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관개용수 염도수준에 따른 시설 상추 및 당근의 생육 영향 분석

        전지혜,정한석,김학관,Jeon, Jihye,Jeong, Hanseok,Kim, Hakkwan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7 No.4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monitor and assess the effects of saline irrigation water on lettuce and carrot growth in protected cultivation. One control and 4 treatments with three replications, which wer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salinity in irrigated water, were employed for each vegetable to assess the effects of the irrigation with saline water. Monitoring results showed that the use of irrigation water containing above a certain level of salinity was found to cause excessive accumulation of salts in the soil as saline irrigation water increased electrical conductivity (EC) and sodium ($Na^+$) content in both lettuce and carrot soil samples, while tap water irrigation used as control decreased the salinity in the samples. The salinity higher than the threshold level of irrigation water was found to reduce the yields of lettuce and carrot, while in less than the threshold level the higher the salinity of the irrigation water increased the yields. The salinity of the irrigation water also appeared to increase the internal salinity of the plant as the $Na^+$ content in plant increased as the salinity of irrigation water increase. Increased $Na^+$ content was analyzed to be able to increase the sugar content in carrot.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suggest water quality criteria for safe use of saline water in protected cultivation, although long-term monitoring is needed to get more representative results.

      • KCI등재

        클러스터 진화에 있어서 회복력의 의의와 과제

        전지혜(Jeon, Jihye),이철우(Lee, Chulwoo) 한국지역지리학회 2018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는 클러스터 관점에서 회복력의 개념을 정립하고 클러스터 및 그 진화에 있어서의 회복력 개념 적용의 의의를 살펴본 뒤 이를 바탕으로 클러스터 회복력의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회복력은 1970년대부터 생태학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 및 활용되면서 확대 · 발전되었고, 오늘날 경제지리학과 지역 연구에 있어서도 널리 도입되고 있다. 회복력은 클러스터 진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클러스터가 직면한 충격을 극복하도록 하여 선순환적인 진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어서 유용하다. 더욱이 회복력은 클러스터 진화 과정에서 그 자체가 진화하며 클러스터 진화 패턴에 영구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따라서 클러스터 회복력은 다양한 성격의 중층적 경제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분석방법과 이를 경험적 연구에 적용한 사례 연구의 축적, 일련의 회복력 구축 과정이 포괄적으로 다루어질 수 있는 치밀한 분석틀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결론적으로 클러스터 회복력 연구는 학술적 측면에서 동태적 관점의 산업집적지 연구 패러다임의 자리매김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또한 정책적 측면에서 회복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선순환구조 확립에 대한 이정표를 제시할 수 있도록 진화경제지리학에서 하나의 확고한 연구영역으로 정착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resilience from a cluster perspective,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applying resilience concept to clusters and their evolution, and to suggest research issues of cluster resilience. Resilience has been expanded and developed since it was applied in various fields including ecology, since the 1970s and is now widely used in economic geography and regional studies. Resilience is a factor influencing cluster evolution, and is useful in seeking methods of virtuous evolution by allowing the clusters to overcome the shocks that clusters face in a more desirable direction. In addition, resilience is significant in that resilience not only evolves itself in the process of cluster evolution but also leads to a permanent change in the cluster evolution pattern. Thus, cluster resilience needs to accumulate analytical methods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multi-scale economic regions, and to be developed with a detailed analysis framework that can comprehensively deal with a series of resilience-building processes. In conclusion, research on cluster resilience contributes to establishing a paradigm of industrial complex research from a dynamic perspective. In addition, the research needs to be established as a definite research area in evolutionary economics geography so that it provides a milestone in establishing virtuous cycle of structure that can strengthen resilience.

      • KCI등재

        장애학적 관점에서의 사회변화와 한국 장애인 선교의 방향

        전지혜(Jihye Jeon)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4 선교와 신학 Vol.34 No.-

        장애학적 관점에서는 장애가 열등함의 상징이 아니며 개인의 개성으로 이해되고, 사회가 변화되어 장애인도 비장애인과 같은 삶의 질을 누려야 함을 강조한다. 즉 기존의 장애인에 대한 시혜적이고 보호적인 태도는 인권적 접근의 방식으로 바뀌어야 하는 것이다. 이미 영미권 국가를 중심으로 장애인에 대한 인권적 접근은 보편화되는 추세이며, 한국에서도 2000 년대 이후 장애인의 지역사회 내 자립생활을 추진하면서 거주, 교육, 고 용, 교통 등의 영역에서 사회 정책적 변화를 이루어왔다. 이에 비하여 한국 교회는 장애인에 대한 인권적 접근이나 비장애인과의 통합을 위한 준비를 갖추고 있지 못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이 교회에서 분리 배제되고 있는 현상에 주목하고 교회 내 장애인에 대한 태도가 성경적이지 않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장애인권적 차원에서 사회변화를 주도하는 장애학적 관점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우리 사회 내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정 리하고 장애학적 관점과 성경적 관점의 장애관을 비교 검토하며, 이를 토 대로 장애인 선교방향을 제시하였다. 특히 통합된 형태의 예배와 교회활동 이 되어야 하는 신학적, 장애학적, 실질적 근거를 제시하여 장애인들이 교 회 내에서 비장애인과 대등한 권리를 누리고 자유함을 누릴 수 있도록 해야 함을 설명하였고, 이러한 장애학적 접근이 성경의 장애관과 일치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In the perspective of Disability Studies, disability is understood not as the inferiority of human being but as the mental o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n individual. People with disabilities also have equal rights in Korean society. So, social policy and services shifted from protective approach to human right approach. This new paradigm of Disability Studies has emerged in America and other western countries and recently adopted in South Korea. However, Korean church did not adopt the new perspective or prepare for social inclus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phenomenon that people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in Korean church. The perspective on disability is not based on Bible but based on social rule which oppressed people with disabilities. These days, Korean society have been changed into barrier free and inclusive society to people with disabilities. It is based on the social model and human right approach of Disability Studies perspective. This study explored academic characters of Disabilities Studies, compared its perspective with those of Bible, and provided some reasons to be a inclusive church. In a future,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have equal rights in churches and enjoy freedom in Jesus with people without disabilities.

      • 미국의 장애인 지원체계와 대상자 선정 방법

        전지혜 ( Jeon Jihye ),김민 ( Kim Mi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5 국제사회보장리뷰 Vol.32 No.-

        이 글은 미국의 장애인 지원체계와 장애인 판정 기준에 대하여 살펴보고 한국에 시사하는 바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미국은 미국장애인법(ADA)과 재활법에 근거하여 장애를 포괄적으로 개념화하고 있으며 교육, 교통, 고용, 복지 등 영역에 따라 장애판정을 별도로 하고 있다. 그럼에도 사회보장청의 장애판정은 전 범위에 걸쳐 영향력 있는 장애인정체계로 자리 잡고 있으며, 주요한 삶의 활동(major life activities)과 실질적인/상당한 제약(substantially limits)을 기준으로 하여 장애를 판정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의료적 기준과 직업적 기준, 그리고 실질적인 소득 활동이나 일상생활을 할 수 있는가를 모두 고려하고 있다. 향후 한국의 장애판정체계 개선 시 의료적 기준 외에 직업적 기준과 일상 및 소득 활동 기준을 모두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U.S. disability support system and disability determination rules, drawing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In the U.S., disability is broadly defined under the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ADA) and the Rehabilitation Act, with determination criteria varying across domains such as education, transportation, employment, and social welfare. The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s (SSA) disability determination rules have become the standard framework for assessing whether an impairment “substantially limits” major life activities. The determination process considers both medical evidence and work capacity, evaluating whether an individual can engage in gainful employment or perform essential daily living tasks. Korea may consider incorporating work capacity and medical evidence into future policy efforts to improve its disability determination system.

      • KCI등재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이 학습활동을 매개로 사회과 자기 평가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력 탐색

        전지혜(Jeon, Jihye),구남욱(Koo, Namwook)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미래교육학연구 Vol.34 No.3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학교적응의 하위영역인 학습활동을 매개로 사회과 자기 평가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의 자료를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2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 까지 다문화수용성과 사회과 자기 평가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학습활동은 변화가 없 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기 시점인 중학교 2학년에서 다문화수용성은 학습활동을 통해서 사회 과 자기 평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수용성의 변화는 학습활동의 변화를 매개로 사회과 자기평가의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초기시점과 변화 율에서 다문화수용성은 사회과 자기 평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 로 나타났다. 즉, 다문화수용성은 학습활동을 매개로만 사회과 자기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친 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의 함양은 학습활동을 돕고, 또한 학습활동을 통해 서 학업성취도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n social studies self-assessment through learning activities, a sub-area of school adaptation over time. To this end,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were analyzed using the Latent Growth Model.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to the third year of high school,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social studies self-assessment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ut learning activities did not change. Second, it was found that multicultural acceptabil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studies self-assessment through learning activities in the early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Third, the change i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hange in social studies self-assessment through the change in learning activities. Fourth, it was found that multicultural acceptability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social studies self-assessment at the initial point of time and rate of change.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multicultural acceptabilit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social studies self-evaluation only through learning activitie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cultivation of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helps their learning activities and also helps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learning activities.

      • KCI등재

        근로장애인의 소득과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소극적 여가활동 및 적극적 여가활동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지혜(Jihye Jeon),남지현(Jihyun Na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4

        한국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관련된 연구는 다수 진행되었으나 근로장애인에 초점을 두지 않았으며, 장애인의 여가활동을 적극적, 소극적 유형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근로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소득 및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소극적 여가활동과 적극적 여가활동의 다중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2017년 장애인실태조사에 응답한 근로장애인 1,41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고, SPSS Macro 프로그램인 PROCESS(ver.3.4)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소득과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근로장애인의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득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와 건강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적극적 여가활동과 소극적 여가활동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근로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으로 소득 및 건강증진을 위한 정책적 노력과 함께 근로장애인을 위한 다양한 여가활동의 개발 및 확산 노력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Many studies related to the life satisfaction of disabled people in Korea were conducted. However, no studies focused on the working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leisure activities of the disabled people by dividing them into active and passive type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ncome and health status on life satisfaction of working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analyzed the multi-mediating effects of passive and active leisure activities to suggest ways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of working people with disabilities. Data of 1,417 working disabled who responded to the 2017 survey on disabled people were analyzed, and SPSS Macro program PROCESS (ver.3.4) was us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higher the income and health status,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working disabled. Both passive and active leisure activiti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ial multi-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life satisfaction and between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examined the need to develop and spread various leisure activities for the working disabled and policy efforts for income and health promotion to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working disabled.

      • KCI등재

        한국의 장애인활동지원제도 개선방안 연구

        전지혜(Jeon, Jihye)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52

        한국의 활동지원제도는 장애인의 지역사회내에서의 자립생활을 위한 핵심 서비스이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의 재가장애인을 위한 지역사회서비스인 장애인 활동보조제도(PAS)와 장애인케어제도(PCA)를 살펴보았으며, 제도의 유효성, 권리성, 보편성, 공평성, 종합성의 차원에서 분석하여, 한국의 활동지원제도에의 시사점을 알아보았다. 미국의 활동지원 제도는 대상자 선정기준과 관련해서 잔여적 특성을 보였으나, 제도의 다원화를 통해서 요양과 활동지원의 욕구를 별도로 지원하고 있어 제도의 유효성이 높았다. 주 40시간까지의 급여 제공량을 볼 때 보장 수준의 권리성은 낮았으나, 현금지불제도를 적용하고 있고 당사자들로 구성된 위원회의 활동을 보장하는 등의 이용자 권리성을 보장하고 있었다. 여타 제도와의 호환 정도를 평가하는 종합성 차원에서는 미국의 다원화된 복지제공 체계가 강점을 나타냈다. 한국의 활동지원제도 개선을 위해서 장기요양보험 및 장애아동지원제도와의 호환, 탈시설지원체계나 지역사회 응급상황 대응체계 등의 보충적 서비스 마련, 가족의 돌봄 노동 제공 인정, 중증장애인 돌봄에 대한 추가 수가 인정, 중증장애인에 대한 의료적 케어 지원, 장애인 당사자로 구성된 위원회 운영 등의 변화가 요구된다. Korean Personal Assistance Service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social services for independent living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analyzed two similar services,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PAS) and the Personal Care Assistance Program(PCA) of USA and suggested several strategies for improving Korean Personal Assistance Service. The PAS and PCA of USA showed residual characteristics in selecting welfare provision targets, pluralistic characteristics in meeting care based needs and activity based needs, cooperative characteristics in working with service users, and comprehensive characteristics in providing various community based services. Therefore, Korean Personal Assistance Service needs to consider the following changes, 1) developing diverse and comprehensive service system through dividing into two tracks "care based PAS" and "activity based PAS" or providing supplemental provisions with Long term care insurance and child care services, 2) developing supportive community based services like MFP, 3) accepting family members as personal assistants, 4) providing additional provision fee for severely disabled persons, and 5) organizing PAS consumer advisory council.

      • 불투수면이 한강수계 수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전지혜 ( Jihye Jeon ),최지용 ( Jiyong Choi ),김학관 ( Hakkwan Kim ),이동학 ( Donghak Lee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도시의 확장은 도로, 주차장, 건물의 지붕 등과 같은 불투수면의 증가를 가져오며, 동시에 삼림지, 농경지, 습지 등과 자연계에서 우수유출의 흡수와 정화기능을 갖는 다른 개방된 공간이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투수-불투수 면적의 균형 변화는 강우유출량 증가, 지하수의 저하 등 물 순환 왜곡 및 유역시스템의 특성 변화를 야기하고, 결과적으로 수생태계의 변화를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들은 결국 유역의 건강성을 해치는 중요한 원인으로 부각되고 있어 최근 불투수면 변화는 도시성장의 관리 및 유역계획 등에서의 주요 과제로 등장하고 있으며 하천 환경관리에 있어 새로운 지표로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강수계 불투수면적률에 따른 수질항목 간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그에 따른 한강수계의 불투수율 관리목표를 제시하는데 있다. 불투수면적률에 따른 수질 및 수생태계 영향 상관분석을 위하여 한강수계 290개의 소유역 중 불투수면적률에 따른 영향 외 외부조건에 의한 수질변화가 없는 지점 47개의 수질측정망을 기준으로 불투수면적률과 수질항목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수질자료는 2009년부터 2013년까지의 연평균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불투수면적률은 2013년 조사된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불투수면을 관리하기 위한 기준으로 ROC(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분석법을 사용하여 한강수계의 좋은 물 기준 불투수면적률의 적절 기준점(Cut-off point)을 설정하였다. 주요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개의 수질항목 BOD, COD, TOC, T-P에 대하여 불투수면적률에 따른 수질항목 간의 상관계수는 모두 0.7이상으로 강한 양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불투수면적률에 대한 수질항목 ROC분석결과 AUC가 0.95이상의 값으로 불투수면적률에 따른 수질항목 간 상관관계 분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Yoden지수(J)와 우도비(Likelihood ratio)을 이용하여 불투수면적률 관리목표 적절 기준점 판별한 결과 BOD에 대해서는 9.8%~15.3%, COD는 9.8~11.1%, TOD와 T-P의 경우 9.8~13.3%로 나타났다.

      • KCI등재

        독거 시각장애인이 인식하는 공공임대아파트 공간의 의미 : 사회적 공간 이론을 중심으로

        전지혜(Jeon JiHye),남지현(Nam JiHyun)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1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1 No.5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pace of public rental apartments perceived by the visually impaired living alone through social spatial theory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public rental apartments. Subject analysis was applied to intentionally sampling,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recruiting 7 blind people living alone who were willing to actively express their opinions about the environment of public rental apartm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oor public rental apartment environment was created around the non-disabled, limiting the daily life experience of the blind and visually impaired living alone, and was disconnec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due to poor accessibility. Because of this, the blind people living alone were experiencing both external and internal isolation. However, the visually impaired living alone felt grateful for the space to be independent and the continued support for housing management, and were in solidarity with the residents to create a better living environment. In addition, they were actively using welfare institutions located near public rental apartments to request the support they needed. In the future, it was found that public rental apartments should change their role as a space where they can exercise their sense of belonging and authority with resident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change of public rental apartment policy, the application of a universal design perspective, encouraging the visually impaired to participate in housing management, and the necessity of organizing residents. 본 연구는 독거시각장애인이 인식하는 공공임대아파트의 공간을 사회적 공간이론을 통해 살펴보고 공공임대아파트의 환경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수행되었다. 주제분석을 적용하여, 의도적 표집을 진행하였으며, 공공임대아파트 환경에 대해 적극적으로 의견을 표출할 의사가 있는 독거 시각장애인 7명을 모집하여 개별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열악한 공공임대아파트 환경은 비장애인 중심으로 조성되어 있어 독거 시각장애인의 일상생활 경험을 제한하고 있었고, 접근성이 좋지 않아 외부환경과 단절되어있었다. 이로 인해 독거 시각장애인들은 외부, 내부의 고립을 동시에 경험하고 있었다. 그러나 독거 시각장애인들은 독립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는 것과 지속적인 주거 관리 지원에 감사함을 느끼며, 더 좋은 주거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주민과 연대하고 있었다. 또한 공공임대아파트 주변에 위치한 복지기관들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자신에게 필요한 지원들을 요구하고 있었다. 향후 공공임대아파트가 주민들과의 소속감, 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역할이 변해야 함을 발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임대아파트 정책의 변화,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의 적용, 시각장애인의 주거 관리 참여의 독려, 주민조직화의 필요성들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