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시정도에 따른 역기하렌즈 착용효과에 관한 비교 연구

        윤민화,이기영 한국안광학회 2012 한국안광학회지 Vol.17 No.3

        Purpose: To compare the results on myopia correction with reverse geometry lenses, effects of wearing reverse geometry lenses were evaluated for the children with low-level and high-level myopia. Methods: The research investigated the corrective effects of having worn reverse geometry lenses for one week, one month, three months and six months on a total of thirty-six persons (sixty-two eyes) between the ages of seven and fifteen,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the degree of their myopia; nineteen eyes(Group One) with myopia of −2.00 D and under,twenty-eight eyes(Group Two) with myopia between −2.25 D and −4 D, and fifteen eyes(Group Three) with myopia of −4.25 D and above; as shown by changes in uncorrected vision and the degree of refraction in the corneal topography, and tested for statistical similarity among the pursued results. Results: After wearing reverse geometry lenses, Group One showed an improvement in vision of 0.5, from 0.45 to 0.95, after one week, and improvements to 0.91 after one month and 1.02 after three months but, after six months, the group's vision regressed to 0.95. Group Two showed an improvement in vision of 0.43, from 0.34 to 0.77, after one week of wearing and to 0.91 after one month, to 0.97 after three months and this was statistically maintained through the remainder of six months. Group Three showed an improvement in vision of 0.55, from 0.15 to 0.7, after wearing for one week, to 0.87 after one month and to 0.91 after three months but saw a regression to 0.86 after six months. The average Sim K (simulated keratometry reading) value for Group One started from 42.84±1.17 D and decreased to 41.48±0.98 D after one week of wearing and continued declining through three months before increasing during the remainder of six months. Group Two began from 42.91±1.57 D and recorded 41.78±1.58D after one week, continuing the decline through three months before increasing during the remainder of six months. Group Three began at 42.64±1.64 D and showed its Sim K value decrease to 40.77±1.20 D after one week of wearing, increase after one month and decrease after three months and continue the decline through the remainder of six months.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aring reverse geometry lenses had myopia-correcting effects after one week of wearing. Although there were variations in the time for such effect to take place but myopia-correcting effects were evident in all test groups. 목적: 약도의 근시를 가진 아동과 중등도 이상의 근시를 가진 아동을 대상으로 역기하렌즈를 착용시키고 난 후의근시교정효과를 비교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7세에서 15세 사이의 −2.00 D이하 근시안 19안(Group 1)과 −2.25D이상에서 −4.00 D이하의 근시안 28안(Group 2), −4.25 D이상에서 근시안 15안(Group 3), 총 31명(62안)을 대상으로 역기하렌즈 착용 전, 착용 후 1주일, 1개월, 3개월, 6개월 후의 나안시력과 각막지형도상의 굴절력 변화를 근시의 정도에 따라 3그룹으로 나눠 교정효과를 알아보고 이에 대한 추적 결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결과: 역기하렌즈를 착용하고 난 후 Group 1은 착용 후 1주일에 시력이 0.45 에서 0.95 로 0.50 향상되었으며 1개월째 0.91, 3개월째 1.02 로 향상되었으나 6개월째 0.95 로 다시 감소하였다. Group 2는 착용 후 1주일에 시력이0.34 에서 0.77 로 0.43 향상되었으며, 1개월째 0.91 로 증가되었으며, 3개월째 0.97 시력까지 향상되어 6개월까지통계적으로 지속되었다. Group 3은 착용 후 1주일에 시력이 0.15 에서 0.70 로 0.55 향상되었으며, 1개월째 0.87, 3개월에는 0.91 로 향상되었으나 6개월째 0.86 으로 다시 감소되었다. 각막지형도상 평균 Sim K(simulated keratometry reading)값은 Group 1이 42.84±1.17 D에서 착용 후 1주일에 41.48±0.98 D로 감소하였으며 3개월까지 감소하다가6개월에는 증가하였다. Group 2는 42.91±1.57 D에서 착용 후 1주일에 41.78±1.58 D로, 3개월까지는 감소하다가6개월에 증가하였다. Group 3은 42.64±1.64 D에서 40.77±1.20 D로 착용 후 1주일에는 감소하였고 1개월 후에 다시 증가하였다가 3개월에 감소하여 6개월까지 감소하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 역기하렌즈의 착용 후 1주일부터 근시교정효과가 있었으며 근시정도에 따라 그 효과 발생 시기는 차이가 있었으나 모든 그룹에서 근시교정효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안구세척제의 세포독성에 관한 연구

        윤민화 대한시과학회 2017 대한시과학회지 학술대회 Vol.2017 No.06

        목적: 미세먼지 등의 증가로 안구세척제 사용이 늘어감에 따라 안구세척제의 자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므로 안구세척제의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방법: 세포독성 검정을 위해 L929 세포는 α-MEM (GIBCOCo, USA)에 10% FBS, fungizone 및 antibiotics를 첨가해 배양하여 96 well-plate에 각각 분주하고 세포가 well 당 80% 정도 채워졌을 때 처리하였다. 처리된 세포는 MTT 200 ㎍/㎖가 포함된 배양액으로 교환하고 3시간 반응시켰다. 3시간 후 배양액을 버리고 dimetylsulfoxide(DMSO; Sigma CO. USA)를 200㎕/well 씩을 넣어 5분간 실온 방치하여 푸른색 결정인 formazan을 용해 시킨 후 ELISA plate reader (Bio-Tech, USA)로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포 증식 저해율이 30% 이상이면 독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실험결과는 저자극 안구세척제에 대한 시험성적은 세포생존율 50%를 기준으로 높을수록 저자극, 낮을수록 자극성을 보이는데 시중에 가장 많이 유통되고 있는 안구세척제의 세포독성실험을 한 결과, 65.48±2.25%로 나타나 자극이 아예 없다고는 볼 수 없으나 자극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환경오염으로 인한 안구세척제의 개발의 중요성을 알고 눈의 건강을 위해 더 지속적으로 안구에 저자극인 안구세척제를 개발이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영구임대아파트에서 자녀를 양육한 부모의 거주경험

        윤민화,김경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18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구임대아파트에서 자녀를 양육한 부모를 대상으로 거주환경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영구임대아파트 인근에 소재한 4개의 지역사회복지관을 접촉하여 영구임대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는 부모를 대상으로 집단을 구성한 후 초점집단인터뷰를 실시하였고, 부분적으로 포토보이스를 활용하였다. 연구 참여 동의 후 수집된 사진과 녹취 자료는 주제분석 방법(thematic analysis)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제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모들은 아동을 키우기에 적합한 곳이 아니라는 것을 알면서도 이 곳을 거주지로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선택의 무게를 짊어지며’, 비정상적인 일상과 폭력이라는 ‘위험과 고전분투’하면서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었다. 그러나 부모들은 이 곳에서 사는 동안에는 좀 더 좋은 환경이 되기를 바라면서 ‘좀 더 나은 길’을 다양한 방식으로 궁리하고 모색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구임대아파트를 포함한 빈곤지역에서 성장하고 있는 아동의 좀 더 좋은 거주환경을 위해 필요한 실천적 함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regarding the living environment of parents who are raising their children in permanent rental apartments. To do this, we first contacted four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the vicinity of permanent rental apartments nationwide to select targets for the interview. Then we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partly using the photovoice method. Collected photos and the information from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with thematic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Even though the interviewed parents knew that permanent rental apartments are not adequate for raising their children, because they had no other choice they had to live with ‘weight of choice’. Their everyday was a continuous ‘struggle with the abnormality and the risk of violence’. They wished their living environments will get better as long as they live there, and at the same time were ‘seeking various ways for better tomorrow’.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practical implications to improve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children living in poverty areas including the permanent rental apartments.

      • KCI등재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경시스템과 연계 된 휴대 단말시스템 개발

        윤민화 대한시과학회 2017 대한시과학회지 학술대회 Vol.2017 No.06

        목적: 시각 장애인용 안경시스템과 장애인에게 익숙한 흰 지팡이에 센서를 달아 안경에서 제공하는 음성과 흰 지팡이에서 제공하는 진동을 동시에 활용해 시각 장애인의 이동에 있어서 주변 소음에도 효과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정보 획득 시스템의 휴대 단말 표시부를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경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첫째는 안경에 장착되어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부와 둘째는 획득한 영상정보로부터 문자정보를 추출하고 보행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맵이 탑재된 휴대 단말시스템, 셋째는 카메라 및 휴대 단말을 제어하거나 휴대 단말로 부터 촉각에 의한 정보를 출력받기 위해 입출력수단이 지팡이 손잡이를 개발하여야 한다. 이 중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경시스템 개발 중 카메라부에서 획득한 정보를 휴대 단말를 통해 흰지팡이에 출력시키도록 도면을 제시하였다. 결과: 휴대 단말은 스마트폰으로 양호하게 구현되며, 관련프로그램이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획득된 영상정보는 카메라부와 휴대 단말간의 통신규약에 따라 휴대 단말로 전송되고, 휴대 단말은 프로그램에 의해 영상정보로 부터 문자정보를 추출한 다음 완료 메시지를 입출력수단을 통해 자극으로 출력한다. 또한 보행 중 보행 경로 상에 장애물이 존 재할 경우 센서부에 의해 장애물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고, 휴대 단말이 입출력수단을 통해 진동 등의 자극을 줌으로써 시각장애인은 장애물을 인식하고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에 탑재 된 맵은 보행용 네비게이션으로 양호하게 구현되고 GPS정보를 수신하여 선택된 보행경로에 따라 길을 안내하게 된다. 결론: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경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영상정보를 전달하고 출력하기 위한 지팡이부와 안경시스템의 개발은 물론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개발과 더 많은 어플리케인션 등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착색안경렌즈의 색상과 농도에 따른 입체시의 변화

        윤민화,유근창 대한시과학회 2013 대한시과학회지 Vol.15 No.3

        목 적: 착색안경렌즈의 색상과 농도에 따른 입체시의 변화를 통해 착색안경렌즈가 입체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20세에서 45세 사이의 성인 남녀 49명을 대상으로, 검사거리 40cm에서 200Lux의 조명하에 편광렌즈를 착용하고 입체시 검사를 한 후, 편광렌즈 위에 착색안경렌즈를 착용하게 하여 각각 색상, 농도별로 입체시를 다시 검사하였다. 결 과: 착색안경렌즈의 농도에 따른 입체시의 변화를 보면 농도 20%에서 갈색의 입체시가 2.04±32.11″로 유의(p<0.05)하게 증가하였고, 다음은 녹색, 회색, 적색 순으로 입체시가 유의(p<0.05)하게 감소하였다. 농도 50%와 80%에서 갈색, 회색, 녹색, 적색의 순으로 입체시가 유의(p<0.05)하게 감소했으며, 농도 80%일 때의 감소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 론: 착색안경렌즈의 색상과 농도에 따라 입체시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착색렌즈의 색상과 농도를 선택할 때 입체시의 영향도 고려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inted spectacle lenses on stereopsis through a change of stereoscopic in accordance with the concentration and color of tinted spectacle lenses Method: I organized adult between the ages of twenty and forty five, and After stereopsis tests wearing a polarizing lens under illumination of 200 Lux at 40 cm distance, stereopsis was measured again for each color and concentration, wearing tinted spectacle lens on the polarizing lens. Results: In a change of stereoscopic in accordance with the concentration, brown stereopsi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o 2.04±32.11″(p<0.05) in 20% concentration, meanwhile, the order in which stereoscopic significantly decreases(p<0.05): green, gray, red. In concentration at 50% and 80%, stereopsis (p<0.05) was significantly reduced (p<0.05) in the order of brown, gray, green, and red, especially, it showed a greater width of de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80%. Conclusion: In this investigation, it was found a decrease in stereopsis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and colors of tinted spectacle lenses, therefore, it suggests a necessary to consider the effects of stereopsis when choosing tinted spectacle lenses' concentration and colors.

      • KCI등재

        사회복지사가 바라본 빈곤아동의 좋은 성장

        윤민화,김경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8 학교사회복지 Vol.0 No.4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 meaning and the practical implication for the ‘well-growing’ of the children in poverty through social workers. For this purpos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social workers who had many experiences of child welfare practic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theme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meaning of the well-growing of impoverished children, as viewed by the social workers, includes “self-initiative for the future”, “emotional well-being and resilience”, “sociality for making good relationship with others”, “having routine and normality”, and “being a member of the society.” The core areas of social workers’ attention for the well-growing are “children’s inner motivation and power”, “family relationship and parents’ role as an environment for children’s growth”, and “various opportunities and resources as stepping stones for children's growth.” Practical approaches for children’s well-growing that social workers can take include “approaching from what is possible”, “approach to support a child to support oneself”, “family-based approach by collaborating with parents”, “approach to accompany the children following their pace”, and an “approach both future-oriented and continuou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also provides some practical suggestions for supporting impoverished children’s well-growing.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를 통해 빈곤아동의 좋은 성장에 대한 의미, 실천의 핵심 영역과 방식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빈곤아동 및 가족과의 실천 경험이 많은 사회복지사를 참여자로 하여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수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주제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사가 바라본 빈곤아동의 좋은 성장의 의미는“미래에 대한 자기주도성”, “정서적인 안녕감과 회복력”, “타인과 관계를 잘 맺어가는 사회성”, “일상성과 정상성”, “제 몫 할 수 있는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책임감”으로 나타났다. 빈곤아동의 좋은 성장을 위해 사회복지사가 주목하고 있는 실천의 핵심 영역은 “아동의 내적 동기와 힘”의 차원, “아동의 성장 환경으로서의 가족관계와 부모 역할”, “아동의 성장발판으로서의 다각적인 기회와 자원”으로 나타났다. 빈곤 아동의 좋은 성장을 위한 사회복지 현장에서의 실천 방식은 “할 수 있는 것부터 하는 접근”,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접근”, “부모와 협업하는 가족단위 접근”, “아동의 보폭에 맞추어 동행하는 접근”, “미래 지향적, 지속적 접근”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빈곤아동이 좋은 성장으로 나아가도록 지원하기 위한 사회복지실천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근거리에서 수직주시시차와 입체시와의 관계

        윤민화 한국안광학회 2013 한국안광학회지 Vol.18 No.3

        Purpose: To investigate a correlation between vertical fixation disparity and stereopsis by analyzing distribution of types of vertical fixation disparity. Methods: In this study, RANDOT® stereotest partly using random dot was used in stereopsis tests. The vertical fixation disparity in close proximity categorized fixation disparity slope into six types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measurement in when two thin lines, one for one eye looks, become overlapped as a line by adding into prism with Wesson fixation disparity card while maintaining a distance of 25cm from patients. Results: In the types of near vertical fixation disparity curve, targeting 43 people, the first type 55.82% was the most distributed, the second type is the least 23.25%, the third type of 4.65%, the fourth type of 4.65%, the fifth type of 6.98%, the sixths types of 4.65% were distributed. The result of a correlation analysis,which shows the degree of linear correlation between two variables, represented that stereopsis is not correlated with Y-intercept (r = −0.07) which show vertical fixation disparity, associated phoria (r = −0.03) and dissociated phoria (r = −0.00),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Fixation disparity slope of vertical fixation disparity (r = 0.36)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tereopsis. It has a low positive correlation and a meaningful statistics (p<0.05). The Y-intercept which indicates vertical fixation disparity was also not associated with stereopsis (r = −0.07) and dissociated phoria (r = −0.03), and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while it had a high correlation as well 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associated phoria (r = 0.89).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Y-intercept and fixation disparity slope of vertical fixation disparity (r = −0.33). It showed a low relationship but statistically valuable (p>0.05).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the stereopsis was changed as 7.631" if vertical fixation disparity changes 1' and the vertical fixation disparity changed as 0.017' if stereopsis changes 1', and the chan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Conclusions: The study shows that there is a low correlation between stereopsis and vertical fixation disparity, and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stereopsis only using vertical fixation disparity. Therefore, it suggests other factors above vertical fixation disparity have greater influence on stereopsis. 목적: 수직주시시차의 유형별 분포를 분석하고 입체시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입체시 검사표는부분적으로 random dot을 이용하는 RANDOT® stereotest를 사용하였다. 근거리에서 수직주시시차는 환자와의 거리를 25 cm 유지한 상태에서 Wesson fixation disparity card를 이용해, 한쪽 눈에 하나씩 보이는 두 개의 가는 선이프리즘을 가입하여 한 줄로 일치될 때의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주시시차곡선을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43명을 대상으로 근거리 수직주시시차 곡선의 유형은 제 1유형이 55.82%로 가장 많이 분포하였고, 제 2유형이 23.25%로 가장 적게 분포하였으며, 제 3유형이 4.65%, 제 4유형은 4.65%, 제 5유형은 6.98%, 제 6유형은 4.65%로 분포하였다. 두 변수들 사이의 선형적 상관관계의 정도를 보는 상관분석의 결과를 보면 입체시는 수직주시시차를 나타내는 Y-intercept(r = −0.07), 일부융합제거시 사위량(r = −0.03), 완전융합제거시 사위량(r = −0.00)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5). 수직주시시차 곡선의 기울기와는 r = 0.36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그 관계는 낮은 편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수직주시시차를 나타내는 Y-intercept는 일부융합제거시 사위량(r = 0.89)과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수직주시시차 곡선의 기울기는 r = −0.33으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그 관계는 낮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회귀분석(regresson analysis)결과, 입체시와 수직주시시차의 변화에 따른 관계는 수직주시시차가 1분( ' ) 변하면 입체시는7.631초( " ) 만큼 변화하며, 입체시가 1초( " ) 변하면 수직주시시차는 0.017분( ' ) 만큼 변화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결론: 입체시와 수직주시시차는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수직주시시차 만으로 입체시를 판단하기 힘들며 입체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수직주시시차 이외의 다른 요인이 더 클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비영리조직 모금활동의 윤리적 풍토에 관한 질적연구

        윤민화,이민영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2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5 No.1

        비영리조직의 모금활동에 대한 조직 차원에서의 윤리적 실천이 강조됨에 따라, 본 연구는 모금활동에서의 윤리적 기준과 의사결정 과정을 분석하여, 비영리조직의 윤리적 풍토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중․소규모의 비영리조직에서 3년 이상 모금활동 경력을 가진 실무자 12명을 연구참여자로 하여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사회의 비영리조직 모금활동은 첫째, 원칙주의에 따라 명문화된 규칙과 조직의 사명을 기반으로 법과 제도, 이사회의 결정과 같은 공식적 절차를 따르고자 하였다. 원칙에 따라 기부자의 이익을 제한하는 선택을 하거나 명확하지 않은 이슈에 대해서는 기존 관례에 따라 결정하기도 하였다. 둘째, 공리주의에 따라 이해관계자인 수혜자와 기부자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윤리적 기준을 두었다. 다만, 두 이해관계자의 욕구가 상충할 때는 사전과 사후에 조율하고자 하였다. 셋째, 이기주의에 따라 조직의 효율성을 우선시하는 윤리적 기준을 가지고 있었다. 조직의 자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규정을 통해, 윤리적 이슈가 발생하였을 때 조직의 위험을 최소화하는 방향에서 결정을 내리기도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한국사회 비영리조직의 윤리풍토를 제고함과 동시에 윤리적인 모금활동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Ethical practice at the organizational level for fundraising was emphasized in Korean society.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thical climate of nonprofit organizations by analyzing how the organizations have ethical guidelines and how they are guided by them in actual fundraising activities.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12 practitioners in large, medium and small-sized organizations. As a result, ethical climate of nonprofit fundraising activities in Korean society were, firstly, based on ‘principle’ of ethical criteria to follow formal procedures such as legal system and board decision, and the rules and the mission of the organization were set as ethical standards. Secondly, based on ‘benevolence’ of ethical criteria, the beneficiaries and donors as stakeholders were prioritized while the rights of the beneficiaries were protected and the donors were left to decide. Thirdly, based on ‘egoism’ of ethical criteria, the ethical standard was organizational efficiency as selfishness. The organizations prepared regulations in the line of securing the maximum amount of organizational autonomy, and to make decisions in the direction of minimizing organizational risks when issues arise. In the ethical climate of nonprofit organizations, some practical implications for ethical fundraising were suggested.

      • KCI등재

        코로나 19 상황에서의 사회복지실천경험:대구지역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 실천경험을 중심으로

        윤민화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21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15 No.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practice under the COVID-19 pandemic.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analysis with five selected social workers working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Daegu, South Korea.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social workers’ experience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themes. Firstly, confusion: working with ‘social distancing’. Secondly, crack: struggling with limitations and boundaries. Thirdly, transformation: seeking alternatives beyond ‘social distancing’. Lastly, rumination: rethinking social work in the long term. In the middle of confusion, the social workers in this study started with what is most needed and what can be done, and experienced various dilemma and conflicts as social workers from the fear and powerlessness in a limited practice field. In order to cope with the changed field, they also came up with diverse methods to try for the first time. During their practice, they reflected on what it means to practice social work and whether or not they are doing it properl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for recording the practice during the pandemic, initiating public debates, and participation of diverse local residents from diverse backgrounds in restoring the community post COVID-19.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 상황에서 사회복지사의 실천경험이 어떠했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구지역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 5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고, 질적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당시 실천경험을 수집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에 참여한 사회복지사 실천경험은 네 개의 주제로 분석되었다. 첫째, 혼돈: ‘거리두기’ 틈새에서 일하기 둘째, 균열: 한계와 경계에서 고전분투 셋째, 변형: ‘거리두기’ 안과 너머에서 대안 모색 넷째, 반추: 긴 호흡에서, 다시 사회복지 본업(本業)을 생각함 이었다. 사회복지사들은 혼란스러운 실천 상황에서 가장 필수적인 것과 할 수 있는 것부터 시작하였고, 제한된 실천현장에서 두려움과 무력감을 느끼며 사회복지사로서 여러 딜레마와 갈등을 경험하였다. 변화한 실천현장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을 고안하여 새롭게 시도하기도 하였다. 실천 과정 내내 사회복지사들은 사회복지사의 일은 무엇인가? 제대로 하고 있는가? 라는 사회복지라는 본업(本業)을 반추하고 성찰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 19 당시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기록, 공론화 작업, 코로나 19 이후 지역사회 회복을 위한 사회복지실천 과정에서 다양한 세대, 다양한 계층의 지역주민 참여 등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