the government. As the results, though the medium wage group has been expanded, teens’ and older women’s low-wage have been deepening, and the gender wage gap has been sustained. Particularly as the chances of women to high-wage jobs of the internal labor market in large company, women workers have fixed on small businesses. Regarding these women workers’ conditions, this article discusses eight key issues: women’s career break, corporate internal labor market,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y, social service jobs, part-time employment, occupational gender segregations, irregular workers, and women in labor unions. After looking at these issues, this article suggests the strategies of the government, the companies and the civil society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s of women workers and reduce the gender gap.

      • KCI등재

        신자유주의 노동시장과 여성노동자성

        이영자(Lee Young-Ja) 한국여성학회 2004 한국여성학 Vol.20 No.3

        이 연구는 신자유주의 노동시장이 여성노동자의 신분과 조건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작업을 시도하였다. 하나는 가부장적 자본주의 노동시장에서의 여성노동자의 신분과 조건을 여성노동자성으로 개념화하여 그 근대적 이념형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여성노동자성의 개념 틀은 여성에 대한 가부장적 존재구속성과 자본의 노동전략이 선택적 친화력을 가지고 상호작용하는 구도를 보여주었다. 여성노동자성의 근대적 이념형은 성신분계급, 여성노동, 주부노동자로 요약되었다. 또 다른 작업은 노동의 유연화 전략이 여성노동자성과 어떠한 함수관계를 갖는 것인지, 그리고 이것이 여성노동자성에 어떠한 변화를 야기하는 것인지를 파악하는 것이었다. 한국의 경우 노동의 유연화는 정규직의 비정규직화, 수량적 유연화, 명목적 시간제로 특징지워지는데 이는 여성노동자성을 적극 이용하는 전략으로 간파되었으며 그 결과 여성노동자성을 확대 심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노동자성의 신자유주의적 특징은 비정규여성노동, 이등직업신분계급, 주부노동자예비군으로 집약되었다. 한편 학교 비정규직 영양사와 학습지 교사에 대한 사례연구는 고학력의 여성노동자들이 전문직에서 일용잡급직으로 전락하거나 또는 법적 인정과 보호를 받지 못하는 ‘비근로자’ 로 배제되는 방식으로 여성노동자성이 심화되는 현장을 확인하게 해 주었다. 이러한 상황은 결국 여성노동자성과 친화성을 지니는 고용 스탠다드가 노동시장 전반에 확산되는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성에 내포된 차별과 배제의 개념을 여성노동자를 위시한 사회적 약자 모두에게 적용되는 개념으로 그 외연을 확장시킬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make clear how the neoliberal labor market changes the status and the condition of female workers in Korea. The first work concerns the conceptualization of 'worker's femaleness' and it's modern ideal type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status and the condition of female workers. The main concepts of the modern ideal type of worker's femaleness can be defined in terms of sex-caste class, women's work and housewife worker. The another work attempts to show the coorelation between the flexibilization of the labor market and worker's femaleness, and the changing characteristics of worker's femaleness in the neoliberal labor market. This work found out two points. First, the flexibilization of the labor market in Korea is characterized by the irregularization of the regular work, the quantative flexibilization, and the nominal part-time work, and these are carried out through the gender-specific strategies capitalizing on worker's femaleness. Second,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worker's femaleness in the neoliberal labor market can be found in nonstandard worker, marginal status-class worker, housewife reserve army worker. The cas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female worker with college degree was downgraded into 'non worker' (legally unrecognized and unprotected worker) and daily worker of sundry payment. This means the degradation and the expansion of worker's femaleness in the neoliberal labor market ; the concept of worker's femaleness as the connotation of exclusion and of discrimination needs to be applied not only to female workers but also to the marginal class in the neoliberal labor market.

      • KCI등재

        ‘여공’의 대표 (불)가능성과 민주주의의 임계점 - 1970∼1980년대 여성-노동자들의 수기를 중심으로

        안지영 상허학회 2019 상허학보 Vol.55 No.-

        The article focuses on the writing of female workers and examines the practice of democracy. The article was discussed in three main directions. First of all, through the awareness of the nation state and law shown in the memoirs of female workers, I argued that they face a situation of misrepresentation. As the government’s direct intervention in the labor union’s struggle grows, female workers are confused by the existing perception that the government is a neutral mediator. As a result, they find it necessary to deny the existing representative system and seek a new one. Also, the women workers were analyzed for experiencing and responding to the dilemma of sexual differences in their attempts to represent their political views. The rights and interests of female workers within labor unions formed based on masculine culture and values were overlooked or ignored. 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promoting ‘female’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labor union, we observed that female workers are deconstructing their identity as ‘female’ in the course of the struggle. Finally, I provided a basis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female worker’s memories in the context of ‘literal democracy’. The play experience was again written in female worker’s memories as an impressive experience. Female workers come across unexpected results in the process of reproducing their autobiographical lyrics into a play, which is consistent with their writing in the open form of liberation. 이 연구는 여성-노동자 수기를 중심으로 이들이 보여준 민주주의의 실천 양태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글은 크게 세 방향에서 논의를 진행하였다. 우선 여성-노동자들의 수기에 나타난 국가/법에 대한 인식을 통해 이들이 대표불능(misrepresentation)의 사태에 직면하였음을 논증하였다. 여공들은 노조 투쟁에 대한 정부의 직접적인 개입이 심화되면서 ‘국가〓중립적 중재자’로 인식하던 기존 인식에 혼란을 느끼게 된다. 이에 기존의 재현/대표 체제를 부정하며 새로운 체제를 모색해야 할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으며, 특히 여성-노동자들의 정치적 입장을 대표하기 위해 남성이 아닌 여성-노동자를 대표로 내세워야 한다는 자각이 나타나게 된다. 다음으로 여성-노동자들이 자신들의 정치적 견해를 대표/재현하려는 과정에서 성적 차이의 딜레마를 경험하고 이에 대처하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남성적 문화와 가치를 기반으로 형성된 노동조합 안에서 여성-노동자의 권리와 이해관계는 간과되거나 무시되었다. 이에 따라 ‘여성’을 노조의 대표로 내세우는 과정에서 극심한 갈등이 나타나는데, 이를 둘러싼 투쟁 과정에서 여성-노동자들이 여성으로서의 정체성을 탈구축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연극과 글쓰기가 ‘재현’의 측면에서 지니는 유사성을 바탕으로 여성-노동자 수기가 문학적 민주주의의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는 근거를 보충하였다. 연극체험은 여성-노동자들에게 인상적인 경험으로 수기에 기록되었다. 여성-노동자들은 자전적 서사를 연극으로 재현하는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우연한 결과와 마주하게 되는데, 이것이 이들의 글쓰기가 열어 보인 해방의 형태와도 일치한다는 점을 분석하였다.

      • KCI등재후보

        중산층 기혼여성의 경험 세계를 통해 본 가사노동의 성격과 가사노동 가치인식

        박혜경(Park Hye-Kyong) 한국여성연구소 2008 페미니즘 연구 Vol.8 No.2

        본 논문에서는 학령기 자녀를 둔 중산층 기혼여성들에 관한 심층면접조사를 바탕으로 가사노동의 성격과 가사노동 가치에 관한 여성의 인식올 분석하였다. 여성들은 일상 유지노동을 축소시키기 위하여 간소화와 상품화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상유지를 위한 가사노동을 거의 전적으로 파출부에게 맡기고 있는 비취업주부도 있었다. 반면에 새로이 늘어난 것은 자녀교육경쟁 지원을 위한 어머니노동과 재산증식 노동이었다. 두 노동의 특정은 관리노동이라는 사실이며, 이러한 노동은 여성들에게 부담뿐 아니라 능력감과 자부심을 주는 것으로 보였다. 자녀교육은 계급 상승을 위한 경쟁이며 재산증식노동은 부동산 투자/투기를 통해 이루어졌다. 사교육 이용이나 성적 강조, 부동산투자/투기 참여는 여성의 가치관에 따라 달랐지만, 사교육에 참여하지 않는 여성도 불안과 갈등이 있다고 했다. 가사노동 수행방식은 다양했지만, 대부분의 여성들이 가사노동을 통해 기여하였으므로 부부재산에 대하여 절반의 몫을 가질 자격이 있다고 생각했다. 자기 명의의 재산을 가지고 있는 여성들도 있었는데 이 경우나, 재산을 남편 명의로 하는 경우 모두 재산 관리상의 필요 때문이란고 설명했다. 이처럼 자녀학업경쟁과 투기/투자를 통한 재산증식은 중산층 기혼여성의 가사노동자로서 위치를 강화시키며, 승자독식의 지구적 경쟁질서가 성별분업체계에 있는 여성의 지위에 보상함으로써 여성을 동원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characteristics of housework and married women's consciousness of its value,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middle class mothers with children of school age. Married women are explored to employ such strategies as simplification and commercialization to reduce everyday maintenance labor. In some cases, most of housework are performed by an employed visiting maid. On the contrary, 'mother work' for children's educational competition and household financial enhancement management. are intensified. Both are for competition of class upward mobility through speculation and investment in such markets as private educational market and real estate market. Whether participating in those markets or not depends on women's view of value and women not participating in them confessed anxiety and conflict. 'Mother work' for children's educational competition and speculative investment in real estate are characterized as managerial work, which givewomen competence feeling andself"]esteem, not only burden. Despite of diversity of household performing ways, almost interviewees think they deserve half of household wealth on account of their contribution to it. There are women who preserve real estate in their name, those women and other women who do not have one attribute their activities to necessity in property management. Middle class married women are mobilized to this global wmner-take-all competitive system through strengthened support for children's educational competition and financial management by speculative investment, which compensates women in the gendered position of houseworker and reproduces it.

      • KCI등재

        구미지역 전자산업 공장파견여성 노동경험 연구 : 여성노동자 다큐멘터리 영화제작을 위한 구술자료를 중심으로

        정명자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3 여성학논집 Vol.30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ality of female factory workers and the effects of neoliberal globalization on women's labor through their experience at the Gu-mi Electronics Complex.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emale workers in the factory perform simple, intensive, and unskilled labor on assembly lines for low income and long hours in an oppressive-hierarchical work environment system where they are also harassed to increase production. Second, most electronics companies from the largest on down have a vertically-systematized structure with multi-layered subcontractors, where the factory at which the female agency workers can work is determined by age and nationality. This ranking in employment is utilized to maximize competition, and is encouraged by the companies. This results in various kinds of employment, which causes more complex employment relationships in the workplace, and results in female workers becoming more individualized. Third, dismissal due to the nature of temporary work and the frequent changing of jobs in poor work environments lead the female workers to experience a nomadic life wandering between factories and regions. By analyzing the labor experience of female agency workers from a feminist perspective, we can see two remarkable changes from the past in terms of identity composition. First, there is a possibility of workers finding their identity in the nomadic life. Finding this identity occurs in their unsettled situational context. Second, those identities are becoming more modern than those in the past because the workers are independent from their families. 본 연구는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흐름 속에 있는 여성노동 현실을 구미지역 공장파견여성노동자들의 노동경험을 통해 살펴보고 있다. 구미지역 공장파견여성노동자들의 노동경험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장파견여성노동자들은 저임금, 장시간 노동, 억압적이고 위계적인 작업장 체제하에서 노동집약적 단순 조립노동을 수행하며 생산량 경쟁에 시달리고 있다. 둘째, 전자업종은 대기업을 정점으로 기업들이 규모에 따라 다단계 하청으로 수직 계열화 되어 있는데 파견여성노동자들이 들어갈 수 있는 공장의 규모도 나이와 국적에 따라 나뉘어져 있다. 이러한 고용의 서열화는 경쟁을 극대화하는데 활용되고 있으며 기업들에 의해 조장되기도 한다. 전자산업의 다단계 하청 구조, 광범위한 파견노동력을 기본으로 한 다양한 고용형태는 한 작업장 내에 복잡한 고용관계를 만들어 내고 그 결과 여성노동자들은 개별화되어 있다. 셋째, 파견노동에서 기인하는 일상적 해고, 열악한 노동조건으로 인한 잦은 이직으로 여성노동자들은 지역 간, 공장 간을 떠도는 노동의 유민화(流民化)를 경험하고 있다. 여성주의 관점에서 공장파견여성노동자들의 노동경험을 분석했을 때 변화의 지점은 주체성 구성에 있다. 첫째, 노동의 유민화속에 있는 공장파견여성노동자들의 ‘유목적 주체’되기의 가능성이다. ‘유목적 주체’되기는 정착할 수 없는 이들의 상황적 위치에서 생겨난다. 둘째, 경제적으로 가족으로부터 독립함으로써 이전 시기 여성노동자보다 한 발 나아간 근대적 주체성을 획득하고 있다.

      • KCI등재

        70년대 노동소설에 재현된 정형화된 이미지로서의 여성노동자

        김경민 대중서사학회 2015 대중서사연구 Vol.21 No.2

        70년대는 한국 문학사에서 민중문학과 노동문학의 시대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노동문제를 소대로 한 70년대 소설에서 여성노동자의 모습은 쉽게 찾아볼 수 없다. 정확히 말하자면, 여성노동자들은 남성인물 혹은 남성서술자의 시선으로 관찰되고 재현될 뿐 여성노동자가 직접 자기 목소리를 내는 경우는 거의 없다. 당시 소설에서 말할 수 없는 여성노동자의 존재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재현되는데, 첫 번째 유형은 ‘노동자’로서의 모습은 생략된 채 단지 ‘여성’으로만 존재하는 것이다. 남성 인물에 의해 그려지는 여성노동자의 모습은 대부분 퇴폐적이고 문란한 이미지로 왜곡되어 있거나, 혹은 독립적이고 주체적인 사고를 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아버지나 오빠라는 가부장의 보호 아래 있어야 할 연약하고 무지한 존재일 뿐이다. 또 다른 유형은 여성성이 아예 거세된 채 무성(無性)적 존재로서의 ‘노동자’로만 그려지는 여성노동자들이다. 이 경우 여성노동자들은 ‘산업전사’나 ‘산업역군’과 같은 멋진 수식어에 가려져 희생과 인내를 당연하게 받아들여야 했고, 이 과정에서 여성으로서의 욕망이나 감정 등은 쉽게 무시되고 배제되어 버렸다. 또한 남성노동자와 달리 여성노동자로서만 겪을 수밖에 없었던 성적 모욕이나 폭력과 같은 문제 역시 일반화된 노동문제에 가려져 제대로 거론될 수 없었다. 이렇듯 70년대 노동소설에서 여성노동자는 여전히 주변부적 인물이었으며, 이는 남성/지식인들이 (무)의식 중에 가한 또 다른 폭력이라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