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 인권장치와 비극의 서사

        이희영(Hee-Young Yi) 비판사회학회 2016 경제와 사회 Vol.- No.109

        이 연구는 2000년대 중반부터 확산되기 시작한 국제 탈북 난민의 형성과정을 추적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3년 독일에 난민 신청을 했던 북한 국적의 구술자들은 모두 대한민국 보호탈북자들로 국제 탈북 중개조직을 통해 프랑스, 벨기에 및 독일로 (재) 이주하였다. 사례 연구의 결과에 비추어 최근 유럽과 미주 지역에서 난민 신청을 한 북한 국적 개인의 절대 다수는 대한민국 보호탈북자인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미국의 북한인권법 제정(2004) 및 유엔 북한인권위원회의 활동 등을 중심으로 재구성된 국제 인권장치와 한반도 분단의 산물인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지원법이 결합하여 국제적 탈북 난민 네트워크가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전자가 북한 국적의 개인에게 ‘난민 지위’를 보장하는 국제적인 정당성을 제공하는 반면, 후자는 여권과 신용대출금을 가지고 국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물적 토대이다. 셋째, 대한민국의 보호 탈북자가 된 북한 주민들은 한국 사회에서 반복되는 배제와 위선적인 자본주의적 현실을 경험하며 새로운 사회로의 이주를 결행하고 있다. 넷째, 자신의 몸/생명을 담보로 북한 국경을 넘었던 개인들은 유럽 및 각 국가의 국민으로 등록하는 과정에서 ‘비극의 서사’를 재구성하며, 이를 토대로 국민으로서의 인권을 보장받는다. 즉, 탈북 난민의 ‘비극의 서사’는 국민국가 체제로 들어가기 위한 커밍아웃이며, 국제 인권장치의 산물이다. 다섯째, 탈북 난민의 비극의 서사와 다양한 위장행위는 국민국가의 시민적 규범인 ‘진짜-가짜 난민 구도’만으로 재단할 수 없는, 삶의 위기와 타협의 흔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formation process of international North Korean refugees, which began in the mid-2000s. Key findings from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all interviewees who had applied for asylum in Germany in 2013 were North Koreans with a protected status in the Republic of Korea. Helped by international broker organizations, they had migrated from South Korea to France, Belgium and Germany. The research findings show us that the majority of North Korean refugees who have recently applied for refugee status in Europe may in fact have obtained South Korean citizenship. Secondly, the US-American North Korean Human Rights Act of 2004 (NKHA) and the activities of the UN COI** mainly constructed the International Dispositive of Human Rights and interacted with the South Korean Act on Assistance to North Korean Refugee, leading to the emergence of transnational networks of North Korean refugees. While the former afforded North Korean citizens an internationally recognised ‘refugee status’, the latter provided them with a passport and loans, and thus with the material means to migrate. Thirdly, because of their continued exclusion and hypocritical realities of life in South Korean society, these North Koreans attempt to move on to ‘a new society’ in Europe and elsewhere. Fourthly, North Korean reconstruct their ‘narrative of tragedy’ when they apply for asylum in a nation-state, and in return their human rights are guaranteed. From this point of view, their narratives of tragedy are both a coming-out in order to enter the nation-state system as well as a product of the international dispositive of human rights. Fifthly, North Korean refugees’ narratives of tragedy and various acts of disguise should not be judged only by citizen-based norms of the nation-state such as the ‘real/fake refugee frame’, but can be understood as signs of life crises and compromises.

      • KCI등재

        (탈)분단과 국제이주의 행위자 네트워크: "여행하는" 탈북 난민들의 삶과 인권에 대한 사례연구

        이희영 ( Hee Young Yi ) 북한연구학회 2013 北韓硏究學會報 Vol.17 No.1

        최근 한국사회에 정착했던 탈북자 중 상당수가 해외로 재이주 하고 있다. 이 연구는 대한민국의 보호탈북자로 영국 및 노르웨이로 이주했던 경험이 있는 탈북자들에 대한 구술을 토대로 이들의 국제이주가 갖는 특징과 의미를 재 구성하였다. 첫째, 탈북자들의 해외 재이주는 북한, 중국, 대한민국의 국가 폭력에 대한 ``벌거벗은 생명``의 직, 간접적인 저항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반복되는 이 주의 과정을 통해 탈북자들의 정체성이 ``증식``된다. 국가 간 경계를 반복적으로 이동하면서 이들은 상황과 조건에 맞는 새로운 ``자기``를 증식하며, 서로 다른 정체성이 공존하고 있다. 셋째, 반복적인 이주를 통해 새로운 삶을 기획하고자 하는 탈북자(인간행위자)와 분단장치, 관련국가의 이주체제, 전 지구적 압축과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통신기기 등과 같은 사물행위자들의 동맹에 의해 탈북- 탈남-국제이주의 행위자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있다. 넷째, 탈북자들이 중국을 거쳐 대한민국에 입국하여 국적을 취득한 후, 다시 타국의 난민지위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한반도의 분단장치가 이들의 정체성 증식과 정체성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자원``으로 번역되고 있다. 다섯째, 국민과 난민의 패러다임을 벗어나 자연권적 인권을 보장하기 위해 국적주의적 관점을 넘어서는 사회적 기획과 실천이 절실히 요청된다. This article, which is based on the biographical research method, examines the character and meaning of the international migr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who had come to South Korea and - as North Korean defector-resid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 subsequently emigrated to England or Norway. Firstly, the re-migr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residents can be interpreted as a direct and indirect resistance of ``homo sacer`` against the violence of the nation state in North Korea, China and South Korea. Secondly, during their multiple migrations, North Korean refugees`` identities proliferate. As they cross borders between nation states, new identities are created, which respond to changing conditions and situations and coexist with one another. Thirdly, alliances between human actors, who plan a new life through re-migration, and non human actors such as the dispositive of division, institutions of migration in each country,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technologies, lead to the formation of an Actor-Network of escape from North Korea - South Korea - and international migration. Fourthly, the dispositive of division on the Korean peninsula is interpreted as a significant resource for the proliferation of new identities within the repeated processes of qualification screenings of refugees in Korea and in the two European countries. Fifthly, in order to overcome the nation-refugee paradigm and guarantee human rights as natural rights, social projects and practices which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nationals first`` policies are urgently needed.

      • KCI등재

        생활세계로서의 용산

        이희영(Hee-Young Yi) 한국사회학회 2014 韓國社會學 Vol.48 No.1

        이 글은 용산 성매매 집결지라는 장소에 대한 몽타주이며, 이곳에서 중장기적으로 살아온 여성들의 삶에 대한 보고서이다. 이 연구를 통해 살펴본 용산성매매 집결지에 대한 장소경험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용산집결지는 이곳에서 중장기적으로 생활해 온 여성들에게 ‘지긋지긋하면서도 편안한 집’이었다. 여성들은 10여년에서 수십 년간 이곳에서 거주하며 용산을 자신의 삶 속에서 경험하고, 자신의 의도에 따라 창조하고 변형하였다. 용산은 여성들이 뿌리를 내리고 ‘세계’를 바라보던 집으로, 억압적이면서 동시에 안전과 정체감을 제공한 갈등의 장소였다. 둘째, 판도라 여성들이 찍은 공적행사에 대한 텔레비전 화면 사진은 여성들의 사회적인 의례 참여를 뜻한다. 사회적 편견과 달리 이곳의 여성들은 한국사회의 공적 시선의 객체가 되기도 했지만, 자신의 좁은 방 속에 놓인 오래된 텔레비전 화면을 통해 사회의 공적 의례를 지켜보고 간접적으로 참여한 주체이기도 했다. 이런 관점에서 여성들의 사진 찍기와 사진은 위험한 성을 매매하는 오염된 ‘용산 집결지’라는 사회적 낙인 혹은 단일한 특성을 기대하는 사회적 상식에 균열을 일으킨다. 셋째, 새로 지어진 용산의 민자 역사와 국제빌딩 사이에 섬처럼 머물렀던 집결지는 오래되고 좁은 건물과 집들로 형성된 낙후된 공간이었으며, 성매매에 대한 한국사회의 이중정책이 생산한 공간이었다. 즉 깨끗한 사회와 오염된 사회를 구획하는 ‘차이의 공간화’가 낳은 결과이다. 이곳에서 생활했던 여성들의 삶은 차이의 공간화가 이들의 몸과 마음에 특정한 방식으로 전유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용산 성매매 집결지에 대한 철거는 여성들의 ‘장소’ 상실을 의미함과 동시에 묵인과 차별정책 속에서 유지되어 온 한국의 성매매 현장을 역사적으로 경험하고, 그 속에서 발생한 각종 인권유린과 사회적 차별을 성찰할 수 있는 중요한 플랫폼의 상실을 뜻한다. This article provides a narrative montage of a place that is the Yongsan red-light district in Seoul as well as a report, based on a photo analysis, on the life of women who have been living in this place for over ten years.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experiences of the place Yongsa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for the long-time resident women of the Yongsan red-light district, the place constitutes a cursed but comfortable home. They have experienced Yongsan within their everyday lives and have transformed and newly created it for their respective purposes. Yongsan as a home has put them under social pressure but has also provided a certain security and identity. Secondly, the photos of public ceremonies on TV indicate the women’s indirect participation in social rituals. They are, on the one hand, passive objects of the public gaze, but, on the other hand, active subjects who participate in public ceremonies through mass media. From this point of view, the women’s photos create a rupture in the social discourse that paints the red-light district as an entirely dirty and infected space. Thirdly, the Yongsan red-light district is the back part of the Yongsan area, which consists mainly of tall buildings and colorful shops. It is a space produced by the ambivalent policy on prostitution in Korea and an articulation of ‘spaced social distinction’. The Life experiences of women suggest that she have appropriated such social distinction in their lives. Finally, the demolition of the Yongsan red-light district means that the women have been expelled from their life places and that we have lost an important social platform, where the prostitution policy in Korea could be historically observed and human rights abuses and social exclusion critically analyzed.

      • KCI등재

        사회학 방법론으로서의 생애사 재구성

        이희영(Hee-Young Yi) 한국사회학회 2005 韓國社會學 Vol.39 No.3

        이 논문에서는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생애사연구의 이론적 의의와 방법론적 원칙을 기존의 행위이론 영역에서의 성과와 관련하여 밝히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은 연구목적을 수행하였다. 첫째, 개인과 사회의 상호구성물인 생애사, 생애사의 지향적인 기능이 갖는 ‘본원적 사회성’, 그리고 생애사를 매개로 드러나는 ‘구체적 일반성’이라는 생애사연구의 이론적 근거를 조명한다. 이를 통해 이 논문에서는 양적방법론이 ‘객관성’을 가진 사회구조와 행위에 대한 연구방식인데 비해, 질적 방법론은 ‘개인’에 집중하는 사회의 부분에 대한 연구방식이라는 이분법적 사고를 비판한다. 나아가 생애사연구가 개인의 구체적인 생애사를 통해 사회의 구조를 재구성하는 하나의 방법론임을 밝힌다. 둘째, 생애사연구의 방법론적 원칙을 사례분석을 통해 밝힘으로써, 기존 연구에서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방법론적인 관점에서 생애사연구의 대상인 구술생애사는 지나간 체험에 대한 사실성을 드러냄과 동시에, 현재를 기점으로 한 기억을 통해 재구성된 결과물이라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구술생애사 자료에 대한 연구가 ‘체험된 생애사’와 ‘이야기된 생애사’라는 서로 구분되는 차원에서의 재구성작업에 근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셋째, 생애사연구는 양적인 지표로 환원될 수 없는 사회구성원의 체험, 의식의 변화, 새로운 가치의 형성과정 등을 재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것을 통해 사회적인 규칙성을 확인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것의 발생의 기원과 변화과정에 대해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법론적 가능성에 근거하여 이 논문은, 생애사연구가 식민지경험과 분단, 전쟁과 폭력으로 각인된 한국의 사회현상을 과정적으로 천착하며, 그 변화의 동인과 경과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하나의 사회학적 방법론임을 밝힌다. This article tries to illuminate the theoretical meaning and the methodological principles of biographical research regarding productive results of the theory of action. Concretely, this article has the following contents. Firstly, I study the theoretical basis of biographical research, namely Biography as the reciprocal product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the ‘primary sociality’ of the orientation function of the biography and also the ‘concrete generality’ which becomes clear through means of Biography. By doing so, the binary mode of thinking is criticized, e. g. the assumption that the quantitative method is focused on an objective social structure and action, while the qualitative method concentrates on individuals and, therefore, refers to a part of the society is challenged. In addition, this article illuminates that biographical research is a method, which reconstructs social structure through the concrete life histories of individual. Secondly, by applying the methodological principles of biographical research to the case study, I try to overcome the limits of the existing research in Korea. In terms of the methodological perspective, oral life history as the object of biographical research does not only refer to past experiences, but it is also characterized by being reconstructed from the present through memories. Therefore, this article argues that in biographical research the material of oral life history must be distinguished into ‘a life as experienced’ and ‘a life as told’. Both categories are reconstructed in each case on a different level. Finally, biographical research offers the possibilities of reconstructing experiences, changes of consciousness, developing processes of new values that may not be reduced to quantitative categories. Thus, biographical research enables us not only to confirm social rules, but also to understand their origin and the changing process of social formations. Based on the methodological possibilities, I maintain that biographical research is an adequate sociological method in order to regard social phenomena in Korea that are charged with colonial history, division of the country, war and violence from a processional perspective and to understand the motives and processes of social change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여성주의 연구에서의 구술자료 재구성

        이희영(Yi Hee-Young) 한국사회학회 2007 韓國社會學 Vol.41 No.5

        이 연구는 한국에서 여성주의의 관점에서 제기된 구술자료에 대한 질적 연구방법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여성주의 연구에서 생애사 재구성방법론이 갖는 실천적 의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2004년 발효된 성매매방지법을 둘러싼 여성주의 내부에서의 담론 비판이 갖는 방법론적 함의를 검토하고, 성매매 경험을 가진 여성의 사례 재구성을 통해 서사구조와 생애체험에 대한 동시적 이해와 재구성 과정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첫째, 이 연구의 과정에서 기존의 여성주의 질적 연구방법론들이 한편으로 구술자료가 갖는 재현의 서사성에 주목하는 과정에서 구술자료가 함축하고 있는 복합적인 생애체험을 간과하는 경향을 보이며, 다른 한편 역사적 증언의 성격을 띠는 구술자료에 대해서는 서사적 특성을 간과하는 이중의 경향성이 있음을 비판적으로 논의하였다. 둘째, 생애사 재구성방법론이 ‘체험된 생애사’와 ‘이야기된 생애사’의 재구성을 통해 구술자료에서의 생애사적 체험과 서사구조를 상호연관적으로 분석하고 재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며, 최근 성매매방지법에 대한 여성주의 담론 비판의 과정에서 제기되는 방법론적 문제, 특히 연구자와 구술자의 상호성찰성, 구술로 포괄되지 않는 육체성, 성매매를 둘러싸고 형성되는 섹슈얼리티에 대한 계보학적 접근의 가능성을 제공하는 유용한 접근방식임을 논의하였다. 셋째, 재구성된 생애사에 대한 소개를 통해 친족관계 및 가족서비스 영역에서의 성폭력과 1970~1980년대 한국의 성매매 공간이 갖는 생애사적 연관성을 고찰하였다. 요컨대 생애사 재구성방법론에 기초한 사례연구는 한국사회의 가부장적 지배담론의 핵심인 ‘신성한 가족’과 ‘불온한 성매매 공간’ 이라고 하는 이분법이 해체된 현실을 보여줌으로써, 이것이 사회역사적 ‘구성물’임을 드러낸다. This article aims at critically evaluating the qualitative methodologies employed in oral history in Korean feminist research and at illuminating the practical meaning of biographical research in feminism. In particular, this article examines the methodological implications of feminist discourse criticism regarding the Anti-Prostitution Law 2004. Based on a narrative of a prostitute it tries to show possibilities to understand not only its narrative structure, but also the biographical experiences embedded in the text. Firstly, this article discusses a double tendency: on the one hand, feminist qualitative methodologies in Korea used to overlook the complex life experiences by concentrating on the narrative structure of oral stories. On the other hand, they often neglected the narrativity of oral testimony. Secondly, by reconstructing ‘life history as experienced’ and ‘life history as told’, biographical research offers possibilities of understanding their complex interrelations. Furthermore, the article shows that biographical research constitutes an appropriate solution to methodological problems with regard to the topic ‘anti prostitution law’, namely interactive reflection between interviewees and interviewers, the corporeity(Leiblichkeit) of human beings which cannot be reduced to voice, and the genealogical approach to sexuality. Thirdly, the case study refers us to the biographical relation between sexual violations in the family and in the sector of private domestic employment, and the prostitution industry of the 1970s~1980s in Korea. In short, by biographical reconstruction of a case, this article reveals the fact that the central discourse of patriarchy in Korea, namely the dichotomy of ‘inviolable family’ and ‘subversive prostitution’, is a construct.

      • KCI등재

        북한의 시장화와 가족 주체화 : 자녀의 인생을 설계하는 부모

        이희영(Hee Young Yi)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24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14 No.1

        이 연구는 권위주의 통치성의 관점에서 2000년대 시장화를 배경으로 한 사회변동기 북한 가족의 주체화 전략에 주목한다. 김정은 집권 이후 ‘인민대중제일주의’ 담론을 수행하고 재구조화하는 북한 가족의 역할과 관계 변화를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난의 행군과 2009년 화폐개혁을 배경으로 한 시장화의 과정에서 북한 가족이 ‘내 가족의 자력갱생’이라는 생활윤리를 전유하며 당과의 관계를 새롭게 조정하는 양상을 보인다. 둘째, 김정은 정권의 복지 상품화와 가족책임제 등의 기제를 통해 삶의 불안정과 경쟁이 심화되는 현실에서 중산층 가족의 사교육을 통한 계급재생산 전략이 강화되고 있다. 셋째, 사회주의 일상 속에서 시장과 디지털을 매개로 한 청년세대의 개인주의적 수행방식들은 권위주의 통치성의 발현이자 균열을 시사한다. 넷째, 사회주의대가정론과 인민대중제일주의론이 새롭게 조직된 통치담론은 일상에서 경쟁의 생활윤리를 실천하며 가족 재생산을 위해 진력하는 북한 가족의 주체화 전략을 통해 실현되는 동시에 재구성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subjectification strategy of North Korean families during the period of social change against the background of marketization in the 2000s from the perspective of authoritarian govermentality.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n the process of marketization against the backdrop of the ‘Arduous March’ and the 2009 currency reform, North Korean families appear to be appropriating the life ethic of ‘my family’s self-reliance’ and re-adjusting their relationship with the party. Secondly, the Kim Jong-un regime’s welfare commodification and strengthening of the family responsibility system have intensified life insecurity and competition, and the strategy of class reproduction through private education has intensified, especially among middle-class families. Thirdly, the individualistic performances of the young generation in socialist everyday life through the market and digital media suggest the emergence and cracking of authoritarian govermentality. Fourthly, the reorganized governance discourse, combining socialist family ideology and ‘People-first Socialism,’ is realized and reconstructed through North Korean families’ subjectification strategies in practicing the competitive ethic in daily life for family reproduction.

      • KCI등재

        이주 여성과 분단 장치의 재구성: 동백림 사건에서 1994년 ‘안기부 프락치 사건’으로

        이희영(Yi, Hee Young)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9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9 No.1

        이 연구는 1960년대 서독으로 이주한 재독 한인여성들의 생애사를 통해 이들의 분단경험이 갖는 특징을 재구성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60년대 서독으로 취업한 한인여성들에게 1967년 ‘동백림 간첩단 사건’은 한국사회에서 육화된 반공 대 용공의 흑백논리가 심화되고 확장되는 역할을 하였다. 이런 관점에서 한인 여성들은 독일 이주사회에서 작동하는 분단장치의 행위자들이다. 둘째, 구조적 차원에서 한인 여성들의 서독 이주는 냉전체제의 유지를 위한 동독-북한, 서독-남한 동맹의 일환이었으며, ‘동백림 사건’을 통해 한인 이주자들은 남, 북한의 두 체제가 냉전을 수행하던 방식인 재외 공간 ‘국민화 프로젝트’의 직접적인 대상이 되었다. 셋째, 세계적인 차원에서 냉전이 해체되던 1994년 베를린에서 발생한 ‘안기부 프락치 백흥용 양심선언’은 남한사회의 분단장치를 유지해온 ‘간첩사건’이라는 블랙박스가 해체되는 의미 있는 과정이었다. 이것은 일상의 흑백구도에 균열을 일으키고 이념적 다원화의 토대가 되었다. 넷째, 재독양심수후원회를 통한 한인여성들의 ‘백흥용 양심선언’ 지원활동은 오랜 서독 시민사회에서의 활동, 광주항쟁을 계기로 한 반공주의에 대한 성찰, 독일 통일과 북한 방문 등을 통한 ‘분단 이후’에 대한 삶의 경험이 배경이었다. 이러한 독일 이주민의 삶을 통해 분단장치가 새롭게 주체화되는 과정을 짐작할 수 있다. 다섯째, 베를린은 1960년대 동서 분단지대의 통로를 통해 남북한의 탈/분단 행위자들이 비공식적으로 접촉하고, 1990년대 이후 다양한 남북의 행위자들이 평화를 모색하고 분단 정치를 수행하던 탈/분단의 역사적인 장소이다. 여전히 한반도의 분단에 포획되어 있지만 분단의 경계를 오가는 일상 경험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분단의 내부이자 외부이다. Based on biographical interviews with Korean women who migrated to work in medical care facilities in West Germany in the 1960s, this study tries to reconstruct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of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for the Korean women who worked in West Germany in the 1960s, the ‘East Berlin Spy Ring Incident’ in 1967 deepened and expanded the anticommunist black-and-white logic which they embodied via their socialization in South Korean society. From this point of view, these Korean women were actors of the dispositive of division in German immigrant society. Secondly, on the structural level, the Korean women’s migration to West Germany was part of the East Germany-North Korea and West Germany- South Korea alliance for maintaining the Cold War system. Through the ‘East Berlin Spy Case’, Korean migrants became direct targets of attempts to nationalize overseas space, a project through which the South and North Korean regimes carried out the Cold War. Thirdly, the 1994 ‘declaration of conscience of the Korean CIA agent Baek Heung-Yong’ ‘ in Berlin engendered a meaningful process in which the black box called the “spy case”, which had perpetuated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was disassembled. This created a crack in the black-and-white composition of everyday life and became the basis for ideological pluralization. Fourthly, the support activities of Korean women for Baek’s declaration of conscience were based on their social activities in German civil society, their reflections on anticommunism in the aftermath of the Gwangju uprising and their experiences of life ‘post-division after German reunification and their visits to North Korea. This implies a process of intense re-subjectification. Fifthly, since the 1990s, Berlin has officially been a historical place of post-division, in which various North and South Korean actors pursued the politics of division and also wrestled with peace. It is both internal and external to the division in that it is still caught in the separation of the two Koreas, but it also makes it possible enables to experience the boundaries of the division.

      • KCI등재

        섹슈얼리티와 신자유주의적 주체화

        이희영 ( Hee-young Yi ) 한국사회사학회 2010 사회와 역사 Vol.0 No.86

        이 연구는 1990년대 중반 전면화된 한국 사회의 신자유주의적 일상 속에서 2008년 대중적 섹슈얼리티 담론이 갖는 특징과 역할을 고찰하였다. 이것은 한국 종합여성지의 섹슈얼티리 담론분석 결과를 매개로 한국사회의 일상에서 구조화된 신자유주의적 주체화에 접근하고자 하는 하나의 시도이다.연구 결과에 의하면 첫째, 2008년 종합여성지의 섹슈얼리티 담론은 능동적인 섹스를 핵심으로 하는 친밀성의 구조를 강조한다. 이것은 혼전순결의 담론을 해체하고 섹스를 개인의 능동적인 욕구의 표현이자 중요한 소통방식으로 자리매김하는 역할을 한다. 동시에 담론은 자율적인 자기관리를 통해 계발하는 여성들의 섹스기술과 욕망이 ``결혼한 이성애 부부의 섹슈얼리티``를 이상화하도록 한다. 결국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여성의 섹스 경험과 자기관리의 노력을 핵심으로 하는 섹슈얼리티 담론은 21세기 한국 가부장제의 신자유주의적 통치의 중요한 기제로 작동한다. 둘째, 종합여성지의 섹슈얼리티 담론이 갖는 중요한 특성은 여성의 ``몸에 대한 전면적인 소환``과 이에 기초한 ``신자유주의적 주체화``의 수행이다. 일상화된 20대여성들의 몸매와 얼굴 이미지에 대한 관리뿐만 아니라, 중년 여성들의 몸에 대한 계발은 성감대의 기술적 보수로 심화, 확대되었다. 이제 종합여성지에서 여성의 몸은 변하지 않는 젊음을 유지하며 성적 쾌락을 제공하는 신자유주의적 여성을 주체화하는 장소이다. 셋째, 종합여성지는 여성들이 남편 혹은 애인을 중심에 두고 결혼/ 연애관계 바깥의 무차별적 여성들과 경쟁하고 있음을 상기시킨다. ``명기담론`` 및 ``경쟁녀`` 담론은 ``관계`` 바깥의 여성들뿐만 아니라 관계 내부의 여성들 또한 성적 도구화된 몸이라는 단일한 대상으로 인식하고 호명한다. 이를 통해 결혼/ 연애 관계 안과밖에서 여성들의 섹슈얼리티가 ``매춘화``되고 있다. 결국 이러한 담론 분석 결과는 한국 신자유주의적 주체화의 과정이 여성 섹슈얼리티의 매춘화라는 특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is article tries to reconstruct the character of discourses of sexuality through a discourse analysis of popular Korean women’s magazines published in 2008. It aims at analysing the relation between discourses of sexuality and the neo-liberal structuring of the subject in Korea. Firstly, the discourses hint at a transformed intimacy structure in which central importance is attributed to sex. This replaces the discourse of ‘pre-marriage virginity’ with a notion of sex as an active desire of the individual and significant means of communication. At the same time, it turns women’s sexual ‘skills’ and desires into an absolute instrument that idealizes ‘the sexuality of the married heterosexual couple’. By making it a central task for women to be sexually active and ‘manage’ and ‘maintain’ themselves, these discourses, ultimately, function as an important technology of neo-liberal rule inherent in the Korean 21st century patriarchy. Secondly, discourses of sexuality found in the magazines under study are characterized by demands extending to the entire body of women and the neo-liberal structuring of the subject. Not only young women control their body lines and facial images, but also middle-aged women try to reconstruct their whole bodies including their genitals. The female body constitutes the place in which more beautiful, more sexual and more competent women are structuring themselves as neo-liberal subjects. Thirdly, discourses of sexuality presented in magazines remind women that they are in competition with women outside the married family or an intimate relationship. In the ‘discourse of the Korean geisha’ or the ‘discourse of women as competitors’, women outside of married relationships as well as ‘intelligent wives’ are equally represented as a sexually instrumentalized body, so that the sexuality of all women is prostituted. As a result, the analysis suggests that the process of neo-liberal structuring of the subject in Korea is characterized by the prostitution of female sex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