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안용복의 도일 활동과 그 의미

        송휘영 한국이사부학회 2020 이사부와 동해 Vol.16 No.-

        본고의 과제는 ‘독도를 지킨 사람들’ 중의 한 사람으로 안용복의 생애와 활동을 재조명하는 것이다. 특히 ‘제1차도일(납치)’ 사건과 ‘제2차도일’ 사건을 중심으로 그의 활동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독도 관련 연구 중에서 안용복 관련 연구는 단연 독보적으로 많다. 그러나 『숙종실록』 등의 기록을 통해 그의 공적을 분석한 연구는 많으나 그의 신분과 생애, 구체적 활동 등을 분석한 연구는 드물다. 이 글에서는 지금까지 국내외에서 발굴된 사료와 새롭게 연구된 결과 등에 근거해서 안용복의 생애와 활동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였다. 안용복의 신분은 1693년의 납치 사건에서는 ‘외거노비’로, 1696년 도일사건에서는 ‘통정대부’로 되어 있으며, 부산 수영구의 수강사 등에서는 ‘순흥안씨’로 주장하기도 하지만 그 근거는 없다. 안용복의 나이와 신분은 1693년 납치사건 당시 소지했던 호패의 기록이 신빙성이 높다고 판단되며, 그는 1658년생으로 당시 36세였고 1696년 에는 39세이며, 서울 거주 오충추의 ‘외거노비’이다. 안용복은 동래 부산 좌천1리에 사는 외거노비로 서울에 사는 주인과의 관련으로 울릉도로 출어를 나갔었고 울릉도로 도항한 선단에서는 나름 힘이 있는 위치에 있었던 것 같다. 그런 면에서 보면 잠상대고(潛 商大賈)일 가능성도 배제 할 수 없다. 안용복의 납치 사건은 한일 양국의 울릉도 를 둘러싼 분쟁인 「울릉도쟁계」의 실마리를 제공했고, 그러한 과정에서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의 영토임을 인정받는 계기가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1696년의 2차도 일은 울릉도 · 독도 영유권과는 무관하다. 현시점에서 안용복이 일본 에도에 가서 막부 장군의 서계를 받았다는 정황은 포착되지 않는다. 그러나 돗토리번으로부터 모종의 문서를 받았을 수는 있다. 이제는 안용복과 관련된 일본의 왜곡 논리를 하나둘 밝혀내고 영웅화된 우리의 안용복상과 거짓말쟁이로 치부하는 일본의 안용복 상을 사료와 기록에 입각하여 객관적으로 재조명할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일본의 거짓과 허구성에 대해 명확하게 그 논리를 역사적 사료에 입각하여 반박할 수 있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the life and activities of Ahn Yong-bok as one of the ‘people who kept Dokdo.’ In particular, my aim is to evaluate his activities objectively focusing on the first (abduction) and second event of the Dokdo crossing. Among the Dokdo-related studies, Ahn Yong-bok related study is dominant. However, there are many studies analyzing his achievements through records such as the annals of King Sukjong, but few studies analyze his identity, life, and specific activities. In this paper, based on the historical materials discovered at home and abroad and the results of the new study, the life and activities of Ahn Yong-bok were focused on objective evaluation. Ahn Yong-bok's status was described as ‘Non-residing slave(外居奴婢)’ in the abduction case of 1693, ‘Tongjeongdaebu(通政大夫 Government Officer)’ in the crossing case of 1696, and he was named from the good Family 'Sunheung Ahn' in the regional record ‘Sugangsa’ of Busan Suyeong-gu, but there is no basis. Ahn Yong-bok’s age and status are highly credible in the record of the Hopae (identification card) that he had kept at the time of the abduction in 1693. He was recorded 36 years old in 1658 and 39 years old in 1696. Ahn Yong-bok lived in Jyachun-1-ri of Busan Dongrae district as non-resident slave and sailed to Ulleungdo in connection with his owner Mr. Oh Chung-chu living in Seoul, and it seems that he was in a position with his own strength that sailed to Ulleungdo at the time. In that sense, it is possible to identify him as a big merchant ruling out latent marine ships. Ahn Yong-bok’s abduction provided a clue to the “Ulleungdo dispute,” a dispute over Ulleungdo in both Korea and Japan, and Ulleungdo and Dokdo were recognized as the territory of Joseon(Korea) in the process. However, the second sailing to Japan in 1696 was not related to the sovereignty of Ulleungdo and Dokdo. At present point of view,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at Ahn Yong-bok had been to Edo, Japan, and received the order of the Shogunate general. However, he might have received some documents from Tottori-han. Now, it is necessary to objectively reexamine the Japanese distorted logic related to Ahn Yong-bok and the heroicized Ahn Yong-bok and the Japanese’s evaluation, which is regarded as a liar, based on the historical record. Thus, the logic of Japanese lies and fiction should be refuted based on historical data.

      • KCI등재

        1950년대 이후 안용복에 대한 조명과 평가

        김성은(Kim Sung Eu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서강인문논총 Vol.0 No.45

        본고는 해방 후 언론, 단체, 저작물에서 안용복에 대한 서술과 평가를 어떻게 해왔는가를 살펴보았다. 해방 후 안용복에 대한 언론의 조명과 평가는 일본의 독도도발과 궤적을 함께 했다. 안용복장군기념사업회가 조직되고 활동을 전개하면서 안용복은 장군으로 인식되고 호칭되기 시작했다. 이에 대해 학계 일부에서는 안용복 영웅화 경향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일반인들에게 안용복은 안용복 장군이라는 호칭으로 널리 통용되고 있지만, 학계에서는 호패 기록에 근거해 안용복의 신분이 천민(사노)이라는 설이 우세하다. 안용복 관련 저작물 및 언론에서 그(의 활동)에 대한 평가는 장군이라는 호칭 이외에도 영웅, 호걸, 위인, 충신, 애국자, 공로자, 선구자, 민족의 은인, 의인, 민간외교가, 수호자, 파수꾼, 지킴이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2005년부터 최근 10년간 언론에서는 안용복이 어민이며 평민이라는 점을 많이 강조했다. 안용복을 대표하고 지칭하는 수식어로 “평민 어민”과 함께 “민간외교가, 수호자, 파수꾼, 지킴이”라는 단어가 빈번하게 등장해 현실문제에 깨어있는 국민의식, 행동하는 시민의식을 촉구하는 논조를 띠었다. 그러나 문제는 “안용복 개인이 영토문제를 해결했다는 인식”에 있다. 17세기 말 울릉도 독도영유권 및 어업권에 대한 문제제기와 해결과정에서 안용복 개인의 활약이 독보적이고 영웅적이었음은 사실이다. 보완할 점으로 안용복의 2차 도일은 동지들과 함께였다는 점, 울릉도 독도 영유권 및 어업권 문제 해결에 있어서 대일 교섭과 사후 관리는 결국 조선 조정에 의한 것이었음을 적시할 필요가 있다. 개인의 역할과 함께 동지들 및 조정의 역할도 중요하며 특히 민과 관의 상호보완이 필요함을 강조해줄 필요가 있다. The media’s interest in and evaluation of An Yong-Bok after the 1950s are in sync with the Japanese provocations over Dokdo. After 안용복장군기념사업회 was founded, An Yong-Bok was regarded and referred to as a general. There were some worries in the literature concerning the trend of heroizing An Yong-Bok. This study was started from the same critical mind. In the writing and articles about An Yong-Bok, he (and his deeds) were considered as a general but also a hero, a great mind, a great man, a patriot, a person of merit, a pioneer, a savior of people, a righteous man, a civil diplomat, a guardian, a lookout, and a keeper. An Yong-Bok is commonly regarded as General An Yong-Bok by the public. On the contrary in the literature, it was more often believed that he was a low class, a slave. From 2005 until now, the media emphasized that he was a fisher and a commoner. The media also maintained the tone kindling activism and civic awareness of real world problems among people, referring An Yong-Bok as “a civil diplomat, a guardian, a lookout, and a keeper” as well as “a common fisherman”. However the real problem is the awareness that “An individual An Yong-Bok solved the territorial dispute”. It is a fact that the intervention of an individual An Yong-Bok in the problem posing and the solving process regarding the disputes over the dominium of and fishery rights in Ulleungdo and Dokdo was exceptional and heroic. However, there is a need to supplement the argument with and emphasize that co-operation of the people and the government was necessary as well as that the role of the government was important by stating the fact that it was the Joseon government which eventually did the negotiation with the Japanese government and post management works.

      • KCI등재

        ‘안용복’ 역사적 사실과 ‘안용복’ 소설

        김호동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7 민족문화논총 Vol.66 No.-

        안용복 소설은 다음과 같다. 리성덕, 『울릉도』 문예출판사, 1990 김래주, 『대조선인 안용복』 1·2, 늘푸른소나무, 2005 권오단, 『안용복』(울릉도와 독도의 영유권을 되찾아온 조선의 어부), 산수야, 2010 권오단, 『우리땅 독도를 지킨 안용복』 산수야, 2010 차상찬, 『해상의 쾌인 안용복』 이프리북스, 2013 황인경, 『소설 독도』 북스타, 2015 김하기, 『해제 어둔』 경상일보, 2013~2014 『독도전쟁』 1·2, 쌤앤파커스, 2015 고정옥, 『고정옥 선생님이 들려주는 안용복』 산하, 2015 장을 나누어 첫째, ‘안용복’의 역사적 사실, 둘째, 역사적 사실과 안용복 소설이다. 역사소설의 경우 역사기록에서 근거한다. 리성덕의 『울릉도』의 경우, 역사적 사실에 근거한다. 리성덕의 『울릉도』에서 왜선을 쫓아 하루 낮, 하루 밤을 달리고 나니 오키섬이었다. 안용복은 배에서 관복을 입고, ‘울릉우산양도 감세관’을 잘못되었다. 『숙종실록』 숙종 22년 9월 25일에서 ‘鬱陵子山兩島監稅’라고 하였다. 황인경의 『소설 독도』의 경우, 역사적 사실에 근거해서 안 맞다. 김하기의 『해제 어둔』(『독도전쟁』)의 경우, ‘박어둔은 울릉도와 독도에서 왜적을 소탕한 뒤 아시아 해상항로를 개척해 일본, 대만, 베트남, 아프리카를 거쳐 유럽에 처음 들어가 교황을 알현했다. 이후 그는 사람들로부터 바다의 제왕인 海帝라고 불렸다.’고 한 것은 한일 양국에 문헌이 안 드러나고, 잘못되었다. 황인경의 『소설 독도』는 오키도주가 ‘空島政策’을 말을 한다. 또, 김하기 소설의 『해제 어둔』(『독도전쟁』)의 ‘공도정책’을 말한다. 기타자와 미사나리(北澤正誠)가 『竹島考證』(1882)에서 “鬱島가 조선의 섬이라는 것에 대해서는 두말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文祿以來(1592~1614) 버려두고 거두지 않았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그 빈 땅[空地]에 가서 살았다. 즉 우리 땅인 것이다. 그 옛날에 두 나라의 경계가 항상 그대로였겠는가. 그 땅을 내가 취하면 내 땅이 되고, 버리면 다른 사람의 땅이 된다.”는 논리를 드러내기 위해 ‘空島制’란 용어를 부각시킨 것에서 비롯된다고 본다. 쓰다 소키치(津田左右吉)이 그것을 고려와 조선정부가 왜구 때문에 도서지역과 연해지역의 거주민들을 내륙으로 소개시키는 정책, 즉 ‘無人化政策’ 또는 ‘空島政策’을 시행했다고 하여 학문적으로 가다듬었다고 볼 수 있다. 김호동, 「독도 영유권 공고화와 관련된 용어 사용에 대한 검토」 『대구사학』 98, 대구사학회, 2010, 9~10쪽. 기타자와 미사나리는 1882년에 ‘공도제’란 처음 제기하였으나 오키도주가 ‘공도정책’을 말하는 것은 잘못되었다. 리성덕의 『울릉도』·황인경의 『소설 독도』(독도 영웅, 의인 안용복의 삶과 애환)·김하기의 『해제 어둔』(『독도전쟁』1·2)을 구독하였다. 김래주의 『대조선인 안용복』(1·2), 차상찬의 『해상의 쾌인 안용복』, 권오단의 『안용복』(울릉도와 독도의 영유권을 되찾아온 조선의 어부), 권오단의 『우리땅 독도를 지킨 안용복』, 고정옥의 『고정옥 선생님이 들려주는 안용복』 책은 품절되어 구독하지 못하였다. Ahn Yong-bok novel was published as below. Lee Seong-deok, 『Ulleungdo』 Munyae Publishing co., 1990 Kim Rae-ju, 『Great Choseon People Ahn Yong-bok』 1·2, Neulpureun-sonamu, 2005 Kwon O-dan, 『Ahn Yong-bok』(The Fisherman Who Recovered Territory Right of Ulleungdo and Dokdo to Korea), Sansuya, 2010 Kwon O-dan, 『Ahn Yong-bok Who Protected Korean Territory Dokdo』, 2010 Cha Sang-chan, 『Ahn Yong-bok the Cool Man of the Sea』 Ipribooks, 2013 Hwang In-gyeong, 『Novel Dokdo』 Bookstar, 2015 Kim Ha-gi, 『Haejae Eodun』 Gyeongsang-ilbo, 2013~2014 『Dokdo War』 1·2, Ssan-n-pakers, 2015 Koh Jeong-ok, 『Ahn Yong-bok Story by Koh Jeong-ok』 Sanha, 2015 In Chapter I describe ‘Ahn Yong-bok’ Historical Fact, and II, Historical Fact and Ahn Yong-bok Novel. Historic novel is based on historic record. In case of Lee Seong-deok's 『Ulleungdo』, it based on historical fact. Lee Seong-deok's 『Ulleungdo』 described one day night and day voyage to trait Japan ship reached Oki island. Ahn Yong-bok weared governmental official costume and flag ‘Ulleung-Usan both Tax Inspector’ but it was wrong, 『King Sukjong-silrok』 King Sukjong 22, September 25 described ‘鬱陵子山兩島監稅(Ulleung-jasan oth Tax Inspector’)’. Hwang In-gyeong case of 『Novel Dokdo』 do not meet with historical fact. Kim Ha-gi's 『Haejae eodun』(『Dokdo War』) described ‘Park Eo-dun defeated Japan and explored Asian sea route to Japan, Taiwan, Vietnam, Africa and Europe to solute to the Pope. Aftermath called him as Emperor of Sea by people.’ but was not revealed in Japan or Korean novel and revealed the false. Hwang In-gyeong's 『Novel Dokdo』 mentioned about Governor of Oki island ‘Vacant Island Policy(空島政策)’ And Kim Ha-gi's novel 『Haejae Eodun』(『Dokdo War』) described ‘Vacant island Policy’. Kitajawa Misanari(北澤正誠) mentioned about 『Takeshima Review(竹島考證)』(1882) “There is no question about Ukkeungdo(鬱島) belongs to Korea. But They did not managed the island after Bunroku age(文祿以來1592~1614). Our Japanese have lived there as vacant land. So the island is our land. How the border could be same as old days? If I take the wasted land, it deserve my land but it is other's land if I waste the land.”, which emphasized the logic of the term ‘vacant island system(空島制)’ Tsuda Sokichi(津田左右吉) tried to arranged the definition of ‘Evacuation Policy’ or ‘Vacant Island Policy’ on scholar point of view which evacuate people living in the island because of Japan pirate around seashore and islands during Goryo Dynasty and Yi Dynasty Kim Ho-dong, 「Dokdo 영유권 공고화와 관련된 용어 사용에 대한 검토」 『대구사학』 98, 대구사학회, 2010, 9~10쪽. Kitazawa Misanari first suggested mentioned about ‘vacant island system’ in 1882 but the mention about the policy by governor of OKI Province is wrong. Lee Seong-deok's 『Ulleungdo』, Hwang In-gyeong's 『novel Dokdo』(Dokdo Hero, The Life and Introspection of Righteous Man Ahn Yong-bok), Kim Ha-gi's 『Interpretation on Eodun』(『Dokdo War』1·2) were possibile to get in my hand. KIm Rae-ju's 『Great Choseon people Ahn Yong-bok』(1·2), Cha Sang-chan's 『Ahn Yong-bok the Cool Man of the Sea』, Kwon O-dan's 『Ahn Yong-bok』(The Fisherman Who Recovered Territory Right of Ulleungdo and Dokdo to Korea), Kwon O-dan's 『Ahn Yong-bok who preserved our territory Dokdo』, Goh Jeong-ok's 『Story of Ahn Yong-bok heard from teacher Goh Jeong-ok』 were unable to buy.

      • 17세기 후반 안용복의 피랍·도일사건과 의미

        장순순 한국이사부학회 2013 이사부와 동해 Vol.5 No.-

        본 논문의 목적은 17세기 후반에 발생했던 안용복의 피랍․도일사건이 갖는 의 미를 규명하기 위한 데 있다. 안용복의 피랍․도일 과정과 그것을 둘러싼 논쟁점을 살펴보고, 그 사건이 갖는 역사적 의미를 정리해보고자 하였다. 첫째, 안용복이 1693년 요나고의 오야가 소속 어부들에게 피랍되었다가 표류민 송환의 절차에 따라 귀국할 때 비변사에서 안용복이 진술한대로 서계를 수령한 것은 아니었지만, 1695년 막부의 질의에 대한 돗토리번의 답변이나 1696년 2차 도일 당시 작성된 일본측 조사기록 등을 통해서 미루어 안용복은 돗토리번의 家 老로부터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의 영토임을 증명하는 모종의 문서를 받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1693년과 1696년 두 차례의 도일은 울릉도와 독도의 영유권 재확인의 계기가 되었을 뿐 아니라 이후 진행된 울릉도수토정책으로 계승되었다. 안용복의 도일이라는 역사적 사실이 현재까지 한국이 동해의 해양주권을 유지하는 바탕이 되었으며, 실효적 지배를 하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조선정부는 적극적인 교섭 을 통해 막부의 일본인에 대한 ‘竹島渡海禁止令’을 끌어냈고, 울릉도 해역을 포함한 조선정부의 도서정책의 변화를 끌어냈다. 조선정부는 ‘울릉도쟁계’교섭 과정 중이던 1694년 9월 張漢相을 삼척첨사로 임명하여 울릉도를 조사하게 함으 로써, 임진왜란을 전후하여 일시 중단되었던 울릉도 搜討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1699년부터는 邊將의 정기적인 수토를 제도화하였다. 세째, 안용복이 쓰시마번을 통하지 않고 직접 일본에 간 것은 대조선통교권을 독점하고 있던 쓰시마로 하여금 조선이 일본 幕府 등과 직접 통교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사건이었다. 쓰시마번의 儒者로 대조선교섭 전문가인 아메노모리 호슈(雨森芳洲)가 언급한대로, 안용복의 도일로 시작된 ‘울릉도쟁계’는 조일간 의 외교교섭에 있어서 전환점이 된 사건이었다. 따라서 안용복의 도일로 촉발된 울릉도쟁계 는 임진왜란 이후 조선후기 조일관계가 비정상적인 외교적 관행이 고착되어 있던 상황을 타파하고 외교적 원칙이 정상적으로 기능하면서 처리된 사건으로 조일외교의 전환점이 된 사건이었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clarify the meanings of the kidnapping of An Yong Bok and his visit to Japan that happened in the late 17th century. The thesis is to exam the courses of the kidnapping of An Yong Bok and his visit to Japan as well as the issues around them and to clarify the histo rical meanings of the incidents. First, when An Yong Bok was kidnapped by the fishermen belonging to Ohyaga of Yonago in 1693 and returned according to the repatriation procedure for those who were adrift, he did not receive the diplomatic document as he stated to Bibyeonsa. However, according to the answer of Tottori-beon to Makbu s question in 1695 or the Japanese investigation records made in An s 2nd stay in Japan in 1696, it was estimated that An Yong Bok received some sort of document from the head of the family of Tottori-beon verifying that Ulreungdo and Dokdo were the territories of Chosun. Second, the two visits to Japan in 1693 and 1696 became the opportunities to re-confirm the sovereignty of Ulreungdo and Dokdo and later continued to the investigation policies of Ulreungdo. The historical fact of An Yong Bok s visit to Japan is up to now the basis that Korea maintains the maritime sovereignty of the East Sea and the reason for its effective control. Through the aggressive negotiation, Chosun drew Makbu s Ordinance on the Prohibition of Crossing the Sea to Jukdo by the Japanese and the change of the island policies of the Chosun government including the seas of Ulreungdo. During the course of negotiation on Diplomatic Dispute over Ulreungdo , Chosun government nominated Jang Han Sang as Cheomsa of Samcheok and had him probe Ulreungdo and resumed the investigation of Ulreungdo which temporarily stopped around the time of Imjinwaeran (the war against the Japanese in the year of Imjin). From 1699, Byeonjang s regular investigation was institutionalized. Third, the fact that An Yong Bok went to Japan directly without going through Tsushima-beon indicated the possibility that Chosun could directly enter into the friendly relations with the Japanese Makbu when Tsushima exclusively held the diplomatic authority with Chosun. As Amenomori Hoshu, the diplomatic expert for Chosun and a scholar of Tsushima-beon, mentioned, Diplomatic Dispute over Ulreungdo which was initiated by An Yong Bok s visit to Japan was an incident that became a turning point in the diplomatic negotiation between Chosun and Japan. Therefore, Diplomatic Dispute over Ulreungdo initiated by An Yong Bok s visit to Japan overthrew the abnormal diplomatic convention between Chosun and Japan in the late Chosun dynasty after Imjinwaeran, enabled the normal diplomatic principles to process the incident and became the turning point of the diplomacy between Chosun and Japan.

      • KCI등재

        『죽도기사(竹嶋紀事)』 분석 -안용복,박어둔 진술서 분석 및 "우산도(于山島)" 기록을 중심으로-

        김호동 ( Hodong Kim ) 대구사학회 2016 대구사학 Vol.122 No.-

        한국에서 ‘안용복’을 독도를 지킨 인물로 부각시키는데 반해 일본에서는 안용복을 부정적 인물로 묘사되고 있다. 일본 연구자들은 안용복에 관한 한국측 문헌의 기술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이제 그들이 일본 사료를 통해 새로운 ‘안용복상’을 그려낼 필요성이 있다. 그런 점에서 우선 『竹嶋紀事』에서 보이는 안용복과 박어둔 진술서를 살펴보겠다. 흔히들 『竹嶋紀事』에서는 ‘우산도’, 즉 독도 기록이 없다고 한다. 이케우치 사토시(池內敏)의 경우 안용복이 평가되고 있는 점은 항상 ‘울릉도를 지켰다’는 사실이다. 松島는 조선 왕조에 있어서도 영유 인식의 대상 외였다.”고 하였다. 이케우치 사토시의 견해 비판을 위해 『죽도기사』에 나타난 ‘于山島’ 기록을 분석하고자 한다. 1693년 4월 17일, 안용복과 박어둔은 울릉도에서 일본 오야 가문 어부들에 의해 납치되면서 같은 날 배에서 오야 가문의 선원들이 안용복과 박어둔을 심문했다. 안용복은 울릉도에 간 목적을 三界의 샤쿠완(상관, 혹은 장군)의 명령으로 전복이나 미역을 따기 위한 것이라고 진술하고, 3월 27일에 부산포를 출항하였다고 했다. 4월 18일 일본 오야 가문의 배가 울릉도를 떠나 20일 오키국(隱岐國) 도고(嶋後)의 후쿠우라(福浦)에 도착하였다. 안용복과 박어둔은 5월 7일에 이나바(因幡)를 출발하여 6월 말일 나가사키에 도착하였다. 7월 1일 에도막부의 명을 받은 쓰시마 번에서 온 留守居 하마다 겐베(濱田源兵衛)가 안용복과 박어둔을 심문했다. 안용복과 박어둔은 나가사키를 거쳐 9월 2일에 쓰시마에 도착하였다. 이틀 뒤인 9월 4일 大目付(대감찰) 가도노 구로자에몬(門野九郞左衛門)은 쓰시마도주의 명령을 받아 안용복과 박어둔을 심문했다. 안용복의 진술의 경우 배 3척은 울릉도에 전복과 미역 채취를 위해 돈벌이 간 것으로 진술했고, 달리 상거래를 할 마음이 절대 없고, 일본인과 상거래를 절대로 하지 않았다고 진술했다. 우리들이 울릉도에 건너간 일은 달리 몰래 간 것도 아니고, 조정의 명령을 받은 것도 아니고 자신들의 돈벌이를 위해 건너갔다고 진술했다. 『죽도기사』에서 ‘우산도’가 세 차례 등장한다. 1693년 11월 19일에 쓰시마도주에게 보낸 다다 요자에몬(多田與左衛門=橘眞重)에게 서장을 보낸 뒤 12월 5일 쓰시마도주는 다다 요자에몬에게 답신을 보냈다. 쓰시마도주의 답신의 경우 ‘우산도’가 세 차례 등장한다. 첫째, 쓰시마번에서 안용복 진술에서 울릉도에서 ‘우산도’를 두 번 보았다고 하였다. 둘째, 재판 다카세 하치에몬(高瀨八右衛門)이 탄 배가 사스나(佐須奈)에 도착했을 때 박동지가 ‘우산도’를 거론하였고, 셋째, 『여지승람』기록을 들어 우산도와 울릉도는 별도의 섬인 것처럼 보인다고 하였다. 안용복이 울릉도와 우산도를 두 섬을 인식하였음은 물론이고, 조선 조정과 접위관 홍중하, 박동지 및 쓰시마도주와 대차왜 다다 야자에몬과 재판인 다카세 하치에몬까지 울릉도와 우산도를 두 섬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울릉도쟁계’가 진행하는 동안에 안용복은 물론이고, 조선 조정과 일본 에도막부와 쓰시마도주의 경우 ‘竹島’는 ‘울릉도’이고, ‘松島’는 ‘于山島’인 것을 알았다. 그 때문에 1695년 일본의 도쿠가와 막부는 돗토리번(鳥取藩)에 竹島(울릉도)와 松島(독도)가 언제부터 속하게 되었는지를 물었다. 이에 돗토리번은 竹島와 松島는 ‘돗토리번에 속하지 않는다’고 답하였다. 결국 도쿠가와 막부는 1696년 1월 ‘竹島渡海禁止令’을 내렸다.한국에서 ‘안용복’을 독도를 지킨 인물로 부각시키는데 반해 일본에서는 안용복을 부정적 인물로 묘사되고 있다. 일본 연구자들은 안용복에 관한 한국측 문헌의 기술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이제 그들이 일본 사료를 통해 새로운 ‘안용복상’을 그려낼 필요성이 있다. 그런 점에서 우선 『竹嶋紀事』에서 보이는 안용복과 박어둔 진술서를 살펴보겠다. 흔히들 『竹嶋紀事』에서는 ‘우산도’, 즉 독도 기록이 없다고 한다. 이케우치 사토시(池內敏)의 경우 안용복이 평가되고 있는 점은 항상 ‘울릉도를 지켰다’는 사실이다. 松島는 조선 왕조에 있어서도 영유 인식의 대상 외였다.”고 하였다. 이케우치 사토시의 견해 비판을 위해 『죽도기사』에 나타난 ‘于山島’ 기록을 분석하고자 한다. 1693년 4월 17일, 안용복과 박어둔은 울릉도에서 일본 오야 가문 어부들에 의해 납치되면서 같은 날 배에서 오야 가문의 선원들이 안용복과 박어둔을 심문했다. 안용복은 울릉도에 간 목적을 三界의 샤쿠완(상관, 혹은 장군)의 명령으로 전복이나 미역을 따기 위한 것이라고 진술하고, 3월 27일에 부산포를 출항하였다고 했다. 4월 18일 일본 오야 가문의 배가 울릉도를 떠나 20일 오키국(隱岐國) 도고(嶋後)의 후쿠우라(福浦)에 도착하였다. 안용복과 박어둔은 5월 7일에 이나바(因幡)를 출발하여 6월 말일 나가사키에 도착하였다. 7월 1일 에도막부의 명을 받은 쓰시마 번에서 온 留守居 하마다 겐베(濱田源兵衛)가 안용복과 박어둔을 심문했다. 안용복과 박어둔은 나가사키를 거쳐 9월 2일에 쓰시마에 도착하였다. 이틀 뒤인 9월 4일 大目付(대감찰) 가도노 구로자에몬(門野九郞左衛門)은 쓰시마도주의 명령을 받아 안용복과 박어둔을 심문했다. 안용복의 진술의 경우 배 3척은 울릉도에 전복과 미역 채취를 위해 돈벌이 간 것으로 진술했고, 달리 상거래를 할 마음이 절대 없고, 일본인과 상거래를 절대로 하지 않았다고 진술했다. 우리들이 울릉도에 건너간 일은 달리 몰래 간 것도 아니고, 조정의 명령을 받은 것도 아니고 자신들의 돈벌이를 위해 건너갔다고 진술했다. 『죽도기사』에서 ‘우산도’가 세 차례 등장한다. 1693년 11월 19일에 쓰시마도주에게 보낸 다다 요자에몬(多田與左衛門=橘眞重)에게 서장을 보낸 뒤 12월 5일 쓰시마도주는 다다 요자에몬에게 답신을 보냈다. 쓰시마도주의 답신의 경우 ‘우산도’가 세 차례 등장한다. 첫째, 쓰시마번에서 안용복 진술에서 울릉도에서 ‘우산도’를 두 번 보았다고 하였다. 둘째, 재판 다카세 하치에몬(高瀨八右衛門)이 탄 배가 사스나(佐須奈)에 도착했을 때 박동지가 ‘우산도’를 거론하였고, 셋째, 『여지승람』기록을 들어 우산도와 울릉도는 별도의 섬인 것처럼 보인다고 하였다. 안용복이 울릉도와 우산도를 두 섬을 인식하였음은 물론이고, 조선 조정과 접위관 홍중하, 박동지 및 쓰시마도주와 대차왜 다다 야자에몬과 재판인 다카세 하치에몬까지 울릉도와 우산도를 두 섬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울릉도쟁계’가 진행하는 동안에 안용복은 물론이고, 조선 조정과 일본 에도막부와 쓰시마도주의 경우 ‘竹島’는 ‘울릉도’이고, ‘松島’는 ‘于山島’인 것을 알았다. 그 때문에 1695년 일본의 도쿠가와 막부는 돗토리번(鳥取藩)에 竹島(울릉도)와 松島(독도)가 언제부터 속하게 되었는지를 물었다. 이에 돗토리번은 竹島와 松島는 ‘돗토리번에 속하지 않는다’고 답하였다. 결국 도쿠가와 막부는 1696년 1월 ‘竹島渡海禁止令’을 내렸다. ‘Ahn Yong-bok’ was recognized as a hero who preserved Dokdo island in Korea but he has been described as negative image person in Japan. Japanese researchers raise a question about the description of Korean part for Ahn Yong-bok. We need to describe the image of ‘Ahn Yong-bok’ through the historical materials in Japan too. I``d like to review about the materials concerning the Ahn Yong-bok and Park Eo-dun deposition in 『Jukdogisa』 Many people explain that 『Jukdogisa』 do not mentioned about ‘Usando(于山島)’, that is Dokdo record. In case of Ikeuchi Satoshi(池內敏), Ahn Yong-bok was well evaluated in which he ‘preserved Ulleungdo’. Ikeuchi always has explained Songdo(Dokdo-松島) has been out of recognition of territory during the Choseon Dynasty.” Now, I will analyze the record on ‘Usando(于山島)’ revealed in 『Jukdogisa』 to criticize the views of Ikeuchi Satoshi. On April 17 in 1693, Ahn Yong-bok and Park Eo-dun were taken away forcibly at Ulleungdo by Japanese fishers from Oya family and were examined by the fishers on same day. Ahn Yong-bok stated ‘the purpose of cross to Ulleungdo island was to harvest sea weed and abalone by the order of higher rankers of Korean administration(Sakuwan or General) from three provinces and started sail on March 27 to the island’. On April 18, the fishing boats from Oya family in Japan left Ulleungdo and arrived in Fukuora(福浦) of Dogo(嶋後) in Oki Island((隱岐國) Japan. Ahn Yong-bok and Park Eo-dun left Ianaba(因幡) on May 7 and arrived at Nagasaki(長崎) on late June. On July 1, Hamada Kenbe(濱田源兵衛) the district governor from Tsushima province of Edo government(Bafuku) inquired Ahn Yong-bok and Park Eo-dun. Ahn Yong-bok and Park Eo-dun arrived at Tsushima(對馬島) on September 2 through Nagasaki and were inquired by Kadono Gurojaemon(門野九郞左衛門) the higher inspector(大目付) who has been ordered by Tsushima governor on September 4, the two days later of the arrival. Ahn Yong-bok stated that the purpose of three ships from Choseon sailed to Ulleungdo was to harvest abalone and sea weed for money but has no intentions to earn much money and never tried to trade with Japanese. They explained the purpose of the sail to Ulleungdo was not ordered from government and secret sail but sailed by themselves only for money. Usando was mentioned three times on 『Jukdogisa』. On November 19 in 1693, the letter of Tada Yozaemon(多田與左衛門=橘眞重) arrived to Tsushima governor. And Tsushima governor replied to Tada Yozaemon on December 5. In the correspond letter of Tsushima governor, ‘Usando’ was cited three time. First, deposition of Ahn Yong-bok in Tsushima province described two times watching for ‘Usando’ at Ulleungdo. Second, Park Dong-ji concerned about ‘Usando’ when the ship judge Takase Hachiemon(高瀨八右衛門) rode arrived on Sasna(佐須奈), and thirdly Usando looks different to Ulleungdo citing Yeoji-seunglam(輿地勝覽). Ahn Yong-bok not only recognized the difference between Ulleungdo and Usando but also Choseon dynasty receptionist Hong Jung-ha, Park Dong-ji, governor of Tsushima, count Japanese Tada Yajaemon, and Judge Takase Hachiemon even recognized Ulleungdo and Usando as two different islands. During the ‘Dispute on Ulleungdo Issue’, not only Ahn Yong-bok but also Choseon dynasty, Japanese Edo government and Tsushima governor recognized ‘Jukdo(竹島)’ was ‘Ulleungdo’ and ‘Songdo(松島)’ was ‘Usando(于山島)’. Because of the epoch, Tokugawa government(Bafuku) of Japan in 1695 requested to Dottori(鳥取藩) province about when the two islands 竹島(Ulleungdo) and 松島(Dokdo) were belong to Japan. The answer from Dottori province was ‘Ulleungdo(竹島) and dokdo(松島) do not belong to Dottori province’. As a result, Tokugawa government declared order of ‘Prohibition of sail to Jukdo(竹島)’ on January 1696. (Research Professor Dokdo Research Institute, Yeungnam Univ./ khd223@ynu.ac.kr)

      • KCI등재

        1696년 안용복의 渡日과 「元祿九丙子年朝鮮舟着岸一卷之覺書」

        장순순(張舜順) 한일관계사학회 2014 한일관계사연구 Vol.49 No.-

        본 연구의 목적은 1696년 5월 안용복이 일본 오키(隱岐)로 도항했을 때 (안용복의 제 2차 도일) 일본측 관리가 직접 조사하여 작성한 기록인 ?元祿九丙子年朝鮮舟着岸一卷之覺書?(이하 ?覺書?라 한다)를 토대로 기존 연구에서의 쟁점 내용을 재검토하고, 안용복이 자발적으로 바다를 건너 일본에 간 목적이 무엇인지를 밝히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안용복이 돗토리번주(鳥取藩主)에게 알리고자 하였던 소송 내용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살펴봄으로써 ?覺書?가 갖는 가치를 재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첫째, 안용복이 오키에서 관리의 조사를 받던 중에 1693년 11월 일본에서 받았다는 물건들과 문서(書付)를 기록한 책 1권을 내놓았다는 내용에서의 문서(書付)는 안용복이 1693년 돗토리번에 억류되어 조사를 받았을 때 돗토리번주나 아라오 슈리(荒尾修理)와 같은 돗토리번의 家老로부터 서계와 같은 외교문서는 아니지만, 울릉도(竹島)와 독도(松島)에서의 조선인의 어업권을 인정하는 문서로 보인다. 그리고 안용복은 그것을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 땅임을 인정해주는 막부장군의 서계로 이해한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1696년 당시 안용복은 오키의 관리와 처음 대담할 때 8매로 된 ‘朝鮮八道之圖’를 소지하고 있었고, 지도의 강원도의 부분에 竹島(울릉도)?松島(독도)가 기입되어 있었다는 점은 비록 ?각서?의 내용 중에 안용복의 도일과 소송 목적이 “竹島(울릉도)와 松島(독도)를 조선영토”라고 주장한 내용이 없다 하더라도, 안용복의 독도에 대한 지식의 깊이 정도뿐 아니라 그가 제2차 도일 이전부터 독도라는 섬을 인지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이다. 셋째, 안용복의 도일 목적은 1693년 일본으로 납치된 후 송환 과정에서 안용복이 대마도에서 냉대에 대한 불만을 호소하기 위한 측면에서도 고려할 수 있겠지만, 독도(松島)가 조선영토라는 사실을 돗토리번에 호소하기 위함이 주된 것이었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서 볼 때 ?각서?는 안용복이 독도가 조선영토라는 사실을 일본에 주장한 사료일 뿐만 아니라 1696년 안용복의 도일 목적이 울릉도와 독도의 조선 영속을 주장하기 위한 것이었음을 밝혀주는 귀중한 자료라고 평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독도영유권 확보에 있어서 안용복의 역할은 대단히 크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독도영유권과 관련된 일본학자들의 몇 가지 주장에 대한 비판

        金柄烈(Byung-Ryull Kim) 대한국제법학회 2005 國際法學會論叢 Vol.50 No.3

        독도에 관한 역사적 기록 중에서 중요한 것으로는 于山島에 관한 기록과 안용복에 관한 기록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지난 1950년대에 한일 양국간에 독도 영유권을 둘러싼 외교적 논쟁이 있을 때 우산도가 오늘날의 독도에 해당하는지의 문제와 안용복 활동의 사실성 여부를 둘러싸고 한일간에 다툼이 있은 이후 일본의 학자들은 역사학자나 법학자를 구분하지 않고 최근까지 이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일본인들의 주장을 소개한 후 지난 2005년 5월 16일 일본 오키도(隱岐島)에서 새로 발굴된 안용복의 제2차 도일활동시 조사 기록[원록9(1696)년 조선배가 도착한데 따른 하나의 조사 기록-元祿九(丙子)年朝鮮舟着岸一卷之覺書-이하 ‘조사 기록’으로 표기]을 중심으로 일본인들의 주장을 論破하고자 하였다. 독도문제와 관련하여 우리나라의 각종 고문서는 일본사람들이 거의 다 수집하여 알고 있지만 반면에 일본의 고문서는 제한된 것들 이외에는 국내에 거의 소개가 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난 5월 오키도 무라카미(村上)가문에서 발견된 안용복의 제2차 도일시 조사 자료는 그 의미가 대단히 크다고 할 수 있다. 태종실록이나 세종실록지리지 등의 우산도가 오늘날의 독도라고 하는 우리나라 학자들의 주장에 대하여 우산도가 독도라고 하는 증거는 어디에도 없고 오히려 오늘날의 울릉도로 볼 수 있는 증거들이 더 많다라고 하는 일본 학자들의 주장이 그동안 팽팽히 대립되어 왔는데 이러한 논쟁을 잠재울 수 있는 결정적인 내용이 들어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사서에 수록되어 있는 안용복의 진술이 허위와 과장된 것이 아니고 사실에 입각한 정확한 것이라고 하는 것을 입증해주기도 한다. 구체적으로 우산도는 울릉도의 또 다른 이름에 불과하다고 한 가와카미겐소나 나카무라히데다카, 다무라신사브로, 우에다토시오, 다이주도카나에 등의 주장은 안용복이 “송도 또한 우리나라의 자산도(우산도)이다”라고 말한데서 울릉도가 아니라고 하는 것이 명백히 입증되고 있다. 또한 우산도가 울릉도가 아니라면 울릉도 동쪽 가까이에 있는 오늘날의 죽도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한 시모조마사오의 주장 역시 안용복이 울릉도에서 자산도까지 가는데 하루가 소요되었다는 기록과 울릉도와 자산도가 오십리 떨어져있다고 말한 내용에서 우산도(자산도)는 오늘날의 죽도가 아니고 독도임에 틀림없다는 사실을 재차 입증해준다. 이미 울릉도에 대한 출어가 금지되었기 때문에 안용복이 울릉도에서 일본사람들을 만났을 리가 없다고 많은 일본인들이 주장하고 있다. 그렇다면 안용복이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의 땅이라고 주장하였음에도 왜 이 문서에는 이 섬들이 조선으로 반환된 것이라고 하는 내용이 없을까. 이러한 사실은 안용복이 오키도에 도착할 때까지도 오키도에는 도해가 금지되었다고 하는 사실이 전달되지 않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게 해준다. 또 울릉도만 도해가 금지되었을 뿐 독도까지 금지된 것은 아니라고 하는 주장 역시 마찬가지이다. 독도까지 도해가 금지되었다고 하는 사실은 도해가 금지된 이후 무라카와이찌베에(村川市兵衛) 집안에서 작성한 문서를 보면 확인이 된다. 元文 5年 즉 1740년에 무라카와 집안에서 작성한 문서를 보면 도해금지 이후 兩家가 파산하게 되었다고 기술되어 있다. 만약 독도에 대한 도해를 계속했다면 파산할 정도는 아니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나아가 당시 안용복으로서는 대마도주의 아버지인 소오요시자네가 에도에 참근하고 있었다는 사실은 고사하고 그가 살아있다는 사실조차도 알 수가 없는 상황이었는데 아버지가 와서 대마도주의 죄상을 상소하지 못하게 하였다고 진술한 바 있다. 이에 대하여 일본사람들은 당시 대마도주의 아버지는 에도를 떠날 수 없었기 때문에 안용복의 진술이 사실이 아니라고만 하고 있다. 안용복이 어떻게 대마도주의 아버지가 에도에 참근하고 있었는지를 알게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다. 여기에서 우리는 대마도주의 아버지가 직접 오지 않고 사람을 보냈던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왜냐하면 안용복이 대마도주 아버지의 얼굴을 알 수 없었기 때문에 대마도주의 아버지가 보낸 사람을 아버지로 착각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비록 상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없지만 안용복이 상소하겠다고 말하였다는 내용은 그러한 진술의 사실성을 더욱 확실하게 해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안용복의 도일활동을 계기로 조선에서 울릉도는 물론 독도까지 조선령으로 표시한 지도를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으면서도 이와 관련하여 어떠한 항의도 하지 않았다고 하는 것은 묵인에 의한 금반언의 원칙이 성립되는 것이라고 하겠다. Among various historical records with respect to Dokdo, those on Usando and Ahn Yong-bok deserve a particular attention. When Korea and Japan engaged in a diplomatic controversy over the sovereignty of Dokdo in the 1950s, heated argument arose between the two countries as to whether Usando was present day Dokdo and whether Ahn Yong-bok's activities were historical facts or no more than a fiction. Since then, Japanese scholars, both historians and jurists, have maintained uninterrupted academic interest in these historical issues. After presenting an overview of the Japanese arguments, I have tried to prove the irrelevance of those arguments, with a special reference to record on Ahn Yong-bok's second trip to Japan, which was discovered on May 16, 2005, in Japan's Oki Island(hereafter investigation record). As far as Dokdo issues, the Japanese have collected and studied a wide range of Korea's ancient documents. Nevertheless, only a handful of Japanese documents have been introduced to the Koreans. In this situation on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record on Ahn's second trip to Japan that I discovered in Murakami family of Oki Island in May this year. Japanese scholars have spared no energies in their attempt to discredit the Korean arguments that Usando mentioned in Taejong Silok and Sejong Silok is Dokdo, contending that even more evidences indicate that Usando is actually present day Ullungdo. To be sure, the newly-discovered record on Ahn Yong-bok's second Japan trip deserves some credit in that it constitutes a significant evidence that would bring to an end the intense academic standoff between Japanese and Korean scholars. The record also constitutes a significant evidence that proves that Ahn Yong-bok's testimony recorded in Korean history books are not a fiction or grandiloquence but historical facts. Japanese scholars, such as Kawakami Kenzo, Nakamura Hidetaka, Damura Shinsaburo, Ueda Tosbio, and Taijudo Kanae, contend that Usando is no more than another name of Ullungdo. Yet, their contention can readily prove irrelevant in that Ahn Yong-bok testified "Songdo is also Jasando(Usando) of our country". In addition, if Usando is not Ullungdo, Japanese scholar Shimojo Masao's contention that Usando is present day Jukdo off eastern coast of Ullungdo only supports Korean arguments that Usando(Jasando) is not present day Jukdo but Dokdo. This rationale can be buttressed with the Ahn Yong-bok's testimony that one can reach Ullungdo from Jasando in one day travel by ship and that Jasando lies 50 Li(about 100 miles) away from Ullungdo. Many Japanese argue that Ahn Yong-bok could not see Japanese on Ullungdo since a ban had already been placed upon the Japanese to fish in the island. If it is so, why does this document lack any mention that Ullungdo and Dokdo were returned to Josun even if Ahn Yong-bok had already asserted Josun's sovereignty over the two islands? This fact indicates that by the time Ahn Yong-bok arrived at Oki Island, the directive banning Japanese from fishing in Ullungdo had not been delivered to this Japanese island. The same rationale can also hold for the argument that a ban on voyage had been placed only to Ullungdo not to Dokdo. A document written in Murakawa Ichbae family testifies that a ban had also been placed upon the voyage to Dokdo. This document, written in the fifth year of Genbun (i.e., 1740), recorded that the two Japanese families had gone into bankruptcy following the placing of the ban. If the Japanese families continued to sail to Dokdo and maintained fishing business there, their financial conditions would have not gone so far as to suffer bankruptcy. Ahn Yong-bok also testified that So Yoshijane, the director of Tsushima's father, came to block reporting of the Tsushima director's guilty. A question arises as to how Ahn knew this fact since it is logical to infer that the Korean fishermen must have had no idea that So Yoshijane was alive, let alone

      • 安龍福 연구현황과 과제

        김병우 경주사학회 2011 경주사학 Vol.34 No.34

        한국과 일본의 울릉도와 독도 영속분쟁은 조선 어부 안용복에 1693년에 완결되었지만 일본은 안용복의 도일활동과 그 내용을 부정하고 있다. 그러면서 일본은 ‘고유영토설’과 ‘무주지 선점론’을 바탕으로 독도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어 외교적 마찰의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한‧일간 영토분쟁의 중심에 안용복이 있다. 일본은 자신의 주장을 정당화하기 위해서는 안용복의 문제를 극복해야만 한다. 한국학계는 울릉도와 독도 문제에 대해 다양한 각도에서 연구를 진척시켰고, 그 결과 연구 성과도 많이 축적되었다. 이 과정에서 안용복의 실체가 밝혀졌으나 일본학자들과 간극을 좁히는 데는 실패했다. 최근의 일본자료의 소개는 안용복 연구의 지평을 넓히는 계기가 되었으며, 안용복의 실상이 구체화되고 있다. 안용복의 행적이 점차 진실로 판명되고 있지만 일본학자들을 완전히 설득시킨 것은 아니다. 독도문제의 해결방안은 한‧일간 괴리가 극심한 안용복 이해와 평가의 공통성을 확보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안용복 행적의 사실 검증과 가치판단의 기준을 명확하게 해야 한다. 이것은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사료의 해석의 객관성을 담보하게 할 것이다. 한국의 학자들은 일본 자료의 자료의 수집과 정확한 해독을 통해 안용복을 새롭게 정의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독도문제는 물론이고 안용복의 본질에 접근하는 길이기 때문이다. 연구범위도 개인에서 벗어나 주변 인물로 확장하고, 그가 생활한 공간적 범위와 지역성을 고려해야 한다.

      • KCI등재

        사학 : 일본 사료해석을 통한 울릉도,독도 연구 -기봉행소(崎奉行所), 대마번(對馬藩)에서의 안용복의 진술을 중심으로-

        원연희 ( Yeon Heui Weon ) 온지학회 2013 溫知論叢 Vol.0 No.37

        안용복은 1693년 울릉도에서 어렵을 하다 일본인을 만나 충돌이 있었다. 일본인들은 자신들이 울릉도에서 독점적인 어렵을 하여야 했다. 하지만 그곳에서 어렵을 하고 있었던 조선인을 자주 만나자, 어획량이 줄어든 것을 불안해하였다. 그래서 그들은 조선인이 울릉도에서 어렵을 다시는 하지 못하도록 돗토리 번주가 조치를 취해주기를 원하여서, 안용복 일행 중에서 안용복과 다른 한 명을 납치하였다. 이렇게 시작되는 안용복의 납치사건은 그 후 朝·日 양국의 울릉도·독도에 관한 영토 문제로까지 번지게 되어 ‘竹島一件’으로 마무리되었다. 최근 한·일간 독도에 관한 영토문제가 주목받으면서 안용복의 사건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가운데, 일본은 1693년 안용복이 납치되었을 때, 나가사키 봉행소와 쓰시마번에서의 진술이 위증이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에도시대 쓰시마번사가 쓴 『竹島紀事』에 있는 안용복의 진술을 통해 그의 울릉도와 독도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竹島紀事』와 조선의 사료 등을 통해 살펴본 결과, 안용복은 일본인과 울릉도에서 만나기 이전에도 동해의 항로를 잘 알고 있었다. 동해에 있는 울릉도와 독도에 대한 인식은 6세기 우산국 때부터 시작되어 고려에서 조선의 안용복에게로 이어지고 있었다. 또한, 그의 나가사키 봉행소의 진술에서는 울릉도의 방향을 말하지 않았지만, 쓰시마번의 진술에서는 방향을 동쪽이라고 했다. 이 사실은 울릉도에 대해 잘 알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위증하지도 않았다는 증거이다. 따라서 울릉도에서 어렵을 하였던 안용복이 독도를 인식하지 못했다고 하는 기존의 견해는 타당하지 못하다. 안용복은 울릉도와 독도의 존재를 인식하며 어렵을 하였던 것이 틀림없다. In 1693, An Yong-Bok, who was fishing and hunting in Ulleungdo, had a conflict with Japanese. The Japanese wanted to fish exclusively around the island. But meeting frequently people from Joseon who was fishing there, they were anxious due to decreased fish catch. Thus, wanting Tottori feudal domain to take action to the people not to fish, they kidnapped Mr. An Yong-Bok and one of his company. This abduction grew into territorial dispute of Ulleungdo and Dokdo between Korea and Japan and ended in ``One Takeshima Dipute``. The dispute being the issue recently, the abduction has been being very important. Meanwhile, Japan asserts that An`s statement at Nagasaki magistraite`s office and Tsushima feudal domain in 1693 (when he was kidnapped) is perjury. So this paper examines the An`s awareness of Ulleungdo and Dokdo, through his statement in 「Takeshima Report」 written by Tsushima feudal retainer in the Edo era. The result of reviewing 「Takeshima Report」 and historical records of Joseon tells us that An Yong-Bok had already known the course of the East sea well before he met Japanese at Ulleungdo. The awareness of Ulleungdo and Dokdo in the East sea arose from Woosanguk in 6th century and have continued to Goryeo and An`s awareness. Futhermore, his statement at Nagasaki magistraite`s office doesn`t refers to the direction of Ulleungdo, but his another statement at Tsushima feudal domain tells us that the direction is east. This proves that An Yong-Bok was well-known about Ulleungdo and he didn`t commit the perjury.

      • KCI등재

        ‘안용복 밀사’설에 관한 비판적 고찰

        유미림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9 독도연구 Vol.- No.27

        This article intends to examine the hypothesis about Ahn Yong-bok emissary. The hypothesis about Ahn Yong-bok emissary is that in 1696, Ahn Yong-bok went to Japan to receive a secret order from a powerful man and perform a special mission. A hypothesis about Ahn Yong-bok emissary is divided into the view that Nam Gu-man sent Ahn Yong-bok to emissaries(①)and that Nam Gu-man and Yoon Ji-wan cooperated(②). The main argument of ① is that the Korean government sent Ahn Yong-bok to Tottori-han to accuse of corruption in order to open a new diplomatic route through a line other than Tsushima-han, but was not reported to Edo Shogunate due to Tsushima-han's obstruction. The main point of ② was that the sentiment of Ahn Yong-bok was escorted to solve diplomatic issues with Japan while avoiding political conflict because it was difficult to officially send resignations due to the large differences in perceptions between political factions in Korea. However, this claim is not clear. First, it is not clear what is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political factions. Second, it is not clear what is the background of dispatching emissary, and when is Nam Gu-man planning to send emissary. Third, it is not clear how the king is involved in this matter. Finally, it is not clear how the Japanese accepted emissaries. Joseon government could send a envoy directly to inform the Edo Shogunate of the behavior of Tsushima-han by not sending emissaries. However, the justification for why Ahn Yong-bok should have sent a questionable question is not revealed in the hypothesis of emissary. A hypothesis about emissary used personal citations or secondary literature in the citation of historical sources, and some parts of the verses were overly woven with hypothesis about emissary. 이 글은 1696년 안용복이 권력자의 밀명을 띠고 특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도일했다는 ‘안용복 밀사’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안용복 밀사’설은 남구만이 안용복을 밀사로 보냈다는 설(①)과 남구만과 윤지완이 공조하여 보냈다는 설(②)로 나뉜다. ①의 주요 논지는 조선 정부가 쓰시마번이 아닌 다른 노선을 통해 외교노선을 새로 개척하기 위해 안용복을 보내 돗토리번에 쓰시마번의 비리를 고발하게 했으나, 쓰시마번의 방해로 결국 막부에 보고되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주장은 안용복의 도일 목적이 무엇인지, 그가 어떤 형태로 쓰시마번의 비리를 고발했는지가 명확하지 않다. ②의 주요 논지는 당시 정파 간의 인식 차이가 커서 공식 사행을 파견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에 정쟁을 피하면서 외교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밀사를 파견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주장은 정파 간 인식 차이가 무엇인지, 밀사 파견의 배경은 무엇인지, 파견을 계획한 시기는 언제인지, 안용복이 칭한 관직이 밀사로서 적합한지, 안용복과 그 일행의 신분은 임무 수행에 적합한지, 국왕인 숙종은 어떻게 관련 있는지, 일본 측은 밀사를 어떻게 받아들였는지 등에 관한 내용이 불분명하다. 조선은 밀사를 파견하지 않고도 직접 사신을 보내 쓰시마번의 행태를 막부에 알릴 수 있었다. 그런데 왜 굳이 자격이 의심스런 안용복을 보냈어야 하는지 그 당위성이 ‘안용복 밀사’설에서는 드러나지 않는다. ‘안용복 밀사’설은 사료 인용에 있어서도 개인 문집이나 2차 문헌을 이용했고, 구절의 일부를 뽑아 무리하게 밀사설과 엮은 측면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