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알코올과 인지장애

        조근호,전영민,채숙희,김대진 대한정신약물학회 2009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20 No.1

        Despite epidemiological studies reporting no negative effects of mild to moderate alcohol drinking on cognitive functioning, a recent well-controlled study showed that chronic mild drinking diminished the volume of the brain and was associated with cognitive decline that worsened as a function of the amount of alcohol consumed. Animal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neural cell damage follows chronic alcohol intake and withdrawal. In addition, acute excessive alcohol intake has been shown to result in temporary impairment of memory, and chronic alcohol drinking is often related to neuronal damage and cognitive disorders. Even though a diverse spectrum of cognitive disorders can develop after sustained alcohol drinking, no definite diagnostic criteria existed before those proposed by Oslin;the availability of these criteria will provide more structured clinical and academic approaches to alcohol- related cognitive decline, including dementia. In general, diminished cognitive functioning has been related to excessive alcohol consumption, with cognitive functioning gradually recovering over time. With the exception of the administration of thiamine in Wernicke-Korsakoff syndrome, only supportive pharmacotherapies have been provided for patients with alcohol-related cognitive disorders. However, experimental trials with rivastigmine or donepezil have been conducted for special populations with persistent cognitive impairments, and these studies reported favorable outcomes. We administered memantine for alcohol-related dementia and observed improvements in verbal memory and scores on the mini-mental status exam. We anticipate that novel and appropriate therapeutic agents for various conditions in this domain will be developed based on systematic diagnostic criteria and the accumulation of neurobiological evidence about alcohol-related cognitive decline. 알코올을 섭취하면 에탄올은 뇌 세포의 생존과 유지 및 사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 여러 역학 연구에서 소량의 알코올 섭취가 인지기능의 유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는 결과를 보고한 바가 있지만, 소량의 음주도 뇌의 용적을 감소시키며, 음주량에 따라 그 정도가 더욱 심각해 진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 발표되기도 하였다. 동물실험의 결과에서도 지속적인 음주 및 금단으로 인한 뇌 세포의 손상은 다양한 방식으로 증명되고 있다. 실제 임상적으로도 급성적인 과량의 알코올 섭취는 blackout을 비롯한 급성 인지 기능 저하를 유발하고, 만성적인 섭취와 그에 따른 금단은 에탄올에 의한 뇌 세포의 손상 및 인지기능의 저하를 야기한다. 다양한 수준의 인지기능 저하가 지속적인 알코올 섭취 이후에 나타나기는 하였지만, 이에 대한 명확한 진단 기준이 부족한 상황에서 Oslin 등3)이 제시한 알코올 관련 치매의 증상 수준에 따른 단계별 진단기준은, 향후 보다 체계적으로 알코올 관련 인지장애 및 치매에 관해 접근할 수 있는 바탕을 제공하였다. 알코올과 관련된 인지기능의 저하는 흔히 금주 이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호전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므로 베르니케-코르사코프 증후군에서 thiamine을 투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알코올 유발성 인지장애에서 대중적인 치료가 적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알코올 관련 인지장애 중 일부는 그 증상이 장기간 지속되기도 하였다. 시험적인 투여였지만, rivastigmine, donepezil과 같은 약물이 베르니케-코르사코프 증후군을 비롯하여 알코올과 관련된 인지기능 저하에 효과가 있었다는 사례보고가 이루어진 바 있다. 또한 NMDA 수용체 길항제이며 중등도 이상의 치매 환자에게 사용되는 memantine을 알코올 유도성 치매 환자들에게 투여한 최근 저자들의 연구 결과, memantine에 의한 언어 기억 및 간이 정신 상태 검사의 호전을 관찰한 바 있었다. 이에 조만간 체계적인 진단기준과 생물학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수준의 알코올 인지장애에 적절한 치료 약물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알코올 사용 척도에 의한 알코올 의존의 유형과 그 특성에 관한 연구

        이덕기,신진규,정영인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6

        연구목적 : 알코올 사용 척도를 이용한 알코올 의존의 유형분류가 우리나라에서 가능한지, 가능하다면 그들 각각의 임상적 특성은 무엇인지를 군집분석을 통하여 구명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80명의 알코올 의존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알코올 사용 척도를 사용하여 얻은 결과를 군집분석을 이용하여 분류를 시도하고 각 유형의 임상적인 특징을 조사하였다. 결 과 : 1) 알코올 의존은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1형은 알코올의 심리적, 신체적 의존과 음주로 인한 합병증 및 조절 장애가 가장 심하고, 주로 혼자 술을 마시며 폭음하는 특징을 보였다. 2형은 음주로 인한 이익이 세 유형 중에서 가장 많으며, 특히 대인관계의 맥락 속에서 주로 음주하고 지속적으로 술을 마시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3형은 상대적으로 가장 경한 형으로 금단 증상과 신체적 합병증이 문제가 되었다. 2) 세 유형간에 있어서 나이, 교육 수준, 결혼 상태, 직업유무 및 알코올 의존의 가족력의 유무는 차이가 없었다. 3) 세 유형간에 있어서 음주 문제로 인한 최초 입원시 나이, 알코올의 심리적, 신체적 의존과 음주의 합병증 정도, 음주 빈도와 음주량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음주 문제로 인한 최초 입원 나이는 1형과 2, 3형 사이에서, 나머지는 세 유형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세 유형간의 반사회적 성격 경향, 경계성 성격경향, 강박적 성격 경향 및 알코올 외 다른 중독성 약물의 남용 정도는 3형과 1,2형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우울의 정도는 1형과 3형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불안의 정도는 세 유형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알코올 사용 척도를 이용한 알코올 의존의 유형 분류가 우리나라에서도 가능하며, 각 유형은 임상적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른 치료 모형과 전략의 수립이 필요함을 알수 있었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type of individuals with alcohol dependence, and to examine its clinical characteristics through cluster analysis. Methods : 180 in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were examed with AUI, MAST, ADS, and MCMI. The classification of alcohol dependence was done through the cluster analysis. Results : 1)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ype 1 of alcohol dependence was the severest in terms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dependence on alcohol, alcohol-related problems, and loss of control, and was characterized by isolated drinking and binge drinking. Type 2 of alcohol dependence was mainly drinking on account of personal relationships, and is characterized by continuous drinking. Type 3 of alcohol dependence is relatively the mildest type, which led to withdrawal symptoms and complications. 2) There is no difference in age, educational level, marital status, occupation, family history of alcoholism among three types. 3)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age at the first hospitalization by drink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dependence on alcohol, complications by drinking, amount of drinking, and frequency of drinking, the age at the first hospitalization by drinking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ype 1 and type 2 or type 3. 4)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nti-social personality trait, borderline personality trait, and obsessive-compulsive personality trait, and drug abuse tendency between type 3 and type 1 or type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depression between type 1 and type 3 ;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egree of anxiety among three types. Conclusion : It is possible to classify alcohol dependence into three types by means of AUI in Korea, and each type should require specific models of therapeutic strategies and approaches in accordance with its clinical characteristics.

      • 여성 알코올중독과 무용치료

        이지영 한국중독범죄학회 2012 한국중독범죄학회보 Vol.2 No.2

        알코올 중독 치료에 있어 한 가지 치료모델의 단편성과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해 다 양한 치료모델의 치료방법과 치료기술을 통합주의적인 관점에서의 접근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알코올 중독치료의 한 방법으로서 무용/동작치료는 신체의 움직임을 심리치료 적으로 사용하여 개인의 감정과 정신 신체를 통합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알코올 중독에 있어 무용/동작 심리치료는 타 심리치료영역과 더불어 신체와 정신 통합의 중 요성이 부각되면서 사회적 인식이 높아져가고 수요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더욱 이 여성 알코올중독에 있어서는 그 기대효과가 크다고 볼 수 있다. 향후 무용치료의 효과는 알코올 중독 및 알코올 관련 일탈 등에 있어서 비약물적 치료적 개입 방안으로서 중요한 방법이 될 것이다. 또한 알코올 중독 및 관련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선 알코올에 대해 관대한 사회문화 적 분위기가 변화하여야 한다.

      • 알코올중독자의 성격이론과 성격유형화의 영향력에 대한 연구 -알코올중독자가 되기 전 청소년기와 알코올중독자가 된 후를 중심으로-

        김종선 교회사회사업학회 2014 교회와 사회복지 Vol.0 No.25

        알코올중독에 대한 문제 인식이 높아지면서 알코올중독의 치료와 회복을 위한 원인규명을 위해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어왔다. 그 결과물 가운데 하나가 알코올중독자의 성격을 유형화한 것이다. 알코올중독자는 매우 부정적이고, 수동 공격적이며, 반사회적인 경향이 강하고, 신경증적이며, 약한 자아와 우울증상이 강한 특징을 가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알코올중독자 치료와 회복에서 성격별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성격이론과 선행연구의 결과물인 성격유형화가 알코올중독자가 되는 원인인지, 아니면 알코올중독자가 된 이후 나타나는 결과로써 형성된 것인지 의문을 제기했다. 왜냐하면 그러한 유형적 성격은 일반인들에게도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문을 뒷받침하기 위해 알코올중독자가 되기 이전 청소년기와 중독자가 된 이후 성격의 변화에 대한 비교연구를 성격의 5가지 유형(BIF)에 근거하여 수행했다. 분석결과 알코올중독자의 청소년기와 중독이 된 이후 성격은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알코올중독자가 되기 전에는 알코올중독자의 성격유형이 대체로 형성되지 않았으며, 알코올중독자가 된 이후에는 성격유형 관련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알코올중독자의 성격유형이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모체 Thyroxine 투여가 태아알코올효과를 가진 흰쥐 뇌의 BDNF함유 신경세포 생후 발달에 미치는 영향

        강양수(Yang Soo Kang),정윤영(Yoon Young Chung),박영란(Young Lan Park),현영식(Young Sig Hyun),김종중(Jong Joong Kim),문정석(Jeong Seok Moon),문영민(Young Min Mun),오재욱(Jae Wook Oh),신성희(Sung Heui Shin),배춘상(Choon Sang Bae) 대한해부학회 2006 Anatomy & Cell Biology Vol.39 No.4

        임부의 알코올 남용은 태아 정신발육지연의 흔한 원인이며 특히 태아의 뇌 발생에 예민한 결정적 기간 (critical period) 동안에 지속적으로 음주하는 경우 태아알코올효과를 나타내기 쉽다. 본 연구에서는 임신 기간중 지속적으로 알코올을 섭취한 모체에 thyroxine을 투여하여 알코올의 유해한 영향으로 인한 태아알코올효과를 개선시킬 수 있는지를 관찰하기 위하여 흰쥐 뇌의 생후 연령에 따라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BDNF)함유 신경세포의 성숙 양상을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이용하여 관찰하였고 BDNF 함량을 측정하였다. 실험동물은 매일 35 칼로리 정도의 알코올을 섭취한 알코올군, 알코올 대신 dextrin이 첨가된 유동액을 섭취한 정상군 및 알코올을 섭취하고 thyroxine을 매일 5 μg/kg 피하 주사한 알코올+T4군으로 나누었으며 생후 0, 7, 14, 21, 28일에 희생시켰다. 본 연구 결과 BDNF 단백 양은 알코올+T4군에서 알코올군에 비해 생후 7, 14, 21일에 증가하였으며 특히 생후 7일의 알코올+T4군에서 가장 높았다. 알코올군은 모든 연령에서 정상군보다 감소하였다. 소뇌에서는 알코올+T4군에서 생후 14일부터 정상군과 유사한 BDNF함유 신경세포들이 조롱박세포층에 분포하였다. 알코올+T4군에서는 알코올군에 비해 대뇌겉질, 시상하부 및 해마에서 생후 7일에 성숙되고 두드러진 양성반응을 나타냈으며 해마에서는 생후 28일까지도 뚜렷한 양성반응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는 임신 중 알코올을 음용한 흰쥐 모체에 thyroxine을 투여하면 태아알코올효과를 가지고 태어날 수 있는 후손들의 뇌에 분포하는 BDNF함유 신경세포들이 생후 발달동안 정상군과 유사하거나 더 빠르게 발달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모체에 투여하는 지속적인 thyroxine 처치가 출생 초기에 BDNF 합성을 증가시켜 모체의 알코올 남용으로 야기되는 태아알코올효과와 같은 출생결함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Maternal alcohol abuse is thought to be the common cause of mental retardation. Especially, continuous alcohol consumption during critical period of brain development induce fetal alcohol effects. In this study,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aternal alcohol drinking on the postnatal changes of BDNF contents and patterns of BDNF-containing neuron in neonatal rat brain, and, the influence of maternal thyroxine treatment on the brain of pups of alcohol abused mother. Pregnant ra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lcohol-fed group (n=4) received 35 calories of liquid alcohol diet daily from gestation day 6; control pair-fed group (n=4) was fed a liquid diet in dextrin replaced alcohol isocalorically; alcohol+T4 group (n=4) received 35 calories liquid alcohol diet and exogenous thyroxine (5 μg/kg/day) subcutaneously. The amount of BDNF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lcohol+T4 group as compared to the alcohol group at P7, P14 and P21, especially, alcohol+T4-exposed pup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of BDNF at P7. The decrease in BDNF was found in alcohol group compared to control pair-fed group at all ages. In alcohol+T4 group, BDNF-containing Purkinje cells exhibited mature pattern and monolayer arrangement at P14. Alcohol+T4 group showed mature pattern and numerical increase of BDNF-containing cells in cerebral cortex, hypothalamus and hippocampus at P7. The BDNF immunoreactivity of hippocampus continued to show prominent configuration in alcohol+T4 group at P28.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crease of the BDNF-containing neurons and BDNF amount in pups of thyroxinesupplemented alcohol-exposed dams as compared to control pair-fed and alcohol-exposed pups at P7, presumably suggest the early postnatal growth stimulatory effect of the exogenously supplemented thyroxine. Therefore, the increase of BDNF synthesis caused by maternal administration of exogenous thyroxine may ameliorate fetal alcohol effects, one of the ill effects as a result of the dysthyroid state following maternal alcohol abuse.

      • KCI등재

        알코올중독자 가족의 가족적응유연성 증진을 위한 개입모형 개발 : 알코올중독의 세대간 전이를 예방하는 시각에서

        장수미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200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11 No.-

        알코올중독은 중독자 개인뿐만 아니라 가족구성원 전체에 영향을 미치며 가족의 역기능을 초래한다. 특히, 부모의 알코올중독이 아동의 심리적, 사회적 기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이제까지 알코올중독자 자녀에 대한 지배적인 연구결과였다. 이 연구들은 주로 임상표본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서, 알코올중독 부모가 있는 역기능적 가족환경에서 자라난 자녀에게 알코올중독의 세대간 전이가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알코올중독자 배우자나 자녀 등 가족에 대한 치료적 개임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최근 들어서 알코올중독자 가족에서 성장함에도 불구하고 건강한 적응을 이룬 자녀에 대한 연구는 알코올중독자 가족의 가족적응유연성(family resilience)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중독자 가족의 가족적응유연성 과정에서 나타난 자녀에 대한 보호요인이 무엇인가를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기존의 질병중심, 결함중심 시각을 기반으로 한 치료적 접근에서 벗어나 알코올중독자 가족의 가족적응유연성을 촉진시켜 알코올중독의 세대간 전이를 예방하는 차원에의 사회복지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지역사회에서 개입할 수 있는 예방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Alcoholism has effect on all alcoholic's family members as well as alcoholic himself and it has results in adverse effects on the family function. Especially, it was dominant results of the research that alcoholic parents make adverse effects on the children's psychologic and social function in most cases. These studies were mainly focused on the clinical population. Therefore, they are recognized the fact that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alcoholism will be easily executed to the COA(Children Of Alcoholics) who have brought up under the dysfunctional family environment. Accordingly, there are various intervention programs for alcoholic's spouse or children . However, the studies on the alcoholic's children who has achieved successful adaptation in spite that they had brought up under alcoholic parents, have made attention to family resilience in the alcoholic family.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focused on the literature reviews and case study in order to find that what is protective factors in the adaptation of COA that have appeared in the process of family resilience. Also, it suggests the necessity of transition from medical approach focused on disease and deficits to preventive approach in the community for improving family resilience and preventing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alcoholism.

      • 알코올중독자의 성격이론과 성격유형화의 영향력에 대한 연구 -알코올중독자가 되기 전 청소년기와 알코올중독자가 된 후를 중심으로-

        김종선 ( Jong Sun Kim ) 한국교회사회사업학회 2014 교회와 사회복지 Vol.25 No.-

        알코올중독에 대한 문제 인식이 높아지면서 알코올중독의 치료와 회복을 위한 원인규명을 위해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어왔다. 그 결과물 가운데 하나가 알코올중독자의 성격을 유형화한 것이다. 알코올중독자는 매우 부정적이고, 수동공격적이며, 반사회적인 경향이 강하고, 신경증적이며, 약한 자아와 우울증상이 강한 특징을 가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알코올중독자 치료와 회복에서 성격별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성격이론과 선행연구의 결과물인 성격유형화가 알코올중독자가 되는 원인인지, 아니면 알코올중독자가 된 이후 나타나는 결과로써 형성된 것인지 의문을 제기했다. 왜냐하면 그러한 유형적 성격은 일반인들에게도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문을 뒷받침하기 위해 알코올중독자가 되기 이전 청소년기와 중독자가 된 이후 성격의 변화에 대한 비교연구를 성격의 5가지 유형(BIF)에 근거하여 수행했다. 분석결과 알코올중독자의 청소년기와 중독이 된 이후 성격은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알코올중독자가 되기 전에는 알코올중독자의 성격유형이 대체로 형성되지 않았으며, 알코올중독자가 된 이후에는 성격유형 관련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알코올중독자의 성격유형이 나타났다. As increased awareness of the problem in alcoholism, there has been attempted various efforts to identify the cause of alcoholism for its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ne of results on the attempt is typology of alcoholic personality. It meant that alcoholics have symptoms in very negative, passive, aggressive and antisocial tendencies as well as weak ego, neurotic and depressive characters. Based on these studies, personality type approach has been applied in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f alcoholics. The researcher, however, raised a doubt about whether the type of personality as the result of personality theory and previous research is caused to be alcoholic or the type of personality is formed as the result of alcoholic. Since such type of personality may be seen in non-alcoholics. To support this research question, a comparative study was performed between before alcoholics as adolescence and after alcoholics based on 5 types of personality (BIF). It is found that personality was changed between before and after alcoholic upon this study. That is to say that there was not appeared the typical alcoholic personality before becoming alcoholic, and there was type of alcoholic personality after become alcoholic in similar to the personality theory and previous study.

      • KCI등재

        알코올 갈망 유발을 위한 알코올 관련 시각자극의 개발

        이충헌,석정호,이만홍,이병욱,남궁기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3

        연구목적 : 갈망(craving)이란 약물의존 환자가 주관적으로 경험하여 약물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만드는 동기적 상태(motivational states)를 일컫는다. 또한, 약물 사용을 중단(abstinence)하고 있는 약물 의존 환자의 재발에 선행하는 유발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알코올 갈망은 어떤 사람이 알코올과 관련된 사물, 환경, 감정에 노출된 때 발생한다. 이러한 자극들을 알코올 관련 자극이라고 하는데, 이중 알코올 관련 시각 자극은 알코올 갈망을 유발하는 효과적이고 간편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알코올 갈망을 실험실 내에서 가장 강력하고 효과적으로 유발할 수 있는 알코올 관련 시각 자극을 개발하고,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알코올 갈망을 일으키는 시각 자극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방 법 : 알코올 관련 시각 자극으로 술을 대상으로 하는 정물 및 상황 칼라 사진 27장을 후보 자극으로 개발한 후 알코올 의존 환자군, 알코올 사용장애 고위험군, 정상 대조군 각각 20명씩을 대상으로 알코올 관련 시각자극을 보여주고, 알코올 갈망을 기장 많이 일으키는 자극 6장을 순서대로 선택하도록 하였다. 알코올 갈망의 정도가 가장 높은 사진에 1위를 주고 그 다음 사진은 각각 2,3,4,5,6위, 그리고 선택되지 않은 사진에는 모두 7위를 주어 각 군에서 가장 순위의 합이 낮은 사진 3장씩을 각 군에 따른 알코올 관련 시각 자극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세균을 대상으로 가장 강력한 갈망감을 유발하는 술의 종류, 상황, 복잡성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1) 알코올 의존 환자군에서는 '소주가 담긴 소주잔', 알코올 사용장애 고위험군에서는 '회식장면 II : 술잔 부딪히는 장면', 정상 대조군에서는 '맥주잔, 병, 안주'를 각각 가장 알코올 갈망을 많이 일으키는 자극으로 선정하였다. 2) 각 군의 시각자극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알코올 의존 환자군은 술에 대한 '정물' 사진에서 가장 알코올 갈망을 많이 느꼈고, 알코올 사용장애 고위험군에서는 음주에 대한 '상황' 사진에서 가장 알코올 갈망을 많이 느꼈다. 즉, 알코올 의존 환자군은 술마시는 분위기나 상황에 대한 기대가 아닌 술 자체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였고, 알코올 사용장애 고위험군은 술 자체보다는 술자리의 분위기나 상황에 대한 기대가 음주 욕구를 자극하였다. 정상 대조군에서는 알코올 갈망을 가장 많이 일으키는 자극이 사람마다 다양하여 알코올 갈망을 유발하는 자극에 일관된 특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는 알코올 의존 환자의 경우는 고전적 과정을 통해 술 관련 자극에 대해 알코올 갈망을 느끼고, 사회적 음주자의 경우는 음주 상황에 대한 기대 또는 기억에 의해 알코올 갈망을 일으킴을 보여준다. 이는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알코올 갈망을 일으키는 기전이 사회적 음주자와 신경생리학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 Craving is the subjectively experienced motivational states inducing ongoing drug use in addicts. It also proceeds or precipitates relapse episode in drug addicts. Alcohol craving may be triggered by exposure to an object, environment, or emotion that a person has come to associate with alcohol consumption. Such stimuli are called alcohol-related cues. Among alcohol-related cues, alcohol-related visual stimuli are simple and reliable methods in inducing alcohol craving.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lcohol-related visual stimuli in alcoholics. Methods : First, the authors developed 27 alcohol and drinking color photos as candidate stimuli. Then, 3 photos which induce alcohol craving most were chosen as alcohol-related visual stimuli respectively by alcoholics, alcoholism high risk group and normal control group. The authors compared characteristics, situation and complexity of selected alcohol-related visual stimuli among three groups. Results : 1) 'A glass of Soju', 'Drinking together' and 'A glass of beer, a bottle of beer and a sidedish' were chosen as alcohol-related visual stimuli which induce most craving in alcoholics, alcoholism high risk group and normal control group respectively. 2) Alcohol photo(stationary object) induced craving most in alcoholics in contrast with drinking photo(situation) in social drinkers. Alcoholics clung to alcohol per se, not to atmosphere or situation of drinking, ad alcoholism high risk group felt craving by the expectation of drinking situation. Normal control group showed no consistent finding in choosing alcohol-related visual stimuli. Conclusion : With these results, the author suggests classical conditioning as psychopathological model of alcohol craving with alcoholics. In contrast with alcoholics, alcohol craving of alcoholism high risk group may be related to alcohol specific memory or positive expectancies about alcohol use. These finding may support different neurobiological mechanisms of alcohol craving between alcoholics and social drinkers.

      • 알코올 의존 환자군의 PPAT(사과 따는 사람 그리기 검사) 반응 특성

        박호연,박경 서울여자대학교 2010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10 No.2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responsive characteristics that both patient group with alcohol dependence and normal group show in the PPAT (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and examine what difference in response the patient group with simple alcohol dependence, the patient group with comorbid alcohol dependence and normal group show in the PPAT. For this study, the PPAT was individually performed for patients who were in the J-alcohol special hospital and the W-alcohol special hospital that were located at the In-cheon. Patients who had different mental disorder such as schizophrenia, bipolar disorder, depression and personality disorder were also included in the patient group with alcohol dependence. AUDIT (Alcohol Use Disorder Inventory Test) questionnaire and PPAT were individually performed to the normal. Only data that the AUDIT score does not exceed the alcohol dependence level of 20 point was us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male and female adults whose age was between 19 years and 69 years, and were 200 total persons consisted of 100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and the normal of 100 persons. FEATS (Formal Elements Art Therapy Scale) was used as a scoring system to analyze formal factors of the picture, and contents of the picture were treated through Contents Scale. The test was scored by 4 art therapists.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scored for 14 FEATS, and chi-square test was scored for 13 questions on the Contents Scale. A Scheffe test was performed to particularly examine relative difference between the patient group with simple alcohol dependence, the patient group with comorbid alcohol dependence and the norma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as the results of analyzing FEATS of the patient group with alcohol dependence and the normal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14 FEATS items such as prominence of color, color fit, implied energy, space, integration, logic, realism, problem solving, developmental level, details of objects & environment, line quality, person, rotation and perseveration. Of them, most highest difference of level appeared from the 13 remaining items except for rotation. Second, as the result of analyzing FEATS on the patient group with simple alcohol dependence, the patient group with comorbid alcohol dependence and the norma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atient group with simple alcohol dependence and the patient group with comorbid alcohol dependence but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in all 14 items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other two groups. Third, as the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 between the patient group with alcohol dependence and the normal group by using the Contents Scale,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in numbers of the colors used in the whole picture, colors used in the whole picture, person, numbers of the colors used for person, colors used for person, sex, actual energy of person, direction of the face, age, clothes of person, existence or not of the apple tree, trunk of the apple tree, crown of the apple tree, the color of apple tree and detailed description. In conclusion, the PPAT showed the value as a drawing test that can complement limitations of the existing evaluation tools in evaluation of the patient group with alcohol dependence using the excessive defense mechanism. 본 연구는 알코올 의존 환자군과 정상군이 PPAT(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사과 따는 사람 그리기 검사)에서 보이는 반응 특성을 살펴보고, 단순 알코올 의존 환자군과 공병 알코올 의존 환자군, 그리고 정상군이 PPAT에서 어떠한 반응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인천 지역에 소재한 알코올 전문 병원에 입원중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PPAT를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참여자는 만 19세에서부터 69세사이의 성인 남·여로 알코올 의존 환자 100명,정상인 100명으로 총 200명이다. 그림의 형식적인 요소를 분석하기 위하여 FEATS(Formal Elements Art Therapy Scale:형식 척도)를 채점의 체계로 사용하였으며 Contents Scale(내용 척도)을 통하여 그림의 내용적인 면을 다루었다. 평정은 총 4명의 미술치료사가 실시하였으며, FEATS 14개는 독립 표본 t-검증을 하였고, Contents Scale 13개의 문항은 각각 x2 검증을 실시하였다. 단순 알코올 의존 환자군, 공병 알코올 의존 환자군, 정상군 각각의 상대적 차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Scheffe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알코올 의존 환자군과 정상군의 FEATS를 분석한 결과, 색칠정도, 색적절성, 내적 에너지, 공간, 통합, 논리성, 사실성, 문제해결력, 발달단계, 세부묘사, 선의질, 사람, 변환성, 보속성의 총 14가지 FEATS 항목 중 14가지의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 중 변환성을 제외한 나머지 13개의 항목에서 매우 높은 수준의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알코올 의존 환자군, 공병 알코올 의존 환자군과 정상군에 따라 FEATS를 분석한 결과, 단순 알코올 의존 환자군과 공병 알코올 의존 환자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정상군과 나머지 두 집단 간에서는 14문항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Contents Scale를 통한 알코올 의존 환자군과 정상군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그림 전체에 사용된 색의 수, 그림 전체에 사용된 색, 사람, 사람을 그리는데 사용된 색의 수, 사람을 그리는데 사용된 색, 성별, 사람의 실제적 에너지, 얼굴 방향, 사람의 나이, 옷, 사과나무의 유무, 사과나무의 기둥, 사과나무의 수관, 사과의 색, 세부묘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PPAT는 과도한 방어기제를 사용하는 알코올 의존 환자군의 평가에 있어서 기존의 평가 도구들이 가지는 한계점을 보완해 줄 수 있는 그리기 검사로서의 가치를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알코올중독자의 가족이 경험한 가족탄력성 경험사례 연구 -정서적스트레스 요인을 중심으로-

        신미영 ( Shin Mi-young ),이미나 ( Lee Mi-na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21 인성교육연구 Vol.6 No.1

        알코올중독자 가족은 정서적, 심리적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다. 특히 불안, 걱정, 우울, 분노, 수치심 등이 중요 스트레스의 원인이다. 본 연구대상은 알코올 중독자의 배우자로 총 4명이다. 연구대상자의 심층면담으로는 개인상담 5회기와 집단상담 3회기 총 8회기를 진행하였다. 알코올중독자는 가족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지지를 받고자 하였다. 첫째, 알코올중독문제 외에도 다른 관심과 사랑을 받고 싶어하였다. 둘째, 자녀들의 지지를 통해 절주하려는 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알코올중독자의 연령, 건강, 체력 등의 요소가 절주 할 수 있는 요인이 되었다. 넷째, 배우자의 태도와 경제성이 절주와 관련성이 높았다. 다섯째, 배우자의 잔소리는 절주하려는 태도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 따라서 알코올중독자의 배우자는 음주요인과 음주문제에 집착하거나 죄책감을 갖기보다는 자신의 스트레스를 극복하고 대처하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더불어 배우자는 알코올중독에 관련된 정보와 인식개선을 통해 알코올중독 문제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즉, 알코올중독자 가족의 관심과 사랑, 전문적인 치료방법으로 접근했을 때 알코올에 의존하기보다는 알코올중독에서 해방되는 효과가 있을 것이며 가족 모두가 정서적스트레스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Families of alcoholics are exposed to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tress. In particular, anxiety, worry, depression, anger, and shame are major causes of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4 alcoholic spouses. As for the in-depth interview with the study subjects, a total of 8 sessions were conducted: 5 individual counseling sessions and 3 group counseling sessions. First, besides the problem of alcoholism, they wanted to receive other’s attention and love. Second, the attitude to sobriety was high through the support of their children. Third, factors such as age, health, and physical strength of alcoholics became factors that allowed them to refrain from drinking alcohol. Fourth, the spouse's attitude and economic feasibility were highly related to sobriety. Fifth, the nagging of the spouse did not help the attitude of sobriety. Therefore, the spouse of an alcoholics should seek ways to overcome and cope with their own stress, rather than obsessing over drinking factors and drinking problems or feeling guilty. In addition, the spouse will be able to help the alcoholism problem by improving awareness and information related to alcoholism. In other words, when apporached with the care and love of the alcoholics‘ family and a professional treatment method, there will be an effect of liberation from alcoholism rather than dependence on alcohol, and the whole family will be able to prevent emotional s t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