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충동성과 고통감내력이 알코올 사용장애에 미치는 영향 - 미래결과고려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송채수,이원재 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2018 한국알코올과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2

        [연구배경] 최근 청소년과 20대, 여성의 알코올 사용장애가 급격히 늘어 국내 정 신질환 평생유병률중 가장 높은 12%를 차지하고 있으나 장애에 대한 이해와 정보부족으로 치료시기를 놓치고 있다. 이에 정신의학과 간호 학, 심리학 등 분야의 알코올 사용장애 관련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음 주유발과 음주자제에 관여하는 기질 및 성격특성들을 규명하고, 이들 요소간의 상호작용에 관해 가설검정을 실시한다. [연구목적] 충동성, 고통감내력, 미래결과고려성향 등 심리학의 기질 및 성격특성 들이 알코올 사용장애에 미치는 효과, 장애발생이나 방지와 관련하여 요소들간에 조절 및 매개변수로서 나타내는 효과를 규명한다. [연구방법] 음주자와 비음주자를 막론하고 성인 직장인 800명 이상을 대상으로 알코올사용장애 선 별검사와 충동성, 고통감내력, 미래결과고려성향을 측정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수집 된 자료는 SPSS 23.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며,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대 상자의 일반적 특성가운데 독립변수의 수준(차원)에 따라 종속변수(알코올 사용장애)의 평균수준이 달라질 수 있는 성별, 흡연여부 등에 대해서는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다. 변수들간 상관관계는 피어슨상관분석을 시행하며, 관계역동에서 각 변수들이 종속변수인 알코올 사용장애에 대한 상호간 매개 또는 조절변수로서 나타내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 해서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다. [연구결과] 충동성이 높을수록 알코올 사용장애 수준은 높아지고, 고통감내력 또는 미래결과고려성향이 높을수록 알코올 사용장애 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 충동성과 고통감내력 상호간에는 매개효과(부분매개)가, 미래결과고려성향은 충동성과 알코올사용장애사이에서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 KCI등재

        해양경찰공무원의 알코올 사용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승현(Lee seung-hyun) 한국공안행정학회 2020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9 No.5

        Coast guards are exposed to various risks and stresses due to the nature of their work at sea. Alcohol use disorder has been pointed out as one of the negative outcomes caused by such stress. Alcohol use disorder is a predictor of depression and suicide.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solve the alcohol use disorder problem, but studies on coast guards are scarc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llect basic policy data to solve the alcohol use disorder problem among coast guards by empirically identifying the actual condition of alcohol use disorder and the risk factors, as well as protective factors, that negatively affect alcohol use disorder of marine police officer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effects of risk and protective factors on alcohol use disorders and alcohol use disorders of coast guards were identified using the “2018 Coast Guard Welfare Survey and Mid- to Long-Term Welfare Strategy Establishment Study”. The results show that occupational risk, one of risk factors, did not affect alcohol use disorder.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some sub-variables of the resilience had negative effects on alcohol use disord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silience is an important factor in preventing alcohol use disorders of coast guards. 해양경찰공무원은 해상에서 근무하는 업무의 특성상 다양한 위험과 스트레스에노출된다. 이러한 위험과 스트레스로 인하여 발생하는 부정적인 요소 중 하나로알코올 사용장애가 지목되고 있다. 알코올 사용장애는 우울, 자살의 선행변수로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시행되고 있으나 해양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진한 상태이다. 이에 이 연구는 해양경찰공무원의 알코올 사용장애 실태와 알코올 사용장애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위해요인 및 보호요인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여 알코올 사용장애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적 기초자료 수집을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8 해양경찰 복지 실태조사 및 중장기 복지전략 수립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여 해양경찰공무원의 알코올 장애실태와 알코올 사용장애의 위해요인 및 보호요인의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위험요인인 직무위험성의 경우 알코올 사용장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회복탄력성의 일부가 알코올 사용장애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회복탄력성이 해양경찰공무원의 알코올 사용장애를 예방하는 데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 KCI등재

        한국 여성의 알코올사용장애 영향요인

        김지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dentify the factor affecting alcohol use disorder in Korean women.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s Survey and analyze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related factors and alcohol use disorder.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25.0 program. As a result, the prevalence of alcohol use disorder in Korean women was 14.7%.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age, marital status, educations level, occupation, smoking, stress, melancholy. By logistic regression, the risk factors of alcohol use disorder were age, marital status, occupation, smoking, melancho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research on the alcohol use disorder of single-working women should be conducted in considering of various variable. 본 연구는 한국 여성의 알코올사용장애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한국 여성의 알코올사용장애 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만 19세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 특성 및 알코올사용장애 여부를 파악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합표본설계를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여성의 알코올사용장애 유병률은 14.7%였으며 알코올사용장애군과 정상군은 연령, 결혼 여부, 교육수준, 경제활동 여부, 흡연 여부, 스트레스 인지 정도, 우울증상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알코올사용장애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알코올사용장애 유병 위험은 연령이 낮을 경우 4.0배, 미혼일 경우 1.6배, 경제활동을 하는 경우 1.6배, 흡연을 하는 경우 4.3배, 우울증상이 있는 경우 1.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경제활동을 하는 미혼 여성의 음주와 흡연 여부, 우울증상을 파악하고 함께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며, 추후 다양한 변수를 포함한 경제활동을 하는 미혼 여성의 알코올사용장애 위험요인에 대한 연구를 제언한다.

      • KCI등재

        생활사건과 알코올 사용의 관계에서 취약성 요인으로서의 부정정서 및 충동성의 작용과 완화 요인으로서의 마음챙김의 효과

        강오선,황성훈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20 人間理解 Vol.41 No.1

        본 연구는 생활사건이 알코올 사용을 촉발하는 과정에서 부정정서와 충동성의 순차적 작용과 마음챙김의 완화 효과를 검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생활사건이 알코올 사용에 영향을 미치되, 그 중간과정은 알코올 사용 동기 중 하나인 부정정서와 충동성에 의해 순차적으로 매개되며, 이를 마음챙김이 조절한다는 조절된 직렬매개 모형을 설정했다. 사이버대학생 413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알코올 사용 장애 척도, 생활경험조사,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척도, 한국어판 Barrett 충동성 척도, 한국판 5요인 마음챙김 척도 등을 실시했다. 모형을 검증한 결과, 생활사건이 알코올 사용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예측대로 부정정서와 충동성을 차례로 거쳐 알코올 사용에 미치는 직렬매개 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이 간접효과는 마음챙김에 의해 조절되었다. 이는 생활사건이 많을수록 부정정서가 증가하고, 늘어난 부정정서는 충동성을 높여 알코올 사용을 증가시키되, 이때 마음챙김은 완화 요인으로 작용하여 부정정서와 충동성을 거친 간접효과가 알코올 사용으로 이어지는 것을 감소시킴을 보여준다. 알코올과 관련한 여러 문제를 줄이고 예방하기 위한 치료적 시사점과 함께, 본연구의한계와후속연구의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 KCI등재

        알코올 사용 척도에 의한 알코올 의존의 유형과 그 특성에 관한 연구

        이덕기,신진규,정영인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6

        연구목적 : 알코올 사용 척도를 이용한 알코올 의존의 유형분류가 우리나라에서 가능한지, 가능하다면 그들 각각의 임상적 특성은 무엇인지를 군집분석을 통하여 구명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80명의 알코올 의존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알코올 사용 척도를 사용하여 얻은 결과를 군집분석을 이용하여 분류를 시도하고 각 유형의 임상적인 특징을 조사하였다. 결 과 : 1) 알코올 의존은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1형은 알코올의 심리적, 신체적 의존과 음주로 인한 합병증 및 조절 장애가 가장 심하고, 주로 혼자 술을 마시며 폭음하는 특징을 보였다. 2형은 음주로 인한 이익이 세 유형 중에서 가장 많으며, 특히 대인관계의 맥락 속에서 주로 음주하고 지속적으로 술을 마시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3형은 상대적으로 가장 경한 형으로 금단 증상과 신체적 합병증이 문제가 되었다. 2) 세 유형간에 있어서 나이, 교육 수준, 결혼 상태, 직업유무 및 알코올 의존의 가족력의 유무는 차이가 없었다. 3) 세 유형간에 있어서 음주 문제로 인한 최초 입원시 나이, 알코올의 심리적, 신체적 의존과 음주의 합병증 정도, 음주 빈도와 음주량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음주 문제로 인한 최초 입원 나이는 1형과 2, 3형 사이에서, 나머지는 세 유형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세 유형간의 반사회적 성격 경향, 경계성 성격경향, 강박적 성격 경향 및 알코올 외 다른 중독성 약물의 남용 정도는 3형과 1,2형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우울의 정도는 1형과 3형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불안의 정도는 세 유형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알코올 사용 척도를 이용한 알코올 의존의 유형 분류가 우리나라에서도 가능하며, 각 유형은 임상적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른 치료 모형과 전략의 수립이 필요함을 알수 있었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type of individuals with alcohol dependence, and to examine its clinical characteristics through cluster analysis. Methods : 180 in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were examed with AUI, MAST, ADS, and MCMI. The classification of alcohol dependence was done through the cluster analysis. Results : 1)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ype 1 of alcohol dependence was the severest in terms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dependence on alcohol, alcohol-related problems, and loss of control, and was characterized by isolated drinking and binge drinking. Type 2 of alcohol dependence was mainly drinking on account of personal relationships, and is characterized by continuous drinking. Type 3 of alcohol dependence is relatively the mildest type, which led to withdrawal symptoms and complications. 2) There is no difference in age, educational level, marital status, occupation, family history of alcoholism among three types. 3)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age at the first hospitalization by drink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dependence on alcohol, complications by drinking, amount of drinking, and frequency of drinking, the age at the first hospitalization by drinking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ype 1 and type 2 or type 3. 4)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nti-social personality trait, borderline personality trait, and obsessive-compulsive personality trait, and drug abuse tendency between type 3 and type 1 or type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depression between type 1 and type 3 ;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egree of anxiety among three types. Conclusion : It is possible to classify alcohol dependence into three types by means of AUI in Korea, and each type should require specific models of therapeutic strategies and approaches in accordance with its clinical characteristics.

      • 사회참여활동유형과 알코올 사용에 관한 고찰 : 지역사회노인을 중심으로

        김근아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09 임상사회사업연구 Vol.6 No.3

        지역사회 내 노인들의 문화에서 “알코올 사용”이 보편적이고 허용적인 행태임을 고려한다면 일반주의적인 관점에서 노인의 알코올 사용문제를 조망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들의 사회참여활동과 알코올 사용과의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노인들의 사회참여활동 유형으로는 사교단체, 종교단체, 취미, 레저단체(문화 활동), 자원봉사활동, 교육활동, 정치단체 등이 있으나 아직까지 “사교단체참여활동”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교단체라 할 수 있는 경로당(노인정)을 이용하는 노인들은 주로 고령이며, 교육․문화적 혜택의 경험이 대체로 낮아 노인 당사자 스스로 보다 적극적인 사회참여활동의 방향을 제시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을 지닌다. 현재까지 경로당은 노인들의 자율적인 운영에 의지하고 있어 알코올사용과 화투, 장기 등이 여가놀이로서 깊이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알코올 사용은 노인의 건강에 매우 치명적이라는 연구결과들이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지만 노인들의 알코올 사용은 젊은 성인 군에 비해 더욱 심각하다. 이에 노인들의 알코올 사용을 줄이고 사회참여활동을 보다 적극적인 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대안마련이 시급이 요구된다. 즉 다양한 노인들의 인구학적 특성을 고려한 개입과 노인 당사자 중심의 계획 및 실천이 보다 포괄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하겠다.

      • KCI등재

        해양경찰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알코올 사용 장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강훈 ( Kang Hoon Lee ),문준섭 ( Jun Seob Moon ) 한국경찰학회 2014 한국경찰학회보 Vol.16 No.4

        본 연구는 해양경찰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및 알코올 사용 장애의 수준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해 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해양경찰복지 실태조사 및 중장기 기본계획 수립 연구(2013)에서 수집된 자료 중 외상 후 진단 척도를 활용하여 측정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알코올 사용 장애 진단 검사(한글판)를 활용하여 측정한 알코올 사용 장애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문항을 사용하였으며, 총 2,652 케이스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실증적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평균은 5.09±7.50으로 나타났으며, 조사 대상자의 18.2%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알코올 사용 장애의 평균은 8.86±6.24로 나타났으며, 조사 대상자의 41.2%가 알코올 사용 장애 문제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알코올 사용 장애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해양경찰공무원의 알코올 사용 장애 문제를 예방하거나 대응해 나가기 위해서는 예방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시행, 초기 대응을 위한 지역사회의 네트워크 구축 등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nd alcohol use disorders including the levels of PTSD and alcohol use disorders among maritime police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data required for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the Long-term Master Plan of the Maritime Police Welfare (2013)`` is utilized. Questionnaires measuring PTSD (Posttraumatic Diagnostic Scale), alcohol use disorders (Alc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Korea)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re used. A total of 2,652 cases is analyzed.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Firstly, the mean of PTSD is 5.09(±7.50), and 18.2% of the respondents are having PTSD. Secondly, the mean of alcohol use disorders is 8.86(±6.24), and 41.2% of the respondents are having alcohol use disorders. Thirdly, PTSD(+) significantly influences on alcohol use disorders. Based on the results,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d carry out a PTSD prevention program and to build networks of community-based agencies for the initial response, in order to prevent and deal with alcohol use disorders.

      • KCI등재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Alcohol Use Disorder among Asian Americans

        Park, So-Youn(박소연)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5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3 No.1

        본 연구는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아시아 이민자를 대상으로 주요 우울 장애와 알코올 사용 자애의 관계를 규명하고, 문화적응수준 및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주요 우울 장애와 알코올 사용 장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National Latino and Asian Americans Study의 자료 중 2,095명의 동양계 미국인 자료를 통해 2차 자료분석을 실행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결과, 주요 우울 장애와 알코올 사용 장애의 상호적 인과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규명되지 않았다. 그러나 주요 우울 장애는 알코올 사용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알코올 사용 장애는 주요 우울 장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문화적응수준 및 문화적응스트레스 관련 요인들과 우울 장애 및 알코올 사용장애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각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3세대, 차별 및 가족 문화 갈등의 경험이 주요 우울 장애 및 알코올 사용 장애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상기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울과 알코올 사용 장애를 다루는 데 있어서 두 사안 간의 관계에 대한 면밀한 이해의 중요성과 대상자의 문화적응수준 및 문화적응스트레스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점을 주된 함으로 전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bi-dir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alcohol use disorder and to examine that what factors are associated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alcohol use disorder among Asian Americans in the U.S. This study was a secondary analysis of data from National Latino and Asian American Study(NLASS) and examined 2,095 Asian American adults. Using simultaneous structural equation model,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alcohol use disorder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ciprocally associated with each other. Additionally, two separate logistic regressions were conducted to examine factors associated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alcohol use disorder. Generational status, discrimination and family cultural conflic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oth disorders. Understanding about the directional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alcohol use disorder is important and acculturation and acculturative stress are needed to be considered i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addressing mental health among Asian Americans.

      • KCI등재후보

        명상상담을 경험한 알코올 사용장애자의 치유경험: 내러티브 연구

        윤미숙 ( Yoon Mi-sook )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2018 명상심리상담 Vol.20 No.-

        본 연구는 명상상담을 활용한 알코올 사용장애자의 치유 경험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문제로 알코올 사용장애자의 알코올 사용장애와 연관된 고통스러운 경험과 그 원인을 탐색하고, 그 고통은 명상상담을 통해 어떻게 변화 되었으며 그 변화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명상상담의 고집멸도와 내러티브 연구방법이 적용되었다. 연구결과로 연구 참여자 부친의 음주, 그로 인한 가정폭력과 부모의 이혼, 낮은 자존감, 모성애 부재가 알코올과 연관된 고통스러운 경험이었고, 명상상담으로 연구 참여자 마음의 변화가 확인 되었으며, 그 변화가 연구 참여자가 알코올 사용에 의지하지 않는 새로운 삶을 살아가게 도울 수 있었던 점이다. 알코올 사용장애자의 마음이 무기력증에서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다. 연구의의는 알코올 사용장애자에게 명상상담을 활용한 연구가 희소한 상황에서 그것을 통한 치유경험을 조사한 점이다. 또한 연구 참여자의 심층적인 마음속을 살펴보았고, 그 치유경험을 다층적으로 살펴본 점이다. 명상상담과 내러티브 연구방법을 상호 연계하여 알코올 사용장애의 원인규명에서부터 원인소멸, 그 이후의 실천과정에 이르기까지 치유과정을 시도한 연구라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is healing experiences using meditation counseling by a man with alcohol use disorder. The participant's alcohol-related painful experiences were reviewed and analyzed. After participating meditation counseling, the participant's' interpretation of the experiences changed. The study also identified the meanings of the changes which he has experienced through the meditation counseling and in four levels of narrative inquiries. Meditation Counseling was used in conjunction with Narrative Study as the research methods. Findings were that the participant showed accumulated alcohol-related painful experiences which were the triggers to drink. Those experiences have been changed to more positive and empathic understandings through the meditation counseling, and the changes helped for the participant to beginning alcohol-free living. The study analyzed the participant's healing experiences through an in-depth and diverse process. Using meditation counseling and narrative inquiry in parallel, the participant identified the causes of his alcohol use disorder, ways to coping, and controlling his desire to use alcohol.

      • KCI등재

        알코올 사용장애 가족의 공동의존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맹혜영,이성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22 한국가족복지학 Vol.6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eply explore the experience of co-dependence in families with alcohol use disorder,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facilitating recovery through deep understanding of families of people with alcohol use dis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ix family members who currently reside with individuals with alcohol use disorders, and analyzed qualitative data using a case analysis method of Creswell (2013). Study results on co-dependence experience of families of people with alcohol use disorders were classified with 6 themes, 12 sub-themes, and 29 meaningful statements. The six themes were ‘time of suffering’, ‘dysfunctional family relations’, ‘patience and effort’, ‘improving family relationship’, ‘progressing to healthy relationship’, and ‘preciousness of the time family members spend togeth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reducing co-dependence of families of people with alcohol use disorders and preventing relapse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알코올 사용장애 가족의 공동의존 경험을 심도 있게 탐색함으로써 대상자가족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알코올 사용장애 가족의 회복촉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현재 알코올 사용장애 대상자와 함께 거주하는 가족구성원 6명을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그 내용을 Creswell(2013)의 사례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 사용장애 가족의 공동의존 경험과 관련한 6개의 주제와 12개의 하위주제, 29개의 의미단위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6개의 주제는 ‘고통의 시간’, ‘역기능적인 가족관계’, ‘인내와 노력’, ‘호전되는 가족관계’, ‘건강한 관계로 나아감’, ‘함께하는 시간의 소중함’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알코올 사용장애 가족의 공동의존을 감소시키고 재발방지를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