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에서 여성주의 접근의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정원(Jeong-Won Ha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07 아시아여성연구 Vol.46 No.2

        최근 지역복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지역사회의 여성복지에 대한 연구도 활발해지고 있다. 이에 지역사회복지에서 여성주의 접근의 필요성 또한 주목받고 있는 시점이다. 여성주의 관점은 복지국가에서의 여성의 위치뿐 아니라 복지국가 자체를 젠더 분석하어 새롭게 이해하는 데 기여했다고 평가받고 있다. 여성을 중심으로 복지정책을 분석하고 개선해 나가려는 노력은 복지정책 연구를 발전시켜 왔으며, 우리가 복지국가라고 부르는 제도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지역사회복지의 개념과 의의를 알아보고 여성주의 복지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여성주의 방법론 활용 가능성을 타진하여 지역여성복지에서 여성주의 접근이 갖는 의의와 전망에 대하여 논의해 보고자 한다. As researches on local welfare are increasing, recently, social interests in local welfare for women are also emerging. It is noted that feminist approach on welfare states, social policies and welfare services play an important role in analyzing entire welfare system Feminist approach focuses on gender structure of welfare system which is very crucial to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welfare and women's position in it. In terms of local welfare, feminist approach emphasizes local women as the positive subject that can map the specific local welfare needs. Feminist methodology also can be used in surveying women's needs, collecting the practical information, and analysing the collected data in local area. Towards gender equal social policies practised in the specific area, feminist approach can be used and expanded in the potential welfare sectors. Concerning the importance of feminist approach on welfare, this paper examined the concept of local welfare, feminist approach on welfare, and use of feminist methodology in local welfare area.

      • KCI등재

        21세기 모성(Motherhood)의 원형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재해석의 가능성

        원신애(Shin-Ae Won) 한국기독교학회 2020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16 No.-

        21세기는 가정위기의 시대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개인의 가치를 인정하고 다양성과 차이성을 존중하며 여성의 역할과 여성적 가치에 대한 인식전환의 재평가가 이루어지는 사회이기도 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21세기의 다양한 상황 속에서 인간의 존재론적, 도덕적, 사회 · 문화적 문제와 주제가 되는 ‘모성’(Motherhood)에 관하여 루소(J. Rousseau)의 교육소설 『에밀』(Émile)을 중심으로 기독교교육적 재해석의 가능성에 관하여 논의한다. 첫째, 개괄적으로 21세기의 시대적 변화와 요구를 검토하고, 다양한 모성에 관한 여성주의 논의들을 살펴본다. 둘째, 21세기의 대중매체에 나타난 모성의 다양성을 검토하고 대중들의 이해와 문제제기 등을 논의한다. 셋째, 이 연구는 대표적인 교육고전으로 회자되는 루소의 『에밀』을 통해서 여성교육, 모성, 가족 등의 의미를 검토하기 위하여 데리다의 관점에서 모성의 보충대리(supplement), 즉 양가성의 특성을 살펴본다. 또한 여성의 모성과 관련하여 루소가 주장했던 동정심 혹은 연민과 교육의 관련 가능성을 연구한다. 마지막으로 기독교교육의 관점에서 ‘모성’의 원형에 관한 재해석과 모성적 여성리더십 개발의 가능성을 검토한다. 또한 여성주의 접근, 모성적 접근 그리고 에코페미니즘 접근을 통하여 한국교회 여성과 모성에 관한 논의들을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기독교교육의 관점에서 연민, 동정심, 이타심 등의 모형으로서의 모성과 자연이라는 원형에 근거한 모성적 여성주의 리더십을 제안한다. 21세기의 교회는 여성들에게 감성지능, 관계성, 유연성, 이타성 등의 모성적 원형의 중요성을 교육하고 그것에 터한 모성적 여성주의 리더십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을 실천해야 할 것이다. This is a study in Christian education that sets out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re-interpreting the prototype of motherhood by utilizing J. Rousseau’s educational novel Émile, in awareness that it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ontological, moral, social, and cultural discourses in various contexts of the 21st century. This study, then, proposes that the theoretical paradigms of Rousseau’s supplement developed by Derrida are tenable philosophic grounds that could show significant, practical directions for women’s education, one of the main goals of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important educational idea of motherhood. To put it into specific term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differently the concepts like ‘maternity’ and ‘feminine’ from Rousseau’s understanding of the prototype of ‘motherhood’ from Derrida’s deconstructive position of supplement. To achieve this goal, it first takes a brief look into the changes and demands of the 21st century and examines various feminist discussions about motherhood. Secondly, it explores diverse representations of motherhood in the 21st-century mass media and discusses the public perceptions of them as well as some critical problems involved. Thirdly, it discusses the meaning of women’s education, motherhood, and family depicted in Rousseau’s Émile, which is a representative educational classic. With respect to the discussion of motherhood, the study closely examines the relevance of Rousseau"s sympathy/compassion to education. Lastly, from a perspective of Christian education, it addresses the possibility of reinterpreting the prototype of motherhood and developing motherhood-feminist leadership.

      • KCI등재

        북한 여성동맹조직 역할 변천에 대한 연구

        이가영(Lee, Ga-young)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7 亞細亞硏究 Vol.60 No.3

        북한은 근로단체를 프롤레타리아독재체계에서 당과 정권기관 다음으로 중요한 구성요소로 간주한다. 조선로동당은 당원 이외의 북한 주민들을 4개 중 하나의 근로단체에 속하도록 조직하고 있다. 각 가정 내에서 영향력을 끼치는 여성들로 구성된 대중조직이라는 면에서 의의가 있으나 여성동맹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문헌분석을 통해 북한 정권에서 역사적 변환점에 따른 여성동맹조직의 역할 변화를 분석하였다. 북한 정권 수립 시기에 신속하게 남녀평등을 법제화하여 일제식민지와 봉건통치 하의 잔재를 청산하고, 가정 내 여성의 역량을 사회로 끌어내고자 하였다. 전후 복구기와 사회주의 건설 시기에는 인민경제 각 부문에 여성들을 더욱 인입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김일성이 개인숭배를 전면화해 유일지배체제를 확립하여, 대중조직은 김일성 수령 개인의 근로단체로 변모했다. 김정일에게 권력을 승계하는 1970년대에는 부자세습이 무리 없이 받아들여지기 위해 가족질서의 정당화가 필요했고, 여성들에게 가정에서 현모양처가 될 것을 강요했다. 김정일이 본격적으로 권력을 장악한 후에는 계모 김성애를 비롯하여 김성애가 위원장으로 있는 여성동맹의 영향력을 약화시키고자 하였다. 그러나 김일성 사후 김정일 시대에는 경제상황이 극도로 악화되어, 정권의 위기 극복에 여성을 동원하였다. 김정은 시대 여성동맹의 역할은 선대와 큰 변화 없이 지속되고 있으나, 경제난 이후 사경제의 발달에 따라 여성 지위가 점진적으로 향상되고 있다. 이것이 기존 가부장제 질서를 와해할 정도는 아니나 이 추세는 지속적으로 심화될 것으로 전망한다. 향후 북한을 둘러싼 대내외적 환경과 정세에 따라 변화된 정권과 리더십이 여성동맹의 기능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 후속 연구를 통한 검증을 기대한다. The policy of a country should understand the special circumstances of the institutional process and recognize it in the social context. The historical turning point for the regime in North Korea influenced politics and leadership, and this was reflected in the women’s alliance, a labor organization under Workers’ Party of Korea. During the establishment of the North Korean regime, women’s equality was quickly legislated and women’s alliances were formed. The first purpose is to liquidate a vestige of feudal society under feudal rule and Japanese colonial rule. The second intention is to bring women’s capabilities, which were confined within the family, into society to play an organizational role in establishing the North Korean regime. During the 1950s and 1960s, Kim Il Sung sought to involve more women in each part of the people’s economy in order to mobilize women’s labor force in post-war restoration and socialist construction. In the 1970s, when Kim Il Sung pass on power to Kim Jong Il, it was necessary to justify the family order. Kim Il Sung forced the women to become wives and mothers who were able to care for their husbands and children at home. Kim Jong Il emphasized Songun politics and encouraged women to raise their children as soldiers. The role of the women’s alliance in the Kim Jong Un era continues without major changes, but since the economic crisis, the status of women has been gradually improv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private economy. This is not enough to break the existing patriarchal order, but the trend is expected to continue to grow. In the future, the changed regime and leadership will affect the functions of the women’s alliance in accordance with the internal and external circumstances surrounding North Korea.

      • KCI등재

        페미니스트 공간연구에 다중스케일적 접근 접목하기

        황진태(Jin-Tae Hwang),정현주(Hyunjoo Jung) 대한지리학회 2015 대한지리학회지 Vol.50 No.1

        본 연구는 서구 여성주의 지리학을 비롯한 일군의 비판지리학자들을 중심으로 발달해 온 스케일(scale) 논의를 재검토함으로써 기존 국내 여성운동 연구에서 나타나는 공간성에 대한 인식과 방법론적 한계를 보완하는 논의의 장을 마련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운동 연구에 있어서 스케일개념의 필요성을 환기시킨다. 페미니즘 연구에서 종종 무분별하게 양산되는 공간 메타포는 사회운동의 공간성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키는 데 오히려 걸림돌이 되기도 한다. 메타포로서의 공간에 그치지 않고 사회운동에서 실제로 중요한 인식론적, 실천적 도구가 되는 공간에 대한 탐색을 심화시키기 위해 본 연구는 마스턴과 브레너를 중심으로 제기된 2000년대 이후 스케일 논의의 주요 쟁점을 수용하여 이러한 논의가 여성운동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둘째, 상대적으로 덜 연구된 미시 스케일의 역할을 조명함으로써 미시와 거시가 연결된 다중스케일적 접근을 옹호하고자 한다. 여성주의의 오랜 투쟁의 대상이었던 공적/사적 분리는 위계화된 스케일 인식, 즉 거시 스케일이 더 영향력 있고 중요하다는 인식과 종종 맞닿아 있다. 그러나 여성의 영역이라고 인식되는 재생산 영역은 거시 스케일상의 생산과 정치경제와 불가분의 관련성을 지닌다. 본 연구는 공적/사적 분리와 위계화된 스케일 인식을 단번에 허무는 지점, 즉 사적인 것이 곧 공적인 것이 되고 지구적인 것이 곧 로컬한 것이 되는 지점을 파헤친다. 이를 위해 한미 FTA 반대운동에서 등장했던 유모차 부대의 사례를 간략히 소개함으로써 다중스케일적 접근이 한국 여성운동에 어떻게 접목될 수 있는 지를 탐색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complement the methodological and conceptual lack of spatial thinking in Korean women’s movement research and to facilitate further discussion on this field of research, by drawing on recent academic discussion on scale developed particularly among the Western critical and feminist geographers. The purposes of the paper are following. First, it addresses the need to utilize the concept of scale in women’s movement research. Numerous spatial metaphors often proliferated with indiscretion in the feminist approach have rather tended to hinder fully understanding the spatiality of social movements. In order to examine the spatiality of social movements as both conceptual tool and praxis, not merely as metaphor, the paper incorporates main issues in recent scale discourses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debate between Marston and Brenner, and explores their implications for women’s movement research in Korea. Second, it emphasizes the multi-scalar approach by highlighting the role of micro-scale, the less studied side in social movement literature. The public and the private divide, the long time battle ground in feminist research, is often intermingled with the hierarchical scalar understanding which considers the global as more powerful and important than the local. The reproductive realm, however, is indispensably related to production and political economic realm. The paper explores the very site where both the public/private divide and the hierarchical scalar understanding can be dismantled. It is the site where the private becomes public and the local becomes the global (and vice versa). Drawing on a brief example of an anti-FTA movement of women with strollers in Korea, it examines the way the multi-scalar approach advances the understanding of Korean women’s movement.

      • KCI등재

        여성주의 연구에서의 구술자료 재구성

        이희영(Yi Hee-Young) 한국사회학회 2007 韓國社會學 Vol.41 No.5

        이 연구는 한국에서 여성주의의 관점에서 제기된 구술자료에 대한 질적 연구방법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여성주의 연구에서 생애사 재구성방법론이 갖는 실천적 의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2004년 발효된 성매매방지법을 둘러싼 여성주의 내부에서의 담론 비판이 갖는 방법론적 함의를 검토하고, 성매매 경험을 가진 여성의 사례 재구성을 통해 서사구조와 생애체험에 대한 동시적 이해와 재구성 과정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첫째, 이 연구의 과정에서 기존의 여성주의 질적 연구방법론들이 한편으로 구술자료가 갖는 재현의 서사성에 주목하는 과정에서 구술자료가 함축하고 있는 복합적인 생애체험을 간과하는 경향을 보이며, 다른 한편 역사적 증언의 성격을 띠는 구술자료에 대해서는 서사적 특성을 간과하는 이중의 경향성이 있음을 비판적으로 논의하였다. 둘째, 생애사 재구성방법론이 ‘체험된 생애사’와 ‘이야기된 생애사’의 재구성을 통해 구술자료에서의 생애사적 체험과 서사구조를 상호연관적으로 분석하고 재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며, 최근 성매매방지법에 대한 여성주의 담론 비판의 과정에서 제기되는 방법론적 문제, 특히 연구자와 구술자의 상호성찰성, 구술로 포괄되지 않는 육체성, 성매매를 둘러싸고 형성되는 섹슈얼리티에 대한 계보학적 접근의 가능성을 제공하는 유용한 접근방식임을 논의하였다. 셋째, 재구성된 생애사에 대한 소개를 통해 친족관계 및 가족서비스 영역에서의 성폭력과 1970~1980년대 한국의 성매매 공간이 갖는 생애사적 연관성을 고찰하였다. 요컨대 생애사 재구성방법론에 기초한 사례연구는 한국사회의 가부장적 지배담론의 핵심인 ‘신성한 가족’과 ‘불온한 성매매 공간’ 이라고 하는 이분법이 해체된 현실을 보여줌으로써, 이것이 사회역사적 ‘구성물’임을 드러낸다. This article aims at critically evaluating the qualitative methodologies employed in oral history in Korean feminist research and at illuminating the practical meaning of biographical research in feminism. In particular, this article examines the methodological implications of feminist discourse criticism regarding the Anti-Prostitution Law 2004. Based on a narrative of a prostitute it tries to show possibilities to understand not only its narrative structure, but also the biographical experiences embedded in the text. Firstly, this article discusses a double tendency: on the one hand, feminist qualitative methodologies in Korea used to overlook the complex life experiences by concentrating on the narrative structure of oral stories. On the other hand, they often neglected the narrativity of oral testimony. Secondly, by reconstructing ‘life history as experienced’ and ‘life history as told’, biographical research offers possibilities of understanding their complex interrelations. Furthermore, the article shows that biographical research constitutes an appropriate solution to methodological problems with regard to the topic ‘anti prostitution law’, namely interactive reflection between interviewees and interviewers, the corporeity(Leiblichkeit) of human beings which cannot be reduced to voice, and the genealogical approach to sexuality. Thirdly, the case study refers us to the biographical relation between sexual violations in the family and in the sector of private domestic employment, and the prostitution industry of the 1970s~1980s in Korea. In short, by biographical reconstruction of a case, this article reveals the fact that the central discourse of patriarchy in Korea, namely the dichotomy of ‘inviolable family’ and ‘subversive prostitution’, is a construct.

      • KCI등재

        진정한 다문화 교육을 지향하며 : 동남아시아 지역에 대한 대안적 관점 탐색

        김학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0 교육논총 Vol.30 No.1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주의 담론과 다문화교육은 이주 노동자 및 국제결혼으로 인한 이 주 여성의 급증 등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실용적 목적에 의해 주도되어 왔다. 짧 은 역사를 가진 한국의 다문화교육은 동화주의적 관점이 우세하며 학계의 논의는 미국에 서 발달된 다문화교육의 이론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최근 이주 여성과 그 자녀들을 어 떻게 한국 사회에 적응시키고 통합시킬 것인지에 초점을 맞추어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이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한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문화교육은 기여적․부가적 접 근의 수준에 머무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인종․계급․젠더적 관점에서 볼 때 사회 정의, 평등 등의 이슈에는 상대적으로 취약한 부티크 다문화주의적 특성을 보이고 있다. 한편 한국 사회에서 타민족에 대한 편견은 인종적인 측면과 함께 여성에 대한 선입견, 특정 지 역에 대한 정형성과 함께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고정관념을 해체하 고 진정한 다문화 교육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후기개발주의 및 여성주의적 시각을 적용한 대안적 접근과 함께 새로운 지리적 상상력을 배양하는 교육적 처방이 요구된다

      • KCI등재

        러시아 · CIS국가, 몽골 출신 이주여성의 사회문화적 적응 및 인권 실태에 관한 질적 연구

        서승현 한국러시아문학회 2019 러시아어문학 연구논집 Vol.66 No.-

        The Korean society is very rapidly chang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Nowadays, the number of migrants living in Korean society more 2.3 million(4.6% of the nation’s population), and analysts say that it will be increased nearly 5.8% of the population by 2021. Moreover, marriage migrant women from Russia, CIS and Mongolia in South Korea accounted for 3.8% of total marriage migrants 4.6% involving female foreigners in March of 2019. So this study is so important to consider the lack of informations and research on Russian, CIS and Mongolian migrant women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study shows that recently women’s migration from Russia, CIS and Mongolia also was increased. But our multi-cultural policy just focused on marriage migrant women from Asian countries, and it has been based on Korean patriarchy and assimilation ideology in Korea, even if migrant women were hoping to get their equal human rights as Korean citizens. So the researcher carried out the survey about the socio-cultural adaptation and the human rights situation as qualitative research, with in-depth interviews of migrant women from Russia, CIS and Mongolia plus their migrant women’s rights experts. We should make the new framework of multi-cultural policy to assure their human rights, citizenship and gender equalit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국제 이주의 동기에 관한 연구

        이용승(Lee, Yongseung)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4 디아스포라 연구 Vol.8 No.1

        이 글은 필리핀 결혼이주여성이 한국으로 이주하는 동기와 배경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주해 왔거나 이주할 예정인 필리핀 여성 9명을, 한국과 필리핀에서 각각 인터뷰하여 그들의 이야기(narratives)를 분석하는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인간이 이주하는 이유는 몇 가지 범주로 유형화하기 어려울 정도로 다양하다. 이주를 하는 사람만큼 다양한 이주 동기와 배경이 있을 것이다. 개별 이주민의 이야기에 주목하고 있는 이 논문은 사례 분석을 통해 이주민들이 이주를 선택하는 이유가 상당히 중첩적이라는 사실을 재삼 확인할 수 있었다. 사례들은 가족부양과 취업 기회 확대, 더 나은 삶에 대한 욕망과 만족추구, 사회적 네트워크 등이 이주를 선택하는 데 중층적 동기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주 동기에 대한 분석은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총체적 관점을 요구한다. 총체적 관점은 기존의 양적 연구와 함께 질적 연구를 분석 자료로 활용함으로써 도달할 수 있다. 이 연구가 채택하고 있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 전기적 접근은 점차 ‘이주의 시대’에 편입되어 가고 있는 한국의 현실을 총체적으로 조망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nalyses the motives and backgrounds of international migration toward Korea. For this, the paper conducted qualitative study which was constituted nine peoples who are going to come, or came to Korea. The causes of human migration have immense reasons. Through depth-interview, this paper found that the motives of international migration were overlapped each other. The analysis of motives of migration needs the holistic perspective, which can be arrived by mixed approach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This treatise pays attention to narratives of individual migrants for qualitative study. Biographical approach that this article draw on, will contribute the holistic understanding of Korean reality which gradually enters to ‘the age of migration.’

      • KCI등재

        국제결혼 가족을 위한 다문화적 목회상담

        최광현(Choi Kwang-Hyu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08 신학사상 Vol.0 No.143

        최근 우리 사회에는 다른 문화로부터의 이주민이 100만에 육박하게 되었다. 이같은 타문화로부터의 이주민의 증가는 우리 사회만의 현상이 아닌 세계적 현상이며 국제화 시대 속에서 피할 수 없는 사회적 요구이다. 우리 사회는 농촌의 고질적인 결혼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주여성을 받아들였고 이를 통해 한국은 다문화 가족이 보편화되는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단일민족으로 이루어진 국가라는 신화 속에서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은 우리에게 많은 극복해야 할 과제를 제공한다. 우리 사회는 국제결혼 가족이 급증하면서 자연스레 이로 인한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기존의 익숙한 문화적 토대 위에서 상담을 진행하게 되면 해결의 가능성은 그만큼 멀어질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문화 속에서 의미체계와 상징을 공유한다는 기존의 상담의 틀로는 서로 다른 문화적 틀을 소유하고 있는 가족들에게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기존의 상담이론은 특정한 문화를 배경으로 발달하였기 때문에 특정 문화를 공유하는 사람들에게 그만큼 적합할 수 있으나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에게는 한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상황적 요구 속에서 다문화 가족을 위한 다문화 목회상담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차이에 대한 인식”을 수용하는 다문화 목회상담은 자신의 고유한 정체성이 가까이 있기는 하지만 다양한 차이를 수용하고 존중한다.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은 다른 문화의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을 때 비로소 온전히 파악될 수 있는 것이다. 다문화 목회상담은 상호문화적인 접근을 통해 낯선 것과 고유한 것 사이의 대결을 극복해 나간다. 이를 통해 상담사는 초공감의 자세를 갖게 되며 낯선 문화를 배경으로 한 국제결혼 가족의 갈등과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관계를 맺을 수 있다. International marriage between a Korean man and foreign woman has grown in Korea in recent years. Migrant woman who came to Korea after an international marriage have found it difficult to fully integrate into the Korean society. The country’s cultural and ethnic homogeneity, patriarchal gender relations, as well as the commercialized process of international marriage make the migrant women vulnerable to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nd also make it difficult for them to adjust to life in Korea. In an era of globalization characterized by widespread migration and cultural contacts, pastoral counselors, and other mental health professionals face a unique challenge: how does one practice successfully when working with clients from so many different backgrounds? This paper argue that an understanding of the general principles of multicultural counseling is of great importance to all practitioners. This volume focuses on the general nature of cultural influences in counseling rather than on counseling specific ethnic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