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에서 여성주의 접근의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정원(Jeong-Won Ha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07 아시아여성연구 Vol.46 No.2

        최근 지역복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지역사회의 여성복지에 대한 연구도 활발해지고 있다. 이에 지역사회복지에서 여성주의 접근의 필요성 또한 주목받고 있는 시점이다. 여성주의 관점은 복지국가에서의 여성의 위치뿐 아니라 복지국가 자체를 젠더 분석하어 새롭게 이해하는 데 기여했다고 평가받고 있다. 여성을 중심으로 복지정책을 분석하고 개선해 나가려는 노력은 복지정책 연구를 발전시켜 왔으며, 우리가 복지국가라고 부르는 제도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지역사회복지의 개념과 의의를 알아보고 여성주의 복지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여성주의 방법론 활용 가능성을 타진하여 지역여성복지에서 여성주의 접근이 갖는 의의와 전망에 대하여 논의해 보고자 한다. As researches on local welfare are increasing, recently, social interests in local welfare for women are also emerging. It is noted that feminist approach on welfare states, social policies and welfare services play an important role in analyzing entire welfare system Feminist approach focuses on gender structure of welfare system which is very crucial to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welfare and women's position in it. In terms of local welfare, feminist approach emphasizes local women as the positive subject that can map the specific local welfare needs. Feminist methodology also can be used in surveying women's needs, collecting the practical information, and analysing the collected data in local area. Towards gender equal social policies practised in the specific area, feminist approach can be used and expanded in the potential welfare sectors. Concerning the importance of feminist approach on welfare, this paper examined the concept of local welfare, feminist approach on welfare, and use of feminist methodology in local welfare area.

      • KCI등재

        여성 수용자를 위한 교정복지 현황과 과제

        양경희 한국교정복지학회 2015 교정복지연구 Vol.- No.37

        여성 수용자에 대한 연구는 남성 수용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 여성 범죄자가 남성 범죄자에 비해 그 수가 적으며 범죄의 죄질도 그다지 심각하지 않다고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여성 범죄의 원인에 대해서도 주로 생물학적, 심리학적 측면에서만 찾으려고 했기 때문에 여성 수용자에 대한 교정복지적 처우에 대해서 소홀해 왔다. 그러나 여성 범죄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범죄의 원인도 생물학적이고 심리학적인 원인 외에 사회구조적인 영향에 의해서 일어나는 경우가 많으므로 여성 범죄의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여성 수용자에 대한 교정복지를 확대ㆍ실시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 수용자에 대한 교정복지 현황을 파악하고 여성의 특성을 반영한 앞으로의 교정복지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여성 수용자에 대한 교정복지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현재 실시되고 있는 교정복지 제도들이 여성 수용자들을 출소 후 성공적으로 사회에 복귀시키는데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여성 수용자들을 위한 교정복지의 과제로 다음을 제시하였다. 첫째, 여성 수용자들의 현재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가족 관계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증설ㆍ운영해야 한다. 셋째, 여성 수용자들의 자녀에 대한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넷째, 여성 수용자들에 대한 민간단체의 관심과 노력이 증대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는 여성수용자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며 실천적으로는 이러한 이해를 기반으로 여성 수용자를 위한 교정복지 실천에도 시사점을 제공함으로써 사회의 안전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There is not enough study on women prisoners compared to men prisoners. It was because the women prisoners are fewer than the men prisoners and people cognized their crimes are a minor infringements. Also the cause of women crime was mainly perceived as biological or psychological factors so a treatment of correction welfare is not provided sufficiently. However, the number of women’s crime is increasing and their crime is noy just from biological or psychological problems. The women commit a crime by a social structural factors. Therefore it need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women prisoners, and the correction welfare for women prisoners should be exten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women prisoners, and to suggest a task of the correctional welfare for women prisoners. The result of analysis is the current situation of women prisoners are limited to live stable when they were released from pris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some tasks for the correction welfare related to women prisoner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current situation of women prisoners closely. Second,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programs about the family or children. Third, it needs to extend the support to the women prisoners’ children. Fourth, the private organizations need to increase the interest about women prisoner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expanding the understandings of women prisoners and offer some implications for correctional welfare to ensure the social safety.

      • KCI등재

        여성장애인전문복지관 이용경험 연구

        박시은(Sieun Park),전지혜(Jihye Jeon)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2020 연구방법논총 Vol.5 No.1

        본 연구는 여성 장애인복지관의 이용경험을 통해 여성장애인의 복지욕구를 면밀하게 탐색하고 여성장애인 복지사업 증진 방안을 제안하고자 했다. 질적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의도적 표집을 통해 여성 장애인복지관 이용 경험이 있는 여성장애인을 17명을 모집하여 포커스그룹인터뷰(FGI)를 실시했다. 분석결과, 여성장애인에게 여성 장애인복지관은 단순히 서비스를 이용하는 곳이 아니라, 서로의 공감과 지지를 얻고 사회적 억압으로부터 자유를 얻는 공간이었다. 또한 여성장애인들은 여성 장애인복지관 이용을 통해 개인차원, 가족차원 그리고 사회적 차원의 긍정적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일반 장애인복지관은 여성장애인을 고려하지 않는 시스템과 운영방식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반 종합사회복지관은 낮은 장애이해가 문제로 나타났다. 여성장애인 고유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최적의 공간은 여성장애인복지관이었다. 향후 여성장애인 전문복지관 증가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면, 건강, 직업, 출산ㆍ가사ㆍ양육에 대한 지원 확대 및 지역 내 또래 여성장애인과의 네트워킹 활성화 사업을 통해 여성장애인복지 서비스의 다변화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using welfare centers for women with disabilities and to suggest ways to promote welfare programs for women with disabilitie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applied and a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by recruiting 17 women with disabilities who had experience using women"s welfare centers through intentional sampling. As a result, the women"s disability welfare center was not just a service for women with disabilities, but a space for empathy and support from each other and freedom from social oppression. In addition, women with disabilities attending welfare centers for women with disabilities are experiencing positive changes at the individual, family and social levels. On the other hand, the general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has problems with the system and operation that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needs of women with disabilities. The optimal space for meeting the needs of women with disabilities was women"s welfare center. If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a professional welfare center for women with disabilitie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welfare services for women with disabilities by expanding support for health, occupation, childbirth, housework, and nurturing and promoting networking with women with disabilities in their local communities.

      • 여성복지서비스제도의 현황과 개선방안

        이희성 한국사회법학회 2009 社會法硏究 Vol.0 No.12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stipulates that every citizen shall have the equal right before laws (Paragraph 1, Article 11), shall deserve the human dignity and value as well as the right to pursue happiness (Art. 10), and also the right to live a life worthy of human (Para. 1, Art. 34). The State is thus obliged to confirm and ensure the inviolable basic human right of an individual (Art. 10) and to endeavor to promote social security and welfare for him or her (Para. 2, Art. 34). Moreover, the State is supposed to make efforts to improve welfare and benefit of women (Para. 3, Art 34) and to guarantee, in particular, the interests of women in family to be upheld on the basis of personal dignity and equality of the sexes (Para. 1, Art. 36). The welfare and interest for women in Korea is firmly rooted on the Constitution, from which the laws stipulating the provision of welfare service for women have been legislated. It can't be denied, however, that there is a dead ground where the system for women welfare is not in service in real terms despite lots of regulations that have been put into operation. It is, therefore, requested to enact laws that may guarantee women to live a healthy and cultural life on the minimum base, and to realize by thus their benefit and welfare, with their dignity as human and actual equality assured. The present study has the purpose of recognizing equality of the sexes above all, fostering dignity, value, basic right and freedom of women as a human being, abolishing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against women and, ultimately, realizing the respect to and protection of women as subjects of maternity. In this respect, it is tried to review the significance and reality of the system for women welfare service and laws in Korea including the law for social welfare projects, related regulations on social welfare service, laws governing family and sexual violences that are aimed at assuring female human rights. It is also purported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ness, efficiency and policies of such systems and compare them with those of advanced countries in an effort to seek proper direction for progress of welfare service system for women in Korea. Also, it is quite imperative to synthesize the legislation into one that deals with the welfare service for women who need care comprehensively instead of treating it independently by subject and, by so doing, to ensure efficiency in selection of subjects, appropriateness of payment, integration of delivery channel and financing in a bid to renew and renovate the system. It should be thus necessary to work out practical plans fit to the needs for welfare of women who are subjected to analysis in this paper in parallel with changing demand of our society for welfare under the new environment. 우리 헌법에서 모든 국민은 법 앞에 평등하고(헌법 제11조제1항),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헌법 제10조)와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가진다(헌법 제34조제1항). 따라서 국가는 개인이 가지는 불가침의 기본적인 인권을 확인하고 이를 보장할 의무를 지고 있으므로 (헌법 제10조) 사회보장․사회복지의 증진에 노력할 의무를 지게 된다(헌법 제34조제2항)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국가는 여성의 복지나 권익의 향상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하고(헌법 제34조제3항), 특히 가정 내에서의 여성의 권익은 개인의 존엄과 양성의 평등을 기초로 성립되고 유지되도록 보장하여야 한다(헌법 제36조제1항)고 규정하고 있다. 여성의 복지나 권익의 향상에 대하여 우리나라에서도 헌법적 근거를 두고 있으며, 이를 근거로 여성복지서비스에 관한 법규들이 제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여성복지서비스에 관한 제 규정들이 제정되어 있다 하더라도 현실에 있어서는 실질적 여성복지서비스제도가 확보되지 못한 사각지대가 존재함을 부인하기 어려운 형편이다. 따라서 여성이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실질적 평등을 보장 받으며 건강하고 문화적인 최저한의 생활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입법제정이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여성의 권익과 복지를 실현시켜야 한다. 본 연구는 여성의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 및 기본적 권리와 자유를 인정하고, 그 구현을 위하여 양성평등으로부터 출발하여 성을 이유로 하는 차별과 억압을 철폐하고 모성의 보유주체로서의 여성의 존중과 보호를 실현하는데 있다. 즉 여성인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여성복지서비스제도와 함께 사회복지사업법을 비롯한 관련 사회복지서비스법규들과 가정폭력 및 성폭력관계법 등을 중심으로 그 의의와 실태, 타당성과 효율성, 정책 등을 살펴보고 선진국들의 제도와 비교함으로써 우리나라에서 여성복지서비스제도의 올바른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여성복지서비스는 대상별로 분립적인 접근방식에서 탈피하여 요보호여성 전체를 포괄적으로 다루는 법제의 통합 정비와 이를 통한 대상자선정․급여적절성․통합적 전달체계․재정의 효율성을 도모 할 수 있는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분석대상인 요보호여성을 위한 여성복지서비스는 우리 사회의 환경변화에 따른 복지욕구에 맞춰 실효성 있는 계획이 수립되고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장애인 복지정책에 나타난 성차별

        이선우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04 사회복지정책 Vol.18 No.-

        여성장애인은 우리 사회에서 가장 차별 받는 집단 중의 하나이다. 여성장애인은 여성이면서 동시에 장애인이라는 이중차별을 받고 있다. 여성장애인은 장애인으로서 생산활동에 참여를 제안받고 여성으로서 가정에서의 야육 역할도 수행하지 못하는 존재로 여겨지고 있다. 이에 따라 여성장애인은 비장애여성 및 남성장애인에 비해 결혼을 하지 못하거나 이혼하는 비율이 높다. 또한 여성장애인은 교육수준이 비장애 여성 및 남성장애인에 비해서 상당히 낮은 실정이다. 여성장애인은 취업률도 비장애 여성 및 남성장애인에 비해 상당히 낮은 실정이며, 이에 따라 여성장애인은 빈곤에 빠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여성장애인은 장애인복지정책의 혜택을 더 많이 받아야 하지만 다른 분야에서의 차별로 인해 장애인복지정책의 이용에 있어서도 차별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장애인복지정책을 자산조사 장애인복지정책과 비자산조사 장애인복지정책으로 나누어서 성별로 비교한 결과 자산조사 장애인복지정책의 이용에 있어서는 남성과 여성이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비자산조사 장애인복지정책 이용은 남성장애인이 여성장애인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장애인복지정책의 이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다른 변수를 통제한 후에도 남성장애인은 여성장애인보다 더 많이 장애인복지정책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나 장애인복지정책에서도 성차별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여성장애인이 남성장애인에 비해 사회활동이 부족하여 장애인복지정책에 대한 인지도가 떨어질 뿐 아니라 현재의 장애인복지정책이 여성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장애인복지정책에서 여성장애인에 대한 차별을 줄일 수 있는 적극적인 정책으로 여성장애인의 욕구를 반영한 정책이 요구된다. Women with disabilities are one of the most discriminated groups in our society. They are subject to dual discrimination as women and disabled people. They are very limited in participation into productive activities and are considered improper in nurturing roles. Thus, disabled women have higher rates of single and divorced than non-disabled women and disabled men. Moreover, disabled women have much lower level of educational attainments than non-disabled women and disabled men. As a result, they show lower employment rates than non-disabled and disabled men, which leads to great possibility of poverty among disabled women. Disabled women are discriminated in welfare policies for disabled people. Welfare policies for disabled people are categorized two groups: means-tested welfare policies and non-means-tested welfare policies. The gender comparision of utilization of welfare policies for disabled people shows that disabled men are benefited from non-means-tested welfare policies than disabled women while there is no difference in menas-tested welfare policies. When other variables which are expected to affect utilization of welfare policies are controlled, disabled men are benefited more than disabled women.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is sexual discrimination within welfare policies for disabled people. More aggressive policies are required to reduce discrimination against disabled women.

      • 빈곤여성의 자활을 위한 노동-복지연계 프로그램 방향 모색 연구 :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를 중심으로

        김영자,황정임,윤민화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3 이화사회복지연구 Vol.3 No.-

        노동-복지연계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 중 약 50% 이상이 여성이다. 우리나라에서 실시하고 있는 노동-복지 연계 프로그램은 여성의 취업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점이 있지만 빈곤여성이 겪고 있는 일과 모성의 갈등, 즉 취업과 양육의 병행을 강요하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노동-복지 연계프로그램은 이제 시행 2년을 마감한 제도시행 초기단계에 있어서 향후 빈곤여성의 자활을 가능케 하는 제도로서 개선의 여지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내 노동-복지 연계프로그램 현황과 빈곤여성들의 경험을 살펴보고, 서구의 노동-복지 연계모델의 특성과 노동-복지연계의 빈곤여성에 대한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한국 빈곤여성의 자활을 도모하기 위해 어떻게 전환되어야 하는지 그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구 특히 미국과 영국의 노동-복지 연계프로그램의 특성과 빈곤여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국민기초생활보제도의 노동-복지 연계 프로그램 현황 및 각각의 프로그램 내 빈곤여성들에 대한 경험을 중점적으로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내 노동-복지 연계프로그램도 빈곤여성의 자활을 촉진하기 위해선 일과 양육 죽 생산적 역할과 재생산적 역할을 병행할 수 있는 지원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 동안 생산적 역할에 참여하지 않았던 자활사업이 빈곤여성들에게 기회가 되기 위해선 재생산적 역할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지원이 있어야 생산적 역할도 병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빈곤여성이 처한 상황에 따라 보다 다양화되고 개별화된 서비스률 제공함으로써 이들이 보다 실제적으로 자활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주는 적국적인 노동-복지 연계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In this paper, the authors describe and examine how the welfare-to-work policy of the Korean welfare act,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NBLA), reflects the experiences of the poor women in Korea. First of all,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is point, the workfare policy in the U.S. and the welfare-to-work policy in Britain were critically reviewed. Even though two policies underline the work in being independent from the poverty, the review showed that the former has the characteristics of imposing coercive work, while the latter has the feature of developing human capital. The authors proposed the welfare-to-work policy of NBLSA in Korea has to be focused on the human capital developing model rather than coercing work model of the U.S.. Though the welfare-to-work model of NBLSA underlying human capital is adopted, however it may be incomplete if the policy doesn't fit with the life of poor women. The existing papers showed the Korean female recipients experienced conflicts between work and maternity and these conflicts hinder them in being independent from poverty. Therefore, In order to operate effective welfare-to-work the NBLSA has to be improved in the direction of mitigating dual burden of the women in company with the development of human capital.

      • KCI등재

        복지국가와 여성의 의회대표성

        朴倞墩 한국의정연구회 2021 의정논총 Vol.16 No.2

        본 연구는 OECD 국가에서 여성의 의회대표성을 분석하였다. 미시적 수준의 개인 변수 를 이용한 기존 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거시적 차원의 국가 변수를 이용하였다. 종속변수 인 여성 국회의원의 비율에 관한 국가 수준의 영향 변인은 정치, 사회인구, 경제 및 복지, 기타의 4대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여성의원의 비율에 관한 경제성장과 복지국가의 영향력 을 구분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경제성장과 복지발전 기준의 2개 국가군, GDP의 연간변화 율과 복지유형에 따른 저-중-고의 3개 국가군, 여성의원 비율에 따른 3개 국가군으로 나누 어 분위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경제성장보다는 복지발전이 여성의 의회대표성 증진에 통계적으로 영향 을 미치는 더 유의미한 변수였다. 또한, 경제성장과 관련된 변수는 여성의 의회대표성 증 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총 18개 모형이 예측하는 여성의원 비율을 계산하여 여성의 의회대표성 수준을 비교한 결과, 경제성장의 고도화는 여성의원 비율이 낮은 국가 에서 대표성 개선에 크게 도움이 되나, 경제성장이 고도화된 국가에서는 대표성이 크게 개 선되지 않았다. 반면, 고-복지발전의 국가군에서 예측된 여성의원의 비율이 매우 높았다. 따라서, 여성의 의회대표성은 전반적으로 경제성장의 도움을 받아 개선되지만, 여성의 의 회대표성을 고도화하는 데에는 복지발전이 더 필요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This study analyzes women's parliamentary representation in OECD countries. Previous studies analyze the representation, not by using macro-level country variables, but by using micro-level individual ones. The dependent variable, the ratio of women to parliamentarians is assumed to be affected by political factors, socio-demographic factors, economic and welfare factors, and other factors at the national level. The effects of economic growth and the welfare state on the ratio are analyzed in the classification of women’s parliamentarian level. Eighteen quantile regressions of the ratio are performed by dividing into two country groups of economic growth and welfare development - low, middle, and high country groups according to the annual rate of GDP and welfare country type. Th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welfare development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 for women's parliamentary representation. Also, variables related to economic growth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enhancing women's representatio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level of parliamentary representation, by calculating the predicted ratio of female parliamentarians in the 18 research models, the advancement of economic growth helps increase representation, not for the countries with high economic growth, but for the ones with a low ratio of female parliamentarians. On the other hand, the predicted ratio of female parliamentarians in the high-welfare development country group is very high. In the end, it is concluded that, although women's parliamentary representation is improved with the help of economic growth, welfare development is more important to enhance women's representation.

      • 여성운동이 여성복지에 미친 영향과 의미

        김영화(Kim, Young-Hwa),손지아(Son, Ji-A) 한국복지행정학회 2004 복지행정논총 Vol.14 No.2

        한국의 여성복지는 요보호여성을 중심으로 한 부녀복지사업에서 출발하여 오랫동안 그 틀을 유지해오다가 1980년대에 이르러서야 여성의 지위와 역할의 변화로 모든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여성복지의 개념으로 확대되었고 국가가 점차 여성복지정책의 주체로 확립되었다. 특히, 1980년대 후반부터는 여러 개혁적인 복지관련 입법들을 주도하고, 여성정책을 독립적으로 담당하는 정부기구가 형성되는 등의 발전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방 이후 여성복지의 변화와 특성을 여성운동과의 관련성속에서 연구해보고자 한다. 즉 한국의 여성운동이 여성복지정책과 제도의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살펴보고, 이에 근거하여 한국 여성복지의 전개 방향과 특성은 무엇인지 파악해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특히 여성운동과 여성복지의 관계 속에서 복지발전에 대해 시사하는 점을 밝혀내고, 앞으로 변화된 복지환경 속에서 여성운동이 여성복지 일반에 어떤 영향을 가지는지 논의해 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women s social action on the social welfare for women and their meaning for it. The study begins with an analysis and discussion of the Korean historical background divided 5 periods from 1945 to 1990 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 s social action and social welfare for women; their issues and characteristics. Compared with the general level of Korean social welfare, women s welfare is much more developed thanks to women s social action even the global neo-liberal circumstances. The women s social action based women s studies, one side, and feminist s participation, the other side, has accelerated making various social policies related women issues. A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the women s social action is inevitably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for women. Moreover it is necessary to have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for developing of specific areas, such as welfare for children, aging people and families. Social movement and action foster developing welfare policies from conformable and accommodative forms to innovative and reformative types.

      • KCI등재후보

        필리핀의 여성복지정책과 여성의 규정성

        문은영,최동주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2003 아시아여성연구 Vol.42 No.-

        최근 들어 세계 각국에서의 여성복지에 대한 정책은 대체로 UN과 세계여성대회의 여성정책과 같은 맥락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럼에도 각 국가에서 여성복지정책에서 나타나는 경향이 다양한 것은 경제수준 및 정치적 안정과 더불어 성별분업구조를 강조하는 가부장제적 이데올로기가 다르게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각 사회에서의 남성중심의 가부장제 가치관은 다른 환경요인 하에서 여성복지정책에 다르게 영향을 미쳐왔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는 여성복지정책의 근원적인 원인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며, 아시아권에서도 유교권이 아닌 필리핀의 사례를 집중 분석해 보고자 한다. 필리핀 여성들은 높은 교육열과 더불어 행정관리직과 전문직 참여 비율에 있어 다른 아시아 지역의 여성들에 비해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진취적이고 적극적인 여성의 사회활동 참여의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녀의 역할을 구분하는 가부장제적 가족주의는 여성문제에 여전히 성차별적으로 작용되고 있고 심각한 빈곤 문제는 여성의 실질적인 지위 개선에 장애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필리핀에서의 여성의 규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구조적 요인이 과연 무엇인지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고 그 규정성이 여성복지정책에 어떻게 반영되어 나타나고 필리핀이 가지고 있는 특수한 환경하에서 여성복지정책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가를 분석하여 한국의 여성복지정책 구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코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Recently, the policies for women's welfare of many nations have been progress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women's policies of the U.N. and the International Women's Conference in general. Nevertheless, the reason why various trends of welfare policies for women are visible in each nation is because the patriarchal ideology stressing the gender role, along with other factors such as the economic level and political stability, is expressed differently in each nation. In other words, the male-centered, patriarchal viewpoints of each society have been influencing the nation in different ways under various environmental factor. Thus, this study wishes to provide fundamental explanations for the various trends that are apparentin welfare policies for women, concentrating its analysis particularly on the case studies of Philippine, a non-Confucian nation within the Asian domain. Philippine women tend to have higher educational goals and a higher rate of involvement in administrative and professional work field, compared to other Asian nations. This is only an aspect of Philippine women's progressive and active participation in various social activities. Nonetheless, the patriarchal family system which clearly differentiates the gender roles still seems to have a great impact on women's issues in terms of gender discrimination, and it is a current tendency that the issue of severe poverty in Philippine is hindering the actual improvement of women's social status. This study, hence, tried to understand the social structural factors that are influencing the provisions for women in Philippine. By analyzing how these provisions are expressed in women's welfare policies and how women's welfare policies are shaped up under the influence of Philippine's unique environment, this study hopes to prepare a basic data that could be useful in building the welfare policies for Korean women. Basically, it could be said that the characteristics and the influences of women's welfare policies of each nation are developed differently based on how women are identified in each nation. And, such a provision on women is formed according to the nation's various social cultural and economical factors. In evaluating women's welfare policies, the gender role and the gender identity that are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and reinforces within the society and the family should be most critically discussed. Therefore, the provisions for women in this study were understood in terms of women's gender role and gender identity that are expos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policy. This study also tried to support its findings from documentary records by field studies and actual interviews with directors and researchers who are in charge of Philippine women's policies.

      • 젠더레짐을 통한 여성사회권 현실과 지향성 연구

        송다영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12 미래사회복지연구 Vol.3 No.1

        본 고는 여성들 삶의 사회구조적 맥락을 조망하면서 여성복지와 여성사회권의 향후 지향성을 정립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여성복지는 현재 나타나고 있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보호 관점을 벗 어나 사회구성원으로서 기본적으로 누려야 할 권리를 여성이 함께 누릴 수 있어야 한다는 전제 에 기반을 두고 있다. 따라서 여성복지는 집단으로서 ‘여성’이 사회구조적으로 갖는 제약, 차별, 종속에 집중하고 이를 극복해나가는 과정에서의 사회권 보장을 근본적 지향성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여성 사회권의 개념이 부상하는 과정을 성별관계 구조와 연결시켜 살펴보고 한 국사회 여성의 현실을 사회권 차원에서 조망해보았다. 여성이 경험하는 사회구조적 차별과 빈곤 의 현황을 점검하면서 무엇을 중심으로 사회권을 확대해 나갈 것인가를 살펴보았다. 결론에서는 향후 우리나라 여성복지와 여성사회권의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