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애플’과 CEO‘스티브 잡스’의 인문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 경영 연구

        주성재,문찬 한국상품학회 2011 商品學硏究 Vol.29 No.3

        This study is about 'Apple Inc.' which is receiving international attention with being recognized as the most innovative corporation in this generation. The reason that we have to pay attention to the success of Apple is why Apple has led market of their own way by breaking existing rules or techniques of marketing and management. And the new market made by them has affected hugely and positively on both consumers and industrial class. For consumers, Apple has raised consumer profits and living standards up by offering the real meaning of universal design. For industry, Apple offered the possibility of symbiosis by guiding convergence and cooperation of each other fields of industrial class beyond the law of survival of fittest. To proceed an in-depth study of management style and brand value of Apple, it is needed the way focusing on humanistic approach rather than analytic, scientific approach. One of the biggest feature of Apple is that 'Steve Jobs(who is founder and also CEO currently)' and 'Apple Inc.' is inseparably each other. The philosophy of Steve Jobs has become exactly Apple's value, And his humanism and artistic value have determined the design management style of Apple. In other words, there is strongly needed to focus on process, not on conclusion for study. By perceiving these elements, at the first, this study looked over precedent research about profile and present of Apple, and also precedent study of definition and value of design management. Second, this study ruminated on growing background and values of Steve Jobs, researching growth of Apple as well. And tried to understand in humanistic way how Apple's management and Steve Jobs's value are associated each other, and what is implied in those. As a result, this study concluded three points. First, Both design management and the nature value of Apple started with the philosophy of Steve Jobs. Second, the main events of Steve Jobs's life has been helpful not only his personal growth but also basic root of sustainable innovation of Apple. Finally, the innovation of Apple has been always in the middle of their crisis, and also the crisis can cause new innovation as well. In other words, Apple has a dilema of 'innovation=crisis'. 본 연구는 현재 혁신적인 기업으로 손꼽히며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는 ‘애플’사에 관한 연구이다. 애플의 성공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가 있다. 애플이 각종 경영과 마케팅 기법에 있어 일정한 법칙의 틀을 깨고 애플만의 방식으로 시장을 주도했으며, 애플이 만들어놓은 시장은 소비자와 산업계 모두에 막대하면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소비자에게는 포괄적이고 진정한 의미의 유니버설(universal) 디자인 제품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익과 삶의 질을 한 층 올리는 역할을 하였고, 산업계에게는 적자생존의 법칙을 넘어서 타 분야 간의 융합과 협력을 인도함으로써 공생(共生)의 가능성을 열게 하였다. 기존의 틀을 깨는 애플의 디자인 경영방식과 브랜드 가치를 심도 있게 연구하기 위해서는 분석적이고 과학적인 기법보다 인문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한 방법도 필요하다. 애플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창립자이자 CEO인 ‘스티브 잡스’와 애플이 상호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는 것이다. 스티브 잡스의 철학이 곧 애플의 철학이었고, 스티브 잡스의 인문학적 소양과 예술적 가치관이 애플의 디자인 경영 방식을 결정지었다. 다시 말해, 애플을 연구함에 있어서는 결과지향주의적 접근이 아닌 과정지향주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우선 애플의 역사와 현황, 디자인 경영의 정의와 가치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스티브 잡스의 성장 배경과 철학을 애플의 성장과 함께 탐구하여, 그의 철학과 애플의 디자인 경영이 얼마만큼의 연관성이 있는지, 어떠한 점을 시사하는지 인문학적인 시각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애플의 디자인 경영 방식과 본질적 가치 모두는 스티브 잡스의 철학에서 비롯되고, 둘째, 스티브 잡스의 삶의 주요 이벤트는 스티브 잡스 개인적 성숙뿐만 아니라 향후 애플의 본질인 지속적 혁신의 기본적 발판이 되었으며, 셋째, 애플의 혁신은 늘 위기 속에 있고, 위기는 다시 혁신을 불러올 수 있다는 결론을 갖게 되었다.

      • KCI등재

        애플의 경쟁우위에 관한 연구

        천만봉(Man-Bong Cheon) 한국경영사학회 2011 經營史學 Vol.5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cognized to the most innovative companies in the worldwide between the growth process and the success factors of Apple Inc. Therefore, This study was used a exploratory study methods of existing literature and case-oriented. First of all, We was examined about the growth process of Apple’s, We are examined the success factors for business innovation through the analysis to innovation strategies in Apple’s. As a result, Apple’s based that the four innovation strategies are composed of strategy innovation, product innovation, social innovation, and process innovation. More specifically,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rategy Innovation of Apple’s can be summarized the consistency of product and technology, diversification, building a cult, the market leader, and differentiation. Second, The Product Innovation is composed of innovative operability, design, simplication, and relevance strategies. Third, The Social Innovation can be classified as the internal organizational and external organizational innovation. Fourth, The Process Innovation can be divided into the production operation management sectors and marketing management sectors. Therefore, Apple’s was able to success in the details of the sub-strategies based on innovation and growth from 4 s innovation strategies. In sequence, The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First, The most innovative companies in Apple’s regarded as a success factors in the 21st century. Second, The Companies must be continuous innovation in order to survival global business environment. Third, We should suggested a toward directions of our companies through the most companies in Apple’s. Fourth, We was performed more systematic study from the existing literature on the academic in Apple’s Company. On the other h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s a summarized, First, This study id included to Apple’s, but this study is approached from a literature research methods through existing data based. Second, This study id missing on the part of the study about the CEO Steven Paul Jobs of Apple’s. Therefore, The future studies need to be added to these parts. 본 연구는 오늘날 전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기업으로 손꼽히고 있는 애플의 성장과 세계 최고기업으로 성장시킨 애플의 성공요인, 그리고 애플의 경영혁신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내는 일련의 과정을 찾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수행방법은 가설검증에 의한 실증적 연구방법이 아닌, 기존의 문헌과 사례중심의 탐색적 연구방법 을 이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애플의 성장과정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애플의 혁신전략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경영혁신의 성공요인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애플에는 전략혁신, 제품혁신, 사회적 혁신, 공정혁신(= 과정혁신)전략 등의 4개의 혁신전략을 기본으로 각각의 하위 세부전략들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애플의 전략혁신에는 제품 및 기술의 일관성 전략, 다각화 전략, 컬트구축 전략, 시장 선도자 전략, 차별화 전략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둘째, 애플의 제품혁신에는 혁신적 조작성, 디자인 전략, 단순화 전략, 연관성 전략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혁신에서는 조직 내 혁신과 조직 외 혁신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과정혁신(= 공정혁신)에서는 생산운영관리 부문과 마케팅관리 부문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애플은 4개의 혁신전략들을 중심으로 각각의 하위 세부전략들을 기반으로 혁신과 성장전략을 성공적으로 추진할 수 있었던 하나의 원동력이었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할 수 있는 시사점으로는, 첫째 21세기의 가장 혁신적인 기업으로 손꼽히고 있는 애플의 성장요인에 대하여 알아보았고, 둘째 글로벌 경영환경 에서 기업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혁신(innovation)을 반드시 갖춰야 한다는 점, 셋째, 경영혁신의 대표적 기업인 애플을 통해서 우리기업들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애플이라는 기업에 대하여 기존의 문헌자료들을 좀 더 학술적인 측면에서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했다는 측면이다. 한편으로 본 연구에서의 한계점을 요약하면, 첫째 본 연구는 애플이라는 기업을 대상 으로 하였으나 기존의 자료를 중심으로 한 문헌적 연구방법을 통해 접근했다는 점, 둘째 애플의 중심에는 항상 “스티브 잡스”라는 애플의 최고경영자가 수식어처럼 따라붙을 정도로 애플의 성장에는 그의 영향력 뿐만 아니라 그의 혼이 담겨져 있다. 그런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 애플의 최고경영자인 “스티브 잡스”에 대한 연구부분이 빠져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분이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애플의 경영활동과 스티브 잡스의 기업가적 활동

        천만봉(Man-Bong Cheon) 한국경영사학회 2012 經營史學 Vol.63 No.-

        본 연구의 목적은 21세기 가장 혁신적인 기업으로 선정된 애플의 36년의 경영활동의 변천과정과 특징, 그리고 애플의 성공요인에 큰 영향을 미친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였던 스티브 잡스의 기업가적 활동의 특징을 분석하는데 그 취지를 두고자 한다. 애플의 경영활동의 시대별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애플의 창업기 및 도약기 시대(1976~1984)에는 애플이 창업한 이후 초창기 개인용 퍼스널 컴퓨터 시장에서 성장할 수 있었던 요인들을 살펴보았던 시기였다. 애플의 침체기 시대(1985~1996)는 애플에서 창업자인 스티브 잡스가 퇴사한 후 애플의 경영에 있어서 불안정한 시기로 특징 지을 수 있다. 또한 경쟁기업들과의 차별화요소가 상쇄됨으로써 점차 애플 경영의 위기를 맞이하던 시기였다. 애플의 부흥기 시대(1997~2006)는 스티브 잡스가 다시 애플의 최고경영자에 복귀 후 디자인 경영과 틈새시장의 개척을 통해 한 단계 성장하는 도약의 시기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애플의 성장기 및 현재시대(2007~현재)에서는 기존의 컴퓨터 회사라는 이미지에서 디지털 종합가전 회사로의 이미지로 탈바꿈하는 계기를 마련했던 시기였다. 또한 애플은 스마트폰인 ‘아이폰(iPhone)’을 출시하면서 전 세계 휴대폰 시장에 큰 변화를 이끌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추구하고 있다. 한편, 스티브 잡스의 기업가적 활동은 스티브 잡스의 성장과정과 경영이념, 그리고 경영전략 등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스티브 잡스의 경영이념을 살펴보면 첫째, ‘고정관념을 뒤집어라’, 둘째, ‘무슨 일이든 되게 하라’, 셋째, ‘완벽한 제품을 만들어라’, 넷째, ‘불가능한 것도 가능하게 하라’ 등으로 논 할 수 있다. 그리고 스티브 잡스의 경영전략으로는 크게 ‘마케팅 전략’, ‘엔드 투 엔드(End to end) 전략’, ‘인사관리 전략’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스티브 잡스는 “마케팅 전략”에서 ‘체험 마케팅’을 통하여 소비자들에게 직접 애플의 제품들 만져보게 하면서 그들 스스로가 애플의 충성적인 고객이 되도록 하여 애플 제품의 구매행동으로 이끌었으며, ‘신비주의 마케팅’을 통해 소비자들로 하여금 애플의 신제품에 대한 호기심을 증대시켜 애플의 홍보효과를 극대화하는데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애플의 ‘고객창조 마케팅’은 끊임없는 신제품 개발을 통해 새로운 고객을 창출하는데 기여하였다. 한편 애플은 전 세계적으로 유일무이하게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동시에 생산하고 통제하는 회사이다. 애플은 이를 “엔드 투 엔드 전략”의 경영방식으로 모든 제품에 대한 통제를 시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애플의 모든 제품에 대한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스티브 잡스의 “인사관리 전략”은 애플의 끊임없는 혁신과 새로운 신제품을 출시하는 데 적극 활용하였으며, 이러한 전략에 의하여 애플의 전 직원들은 항상 긴장감을 갖으면서 업무에 최선을 다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가 취약한 상황에서 애플의 36년 역사의 시대별 경영활동의 특징과 스티브 잡스의 기업가적 활동에 대하여 조명하였다. 더 나아가 애플의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였던 스티브 잡스의 기업가적 활동을 분석함으로써 한 기업의 경영활동에 있어 최고경영자 역할의 중요성을 살펴보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끝으로 애플의 사례에서도 보았듯이 기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규모와는 상관없이 최고경영자의 경영이념 및 기업문화, 그리고 끊임없는 경영혁신 등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한국기업들의 경영활동에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This study is the Apple business activities of the 21st century innovative company and a study of the entrepreneurial activity of Steve Jobs. As the turn of the 21st century s, The Apple has grown the most innovative companies in the world, The Apple is pursued continuous innovation during the last 36 years from founded in 1976. At the heart these innovations was influenced from steve jobs in Apple s founder and former CEO. Therefore In this study, The Growth process was investigated from the establishment to the current through the business activity of apple and the entrepreneurial activity of steve jobs. Apple was being to personal computer business in the initial establishment, but Apple was diversified a music market, the mobile phone market, tablet PC since the early 2000 s. Also, Apple was famous a unique hardware and software development company unlike any other companies worldwide. The successful diversification of apple was based on these end to end strategy. First, The entrepreneurial activity of steve jobs was investigated his philosophy. and The Business strategies of steve jobs could be divided into marketing strategy, end to end strategy, human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The Apple of today has been able to grow the most innovative companies in the world from based on the steve jobs strategie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is turn on the successful by the CEO s philosophy, corporate culture, continuous management innovation without reference to the size of your compan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s the exploratory by using the literature data, so our future study will be added to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including the financial figures of corporate management.

      • 캠벨 영웅 신화론에 의한 애플 성공신화 분석

        한우 문화예술콘텐츠학회 2017 콘텐츠 문화 Vol.9 No.-

        본 연구의 목적은 에서는 정보통신에 대한 개념조차 생소했던 시기 에 창업하여 단기간 내에 퍼스널 현대 경영의 성공의 상징 아이콘이 CEO 스티브 잡스로 대표되는 애플의 독특한 기업문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 발전 동인을 밝혀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 해 애플사의 기업 문화를 조셉 캠벨의 신화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였 으며 애플사 및 스티브 잡스와 관련된 영상자료 및 각종 출판물, 인터 넷 기사 등을 함께 조사하였다. 캠벨의 신화이론에서 영웅 신화의 구조는 출발 단계, 입문 단계, 귀 환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애플의 성공 신화를 캠벨의 영웅이론 3단계 16요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출발 단계 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스티브 잡스가 평범하고 화목한 가정이 아 닌 미혼모에게서 태어나 입양의 과정을 거치게 되면서 영웅이론의 첫 단추인 영웅으로서의 소명을 가지게 괴었으며 학창시절 내부적 갈등 과 방황 등을 겪게 되는 과정인 ‘소명에의 거부’를 거치게 되었지만 IT 시장이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가 발명, 보급 이라는 시기적 적절성, 즉 초자연적 도움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IT제품 개발 업체들과의 통로를 차단하고 폐쇄성과 비호환성 만을 고집하던 전략 으로 시장의 외면을 받게 된다는 시련을 겪으며 이러한 시련 이후에 더욱 강해지며 자신의 장점인 ‘Think out of the box(고정관념에서 벗 어나 독창적으로 생각하기)’를 되찾는 등 진정한 자아정체성을 회복하 고 확립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입문 단계에서는 잡스가 떠난 애플에서는 더 이상 예전의 매력적이고 유니크한 제품이 개발되지 못한다는 시련을 겪게된다. 그 러나 잡스 개인적인 입장에서는 부인인 로렌과의 만남으로 인간적이 고 자상한 사람으로 변모하게 된다는 성장의 기회를 얻게된다. 이후 애플의 스토리에서는 아버지에 해당되는 대상은 스티브 잡스 자신이 뿌리를 두고 있는 ‘애플 사(社)’와의 재결합은 아버지와 화해 단계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신격화 과정은 잡스 생전부터 지금까 지 이어지는 부분으로 부분에서는 애플의 아이팟과 아이폰, 아이패드 등의 발명 등 애플의 성과를 두고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점, 그리고 애플의 성공을 이끄는 데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했던 스티브 잡스에 대한 평가가 책과 영화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 신격 화라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품의 개발은 애플이라는 기업의 번영 과 성장의 측면에서만이 아닌 전 세계 인류의 발전에 기여했다는 점 에서 애플이 이러한 결과를 의도했든 그렇지 않았든 궁극적으로 홍익 정신이 실현되는 결과를 낳았다고 볼 수 있다. 세 번째로 귀환 단계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귀환 거부는 그의 건 강의 악화가 시작된 시점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잡스는 귀환에 대 한 거부의 일환으로 현대의학에 의한 치료대신 자신이 선택한 민간요 법에 따라 병마와 싸우는 방법을 택한다. 잡스가 수술 후 죽음의 문턱 에서 탈출하는 과정은 영웅 신화 이론의 불가사의한 탈출의 단계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잡스의 여정이 대중들에게 잡스를 보다 신화적 혹은 영웅적 인물로 각인시키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귀환관문의 통과부분에서는 귀환을 죽음 너머의 삶으로 보고 잡스의 죽음을 영웅 신화의 귀결로 보기 때문에 귀환관문의 통과는 영웅이론 단계의 마지막 요소인 ‘삶의 자유’와 동일하게 취급한다. In this study, the industrial culture of Apple Inc. will be analysed by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e theory of myth by Joseph John Campbell; the analysis will be with imagery data, various publications, and internet journals related with Apple Inc. and Steve Jobs. The theory of myth explained the structure of hero’s journey wa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departure, initiation, and return. The result of analysing Apples’ succession with Campbell’s theory, the 16 stages in 3 sections of the hero’s journey, is as in the following. The life of Jobs in ‘departure’ section was started with his unusual birth by single-mother and adoption. This gave Jobs ‘the call to adventure’, the first stage of hero’s journey. He had went through the period of ‘refusal of the call’ by the inflicts conflicts and wandering in his school years, but he could stood up by the ‘supernatural aid’, the invention of personal computer in IT market. He once was shunned by the market because of his stubborn strategy to insist closing and noninterconverting by the disconnection with other IT enterprises, but soon he restored and established both his real identity and his strength, ‘Think out of the box.’ In the ‘initiation’ section, Apple Inc., which Jobs left from, had suffered not to develop attractive and unique products any more, but Jobs took a chance be a humane and considerate man by the meeting with his wife, Laurene. In the story of Apple Inc., the reunion of Jobs and Apple Inc. which could be considered as a father of Jobs, could be applied to the stage of ‘atonement with the father.’ The stage of ‘apotheosis’ for Jobs and Apple can be explained by the researches about Apple’s product such as the invention of i-pod, i-phone, and i-pad, and the various appraisals about Jobs, the most influential person for Apple’s succession, by books and movies. The invention of theses products contributes to not only the prosperity and growth of Apple inc. but also the development of humanity; whether Apple intended this result or not, it has realizes the ‘Benefit all Mankind’ in real world. The stage of ‘return’ can be started with Jobs’ deterioration in health. As a part of ‘refusal of the return’ stage, Jobs decided to fight against his illness not with the treatment by modern medicine but with folk remedy which he had chosen. Jobs’ return from the death’s door can be applied to ‘the magic flight’ stage; these series of Jobs’ journey are the elements to stamp him on people as a mythological or heroic character. The stage of ‘the crossing of the return threshold’ is equalized with the stage of ‘freedom to live’ because the ‘return’ is the life after death and the Jobs’ death is the end of ‘hero’s journey’ in ‘the crossing of the return threshold’ stage.

      • KCI등재

        또 다른 미국 예외주의?:조이스 애플비(Joyce Appleby)의 자본주의, 노예제, 그리고 미국혁명

        허현 한국미국사학회 2017 미국사연구 Vol.46 No.-

        Joyce Appleby, who died on December 23, 2016 at the age of 87, has been recognized as a distinguished historian and author on American Revolution and capitalism, arguing that ideas about capitalism and liberty were fundamental in shaping the identity of early Americans and that they constructed a new social order based on those ideas. Appleby organized her ideas in books like “Capitalism and a New Social Order: The Republican Vision of the 1790s” (1984) and “Liberalism and Republicanism in the Historical Imagination” (1992), and attempted to offers a sweeping new history of capitalism, from its origins in the trading empires of the late Middle Ages all the way through to the Great Crisis of 2008, in “The Relentless Revolution: A History of Capitalism” (2010). While it is easy to understand that Appleby, as a historian of capitalism, had tried to focus on the historical, economic, and structural analysis of American capitalism, she actually had concentrated on examining and shedding new light on the revolutionary culture and epoch-making role of capitalism, paying special attention to the cultural aspects like the change of one’s way of thinking and patterns of behavior. In doing so, Appleby has performed the grander project of redefining the historical origin of American republic and the American identity, based on the capitalistic ideas and convictions. A history of ‘Appleby’s capitalism,’ as another American exceptionalism, is that of “a free and equal people” as an agent of change and innovation and the story of capitalism of democratic and liberal nature. According to Appleby, therefore, the early Americans embraced capitalism as their salvation, an alternative to empire and aristocracy. In this respect, it is not surprising that Appleby is at the pains of turning her back on the capitalist history of slavery as an extreme exploitation system of labor. As long as Appleby regards capitalism mainly as a sort of culture or cultural system, rather than as a political economy, as a power relation, or as class relationships, however, a history of ‘Apple’s capitalism’ remains just as a unfinished story of American capitalism. Appleby’s story of American capitalism is needed to be written more with the story of the place of modern slavery in the history of capitalism, with the story of democratic and at the same time anticapitalistic tradition, and with the “vexed” relationship between the rise of capitalism and the commodification of human beings. 2016년 12월 23일, 87세의 나이로 타계한 미국의 역사가 조이스 애플비(Joyce Appleby)는 미국 독립혁명과 미공화국 초기의 정치사상 및 자본주의의 역사에 관한 대표적인 학자로 평가받고 있다. 애플비는 자유주의와 자본주의 사상 및 신념이 초기 미국인들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지배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며 이후 미국인들이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사회질서를 구축했다고 주장하면서 『자본주의와 새로운 질서: 1790년대의 공화주의적 비전(Capitalism and a New Social Order: The Republican Vision of the 1790s』”(1984)과 『역사적 상상력 속에서 자유주의와 공화주의(Liberalism and Republicanism in the Historical Imagination)』”(1992) 등의 저서를 통해 자신의 주장을 체계화했으며 말년에 집필한 『가차없는 혁명: 자본주의의 역사(The Relentless Revolution: A History of Capitalism)』(2010)를 통해 인류의 가장 강력한 발명품 중 하나인 자본주의의 역사에 대한 학문적 집대성을 시도한 바 있다. “자본주의사가(historian of capitalism)”로서 애플비는 미국 자본주의의 기원과 발전 및 형태에 관한 역사적․경제적․구조적 분석에 몰입했던 역사가라기보다는 자본주의적 사상과 질서의 등장으로 인한 인간의 사고방식이나 행동양식의 변화라는 문화적 측면에 주목하면서, 특히 미국 독립혁명과 미공화국 건국 초기에 미국인들의 개인적 혹은 국가적 정체성 형성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해석하고 있는 자유주의와 그 문화적 구현체로서 자본주의의 혁명적 문화와 새로운 시대적 역할을 검증하고 재조명하는 데 집중해 왔던 역사가라고 할 수 있다. 애플비는 이를 통해 미공화국의 역사적 기원과 국가적 정체성을 자본주의적 사상과 신념의 토대 위에서 새롭게 재정의해보고자 하는 한층 거대한 프로젝트를 수행해 왔다고 볼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미국 예외주의(American exceptionalism)’의 역사서술이 자연스럽게 자리 잡았다는 점 또한 부정하기 어렵다. 애플비가 전통에 도전하고 이를 무너뜨리는 변화와 혁신의 주체로서 주목하는 “자유롭고 평등한 인간”은 애플비에게 바로 자본주의적 인간, 자본주의 문화를 기꺼이 수용한 인간으로 정의된다. 애플비가 판단하기에 자유주의와 자본주의는 부정할 수 없는 역사적 연관성을 가지고 있었다. 즉 “풍부한 자원과 유연한 사회적 규범을 가지고 있었던, 오직 미합중국에서만이 자유로운 사회에 대한 예지적 비전에 현실적인 힘을 실어주는 것이 가능”했던 것이다. 애플비 자신이 자본주의적 덕목 내지는 문화로 정의하는 자유와 혁신, 진취성, 창조적 지성, 그리고 진보 등은 바로 애플비가 만들어내는 또 다른 미국 예외주의의 핵심 개념들을 이룬다. 다시 말해, 애플비가 만들어내는 미국 예외주의의 실체는 바로 자본주의인 것이다. 하지만 또 다른 미국 예외주의로서 애플비의 미국 자본주의 해석에 대한 객관성과 정당성을 검토해 볼 때 ‘애플비의 자본주의’가 미국 자본주의의 역사를 제대로 담아내고 있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이 쉽게 해소되는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도 애플비에게 자본주의는 ‘문화’ 혹은 ‘문화체계’로서 역사적으로 가장 혁신적이었고 가장 자유에 부합했으며 가장 민주주의적이었고 또 무엇보다도 가장 진보적이었기 때문에 ‘선택’된 문화로서 이해된다. 이런 입장을 가진 애플비에게 노예제는 무척이나 거북스럽고 난감한 주제로 남아있다. 애플비가 ...

      • KCI등재

        애플스토어 디자인에 나타난 신고전주의 건축의 형태 및 공간 특성 - 애플스토어 1기 사례를 중심으로 -

        신동진 ( Shin Dongjin ),김종진 ( Kim Jongji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8

        (연구배경 및 목적) 애플스토어는 지난 20년간 혁신적인 디자인을 선보이며 소매점도 세계적인 건축물로 평가될 수 있음을 증명한 대표적 사례이다. 본 연구는 애플스토어 디자인이 보여주는 '단순함'의 원형이 '신고전주의 건축 양식'으로부터 비롯되었음을 제시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신고전주의 건축의 유형별 특성을 검토하였고, 그 결과로서 도출된 건축 형태와 공간의 특성이 애플스토어 디자인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문헌 연구와 사례 연구로 구분한다. 문헌 연구는 잡스의 전기에서 애플스토어 디자인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언급되는 바우하우스 건축가들이 신고전주의 건축의 사상과 형식에 영향 받았음을 근거로, 애플스토어 디자인과 신고전주의 건축과의 연관성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신고전주의 건축의 두 가지 유형인‘복고적 신고전주의 건축’과‘혁명적 신고전주의 건축’그리고 이와 연관된 근현대 합리주의 건축을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로서 도출된 특성과 애플스토어 디자인의 두 가지 유형인‘거리형 전면매장’과‘광장형 지하매장’의 특성을 종합함으로써 이후 사례 연구에 사용될 분석의 틀을 제시한다. 사례 연구는 2017년 애플스토어 디자인의 전략이 변경되기 이전, 잡스의 디자인 철학이 온전히 반영된 플래그십 스토어 개념의 단독 건물 매장 중 핵심 매장으로 회자되고 있는 곳을 각 유형별로 3곳씩 총 6곳을 선정한다. 거리형 전면매장으로는 스탠포드 쇼핑 센터점(Apple Stanford Shopping Center), 오모테산도점(Apple Omotesando), 서호점(Apple Westlake)을 대상으로 하고, 광장형 지하매장으로는 뉴욕 5번가점(Apple Fifth Avenue), 푸동점(Apple Pudong), 졸를루 쇼핑 센터점(Apple Zorlu Center)을 대상으로 한다. (결과) 결과적으로 이들 선정 대상을 앞서 제시된 사례 분석의 틀로 분석함으로써 신고전주의 건축의 두 가지 유형의 특성이 애플스토어 디자인의 두 가지 유형으로 전이 되었음을 규명함과 동시에 애플스토어 디자인을 건축사의 흐름 안에 새롭게 조명코자 한다. (결론) 본 연구는 잡스의 이데아적 세계에 대한 현실 세계의 재현으로서 애플스토어 디자인 1기의 건축과 공간의 원형을 찾는 연구이다. 애플스토어는 건축의 형태로 브랜드와 제품을 강력히 상징하며 각인시키고, 그 내부의 공간이 그러한 브랜드와 제품에 대해 몰입할 수 있도록 특별한 경험을 부여한다. 이렇듯 21세기 혁신의 상징과도 같은 매장이 18세기 고전적 건축의 모습과 닮아있다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결과이며, 이는 소매점의 건축과 공간을 보다 비약적으로 바라보려는 새로운 관점으로서 의미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Apple Store has been demonstrating its innovative design over the past 20 years, and is a typical case to prove that even its retail store can be evaluated as a world-class buil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the archetype of “simplicity” demonstrated in the Apple Store design is derived from “Neo-Classicism architecture style.” Accordingly, the characteristics of two types in the architecture of Neo-Classicism were reviewed, and how its architectural form and space characteristics were applied to Apple Store design were analyzed. (Method) In this study, the research method was categorized into literature reviews and case studies. The literature reviews attempte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design of Apple Store and the architecture of Neo-Classicism on the basis that Bauhaus architects mentioned in Steve Jobs’ biography were influenced by the ideas and form of Neo-Classicism architecture. Correspondingly, two types of Neo-Classicism architecture, revivalistic Neo-Classicism architecture and revolutional Neo-Classicism architecture, and related Modern Rationalism architects were examined through previous studies. Furthermore, by synthesizing the characteristics derived as the resul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wo types, an aboveground store located on a street and an underground store located in a square, in the design of Apple Store, a framework for analysis to be used in subsequent case studies was presented. For the case study, six remarkable stores, three for each type, were selected among flagship concept stores that entirely reflected the design philosophy of Jobs before the design strategy of Apple Store was changed in 2017. For aboveground stores located on the street, Apple Stanford Shopping Center, Apple Omotesando, and Apple Westlake were considered, and for underground stores located in square, Apple Fifth Avenue in New York, Apple Pudong, and Apple Zorlu Center were chosen. (Results) Through an analysis based on the framework of the case analysis presented above, the study attempted to illuminate Apple store design from the architectural history perspective by clarifying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wo types in Neo-Classicism architecture were transferred to two types of Apple Store design. (Conclusions) This study tried to determine the architectural historical archetype shown in the first period cases of Apple Store design representing Jobs' ideological world into a real world. Apple Store strongly symbolizes and imprints its brand and product through its architecture. In addition, the interior space of Apple Store offers consumers a special experience to immerse themselves in its brand and products. It is interesting that Apple Store, a symbol of innovation in the 21st century, resembles the classical architecture of the 18th century. This is meaningful as a new perspective to consider the architecture and space of retail stores at a higher level.

      • KCI등재

        애플이 주도한 ORM-Free 전략의 경제성 분석

        김평수(Kim, Pyung-soo)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09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2

        1990년대 말 PC 업계의 보급형 PC전략에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던 애플은 2001년 10월 23 일, 실리콘 밸리에서 열린 신제품 발표회에서 획기적이라고 주장하며 아이팟을 출시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약점으로 인해 아이팟은 대중적으로 엄청난 비난을 받았고 애플의 야심작은 시장에서 곧 사장될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애플은 꾸준히 아이팟의 성능과 호환성을 개선하고 신제품을 출시했다. 그 결과 2003 년부터 꾸준히 늘어난 판매량은 2007년 4월엔 누적판매량 1억대를 돌파했다. 아이팟은 현재 미국 하드 드라이브형 음악 플레이어 시장의 90%, 세계음악 플레이어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콘텐츠 연계형 비즈니스 전략을 수립하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콘텐츠의 독점적 결합을 통해 아이팟의 완성도와 만족도를 높여 소비자들의 인기를 획득했다. 그 결과 컴퓨터와 음악플레이어 생산회사인 애플은 세계적인 음악콘텐츠 유통회사로 변모했다. 아이튠즈 스토어는 2005년 초반 디지털음악 판매시장의 75%를 점유했고 2008년 6월 아이튠즈 스토어에서 판매된 음악이 통산 50억곡을 넘어섰다. 하드웨어를 콘텐츠 유통채널이 만든다는 아이디어가 아이팟 신화를 창조한 것이다. 또한 애플은 너무나 당연하게 여겨지던 DRM의 해제를 주장함으로서 음악시장의 지각변동을 일으켰다. 아이팟이 성공할 수 있었던 여러 요소 중 하나가 바로 DRM을 기준으로 한 수직 계열화라 할 수 있다. 얘플의 DRM ‘FairPlay’가 아이팟-아이튠즈-메이저레이블로 이어지는 CPNT 수직 계열화를 가능하게 하여 오늘날 독점적 시장 체제를 가능케 하였는데 애플은 독점적인 지위를 보장 받을 수 있는 DRM을 포기하고 시장의 파이를 키우는 전략을 택했다. 즉, 합법적인 다운로드 시장의 규모를 성장시키면 경쟁자도 성장할 수 있지만 자신도 동반 성장한다는 것을 알고 윈-윈 전략을 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애플이 주도한 DRM-Free 전략은 전 세계 음악산업계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애플이 주도한 전략의 경제성을 분석해 보면 첫째는 DRM의 해제를 통해 디지털음악시장 규모가 성장할 가능성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둘째, 애플 자신은 콘텐츠연계형 비즈니스를 통해 음악콘텐츠를 판매함으로써 하드웨어만을 판매했을 때는 상상하기 어렵던 많은 수익을 올릴 수 있게 되었다. 셋째, DRM-Free가 본격화되는 시점에서 새롭고 다양한 음악 비즈니스 모델이 탄생 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동안 음악 산업계의 침체로 말미암아 음악생산자와 음악소비자의 관계의 냉각기에 있다고 보여 진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대중을 음악소비자가 아닌 음악팬으로 복구할 수 있는 현명한 대안을 생각하고 눈앞의 이해에 얽매여 소비자와 자신을 함께 망가뜨리는 비즈니스보다 미래를 내다보는 혁신적이고 포용적인 상생의 전략을 음악산업계가 고민해야 할 것이다. In the late 1990s, Apple, which was losing competitiveness in PC strategy came out iPod on October 23, 2001. The new product presentation was held in Silicon Valley and they insisted that the product is epoch-making. However, due to iPod s several weakness, there was much criticism and controversy over the new product, iPod. The public expected the revolutionary product of Apple to be obsoleted from the market soon. Nevertheless, Apple steadily improved the performance and compatibiliry of iPod and launched new products. As a result, sales that has increased steadily since 2003 exceeded cumulative sales by 100 million in April, 2007. iPod currently controls 90% of hard drive music player market share, and more than 70% of worldwide music player market share. In addition, Apple established an exclusive business strategy that combines hardware, sofrware, and contents. Thus,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and satisfaction of iPod contributed to Apple s popularity. Consequently, Apple, which produces computers and music players, became world leading content distribution company. Early in 2005, iTunes Store accounted for 75% of the digital music market, and in June 2008, iTunes sold more than 50 hundred million musics Apple brought revolution in music market by claiming DRM release of music files, which had been taken for granted. One of several factors of iPod s success is significantly vertical systematization of DRM standard. Today Apple have kept up the exclusive market in music industry as they enabled DRM FairPlay to systematize CPNT vertically connected with iPod, iTunes, and major label. However, Apple chose a strategy that increases market pie instead of DRM, which could have allowed them to sit in monopoly position. In other words, the Apple chose a win-win strategy as they know that if the size of the legal download market grows, both Apple and its other competitors can also develop. Thus DRM-Free strategy led by the Apple had influenced on the world music industry. As we analyze the economical efficiency of this Apple s strategy, the paid digital music market is capable of growing in size. Second, by selling music contents the Apple was able to increase its profit that it is difficult to imagine when selling only hardware, through business that is connected with contents. Third, a variery of new music business model is likely to be created at this point with the use of DRM-Free. Meantime,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producers and consumers have been cooled-off because of recession of the music industry. To overcome this, the music industrial world has to sensible alternatives that can make people to become music fans instead of mere music consumers. It is also vital to consider innovative and comprehensive win-win strategy rather than doing business that destroy both the company and the consumer.

      • KCI등재

        미국의 삼성과 애플간 특허권 분쟁에 관한 소고

        강기봉(Kang, Gi-bong) 한국정보법학회 2012 정보법학 Vol.16 No.3

        미국에서의 애플과 삼성의 특허권 분쟁은 특허권 침해에 대한 본안 소송, 가처분 소송 및 미국무역위원회에 대한 수입금지 신청까지 이어졌고, 현재는 양 당사자의 스마트폰과 타블렛 컴퓨터 관련한 대부분의 제품에 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만큼 양당사자에게 이 소송은 중요한 사안이다. 이 소송이 양 당사자 간의 합의와 크로스 라이선스로 끝을 맺을 것이라는 예상도 있지만, 과연 이들의 소송이 이러한 결말을 맺을지는 장담할 수 없다. 그리고 현재 유럽에서는 삼성이 다소 유리한 상황인 것 같지만 아직 결론이 난 것은 아니고, 미국의 경우에도 애플이 주도적인 상황인 것 같지만 삼성이 이에 대해 활발한 대응을 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이 사건의 전개에 대해 전망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미국에서의 삼성과 애플의 분쟁에 관하여 일반적인 뉴스나 정보 제공을 하는 자료는 쉽게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이것들은 상기의 소송들에서 구체적으로 삼성과 애플이 어떤 권리들이 각각 침해되었다고 주장하는지에 대해서 분명하게 구분하여 제시 하고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이들 자료만으로는 미국에서의 소송 상항과 그 영향 관계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구체적인 논의에 앞서 미국에서의 삼성과 애플 간의 소송들에서 다뤄진 삼성과 애플의 지적재산권을 파악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각 소송에서 다뤄진 삼성과 애플의 지적재산권을 파악하여 비교하고 법적 논점을 검토한 후에, 이에 기초하여 미국과 한국의 소송의 차이와 미국 에서의 삼성과 애플의 분쟁의 의미와 전망을 제시하도록 한다. The patent disputes between Samsung and Apple followed by the merits of a case entailed preliminary injunction, extending to seek import prohibition by filing in USITC(United States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 which have currently had an overall impact on the majority of the products involving smart phones and tablet computers etc from both parties concerned. These ongoing lawsuits are of as much importance to the interested parties. Someone may anticipate that they would eventually bring about something like mutual reconciliations and cross licenses in the long run, but no one ensures what consequences their sharp confrontation would cause to make happen. And it seems that Samsung has stood in a slightly more advantageous position over Apple in Europe, which is yet to reach a final decision, and in the U.S. Apple likewise seems to be in a more favorable standing over Samsung, against which Samsung has immediately counterclaimed in a row. Thus the current situation looks not easy to predict where to be developed in a time to come. Meanwhile one can easily encounter with the sources which carry general news and information on the disputes between Samsung and Apple in the U.S.A. However, it seems that they have rarely covered in any distinct and classified way their alleged infringements against which Samsung and Apple respectively filed their cases at the court. Above all, this study presents a comprehensive research and comparison o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lleged to own in the lawsuits between Samsung and Apple, coupled with the points of controversy, and then on its basis offers the difference of lawsuits in Korea and the U.S. along with the significance of disputes under way between Samsung and Apple in the U.S.

      • KCI등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서의 애플워치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과 사용성 평가 연구

        김가연(Kim, Ga Yeon),김수민(Kim, Su Min),현은령(Hyun, Eun Ry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1 No.-

        최근 융복합 기술의 발달로 사물인터넷(IoT) 분야가 급부상함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 중 애플사에서 개발한 스마트 워치는 비교적 다른 디바이스에 비해 보급점유율에서 선점하고 있지만 다양한 관점에서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초기 출시된 IT디바이스는 신기술의 재현이라는 점에서는 소비자의 관심을 유발할 수 있지만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으면 그 브랜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고착화시키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에 익숙해진 사용자들의 UX를 반영하여 스마트 워치의 보다 나은 사용성 향상을 위한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물인터넷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현황을 조사하고, UX 사용성 평가를 위해 그 평가기준을 사용성, 실용성, 심미성, 가용성, 오프라인 이슈의 5가지로 분류하였다. 나아가 애플워치의 사용자를 연령대별로 구분하여 설문조사,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폰과 연동이 해제되었을 때 스마트워치로서 가치나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는 부분을 고려하여 통신 속도나 정보 전달속도가 가벼운 내용은 애플워치 안에서 구동이 될 수 있게 하는 기능상의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더불어 애플워치 내에 내장되어 있는 와이파이 기능을 자체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었다. 또한 스마트폰과의 연동 뿐 아니라 애플워치만이 할 수 있는 킬러 콘텐츠 개발과 애플사가 제공하는 기본 앱 외에 국내의 소비자의 생활환경과 요구를 반영한 다양한 앱 대한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애플워치가 주는 사용자 경험의 변화를 이해하고, 향후 사용자들의 니즈와 사용성을 반영한 완성도 높은 스마트 워치로서 발전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ccording to the rapid emergence in a field of IoT(Internet of Things) these days, the wearable device users are growing. Out of this, the smart watch, which was developed by Apple company, is relatively preoccupying in the share of supply compared to other devices, but is being indicated a problem in diverse perspectives. IT device, which was early launched, may cause consumers" interest in the regard as saying of reviving new technology, but solidifies negative perception on its brand as well given being unable to satisfy consumers" nee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esign direction for improving the better usability in smart watch by reflecting UX of users who are accustomed to smart phone. For this, it surveyed the present status of IoT and wearable device and classified its evaluation criteria into 5 things such as usability, practicability, aesthetics, availability and offline issue in order to evaluate usability in UX. Moreover, a questionnaire survey and an in-depth interview were carried out by dividing apple-watch users based on age group. As a result, it was pointed out the necessity of functional upgrade, which makes it available for being driven within apple watch as for the contents that are light in communication speed or trans-information rate, by considering a part of being created a problem about a drop in value or utilization as a smart watch when the linkage with a smart phone is released. In addition, a plan was demanded for utilizing WiFi function itself embedded in apple watch. Also, there will be a need to be developed killer contents that only apple watch can do, as well as the linkage with a smart phone, and to be continuously developed diverse APPs that reflect the life environment and the demand of consumers at home and abroad in addition to the basic APP that is provided by Apple company. In conclus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likely able to contribute to understanding a change in user experience that is given by apple watch, which is a wearable device, and to developing as a smart watch with high perfection that reflects the needs and the usability of users henceforth.

      • KCI등재

        삼성과 애플의 분쟁이 스마트폰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

        박해림 ( Hae Rim Park ),김성현 ( Sung Hyun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1

        이전까지 휴대폰 사업은 단순 하드웨어적인 시장이었으나 애플이 아이폰을 통해 플랫폼-콘텐츠를 통합한 새로운 시장을 열었다. 애플과 협력관계에 있던 삼성이 이시장에 진출하였고 안드로이드 시장의 활성화에 힘입어 삼성의 갤럭시 시리즈들도 연달아 성공하면서 애플과 삼성의 관계에 변화가 생기기 시작했다. 이에 애플은 모바일 시장의 강력한 경쟁 상대로 부상하고 있는 삼성을 압박하기 위한 전략으로 전면적인 특허전을 선택했고 ``11년 4월 미국에서 시작된 특허 분쟁은 한국은 물론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전 세계 9개국의 법정으로 확대되면서 양사는 경쟁 관계로 변화하였다. 전 세계 9개국에서 유사한 소송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에 특허강국인 미국에서 내려진 판결이라는 측면에서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으며, 특히 주관적이고 감성적인 부문인 애플의 디자인 특허(트레이드 드레스)가 공식적인 법적권리로 인정되고, 삼성전자의 통신특허에 대한 권리는 인정되지 않았다는 측면에서 제3자가 직관적으로 알아보기 쉬운 디자인, 아이콘이나 제품의 외관 및 포장에 관한 디자인 개발이나 상표권 획득의 중요성을 부각시킨 사건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삼성전자와 애플의 지식재산권 분쟁에서 누구의 주장이 타당한가 혹은 누가 승자가 될 것인가를 논하지는 않는다. 다만 미국을 중심으로 삼성과 애플 사이에 이루어진 소송의 진행 과정에서 도출된 주요 쟁점인 삼성의 표준특허와 프랜드(FRAND) 원칙 VS애플의 디자인과 트레이드 드레스(TRADE DRESS)를 통해 지식재산권의 본질에 대한 원론적 고민과 시사점을 도출하고 대응방안을 제시해보았다. 스마트폰은 최신의 수많은 기술들이 반영된 대표적인 디바이스 기기로서 특허침해에서 자유로울수 없는 태생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로인해 스마트폰을 제조하는 기업의 지식재산권 관리 및 전략은 선택이 아닌 필수사항이 되어버렸다. 이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표준특허와 준(準)표준특허를 구분하여 미래의 성장가능성과 현재의 시장상황을 염두에 둔 유기적이고 전략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고 효율적으로 공격과 방어가 가능한 견고한 특허 포트폴리오 구성이 필요하다. The mobile phone business used to be limited to the hardware market until Apple Inc. opened up a whole new market by combining a platform and content. Samsung Electronics Co., which was a partner of Apple, joined the bandwagon of smartphone business and made a success with its Galaxy series thanks to growing popularity of Android, turning two companies into rivals. As part of efforts to put a press on Samsung, which was emerging as a strong competitor in the mobile market, Apple waged a full-fledged patent war against Samsung and the legal disputes started in the US expanded to nine countries including the U.K., France and Germany as well as Korea. When Apple won a ruling in its favor in the U.S., a patent powerhouse, a lot of attention was drawn to the ruling at the time when the similar disputes were underway in nine countries. In the ruling, Apple’s design patents (trade dresses), regarded as subjective and emotional aspects, were recognized as a legal right while Samsung’s communications patents were not. This elevated the importance of intuitive designs, icons, product appearances and packaging and trademark rights. This study is not about whose argument is right or who should win in disputes but will deal with theoretical concerns about the nature of intellectual property and lessons brought to light by the disputes between Samsung’s standard patents and FRAND principles v.s. Apple’s designs and trade dresses. Also it will suggest how to respond to such a matter. As the smartphone, which uses numerous cutting-edge technologies, is inherently not freefrom patent infringements, it has become imperative for smartphone manufactures to develop and manage the strategy of intellectual property. They need to explore how to seamlessly and strategically manage standards and pseudo-standards considering future potential and the current market situation, and build strong patent portfolio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