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언간 자료의 어휘적 특징 -언간 자료에 나타나는 특징적인 어휘를 중심으로-

        배영환 ( Bae Young Hwan ) 영주어문학회 2017 영주어문 Vol.35 No.-

        이 논문은 언간 자료의 어휘적 특징 가운데 `방언형의 사용`과 `언간 특이형`이라는 측면에 주목하여, 언간 자료에 나타나는 독특한 형태와 용법 등을 살펴본 것이다. 언간의 어휘 가운데 `방언형의 사용`은 특정 지역 편지에서만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형태를 우선 살펴 보았고, `언간 특이형`은 여느 국어사 자료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는 형태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현재까지 확인된 언간 자료는 지역적으로 서울·경기,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로 나눌 수 있고, 계층적으로 왕실과 사대부 언간으로 나눌 수 있었다. 특히 언간 자료의 성격을 구어적 문어보다는 좀 더 문어에 가까운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경향은 초기 자료보다는 19세기 자료에 좀 더 심화되는데, 이는 언간의 투식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언간 자료에서 확인되는 방언형에는 `□-, 알시롭-, 속그라□-, 언잔, 읏-, 으른, 읎-` 등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언간 특이형 중에는 용언 가운데 `느긋□다/누긋□다, 속다, □모솝다/□모습다, □모□다, 흐운□다` 등의 출현 양상과 의미 등을 살펴보았다. 명사 중에는 `복모, 빛, 슬□지, 심, 타모, 보/부, 낫, 구, □, 직`등을 고찰하였다. 아울러 부사 중에는 `브경이/브경히, □심도, 훌텨` 등을 다루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언간 자료의 국어사적 가치가 좀 더 부각되고 국어 어휘사 연구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Regarding the lexical features of Eongan (vernacular letters) materials as the `use of dialect type` and `Eongan specific type`, this paper examined the unique forms and usage appearing in Eongan materials. First, we examined `use of dialect type` among Eongan`s vocabulary focusing on a form that appears intensively only in certain local letters and discussed `Eongan specific type` with a focus on a form that does not appear well in any Korean history materials. The Eongan materials that have been found so far could be divided into Seoul, Gyeonggi, Chungcheong-do, Gyeongsang-do, Jeolla-do regionally and into royal family and Ebonan hierarchically. Especially, the nature of Eongan materials was considered to be a little closer to written language than spoken written language. This tendency is more severe in the nineteenth century than in the early period, and it was identified to be related to Eongan`s standardization. We examined dialect types identified in the Eongan data materials with a focus on `□ -, 알시롭-, 속그라□-, 언잔, 읏-, 으른, 읎-` etc. Of predicate among Eongan specific types, we examined the appearance patterns and meaning of `느긋□다/누긋□다, 속다, □모솝다/□모 습다, □모□다, 흐운□다`. Among nouns, we reviewed `복모, 빛, 슬□지, 심, 타모, 보/부, 낫, 구, □, 직`. In addition, we discussed 브경이/브경히, □심도, 훌텨 among the adverbs.

      • KCI등재

        조선시대 언간 자료의 현황 및 그 특성과 가치

        이래호 국어사학회 2015 국어사연구 Vol.0 No.20

        본고는 언간 자료의 소개 현황과 연구 현황을 정리하고, 언간의 특징, 국어사 자료로서의 가치와 한계를 짚어 보고 언간의 현대적 활용에 대해서 살핀 연구이다. 현재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조선시대 언간은 2,940여 건이며, 역주집과 판독 자료집의 출간 등으로 언간의 체계적인 연구를 위한 토대가 마련되었다. 언간은 국어학 연구의 1차 자료로서 활발히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문학적 측면에서는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생활사적 측면이나 서예적 측면에서도 연구되고 있다. 언간은 간본 자료에 비해 필사 당시의 구어를 상대적으로 많이 반영하고 있어, 경어법, 어휘, 방언 연구의 좋은 자료가 되며, 언간에 나타나는 문법 현상을 통하여 그간 연구되었던 문법 변화의 시기를 앞당기기도 한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표기법, 음운 현상의 일반화하기 어렵고, 지역 방언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지기도 한다. 언간은 사전 편찬, 국어 생활사 교육 자료, 언간의 내용을 활용한 문화 콘텐츠 개발, 폰트 개발, 서예와 예술 산업 등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summarized how the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are introduced and studie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and their values and limits as the Korean language history data, and take a look at the modern use of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Currently, there are 2,940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from the Joseon Dynasty that can be used for research, and the basis for the systematic study of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is prepared through the publication of the Books in Translation and Annotation and the source book on decipher. The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have been fully studied as the primary source for Korean language studies, however, not in depth in literary aspect. The letters have also been studied in the aspect of life history and calligraphy. For they show relatively many spoken languages used at the time they were written compared with the printed books, they become great data for studying honorific titles, vocabularies, and dialects, and they also carry values for they move up the period for grammatical changes that had been studied through the grammatical phenomena appearing in them. They also have limits for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notation and phonological phenomena and precisely determine local dialects. In summary,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can have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the compilation of dictionary, educational material for Korean language in life history,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using the contents of the letters, development of font, and calligraphy and art industry.

      • KCI등재

        언간 자료의 특징과 대중화 방안

        배영환 중앙어문학회 2018 語文論集 Vol.76 No.-

        본 연구는 조선시대 언간 자료의 특징을 살펴보고, 언간을 인문학 대중화의 한 방안으로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논의한 것이다. 현재 인문학은 위기에 처 해 있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인문학의 위기가 학문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한 시기는 1990년대 초이고, 인문학의 위기 가 피부로 느끼기 시작한 계기는 학부제 시행 때문이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인문학의 대중화가 모색되고, 정부에서도 인문학에 대한 관심을 갖기 시작하 였다. 그 결과 인문학을 일반 대중에게 보급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져 점차 인문 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강단에서의 인문학의 위기는 극복되기 어 려운 상태에 놓여 있다. 그러므로 이제는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인문학의 본연 의 모습으로 돌아가 기초 자료에 대한 치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인문학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기초 자료에 대한 발굴과 보급 차원에서 언간을 대중화의 한 자료로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언 간 자료는 역사적 사실과 개인적 감정이 담겨 있는 독특한 자료이기 때문에 기 존의 자료와는 성격이 다르다. 이들을 학계는 물론 일반인들에게도 널리 알려 관심을 끌게 할 필요가 있다. 언간은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 대체로 3,000여 건이 학계에 알려졌지만 그러나 여전히 이에 대한 학계나 일반인의 관심을 끌 지는 못하고 있다. 특히, 언간은 일상 생활적 특징, 정치적 특징, 지역적 특징, 여성적 특징, 경제적 특징 등 여러 가지 분류사적 특징을 보이고 있다. 그러므 로 언간에 나타난 사연을 잘 분석하면 역사 자료의 보조 자료로 충분히 이용될 수 있다. 언간은 조선시대 남녀노소, 왕실, 사대부 등 폭넓게 실용되었고, 그러 므로 언간에는 그 당시 인간의 삶의 모습이 녹아 있다. 언간의 대중화 방안에는 언간 자료를 집대성하여, 일반인들도 알 수 있을 정도로 쉽게 작성하여 널리 알 려야 하는 일이 우선 이루어져야 한다. 아울러 웹상에도 쉽게 검색될 수 있도록 언간 자료의 아카이브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언간이 스토리 텔링이나 문화콘텐츠의 기초 자료로 이용된다면 언간에 대한 관심은 물론 조 선시대 사람들의 생활 모습 등에도 관심을 갖게 될 것이다. 언간 자료를 대중화 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 중의 하나는 언간 자료를 교과서에 수록하는 것이다. 다만, 언간 자료를 수록할 때에는 언간이 국어의 변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자 료로 이용하기보다는 그 당시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생활사 자료로 이용되 어야 한다.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Eon’gan resource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possibility of these resources being used as a method to popularize the humanities are discussed. Currently, the study of the humanities is facing a crisis, and various types of discussion to overcome the crisis are done. However, the academic discussion on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began in the early 1990s, and the serious crisis of the humanities emerged with the adoption of the academic system under which students get to choose their majors after their freshman year. The popularization of the humanities was pursued to overcome, and the government began to pay attention to the humanities. As a result, the study of the humanities is gathering attention as efforts to spread interest in the humanities are made, but still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at the university platform is difficult to overcome. Therefore, multidimensional discussions are necessary to overcome the crisis. In this study, whether Eon’gan can be used as a basic resource to overcome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through information discovery and dissemination of basic resources is discussed. Eon’gan are unique letters that contain historical facts and individual emotions, so they are different from existing resources in these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gather attention of not only the academic world but also the nonacademic world. Today, there are approximately 3,000 Eon’gan resources from the 15th to 19th centuries, but they fail to attract the attention of the academic world or ordinary people. Eon’gan show various classification characteristics such as daily life characteristics, political characteristics, regional characteristics, feminine characteristics,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Therefore, when stories appearing in Eon’gan are well analyzed, they can be used as supplementary data of historical materials. Eon’gan were practically used widely among men and women of all ages, in royal court, and in noble society, so it reflects the lives of those who lived during those days. Regarding the popularization method of Eon’gan, it is necessary to compile Eon’gan resources and disseminate them to ordinary people by writing in accessible words. In addition, the archive of Eon’gan data should be established on the web so that people can search the documents easily. If Eon’gan are used as a basic resource for storytelling or culture contents, people will have interest not only in Eon’gan but also in the lifestyles of Joseon-era people. Another method to popularize Eon’gan is to put Eon’gan resources in textbooks. However, when Eon’gan resources are included in textbooks, they should be used as resources for human life history that describe the lifestyles of the era rather than as a means to explain the transition process of Korean language.

      • KCI등재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언간의 현대어 풀이 비교 연구

        조용림(Joe, Yonglim),백낙천(Baek, Nakcheon) 국제언어문학회 2015 國際言語文學 Vol.- No.32

        본고는 2007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집필된 국어 교과서 수록 언간의 현대어 풀이를 비교 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 학계에 보고된 언간 중에서 9편만이 국어 교과서에 소개되고 있는 실정에서 각 교과서에 제시된 판독문, 현대어 풀이의 비교 검토를 통해 궁극적으로 언간의 실제적 모습을 제시하고자 한다. 교과서에 수록된 언간은 ‘이응태 부인 언간’, ‘인선왕후 언간’, ‘정조 언간’, ‘선조 언간’, ‘현풍 곽씨 언간’, ‘완산 이씨 언간’, ‘추사 언간’, ‘순원왕후 언간’, ‘숙종 언간’이다. 이 9편의 언간은 13종의 교과서(공통교과, 선택교과 포함)에 수록되어 있는데, 사전 조사 결과 판독문의 차이는 적지만 현대어 풀이는 서로 다르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앞으로 ‘언간 용례 사전’, ‘고어사전’에 언간 어휘의 표제어 등재와 뜻풀이 반영 및 언간 자료의 데이터베이스화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This article was written with purpose to compare Eongan in the textbook(high school) revised in 2007. There were 9 Eongans introduced in textbooks that was reported to academy. Through comparing decipher the letters, and modern korean language interpretation, each textbooks will provide its practical figure. These are contained in the textbooks, "Yieungtae wife Eongan", "Queen Inseon Eongan", "King Jeongjo Eongan", "King Seonjo Eongan", "Hyeonpung Gwak-ssi Eongan", "Wansan Lee-ssi Eongan", "Chusa Eongan", "Queen Sunwon Eongan", the "King Sukjong Eongan". These were recorded in 13 textbooks(including common curriculum, selection curriculum). In the future, "Eongan usage dictionary" and "dictionary of old korean vocabulary" will expected to register entries, reflect meanings and activate database of Eongan.

      • KCI등재

        조선시대 언간 자료의 현황과 특성

        황문환 국어사학회 2010 국어사연구 Vol.0 No.10

        조선시대에 씌어진 한글 편지는 흔히 ‘諺簡’으로 불린다. 이는 당시의 한글이 ‘文字’, ‘眞書’ 등으로 지칭된 漢文과 대비되어 ‘諺文’으로 불린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다. 그러나 조선시대에 언간은 일상의 사적인 감정을 전하는 가장 보편적인 수단이었다. 위로는 왕으로부터 아래로는 하층민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실용된 까닭에 언간은 국어를 지키고 가꾸어 온 귀중한 토양이 되었다. 언간은 자료 성격상 언해의 성격을 지니지 않아 당시의 자연스러운 국어 질서에 따르고 고유의 일상 어휘도 풍부하게 보여 주는 특징이 있다. 또한 대화 상황을 전제한 구어체 자료의 성격 때문에 경어법을 비롯하여 구어나 방언에 특유한 형식을 다른 자료보다 쉽게 반영하는 특징도 있다. 뿐만 아니라 개인차를 정밀하게 관찰할 수 있는 특징으로부터 국어사 연구에 사회언어학적 접근 가능성을 열어 주기도 한다. 따라서 언간 자료의 특성을 잘 살리면 앞으로 언해 위주의 판본 자료를 보완하여 국어사 연구의 폭과 깊이를 더하는 데 크게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언간의 사연 속에는 당시의 실생활이 그대로 녹아 있어 생활사, 민속사, 사회사 등 여러 분야에서 살아 있는 자료가 될 수 있다. 또한 언간 자료는 필사 자료 가운데 개인의 다양하고 독특한 書體를 가장 잘 반영하여 한글 서체의 변천을 구명할 서예사 자료로도 좋은 여건을 갖추고 있다. 이는 언간 자료가 비단 국어학 분야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앞으로 언간 자료가 적극 발굴, 소개되는 한편 이에 따른 學際間 연구가 더욱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하겠다. Letters written in the Korean alphabet during the Joseon period are usually referred to as eon'gan (諺簡, vernacular letters). This is a reflection of the fact that the Korean alphabet in those days was called eonmun (諺文, vernacular script) and considered lower in quality as compared to the Chinese script, which was called munja (文字, characters) or jinseo (眞書, real script). However, eon'gan were the common means to express the private feelings of everyday life during the Joseon period. Eon'gan were used widely, from the king as well all the way to the lower classes, and thus, eon'gan have become a precious soil in which the Korean language has been preserved. Eon'gan are totally free of the characteristics of translated materials; they show a natural word order and contain the rich everyday vocabulary of the Korean language of the time. Also, eon'gan are colloquial in that they precisely reflect the honorific system, the dialect, and the spoken form of the contemporary language more than any other materials. As such, they complement the printed materials that were centered on translation and contribute greatly to the depth and breadth of research conducted on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s of eon'gan display the actual daily life of the times, so they are also active materials for research on the living history of Koreans, and the history of Korean folklore and education, and so on. That is to say, eon'gan are not only valuable for studying the Korean language, but also can be used for research in various other fields. We should actively promote the discovery of new eon'gan and push for further interdisciplinary studies in the future.

      • KCI등재

        진성이씨 이동표가의 언간 현황과 서체적 특징

        정복동(Jeong, Bok-dong) 한국서예학회 2012 서예학연구 Vol.21 No.1

        본고는 17세기 후반 숙종 시기의 문신인 나은 李東標(1644(인조22)-1700(숙종 26))가의 언간 서체를 통해 그의 언간 서체와 언간의 문장 구성 형식을 고찰하였다. 이동표가의 언간은 총 37건으로 그의 어머니에게 보낸 언간이 주를 이루며, 삼촌 이명익의 언간이 1건 있다. 필사된 시기는 1644-1700년이다. 언간에는 당시의 생활상과 과거제도에 관한 자료, 친모와 서모에 대한 상대경어법 사용의 차이점, 수신자에 따라 각각 다른 감성으로 표현한 서풍 등이 담겨있어서 언간의 형식뿐만 아니라 국어사·문화사 및 서예사 자료로도 그 가치가 높다. 언간의 형식은 언간을 받는 대상에 대한 경의를 나타내기 위하여 대두법을 적용하였다. 친모에게 쓴 언간은 이항식과 極行式으로 경의와 존경을 나타냈으며, 서모에게 쓴 언간은 隔間法의 차별화된 대두법이 적용되었다. 그러므로 친모와 서모에게 쓴 언간 두 편을 주 대상으로 삼아 언간의 문장 구성형식과 문자의 구조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아울러 동일한 연결문자를 비교하여 시대적으로 서체가 변화된 특징을 파악하였다. 두 언간을 중심으로 문자의 구조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단일문자의 자모는 두 언간 모두 대부분 가획으로 연속성을 드러낸 흘림체로 규정하였다. 특히 2-5음절 어절의 연결문자를 분석한 결과 친모에게 보낸 언간보다 서모에게 보낸 언간의 연결 정도가 30%가량 많으며, 서모에게 보낸 언간의 연결정도는 거의 80%나 된다. 이는 친모에 대한 존경하는 마음이 心手相應된 것으로 보인다. 초중성 합자와 초중종성 합자의 구조에서 서체의 특징은 서모에게 보낸 언간이 친모에게 보낸 언간보다 원필세가 많은 斜形 결구이며, 친모의 언간이 平形 결구로서 古雅한 意取를 보인다. 또한 「훈민정음해례본」의 점획이 모음 ‘ㅜ’에 나타나고, 종성 ‘ㄹ’을 일필서로 직선화하였으며, 횡모음을 짧게 절제하여 결자 한 것 등은 한자 행초서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한글 서체의 형성이 한자의 필의와 무관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동일한 어절의 연결된 문자를 비교 분석한 결과 1670년대보다 1680년대 이후의 서풍이 더욱 맑고 견강하게 정제되었다. 이동표의 독창적인 한글 흘림체는 17세기 후반 사대부가에 유행한 행초서의 연면체 서풍에서 어느 정도 영향을 받았고, 선조들로부터 계승되어온 가풍과 학풍을 연마하여 자신만의 淸勁高逸한 한글서체를 완성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한글서예사에서 18세기 이후 완성될 궁체와 추사체 형성을 예견할 수 있는 서체라고 할 수 있다. In this paper are treated the type of Korean letters and how to build their sentence from the family of Naeun Lee Dong-pyo (李東標; 1644 (the 22nd year of King Injo government)-1700 (the 26th year of King Sukjong government)) who served as a civil minister in the late 17th century of Chosun Dynasty. The total number of Lee Dong-pyo family's letters is 37, most of which were written by Lee Dong-pyo to his mother and one by his uncle Lee Myeong-ik. These letters are assumed to be written during 1644-1700. From the Korean letters, we could find the living conditions at that time, the documents for civil service examination, and the use of different honorific expressions for his mother and his father's concubine, and various styles of calligraphy, which are all highly valued as references for studying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culture and calligraphy. In the form of the Korean letters, Daedu (leaving a blank before the name of a receiver in order to show the sender's respect for the receiver) is applied, and this method is differently used between the letters for his mother (placing a first letter on the top line of the next sentence to show respect) and the letters for his father's concubine (leaving one or two blank before letter to show respect). Two Korean letters received by his mother and his father's concubine are mainly selected for analysis of the formality of making sentences and the structure of characters. Along with it, connected characters are compared to understand the change of the style of handwriting over time.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he two Korean letters for the structure of characters shows that the Korean alphabet of a single letter uses Heullim style, which has the continuity of creating a new letter by adding stroke in both of them. In particular, from the analysis of connected letters of 2-5 syllables, it could be found that the degree of connectivity of Korean letters sent to his father's concubine is about 30% higher than for his mother, and in total the degree is up to 80% for his father's concubine, which seems that more respect for his mother is naturally expressed through mind drawing. In the calligraphic features of a letter combined by initial consonant and vowel and one of initial consonant, vowel and final consonant, the Korean letters to his father's concubine show more tilt type, compared with those for his mother, while the Korean letters for his mother revealing some elegance. In addition, all the dots and strokes in HunMinJeongEumHaeRyeBon are expressed at the vowel ‘ㅜ’, and the final consonant ‘ㄹ’ is expressed as the form of straight line and horizontal vowels are intentionally shortened, which all indicates the formality of the Korean letters is influenced by the Chinese Haengseo and Choseo calligraphic styles. And the analysis of connected letters of the same Eojeol (generally a word) shows that his calligraphic style of the late 1680 has something clearer, stronger and more refined than that in 1670. Lee Dong-pyo's peculiar Hangul Heullim style is a little affected by Yeonmyeon style which was popular among Confucian scholars in the late 17th century and he learned hard his family tradition and academic one and made his own Hangul style. This may be a precursor of Gung style and Chusa style which both will be completed in the late 18th century.

      • KCI등재

        韓中間 對外機密 유지를 위한 諺簡 실용의 한 사례 - 1796년 冬至副使 李亨元이 義州府尹 沈晉賢에게 부친 諺簡 -

        황문환(Hwang, Mun-hwan) 한국학중앙연구원 2019 장서각 Vol.0 No.42

        이 글에서는 1796년 冬至副使 李亨元이 義州府尹 沈晉賢에게 보낸 諺簡을 소개하고 그 의의를 여러 측면에서 검토, 음미하였다. 이 언간은 장서각에 소장된 『太上皇傳位文蹟』(K2-3521)에 실려 전하는 것으로 비록 謄本이기는 하나 언간의 授受 사실과 주요 내용이 조선왕조실록과 『日省錄』에도 등장하여 자료적 가치가 높은 것이다. 이 글에서는 언간의 원문을 판독하여 소개하는 한편 내용을 주변 자료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이 언간이 지니는 의의를 다음과 같이 파악하였다. 첫째, 이 언간은 사대부 남성 간에 오간 편지라는 점에서 조선시대 언간의 실용 범위상 예외적 사례에 해당한다. 조선시대에는 언간의 발신자나 수신자 어느 한쪽으로 반드시 여성이 관여하는 특징이 있지만 이 언간은 그러한 특징에서 벗어나 있다. 둘째, 사대부 남성 간에 한문 간찰 대신 언간이 사용된 것은 韓中 관계에서 대외기밀을 유지하는 데 諺文이 유용했기 때문으로 드러난다. 언간 내용에 따르면 편지가 도중에 없어질 것을 염려하여 굳이 언문으로 썼으며 언문으로 된 편지를 받는 즉시 내용을 한문으로 번역하여 조정에 전달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셋째, 이 언간은 실제로 조정에 보고되는 과정에서 한문으로 ‘翻謄’되었고, 그 번등된 존재를 『日省錄』에서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번역하여 베낌”을 의미하는 ‘翻謄’은 한문을 언문으로 번역하는 ‘眞 → 諺’ 翻謄의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이 언간은 그와 반대 방향의 번등이 이루어진 것을 보여 준다. 이밖에도 이 언간에는 편지를 언문으로 작성하여 朝廷에 보고하기까지 일체의 轉達 過程이 상세하게 드러나 있다. 언간을 의주 장사치 개인 편지로 위장하여 전달하고 이를 받아 다시 漢文으로 翻謄하여 조정에 보고하는 과정이 특히 주목된다. 이 글을 통해 외교 관계상 대외 기밀을 유지할 목적으로 ‘諺簡’ 내지 ‘諺文’이 실용된 사실은 거의 실물 차원에서 實證되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는 諺文이 실용된 범위를 새롭게 인식하는 동시에 諺文과 漢文 사이의 翻謄 관계에 대해서도 다시금 돌아보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This article introduces a vernacular letter (諺簡) written by the vice-envoy of the winter solstice embassy (冬至副使), Lee Hyeong-won (李亨元) to the Deputy Mayor of Uiju (義州副尹), Sim Jin-hyeon (沈晉賢) in 1796. Furthermore,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letter in several ways. This letter is in the book, or Taesanghwang jeonwi munjeok (『太上皇傳位文蹟』), which is held in Jangseogak (藏書閣)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lthough it is a copy of the original letter. the historical facts surrounding it are also listed in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朝鮮王朝實錄) and the Records of Daily Reflection (『日省錄』), which are of high material value. In this article, we read and introduce the vernacular letter, and compare its content with the surrounding historical data to find out the significance of the letter as follows. First, this is an exceptional case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that it is a letter between high-ranking male officials. In the Joseon Dynasty, there was a characteristic that woman must be involved as either the sender or receiver of the vernacular letter. Second, the vernacular letter was used instead of Chinese letter because it was useful in keeping diplomatic secrecy between Joseon and Qing China.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letter, the sender wrote a letter in vernacular script (諺文), fearing that the letter would disappear in the middle, and urged the receiver to translate the letter into Chinese script as soon as receiving it. Third, this letter was translated into Chinese script (漢文) in the process of reporting to the court, and its existence can be confirmed in the Records of Daily Reflection in detail. Although it is common to translate Chinese into Korean, this letter has an unique characteristics by transla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addition, the letter reveals all the details until it was written and reported to the court. In this process, it is especially noteworthy that the sender entrusted his vernacular letter to the merchant, disguising it as his personal letter, or the recipient translated it back into Chinese script and reported it to the court.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use of vernacular letter or vernacular script for the purpose of keeping diplomatic secrecy through this article is almost attested. This will provide a chance to reexamine the interrelation between vernacular script and Chinese script while recognizing the new range of use in relation to vernacular script.

      • KCI등재

        언간의 특성과 교육적 활용 방안

        백낙천 국제언어문학회 2023 國際言語文學 Vol.- No.54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earch for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application of Eongan materials, and this paper was written with purposes to study trends and research in education on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life. Especially, through this p aper, I could explain characteristics of Eongan, and then significance of Eongan research, educational application methods of Eongan materials, and practical aspects of Eongan materials. In fact, Eongan have not been made the best use for research due to the difficulties in deciphering and interpreting them. However, books of translations with notes on the Eongan have sprung up since the 1990s. I suggest that positively promote the discovery of new Eongan and search on its educational application in the future. I believe that this articles provide with moment of productive discussions, and hope my suggestion in this article be developed more educational application in the future. 본고는 훈민정음이 창제된 이후 한글이 일상에서 가장 많이 실용된 분야인 언간이 당시 사람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필사 자료라는 점에 주목하면서 기존의 축적된 언간 연구의 성과를 바탕으로 언간의 특성을 살펴보고 언간에 담겨 있는 선조들의 언어와 삶을 교육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언간의 특성으로 첫째, 언간은 자연스러운 우리말 모습을 보여주고, 둘째, 언간은 고유어 및 일상어가 풍부하게 나타날 뿐만 아니라 구어적 성격을 강하게 나타내며, 셋째, 언간에는 관용적 표현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고는 언간이 교육적으로 활용할 만한 가치를 지닌 이유로 첫째, 언간 자료는 선조들의 사적이고 생생한 국어생활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자료이고, 둘째, 언간 자료는 우리의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와 보급이라는 측면에서 활용 가치가 있으며, 셋째, 언간 자료는 한류 문화콘텐츠의 원천으로서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언간에 나타난 관용적 표현 양상

        조용림(Joe, Yong-Lim),백낙천(Baek, Nak-Cheon) 국제언어문학회 2019 國際言語文學 Vol.- No.43

        본고는 조선시대 한글 간찰(이하 언간)을 대상으로 관용적 표현의 양상을 살피는 것이 목적이다. 언간에는 나름의 일정한 규식을 갖추고 있으며, 이른바 관용적 표현들이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규식과 관용적 표현은 언간의 사용 범위가 확대되면서 관습화되고 보편화되었다. 언간 사용의 확대는 19-20세기에 이르러 방각본(坊刻本) 형태를 띤 이른바 ‘언간독(諺簡牘)’의 간행을 필요로 하게 되었으며, 다양한 책명의 ‘언간독’이 유통되어 언간 형식의 규범화와 격식화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관용적 표현은 언간이 구어를 반영하고 편지가 갖는 형식상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부분이다. 특히, 언간에 나타나는 반복성, 생략성, 상투성들이 언간의 관용적 투식을 보여주는 주요한 특성으로 간주하였다. 또한 이들을 유형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언간의 형식적 특징의 일면을 제시하였다. 앞으로는 본고에서 논의한 언간의 관용적 투식 외에도 빅데이터, 데이터마이닝, 텍스트마이닝을 방식을 이용하여 언간에 자주 드러나는 용례에 대하여 출현 빈도를 바탕으로 한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characters of idiomatic expressions in the Korean old Hangul Letters(henceforth Eongan). Eongan has not formal format in the text. However, it has a certain format. In addition, there are often expressed in one form to idiomatic expressions. It became customized and universalized as the use of expressions became widespread on format and idiom of Eongan.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Eongan’s using can be confirmed in the form of an publishing "Eongandok".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paper, the development of typography, and the spread of Hangul, a variety of "Eongandok" has been circulated and standardization and formalization have been done. For example, spoken expressions are revealed in Eongan, and many patterns of repetition, ellipsis, and conventional expression appear in the formality characteristics of Eongan. Idiomatic expressions of Eongan reflects the spoken language, it is interesting in that it reflects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Eongan. First, the repetition expressions repeatedly in Eongan is more pronounced with a marked aspect of the double-point. Second, the ellipsis is evidence that Eongan has a colloquial characteristics. Third, why the conventional expressions appearing in Eongan because it is a formal characteristics of letters reflects news of everyday and safety. In the future, Eongan research should be aimed at examining example frequency based on new big data, data mining, text mining.

      • KCI등재

        언간의 말뭉치 구축 현황과 향후 구축 방향

        이래호 한민족어문학회 2023 韓民族語文學 Vol.- No.102

        본고는 지금까지 공개된 언간과 이들 언간의 말뭉치 구축의 현황을 살펴보고 앞으로 언간의 말뭉치 구축과 관련한 향후 방향에 대해 관견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금까지 그 현황이 파악된 언간은 5,100여 건이며 실제 판독문이 공개되어 국어사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편지들은 3,400여 건 정도가 된다. 언간의 말뭉치 구축은 21세기 세종계획에서 2종의 언간이 원시 말뭉치와 형태 분석 말뭉치로 구축되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는 언간 45종 1465건, 15 만 5천 어절의 말뭉치를 구축하였고, 이후 언간 1,300여 건을 이미지, 판독문, 주석문, 현대어역, 해설, 키워드 등이 병렬적으로 짝이 되도록 구축하였다. 역사자료 종합 정비 사업에서는 총 6종의 194건을 말뭉치로 구축하고 여러 오류들을 수정하였다. 언간 말뭉치의 향후 구축 방향과 관련하여 지속적인 언간 말뭉치 구축, 대용량 형태 분석 말뭉치 구축, 검색을 위한 멀티 버전 말뭉치 구축, 말뭉치 구축의 형식 통일, 언간 말뭉치의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이미지 자료구축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Eon’gan (Korean old letters) made public and the construction of their corpora and to provide future direction of Eon'gan corpus construction. So far, approximately 4,900 Eon'gans have been identified, with many Eon'gans still awaiting organization. New Eon'gans continue to be discovered. Eon'gan corpus construction began with the 21st Century Sejong Plan, where two types of Eon'gan were constructed as raw text corpora and morphological analysis corpora.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has compiled a corpus of 45 types of Eon'gan, totaling 1,465 documents and 155,000 words of text. Subsequently, over 1,300 Eon'gan have been constructed with images, readable texts, annotations, modern Korean translations, explanations, and keywords. In the Comprehensive Modification of Historical Materials Project, a total of six types of Eon'gan comprising 194 documents were constructed as corpora and various errors were rectified. As of now, of many Eon'gan that have been discovered, only a limited number, approximately less than 1,500, have been constructed as corpora for public service or research use. Regarding the future direction of Eon'gan corpus construction, suggestions are made for continuous Eon'gan corpus construction, the development of large-scale morphological analysis corpora, the construction of multi-version corpora for searching, standardization of corpus construction formats, and the development of internet services for Eon'gan corpora, including image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