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혼여성 노동시장의 양극화와 가구소득 불평등의 변화

        김영미(Kim young-mi),신광영(Shin Kwang-yeong) 비판사회학회 2008 경제와 사회 Vol.- No.77

        이 연구는 한국에서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가가 가구소득 불평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힌다.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가가 가구소득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상이한 결혼을 내리고 있다. 한편으로 저소득층 여성의 경제활동참여가 상대적으로 더 활발하므로 여성의 경제활동참여가 가구소득 불평등을 완화시킨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다른 한편, 교육적 동질혼이라는 현대 혼인 선택의 특성상 여성의 경제활동참여가 증가하는 것은 고학력 부부와 저학력 부부의 소득 격차를 증가시켜 가구소득 불평등을 오히려 강화시킨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노동패널자료 분석 결과 1998년 이후 빠르게 증가하는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이 가구소득 불평등의 강화로 귀결되고 있음이 드러났다.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가가 증가하고 있으나 이화 동시에 남편-부인의 소득 연관이 강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이 가구소득분포를 다소나마 균등화하는 효과는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가구소득 불평등에 대한 부인소득의 기여분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는 기혼여성 노동공급상의 변화보다는 부인들 간의 소득 불평등이 강화된 데 기인한 것이다. 기혼여성 사이의 경제적 이질성의 증가는 경제위기 이후 기혼여성의 집중되어 있는 단순서비스직 일자리의 질적 저하와 여성 노동시장의 이중구조화의 결과이다. 저소득층 기혼여성의 열악한 일자리는 해당 개인의 경제적 문제에 그치지 않고 사회적 불평등의 재생산 단위인 가족 간 소득 불평등을 악화시킨다는 점에 대한 사회적 문제의식이 필요하다. This paper examines how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affects family income inequality among married couples. Previous research has shown contrasting results with respect to the effect of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on family income inequality. On the one hand, some research found that as married women in the low income family tend to participate into the labor force,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contribute to reducing family income inequality. On the other hand, other research presented that due to marital homogamy,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increases family income inequality. Analysing the Korea Labor Income Panel data, 1998-2005, this paper shows that while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has reduced family income inequality, the extent of reduction of family income inequality due to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has decreased between 1998 and 2005. Income in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and income inequality within men has been decreasing, whereas income inequality within women has been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of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in irregular jobs.

      • KCI등재

        여성의 경제활동참가가 출산의 시기 및 수준에 영향을 미쳤는가?: 국가 간 실증분석

        황진영 ( Hwang Jinyou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保健社會硏究 Vol.33 No.3

        본 연구는 130개 국가 간 통계자료를 이용해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의 정도가 첫 아이 출산나이에 미치는 영향과, 경제활동참가의 정도와 첫 아이 출산나이가 개별적으로 그리고 결합적으로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또한 본 연구는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의 정도가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낮은 수준인 경제활동참가의 임계 점을 기준으로 전체국가로 구성된 표본을 두 개의 표본으로 분리해 추정했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와 출산율 간에는 U자 형태의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국가 및 여성의 경제활동참가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국가로 구성된 표본에서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의 정도가 첫 아이 출산나 이에 양(+)의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이상의 두 변수가 출산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관측됐다. 셋째, 여성의 경제활동참가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국가로 구성된 표본에서는 여성의 경제활동참가, 첫 아이 출산나이 및 출산율 간에는 관련성이 약한 것으로 추정됐다. 이상의 결과는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의 정도가 첫 아이 출산나이를 상승시키고, 이들 두 변수가 출산율을 제약하는 요인이 된다는 사실은 각 국가의 경제환경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사실을 제시한다. Using a cross-section of 130 countries,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women`s mean age at first birth (AFB) as a transitional mechanism between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FLP) and fertility rate (TFR). In addition, the empirical analysis is conducted by sample selection based on the critical value of FLP, which implies the lowest impact of FLP on TFR using estimated coefficients. The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exists a U shaped relationship between FLP and TFR. Second, the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s of FLP on AFB, and the nega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s of FLP and AFB on TFR are found in the samples of 130 whole countries and countries that have higher level of FLP (bigger than the critical value of FLP). Third, the impact of FLP and AFB on TFR provide little evidence in the sample of countries that have a lower level of FLP (smaller than the critical value of FLP). Therefore, the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the positive impact of FLP on AFB, and the negative impacts of FLP and AFB on TFR could be different based on each country`s economic environments.

      • KCI등재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민경희(Kyonghee Min) 한국여성학회 2003 한국여성학 Vol.19 No.2

        이 연구는 지금까지의 미시적 연구들이 간과하고 있는, 성역할과 이주(migration)가 여성의 경제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인다. 여성의 경제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연령, 교육정도, 결혼상태, 자녀수, 가구주와의 관계, 이주 횟수, 그리고 거주하는 도시의 규모 등을 분석에 포함시켰다. 이 중에서 성역할을 반영하는 변수 들은 결혼상태, 자녀수, 가구주와의 관계 등이다. 이주는 기혼여성인 경우에 주로 남편의 이주결정에 따라 동반자로 이주한다는 의미에서 성역할을 반영한다. 종속변수는 경제활동참가여부로서 2000년 인구센서스에서 사용된 조작적 정의를 수용한다. 분석자료는 2000년 〈인구주택총조사> 2% 원시자료이다. 분석은 Logic Regression을 이용했으며 두 가지로 수행하였다. 하나는 전국 여성인구를 대상으로 도시와 농촌을 구분하여 연령집단별로 분석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성역할, 교육정도, 그리고 경제활동참가의 관계를 좀더 세밀히 보기 위하여 성역할의 지배를 가장 많이 받는 연령층인 25-34세 여성 들만을 대상으로 도시와 농촌을 구분하여 교육정도별로 분석한 것이다. 성역할을 반영하는 변수들과 이주는 일반적으로 여성들의 경제활동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여성이 가족 내에서 정유하는 다양한 지위들이 여성의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은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젊은 여성들(25-34세)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는 독립변수들이 여성의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이 교육수준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음이 발견되었다. This study pays special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s between gender-roles and migration on the one hand and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on the other. These relationships have largely been ignored by existing studies on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in Korea. Variables affecting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included in this study are age, education, marital status, number of children, relationship to household head, number of migrations a women experienced, and the size of city where a woman lived in 2000. Of these variables marital status, number of children, and the relationship to household head are considered as reflecting gender-role. Migration experience may be considered as reflecting gender-role in that married women mostly migrate in response to their husbands economic opportunities rather than to their own. The dependent variable is whether or not a woman participated in the labor force. This study adopted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used in the 200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in Korea. Two percent sample data of 200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were used for analyses. Logistic regression is performed in two ways: one is the analysis of total national female population divided into urban and rural areas, and the other is the analysis of women aged 25-34 years, in urban and rural areas and in three educational categories. Women of 25-34 years are the ones who feel acutest conflict between gender-role performance and labor force participation. This analysis is conducted to see more closely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gender-role, education, and labor force participation behavior. The independent variables reflecting gender-role behavior and migration variable are generally found to have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Relationship to household head is also found to have significantly different effects on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by women's ages. The analysis of women 25-34 years old shows that the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on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vary greatly by the level of education attained by women.

      • KCI등재

        일‧가족 양립 문제의 시대적 변화에 대한 고찰

        이정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4 여성연구 Vol.82 No.-

        This study focuses on the chronological change of work-family balance issues. First, discourses on women's work have been changed since 1980s. Because of rapid increase of women's participation in labor market and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level, work-family balance issues became social issues but the problem were commonly considered an woman's personal matter. Second, in terms of women's labor market structure, in recent day the elder women over 40 years old have gradually increased and the women employed in service industry have increased more than 80 percent. And the result of birth-cohort analysis to investigate generational differences shows that the rate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birth-cohort after 1970 has been higher and M-curve as an index of women's career interruption has been more gentle than earlier birth-cohort. Finally, in regard to social awareness of women's work, most people agreed that career development is just as important to women. However, many people thought difficulties of child-rearing were still the strongest factor to interrupt women's career develop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work-family balance issues have been changed chronologically and there ar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erations(or birth-cohorts). Under the influence of recent changes in women's economic activities, the desires of the younger generation to participate in labor market are very strong but barriers to career development are also very strong. Therefore, to solve work-family balance issues and to overcome the problem of career interrupted wome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labor policies for women considering chronological changes and generational differences. 이 글은 여성을 둘러싼 일‧가족 양립 문제가 오늘날 새롭게 등장한 문제가 아니라 시대적 변화와 세대별 차이라는 역사적 맥락 위에서 살펴보아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했다. 이를 위해 여성의 일과 가족을 둘러싼 담론의 변화, 여성 노동시장 구조와 경제활동 형태의 변화, 여성의 일에 대한 인식과 직업의식의 변화라는 세 차원에서 일‧가족 양립 문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먼저 일‧가족 양립을 둘러싼 담론상의 변화를 살펴보면, 1980년대 중반 이후 여성의 전반적인 교육수준 상승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증가로 일과 가족을 둘러싼 갈등이 사회문제화 되기 시작했지만, 이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방안 모색 없이 여성 개인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방식으로 담론이 형성되었다. 두 번째 여성 노동시장 구조를 살펴보면, 1980년대 중반부터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가 급증했으며, 최근으로 올수록 여성 취업자의 연령이 전반적으로 높아졌고 3차 산업으로의 집중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대 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출생코호트에 따른 분석을 실시한 결과, 1970년대 이후 출생코호트로 올수록 경제활동참가율이 전반적으로 높아졌고 M자형 곡선도 완만해지는 등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여성의 일에 대한 인식과 직업의식의 변화를 살펴보면, 여성의 경력지속에 대한 긍정적 응답이 최근으로 올수록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여성 경력지속의 장애요인에 대해선“육아부담”이라는 응답이 최근으로 올수록 오히려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출생코호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1970년대 이후 출생코호트가 다른 출생코호트에 비해 일의 중요성을 높이 평가하고 있었으며, 남성 일을 우선시하는 것에 대해서는 가장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러한 결과는 일‧가족 양립 문제가 시대적으로 변화했을 뿐만 아니라 세대에 따른 차이도 존재함을 보여주고 있다. 여성의 사회진출이 활발해진 1980년대 중반 이후 교육을 마치고 사회에 진출한 젊은 세대들은 여성도 대학에 진학해서 졸업과 동시에 직업을 갖는 것이 당연한 생애경로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는 실제로 높은 경제활동참가율로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일에 대한 높은 열망과는 다르게 결혼‧출산‧육아 등으로 인해 경력 지속이 어려운 현실은 여전하다. 이렇듯 여성들이 경험하는 이상과 현실 사이의 괴리는 최근세대로 올수록 더 커지고 있고, 이러한 괴리감으로 인해 여성들이 느끼는 일과 가족을 둘러싼 갈등의 체감지수는 이전보다 더 높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경력단절여성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일‧가족 양립 문제의 시대적 변화와 세대별 차이를 고려한 정책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일반논문 : 기혼여성 경제활동참가 여부의 설명요인

        민세진 ( Se Jin Min ) 한국여성경제학회 2014 여성경제연구 Vol.11 No.1

        한국 여성의 낮은 고용률의 일차적 원인은 결혼을 전후로 급격히 하락하는 경제활동참가율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헤크만의 선택모형을 이용해 한국 기혼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을 설명하면서, 특히 부모의 교육수준이나 본인의 출신대학 수준과 같이 기존에 고려되지 않은 개인적 특성을 포함한다. 그 결과 20대 기혼여성에게는 교육연수나 출신대학 수준이 경제활동참가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딸인 기혼여성 본인의 경제활동참가가 늘어났다. 30대의 경우 교육연수가 많을수록 경제활동참가 확률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상위 40위권의 대학 출신자인 경우에는 경제활동참가 확률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40대에서는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경제활동참가 확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연령대별로 본인의 교육수준 및 출신대학의 수준, 부모의 교육수준이 의중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양상이 다름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studies the determinants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the married woman, including the parents’ educational level and the rank of the university from which the woman graduated. It turned out that the mother’s education level has the positive impact on the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the daughters in their 20s. If a married woman in her 30s graduated from one of the top 40 universities, her labor force participation probability is significantly decreased. In her 40s, a woman tends to participate the labor force less as the educational level of her mothers is higher.

      • KCI등재

        여성경제활동 양상의 변화(2000~2013)

        김성진(Kim, Seongjin) 한국정치정보학회 2015 정치정보연구 Vol.18 No.2

        이 글의 목적은 2001년 여성부 출범이후 진행되고 있는 여성의 경제활동 확대를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통해 2000년대 후반 이후 나타나고 있는 여성 경제활동 양상의 변화를 분석하고, 향후 발전방향 모색에 필요한 시사점을 찾고자 시도되었다. 2000년대 중반 이후 다양한 차원에서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는 여성 경제참여 지원에 따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2000년 48.8%에서 2014년 54.5%로 증가되었으며, 여성 근로자 수는 2002년 192만 명에서 2014년 330만 명으로 증가되었다. 그러나 40대 이상 여성의 고용증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25~29세 여성 근로자 수의 감소, 35~39세 여성에서 심화된 경력단절 현상, 그리고 ‘M자형’ 고용형태가 심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연령대의 경제활동 촉진 노력이 주장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경영 합리화 및 경쟁력 강화와 연결된 프레임의 개발, 여성 인력 수요자에 대한 정책특화를 통한 여성인력의 경쟁력 강화, 그리고 가족친화적 기업육성을 통한 여성의 경제활동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women’s economic participation and to explore the implication for further development. Since 2000 various approaches have been employed to support women’s economic participation, which resulted in the increasing participation rate from 48.8% in 2000 to 54.5% in 2014. The number of women workers has also increased from 1.92 million in 2002 to 3.3 million in 2014. Despite the expansion in volume, a couple of limits were found in women’s economic participation during the last decade: decrease in the number of women employment in the 25~29 age group and career interruption in the age group of 35~39. Such a development showed women’s labor participation failed to mitigate ‘M-curve’ employment pattern, triggering the argument to implement labor policy targeting all age groups. This study suggests that an emphasis is to be placed on the frame expansion linking gender equality frame with streamline management and competitiveness frames, demand-oriented career development programs which enhance women’s competitiveness, and work-family balance policy in work places.

      • KCI등재

        일·가족 양립 문제의 시대적 변화에 대한 고찰

        이정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4 여성연구 Vol.86 No.-

        이 글은 여성을 둘러싼 일·가족 양립 문제가 오늘날 새롭게 등장한 문제가 아니라 시대적 변화와 세대별 차이라는 역사적 맥락 위에서 살펴보아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했다. 이를 위해 여성의 일과 가족을 둘러싼 담론의 변화, 여성 노동시장 구조와 경제활동 형태의 변화, 여성의 일에 대한 인식과 직업의식의 변화라는 세 차원에서 일·가족 양립 문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먼저 일·가족 양립을 둘러싼 담론상의 변화를 살펴보면, 1980년대 중반 이후 여성의 전반적인 교육수준 상승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증가로 일과 가족을 둘러싼 갈등이 사회문제화 되기 시작했지만, 이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방안 모색 없이 여성 개인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방식으로 담론이 형성되었다. 두 번째 여성 노동시장 구조를 살펴보면, 1980년대 중반부터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가 급증했으며, 최근으로 올수록 여성 취업자의 연령이 전반적으로 높아졌고 3차 산업으로의 집중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대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출생코호트에 따른 분석을 실시한 결과, 1970년대 이후 출생코호트로 올수록 경제활동참가율이 전반적으로 높아졌고 M자형 곡선도 완만해지는 등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여성의 일에 대한 인식과 직업의식의 변화를 살펴보면, 여성의 경력지속에 대한 긍정적 응답이 최근으로 올수록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여성 경력지속의 장애요인에 대해선“육아부담”이라는 응답이 최근으로 올수록 오히려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출생코호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1970년대 이후 출생코호트가 다른 출생코호트에 비해 일의 중요성을 높이 평가하고 있었으며, 남성 일을 우선시하는 것에 대해서는 가장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가족 양립 문제가 시대적으로 변화했을 뿐만 아니라 세대에 따른 차이도 존재함을 보여주고 있다. 여성의 사회진출이 활발해진 1980년대 중반 이후 교육을 마치고 사회에 진출한 젊은 세대들은 여성도 대학에 진학해서 졸업과 동시에 직업을 갖는 것이 당연한 생애경로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는 실제로 높은 경제활동참가율로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일에 대한 높은 열망과는 다르게 결혼‧출산‧육아 등으로 인해 경력 지속이 어려운 현실은 여전하다. 이렇듯 여성들이 경험하는 이상과 현실 사이의 괴리는 최근세대로 올수록 더 커지고 있고, 이러한 괴리감으로 인해 여성들이 느끼는 일과 가족을 둘러싼 갈등의 체감지수는 이전보다 더 높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경력단절여성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일·가족 양립 문제의 시대적 변화와 세대별 차이를 고려한 정책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hronological change of work-family balance issues. First, discourses on women's work have been changed since 1980s. Because of rapid increase of women's participation in labor market and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level, work-family balance issues became social issues but the problem were commonly considered an woman's personal matter. Second, in terms of women's labor market structure, in recent day the elder women over 40 years old have gradually increased and the women employed in service industry have increased more than 80 percent. And the result of birth-cohort analysis to investigate generational differences shows that the rate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birth-cohort after 1970 has been higher and M-curve as an index of women's career interruption has been more gentle than earlier birth-cohort. Finally, in regard to social awareness of women's work, most people agreed that career development is just as important to women. However, many people thought difficulties of child-rearing were still the strongest factor to interrupt women's career develop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work-family balance issues have been changed chronologically and there ar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erations(or birth-cohorts). Under the influence of recent changes in women's economic activities, the desires of the younger generation to participate in labor market are very strong but barriers to career development are also very strong. Therefore, to solve work-family balance issues and to overcome the problem of career interrupted wome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labor policies for women considering chronological changes and generational differences.

      • KCI등재후보

        경제발전과 여성의 경제적 지위

        유옥란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2004 아시아여성연구 Vol.43 No.1

        한국은 과거 30년간의 경제발전 과정에서 여성의 취업증가로 노동시장의 구조가 크게 바뀌었고, 서비스산업의 확대와 새로운 정보기술 산업 즉 IT 산업의 발전으로 여성인력의 활용문제가 주요 현실적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난 30년간의 통계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경제발전에 따른 여성노동시장의 구조변화와 여성의 경제적 지위변화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경제발전이 여성의 노동인력에 미친 영향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향후 지식기반 산업의 발전에 따른 여성노동자의 미래를 예측하고 여성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분석결과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지속적으로 증대하였고 한국 특유의 M자형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유형이 점차 완만해 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욱이 경제발전에 따른 소득증대에 의한 대학 진학률의 증가와 더불어 19세 이하의 여성노동자의 취업률이 하락함을 알 수 있었다. 그 외 모든 연령층의 여성노동자들의 취업률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한국 경제발전에서의 여성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반면 직급별 여성취업자와 종사상의 지위별 여성 취업자에 대한 분석결과 과장급 이상의 여성 취업자는 다소 증가하고 있으나 남성대비 5%수준에 머물고 있고 대다수의 여성 취업자들이 비정규직에 종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21세기 섬세한 여성노동을 필요로 하는 새로운 지식기반 산업의 발전에 따른 향후 여성노동자의 미래는 도전적인 여성들에 의해 노동시장에서의 지도자적 역할과 기회가 증대될 것이다. 더욱이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여성노동자들의 경력단절 없는 재취업보장제도와 직업훈련제도가 보장 될 경우 한국경제에서의 여성의 미래는 더욱 밝게 될 것이다. The structure of the labor market in Korea has been changing because of the increase of women's employment through the process of the economic development last thirty years. According that the services' industry is more increased and new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and IT industry has been developing, the utility of women's labor is to be an important issue. Therefore, by using the data of last thirty years, this study analyses critically the fluctuation of women's labor market structure and the change of economic position of woman's labor. Also, this study analyses the future of women's labor hereafter in the process of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and IT industry more developing and the plan of utility of women's labor. On examining the fluctuation of women's labor market structure, we find that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of women's labor has increased and the type of women's labor supply of the shape of M has been changing to the shape of inverse U. The proportion of employment of women's labor for the class over the head of a section has been increased, but the proportion is to the extent of 5% of the man's labor. Besides, the large of employment of women's labor is included among the informal jobs. However, when the policies of supporting and developing women's labor are taken effect, the future of women's labor in the process of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and IT industry developing hereafter will be better than now.

      • KCI등재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변화의 변동 분해 : 1998-2007

        홍정림(Jeong-lim Ho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1 여성연구 Vol.80 No.-

        이 연구는 1998년부터 2007년까지의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가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지난 10년 동안의 경제활동참가율의 변화를 개별 설명변수(X’s)들의 변동과 설명변수에 대응하는 계수(β’s)의 변동으로 분해하여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개별 변수별로 설명 변수(X’s)와 계수(β’s)의 효과를 나누어 분석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경제활동참가확률을 예측하였다. 즉 단순히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에 어떠한 설명변수들이 정(+)의 효과를 미치는지 혹은 부(-)의 효과를 미치는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개별 설명변수들의 변동(X’s)과 계수들의 변동(β’s)이 경제활동참가율 변화에 어떻게 작용했는지 분석하고, 특히 각 변수별 한계효과가 10년간 어떻게 변하여 왔는지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할 때 외환위기라는 충격을 제외할 경우 변동의 방향성은 3개의 기간 모두 대부분 일치하는 모습을 보였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비근로소득과 7∼19세 학령기 자녀 변수이다. 이 두 개별 변수는 설명 변수와 계수의 변동에 의한 효과가 모두 경제활동참가확률의 변화에 가장 큰 부(-)의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그 상대적인 효과가 점점 커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analyzes factors which affect labor force participation decision of married women from 1998 to 2007 and intends to explain change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in the last decade decomposing by individual changes in Xs and changes in βs corresponding to changes in Xs. In addition, this paper estimated the labor force participation probability through a simulation in order to analyze effects of Xs and βs with each variable. Two sub periods had directly-opposed course each other between effect by changes in Xs and one by changes in βs in each change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as a result of decomposition after dividing the last decade’s total period by two sub periods and analyzing by decomposition change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of married women in the last decade with changes in Xs and changes in βs. Also, the effects by changes in Xs and βs made probability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in the last decade increase. Total period and two sub periods’ analysis results of lengths of time almost correspond in side of direction although there are different degrees as a result of a simulation of probability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by a double change of Xs and βs with each variable. Also, total period and two sub periods’ results was same as a whole with results of a simulation of probability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by changes of Xs. On the one hand the results of a simulation by changes of βs have a slight difference in every period. Being based on analysis results, the course of change of all three periods is almost same in case of exception economic crisis.

      • KCI등재

        소득계층별 여성 취업의 변화: 배우자 소득 수준을 중심으로

        장지연 ( Ji Yeun Chang ),전병유 ( Byung You Cheon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4 산업노동연구 Vol.20 No.2

        여성의 경제활동참가는 어떤 소득계층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가구소득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도 있고 완화시킬 수도 있다. 소득불평등을 초래하는 요인을 규명하는 최근 연구들에서는 여성의 경제활동참가가 불평등을 완화하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으나, 구체적인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다. 통계청 가계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1998년부터 2013년 사이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고소득 가구에서 이인소득자 가구유형의 비중이 증가하였으며 저소득층에서는 한부모 가구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서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와 가구소득불평등 심화가 동시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노동패널조사 자료 분석에서도, 남편의 소득이 중간층에 속할수록 여성의 고용율이 더 빠르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제활동참가 여부를 횡단면 분석한 결과, 일반적으로 남편소득이 높을수록 아내는 경제활동에 참가하지 않는 경향이 발견된다. 남편의 소득에 따른 아내의 경제활동참가를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가지고 패널분석모형으로 분석한 결과도, 여성의 관찰되지 않는 특징까지를 통제할 경우, 남편의 소득 수준이 높아질수록 아내가 경제활동에 참가할 가능성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기간을 나누어서 볼 경우, 남편소득 수준에 따라 자신의 노동시장참여 여부를 결정하는 정도는 2008년 이후에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effect of additional female labor supply on household-level income inequality mostly depends on which income class encourages women to participate to labor market with high rates. Recent researches on decomposition of income inequality mentioned the positive contributions of female labor supply to relieve inequality, but how they work was hardly known. Using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we observe the proportion of dual-earner families was increased among high income class in the period of 1998-2012, while the single-parent families was extended in their lower income counterparts.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wives of middle income husbands participated into labor market with higher rates than wives of high or low income husbands`. Contrary to the prior expectations, the effects of husbands` income on wives` labor supply decision was getting stronger in the recent several yea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