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문화예술협동조합의 자립 전략 연구

        이상우 문화예술콘텐츠학회 2017 콘텐츠 문화 Vol.9 No.-

        이 논문은 문화예술협동조합이 커뮤니티 아트와 문화민주주의를 실 현하기 위한 당면 과제로서의 자립 전략을 구성해보는 것에 연구 목 적을 두고 있다. 문화예술협동조합은 문화헤게모니로의 자발적 동의 가 아닌, 커뮤니티 아트라는 예술적 목표와 재정 자립이라는 경영 목 표를 주체적으로 달성해야 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연구 결과를 도 출하였고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첫째, 2012년 협동조합기본법 제정 이후 우리나라 대표적 문화예술 협동조합들의 자립 요소들을 검토해보았다. 브랜드 포지셔닝, 킬러 콘 텐츠, 마케팅 측면에서 각 사례 조합들을 분석했고, 각 조합들의 재무 제표 등을 통해 재무 실태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충분하고 지속적인 이윤창출 및 질적인 문화예술사업 진행을 위한 구조가 확고히 마련되 도록 정부와 지자체, 시민사회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호소하는 것보다는 오히려 잠재고객 확보를 위한 문화 예술 마케팅에 주력해야 한다는 것을 이론과 사례를 들어 서술하였다. 둘째, 문화예술협동조합은 커뮤 니티 아트라는 브랜드 포지셔닝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 또한 조합의 브랜드 포지셔닝에 적합한 콘텐츠로 지역 주민들과의 스킨십을 강화 해야 한다. 나아가 기존 문화예술단체와 차별화되는 브랜드와 포지셔 닝을 갖기 위해 문화예술협동조합은, 자신이 기반한 커뮤니티의 문화 원형에 기반한 킬러 콘텐츠를 생산·확보해서 유통해야 한다는 것을 구 체적 사례를 들어 제시하였다. 셋째, 문화예술협동조합의 구체적 재원 조성 방식으로 크라우드 펀딩을 제시하였다. 크라우드 펀딩은 기하급 수시대의 대안적 파이낸싱(alternative financing)이다. 또한 펀딩 자금 모금과 사용 과정의 민주주의적 성격으로 ‘인터넷 경제민주주의’를 통 해 ‘문화민주주의’를 실현하는 장소라고도 할 수 있다. The Utilization of Cultural Arts is one of the typical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at is because Cultural Arts exist for the sake of human self-realization and needs satisfaction, and because everybody should equally benefit from Cultural Arts as a sort of universal welfare. That's what Cultural Arts cooperatives are basicall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lf-Reliance Strategies of Cultural Arts Cooperatives as one of their pressing challenges to actualize Community Art and Cultural Democracy. Cultural Arts Cooperatives should achieve their artistic goal, which is Community Art, and their managerial goal, which is financial independence, in their own independent way instead of merely seeking the consent of people in general to their status as Cultural Hegemony. The findings and suggest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Reliance Elements of representative Cultural Arts Cooperatives in our country after the legislation of the fundamental act on cooperative in 2012 were analyzed. The cooperatives that were selected as the cases were analyzed in terms of Brand Positioning, Killer Contents and Marketing, and their financial statements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ir financial state. As a result, it's pretty difficult for them to do something meaningful without support from the government or related organizations, and their self-reliance ratio was extremely low to the extent that they could not help recording current account deficit. Cultural Arts Cooperatives should make marketing efforts by mapping out aggressive marketing strategies for Cultural Arts management to realize Community Art without repeating “their failure as social enterprises in 2007” and without relying on the government or related institutions. After related theories and cases were analyzed, it's suggested in this study that the cooperatives should put their energy into Cultural Arts Marketing to attract potential customers to ensure sustained profit making and successful Cultural Arts Programs instead of simply trying to appeal to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or civic groups for their concern. Second, Cultural Arts Cooperatives should urgently put their efforts into Brand Positioning as performers of Community Art. And they should provide quality contents suitable for their Brand Positioning to have a strong bond with local residents. At the same time, they should produce and distribute Killer contents based on the Cultural Archetype of their communities to make themselves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cultural arts groups. Specific cases were mentioned to explain the necessity of Killer contents. Third, Crowd Funding is presented in this study as a means of funding for Cultural Arts Cooperatives. This is alternative financing in this age, and it could be called as a vehicle to realize “Online Economic Democracy” to actualize “Cultural Democracy” thanks to its democratic nature in the ways and use of funding. Fourth, a Network of Cooperatives must be established to build partnership between cooperatives and Cultural Arts Organizations to facilitate their mutual exchange, and it's necessary to seek after convergence, which is the biggest benefit of Cultural Arts Cooperatives. The kind of contents that can guarantee artistry and popularity at the same time through convergence with other fields while retaining the unique identity of cooperatives should be developed. Basically, this study is in pursuit of the slogan of Community Art that “Everybody is an artist” instead of that of economy that “Everybody is a businessperson.” This is because Cultural Arts should be created by “Anybody” and exist “Anywhere.” So far, Public Art that is confined to specific places is still prevailing, and it's time to make an effort to actualize Community Art, which is to plant trees of Cultural Arts close together to create a forest. Cultural Arts Cooperatives will be able to serve as the subjects of design in their communities,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the regions and thereby to take their own artistic world to another level in that course.

      • 전통등(燈)의 현대적 활용을 위한 콘텐츠 연구

        이윤수 문화예술콘텐츠학회 2016 콘텐츠 문화 Vol.8 No.-

        등(燈)은 불을 밝히는 도구이다. 어둠을 밝히는 일 뿐 아니라 일상의 통과의례에서 적극 활용되어왔다. 불교가 전래되면서 등불에는 어둠 을 밝히는 일 외에도 새로운 의미가 부여되었다. 등불을 밝히는 연등 (燃燈)은 탐욕과 욕심, 어리석음의 삼독(三毒)에 젖은 자신의 무명(無 明)을 지혜로 밝힌다는 상징성을 지니고 있다. 등불을 밝히는 전통은 이러한 상징성 아래에 정성스럽게 이루어져 왔다. 중요무형문화재 제 122호 연등회는 1,200년 역사를 이어오는 ‘등 (燈)’으로 대표되는 축제이다. 연등회가 주목받으면서 연등회를 벤치 마킹한 다양한 등관련 축제, 혹은 등을 소재로 한 축제들이 곳곳에서 마련되고 있다. 본 논문은 축제 현장에서 인기를 모으고 있는 전통등 의 역사와 현주소를 진단하고, 전통등 문화의 현대적 활용을 위한 콘텐츠를 제안하는 연구이다. 등을 주제로 하는 축제, 등을 소재로 하는 축제, 소망등을 연계한 축 제를 통해 전통등이 축제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분석하 면서 전통 등문화의 활용에 관해서 궁중문화콘텐츠, 공예문화콘텐츠, 교육문화콘텐츠, 종교문화콘텐츠의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특히 궁중문화콘텐츠 분야에서는 문화재청의 ‘살아 숨쉬는 5대궁 사업’과 실록에 전하는 4월초파일 기록을 연계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교육문화콘텐츠 분야에서는 고령화 시대에 노인일자리 사업을 통한 노년층의 전통등 만들기 사업을 역설하였다. 공예문화콘텐츠 분야에 서는 전통등 장인을 제대로 대우하며 육성할 것을 제시하였고, 종교문 화콘텐츠 분야에서는 종교 기념일마다 전통등 만들기가 다채롭게 진 행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전통등 만들기의 전과정은 한국의 전통문화가 총체적으로 집합된 종합예술이다. 닥종이가 활용되고 천연 염색이 뒤따르고, 오방색으로 의 채색이 이루어지는 전 과정이 친환졍적이면서 한국적 고유성과 미 의식을 보여주는 과정이다. 손수 등을 만들고 만든 등을 걸어놓고 불 을 밝힌뒤 즐기는 관등문화를 통해 잃어버린 신명을 회복하는 것이 오늘의 과제이다. Not only were lanterns a tool used to light up darkness, but they were also widely used in ceremonial rites of passage and festivals. Lighting a lantern is called yeon-deung. Yeon-deung bears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brightening one’s self tainted with the Three Poisons—greed, anger and ignorance. Under the symbolism, the tradition of lighting a lantern has continued. Designated a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122, Yeong Deung Hoe is the most renowned lantern festival with 1,300 years of history. There are today many lantern-related festivals replicating Yeon Deung Hoe as it has gained public attention. The thesis initially places its focus on the history of traditional lanterns. It comprehensively lists for the first time the types and roles of traditional lanterns from Silla Kingdom up to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zation through written records. The thesis then examines the OSMU (One Source Multi Use) of traditional lanterns used in Yeon Deung Hoe through various festivals of today. Through the festivals in which a lantern the motif, the material and the medium of expressing people’s wishes, it explores how traditional lanterns are utilized. The thesis eventually suggests several ways to revitalize the traditional lantern heritage from the perspectives of royal court culture content, craft culture content, education culture content and religion culture content. In the part of royal court culture content, the thesis proposes to link the record on Buddha’s Birthday from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with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s Five Palaces Project. In the part of education culture content, it advocates a project employing the elderly in making traditional lanterns under the context of today’s aging society. In the part of craft culture content, it advises cultivating grounds for both today’s and tomorrow’s traditional lantern artists with fair treatment and due respect. In religion culture content, it emphasized the idea of making traditional lanterns during religious holidays. Every process of making traditional lanterns is a composite art in which Korean traditional cultures are comprehensively collected. The whole process in which Dakjongyi (a paper made from the bark of a paper mulberry) is used, natural dye is followed, and Korean traditional five colors are employed for coloration is not just environmental-friendly but also authentic and aesthetic in Korean way. The challenge faced today is to restore the lost “festivity” once prevalent in and among Koreans through the lantern culture.

      •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재인식과 디지털 문화 콘텐츠의 함의 연구 : 자아효능과 에고 센트릭 콘텐츠의 관점에서

        김헌식 문화예술콘텐츠학회 2012 콘텐츠 문화 Vol.2 No.-

        In this paper of A study on SNS and user' behavior Psychology, we analyzed whether the user's psychological factors and the systems features of SNS affect the satisfaction of the us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ajor motivations for a psychological factors to affect the user satisfaction of SNS with a comparison for different concept types-social, ego. Both self-satisfaction(Ego centric network) and social interaction motivation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NS participation. The results analysis showed that self-satisfaction was more influential on active participation than social interaction and information seeking motivation(Social centric network motivat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o improve user's preference recognition and acceptance satisfaction of networking utiliz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cognition user's preference and satisfaction affected gratification about digital culture contents. 본 연구에서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디지털 문화 콘텐츠 이용자들의 심리적 메커니즘을 자아심리학적 관점에서 집단지성의 공동체성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중심으로 이를 논의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그동안 간과되기 쉬었던 자아효능과 에고센트릭의 관점을 재인식하려 한다. 우선 사회(Social)와 자아(Ego)의 각 관점의 비교를 통해 SNS의 속성을 재검토한다. 같은 콘텐츠나 상호작용이어도 이 두 가지 관점을 각각 대입, 적용했을 때 달라지는 점들을 분석 정리한다. 이 논의에서 도출된 결과들을 바탕으로 SNS의 실제 이용자들의 행태들이 어떠한 지 적용해본다. 여기에서도 잘 드러나지 않는 SNS 이용자들의 심리를 파악하고 정리한 결과 자아중심적 충족감이 있을 때 사회적 참여와 유대가 가능함을 제시한다. 이에 소셜이라는 명칭의 새로운 의미부여가 필요한 점을 과 아울러 도출된 결과가 콘텐츠 기획과 디지털 공간에서 문화 예술적으로 중요한 함의점에는 무엇이 있는지 살핀다.

      • 다리밟기의 문화콘텐츠 개발 방안 연구

        이호정 문화예술콘텐츠학회 2017 콘텐츠 문화 Vol.9 No.-

        본 논문은 다리의 원형성을 바탕으로 ‘다리밟기’의 역사적 배경과 연행양상을 집중 조명하여 축제적 가치와 특성을 밝히고, 전통 민속예 술 축제로서의 콘텐츠 개발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전통 다리밟기는 정월대보름날 밤에 다리(橋)를 밟으면 한 해 동안 다리(脚)에 병이 나지 않고, 12다리를 밟으면 12달의 액을 면 한다는 민간신앙에서 발생한 정월대보름 민속놀이로 건강과 풍년을 기원하는 제의성이 담겨 있다. 서울에서는 다리밟기가 광통교, 수표교 등 청계 천에 놓여 있는 다리를 중심으로 매우 성행하였다. 정월대보름을 전․ 후로 하여 펼쳐지는 다리밟기가 온 백성들의 기원을 담아 펼쳐지는 성대한 축제였다는 것을 당시의 문헌적 전거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또한 다리밟기의 문화원형 중 축제적 특성은 자발성과 공동체성, 주술 성, 연희성, 개방성, 소통성 등으로 나타났다. 전통 다리밟기의 축제성에는 현재 우리사회의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공동체의식과 나 눔의 정신이 숨어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전통문화의 축제적 특성을 현시대에 맞게 살려내고, 이를 구체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지속 적으로 고민해야만 보다 발전된 축제의 공간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월대보름의 다리밟기가 공동체의식을 고양 시키는 문화콘텐츠적 가치가 무엇인지를 추출하여 문화콘텐츠 개발 방안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농경시대 우리민족의 고단한 삶의 원 동력이었던 다리밟기의 축제적 특성을 충분히 활용한 문화콘텐츠를 개발하여 우리민족의 신명을 되찾고 세대와 계층 간의 분열된 간극을 좁히고 사회통합을 이루는데 있어, 본 연구가 디딤돌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racing of 'Bridge' based on the Archetype of the Bridge, revealing the festival value and characteristics, and suggesting the development of content as a traditional folk art festival. If you step on a bridge on the night of the first day of the New Moon, you will not get sick on your legs for a year, 12 The festival of the New Year holidays played out in the folk belief that if you stepped on the bridge, you will lose 12 months' worth of money. In Seoul, the bridge was very popular with the bridges lying on the Cheonggye stream, such as Guangtong Bridge and Suet Bridge. Before the New Year. It can be seen through the documentary authority of the time that the footsteps spreading afterwards are grand festivals spreading the origins of the whole people. In addition, the festival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prototype of the foot stepping showed spontaneity, communality, magic, playfulness, openness, and communication. In the festival castle of traditional legs, there is a spirit of community consciousness and sharing that is emerging as a serious problem in our socie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tantly think about the various methods of reviving the festiv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ultur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age and realizing it. Therefore, in this paper, the footsteps of the New Year 'The contents of cultural contents are extracted to describe the development plan of cultural contents. A farmer's life of the Korean people Cultural contents that fully utilize the festival characteristics of foot stepping which was power, I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be a stepping stone in the development of our nation, the restoration of the divine name of the nation, the narrowing of the gap between generations and strata, and social integration.

      • 문화콘텐츠와 스토리콘텐츠 : 스토리콘텐츠의 가치와 전망

        조은하 문화예술콘텐츠학회 2012 콘텐츠 문화 Vol.1 No.-

        Growth and development in the culture and content industry depend on the achievement of storytelling content, Storytelling content stands on classic and traditional story, But it goes further beyond the fixed genre and the technology, Developed with new media and technology, it contributes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e content industry. Especially there are three important storytelling division in the culture industry. Visual storytelling content, based on the visual media, interactive storytelling content based on the new media, and scape storytelling content based on the modern leisure space. This article researches these new storytelling content division, and figures out each one’s meaning in the culture industry. 문화산업과 콘텐츠산업의 발전에는 스토리텔링의 성과가 뒷받침되어 있다. 고전적 이야기에서 시작하지만, 단순한 발굴을 넘어 다양한 기술과 형태에 어울리게 발전됨으로써 스토리텔링은 현재의 문화콘텐츠산업 발전에 기여를 하고 있다. 특히 영상 매체들의 발전과 함께 만들어진, 비주얼 스토리콘텐츠, 뉴 미디어와 함께 등장한 상호작용성에 기반한 인터렉티브 스토리콘텐츠, 삶의 공간 자체에 의미를 제공하는 스케이프 스토리콘텐츠는 새로운 스토리콘텐츠 진화를 보여준다. 이처럼 다양한 스토리콘텐츠의 새로운 형태를 살펴보고, 각각의 문화산업에서 가지는 의미를 살펴본다.

      • 그람시주의와 대중문화 연구 : 대항적 헤게모니론을 중심으로

        이상우 문화예술콘텐츠학회 2015 콘텐츠 문화 Vol.6 No.-

        본 연구는 대중문화의 주체와 관련된 문화연구의 흐름을 그람시의 (대항적)헤게모니론 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화콘텐츠의 방향 성 모색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단기적이며 즉각적인 이윤의 극대화를 일 차적 목표로 삼는 시장경제와 자본의 지배 헤게모니가 관철되고 있는 신 자유주의 체제에서 문화 상품이란 지배블록을 생산, 유지하는 데 그 본질 적 유용성이 있다. 문화 상품 또한 대중들에게 유포되어 끊임없는 구매를 조장하는바 이러한 소비를 통한 대중들의 문화적 종속의 유도에 지식인 들까지 일조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그람시주의는 대중들의 동의를 창출해내는 방식에 대한 이해가 결여되 어 있었던 마르크스주의 문화론을 벗어나‘ 대중의 자발성’ 또는‘ 창조적 정신’이 다양한 문화주제들 속에 균일하게 존재하고 있음을 밝혀 대중문 화의 주체를 파악하는 데 상당한 힘을 발휘하게 한다. 그래서 대중문화를 그람시적으로 읽는다면 생산적 측면을 지배로, 소비적 측면을 저항의 관 계로 규정해 지배와 저항이 대립·경합하는 투쟁의 영역, 생산과 소비가 유도·권유되고 이를 수용·저항하는‘ 접합(接合)’과‘ 반접합(反接合)’의 영역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대중문화는 자본주의 권력의 일방적 인 강요가 아니라, 대중과 자본가의 철저한 상호작용의 관계 속에서 생성 된 것이고 지배층의 이해관계를 보편화시키려는 시도와 피지배층의 저항 사이에서 투쟁이 일어나는 문화적 교류와 협상의 영역이다 따라서 오늘의 대중문화는 지배블록이나 자본의 의도 여하를 막론하 고 여러 형태의 하위문화 내에서의 소비를 적극적으로 저항하고 수용하 는 양상을 보여준다. 다만 이러한 대중문화·하위문화들이 어떤 방식으 로 재생산되고 재소비되는지에 대한 것들은 여전히 큰 과제이다. 그래서 그람시는 대중적 취향의 극복과 개혁을 통해 이 과제를 해결하는 데 지식 인의 역할이 결정적이라고 강조하였다. 왜냐하면 모든 (문화)콘텐츠가 선 (善)은 아니라고 볼 때, 경제논리에만 휘둘리는 문화콘텐츠에 대한 인문 학적 고찰이 필요하고, 왜 대중들이 그와 같은 문화콘텐츠들을 즐기고 그 로부터 어떠한 의미를 얻는가에 대한 고민에 인색했다는 점을 되돌아봐 야 하기 때문이다. This study examines, concerned with the subject cultural study of popular culture from Gramsci's concept of Resistance Hegemony and the purpose of seeking the direction of cultural content based on it. In neoliberalism system dominated by the hegemony of the capital and the market economy maximizing short-term and immediate profits by first, Cultural products have the essential usefulness to make and maintain a ruling class. Also cultural products disseminated to the public encourage the purchase constantly. Because of the inducement from a cultural subordination of the public, intellectuals don’t have to contribute to this consumption. Gramscianism has a larger role to identify the subject of popular culture by identifying that ‘spontaneity of mass’ or ‘creative spirits’ exists uniformly in various cultural subjects, breaking from Marxism Culture Theory that lacks of understanding the way Public draw an agreement. From Gramscian point of view, popular culture is understood that by defining the relation productive side to domination and consumptive side to resistance, as the area of the articulation and the dis- articulation. So popular culture is the area of cultural exchanges and accommodations that struggle for attempt to generalize an interest of dominance and resistance of subordinance. It is not a unilateral imposition of capitalist power generated in relation to the capitalist thorough interaction with the public. Therefore Today’s popular culture, whether any intention of ruling class and capital, and shows a tendency to actively resist and accept the consumption in the various forms of sub-cultures. However, these popular culture and subculture have been reproduced in some way is still a big challenge of how things are to be re-spent. So Gramsci emphasized, that the role of Intellettuali organici is crucial to overcome this challenge through the reformation of popular tastes. Because all the cultural contents are not good or virtu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humanistic about the cultural content and why public enjoy it. Also we look back from what the cultural content means to public.

      • 문화콘텐츠의 가치와 나가야 할 길

        조은주 문화예술콘텐츠학회 2012 콘텐츠 문화 Vol.1 No.-

        현재를 지구촌 시대라 했을 때 이는 다양한 문화권의 인간들이‘하나’의 지구에서 함께 살아갈 수밖에 없는 운명공동체를 이루고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 오늘날 문화의 역할과 이를 결정하는 인 간의 책임이 중요하다. 우리 시대의 문화와 그 현상에 대해 고민한다 는 것은 달리 말해 그 주체인 인간에 대해 고민하는 것이며, 그에 대한 책임에 대한 물음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물음이기도 하다. 본고에서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문화는 곧 소통’이란 이해를 토대 로 하여 문화전략 및 문화콘텐츠 역시 소통, 공감, 나눔이란 관점에서 사례제시와 분석을 시도한다. 이를 통해 우리 시대 문화콘텐츠가 그와 같은 가치를 품었을 때 어 떻게 우리 안에 자리매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어떤 미래적 비전을 가 져올 수 있을지에 대해 제시한다. When stating the present as a global era, this means that people in various cultures organize a group sharing a common destiny having to live together in‘one’ earth. In such point, today the role of culture and the responsibility of human being to decide the foregoing are important. Worrying about the culture and the phenomenon of contemporary era is otherwise to worry about human being which is the subject. Also, the question to the responsibility of human being is to ask how do we live for. This paper tries to suggest cases for and to analyze cultural strategy and culture contents in a viewpoint of communication, sympathy, and sharing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culture is a communication’as an alternative to the above worrying and question. With this, when culture contents contain such value, we suggest how to make the value to be located within us and further which futuristic vision it may bring.

      •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이주영 문화예술콘텐츠학회 2012 콘텐츠 문화 Vol.1 No.-

        Culture is one of the most valuable legacies of human beings and their treasure chest of times. Among many aspects of culture, festivals can unify most cultural activities the best. Performing arts festivals are the most aesthetic and effective as concentrated culture among others in short times. International performing arts festivals have been boosting up mutual understanding, economic growth, and global images between nations in contemporary societies. The National Theatre of Korea(NTOK hereinafter) is symbolic for performing arts of Korea. This study has been done into systematic analysis and revitalization measures of management for <The World Festival of National Theatres> (TWFNT hereinafter), specially programed, managed, and hosted by NTOK since 2007. The summary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WFNT needs to keep its direction as early planned. This leads to identity and uniqueness of the festival. From audience's point of views, pellucid positioning of festivals' direction is an extremely significant and critical element for confirmation and general management of the programs. An active support and cooperations from government are needed. Second, lacking regular employees, TWFNT office needs to organize and run (a) festival team(s) for professionalism and continuity of the work. By setting up its own human resource management manual, it can maximize employing and using civil festival staff and volunteers. Third, TWFNT needs to strengthen the role of the management council. It should expand the period of appointment for the council members for two years so that the council can cooperate with TWFNT office for actual programming work. Considering programs of the year, TWFNT should increase the number of the council members and build the system for practical unition between TWFNT and the council. Fourth, TWFNT needs to fix programs matching with the direction of the festival in earlier stage. This is very critical for programming as theatre's planned performances and as an international performing arts festival. For quality elevation and thorough checking on the spot, the programs should be chosen after being watched, invitations be posted after a close filtering, and the best ones must be taken strict standards for selection. These are for the organization to obtain enough time, secure finances, and professionalism. Fifth, TWFNT needs to develop advertisement resources continuously and set up executive marketing strategies except for the basic tools in terms of advertisement and marketing. Co-advertisement and co-marketing plans allied with related organs must be set and done in a long run. Integrated marketing plans must be built through proper choices of the programs and concentration on the chosen programs of the year. Development of progressive management resources is effective for festival contents information to be connected to strategical advertisement and finally to get successful marketing outcomes, such as wider public awareness plans for the theatre and festivals. Marketing partnerships with corporations and institutions from participant countries to the festival are highly precise and efficient in terms of international exchanges. Based on the management of <The World Festival of National Theatres>, this study shows what TWFNT lacks for better management and programs, analyzes the results of the festival, and suggests revitalization methods of it. The result of the study will contribute for the National Theatre of Korea as the capital of performing arts and as the representative theatre in Korea to grow as the international pivot in performing arts culture, to expand its global exchange with excellent performing arts theatres and organizations in the world and to activate the differentiated performing arts festival internationally. 인류의 가치적 소산이자, 시대의 보고(寶庫)가 문화이다. 문화의 다양한 측면들이 있지만, 이를 총체적으로 결집시킬 수 있는 것은 축제이다. 축제의 유형 중 단시간에 가장 심미적이면서도 효과의 정도가 높은 것이 공연예술축제이다. 그 중에서도 현대사회에서 국제공연예술축제를 통해 국가간의 상호 이해 증진, 경제의 활성화, 국가 이미지 제고 등 여러 효과를 증진 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공연예술을 대표하는 국립극장이라는 상징성을 바탕으로 극장의 프로그래밍 차원에서 2007년부터 특별기획 되어져 현재까지 시행되어 오고 있는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의 운영실태를 토대로 운영결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 운영 활성화 방안을 요약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에서 초기 설정한 방향성 유지이다. 이는 페스티벌의 정체성이자 고유성으로 직결된다. 수요자 중심 측면에서 볼 때 페스티벌의 방향성이 명징하게 포지셔닝 되는 것은 물론 프로그래밍 확정 및 총괄 운영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서 정부차원에서도 적극적인 지원과 협력이 요구된다. 둘째, 조직재편 및 인력운영 측면에서는 우선 세계국립페스티벌 사무국의 정규인원이 부족한 바, 전문성 획득과 연속성 확보차원에서 극장 내에 페스티벌(축제)팀을 신설, 운영함이 요구된다. 인력 운용 매뉴얼을 설정하여 자원봉사자들을 비롯한 시민 축제 요원들에 대한 적극 발굴과 활용도를 높여야 한다. 셋째, 운영자문위원회의 역할 강화이다. 위촉기간을 만 2년으로 둠으로써 사무국과 더불어 실질적 프로그래밍 업무에 함께 하도록 창구를 확장해야 할 것이다. 해당년도의 프로그램을 감안하여 자문위원의 구성원 보강을 통해 실질적인 조직위가 구성되는 체계를 구축함이 중요하다. 넷째, 페스티벌 방향에 부합되는 프로그램 조기 확정이다. 이는 극장 기획공연으로서의 프로그래밍 측면과 국제공연예술축제로서의 측면 모두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질적인 고양과 실질적 검증을 위해 가급적 현장을 통한 작품 선정, 면밀한 필터링을 통한 초청작, 우수작에 대한 엄격한 선별과정이 필요하다. 결국은 충분한 시간과 재원확보, 전문성이 근간이므로 조직 차원에서 이를 충족시켜야할 것이다. 다섯째, 홍보 및 마케팅 측면에서는 기본적인 툴 외에 지속적인 홍보 소스 개발 및 마케팅 실행 전략 수립을 기해야 한다. 기관 및 단체들과의 공동(연계) 홍보, 마케팅은 지속적인 발굴과 실행이 요구된다. 해당년도의 프로그램에 맞는 선택과 집중을 통한 통합 마케팅이 필요하다. 극장 및 페스티벌의 인지도 확산 프로그램 운영을 시작으로 페스티벌 콘텐츠 정보가 전략 홍보에 연동되어져, 마케팅의 결과물로 이어지는 단계별 운영 소스 개발이 필요하다. 국제교류 관점에서 참가국들의 기업, 기관과 파트너 마케팅의 추진은 적실성이 높다 하겠다. 본 연구는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의 운영실태를 토대로 문제점 도출 및 운영결과를 분석함으로써 그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 연구결과는 대한민국 공연예술의 중심이자 대표 공연장인 국립극장이 세계 공연예술문화의 중심으로 성장하며 해외 우수 공연예술단체들과의 교류확대를 진작시켜 차별화된 국제공연예술축제의 장이 활성화 되는데 기여할 것이다.

      • 소셜네트워크(SNS)의 재인식과 디지털 문화콘텐츠의 함의 연구 : 자아효능과 에고 센트릭 콘텐츠의 관점에서

        김헌식 문화예술콘텐츠학회 2012 콘텐츠 문화 Vol.2 No.-

        본 연구에서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디지털 문화콘텐츠 이용 자들의 심리적 메커니즘을 자아심리학적 관점에서 집단지성의 공동체 성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중심으로 이를 논의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 해 그동안 간과되기 쉬었던 자아효능과 에고센트릭의 관점을 재인식하 려 한다. 우선 사회(Social)와 자아(Ego)의 각 관점의 비교를 통해 SNS의 속성을 재검토한다. 같은 콘텐츠나 상호작용이어도 이 두 가지 관점을 각각 대입, 적용했을 때 달라지는 점들을 분석 정리한다. 이 논의에서 도출된 결과들을 바탕으로 SNS의 실제 이용자들의 행태들이 어떠한 지 적용해본다. 여기에서도 잘 드러나지 않는 SNS 이용자들의 심리를 파악 하고 정리한 결과 자아중심적 충족감이 있을 때 사회적 참여와 유대가 가능함을 제시한다. 이에 소셜이라는 명칭의 새로운 의미부여가 필요한 점을 과 아울러 도출된 결과가 콘텐츠 기획과 디지털 공간에서 문화 예술적으로 중요한 함의점에는 무엇이 있는지 살핀다. With the ris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 cultural marketing management approach is on the move In this paper of A study on SNS and user' behavior Psychology, we analyzed whether the user's psychological factors and the systems features of SNS affect the satisfaction of the us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ajor motivations for a psychological factors to affect the user satisfaction of SNS with a comparison for different concept types-social, ego. Both self-satisfaction(Ego centric network) and social interaction motivation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NS participation. The results analysis showed that self-satisfaction was more influential on active participation than social interaction and information seeking motivation(Social centric network motivat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o improve user's preference recognition and acceptance satisfaction of networking utiliz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cognition user's preference and satisfaction affected gratification about digital culture contents.

      • 내포문화 발전 기본전략

        박상언 문화예술콘텐츠학회 2012 콘텐츠 문화 Vol.1 No.-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을 위한 가장 중요한 자원이 지역문화이면서도 지역문화의 발전을 통해서만 지역개발이 가능하다. 보령, 서산, 홍성, 예산, 태안, 당진, 서천 등 충남 서쪽의 7개 시· 군 지역을 이르는 내포(內浦)는 1990년대 세계화와 지방화의 동시적 흐 름, 2001년 서해안고속도로의 완전 개통, 2004년 중앙정부의‘내포문 화권 특정지역 지정’계획에 따라 지역개발의 한 중심에 서게 된다. 내포문화 발전을 위해서는 먼저, 외생적 요인에 의존하지 않는, 내 포의, 내포에 의한, 내포를 위한 내발적(內發的) 통합발전계획을 수립해 야 한다. 또한 점점 강화되고 있는 중앙정부의 지역문화정책과 함께 그 기본전략이 수립·추진되고, 21세기 문화를 포괄하는‘창조적 생태 도시’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내포문화 발전전략은 지난 세기의 물질적·유형적 개발전략과는 다른 패러다임 위에서 논의돼야 한다. 결론적으로 내포문화 발전을 위한 두 패러다임은‘지역 간 협력·상생을 통한 동반 발전’과‘내포 신도 시의 역할 정립’이어야 하며, 그 기본전략으로서‘내발적 통합발전계 획의 지향’,‘ 국가 지역문화정책과의 연계’,‘ 창조적 생태도시로의 이 행’을 제시한다. Local culture is not only the best important resources for the sustainable regional development, but also it is only way to develop the local area. NAEPO which includes seven cities and counties in western part of Chungnam, such as Boryeong, Seosan, Hongseong, Yesan, Taean, Dangjin, and Seocheon have become at the center of regional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simultaneous flow of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in 1990, the full opening of West Coast Highway in 2001, and the central government’s plan, ‘specifying NAEPO culture-specific region’. For the development of NAEPO culture, firstly we have to establish the integrated development plan which is of the NAEPO, by the NAEPO, and for the NAEPO, not depending on the exogenous factors. Also, the basic strategies should be established and pushed forward as central government’s regional culture policies is getting stronger. We should aim for‘creative ecological city’including 21st century culture. NAEPO culture development strategies should be discussed on a different paradigm with the past physical, tangible development strategies. In conclusion, ‘Win-win advancement by inter-regional cooperation’and‘Establishment of role of NAEPO new town’should be two paradigms for NAEPO culture development. For the basic strategies for these,‘ Aiming for inside-out integrated development strategy’,‘ connecting with government’s regional cultural policy’and ‘implementing creative ecological city’a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