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간호업무 종사자들의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 일부병원을 중심으로

        류규수,홍수환 慶山大學校 1997 論文集 Vol.15 No.1

        1. 연구의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업무종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스트레스 및 직무만족정도 및 그 관계성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부산·대구·서울지역 종합병원(400병상이상) 8곳에서 간호조무사를 포함한 간호업무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중환자실 간호업무종사자 190명·병동간호업무종사자 251명·외래간호업무종사자 59명으로 총 500명이었다. 스트레스는 그 요인으로 업무량·간호기술·동료와의 역할분담·타의료요원과의 관계·상위직과의 관계로 나누었으며, 직무만족요인으로는 의사결정요인·집단갈등 요인·역할수행요인·개인사회문화요인으로 나누었고,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는 연령·교육정도·근무처·종교·결혼여부·간호경력·간호직에 종사할 예정기간, 간호직을 택한 동기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평균분석, 회귀분석, 상관분석.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업무종사자의 스트레스 정도는 2.9177점으로 보통이다(3)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것으로, 대상자의 전체 스트레스는 그다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인구사회학적특성에 따른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살펴본 바, 20세에서 24세군과 교육정도가 전문대졸군과 중환자실 간호업무종사자군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결혼여부에서는 기혼군에서, 간호직을 택한 동기에 있어서는 경제적 면을 고려한 군에서, 그리고 빨리 간호직을 그만두고 싶다군이 비교되는 군보다 스트레스 정도가 더 심하였다. 셋째, 연령은 간호기술과 상위직과의 관계에서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근무 경력에서도 업무량·동료와의 역할분담·상위직과의 관계에서 매우 유의했다. 넷째, 근무처에 따른 전체 스트레스정도는 중환자실 간호업무종사자가 병동간호업무종사자에 비해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했으나, 환자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병동간호업무종사자의 스트레스가 더 높았다,(p<0.01) 다섯째, 대상자의 전체직무만족정도는 2.8668점이였으며(p<0.01), 특히 집단갈등 요인과 역할수행요인에서 더 높은 만족정도를 보였다. 여섯째,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경력·결혼여부·간호직을 택한 동기·간호직에 종사할 예정 기간에 대해서는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일곱째,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상관관계분석에서는 모든 스트레스요인과 직무 만족요인 중 의사결정요인과는 역 상관관계에 있었으나, 상관계수는 약하게 나타났고, 그 외의 관계에서는 (+)상관이었으나, 역시 상관성은 아주 약했다. 특이점은 업무량과 의사결정만족요인. 업무량과 역할수행만족요인은 상관계수가 다른 요인보다 다소 강하였으나, 그 관계는 보통의 관계를 가졌다. 2. 연구의 한계점과 제언 본 연구의 한계점은 표본선정의 대표성 문제였다. 즉 조사대상을 부산·대구·서울 지역 8곳 병원을 한정하였으므로 연구대상이 전체 병원의 간호업무종사자를 대변할 수 없다는 제한점이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을 참고로 하여, 개인적 특성에 따른 간호업무종사자들의 스트레스 정도와 직무만족정도 및 그 관계성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으나. 스트레스정도 및 그 관계에 있어서는 많은 연구들이 있었으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정도 및 그 관계를 스트레스와 관련한 연구들이 많지 않음을 감안하여, 연구를 시도하였지만. 표본대상자의 문제 및 연구서술상 스트레스에 더 치중하여 직무만족과의 관련성을 더 심도 있게 다루지 않았음이 본 연구의 한계점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스트레스정도와 직무만족정도가 높은 정도는 아니였지만 대체로 상위직과의 관계와 업무량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한다는 점에서 병원 경영자들은 간호업무종사자들의 개인적 특성과 능력을 고려하여 업무량을 적정화하는데 더욱 힘을 기울려야 할 것이고. 병원조직 중 간호조직이 타 조직보다 경직되어 있음이 본 연구의 결과와 기타 일반적 소견으로 판단되어 이에 대한 보완 연구가 계속되어야 하리라고 본다.

      • KCI등재후보

        지역사회 노인요양시설의 활성화를 위한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업무환경영향요인 연구

        김윤균,금상욱,곽미정 한국부동산경영학회 2017 부동산경영 Vol.16 No.-

        This paper examined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of care worker in connection with influence of work environment to level of satisfaction with work for them with the introduction of a long-term care system.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ly it was found that work identity of work environment and work feedback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relevant empowerment of care worker. Secondly it appeared that work environment of care worker has positive influence to remuneration satisfaction and work satisfaction. Thirdly, in terms of mediating effect by empowerment of care worker on satisfaction of remuneration and work satisfaction there was such effect. It appeared that relationship empowerment of care worker and personal empowerment has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ory relationship with their colleague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all of subordinate factors of empowerment has positive influence to satisfaction of duties itself. Other than that in terms of influence of care worker's work environment to satisfaction of works and in terms of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it was found that to 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in remuneration and treatment work identity, work self autonomy and work feedback have positive influence. And result of analysis of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related to relationship of work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of remuneration level it was found that it satisfied partial mediating conditions related to work identity, work self-autonomy, work feedback and satisfaction with remuneration. Also in terms of relationship with satisfaction of work environment and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role of mediation of relevant empowerment was partial in terms of relationship to work identity, work self autonomy, work feedback and satisfaction with colleagues. Result of analysis of mediating role of relevant empowerment in connection with work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with work itself it was found that relevant empowerment satisfied conditions in connection with relationship of work identity, work self autonomy, work feedback and satisfaction with work itself. It was found mediating role of personal empowerment in relationship of work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with remuneration treatment had partial mediation among work autonomy, work feedback and satisfaction with remuneration and treatment. Thus it was found there was need for consideration of care worker. Thus this study signifies importance of empowerment of care worker in connection with foregoing study which showed work environment plays positive role for job satisfaction of the care worker. 본 논문은 장기요양제도의 도입에 따라 요양보호사의 업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특히 요양보호사의 임파워먼트가 가지는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업무환경의 업무정체성, 업무피드백이 요양보호사의 관계 임파워먼트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업무환경이 직무만족의 보수대우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업무환경의 하위요인인 업무피드백이 동료관계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요양보호사의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의 보수대우 만족에 미치는 매개효과는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의 보수대우 만족에 영향을 주고 있었고, 동료관계의 만족에 요양보호사의 관계 임파워먼트, 개인 임파워먼트가 동료와의 관계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임파워먼트의 하위요인 모두 직무자체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요양보호사의 업무 환경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에 있어서는, 업무환경과 보수 및 대우 만족에 업무환경의 업무정체성, 업무자율성, 업무피드백이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업무환경과 보수대우 만족과의 관계에서 관계 임파워먼트의 매개역할에 대한 분석 결과 업무정체성, 업무자율성, 업무피드백과 보수대우 만족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업무환경과 동료관계 만족의 관계에서 관계 임파워먼트의 매개의 역할은 임파워먼트가 업무정체성, 업무자율성, 업무피드백과 동료관계 만족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업무환경과 직무자체 만족과 관계에서 관계 임파워먼트의 매개역할을 분석한 결과 관계 임파워먼트는 업무정체성, 업무자율성, 업무피드백과 직무자체 만족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업무환경과 보수대우 만족에서 개인 임파워먼트의 매개역할은 업무자율성, 업무피드백과 보수대우 만족 간의 부분매개인 것으로 분석되어 요양보호사의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업무환경이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연구에 이어서 요양보호사의 임파워먼트의 중요성을 함의하고 있다.

      • 정신과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희진,배정이 국가위기관리학회 2014 국가위기관리학회보 Vol.6 No.2

        본 연구는 정신과 간호사가 근무 중에 느끼게 되는 업무스트레스의 양상을 파악하고, 정신과 간호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직무만족을 높이고, 간 호사 자신의 자아실현을 도모하여 질적인 정신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 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에 소재한 4개 종합병 원 정신과와 5개 정신전문병원에서 만 6개월 이상 근무 중인 간호사 142명을 대상으로,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업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직무만족도와의 차이를 검정해 본 결과 업무스트레스는 대상자의 결혼상태(t=12.59, p=.001)와 병원형태(t=8.28, p=.005)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상자의 학력(F=3.19, p=.026), 정신과 근무 경력(F=4.792, p=.003)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직무만족도의 차이에서는 대상자의 연령 (F=2.87,p=.025), 정신과 근무기간(F=3.32, p=.02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 다.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r=.19, p=.024)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 고. 업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r=-.17, p=.043)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정신과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는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자기효능감 역시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이므로, 여러 가지 상황과 관련된 업무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적절한 스트레스 관리 방안과 정신과 간호사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들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 unified administrative system on North and South Korea according to previous review studies. And I suggest for necessary administrative system the purpose of settlement. Unification types of problems occur after the unification administrative system seen a variety of previous studies. Suggested by previous studies, I propose the threedimensional scheme. Finding results First, the stabilization of North Korea is a fundamental requirement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integration. Second, the public-private cooperation should be integrated administrative system. Third, thorough and predictable situation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specifically assumed. However, this study is free to suggest their views but prediction of limitation about the administrative system. So It contributes research proposals in terms of the other follow-up studies.

      • RISS 인기논문 KCI우수등재

        포괄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의 간호업무와 직무 스트레스,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정덕유,이민경 한국간호과학회 간호행정학회 2015 간호행정학회지 Vol.21 No.3

        Purpos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ask performance, importance, knowledge, and level of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working in a hospital with no family or family paid auxiliary caregivers. Methods: Participants were 119 nurses working in hospitals with no guardians. The questionnaire contained 488 items: general characteristics, performance, importance, knowledge of nursing task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SPSS WIN 21.0. Results: Most frequently performed nursing tasks were patient nursing management and information management. Nursing tasks perceived as most important were medication and transfusion and nursing tasks with the highest knowledge were also medication and transfusion. Nursing task (subcategory) most frequently performed was oral medication. Nursing task (subcategory) perceived as most important was mental status observation and nursing task (subcategory) with the highest knowledge was vital sign check. Nurses’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 The mean scores for nurse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ere low.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nurses working in hospitals with no guardians perform daily living assistance services more often than previously, and nurses need to be prepared to do these tasks. 연구 목적: 입원환자의 간병 문제를 해결하고자 정부는 포괄간호서비스를 통해 간병서비스의 제도화를 추진하여 추후 전국으로 확대 할 예정이다. 그러나 포괄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의 간호업무가 명확히 분류, 명시되지 않아 혼란을 일으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포괄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의 간호업무 수행도, 중요도, 지식정도를 확인하여 간호업무의 실태를 파악하고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 방법: 연구대상자는 포괄간호서비스병원 1차 시범사업에 참여중인 5개 의료기관의 보호자 없는 병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119명이었다. 일반적 특성, 간호업무별 수행도, 중요도, 지식정도,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으로 구성된 총 486문항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간호업무 수행도, 중요도, 지식정도와 연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간호업무와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의 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대상자의 12개 간호업무영역(대분류) 수행도는 ‘환자간호관리 및 정보관리’, 중요도는 ‘투약 및 수혈’, 지식정도는 ‘투약 및 수혈’이 가장 높았고 간호업무영역별 149개 간호업무(소분류) 수행도는 ‘경구약 투약’, 중요도는 ‘의식상태 관찰’, 지식정도는 ‘활력징후 측정’이 가장 높았다.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는 평균 49.42±8.67점, 직무만족은 문항 평균 점수 2.78±0.793점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은 서로 유의한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r=-.60, p<.001). 대상자가 수행하는 간호업무 중 직무만족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업무는 ‘마약 및 독극물 구분 점검’(r=.30, p<.001), ‘배액양상 및 배액관 기능 관찰’(r=.25, p=.006),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업무는 ‘보행기 사용 시 보조’(r=-.28, p=.002), ‘침상 홑이불 부분 교환’(r=-.22, p=.017) 이었다. 직무스트레스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간호업무는 ‘가습기 적용’(r=.29, p=.001), ‘보행기 사용 시 보조’(r=.29, p=.002),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업무는 ‘자살예방을 위한 관찰’(r=-.39, p<.001), ‘마약 및 독극물 구분 점검’(r=-.32, p<.001), ‘배액양상 및 배액기능 관찰’(r=-.30, p=.001), ‘각종 감시기를 통한 관찰’(r=-.28, p=.002) 이었다. 결론: 연구대상자의 간호업무 중 일상생활 보조업무의 수행이 증가하였으며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은 낮고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 또 일상생활보조업무 수행은 직무스트레스와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직무만족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

      • KCI등재

        영상제작인력의 업무자율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희진(Lee, Hee Jin)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8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영상제작 인력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전문영역 및 다양한 직급의 영상제작 인력(402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직업만족도와 관련요인들의 직간접효과 및 조절효과를 밝힌 실증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영상제작인력의 직업만족도에 이들의 업무자율성이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 업무자율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의사소통 능력이나 대인갈등 요소에 의하여 증가 혹은 감소되는 지에 대한 이중매개효과를 입증하고, 셋째, 최근 영상제작분야에서의 성차별 문제에 대한 증대된 관심과 함께, 전술한 영상제작 인력의 업무자율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직접효과 뿐 만 아니라, 의사소통능력 및 대 인갈등의 이중매개효과가 성별에 따라서 어떻게 상이한 양상을 보이는지 규명해 볼 수 있도록 성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자료분석 결과, 첫째, 업무자율성을 많이 가질수록 직업만족도도 높다는 사실이 밝혀져, 영상제작인력의 직업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업무자율성이 매우 중요한 선행요인임이 입증되었다. 둘째, 직업만족도에 업무자율성이 미치는 긍정적 직접효과는 특히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두배 이상 월등히 강하게 나타난점이 주목된다. 셋째, 업무자율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남성의 경우 의사소통능력을 매개(mediation)로 하여 한층 더 강화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업무자율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는 여성의 경우에서만 대인갈등을 매개로 약화되었는데, 이러한 대인갈등의 부분매개효과 는 여성에게서만 발견되었다. 영상제작인력의 직업만족도에 업무자율성이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능력 및 대인갈등 등의 매개효과를 규명함에 있어서, 성별의 조절효과가 반드시 반영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고, 자료분석 결과 밝혀진 주요 사실들을 토대로, 영상제작 인력의 직업만족도 향상을 위한 함의를 모색하고 논의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an empirical research, which i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with 402 film and television workers. The predominant concern of the study consist of: (1) the direct effects of job autonomy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film and television industry workers; (2)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conflict on their job satisfaction; (3)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The notable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the more job autonomy at work,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proved that job autonomy is a very important factor to improve job satisfaction of film and television workforce. Second, the positive effect of women s work autonomy on job satisfaction is more than twice as high as that of men. Third, the positive effect of job autonomy on job satisfaction is found to be further strengthened by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of male, and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communication competence proved. Forth, the positive effect of job autonomy on job satisfaction was weakened, which is mediated by interpersonal conflict among female workers, and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interpersonal conflict was found only in female. In order to study the effects of job autonomy on the job satisfaction of film and television workers, the mediating effects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conflicts should be reflected in the moderation effect of gender. Some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study s findings.

      • KCI등재

        영화제작인력의 업무효능감 및 업무자율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 - 의사소통능력의 간접효과와 경력장애 조절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이희진 한국영상학회 2018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영화산업의 팽창과 함께 양질의 영화제작 인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영화제작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다양한 직종 및 직급의 종사자들(402명)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직무만족에 업무능력 및 자율성이 미치는 직접효과,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그리고 이러한 직간접효과가 경력장애에 의해 어떻게 유의하게 달라질 수 있는지 경력장애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자료 분석결과, 첫째, 경력장애가 적거나 많은 집단 모두, 업무자율성이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효과를 미치지는 않았지만, 의사소통을 완전매개(full mediation)로 하여, 업무자율성이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부가하여 경력장애가 높은 집단에서, 업무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비록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의사소통능력을 완전매개로 하여 유의한 효과를 미칠 수 있음이 밝혀졌다. 그리고 경력장애가 낮은 집단에서도, 의사소통능력은 업무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한층 더 강화시킨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어, 의사소통능력이 직무만족도를 높이는데 직접적인 효과 뿐 만 아니라, 매우 중요한 매개요인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둘째, ‘업무효능감➝ 직무만족’ 경로는 경력장애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경력장애가 낮은 집단에서는 유의하여 경력장애 수준에 따른 업무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이 상이하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영화제작 인력의 직무만족에 이들의 업무 효능감이 미칠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는 경력장애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기대할 수 없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영상제작 인력의 업무효능감이 직무만족을 높이는 순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경력장애를 감소시키는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고, 주요 발견점을 토대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situation related to the importance of high-quality film crews along with the expansion of the film industry. An empirical study was attempted with 402 film crews. The predominant concern of the study consist of the following: (1) the direct effects of film crews' job efficacy and job autonomy levels on their degrees of job satisfaction, (2)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competence on job satisfaction, and (3) the moderating effect of a career barrier. The notabl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job autonomy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both groups,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communication competence is significant between job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mong film crews with higher career barriers, job efficacy does not directly affect job satisfaction. In the group with a lower career barrier, communication competence shows a partial mediation effect that further enhances the positive effect of job efficacy on job satisfaction. Therefore,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competence is emphasized. Second, job efficacy does not have an impact on job satisfaction among film industry workers with higher career barriers, and the effect of job efficacy is significant in the group with lower career barriers. Hence, a moderation effect is proved. A positive effect of job efficacy on the job satisfaction of film crews cannot be expected when the level of the career barrier is high. In order to demonstrate the job efficacy of film industry worker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the findings here have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efforts to reduce the career barrier should be concurrently made. Some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study's findings.

      • KCI등재

        영상제작인력의 전문성과 경력장애가 이들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업무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성차별적 직장환경의 조절효과분석을 중심으로

        이희진 ( Lee Hee Jin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8 여성학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다양한 미디어 영역에서 영상제작의 증가로 영상제작인력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는 상황에서, 영상제작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직무만족에 전문성과 경력장애가 각각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과 함께, 업무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밝히고, 이러한 직·간접효과에 대한 성차별적 직무환경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영상제작인력에 대한 관련 학계에서의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에 대해 문제제기를 하면서, 본 연구는 다양한 영역에(12개) 활동하고 있는 다양한 직급(4개)의 영상제작 종사자들을 대상(402명)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실증연구이다. 연구모형에 설정한 직·간접경로를 분석은 구조방정식모형(SEM)을 토대로 AMOS 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부트스트레핑 방법을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을 하였고, 다집단분석을 이용하여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에서 임금, 승진, 업무역할 등에서 성차별 수준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모두 영상제작 종사자들의 직무만족에 이들의 전문성은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경력장애는 직무만족에 정적 직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두 집단 모두 업무효능감에 경력장애는 직접적인 효과를 미치지 않았지만, 전문성은 업무효능감에 정적 직접효과를 미쳤다. 셋째, 성차별이 낮은 집단에서는 업무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는 매우 높았지만, 성차별이 높은 집단에서는 업무효능감이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따라서 업무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성차별 수준에 의해 그 양상이 상당히 다르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성차별이 낮은 집단의 경우, 전문성이 직무만족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업무효능감을 완전매개로 하여, 전문성이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즉, 업무효능감은 성차별이 적은 집단에서 전문성이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매개요인임이 입증되었다. 전문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업무효능감이 미칠 수 있는 매개효과, 그리고 업무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직접효과 등은 성차별 정도에 따라 유의하게 그 양상이 달라질 수 있음이 확인되어, 성차별의 조절효과가 실증적으로 규명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사실들을 토대로, 미디어 제작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영상제작 인력들의 직무만족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안모색에 고려할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situation that the importance of the film and television industry workers increases due to the expansion of video productions in various media areas. The predominant concern of the study consist of: (1) the direct effects of professionalism and career barrier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film and television industry workers; (2) the mediating effect of the job efficacy on their job satisfaction; (3)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discrimination. The film and television industry workers have been overlooked in research despite of the active development in medai area. An empirical research was attempted, which i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with 402 film and television workers who are in various fields(12) and positions(4). In order for respondents to verify research questions, structural equation models were explored. A variety of tests were conducted including multi-group analysis, and bias-corrected boot-strapping with AMOS 20. The notable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the professionalism of the film and television industry workers does not have direct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however, the career barrier influences on the job satisfaction in both group with higher and lower gender discrimination in wage, promotion, and job roles at work. Second, while the career barrier does not effect on the job efficacy, professionalism has a direct affect on the job efficacy in the both groups. Third, the job efficac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in the group with lower gender discrimination, but the effect of job efficacy is not significant in the group with higher gender discrimination. Therefore, the effect of job efficacy on job satisfaction is prove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sex discrimination level. Lastly, while professionalism does not directly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it is found that professionalism can positively affect job satisfaction with full mediation effect of job efficacy in the group with lower gender discrimination. That is, job efficacy is proven to be an important mediator that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a group with low gender discrimina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discrimination is proved empirically according to the different tend between the two group in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job efficacy on the job satisfaction. Some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study's findings in order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the film and television workers in media industry.

      • KCI등재

        초등학교 특수교육보조원의 업무 실태 및 만족도 조사

        하지영 ( Ha Jiyoung ),윤형준 ( Yun Hyungjun ),김영교 ( Kim Young Kyo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4

        본 연구는 특수교육보조원의 업무 실태 및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C시 초등학교 특수교육보조원 68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 첫째, 고유 업무의 중요도에서는 장애학생의 개인욕구지원, 교수-학습 지원, 그리고 문제행동 관리지원이 모두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실제 현장에서 가장 많이 수행하는 업무로는 현장학습 도우미와 식사지도, 그리고 학교 내 이동으로 나타났다. 고유 업무 외 잡무여부를 묻는 응답에서는 “하고 있다”의 응답률이 높게 나왔으며, 잡무 유형으로는 담당학급과 교내외 청소, 그리고 사무 업무보조와 같은 행정업무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업무 만족도에서는 비교적 만족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만족하는 이유로는 수월한 학급업무와 수업진행에 대한 지원으로 나타났다. 셋째, 담당특수교사와의 협력관계 실태에서는 근무기간에 따른 다양한 업무전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업무관계에서도 상호협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담당특수교사와의 협력관계 실태에 따른 만족도에서는 담당특수교사와의 업무관계에서 만족하고 있는 반면, “인간적인 무시 면”에서 높은 불만족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특수교육보조원의 근무여건의 개선과 역할, 업무 만족도 등 특수교육보조원의 전반적인 업무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의의가 있을 것으로 본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working status and satisfaction of 68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at elementary schools in Changwon City.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re presented here: First, as for the importance of peculiar tasks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individual need support of students with disability,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and problematic behavior support were their important tasks. The tasks they actually do the most were helpers on field trips, eating guidance, and movement inside schools. When they were asked whether they had miscellaneous duties in addition to their peculiar tasks, they responded that they do a lot. As for types of miscellaneous duties, classes, cleaning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and office work assistance were investigated. Sec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working satisfaction of the subjects, it was discovered that they were relatively satisfied because of easy class work and teaching support. Third, as for coopera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y used diverse communication ways and were cooperative each other. Fourth, as for satisfaction in cooperation between them, they were satisfied, but they were very unsatisfied in that they were ignored and did not have humane trea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as basic data for better working conditions and task management with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 KCI등재

        아파트 경비원의 경비업무 수행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 및 만족도

        김창호,하정훈 한국치안행정학회 2013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0 No.1

        이 연구는 공동주택 유형 중 아파트를 관리하는 경비원에 대한 기본업무, 장단점, 만족 및 불만족 요인들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과 만족도를 조사하여 경비원의 역할 정립과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서울특별시 소재 아파트 거주자 1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 편차와 같은 기술통계와 t-test를 바탕으로 그룹간의 차이검증을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주택 아파트 경비원의 기본업무는 방범순찰, 부재 시 택배보관, 주차관리, 출입구에 대한 교통지도, 제설작업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본업무 외 추가적으로 필요한 업무로는 쓰레기분리수거, 제설작업, 화단관리 및 부재 시 택배보관인 것으로 나타났다. 쓰레기분리수거와 화단관리가 경비원의 기본업무에 추가될 업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공동주택 아파트 경비원의 업무수행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가 높은 요인들은 경비원의 업무태도와 친절 태도로 나타났다. 불만족도가 높은 요인은 경비원의 업무태만과 불친절로 나타났다. 넷째, 공동주택 아파트 경비원으로 인해 나타나는 장점은 경비원과 직접 접촉하여 고충을 해결하는 것이며, 단점으로는 관리비 지출에 대한 경제적 부담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공동주택 아파트 경비원의 업무수행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경비원의 업무충실도, 친절태도, 신뢰도, 주민의 의견 경청과 협조, 경비원 직무에 대한 전문성 수준 등에 대한 인식성향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동주택 아파트 경비원의 개선이 필요한 사항으로는 근무태도가 충실한 경비원으로 교체가 필요하다와 젊은 경비원으로의 교체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비원들은 주민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업무수행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를 형성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fine the role of an apartment security guard and draw an improvement plan by investigating the awareness and satisfaction level of residents in relation to the principal duty,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d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factors of a security guard , who specifically works for an apartment building among the various types of multi-unit dwelling. A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on 121 residents of apartments located in Seoul, and a difference verification between the groups was carried out based on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mean deviation and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The major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rincipal duties of an apartment security guard were considered to be in the order of crime prevention patrol, parcel storage in the absence of residents, parking control, traffic guidance at the entrance area and snow-removing work. Second, as for additionally required duties on top of principal duty, there were garbage collection separation work, snow-removing work, gardening and parcel storage in the absence of residents. garbage collection separation work and gardening can be considered additional tasks of security guards. Third, the resid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work performance of apartment security guard. The factors of high satisfaction appeared to be the security guard's working attitude and kindness, and factors of low satisfaction turned out to be negligence of one's duty and unkindness. Fourth, the advantage of having an apartment security guard was solving difficulties through direct contact with the security guard, and the disadvantage was economical burden caused by outgoings of maintenance fee. Fifth, it demonstrated a high disposition of awareness toward work responsibility, kindness of attitude, reliability, attentive care and cooperation toward residents' opinion, and level of security guard's professionalism as the satisfaction level of security guard's performance increased, Finally, as for the issues that require improvement, replacement suggestions were made to hire a security guard with good responsibility and working attitude, followed by a security guard who is younger in age. Therefore, it suggests that security guards must, above all, establish a desirable attitude toward one's duty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level of residents.

      • KCI등재

        여성 교정공무원의 직무만족 및 업무노력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미국 연방교정국을 중심으로

        이형우,이동영 한국교정학회 2018 矯正硏究 Vol.28 No.2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of job satisfaction of the female correctional officers working in the field units within the U.S. federal bureau of prisons. Analyzing the data from the FEVS 2017 suggests that, first, intrinsic motivation was the greatest factor of job satisfaction of the female correctional officers. Second, organizational justice also had the significant effects on work effort and job satisfaction. Third, the practice of performance management positively affect job satisfaction, while it negatively affect work effort. Fourth, participation also did positively affect job satisfaction, while it negatively affected work effor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교정공무원의 직무만족 및 업무노력의 영향 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미국 연방교정국의 여성 교정공무원을 대상으로 하여 직무만족과 업무노력을 종속변수로, 내적동기, 참여, 발전지원, 조직공정성 등의 동기요인과 보수만족, 성과주의, 업무량, 물리적 환경 등의 위생요인을 독립변수로,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인 관리자, 소수인종, 학력, 근속년수 등을 통제변수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적동기가 직무만족과 업무노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공정성 역시 직무만족 및 업무노력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과에 따라 승진 및 보수를 결정하는 성과주의 조직풍토는 직무만족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업무노력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성과주의의 확립과 이로 인한 남성과의 공정한 경쟁이 보장된다는 사실에 만족감이 상승함에도 불구하고, 가정 및 직장의 이중부담으로 인하여 스트레스에 더 취약한 여성의 경우 경쟁증가로 인하여 업무노력이 저해되는 부정적 효과가 남성에 비하여 더 큰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결과가 참여적 관리의 효과에서도 관찰되었는데, 여성은 자신의 의견이 조직운영에 반영될 때 만족감이 상승하기는 하지만, 이 역시 자신의 업무부담의 증가를 의미하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업무노력정도가 오히려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해석은 업무량의 적절성이 직무만족 및 업무노력 모두에 성과주의 확립보다 더 큰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도 그 정당성이 뒷받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