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행동과 학생의 애착안정성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홍성훈,김희수 교육과학연구 2005 교육과학연구 Vol.36 No.1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는 사회적 범위가 가정이라는 환경에서 학교라는 새로운 환경으로 그 폭이 급작스럽게 넓어짐에 따라 많은 심리사회적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행동과 학생의 애착안정성이 학교생활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여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교육과 상담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P시에 소재하는 4개 초등학교 남녀학생 502(남학생 242, 여학생 260)명을 대상으로 교사행동검사, 애착안정성검사, 학교생활적응검사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 단순상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행동과 학생의 애착안정성을 살펴보면 교사의 행동이 수용적이고 자율적일수록 애착안정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둘째,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행동과 학교생활 적응을 살펴볼 때 교사의 행동이 수용적일 경우 학교생활 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애착안정성과 학교생활 적응을 살펴볼 때 교사에 대한 애착안정성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에서 교사관계, 또래관계, 학교수업, 학교규칙의 순으로 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의 행동과 애착안정성 및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는 교사의 행동이 수용적이고 애착안정성이 높을수록 학교생활 적응 중에서도 교사관계, 또래관계, 학교수업에 보다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로분석에서 애착안정성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을 예측할 수 있는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eacher behavior and attachment stability on their school-related adjustment perceived by the First, the Second and the Thir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behavior and attachment, the more cceptable and autonomous teacher behavior was the higher attachment.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behavior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the more acceptable teacher behavior was the higher school-related adjustmen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the higher attachment to the teachers, they adapted well to the school in the following order: relationship with teachers, relationship of peers, school class, school rules.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behavior, attachment and their school-related adjustment, the more acceptable teacher behavior and the high attachment, they could easily adapt to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peers, school class, the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firmed the contribution of the attachment stability to the school-related adjustment, in the results, we found that attachment has more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school-related adjustment.

      • KCI등재

        애착 대상과 보육시작 시기에 따른 유아의 애착안정성

        김영명,이순형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99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7

        이 연구에서는 유아의 어머니와 보육교사에 대한 애착안정성 점수를 비교하고, 어머니와 보육교사에 대한 애착안정성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나누어 애착안정성을 하위영역별로 살펴 보았다. 또한 보육시작 시기에 따라 유아의 어머니와 보육교사에 대한 애착안정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 보았다. 연구대상은 보육시설에 다니는 24개월에서 40개월의 유아 43명으로 어머니와 보육교사에 대한 애착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어머니와 보육교사에 대한 애착안정성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어머니에 대한 애착안정성 점수의 평균이 교사에 대한것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와 교사에 대한 애착안정성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사이에 차이를 보이는 영역은 대인지각 영역, 사회적 상호작용 영역, 감정 영역, 애착-탐색 균형 영역의 4개 영역이다. 셋째, 어머니에 대한 애착안정성은 보육시작 시기가 6개월 이전과 그 이후로 나누었을 때 전자의 집단이 후자의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교사에 대한 애착안정성은 12개월 이전과 그 이후, 18개월 이전과 그 이후로 나누었을 때 전자의 집단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즉 보육시작 시기가 더 이른 경우에 어머니와 교사에 대한 애착안정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 보육교사의 배경변인 및 전문성 인식에 따른 영아의 애착안정성 연구

        윤혜영 ( Hye Young Yoon ),김상희 ( Hee Sang Kim ) 한국Montessori교육학회 2010 실천유아교육 Vol.15 No.-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배경원인 및 전문성 인식이 영아의 애착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충청남도 K시에 위치한 어린이집 18곳에서 표집된 영아 181명과 그들의 담임교사 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변인에 따른 영아와의 애착안정성 차이를 알아본 결과 보육교사의 학력, 경력, 결혼 여부에 따라 애착안정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의 학력이 높을수록 영아와의 애착안정성이 높았으며, 경력은 낮을수록 영아와의 애착안정성이 높았고, 기혼보다는 미혼인 경우가 영아와의 애착안정성이 더 높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에 따른 영아와의 애착안정성을 알아본 결과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영아와의 애착안정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문성 인식의 하위요인에서 직업윤리성과 전문적 기술 및 지식영역이 영아와의 애착안정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공정성과 직업만족도는 영아와의 애착안정성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ttachment stability of child care center teachers with infants receiving care education all day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infants with child care center teachers in terms of attachment stability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 and professional recognition of the teachers. The research questions explored to realiz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nature of the attachment stability of child care center teachers with children at an all day program? 2. What is the nature of the attachment stability of child care center teachers with children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age, education, background, career history, marriage status)? 3. What is the nature of attachment stability of child care Center teachers with children according to the professional recognition of child care Center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81 infants aged zero, one, and two who attend 181 child care centers in K city of Chungcheongnamdo and their 51 teachers. In order to measure professional recognition of the teachers, the questionnaire used in earlier studies on professional recognition of child care center teachers amended/supplemented. Also, to measure the attachment stability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the attachment Q-set developed by Waters and Deane (1985) was amended/supplemented as thirty questions from a total of ninety questions of the attachment Q-se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grade for attachment stability of child care center teachers with infants was .36, that is similar to those found in earlier studies conducted in our country.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erms of attachment stability of infants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background, career history, and marriage status of child care Center teachers. Third, there was difference in terms of attachment stability with infants depending on the professional recognition of child care Center teachers.

      • KCI등재

        맞벌이 가정 영아의 어머니 및 교사 애착안정성 비교 : 영아 기질의 영향을 중심으로

        유주연(Yoo, Jooyu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맞벌이 가정 영아의 어머니 및 교사 애착안정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주는 영아 기질의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서울과 경기도 지역 어린이집 만 2세 영아 202명(남아 111명, 여아 91명)의 어머니와 이들의 담임을 맡고 있는 57명의 교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기술통계, 카이검증, paired-t test, 통제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집단차원에서 영아의 어머니 및 교사에 대한 애착안정성은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둘째, 개별 영아의 어머니 및 교사에 대한 애착 안정성은 남아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영아의 어머니 애착안정성에는 영아의 부정적 정서성, 의도적 통제가 영아의 교사 애착안정성에는 영아의 의도적 통제, 외향성, 부정적 정서성이 영향을 미쳤다. 영아의 어머니 애착안정성과 교사 애착안정성 간 관련성이 유의하지 않음을 밝힌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와의 애착이 어머니와 애착의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와 동시에 교사 애착안정성이 영아 성별과 기질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나 영아의 특성에 따른 교사의 민감하고 반응적인 보육의 중요성을 환기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dual-income family toddlers’ attachment to mother and teacher and figure out the effects of toddlers’ temperament to attachment. Data were gathered from the mother of 202 toddlers (111 boys, 91 girls) and 57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these toddler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paired-t 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ddlers’ attachment to mother and teacher showed different aspect at group level. Second, toddlers’ attachment security score to mother and teache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boys. Third, toddlers’ negative emotionality and effortful control effected toddlers’ attachment security score with mothers. Toddlers’ effortful control, extroversion, and negative emotionality effected toddlers’ attachment security score to teac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oddlers’ attachment to mothers and to teachers are independent, suggesting that the attachment to teacher may be a protective factor and the attachment to teacher is more influenced by toddlers’ temperament, It calls attention to toddlers attachment with teachers and the child care practice to improve it.

      • KCI우수등재

        청소년의 애착안정성과 학교생할 적응행동의 관계

        문은식 한국교육학회 2003 敎育學硏究 Vol.41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교사․친구 애착안정성과 학교생활 적응행동의 관계를 규명하고, 아울러 청소년의 애착안정성과 학교생활 적응행동은 학교급별 및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대전광역시와 충남 K시의 중․고등학생 491명(중 249, 고242, 남225, 여266)에게 애착안정성 및 학교생활 적응행동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이원변량분석에 의해 분석되었으며,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첫째, 부모, 교사, 친구 애착안정성의 학교생활 적응행동에 대한 예언력은 중학생의 경우26%, 고등학생의 경우 27%로 나타났고, 예언변인들의 상대적 공헌도는 중학생의 경우 교사, 친구 애착안정성 순으로, 고등학생의 경우 교사, 부모 애착안정성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급 및 성별에 따른 애착안정성의 차이에 있어서, 부모 애착안정성의 겨우는 학교급에서만, 교사 애착안정성의 경우는 학교급, 학교급과 성별의 상호작용에서, 친구 애착안정성의 경우는 성별, 학교급과 성별의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학교급 및 성별에 따른 학교생활 적응행동의 차이에 있어서, 학업적 적응행동의 경우는 학교급에서만, 사회적 적응행동의 경우는 학교급과 성별의 상호작용에서만, 정의적 적응행동의 겨우는 학교급, 학교급과 성별의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 KCI등재

        중학생의 또래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의 매개효과

        유현욱,홍혜영 한국상담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7 No.4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adolescents' peer attachment and SNS addiction and investigated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self-esteem stability. For this purpose, 492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and Seoul completed the related survey. The correlation analysis of the major variables and the verific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howed the path which self-esteem and self-esteem stability influenced SNS addiction tendency differ by the type of attachment. Secondly, stable attachment did not directly affect SNS addiction tendency yet showed full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self-esteem stability. Thirdly, self-esteem and self-esteem stability showed doubl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stable attachment, anxious attachment, and, avoidant attachment and SNS addiction tendencie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또래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서울과 경기 지역 중학생에게 청소년 또래애착, SNS 중독경향성, 자존감, 자존감 안정성에 대한 질문지를 배부하여 총492명의 사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주요 변인들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또래애착의 세 하위요인과 SNS 중독경향성간의 관계에서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또래애착과 자존감, 자존감 안정성이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애착 차원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안정애착은 SNS 중독경향성으로 가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이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은 SNS 중독경향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이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정애착, 불안애착, 회피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이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논문]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른 유아의 스트레스 및 대처행동 연구

        박 가 희,정 계 숙 부산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교육혁신연구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preschooler-teacher attachment stability to the stress and stress-coping behavior of preschooler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among the preschoolers in the degree of stress according to preschooler-teacher attachment security,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its subfactors involving stress over teachers, peers and learning environments, either. Yet the preschooler group that lagged behind in preschooler-teacher attachment stability were more stressed out about learning activities.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preschoolers in positive, passive and mystic stress-coping patterns according to preschooler-teacher attachment security. The positive coping was more prevalent in the group that got ahead in preschooler-teacher attachment stability, and the passive and mystic coping patterns were more dominant in the other group that fell behind in that regard.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라 유아의 스트레스 정도 및 유아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른 유아의 스트레스 정도에는 통계상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유아 스트레스 하위 영역인 교사, 또래, 학습 환경에서도 통계상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학습 활동영역에서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낮은 유아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라 교사, 또래,학습 환경 요인과 관련된 유아 스트레스에 차이가 없으며,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높을수록 유아가 학습활동 요인과 관련된 스트레스를 덜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른 유아의 능동적, 수동적, 신비적 스트레스 대처행동 양식에서 통계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가 높은 집단이 능동적 대처를 더 많이 하고,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가 낮은 집단이 수동적 대처와 신비적 대처를 비교적 더 많이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부부관계치료를 병행한 가족미술치료가 불안정애착아동의 애착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김예슬,최명선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8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4 No.2

        This study intended to conduct the Family Art Therapy combined with the Couple’s Relationship Therapy to improve the attachment security of a child with an insecure attachment, and thus verify the impact of the therapies. The subjects for the study consist of families that are struggling with parents-children relationships, out of the children classified as those with insecure attachment through the Randolph Attachment Disorder Questionnaire. A total of the subjects to be questioned, were 30 individuals, 15 from 5 famili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15 people from 5 families for the control group. For the experimental group, a total of 12 sessions of family art therapy were carried out for 80 minutes once a week in parallel with 6 sessions of Couples Relationship Therapy for 120 minutes once every two weeks. The measurement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Randolph attachment scale,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PPA-R) perceived by the child, and the Bird's Nest Drawing (BND), which indicates the internal representation of the chil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nonparametric The Wilcoxon signed rank test and the changes in Bird's Nest Drawing (BND)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mily art therapy that runs parallel with Coules Relationship Therapy has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attachment security of a child with an insecure attachment. Second, the therapy showed a positive change in the parent attachment that the child with insecure attachment had. Third, the family art therapy combined with Couples Relationship Therapy gave positive changes in Bird's Nest Drawing (BND) performed to see the change of the internal representation of a family with a child with insecure attach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family art therapy combined with Couples Relationship Therapy extends therapeutic intervention area of therapy for attachment security of a child with an insecure attachment. It also has a meaning as a material that presents the direction of fundamental therapy. 본 연구는 부부관계치료를 병행한 가족미술치료가 불안정애착아동의 애착안정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Randolph 애착척도에 의해 불안정애착아동으로 분류된 아동의 가족으로 부모․자녀와 부부관계에서 문제를 보이는 실험집단 5가족 15명과 통제집단 5가족 15명, 총 30명이다. 실험집단 5가족에게는 총 12회기의 가족미술치료를 주1회 80분씩 실시하였고, 총 6회기의 부부관계치료를 격주로 1회 120분씩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Randolph 애착척도와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애착 척도(IPPA-R), 아동의 내적표상을 나타내는 새둥지화 투사검사(BND)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비모수 검정인 Wilcoxon signed rank 검정을 실시하였고, 새둥지화(BND)의 내용을 분석하여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첫째, 부부관계치료를 병행한 가족미술치료는 불안정애착아동의 애착안정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부관계치료를 병행한 가족미술치료는 불안정애착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애착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부관계치료를 병행한 가족미술치료 실시 후 불안정애착아동의 내적표상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한 새둥지화(BND)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 가족미술치료와 부부관계치료를 병행하는 치료구조는 불안정애착아동의 애착안정성에 대한 치료중재 영역을 확대시키고, 근본적인 치유 방향성을 제시한 자료로서 의미를 가진다.

      • KCI등재

        아버지 애착의 세대간 전이 : 탐색민감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옥정,방희정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5 No.2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paternal attachment and mediation effect of paternal exploratory sensitivity in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7 pairs of fathers and 24-month toddlers from dual-earner famil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dult Attachment Interview (AAI) and Stranger Situation Procedure (SSP) were administrated to classify paternal attachment representation and toddlers' attachment security. Also, ten-minute play session was included to assess paternal exploratory sensitivity to their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xamining paternal attachment representations through AAI, autonomous type(F) occupied the largest portion by 63.2%, followed by 19.3% with dismissing type(D), 12.2% with preoccupied type(E), and 5.3% with unresolved type(U/d). Conducting SSP to find toddlers' attachment security to their father, results showed that 64.9% were classified as secure type(B), 15.8% as anxious-avoidant type(A), 15.8% as anxious-resistant type(C), and 3.5% as disorganized type(D). Second, the concordance of paternal attachment representation and toddlers' attachment security of four-way classification was 58%, not significant in χ2test. But the concordance of three-way classification and two-way classification were both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χ2test (64.9%, 66.7% respectively). Third, the direct effect of paternal attachment representation on toddlers' attachment security was not significant when paternal exploratory sensitivity was controlled. This proved that paternal exploratory sensitivity fully mediated between paternal attachment representation and toddlers' attachment security.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 애착표상이 유아의 아버지에 대한 애착안정성으로 세대간 전이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아버지 탐색민감성이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맞벌이 가정의 아버지와 24개월 유아 57쌍을 대상으로, 성인애착면접(AAI), 낯선상황절차(SSP)를 실시하여 아버지 애착표상과 유아의 아버지에 대한 애착안정성 유형을 분류하였고, 아버지의 탐색민감성 평정을 위해 10분의 놀이회기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애착표상은 자율형이 63.2%로 가장 많았으며, 무시형 19.3%, 몰입형 12.2%, 미해결형 5.3%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아버지에 대한 애착안정성은 안정형이 64.9%, 불안-회피형 15.8%, 불안-저항형이 15.8%, 비조직형이 3.5%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 애착표상과 유아의 애착안정성 유형을 4범주 분류시 유형간 일치율은 58%로 χ2검증 결과 유의하지 않았으나, 3범주와 2범주 분류시 일치율은 64.9%, 66.7%로 모두 χ2검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이는 아버지 애착의 세대간 전이를 지지하는 결과이다. 세째, 아버지 탐색민감성을 통제했을 때 유아의 애착안정성에 대한 아버지 애착표상의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아버지 탐색민감성이 아버지 애착표상과 유아의 애착안정성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교사-영아의 애착안정성과 재원경험에 따른 2세 영아의 놀이성과 어린이집 적응

        이명주 ( Myung Ju Lee ),유연옥 ( Youn Oak Yu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1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교사-영아의 애착안정성과 재원경험에 따른 영아의 놀이성과 어린이집 적응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D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2세 영아 152명을 교사-영아의 애착안정성검사를 통하여 안정애착유형 47명과 불안정애착유형의 51명이다. 이들 담임교사 11명이 놀이성 및 어린이집 적응검사에 응답하였다. 교사-영아의 애착안정성은 애착 Q-set의 한국판검사를 사용하였다. 2(애착안정성: 안정, 불안정)×2(재원경험: 신입, 재원) 이원변량분석과 t-검증을 적용하여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의 놀이성은 교사-영아의 애착안정성 유형과 재원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교사와 안정애착영아는 놀이성의 5개의 하위요인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재원영아는 신입영아보다 신체적 자발성을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인지적 자발성과 즐거움의 표현에서는 안정애착영아들 중 재원영아가 신입영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불안정애착영아들에서는 이들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어린이집 적응은 교사-영아의 애착안정성유형과 재원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교사와 안정애착영아는 어린이집 적응의 5개의 하위요인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재원영아는 신입영아보다 자아강도와 하루일과의 적응에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영유아보육 현장에서 이른 시기에 기관에 적응해야하는 영아에게 무엇보다 교사의 역할의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playfulness and adjustment to nursery of two-year-olds according to teacher-infant attachment security and their child-care experience. Among 152 infants 47 of secure type and 51 of insecure type were selected by the results of attachment Q-set. 2(type of teacher-infant attachment securty)x2(re-entry experience) ANOVA and t-test were applied to analyze dat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playfulness of toddlers by type of teacher-infant attachment security and their child-care experience. Secure infants showed higher level of physical, social, cognitive spontaneousness, expression of pleasure and sense of humor than insecure infants. Re-enterers showed higher level of responses in all sub-factors except for playfulness of toddlers and expression of pleasure than the newcomer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e-enterers and newcomers in group of insecure infants. Secon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adjustment to nursery by teacher-infant attachment security type and reentry experience. Secure infants showed higher level of pro-social behavior, positive emotion, adaptation with peers, ego strength and adaptation of daily tasks than insecure infants. Re-enterers showed higher level of ego strength and adaptation of daily tasks, than newcomer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ed the importance of teacher`s role for infants entering nursing facilities at the younger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