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사회학에서의 여성연구 : 통합(integration)과 분리(segregation)의 이중전략

        Jae Kyung Lee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4 여성학논집 Vol.31 No.2

        이 연구에서는 한국사회학에서 여성연구의 특성과 한계를 분석하고, 향후 여성(또는 페미니스트)사회학의 발전을 위한 이론적, 방법론적 과제를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사회학회 기관 학술지인 『한국사회학』과 한국여성학회 기관학술지인 『한국여성학』을 주된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1980년대 이후 여성사회학 연구는 여성노동에 대한 관심증가, 여성학의 제도화, 여성운동의 확대, 여성 연구자 증가 추세를 배경으로 두 가지 경로를 통해 발전해 왔다. 우선 주류 사회학에서의 여성연구는, 1960-1970년대는 여성부재의 사회학, 1980-1990년대는 여성연구의 양적 성장이라는 특징을 보였다. 2000년대부터 여성사회학 연구는 양적 증가뿐 아니라 연구 주제 및 영역의 확장이라는 질적 성장을 이루어왔으며, 이러한 경향은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한편 1984년에 한국여성학회가 설립된 이후 페미니스트 사회학연구가 등장하면서 주류 사회학에서 분석되지 않았던 주제 및 개념을 분석하면서, 사적인 것으로 간주되었던 쟁점을 학문적 주제로 이끌어냈다. 방법론적으로도 심층 면접, 구술사 등 다양한 질적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양적 분석에서 간과되어 왔던 여성경험의 의미를 해석해 왔다. 그러나 사회학 내에서 여성연구는 젠더 정체화와 젠더 양극화로 인해 젠더 위계와 불평등이 (재)생산되는 한계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향후 한국사회학에서 여성연구가 확장되고 사회학 지식생산에 개입하기 위해서는, 주류 사회학에서 여성연구의 확대와 주류 사회학과 거리를 둔 페미니스트 사회학 발전이라는 두 가지 전략, 즉 통합과 분리 전략을 넘어서 사회학에 대한 페미니즘의 보다 적극적 개입이 요구된다.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for future development of feminist sociology by analyzing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feminist studies in Korean Sociology. For this, it collects and analyzes data from the Korean Journal of Sociology and the Journal of Korean Women’s Studies. Given the context of increased interests on the issue of female labour, institutionalization of women’s studies, galvanizing of women’s movements, and a large increase of female scholars, feminist sociology studies have developed in two directions since 1980s: first, feminist studies in the mainstream sociology rarely focused on gender issues in the 1960s and 1970s, but quantitative growth and development was achieved in the 1980s and 1990s; second, feminist sociology studies have develop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in terms of issues and concerns since 2000. On the other han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Women’s Studies in 1984, feminist sociology studies have carved out a vibrant new field of inquiry which has been regarded as a private and trivial issue within the mainstream sociology. Methodologically, they have developed diverse qualitative methods including in-depth interviews and women’s oral histories, which allow reinterpreting and reconstructing women’s experiences and memories that have been expressly denied and excluded. Feminist studies in Korean Sociology, however, have faced some limitations caused by gender polarization and gender identification. Based on these analyses, this paper sets an agenda for expanding feminist studies in Korean sociology and intervening in the process of knowledge construction in sociology. This goal can be achieved by two strategies, which may require strengthening feminist studies and developing feminist sociology by going beyond integration and segregation.

      • KCI등재

        필리핀 이주 기지촌 여성 ‘쥬시걸’의 민족지적 연구

        한정우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4 여성학논집 Vol.31 No.2

        기지촌은 지금 필리핀 여성들이 과거의 ‘양공주’를 대체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참여관찰과 심층 면접을 통해 평택 주한미군 기지의 유흥업에 종사하는 외국 이주여성들의 이주의 동기와 과정 그리고 현지에서의 삶의 양식을 밝히는 민족지적 연구에 있다. 성매매 여성을 인신매매의 수동적 피해자로만 보는 시각으로부터 탈피해 한국으로의 이주 경험을 여성들의 주체적인 선택이나 삶의 전략의 하나로서 분석한다. 신자유주의 세계화 속에서 필리핀 농촌의 붕괴와 필리핀 정부의 해외 이주노동 장려 정책, 이들을 수입하는 한국 사회의 흡인 요인을 고려하면 필리핀 여성의 한국 기지촌으로의 유입은 여성의 성을 매개로 제도화된 해외이주노동에 의해 조장된다. 구조적 조건과 함께 이주과정에서의 여성의 선택의 과정을 분석하고 쥬시걸로서의 일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착취적 요소와 이에 대응하는 여성의 전략을 살펴본다. 기지촌 필리핀 여성 이주자들은 본국에 송금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노동자로서 독립적이기도 하고 의존적이기도, 기략이 풍부하기도 하고 착취당하기도 한다. 이들은 세계화의 경제 관계의 망에 갇힌, 그러나 로컬 차원의 행위자들이다. 일의 체계는 고용주가 이들을 최대로 활용하여 최대의 이득을 목적으로 하는 데서 비롯된 주스 할당량과 바 파인(bar fine)의 구조로 짜여진다. 이에 따라 계약 임금노동자로서 지급해야 하는 월급보다 성과급(주스 할당/바 파인)의 비중이 훨씬 높고, 이 부분에 계약서상에 없는 벌금이나 외출 금지의 벌칙이 적용된다. 기지촌 성산업에 유입된 필리핀 여성은 형식적으로는 외국인 계약 노동자이다. 그러나 이들이 계약을 하고 한국에 와서 일하는 모든 과정을 관철하는 하나의 본질(epiphany)은 ‘비(非)법, 편법, 합법으로 위장, 법망을 피하기’이다. 이들이 정부의 허가를 받은 외국인노동자로서 수입됐다면 입국 과정에서의 중개자 역할과 고용 과정에서의 벌금제 등 불합리한 고용 행위를 노동권에 입각해 논의하고 시정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Filipina entertainers at a military camp-town in Korea. It includes motivations, immigration processes, and their work in the clubs. With the ‘feminization of survival’ of the current globalization, the camp-town women have been replaced by foreign migrant women, especially from the Philippines. These women have been usually viewed as trafficked people, victims of forced sex slavery, a view that fails to recognize them as autonomous subjects. In analyzing their migration processes and lives in the clubs, I look at them not as passive agents, but rather as active ones. I have examined various structural causes as the defining factors in the Philippine women’s choices. The economic situation of the Philippines as a debtor country, along with the Philippines policy for enhancing work abroad, have led to this migration as a way of earning foreign currency. Contributing to this movement of women are the lax regulations of broker business, the efforts of the Korean camp town’s club businessmen to import foreign sex workers, a lax process of issuing entertainment visas, and lax regulations over military prostitution as a result of US-Korea relations. The women migrated to Korea to support themselves and their families back in the Philippines. Their considerations of intermarriage migration to Korea were also examined. However, their urgent financial needs have led them to reject patriarchal type marriages to Korean men. Before migration, they have access to information about their general work possibilities, but the extent and quality of this information seem to determine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y migrate. Within the club they are struggling to expand their levels of bargaining power vis-à-vis their employers over required juice purchases and bar fines. Overall, Filipina camp-town women appear to be relieved that they are fortunate enough to migrate to Korea for higher incomes. They are independent, capable of sending money to their families, but are also dependent on labor processes which they sometimes circumvent. In order to protect them from exploitation, listening to their own voices should be the first step. To prevent abusive behaviors by brokers and club owners, there should be a system of checks and balances over labor standards, such as regular days off, lifting of the penalty system and curfews.

      • KCI등재

        한국전쟁기 대중소설의 서사 전략과 젠더 정치 : 이무영의 『사랑의 화첩』과 정비석의 『애정무한』을 중심으로

        서승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3 여성학논집 Vol.30 No.2

        한국전쟁기에 씌어진 이무영의 『사랑의 화첩』(1952)과 정비석의 『애정무한』(1951)은 전쟁이 창출한 국민국가-남한의 윤리 의식과 감정 구조를 파악하는 데 유효한 텍스트이다. 『사랑의 화첩』은 타락한 반민족주의자로 지목된 여성을 통해 전쟁기의 젠더화된 인식 체계를 재현한다. 가톨릭 사제와 수녀의 길을 걷고 있던 한 남녀는 사랑에 빠져 세속의 삶으로 돌아온다. 남편은 국가라는 이름의 신을 새로이 맞이하여 전재민 구호 사업에 투신하며, 이와 같은 민족적 대의 앞에서 아내의 개인적 욕망은 부정되고 처단 되어야 할 것으로 그려진다. 그러나 아내가 처절하게 전락하게 되는 결정적 이유는 그의 섹슈얼리티가 공산주의자를 향해 발현되었기 때문이다. 아내는 월북 후에야 북한이 지상의 지옥이라는 깨닫게 되는 한편, 중요한 것은 육체가 아니라 정신에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그러나 뒤늦은 반성은 그를 성적, 이념적 타락이라는 혐의에서 구해내지 못한다. 다시금 조우한 남편이 죽기 직전에 내뱉는 “추한 계집”이라는 말은 이 소설의 주제이자 아내의 고백에 대한 최종 선고라 할 수 있다. 반면 『애정무한』에서 여성의 섹슈얼리티는 긍정되는 것처럼 보인다. 신분을 위장하고 북측 선전실에서 근무하는 주인공은 동료 여성에게 애정을 느끼지만 갈등한다. 결코 공산주의자를 사랑할 수 없다는 것이 그 이유이다. 따라서 여성은 자신이 공산주의자가 아니라는 사실을 증명한 후 남성과의 정신적, 육체적 결합을 주도한다. 그러나 이는 주체적인 것이 아니라 남성이 욕망하는 대로 움직이는 것에 불과하다. 이 소설에서 그려지는 사랑은 전쟁이라는 폭력적 현실 속에서 자기분열과 실존적 상실을 경험하고 있는 남성적 자아의 판타지에 불과하다. 그는 자신의 환멸을 이상화된 여성을 통해 위안 받고 해소하고자 하며, 여성이 죽음을 맞이한 이후에는 낭만적인 노스탤지어를 통해 영원한 사랑을 기약한다. 이는 역사의 주인공에게만 허용되는 감정적 특권이다. 이처럼 두 소설은 각각 타락한 여성과 이상화된 여성이라는 타자를 매개로 남성-반공주의자의 주체성을 완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된 특징을 지닌다. As full-length novels written during the Korean War, Sa-rang-eui-hawcheop(1952) by Lee, Moo-Young and Ae-jeong-moo-han(1951) by Jeong, Bi-Seok convey ethics and value reasonable for the period of war, through romantic relationships between men and women. Firstly, Sa-rang-eui-haw-cheop describes a married couple who have the shape of a virtuous nationalist and a corrupt anti-nationalist. As a Catholic priest and a nun, they fall in love and come back to the earthly life. However, for the nation and the people that the husband decided to newly serve as Gods, he devotes himself to relief work. In the presence of this cause, the wife's personal desire is regarded as trifling. In the end, the wife defects to North Korea along with her husband who is a communist. But here, North Korea is almost like hell. The wife realizes that the important things are a mind, not a body, and the people, not individuals, after being punished to fall into hell. The wife's repeated confession makes her degrade to the perfect status of a sinner, rather than save her. Therefore, the novel ends, under the assumption that she would die or get lost. On the other hand, a female desire in Ae-jeong-moo-han seems to be thought, positively. One man feels affection for a woman who is his co-worker, while working in the propaganda division of North Korea, hiding his status. This woman takes the lead in mental and physical combination with him, proving the fact she isn't a communist. However, in fact, this woman does nothing but moves as the man desires, not being independent. In this novel, the Korean War is described as violence brought about by communism which is an absolute evil, and disillusions the male character. He tries to relieve his disillusionment, by loving a dutiful woman. Thus, the female character here is merely an utopia created by the fantasy of a man experiencing self-splitting and a sense of loss. Besides, she becomes an object of romantic remembrance, by dying a death. As explained above, each of these two novels shows a corrupt woman and an idealized woman, but they are both used as tools for supporting identities of the male characters, and stress the theme, anti-communism. In this respect, they have some characteristics in common.

      • KCI등재

        구미지역 전자산업 공장파견여성 노동경험 연구 : 여성노동자 다큐멘터리 영화제작을 위한 구술자료를 중심으로

        정명자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3 여성학논집 Vol.30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ality of female factory workers and the effects of neoliberal globalization on women's labor through their experience at the Gu-mi Electronics Complex.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emale workers in the factory perform simple, intensive, and unskilled labor on assembly lines for low income and long hours in an oppressive-hierarchical work environment system where they are also harassed to increase production. Second, most electronics companies from the largest on down have a vertically-systematized structure with multi-layered subcontractors, where the factory at which the female agency workers can work is determined by age and nationality. This ranking in employment is utilized to maximize competition, and is encouraged by the companies. This results in various kinds of employment, which causes more complex employment relationships in the workplace, and results in female workers becoming more individualized. Third, dismissal due to the nature of temporary work and the frequent changing of jobs in poor work environments lead the female workers to experience a nomadic life wandering between factories and regions. By analyzing the labor experience of female agency workers from a feminist perspective, we can see two remarkable changes from the past in terms of identity composition. First, there is a possibility of workers finding their identity in the nomadic life. Finding this identity occurs in their unsettled situational context. Second, those identities are becoming more modern than those in the past because the workers are independent from their families. 본 연구는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흐름 속에 있는 여성노동 현실을 구미지역 공장파견여성노동자들의 노동경험을 통해 살펴보고 있다. 구미지역 공장파견여성노동자들의 노동경험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장파견여성노동자들은 저임금, 장시간 노동, 억압적이고 위계적인 작업장 체제하에서 노동집약적 단순 조립노동을 수행하며 생산량 경쟁에 시달리고 있다. 둘째, 전자업종은 대기업을 정점으로 기업들이 규모에 따라 다단계 하청으로 수직 계열화 되어 있는데 파견여성노동자들이 들어갈 수 있는 공장의 규모도 나이와 국적에 따라 나뉘어져 있다. 이러한 고용의 서열화는 경쟁을 극대화하는데 활용되고 있으며 기업들에 의해 조장되기도 한다. 전자산업의 다단계 하청 구조, 광범위한 파견노동력을 기본으로 한 다양한 고용형태는 한 작업장 내에 복잡한 고용관계를 만들어 내고 그 결과 여성노동자들은 개별화되어 있다. 셋째, 파견노동에서 기인하는 일상적 해고, 열악한 노동조건으로 인한 잦은 이직으로 여성노동자들은 지역 간, 공장 간을 떠도는 노동의 유민화(流民化)를 경험하고 있다. 여성주의 관점에서 공장파견여성노동자들의 노동경험을 분석했을 때 변화의 지점은 주체성 구성에 있다. 첫째, 노동의 유민화속에 있는 공장파견여성노동자들의 ‘유목적 주체’되기의 가능성이다. ‘유목적 주체’되기는 정착할 수 없는 이들의 상황적 위치에서 생겨난다. 둘째, 경제적으로 가족으로부터 독립함으로써 이전 시기 여성노동자보다 한 발 나아간 근대적 주체성을 획득하고 있다.

      • KCI등재

        대학 내 성폭력 가해자 연구

        나윤경,노주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3 여성학논집 Vol.30 No.2

        슈워츠 외(Schwartz et al., 2001)는 여성주의 일상행위이론으로써 대학교가 ‘준비된 가해자-보호 장치 부재-적절한 피해자’ 등 성폭력 조건이 갖추어진 공간이라고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가부장 사회의 상식이 된 ‘강간신화’와 더불어 대학교의 ‘준비된 가해자-보호 장치 부재-적절한 피해자’라는 조건이 다시 한국적 맥락과 만나 더욱 입체적으로 확장되어 대학 내 여대생들에게 성폭력을 가한다고 말하고 있다. ‘스승으로서의 교수’의 애정이 성폭력과의 경계를 흐리는 지점, 대학원생에 대한 교수의 상대적 권력을 크게 구성해내는 신자유주주의 상황의 청년실업 현상, 온전히 사적 공간인 교수 연구실, 교수사회의 학문적 공동체의 부재, 성폭력 사후 해석으로 동원되는 ‘술’, 여전한 여성에 대한 ‘성녀’(聖女)와 ‘성녀’(性女) 이분법, 그리고 가해자들의 반격까지 ‘준비된 가해자-보호 장치 부재-적절한 피해자’라는 지점을 확대하고 입체화 한다. 교과서적인 답인 것 같지만 대학 내 성폭력 예방교육과 대학 내 여성의 인권 신장이 여성에 대한 성폭력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Feminist routine activities theory explains why campus becomes the space where sexual violence takes place more often than expected. This study says that ‘rape myth’, the common sense of patriarchal societies, along with the constituents of feminist routine activities theory, which are ‘motivated offender-absence of guardians-availability of suitable targets, tends to be expanding in Korean society to produce sexual violence on campus. The relationship based upon apprenticeship between professor and student, high rate of youth unemployment, professors room as a purely private sphere, the absence of colleagueship among professors, Koreans’ conspicuous consumption of alcohol, the binary concept of women as mom and prostitute, and the backlash of the offender cubicalize the feminist routine activities theory. The researchers suggest that empowering education for women and men will reduce the sexual violence on campus.

      • KCI등재

        재생산적 전환 과정 속의 농촌지역 결혼이주자의 생산/재생산 활동

        김현미,류유선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3 여성학논집 Vol.30 No.2

        본 연구는 한국농촌 여성이주자들의 일상성, 특히 생산과 재생산 영역에의 참여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재생산적 전환과정’의 맥락 속에서 이주자가 구체적으로 수행하는 다양한 노동의 의미를 분석한다. 본 연구의 기초 자료는 2011년 1월부터 8월까지 부여군에서 실시한 현지조사와 12명의 결혼이주여성과 3명의 선주민 가족에 대한 심층면접이다. 부여의 인구학적 변화와 이주자의 유입방식, 농업형태의 변화가 가져오는 농촌사회의 정치・경제적 변화의 구조 속에서 여성이주자들의 일상을 분석한다. 여성이주자들은 이주 후, 출산 및 육아와 살림을 포함한 가족 만들기, 한국어 수업과 며느리 되기 등을 포함한 한국화에 대한 요구 및 농업 및 경제활동 참여에 대한 중층적 요구를 조정하며 나름의 이주 목적을 현실화시키고자한다. 이는 여성이주자를 결혼이주자와 노동이주자로 구획하여 대상화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여성이주자가 생산과 재생산의 회로 안에서 중층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자신의 라이프사이클 안에서 위치를 끊임없이 변화시켜내는 존재로 바라보는 것을 의미한다. 본 논문은 여성이주자의 역할이나 정체성이 고정된 것이 아니라 농촌의 생산/재생산 과정에 편입되거나 변형을 만들어내고 있는 과정에서 구성되는 것임을 강조한다. As global changes continue to occur in the reproduction system, intimate realms such as child-bearing, nurturing, and caretaking are being released from the private sphere and being given exchange value. International marriage as one form of the reproductive migration exposes migrant women to diverse definitions and performances of conjugal roles. This article aims at analyzing how migrant women are positioned in the spheres of social production and reproduction in rural Korea today and how they are reaping the material fruits of their labor. Based on nine months of fieldwork in Chungnam Province's Buyeo district in 2011, and in-depth interviews with 12 marriage migrant women and 3 Korean husbands, this article shows how migrant women maneuver their way through the complicated and contradictory demands of having to give birth, performing domestic duties,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and participating in agricultural labor. While they live between the strata of reproductive and productive labor networks and within their own changing life cycles, migrant women who already work as fulltime housewives and farmers also enhance their economic resources as daily laborers. This article shows how migrant women navigate various life strategies to make their lives more bearable and comfortable in South Korea's rural areas.

      • KCI등재

        19세기 말 중국 여성의식의 계몽 : 부전족운동(不纏足運動)

        이영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4 여성학논집 Vol.31 No.2

        20세기는 중국 여성의 권리가 신장되었던 시기로, 19세기 말 즉 청(淸) 말 중국에서도 여성들을 가정으로부터 사회로 이끌어내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었다. 이러한 움직임에 따라 여성들은 점차 변화하는 시대에 맞게 전통의 굴레에서 벗어나 새로운 세계를 향하고자 하는 갈망을 갖게 되었다. 유교사상이 지배적인 명청(明淸) 시기에 여성들은 가부장적 사회 안에서 생활해야 했다. 전족(纏足)은 명대에 이르러 성행하였고, 청대는 전족이 최고 성행을 이룬 시기이다. 높은 신분에서부터 농민층에 이르기까지 전족의 풍습은 확산되었다. 고통을 감수하며 행한 전족으로 여성 자신은 주체적 인격이 상실되고, 남성 중심 사회의 관상 내지 성적 종속물로 기록되었다. 이러한 전족에 대한 반대는 이미 북송말엽 차약수와 정이로부터 시작하였다. 개항 이 후 지식인층 사이에서 전족문제를 제기하였고, 선교사들은 전족의 비인간적 풍습을 규탄하였다. 전족을 하지 못하도록 실천적 운동으로 옮기기 시작한 것은 바로 태평천국시기이다. 태평천국 시기 광서지역 여성들 스스로가 여성들에게 전족을 풀 것을 권유하면서 중국 여성들에게 전족이라는 악습에 대해 생각하게 하는 단서를 마련하였다고 할 수 있다. 국민의 한 구성원으로서의 여성 의식을 갖게 하기 위해 변법지식인은 계몽활동을 하였다. 여전히 남성들이 중심이 된 조직체를 운영하였지만, 전족을 한 여성들과 가족들에게 전족이라는 악습의 폐지로 여성이 국가의 한 일원인 국민으로서 자각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결국 그들은 학회 및 보간(報刊)을 통해 여학을 강조하였고 여성을 위한 교육시설을 설립하여 중국 여성의식의 확대를 위한 노력으로 국민국가를 이루고자 하였다. The twentieth century was a period when the rights of Chinese women were enhanced.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hich was the end of the Qing Dynasty, there was a movement where women emerged out of their households and into the society. According to this movement, they had a desire to create a new world outside of traditional bridles in order to keep pace with changing times. During the Ming and Qing Dynasties, when Confucianism dominated the society, women had to stay within the framework of the family which limited the social activities of women. Foot binding prevailed during the Ming Dynasty and in particular, the Qing Dynasty experienced the peak in this foot binding custom. It had spread much farther from the upper classes to farmers in rural areas. Through painful foot binding, the subjective personalities of women were lost and they were regarded as objects of enjoyment or sexual subordinates in a male-oriented society. Opposition to foot binding began in Jiruoshui and Chengyi of the late Northern Sung. After the opening of ports to western forces, the issue of foot binding was presented by the intellectuals, and missionaries condemned the inhumane custom. It was during the Taiping Tien-kwoh period that the opposition to foot binding was developed into a practical movement. Women in Guangxi during the Taiping Tien-kwoh were recommended to release themselves from foot-binding, which was a chance for Chinese women to reconsider the evil custom of foot binding. Intellectuals in the Reform Movement led enlightenment activities to inspire women to become subjective women as members of the nation. Organizations involved with the women’s movement in that period were still centered on men, through which women with bound feet and their families could have the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necessity for foot binding prohibition, and to become aware of themselves as members of their nation. Finally, women’s education was enhanced and welfare services were prepared through academies, newspapers, and magazines, which led to further development, and educational societies for women were established where the nation could make an effort to achieve and then enhance feminine awareness.

      • KCI등재

        이주를 경험한 남녀의 서사를 통해 본 친밀한 관계성의 변화

        이혜진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3 여성학논집 Vol.30 No.2

        This study investigates how migration experiences have affected to gender consciousness and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ns in Japan Migrant workers have experienced the change of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ir cross-border move(migration). In particular, they have given the meaning of the place as not the foreign one but making relationship as their daily lives through a long-term life in the foreign country. The status of ‘illegal stay’ acts as an element which makes difficult coming and going to their hometowns and family so that they have experienced the change of intimacy in the spiral of the relationship unconsciously or consciously. It is the intimate relation area where is overlapped of sexuality, gender consciousness and a family norm that remarkably appear realistic society, ritual and conflict between their body and mind. Therefore, focusing on the relations between migration experience and intimacy, this research reveals that the relations between ‘illegal stay’ status and intimate relationship are formulated within the limited social network, lead to work opportunity and income stability in itself and function as mechanism of maintaining their life as migrants. 본 연구는 이주 경험자의 젠더의식 및 친밀한 관계성에 이주 경험이 어떤 변화를 발생시켰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국경을 넘는 이동을 계기로 이주자들은 친밀한 관계성의 변용을 경험하게 되는데, 특히 장기간에 걸친 타향(他鄕)에서의 생활은 그곳이 이미 타향이 아니라, 자신의 일상의 현실로서 새로운 관계성을 형성하게 된다. 이주자들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그 관계성에 휘말려, 어쩔 수 없이 자신의 친밀권(親密圈)의 변용을 경험하게 된다. 또한, 섹슈얼리티와 젠더의식, 가족규범이 중첩하는 친밀한 관계성의 영역을 분석하여 자신이 실제로 존재하고 있는 현실 사회와 그들의 삶을 관장하는 의식 및 몸의 경합이 이주자들의 삶에서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 살펴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주경험과 친밀한 관계성의 관계에 주목하여, 이주자가 가진‘불법’적 지위와 친밀한 관계성의 성격은, 그들이 가질 수 있는 극히 제한된 사회적 연결망 속에서 형성되고, 친밀한 관계성 자체가 일자리 및 소득의 확보와 연결되며, 이주자로서의 전면적인 삶을 유지할 수 있는 기제로 작용하고 있음을 밝혔다.

      • KCI등재

        연예인 지망생 및 신인의 성형 경험과 ‘이미지 상품-주체’의 형성 : 연기자를 중심으로

        김현경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4 여성학논집 Vol.31 No.2

        이 논문은 연예인 지망생 및 신인에게 가해지는 성형 압박의 문화적 기제들과 수술경험, 주체성의 관계를 분석한다. 여성들은 카메라에 재현된 영상 이미지, 기획사 및 제작 과정상의 요구를 통해 ‘카메라에 잘 받는 얼굴로의 변형’을 수용하고 있었지만, 자신이 가진 자원에 따라 성형 수술 경험 정도는 달랐다. 그러나 이들 모두는 투자로 변형해야 하는 ‘원료(raw material)로서의 몸’, 회수할 수 없는 혹은 안 되는 몸에 대한 멸시의 감정을 가지고 있었다. 이 논문은 이처럼 연기 노동력뿐 아니라 전 존재를 상품화해야하는 연기자 존재 양상을 ‘이미지 상품(image commodity)’ 그리고 몸의 변형을 이미지상품화에 성공하기 위한 투자로 인식하면서 그 과정과 결과를 통해 자아를 바라보는 주체성을 ‘이미지 상품-주체(image commodity-subject)’로 명명한다. 남성들의 경우 큰 키, 옷이 잘 어울리는 몸매와 근육을 중심으로 한 특정 외모가 이미지 상품화의 전제조건이며 이는 소비적이면서 ‘위협적이지 않고 보호자적이며 성애적인’ 남성성에 대한 대중선호를 보여준다. 이처럼 남녀 연기자들에게 요구되는 외모 자질은 확연히 대비되는 것으로서 새롭게 재경계화되고 있다. 그러나 남성에게는 ‘연기력 있는 배우의 길’이라는 선택지가 없지 않기 때문에 이들이 받는 압박과 수술 경험은 여성들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성형을 통해 표준적 외모를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한다는 문화적 압력은 여성연기자를 훈련을 필요로 하는 전문적 직업인이 아니라 몸을 이용하고 드러내 보이는 몸적 존재로 위치 지운다. This thesis analyzes the cultural mechanism of cosmetic surgery pressure put on aspiring actors and rookies and the relation between cosmetic surgery experience and the subjectivity. Though accepting the ‘transformation into faces which are telegenic’ required from the image represented by camera, entertainment companies, and contents making processes, the female aspiring actors had different scales of cosmetic surgery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resources they had. However, they all had a sense of disdain towards ‘the body as raw material’ which must be transformed into an investment and the body which is unrecoverable or irrecoverable. This thesis addresses the existential condition of an aspiring female actor, who must commercialize not only their acting labor but also their entire being, as ‘image commodity’; it also addresses the subjectivity, which recognizes the transformation of body as an investment in order to be successful in image commercialization and conceives self through the result of it, as the ‘image commodity-subject.’ For a male aspiring actor, tall stature, body figure which a dress fits nicely, particular look based on muscle are preconditions of image commercialization; it reveals the public preference for consumptive, ‘not threatening, protector like, and sexual’ masculinity. Likewise, appearance qualifications required from male and female aspiring actors are obviously contrasted and being demarcated anew. However, for a male aspiring actor, since there is an alternative of ‘an actor with good acting skills,’ the pressure and experience of cosmetic surgery they have demonstrate considerable difference with those of a female aspiring actor. Since it is thought that it is possible to make changes on a female aspiring actor’s body, the cultural pressure puts on the idea that basically she must possess a particular appearance even through cosmetic surgery. This locates her not as a professional who needs training but as a bodily being who uses and shows her bod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