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족 생활어 조사 사업 개관

        강정희 한국방언학회 2016 방언학 Vol.0 No.24

        Researching Everyday Language of Korean is a project fund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NIKL) for 7 years, 2007-2013, which has widely and concentrative researched everyday language of Korean for the first time and a long period. The purpose of the project is to investigate and arrange everyday basic language of Korean which is endangered of extinction and finally to document them. The project is divided into two phases according to investigation periods and themes. The first phase of 3 years(2007-2009) is the term for investigating Korean own traditional and cultural everyday language in 10 regions of Korea. The theme of the first phase is about ‘dduck(Korean rice cake)’ and ‘gimchi.’ the language that professional specific workers use, which is connected with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everyday language related with Korean traditional food. The investigation results of the first phase enables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dduck’ and ‘gimchi’ used in each region and the corpus related with ‘dduck’ and ‘gimchi’ to be made. They can also make it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claasification system and the corpus is recorded or not in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and to modify or supplement the definition statement of their meanings connected with ‘dduck’ and ‘gimchi’ in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The second phase of 4 years(2010-2013) is the term of investigating basic words and everyday language of fishing villagers in endangered of extinction. The purpose of this phase is to collect materials of basic words and traditional everyday language related with the sea in fishing villages. The greatest output of this project is the completion of <The Questionaire about Investigating Basic Vocabularies of Fishing Villagers>. It is composed of 8 high level categories including behavior, environment, place, fish catch, catching equipment, catching method, fishing act, food, and folklore. The numbers of questions are total 485, among which 327 are chosen from 3 large, medium and small classifications divided from 8 categories and 158 expanded vocabularies connected with them are added. The question type and method is made to be various to investigate not only words but grammar, sentence structures, and idioms. 156 picture materials can be helpful to investigate places. <The Questionaire about Investigating Basic Vocabularies of Fishing Villagers> because of its providing the contents and examples of basic words of fishing villagers, can make the field of words abundant and be valuable materials to look over and research the words system. 민족 생활어 조사 사업은 국립국어원이 주관하고 추진한 2007년부터 2013년까지 7년에 걸쳐서 우리 민족의 기층 생활어를 조사한 사업이다. 민족 생활어조사 사업의 목적은 소멸 위기에 놓인 우리 민족의 기층 생활어를 지속적이고체계적으로 조사 정리하여 문서화하는 일이다. 민족 생활어 조사 사업은 크게 그 시기와 대상에 따라서 1단계와 2단계의 두단계로 나누어진다. 1단계인 2007∼2009년까지 3년은 민족 생활어 중 소멸 위기에 놓인 민족 고유의 기층문화 언어를 조사하였다. 1단계 조사는 전국 10개광역 지역을 대상으로 전통문화와 관련된 특수 직업 사회에서 사용하는 언어와전통음식인 ‘떡’과 ‘김치’ 관련 생활어를 조사하였다. 1단계의 개별 조사와 공통 조사의 결과의 공통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문헌 조사와 현지 조사를 병행함으로써, 문헌 자료가 가진 현장성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었다. 문헌 자료는대부분 표준어로 기술되어 있는데, 그에 대응하는 현장의 생활어를 확인할 수있는 계기가 되었다. 2) 특히 공통 조사 주제인 ‘떡, 김치’는 재료, 만드는 방법등에 따라서 지역마다 분류 체계의 다양성이 나타났다. 조사된 자료들로써 ‘떡, 김치’의 어휘망을 구축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김치’의 연구 성과는 본지 게재 홍기옥의 논문 참조) 3) 조사된 어휘의 상당수가 ≪표준국어대사전≫에등재되지 않은 어휘 항목들임이 확인되었을 뿐만 아니라, ≪표준국어대사전≫ 의 뜻풀이의 오류와 내용을 수정, 보완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하게 되었다. 2단계인 2010∼2013년까지 4년은 소멸 위기의 어촌 생활의 기초어휘와 생활어를 조사하는 일이다. 2차 단계의 조사는 전국 해안 지역 -동, 서, 남, 제주의4개 지역을 대상으로 어촌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바다 관련 기초어휘, 생활어자료를 구축하는 일을 목적으로 한다. 본 조사의 가장 큰 수확은 조사를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어촌 생활 기초어휘 조사 질문지>를 개발한 일이다. 본 사업에서 새로 개발된 <어촌 생활 기초어휘 조사 질문지>는 조사하기 전, 중간과정을 통해서 수정, 보완하는 귀납적인 방식으로 완성하였다. <어촌 생활 기초어휘 조사 질문지> 구성은 행위자, 환경, 공간, 어획물, 어획 도구, 어획 방법, 어로 행위, 음식, 민속 등 8개의 최상위 범주로 분류하였다. 조사 항목은 8개 범주를 다시 중, 소 범주로 하위분류하여 327개 기초어휘를 선정하고, 이 어휘들과관련된 확장 어휘 항목 158개를 추가하여 모두 485개 항목으로 하였다. 질문유형과 방식은 어휘뿐만 아니라 어법, 문형, 관용표현 등도 조사할 수 있도록 다양화하였다. 그 외 조사 현장에서 효율적인 조사를 위하여 156장의 사진 자료를부록으로 첨부하였다. 국내 최초로 개발된 이 <어촌 생활 기초어휘 질문지>는다양한 어촌 생활의 기초어휘 목록과 함께 관련 예문도 함께 제시함으로써 어촌 생활어의 어휘장과 바다 관련 어휘 체계를 살필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있다는 점에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 KCI등재

        민족생활어 어촌 생활어 성과와 활용 방안 -3년의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김지숙 한국방언학회 2017 방언학 Vol.0 No.25

        This paper summarizes the outcomes of a study on Korean fishing villages’ vernacular Korean language in the regions (i.e. the East Sea, the West Sea, the South Sea, and the sea around Jeju Island) of South Korea. The study was conducted by the Everyday Language Project Team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Specifically, this research established the foundation for building a lexical network of fishing villages’ everyday Korean usage by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on the concepts of fishing and fisherman, the background of fishing villages in Korea, and surveys on environmental lexicons of fishing villages, catches, fishing equipment, and fishing behavior. The study included two surveys: basic vocabulary and subject-specific vocabulary. The basic vocabulary survey was conducted at 12 sites in four areas; the subject-specific vocabulary survey was conducted at 15 sites in four areas. The surveys identified 10,919 vocabulary words in total. Based on the surveys, the number of vocabularies that were not included in the Korean Standard Dictionary was 3,380 from the basic vocabulary survey, and 2,953 from the subject-specific vocabulary survey. The study also classified idioms relating to the fishing village environment and fishing as a trade, which enhanced understanding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and culture of fishing villages.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vocabulary surveys document the disappearing everyday language at its basic level, as well as contribute to the conservation of Korean linguistic and cultural heritage. 이 글은 2010년부터 2012년까지 국립국어원 민족생활어 사업단에서 조사한 한반도 남쪽의 동해, 서해, 남해, 제주해의 어촌 생활어의 성과를 정리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어업과 어부의 개념과 어촌의 배경에 대해 살펴본 후 환경, 어획물, 어획 도구, 행위에 관한 어휘를 조사함으로써 어촌생활어 어휘망을 구축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어촌 생활어 기초 어휘 조사는 4개 권역에서 12개 지점을 조사하였고, 개별 주제 조사는 4개 권역 15지점을 조사하였다. 조사 어휘는 총 10,919개로 이 중 ≪표준국어대사전≫ 미등재 어휘는 기초 어휘 조사에서 3,380개, 개별 주제 조사에서 2,953개이다. 또한 어촌 환경, 어업과 관련한 관용표현을 통해 어촌 지역의 생태 환경과 문화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실질적인 어휘 조사는 우리의 언어 문화 유산을 축적했다는 점뿐만 아니라 소멸 위기의 기층 생활어를 기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것이다.

      • KCI등재

        어촌 생활 기초어휘 자료 정리 방법 분석 -국립국어원 ‘민족생활어 조사’를 중심으로-

        박원호 한국방언학회 2017 방언학 Vol.0 No.25

        이 글은 2010년부터 2013년까지 국립국어원에 진행한 ‘민족생활어 조사 - 어촌 생활 기초 어휘 조사’의 자료 정리 방법을 설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민족생활어 조사 - 어촌 생활 기초 어휘 조사’는 해당 어촌 지역의 정체성을 살피고 그들 삶의 역사를 이해하는 기초 작업이 된다. 따라서 이 사업의 궁극적인 목적은 사라져가는 어촌생활을 대상으로 조사지역 고유의 문화를 수반한 생활어를 조사하여 체계적인 자료를 구축하는 것이다. ‘민족생활어 조사 - 어촌 생활 기초 어휘 조사’는 3년 동안의 현장 조사를 통해 ‘1.행위자 2.환경 3.어획물 4.어획 도구 5.어로 방법과 어로 행위 6.음식 7.민속, 8.기타’와 같이 총 8개의 범주를 설정하였다. 3년 동안 조사된 6천여 개의 어휘는 8개의 범주에 따라 항목 분류하였다.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년 동안의 조사 결과는 2013년에 기초 어휘 조사 질문지의 수정 및 조사된 어휘 자료의 체계적인 정리를 통해 갈무리하였다. 이 글에서는 『2013년도 민족생활어 조사2』에 해당하는 어휘 자료의 원자료를 단계적으로 설명한다. 어촌 생활 기초어휘 자료 정리는 연구원별로 3년 동안 동해안, 서해안, 남해안, 제주도의 12개 지역에서 조사된 자료를 기반으로 기초어휘 조사 질문지의 번호에 맞추어 엑셀 자료로 재구성하였다. 엑셀의 주요 항목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조사연도, 표제어, 올림말, 용례, 기타정보, 출전정보’의 항목에 따라 방언 조사 시 사전 조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2) ‘표제어’는 사전에 등재되어 있는 어휘, 곧 질문지의 기초어휘 항목과 일치한다. 3) ‘올림말’은 조사된 결과를 일컬으며, ‘용례’를 참고하여 더욱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4) ‘기타정보’는 조사된 어형의 분석, 제보자의 특성, 표준어와의 관계, 사전 등재 여부 등의 내용을 얻을 수 있다. 5) ‘출전정보’의 제보자의 거주 지역을 통하여 그 어휘가 사용되고 있는 지역을 알 수 있으므로 인접지역을 조사할 때 참고할 수 있다. 6) ‘멀티정보’인 사진과 음성 정보는 현장 조사에 사용된 그림이나 영상, 제보자의 음성이다. 특히 현장 조사 때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7) ‘표준국어사전등재여부’는 조사된 어휘가 현재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 되었는지를 알려준다. 등재되었다 하더라도 그 의미가 현장에서 쓰이는 것과 다른 경우에는 ‘기타정보’에 기재한다. 이러한 기준으로 정리된 자료는 12개 지점의 기초 어휘를 한 눈에 파악함은 물론 한반도 어촌 생활어를 조사, 연구하는 데 기초 자료로써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arrangement methods of ‘everyday word of Korean language research- research of basic vocabulary of fishing village’ conducted by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from 2010 to 2013. ‘Everyday word of Korean language research’- research of basic vocabulary of fishing village is to examine the identity of the fishing village and to do the groundwork for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its life. Thus,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systematic data, investigating the everyday word accompanied with endemic culture of the research are for a fishing village. Through ‘everyday word of Korean language research’- resea rch of basic vocabulary of fishing village for three years, the study came up with eight categories which were ‘1. performer 2. environment 3. catch 4. fishing equipment 5. fishing method and fishery 6. food 7. folklore 8. etcetera.’ Six thousands of vocabularies investigated for three years were placed under the eight categories. The result of three years of research from 2010 to 2012 was put away in order through the edited inquiry of basic vocabulary and the systematic arrangement of researched vocabulary in 2013. Except for inquiry, the study accounts for raw data of the vocabulary of the 『2013 Everyday Word of Korean Language Research 2』 by stages. The arrangement of fishing villages' basic vocabulary was restructured by Excel software, matching the number in the basic vocabulary inquiry based on each researcher's investigation results from twelve regions- the East, West, South coast and Jeju Island for three years. Major item construction in Excel is as follows: 1)According to ‘Year of investigation, headline, entry, example, other information, reference information’, one can use this information to be used in the pre-investigation stage when investigating dialect. 2) ‘Headline’ stands with the vocabularies registered in the dictionary, that is, the basic vocabulary of the inquiry. 3)‘Entry’, called the investigated result, one can gain more detailed information by referring to the ‘example’. 4)‘Other information’ provides the analysis of a researched word form,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nt, the relation with the standa rd language, and whether words are registered in dictionary. 5)‘Reference information’, gives the information of the informant's residence place. It gives information of the residents' vocabularie s of the area. The information investigated beforehand helps when researching its adjacent area. 6) The picture and the vocal information, so called, ‘multi information’ are the picture, video, and the informant's voice used in a field st udy. They are, especially, processed to be utilized in a field study. 7)‘The record of Korean standard unabridged dictionary’ notifies that the researched vocabulary is registered or not in Korean standard unabridged dictionary. In spite of being registered, if the meaning is used differently compared with the actual place, it is filled in ‘other information’ The data organized by the criteria above contributes to grasping the basic vocabulary of twelve spots just at a glance as well as studying and investigating fishing village's basic vocabulary of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어획물 명명 기반에 따른 명칭 연구

        김지숙(Kim, Ji-suk) 중앙어문학회 2017 語文論集 Vol.69 No.-

        이 글은 2010년부터 2012년까지 국립국어원 민족생활어 사업단에서 조사한 한반도 남쪽의 동해, 서해, 남해, 제주해의 어촌 생활어의 성과 중 어획물에 관한 내용을 정리해 우리나라 어획물의 명명 기반과 이와 관련된 관용 표현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어부의 개념과 어촌의 배경에 대해 살펴본 후 어획물에 관한 어휘를 조사함으로써 어획물에 관한 어휘망을 구축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어촌 생활어 기초 어휘 조사는 4개 권역에서 12개 지점을 조사하였다. 어획물의 명명 유형은 어부들의 경제적 가치, 어류의 맛과 질에 따른 크기, 색, 모양, 서식지, 상태, 어로 시기, 어로 도구를 중심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촌 환경, 어업과 관련한 관용 표현을 통해 어촌 지역의 생태 환경과 문화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실질적인 어휘 조사는 우리의 언어 문화 유산을 축적했다는 점뿐만 아니라 소멸 위기의 기층 생활어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어촌 생활어를 기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것이다. This paper summarizes basic lexicon related to fish in different regions of South Korea, including the East Sea, the West Sea, the South Sea, and the sea around Jeju Island The vocabularies were acquired in a study of everyday Korean language used in fishing villages, which was conducted by the Everyday Language Project Team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The names of fish species varied across the regions, due to differences in their environment; variations were observed in lower-level terminologies and extended lexical units, as well as in higher-level terminologies and in the names of specific parts of fish. The fish were named in relation to their “size, color and pattern, shape, habitat, condition, fishing time, and other features,” and the suffixes used in the names included “-i, -chi, -gi, -ak/eok, -eo, and –jangi.” This study of fish vocabulary used in fishing villages is significant in that it documents the vernacular language used in such areas, and contributes to the database of fishing villages’ disappearing languages by identifying new vocabularies. Moreover, the study discovered several idioms related to fish, which demonstrate regional differences in fishing villages’ linguistic culture.

      • KCI등재

        동해안 어촌 생활어에 나타난 바람 명칭 명명법 연구

        김지숙 ( Ji Suk Kim ) 한민족어문학회 2015 韓民族語文學 Vol.0 No.71

        이 글은 동해안 어촌 지역에서 사용되는 바람의 명칭을 대상으로 어휘의 분화 기제를 살펴보고, 분화 기제에 따라 명칭을 나눈 후 이에 따른 어휘의 분화 양상과 그 명명 방법을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 바람 명칭은 사전상에 제시된 ‘동풍, 남풍’과 같은 어휘 외에도 다양한 어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어촌 생활어에서 나타나는 바람의 명칭을 모두 추출하여 그 의미 유형별로 구분한 결과, ‘방위’를 중심으로 한 의미와 형태를 바탕으로 ‘속도 및 세기, 모양과 성질, 위치, 지명, 계절, 시간’으로 어휘 확장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실질적인 어휘 조사를 한 본 연구를 통해 우리는 어촌의 독특한 환경이 바람 명칭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고 바람 명칭을 명명 방식에 따라 유형별로 분류할 수 있었다. 조사 과정에서 나타난 새로운 점을 가장 많은 어휘가 나타난 방위 관련 명칭을 중심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높새’와 ‘된새’는 모두 각각 북쪽과 동쪽을 의미하고 있어하나의 방위가 아니라 두 개, 동쪽과 북쪽의 방위를 모두 지칭하고 있었다. 둘째, ‘새대’와 ‘마대’의 ‘새’와 ‘마’가 방위를, 뒤에 붙는 ‘-대’는 ‘쪽, 편’을 의미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갈바람’의 하위 범주에 ‘동갈, 남갈, 댄갈, 처진갈’이 있으며, ‘갈바람’은 서풍 외에도 남풍을 가리킨다고 정리할 수 있었다. 넷째, ‘설악산내기, 설악산바람’은 모두 위쪽에서 불어오는 샛바람의 일종인 ‘웃고(굴)새’의 하위 범주이다. ‘웃고(굴)새’는 설악산이나 원산이 있는 북서쪽 또는 북쪽의 위쪽 지역에서 오는 바람을 가리키는 말로 바람의 진원지에 따라 그 명칭은 ‘원산내기(내이)’와 ‘설악산내기(바람)’로 분화되었다. 다섯째, ‘내바람’의 다른 명칭 중 특이한 것은 울릉도 지역에서만 나타나는 ‘청풍’이다. ‘댄갈청풍’과 ‘북청’과 관련된 ‘청풍’은 서쪽에서 부는 바람을 가리키는 말로 맑고 상쾌한 바람을 가리키고 있었다. 바람의 명칭은 방위 외에도 속도 및 세기, 시간 및 계절, 모양과 성질, 위치, 지명의 범주와도 어울려 동해안의 특성을 보여주는 명칭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As a subject of study on the classification mechanism of a word, this study examines everyday words of naming wind used at fishing villages in the east coast of korea. Words of representing wind are classified to examine the classification patterns and the nomenclature depending on the classification mechanism. As a result, nomenclature of wind is confirmed to exist in various ways, other than the dictionary words such as “east wind, south wind, and etc”. When names of wind in everyday words at fishing villages are all retriev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eaning pattern, it is found that the word extended to various words representing velocity, intensity, shape and characteristics, direction, places, season, and timing, based on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 focussed on the wind direction. Through substantial on-site survey of words performed in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special environment at fishery villages affects the nomenclature of wind and so names of wind can be classified depending on the way of naming.

      • KCI등재

        어촌 바람명의 명명적 특성 연구

        박원호 한국방언학회 2016 방언학 Vol.0 No.23

        Wind is an important part in basic life at fishing village; thus, study on names of wind need to be thought in conjunction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focusing on close relationship of wind and basic life. However, in the former studies, wind was only studied as concept of wind direction. This study, research on names of wind used at fishing village, focuses on relation of informants’ perception of environment and names of wind surveyed in Ethnic Living words Research2, 2013. Moreover, this study discovers the regional difference founded in names of wind at fishing village and examines the meaning of words, based on the result discovered in Ethnic Lving words Research2, 2013. According to that book research, some wind has different names, depending on the region. For example, ‘Duibaram’ is usually used as ‘North wind’ while that means ‘west wind’ at east coast of Korea. In the following examples-’ Sacheonnaegi(yokjido)’, ‘Wonsannaegi(Gangneung)’- which name wind by surrounding geographic feature, subdivided wind direction of each region reflects direction recognition of surrounding environment. This study discuses the necessity of attention to cognitive element of direction in the region. In naming wind method, the difference among wind names surveyed in each region reflects narrators(informants)’ subjective direction cognition which relates to surrounding environment (geographic feature). If cognitive research is accompanied by ethnographic research on surrounding environment in ‘name of wind’ study, verification problems of coinage, meaning, or origin of words could be solved. In this study, words representing subjective direction cognition of surveyed words were classified with ‘space’ and ‘time’ types. The former includes ‘An(內: Anmasatbaram), Nopda(Nopsaebaram), Matda(Matbaram), Cheojida(Cheojingal)’ and the latter explains ‘Neutda(Neutmaparam), Gal(秋: Neutgal). 바람은 어촌의 기층 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래서 바람 이름 연구는 바람이 기층 생활과 밀접한 요소인 것을 주목하여 주변의 환경과 결부하여 생각해야 한다. 그러나 이전까지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소홀히 하고, 바람을 방위 개념으로만 국한하여 조사하는 데 그쳤다. 따라서 이 글은 어촌에서 쓰이는 바람 이름 연구로서, ≪2013년도 민족생활어 조사 2≫에서 지역(방위)마다 조사된 바람 이름이 제보자의 환경에 대한 인식과 관계가 있음을 주목한다. ≪2013년도 민족생활어 조사 2≫를 검토하는 데에서 발견한 사실을 토대로 어촌 지역의 바람 이름에 드러나는 지역적 차이를 발견하고 달리 나타나는 어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앞의 책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부 바람이 지역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나타났다. 그 중 한 예로 ‘뒤바람’이 대체로 ‘북풍’으로 사용되고 있음에도, 동해안 지역에서는 ‘서풍’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주변 특정 지역에서부터 불어오는 것으로 바람 이름을 명명하는 ‘사천내기(욕지도)’, ‘원산내기(강릉시)’의 용례로 미루어보아, 각 지역마다 불어오는 지역에 따른 인식도 반영될 것이라 짐작할 수 있다. 이 글은 조사 지역 안에서 방향에 대한 인지적인 요소에도 주목할 필요성을 논의한다. 지역마다 조사된 바람 이름 간의 차이는 바람의 이름을 명명하는 방식에서 있어 화자(제보자)의 주관적인 방향 인지 양상이 반영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바람 이름의 연구에서 민족지학적 연구와 그에 따른 인지적 연구가 동반되어 이루어진다면 조어 규칙이나 의미 및 어원에 대한 검증 문제가 어느 정도 극복될 수 있을 것으로 짐작된다. 이 글에서는 조사된 어휘 중 주관적 방향 인지가 나타나는 어휘를 ‘공간’ 개념과 ‘시간’ 개념의 유형으로 나누었다. 전자는 ‘안(內: 안마샛바람), 높다(높새바람), 맞다(맞바람), 처지다(처진갈)’와 같은 명칭을, 후자는 ‘늦다(늦마파람), 갈(秋: 늦갈)’로 분류하여 설명하였다.

      • KCI등재

        경남 남해군 어촌지역 생활어휘 연구 -행위자 및 환경 관련 어휘를 중심으로-

        홍기옥 ( Gi Ok Hong ) 한민족어문학회 2011 韓民族語文學 Vol.0 No.58

        본 논문은 경남 남해군 어촌지역에서 사용하고 있는 생활어휘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사용하고 어촌지역 생활어휘 중 ``행위자``, ``환경``에 관한 어휘를 정리하였다. ``환경``에 관한 어휘는 시간(물때, 미세기, 하루), 날씨(바람,비, 눈, 해·달·별, 기타), 공간(방위, 바다, 해안가, 지형), 지명에 관한 어휘로 하위 분류를나누어 조사하였다. 조사는 제보자를 만나 질문지와 그림 자료를 이용하여 직접 조사하는 방법을 채택하였으며 다양한 어휘 확보를 위해 어촌지역에서 나고 자랐으며 생업으로 어업에 종사하고 있는 제보자 5인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어업 ``행위자``에 관한 어휘에서는 이 지역의 대표 어로 방식인 ``죽방렴``에 관한 어휘가 나타났으며, ``환경``에 관한 어휘에서도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여러 어휘를 채록할 수 있었다. 조사를 바탕으로 경남 남해안 어촌지역 생활어휘를 행위자, 시간, 날씨, 공간, 지명 등의 범주로 어휘 체계를 목록화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cure systemize list of everyday living vocabularies being used in the fishing villages at Namhae-gun County, Gyeongsangnam-do Province. Among the everyday living vocabularies being used in Namhae-gun County, Gyeongsangnam-do Province, vocabularies related to the ``performers`` and ``environment`` were collected and summarized. For ``environment`` related vocabularies, there were vocabularies regarding time, weather, space and place-names. The ``time`` related vocabularies were ``mool-ddae`` (tide time), ``misegi`` (high tide and low tide) and ``haru`` (one day). The ``weather`` related vocabularies were regarding wind, rain, and others. The ``space`` related vocabularies were on directions, sea, seashore and topography. Vocabularies for time, weather, space and place-names were further classified into sub-categories. The vocabularies collection was done by directly meeting the survey subjects with questionnaire papers and drawings. In order to secure more diverse vocabularies, five information providers were chosen who had been borne in fishing villages and now making their livelihoods by fishing. Among the ``performer`` related vocabularies, the vocabulary ``jook-bang- ryeom``(fish-catching by fish net made by bamboo) was found which was the representative fishing method in this region. It was also possible to find variousvocabularie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 of this region among the environment related vocabularies.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the everyday living vocabularies at the fishing villages in the southern coast at Gyeongsangnam-do Province were made into an organized vocabulary system in the categories of time, weather, space and place-names.

      • KCI등재

        특집논문 : 제주문화와 제주어 ; 제주도 도서지역어의 생태학적 연구 -우도·비양도·가파도·마라도의 어촌생활어를 대상으로

        김순자 ( Soon Ja Kim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3 탐라문화 Vol.0 No.43

        이 논문은 우도·비양도·가파도·마라도 등 제주도 안의 4개 도서를 3지점으로 나누어 어촌생활어를 생태학적으로 조사, 연구한 것이다. 조사된 어휘 가운데 바 다동물 관련 35개 어휘와 바다식물 관련 16개 어휘 등 51개 어휘를 포함하여 총 8개 분야 106개 어휘에 대하여, 생태 측정을 위한 설문지가 작성되었다. 설 문 조사는 30·40대, 50대, 70대 이상 등 3세대로 나눠 실시하였다. 30대와 40 대를 묶어서 조사한 것은 조사 지점이 도서지역이어서 30대 인구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조사 결과, 70대 이상 응답자들은 51개의 해산물 관련 어휘 중 52.9%인 27 개 어휘에서 방언형을 100% 쓰고 있으나, 50대에선 29.4%인 15개 어휘, 30대 에선 11.7%인 6개 어휘만 방언형을 쓰고 있다. 생태 지수가 50% 이하인 어휘 는 70대 이상에서 13.7%인 7개 어휘이고, 50대에서는 5.9%인 3개 어휘, 30·40 대에서는 27.5%인 14개 어휘로 나타났다. ``이해하지 못하거나 모르겠다``는 응답을 보인 어휘는 70대에서 ``듬북`` 외 6개 어휘, 50대에선 ``보제기`` 외 9개 어휘로 나타났다. 30대에서는 ``모르거나 이해하지 못하겠다``고 응답한 어휘가 72.5%인 37개나 되었다. 위의 결과를 보면, 세대가 낮을수록 ``모르겠다``는 응답자가 많아 생태 지수 가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더욱이 해당 지역의 30대·40대 인구 비율이 현저히 낮을 뿐만 아니라 이들 세대가 어로 활동과 관련한 일을 하지 않는 것도 언어 사멸 속도를 빠르게 하고 있다. 따라서 사멸되거나 사멸의 길을 걷는 어촌생활 어는 물론 환경 등의 변화로 사라질 위기에 놓인 제주도방언의 체계적인 조사와 연구가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Vocabularies about ocean creatures (ocean animals and ocean plants) in islets near Jeju Island are searched and systematized ecologically. 4 islets near Jeju Island, U-do, Biyang-do, Gapa-do and Mara-do,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Vocabularies about sea creatures are searched for this study. After that, 51 words are chosen including 35 words about ocean animals and 16 words about ocean plants. Then the survey form with 106 questions is made from the result. The survey for three age groups is conducted to check ecological index. The age groups are the thirties-forties, the fifties and over seventies. There are not so many people in their thirties in these islets so one groups have to be consisted of the thirties and forties. The result shows younger generation doesn`t understand dialect more and this means their ecological index is low. There are a few young people in their thirties or forties and they usually don`t have fishery jobs so it quickens extinction of the language. That is why we need a methodical approach to extinct or endangered vocabularies about sea creatures and endangered Jeju dialect.

      • KCI등재

        어류 명칭의 사회언어학적 분화 양상 연구 - 부산 지역 어부와 상인을 중심으로 -

        김지숙(Kim Ji suk) 한국언어문학회 2017 한국언어문학 Vol.102 No.-

        Previous studies on the language vernacular used in Korean fishing villages have primarily been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fishermen. In order to address thi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pattern of language use according to different occupations by surveying the names of fish used by fishermen and merchants in the fish markets of Busan, Korea. Depending on the language context of the actor, the names used to refer to these fish may vary. The results of classifying the names of fish according to nomenclature mechanisms revealed different patterns of segmentation in fishermen and merchants depending on their environment and perspectives in the language context. Based on the patterns of segmentation, the foundation for a lexical network of fish names was established. Moreover, the segmentation patterns of fish names according to the perspectives of the two types of actors were described. These descriptions demonstrate that the actor’s environment and perception manifest in this segmentation in three stages: visual, analytic, and localized.

      • KCI등재

        <어촌 생활어 기초어휘 조사 질문지> 개발 의의와 과제

        김순자 한국방언학회 2017 방언학 Vol.0 No.25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explain why we developed ‘The Questionnaire about Basic Vocabularies Used Commonly in Fishing Villages’ and its meaning and task. This questionnaire is based on ‘The Survey about Common Words Used in Fishing Villages’ which was conducted for three years, from 2010 to 2012,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To make this survey form, seven researchers researched basic and advanced vocabularies used commonly in fishing villages, which includes 12 locations from four regions, Jeju Island, the eastern coast, the western coast, and the southern coast of Korea, for three years. The questionnaire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the following research because it is made after revising the result four times. The questionnaire has eight main categories- performers, environment, a catch of fish, fishing tools, the way to fish, food, folk, and so on- and is subcategorized. Therefore, it consists of 327 basic words and 158 advanced words (overall 485 vocabularies). The questionnaire also have ‘supplement’ and ‘idiomatic expression’ categories for more results. However, the questions are all explained in standard Korean so researchers have to use both standard Korean and dialect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이 글의 목적은 소멸 위기의 어촌 생활 기초어휘를 체계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개발한 <어촌 생활어 기초어휘 조사 질문지> 개발 경위, 그리고 질문지의 의의와 과제 등을 밝히는 데 있다. <어촌 생활어 기초어휘 질문지>는 국립국어원이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개년 동안 수행한 ‘민족 생활어 어촌 생활어 조사’를 토대로 하여 작성된 질문지이다. 이 질문지를 작성하기 위하여 7명의 연구원들은 제주도, 동해안, 서해안, 남해안 등 4개 지역 12개 지점에서 3년 동안 어촌 생활어 기초어휘와 확장 어휘를 조사하였다. 이 질문지는 3개년 동안의 어촌 생활어 조사 작업을 거친 후에 4차례의 수정과 보완 과정을 거쳐 작성되었다는 점에서 향후 어촌 생활어 조사 때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질문지는 격식 질문지이며, 질문 유형은 명명식으로 이루어졌다. 문항은 행위자, 환경, 어획물, 어로 도구, 어로 방법과 어로 행위, 음식, 민속, 기타 등 여덟 개의 주제로 범주화한 후에 다시 하위 항목으로 나눠 기초어휘 327개, 확장 어휘 158개 등 모두 485개의 조사 어휘 항목으로 이루어졌다. 조사 항목에는 ‘보충’, ‘관용 표현’ 등을 추가하여 조사 항목보다 더 많은 어휘 조사가 이루어지도록 질문지를 구성하였다. 질문문은 모두 표준어로 설명되어 있어서 조사자가 조사 지역 상황에 따라 표준어와 지역어를 적절하게 구사하며 조사해야 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