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여가활동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여가만족과 자아실현 관계연구

        김동준 ( Dong Joon Kim ),황대욱 ( Dae Uk Hwang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2 觀光硏究 Vol.27 No.2

        본 연구는 최근 여가활동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체계적인 욕구파악에 따른 여가만족과 삶의 질을 가늠할 수 있는 자아실현과의 관계성을 파악하여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맞춤형 여가마케팅 전략을 제시하고자 연구하였다. 실증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문제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라이프스타일 요인분석결과 외모중시형, 계획적생활형, 서구편리추구형, 여가향유 및 리더적활동형, 건강중시형, 알뜰절약형의 6개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군집분석 결과에서는 3개의 군집인 외모/건강/여가향유형, 서구편리추구형, 알뜰/계획생활형의 3개 군집으로 분석되었고, 여가만족의 요인분석결과 생리만족, 교육만족, 사회만족, 심리만족, 휴식만족, 환경만족 요인으로 도출되었고, 자아실현 변수에서는 정서적, 업무적, 도덕적 자아실현으로 분석하였다. 둘째,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여가만족 차이분석결과 외모/건강/여가향유형 집단과 알뜰/계획생활형 집단의 여가만족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자아실현에 여가만족이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 결과 정서적 자아실현에는 사회만족과 휴식만족이 중요한 변수임을 나타냈고, 업무적 자아실현에는 생리만족과 사회만족이 주요한 영향관계를 보였다. 도덕적 자아실현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심리만족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가와 관련된 사업에 여가활동 집단의 욕구와 여가만족을 높이기 위한 전략적 방안 강구가 가능하며, 여가 활성화 차원에서 어떠한 관점에서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relationship with leisure satisfaction and self realization which can make judge quality of life etc. based on more correct and systematic examination about desire for recent leisure activity populat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tried to suggest customized leisure marketing strategy according to life style.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of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type of life style, it was identified that leisure satisfaction of group of appearance/ health/ leisure-enjoying type and sparing/planned life type was high. Second, as a result of identifying influences of leisure satisfaction on self realization, for emotional self realization, social satisfaction and rest satisfaction are important variables. For self realization in job,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social satisfaction showed major influencing relation. It was analyzed that factor to affect moral self realization was factor of psychological satisfaction. To improve leisure satisfaction, measures to increase leisure participation frequency and leisure participation time are required. And shown in the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making groups of life style, it was identified that leisure satisfaction of group of appearance/ health/ leisure-enjoying type was high. And it was suggested that measures for improving low leisure satisfaction of group in type of pursuing Western convenience and related strategy are needed.

      • KCI등재후보

        여가활동 참여 장애인의 여가만족과 생활만족간의 관계

        정연홍 동북아관광학회 2013 동북아관광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여가활동 유형 가운데 국내 관광여행과 문화예술 관람을 경험한 장애인 을 대상으로 여가만족과 생활만족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 분야는 그 동안 기존 연구에서 스포츠와 관련하여 소수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장애인이 참여한 여가활동에 따른 여가만족과 생활만족간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확인하였다. 첫째, 국내 관광여행에 참여한 장애인의 관광행동으로 숙박여행은 여가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예술 관람활동은 장애인의 여가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활동에 참여한 장애인이 지각하는 여가만족은 생활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애인의 차별인식은 여가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의 여가활동은 장애인의 기본욕구 가운데 일상생활권과 탈일상권에서 충족되어야 할 기본권리이다. 장애인의 여가활동은 기본권리인 이동권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있다. 이것은 장애인이 사회적 차별을 극복하고 생활공동체를 조성하여 사회통합을 이루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정부와 공익적 단체는 장애인의 여가활동에 실천적으로 대응하여 사회적 거리감을 감소시켜야만 할 것이다.

      • KCI등재

        오토캠핑이 가족여가만족, 생활만족, 가족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신충식,박정열 여가문화학회 2013 여가학연구 Vol.11 No.1

        This study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an auto camping as family leisure on family leisure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the age of auto camping participants is mostly ranged in the thirties to forties and fathers take lead it. Second, it is indicated that family auto camping participation group has meaningfully higher satisfaction of family leisure, life, and family relationship than non-participation group. Third, it is considered that the more numbers of participation in the family auto camping, the higher satisfaction of family leisure, life, and family relationship. Forth, while leisure time, leisure expenses, and family income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family leisure satisfaction, whether people participate in family auto camping and how frequently they have family leisure activities were meaningful factors to assess the family leisure satisfaction. In particular, it is shown that whether they attend family auto camping is more influential to the family leisure satisfaction. The outcome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basic inform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family leisure and to vitalize the auto camping. 본 연구는 가족여가활동으로서 오토캠핑에 대한 참여가 가족여가만족, 생활만족 및 가족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차원에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토캠핑 참여자의 연령대는 30∼40代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아버지에 의해 주도(主導)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오토캠핑 참여집단은 미참여집단에 비해 가족여가만족도, 생활만족도, 가족관계만족도가 모두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오토캠핑 참여횟수가 많을수록 가족여가만족도, 생활만족도, 가족관계만족도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가시간, 여가비용, 가구소득은 가족여가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반면, 가족오토캠핑 참여유무와 가족단위 여가활동 빈도는 가족여가만족도를 예측하는 의미 있는 변인이었다. 특히 가족오토캠핑 참여유무는 가족여가만족도에 더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이러한 결과는 가족여가생활의 질 향상과 오토캠핑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무용전공 대학생의 여가만족이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박혜란(Hea Ran Park) 한국무용과학회 2011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3 No.-

        본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의 여가만족이 학교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 하고자, 여가참여 정도에 따른 여가 만족과 학교생활 만족의 관계를 분석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서울지역에 위치한 4개 대학교에서 유층집락무선표집법(stratified random sampling)에 의해 대학생 모집단을 설정한 후 표본을 추출하여 총 240부를 배포하였으며, 연구의 정확성을 위하여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내용이 부정확하거나 설문에 응답하지 않은 15부를 제외한 225부가 분석에 사용 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요인분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중다회기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분석 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무용전공 대학생이 가장 많이 수행 하는 여가활동은 스포츠, 여가시간은 저참여에 포함되어 있으며, 주된 여가시간대는 18-23시, 앞으로 가장 하고 싶은 여가활동은 관람감상, 여가참여이유로는 스트레스 해소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만족의 교육만족, 휴식만족, 생리만족은 저참여(0~20시간)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생리만족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여가참여 시간에 따른 학교생활만족과의 관계는 물리적 환경과 학교행사 및 특별활동 요인만 저참여 집단이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행사 및 특별활동은 여가참여시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여가만족과 학교생활만족과의 관계는 학교관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학교생활만족은 여가활동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는 결과를 볼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university dance students'leisure satisfaction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ir leisure participation.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225 students sampled from four universities in Seoul using a questionnaire on leisure satisfaction. First, with regard to university dance students' leisure participation level, the most frequent leisure activities were sports, and the group classified as low participation was largest. The most favorite time slot for leisure activities was 18~23 o'clock, the leisure activity that they wanted to do most in the future was viewing and appreciation, and the most frequent reason for leisure participation was relief from stress. Second, among the sub-factors of leisure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rest satisfaction and physiological satisfaction were higher in the low participation (0~20 hours) group, physiological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leisure participation time. Thir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university dance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ir leisure participation time, only physical environment, school event and special activity were higher in the low participation group, teacher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school event and special activ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leisure participation time. Fourth, school life relationship and teacher relation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teacher relationship and physical environ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school relation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physiological satisfaction.

      • KCI등재

        공무원의 여가활동, 여가장애 요인이 여가만족과 삶의 질에 대한 인과관계 연구

        김홍남,정인서,김민수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08 고객만족경영연구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public officers' leisure satisfaction influenced by leisure activity behaviors and barriers factors will affect their life qual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it proves that age, term of service, and marriage are closely related to leisure activity. Besides, it seems that leisure satisfaction have little to do with a living standard according to demographical characters. The people living a stable life along with positive attitude have more interest in leisure and life quality. Second, a wide variety of leisure activities brings out increased leisure satisfaction, which generally affects life quality. And the type of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y have much to do with control effect. Third, time, expense and leisure type are categorized into leisure barriers factors. But these factors don'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quality. In conclusion, when leisure facilities are properly provided, participants are willing to take part in leisure activity more actively. 여가활동은 건강관리, 체력 증진, 스트레스 해소, 정서적 안정과 휴식 등의 효과를 위해서 필요하다. 공무원의 여가활동 행태와 여가장애 요인에 따라 여가만족이 직장만족, 생활만족과 같은 삶의 질에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는가에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 근무기간, 결혼여부에 따라서 여가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다. 또한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여가만족과 삶의 질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안정된 생활환경을 가진 계층이 상대적으로 여가만족과 삶의 질에 관심이 많고 긍정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다. 둘째, 다양한 여가활동은 여가만족의 증대를 가져오고 이는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삶의 질에 긍정적인 인과관계가 있다. 또한 여가활동 참여유형에 따른 조절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여가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인과관계는 다르다. 셋째, 시간이나 비용, 여가 대상 등의 문제는 여가장애 요인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장애요인이 실질적으로 여가만족과 삶의 질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결국 여가활동은 본인의 의지가 중요하며 여가 시설이 적절하게 제공될 때 적극적인 참여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다.

      • 생활체육교실 프로그램 참여자의 참여특성이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용(Jung, Yong) 한국여가복지학회 2020 여가복지경영연구(여가복지) Vol.1 No.2

        본 연구에서는 관할 지역 거주 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여가스포츠프로그램인 생활체육교실에 참여하는 지역주민들의 여가만족도를 조사하여 해당지역 단체의 생활체육 프로그램의 구체적 효과를 파악하고자 참여자의 특성에 따른 여가만족도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G시 생활체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남자 91명, 여자 192명 총 283명을 대상으로 여가 만족에 관한 척도를 사용하여 운동프로그램참여특성에 따른 여가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운동시간에 따른 여가 만족도를 보면, 심리, 교육, 휴식, 생리적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운동빈도에 따른 여가 만족도를 보면, 심리, 사회, 휴식, 생리적 만족과 전체 여가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운동경력에 여가 만족도를 보면, 심리, 사회, 생리적 만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isure satisfaction of leisure sports program participants according to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The 283 subjects were selected by the systematic random sampling method from the participants of leisure sports program in G city. The questionnaires for leisure satisfaction was Leisure Satisfaction Scale. The method of statistics analysis is one way ANOVA for analysis to collected material.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 were obtained :1. The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participant times of leisure sports program i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sychological, educational, relaxation, ,physiological, and general satisfaction. 2. The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participation degree of leisure sports program i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sychological, social, relaxation, physiological, environmental, and general satisfaction. 3. The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participant career of leisure sports program i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sychological, social, psychological satisfaction.

      • KCI등재

        대학생의 여가참여형태에 따른 여가만족도 및 학교생활만족도

        이유진,황선환 한국융합과학회 2020 한국융합과학회지 Vol.9 No.2

        Purpose: This study identified the differences in leisure satisfaction by college students' leisure types, hours, and partners. Furtherm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leisur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affected their school life satisfaction. Methods: The research target was set as a population of four-year college students in Seoul, 2019, and 309 copies collected by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ere used for analysis. As for the data processing metho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One-way ANOVA, Multi-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4.0 program. Results: First, among the leisure types that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sports and social services showed higher leisure satisfaction than the rest. Second, college students were found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ir leisure when they participated in leisure activities alone or with friends than with their families. Third, the more leisure hours students had,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leisure. Fourth, college students' leisure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Conclusion: Based on the lifestyle and leisure life of college students', active leisure participation is encouraged, and the justification of customized leisure welfare and leisure education that can develop into lifelong leisure is enhanced.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여가유형별, 시간별, 동반자에 따라 여가 만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 나아가 대학생들의 여가만족도가 학교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2019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수집된 309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방법은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 분석, One-ANOVA, Multi-way ANOVA, 상관관계분석, 단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대학생들이 참여한 여가유형 중에서 스포츠유형과 사회봉사유형이 휴식유형보다 여가생활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은 가족보다 혼자서 혹은 친구와 함께 여가에 참여할 때 여가생활만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들은 여가시간이 많을수록 여가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여가만족은 학교생활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결론: 대학생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여가 생활에 기초하여 적극적인 여가 참여를 권장하고, 평생 여가로 발전할 수 있는 맞춤형 여가복지와 여가교육의 당위성이 제고된다.

      • KCI등재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여가만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여가참여 수준과 경제 수준의 조절효과 검증

        황선환(SunhwanHwang),김종호(KimJongho) 한국체육학회 2016 한국체육학회지 Vol.5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여가만족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여가참여 수준과 경제 수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한국의 K광역시와 중국의 C시에 거주하면서 여가동아리에 참가하고 있는 대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이 불성 실하거나 답변이 누락된 설문지를 제외하고 한국 310부, 중국 310부, 총 620부의 설문지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여가만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본 연구의 주요 연구 문제인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여가만족과 삶의 만족에서 참여 수준과 경제 수준의 조절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한국 대학생의 여가만족 하위 요인 중 심리적 만족, 사회적 만족, 환경적 만족에서 삶의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국 대학생의 여가만족 하위 요인 중 사회적 만족이 삶의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참여 수준과 경제 수준은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여가만족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 대학생의 삶의 만족을 결정하는 요인 중에서 여가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지만 중국 대학생들의 삶의 만족 을 결정하는 요인 중에서 여가는 큰 비중을 담당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leisure participation and economic leve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A total of 620 surveys was employed for the analyse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leisure participation and economic levels. As the results, psycholog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leisure satisfa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in Korean. However, only social leisure satisfaction had it in Chinese. Secondly, there wa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leisure participation and economic leve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both college student groups. Finally, leisure satisfaction of Korean college students is an important factor for life satisfaction, whereas it is not a critical dimension for life satisfaction in Chinese college students.

      • 대한민국 국민의 여가시간은 충분한가?

        황희성 ( Heesung Hwang ),이유진 ( Yujin Lee ),황선환 ( Sunhwan Hwang ) 한국융합과학회 2022 한국융합과학회 국제학술대회자료집 Vol.2022 No.0

        목적: 대한민국은 ‘국민여가활성화기본법’과 ‘주52시간근무제’도입과 같이 국민의 여가를 보장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2019년 발병한 COVID-19로 인하여 우리의 삶은 송두리째 바뀌었고, 다양한 제약이 발생하면서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여가시간이 갑자기 증가하게 되었다. 때문에 여가에 대한 인식과 행복에 대한 생각이 변화했을 가능성이 높다. 시간을 인식하는 것은 매우 주관적이기에 그것이 길고 짧은지 느끼는 것에 따라 ‘자신이 충분한 시간을 갖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2019년도와 2021년도 국민여가활동조사’를 활용하여 코로나 발생 전과 후의 여가시간, 여가시간충분도, 여가만족, 그리고 행복과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과정: 국민여가활동 조사의 전체 표본 수는 2019년 10,060명, 2021년 10,049명이다. 측정변인으로 인구사회학적특성은 성별, 나이, 교육 수준, 결혼 유무, 월 소득을 살펴보았고, 주요변인은 평일 여가시간, 평일 여가시간충분도, 여가생활만족도, 행복을 활용하였다. 자료처리방법으로 SPSS 27.0 version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변인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과, Andrew F. Hayes가 개발한 Process Macro 프로그램의 Model 7번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통계치에 대한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평일 여가시간과 행복은 2019년도에 비해 2021년도가 높은 반면에, 평일 여가시간충분도와 여가생활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일 여가시간은 2019년과 2021년 모두 행복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019년도의 평일 여가시간과 행복의 관계에서 여가생활만족도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2021년도는 평일 여가시간과 행복의 관계에서 여가생활만족도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2019년의 경우, 평일 여가시간과 행복의 관계에서 여가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평일 여가시간충분도의 수준에 따른 여가생활만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의 경우, 평일 여가시간과 행복의 관계에서 여가시간충분도의 수준에 따른 여가생활만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시간충분도가 높은 집단은 여가시간이 증가할수록 여가만족도가 낮아지고, 여가시간충분도가 낮은집단은 여가시간이 증가할수록 여가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여가시간충분도는 여가시간이 여가만족을 경유하여 행복으로 가는 경로를 조절하였다.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의지와 결과의 만족에서 가치는 결정되는 것이다. 하루에 더 많은 여가시간을 가지지 않고도 그 시간을 풍요롭게 느끼며, 자신의 여가활동에 최대한의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려는 노력은 행복한 삶의 가치를 극대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The Republic of Korea has made efforts to guarantee the leisure of the people, such as the introduction of the “Framework Act on Leisure Activation” and the “52-hour maximum work week policy”. However, due to COVID-19, which occurred in 2019, our lives have changed, and as various restrictions have occurred, leisure time has suddenly increased regardless of our intention. Therefor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perception of leisure and the idea of happiness have changed. Recognizing time is so subjective that depending on how you feel whether it is long or short, thinking that you have enough time can also appear differently.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we inte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time, leisure time sufficiency, Leisure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outbreak using the “2019 and 2021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Method: The total number of samples in the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was 10,060 in 2019 and 10,049 in 2021. As measurement variable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by gender, ag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and monthly income, and the main variables were leisure time on weekdays, leisure time sufficiency on weekdays, satisfaction with leisure life, and happines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7.0 version as data processing methods. In addition, Model 7 of the Process Macro program developed by Andrew F. Hayes was us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e significance level for all statistics was set to 5%. Result: The conclusions derived from thi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leisure time and happiness on weekdays were higher in 2021 than in 2019, while leisure time sufficiency and Leisure life satisfaction were lower. Second, leisure time on weekday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happiness in both 2019 and 2021. Third, it was found that leisure life satisfaction had no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time and happiness on weekdays in 2019. On the other hand, in 2021, leisure life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4)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time and happiness on weekdays. Fourth, in 2019,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leisure lif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time and happiness, but there was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leisure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leisure time sufficiency. In the case of 2021,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leisure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leisure time suffici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time and happiness. It was found that leisure life satisfaction decreased as leisure time increased in the group with higher level of leisure time sufficiency, however leisure life satisfaction increased as leisure time increased in the group with lower level of leisure time sufficiency. Conclusion: Leisure time sufficienc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time and happiness mediated by Leisure life satisfaction. The value is determined by the will to do and the satisfaction of the result. Efforts to find ways to feel rich in time without having more leisure time a day and feel the maximum satisfaction of one's leisure activities are expected to maximize the value of a happy life.

      • KCI등재

        생활만족에 대한 직무만족과 여가만족의 관계

        박세영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4 No.2

        본 연구는 직장인들의 직무만족과 생활만족의 관계와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의 관계를 살펴보고, 직무만족과 여가만족의 생활만족에 대한 기여도를 규명하며, 직무만족과 여가만족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들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어서 성별, 연령, 교육수준, 결혼여부, 직위, 직종, 수입을 통제변수로 함께 고려하였다. 또한 직무만족의 하위요인들과 여가만족의 하위요인들 간의 생활만족과의 관계를 함께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611명의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삶의 질을 나타내는 생활만족을 알아보기 위해 주관적 안녕감 중 삶의 만족과 심리적 안녕감의 6개 영역을 포함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생활만족을 측정하기 위한 삶의 만족과 심리적 안녕감의 상관은 .535로 나타나 수렴타당도가 확인되었다. 직무만족은 생활만족에 대해 33.6%의 설명변량을 갖고 있고 여가만족은 생활만족에 대해 20.9%의 설명변량을 가져, 여가만족보다 직무만족이 생활만족에 더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무만족과 여가만족은 함께 생활만족에 대해 39.6%의 설명변량을 가져 직무만족과 여가만족 모두 생활만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직무만족과 여가만족과의 상관은 .429였고, 직무만족의 하위요인들과 여가만족의 하위요인들은 모두 상관이 유의하여 직무만족과 여가만족이 서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추후 연구의 과제를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