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학에 나타난 이국과 타자상 - 하인리히 뵐의 『아일랜드 일기』와 알프레트 안더쉬의 「더 아름답게 살기」에 나타난 아일랜드 상을 중심으로

        양시내 ( Yang¸ Sinae ) 한국독일어문학회 2021 독일어문학 Vol.94 No.-

        아일랜드는 몇십 년 전까지만 해도 감자 대기근, 영국 식민지, 이민, IRA 등 침략과 투쟁, 가난의 나라로 특징지어졌던 유럽 끝단 대서양과 마주하고 있는 섬나라이다. 전후 독일문학을 대표하는 하인리히 뵐과 알프레트 안더쉬는 각각 1957년과 1971년 아일랜드에 관한 여행기 『아일랜드 일기』와 단편 소설 「더 아름답게 살기」를 발표한다. 계몽주의 시대문학이 이탈리아, 프랑스 등 문화적으로나 정치 사회적으로 선진국을 지향했던 반면, 제2차 세계대전을 직접 경험했던 이 작가들이 아일랜드에 주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두 작가는 전쟁의 상흔을 자본주의적 성장으로 보상받으려는 전후 독일의 대척점으로서 아일랜드를 제시한다. 그래서 이들의 작품에서 아일랜드는 억겁의 시간이 쌓여있는 자연의 모습 그대로, 시간을 재촉하지 않는 느린 삶을 체현한다. 산아제한 없이 태어난 아이들을 이민 보내는 나라이지만, ‘원자포와 기관총을 수출’하지도 않고, ‘점령할 목적으로 군대를 파견한 적이 한 번도 없는 나라’가 아일랜드이다. 그래서 뵐은 승자의 모습을 하지 않은 이 나라에서 유토피아적인 것을 찾고, 안더쉬는 이 욕심 없는 나라를 빗대 자본주의의 승자인 주인공의 소유욕/수집욕을 풍자한다. 아일랜드를 향하는 이들의 시선은 기성 문학에서 여행을 응시하던 태도에 반영된 계몽주의적 세계관을 벗어나고자 하는 작가적 열망에 상응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서론에서 아일랜드에 관해 개괄한 뒤, 2장에서는 계몽주의 시대를 중심으로 문학과 여행의 관계, 문학에 나타나는 이국의 타자상에 대해 간단하게 논의한다. 3장에서는 작품 분석을 통해 두 작품에서 나타나는 아일랜드 이미지를 도출해내고, 마지막 4장에서는 3장의 분석에 기반하여 두 작품에서 아일랜드가 표상하는 바를 논의해 본다. Irland ist ein Inselstaat im Atlantik am Rande Europas, der bis vor wenigen Jahrzehnten von Aggressionen und Armut wie der Großen Hungersnot, britischen Kolonialisierung, Einwanderung und IRA geprägt war. In der Nachkriegszeit veröffentlichte Heinrich Böll den Reisebericht Irisches Tagebuch (1957) und Alfred Andersch die Erzählung Noch schöner wohnen (1971). Wie kam es dazu, dass diese Schriftsteller, die im Zweiten Weltkrieg gekämpft haben mussten, Irland Aufmerksamkeit schenkten, und dies, obwohl die (Reise-)Literatur beispielsweise des Zeitalters der Aufklärung sich den kulturell, politisch und gesellschaftlich fortgeschrittenen Ländern wie Italien und Frankreich widmete? Die beiden Autoren stellen Irland als Antithese zum Nachkriegsdeutschland dar, das die Narben des Krieges durch kapitalistisches Wachstum kompensieren will. Ein Land, in dem Eltern die zu vielen Kinder auswandern lassen, aber dennoch „keine Atomkanonen, Maschinengewehre exportiert“ werden. Auf dieser Insel wohnt also „das einzige Volk Europas, das nie Eroberungszüge unternahm, wohl selbst einige Male erobert wurde“. Böll sieht in diesem Land, das nicht als Sieger darsteht, also eine Utopie und Andersch persifliert die Besitzgier des Siegers des Kapitalismus, also des Protagonisten des Romans, der ein erfolgreicher Geschäftsmann ist. In dieser Arbeit wird nach einem Überblick über Irland in der Einleitung in Kapitel 2 kurz das Verhältnis von Literatur und Reisen diskutiert, wobei das Zeitalter der Aufklärung im Mittelpunkt steht, und das andere Land als Fremdbild in der Literatur. In Kapitel 3 wird das Bild Irlands erfasst, das in beiden Werken erscheint und im letzten Kapitel wird die Diskussion mit einer umfassenden Analyse der Darstellung Irlands abgeschlossen.

      • KCI등재

        아일랜드 대기근과 영국정부의 구호정책: 1845-1849

        이태숙 ( Lee Tai-sook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인문학연구 Vol.- No.47

        이 논문은 거의 5년간 지속된 아일랜드대기근 동안 영국정부의 구호정책의 변화를 조사했다. 영국의 구호정책의 변화를 야기할 변수로서 정책주체에 초점을 맞춰 보수당과 자유당, 수상을 비롯한 정치가들과 관료, 그리고 타임스를 비롯한 언론을 선정하고 각각의 구호정책제안을 비교했다. 결론은 보수당과 자유당이 빈민에게 제한적으로 식량을 공급하고 공공사업을 벌였을 때 정책양상이나 자유주의이념에서 양당 사이에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영국 구호정책의 변화시점은 기근 3년차인 1847년 자유당정부가 새 빈민법을 제정했을 때인데 그 의의는 4가지다. 첫째, 법에서 보는 변화는 노역원운영과 옥외구호를 병행하고 구호비용을 아일랜드빈민세에 전담시킨 것이다. 둘째, 빈민법제정에 이르는 논란이 큰 영향을 미쳤다. 아일랜드인에 대한 폄하가 난무했고 재난의 책임을 아일랜드인에게 지우며 대두한 응징론이 법에 반영됐다. 셋째, 아일랜드인 폄하는 언론이 가장 노골적으로 표명했다는 점에서만 다를 뿐 내용에서 관료 트리벨리언이나 수상을 비롯한 정치가들의 인식도 다르지 않았다. 넷째, 1847년 빈민법의 근본의의는 영국정부가 구호의 직접책임을 방기하고 아일랜드를 영국과 별개의 단위로 표상하는 것을 강화함으로써 영국과 아일랜드의 합방이념을 약화시켰다는 데 있다. 결국 영국정부는 아일랜드대기근에 대처한 정책에서 아일랜드인의 반감을 키웠고 의도하지 않은 채 합방체제를 약화했다. Since the Great Irish Famine lasted for almost 5 years, the British relief policy to cope with it was to be in vicissitudes. This article focuses on the policy formulators in a broad sense such as the Conservative ministers, the Liberal ministers, a key senior civil administrator and the press, and compares their relief policy proposals as well as decisions. What this paper finds is that there was no great difference in the relief policy between Conservatives and Liberals in that both governments with their belief in the liberal political economy arranged limited food supply and administered the relief works for the hungry Irish. The crucial change in the British relief policy was brought about by the new Poor Law in 1847. The law newly facilitated outdoor relief as well as Workhouses and stipulated Irish poor rates as the revenue. The fierce and rather prolonged debates over the legislation released stark contempts for the Irish, some of which the law had incorporated. The prejudice against the Irish was expressed most loudly in the press, but almost all the key politicians and administrators shared it more or less. Thus the Poor Law of 1847, which abrogated the relief responsibility of the British government and represented Ireland as a separate country, weakened the idea of the Union of Britain and Ireland. The Union was the casualty of the stingy and short-sighted relief policies of the British government during the Great Famine years.

      • KCI등재

        아일랜드 교육혁신에 반영된 북아일랜드 통일/평화 과제

        강순원(Kang, Soon-Won) 한국비교교육학회 2021 比較敎育硏究 Vol.3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반도와 유사하게 식민지 종결 후 분단된 아일랜드 섬의 중심국가인 아일랜드 공화국의 분단극복을 향한 적극적 평화교육의 관점에서 교육혁신운동을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분단극복 평화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밝혀보고자 한다. 아일랜드는 식민지적 유제극복의 일환으로 안정적인 민주주의체제 수립, 경제개발과 성장, 아일랜드문화와 역사의 발전 및 국제적 기여 등을 통해 자주독립국가로서 성공적인 길을 걸어왔다. 그러한 과정에서 교육혁신사업 역시 세계적으로 주목받았다. ‘전환학년제(TY)’와 ‘모두 함께 교육하자(ET)’ 프로젝트는 아일랜드가 도달해야 할 포괄적인 역사적 과제 실현을 목적으로 한 것은 아니었으나 결과적으로 적극적 평화의 지표인 교육의 탈식민주의화와, 민주적 교육제도 수립, 교육에서의 차별철폐 및 아일랜드 섬 평화구현 등에 일정하게 기여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아일랜드 적극적 평화교육에 관한 비교연구 결과로서, 분단극복을 향한 이성적인 교육적 노력이 민족정체성 기반의 통일교육의 형식보다는 평화교육이어야 한다는 점은 우리나라 통일교육의 전환에 주는 시사점이 크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an implication to the peace education beyond division in Korea through the qualitative field research on the educational innovation projects towards positive peace in the Island of Ireland, which has been divided since being liberated from the colonization by UK such as in the Korean peninsula. For its sake of eradicating the legacy of colonization, Ireland republic has proceeded a successful track for establishment of stable democracy, economic development and growth, restoration of Irish language, culture and history,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contribution. Irish educational innovation projects were attracted to globally. Transition Year(TY) and Educate Together(ET) are not stick to the same orientation for realization of the Irish historical tasks, however, it is said that both educational reformations are evaluated as contributing for de-colonization of education, transformation of democratic educational system, elimination of discrimination in education of gender, class and ethnic backgrounds, and peacemaking of the Irish Island through education. As a comparative result, it is a significant implication for the peace education in Korea that the educational effort towards overcoming division has to be frame of educating for positive peace intellectually, not single national identity-based unification emotionally.

      • KCI우수등재

        1920년대 식민지조선의 아일랜드극 수용과 근대극의 형성

        김재석(Kim, Jae-suk) 국어국문학회 2015 국어국문학 Vol.- No.171

        3.1만세운동 이후 ‘계몽의 극장’을 원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1920년대 식민지조선의 근대극담당자들은 아일랜드극으로 그 가능성을 타진했는데,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눈앞에 두고 있던 아일랜드의 정치적 상황이 큰 계기가 되었다. <찬란한 문>(1921)의 공연 이후, 1920년대 식민지조선에서 아일랜드극은 신파극과 차별되는 근대극의 진면목을 보여주는 극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찬란한 문>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아일랜드극의 번역 및 공연이 이루어졌다. 1920년대에 공연된 작품으로는 The Glittering Gate(Lord Dunsany), How He Lied to Her Husband(Bernard Shaw), Harvest(Lennox Robinson), The Gods of the Mountain(Lord Dunsany), Fame and the Poet(Lord Dunsany), In the Shadow of the Glen(J. M. Synge)이 있으며, The Rising of the Moon(Lady Gregory), Riders to the Sea(J. M. Synge)는 번역만 되고 공연이 되지는 못했다. 1920년대 아일랜드극 수용양상을 살펴보면, 식민지조선의 연극담당자들이 아일랜드극의 핵심을 제대로 파악하고 있지 못했던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것은 아일랜드극의 확산을 기피하는 일제가 공연검열을 엄격하게 적용하였기 때문에 생겨난 파행의 결과이다. 1920년대 식민지조선의 근대극담당자들은 그들이 하고 싶은 아일랜드극을 마음대로 할 수 없는 상황에 놓여 있었으나, 아일랜드극을 소개하려는 의지를 버리지 않았다는 점을 중요하게 여겨야 한다. 일제의 공연 검열과 식민지조선 근대극 담당자의 공연 의지가 맞부딪힌 곳에 놓인 작품들이 1920년대에 수용된 작품의 전모인 것이다. 검열이 통제하고 있던 1920년대 식민지조선에서 아일랜드극의 파행적 수용은 피할 수 없었으며, 그러한 상황이 ‘아일랜드 효과’를 만들어내었다. 아일랜드 극작품 공연이라면, 실제 보다 훨씬 더 높은 가치를 무조건 부여하는 현상이 ‘아일랜드 효과’이다. 기본적으로는 아일랜드극을 대하는 식민지조선의 과잉 반응인데, 현재 공연 되고 있는 아일랜드극의 가치를 최대한 높여 평가해주는 관객들의 우호적 지지가 그 배경에 있다. ‘아일랜드 효과’가 지배하는 식민지조선에서는 해당 작품의 원래적 가치와 의미는 크게 중요하지 않았고, 식민지조선이 필요로 하는 의미가 부가되어 해석이 되었다. 여기에서 식민지조선과 일본의 아일랜드극 수용에 있어서 차별성이 생겨나게 되었다. 아일랜드극 공연 과정에서 형성된 ‘아일랜드 효과’가 있어 1920년대 계몽의 극장이 유지될 수 있었다고 말해도 좋겠다. 일제의 검열 앞에서 좌절하기 쉬운 1920년대 연극담당자들을 추동했던 힘이 바로 아일랜드극의 공연경험에서 얻어진 것이다. 토월회의 <아리랑고개>는 1920년대 식민지조선에서 이루어진 아일랜드극 수용의 백미로 평가해야 한다. 식민지조선의 모순을 정확히 지적하여 공연되지 못할 작품보다, 모자람이 있더라도 검열 통과가 가능하면서 관객의 자발성을 이끌어낼 여지가 많은 작품을 창작하고 공연함으로써 ‘계몽의 극장’을 지켜낸 것이다. The interest in Ireland which gained independence in 1921 connected with the social atmosphere that wanted the theatre of enlightenment after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March First, 1919 and this atmosphere caused the theatrical people of colonized Chosun to get interested in Irish Drama. In the colonized Chosun in 1920s when the concept of modern drama commenced to be shaped, Irish drama began to be considered as the drama showing true aspects of modern drama which was different from Sinpaguk. The first work of Irish Drama performed in colonized Chosun was The Glittering Gate(1921) by Lord Dunsany. The theatrical people concerned with modern drama in 1920s tried to translate and perform many Irish dramas; the works to be performed were The Glittering Gate(Lord Dunsany), How He Lied to Her Husband(Bernard Shaw), Harvest(Lennox Robinson), The Gods of the Mountain(Lord Dunsany), Fame and the Poet(Lord Dunsany), In the Shadow of the Glen(J.M. Synge) and the works only to be translated not performed were The Rising of the Moon(Lady Gregory), Riders to the Sea(J.M. Synge). Considering the aspects of accepting Irish drama, it seemed that the theatrical people of colonized Chosun did not translate and perform them properly. That’s because Japan authorities which wanted to avoid spreading Irish dramas reinforced the censorship of performance. So the crippled result was inevitable. However, it was important that though the theatrical people of colonized Chosun concerned with modern drama were under the condition which they could not treat Irish dramas well, they would not give up the will to introduce them. The works laid where their intention conflicted with Japanese censorship were the whole aspects of works being accepted in 1920s. In colonized Chosun of 1920s where the strict censorship controled the performance, the crippled acceptance of Irish drama was unavoidable and this situation came to make ‘Irish effect.’ It was the phenomenon that they gave much higher value unconditionally to Irish dramas to be performed than its actual value. In colonized Chosun where the ‘Irish effect’ was dominant, the original value and meaning of works were not so important and new value and meaning which colonized Chosun needed were added to them and construed. At this point the difference between Chosun’s acceptance of Irish drama and Japanese one came into being. It’s true that Chosun’s accepting Irish drama was triggered by Japan but in terms of the result of acceptance, the theatrical people of Chosun made much of the works which treated ‘the awakening of subject facing up to the reality’ unlike in Japan. Therefore we should give the positive evaluation to the Irish drama of colonized Chosun which the theatrical people in 1920s reconstructed centering around the works which colonized Chosun needed.

      • KCI등재

        영국-아일랜드 협력 관계와 북아일랜드의 역사교육 - 유럽지역학 프로젝트(European Studies Project)의 구축, 1984-1986 -

        원태준 한국역사교육학회 2018 역사교육연구 Vol.- No.31

        This article looks into the collaborative effort among the British, Irish and Northern Irish education authorities in establishing a common history curriculum known as the ‘European Studies Project.’ The Margaret Thatcher government, which came into power in 1979, wa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Troubles in Northern Ireland in conjunction with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Ireland. Recognizing the need for reform in the history curriculum in Northern Ireland in order to heal the wounds of a severely divided community, Britain and Ireland decided to develop the European Studies Project whereby six secondary schools each would be chosen from England, Ireland and Northern Ireland, and the students aged 11 to 15 in these schools would study key issues and events in British and Irish history within the context of Europe and then make curricular contact with students and teachers from the other participating regions through joint field work, residential experiences and information technology. To facilitate the running of the Project, a Director was appointed alongside one field officer from each of the three regions to provide support. A Steering Committee composed of the Chairman, the Secretary, an inspector and an alternate inspector from each region and a curriculum expert from each region was also established to oversee the Project's development and to evaluate its progress. A biennial History Seminar, composed of talks given by history education experts and teachers in the field, was set up to help teachers in their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After the preparatory stage of the Project was completed, subjects such as “The Normans,” “Plantation” and “Attitudes to Conflict, 1912-1921” were chosen to be studied in the participating schools where students from different regions were able to exchange their research via residential experiences or computer conferencing. 이 논문은 북아일랜드의 역사과 교육과정 개발에 잉글랜드, 아일랜드공화국 그리고 북아일랜드가 공동으로 참여했던 ‘유럽지역학 프로젝트’의 구축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1979년에 집권한 영국의 마가렛 대처 정부는 1968년에 시작된 ‘북아일랜드 혼란기’의 폭력 사태와 극도의 사회적 갈등을 아일랜드공화국 정부와의 협조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였다. 북아일랜드의 극도로 분열된 사회를 치유하기 위해 영국과 아일랜드공화국 정부는 북아일랜드 학교에서 시행되는 역사과 교육과정의 개혁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고, 이에 잉글랜드와 아일랜드공화국 및 북아일랜드에서 각각 6개의 중등학교를 시범적으로 선택한 후, 이에 소속된 11세부터 15세까지의 학생들이 공동 현장 학습, 기숙 교환 및 정보통신 기술 활용을 통해 영국과 아일랜드 역사의 주요한 이슈와 사건들을 유럽이라는 틀 안에서 공부하고 서로 다른 지역의 학생들 및 교사들과 학습 내용을 교류하는 작업을 지원하는 유럽지역학 프로젝트를 출범시키기로 결정하였다. 프로젝트의 원활한 수행을 위하여 총괄책임자 및 각 지역 당 한 명의 현직 교사 출신 현장담당자가 임명되었고,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운영을 평가하고 감독하기 위해 위원장과 총무를 비롯하여 각 지역 당 장학사 1명과 보조장학사 1명, 교육 과정 전문가 1명 등으로 구성된 운영위원회가 설립되었다. 또한 참여 교사들이 학생들에게 더욱 양질의 역사 교육을 제공하는 것을 돕기 위해 영국사 및 아일랜드사 교육과 관련하여 2년마다 한 차례씩 각 프로젝트 참여국을 대표하는 교육감, 역사 교육 관련 학자들 및 역사 교사들이 참가하여 정해진 주제에 대해 발표하고 워크샵을 진행하는 학회가 개최되었다. 이러한 구축 과정을 거친 유럽지역학 프로젝트는 논란의 여지가 있는 역사적 사건을 피하지 않고 전자메일, 컴퓨터 화상 회의 등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원칙에 따라 “노르만족,” “식민,” “분쟁에 대한 반응, 1912-1921” 등 세 과목을 선정, 참여 학생들이 담당 교사들의 도움을 받아 자기 지역에 존재하는 과목 관련 유적 또는 자료 등을 연구하여 그 결과물을 다른 지역 학교의 학생들에게 기숙 교환 또는 정보통신 기술을 통하여 주고받고 비교 분석을 하는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하도록 하였다. 비록 영국의 철수로 공식 출범한지 6년만인 1992년에 만료되었으나 초국경적 협력으로 만들어진 역사과 교육과정을 통하여 북아일랜드의 미래 세대가 더 나은 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여건을 마련해 주고 희망을 불어넣어 주고자 했던 유럽지역학 프로젝트의 도전 정신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 KCI등재

        아일랜드 대중문화에 나타난 전통과 아일랜드성의 문제 - <리버댄스>와 <로드 오브 더 댄스>를 중심으로 -

        이성재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6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40

        1994년 4월 30일 유로비전 노래 콘테스트(The Eurovision Song Contest)의 막간 공연으로 첫 선을 보인 <리버댄스>는 현재 아일랜드의 대표적인 문화 상품이다. <리버댄스>는 매년 전 세계의 어느 한 도시에서 공연되어왔고, 여전히 아일랜드의 전통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매체로 인식되고 있다. <리버댄스>는 그런 점에서 전통 문화의 혁신과 확립, 문화의 상품화, 민족적 정체성에 대한 이해에 있어 중요한 통로라고 할 수 있다. <리버댄스>는 일반적으로 총 18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각은 개별적 내용을 담고 있어 일관된 서사를 보여준다고 할 수는 없다. 또한 플라맹고, 동유럽의 스텝 댄스, 미국의 탭 댄스 등 다양한 문화적 요소들을 수용하여 보여준다는 특징도 가지고 있다. 과연 아일랜드의 전통을 잘 나타내고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여기서 발생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버댄스>가 큰 인기를 얻고 있는 것은 게일 연맹에 의해 만들어진 가상의 아일랜드성을 거부하고 아일랜드의 전통을 재창조함으로써 보편성을 획득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리버댄스>에 대한 비판으로는 지나친 상업성을 들 수 있다. 형식적으로는 브로드웨이의 라인 댄스를 도입했을 뿐만 아니라, 내용적으로는 아일랜드가 겪은 암울한 역사, 즉 아일랜드의 독립 운동이나 기근으로 숨진 과거 조상들의 모습들을 의도적으로 배제하는 태도는 아일랜드의 역사와 현실을 외면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기에 충분해 보인다. 특히 <리버댄스>의 아류라 할 수 있는 <로드 오브 더 댄스>의 경우는 민족주의와 아메리칸 드림을 이용해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는 오명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리버댄스>는 1973년 유럽공동체에 가입하면서 시작된 아일랜드 문화부흥의 연장선에 놓여 있다. 1990년대 10년 동안 유래 없는 경제 성장을 한 아일랜드는 그 결과 ‘켈트의 호랑이’로 불리게 된다. 또한 미국으로의 이주 이후 겪었던 열등한 민족이라는 이미지를 벗어나 미국 내에서 점차 높은 사회적 지위를 차지한 아일랜드인들은 자신들의 사회적 위치에 들어맞는 문화를 필요로 하게 된다. 바로 이때 <리버댄스>가 이들의 요구를 충족시켜주었던 것이다. 즉 <리버댄스>가 거둔 상업적 성공은 문화적으로, 또 경제적으로 세계 무대에서 자리를 잡은 아일랜드의 위상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현상인 것이다. <Riverdance> was performed as a intersession show for The Eurovision Song Contest which took place on April 30th in 1994 and then established as Ireland’s representative cultural product. It has been performed in a certain city in the world every year and played a role of introducing Ireland to the world. <Riverdance> is an important instrument in understanding the innovation and establishment of traditional culture, commercialization of culture and national identity. <Riverdance> is usually composed of 18 chapters which contains mutually individual content, failing to show a consistent narration. 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by the inclusion of various cultural elements such as Flamango, Eastern European step dance, U.S. tap dance, As a result, it is questionable whether <Riverdance> can be a representation of Irish tradition. Nonetheless, <Riverdance> enjoys still huge population in the world because it refused the imaginary Irishness created by Gail League and recreated the Ireland’s tradition which allows for it to obtain the universality. A criticism of <Riverdance> is that it is too excessive commercialized. Its attitude of introducing actively the <line dance of Broadway> but excluding the Ireland’s dismal history such as Independent Movement from The U.K or serious death toll due to the great famine draws the criticism, that it, ignoring the history and the reality. In particular, <Lord of The Dance> can’t escape from disgrace that it won commercial success exploiting the Nationalism and American Dream. <Riverdance> is situated in the background of cultural revival starting from 1973 when Ireland joined the European Union. Ireland started to be called ‘Centic Tiger’ after experiencing unprecedented successful economic growth over the 1990’s. In addition, the Irish who had suffered from the image of being inferior people in the new world of US but overcame from the image and finally secured high social position ask new culture corresponding to their new social position. Right at the moment <Riverdance> appeared to satisfy the demands of Irish people. That is, the commercial success of <Riverdance> shows symbolically the high position of Ireland which achieved culturally and economically huge success.

      • KCI등재

        영국 빅토리아 시기 아일랜드인 ‘게토’ 문제

        남철호(Nam, Cheol-Ho) 부산경남사학회 2021 역사와 경계 Vol.119 No.-

        이 논문은 빅토리아 시기 영국의 아일랜드 이주민 논의 가운데 게토 문제를 다룬다. 그리하여 아일랜드 이주민의 인종과 민족성, 급진주의와 민족주의, 종교 공동체 문제, 나아가 ‘게토’가 실존했는지에 대한 검토를 목표로 한다. 빅토리아 시기 아일랜드인 게토 문제에 대한 면밀한 추적은 동시기 아일랜드 이민자의 실상을 제대로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19세기 아일랜드인은 영국으로 이주 후 정착 하는 과정에서 인종과 민족성, 민족주의와 급진주의, 그리고 종교적 이질성으로 타자 집단으로 구분되어 특정 지역에 머물러 살았다고 인식되었다. 하지만 이주해온 아일랜드 집단은 매우 다양하였으며 동질적인 하나의 집단으로 평가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민족주의와 종교가 아일랜드인을 영국인과 구별 짓는 커다란 역할을 하지 못하였다. 이 두 요소가 아일랜드인을 추방자로 만들거나 그들을 게토 지역에 머물게 하지 않았다. 오히려 아일랜드 민족주의는 차티스트 운동과 페니언 운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민족주의로 인해 영국과 아일랜드 양자의 관계를 새롭게 하는 데 일정 정도 역할을 하였다. 나아가 그것은 영국 급진주의와 운동에 자양분 역할을 하였다. 아일랜드 이주민과 영국인 사이의 인종과 민족성 문제도 같은 맥락에서 설명이 될 수 있다. 인종적 차이만으로 아일랜드인을 게토 지역으로 내몰거나 타자로 추방한 것은 아니었다. 아일랜드인과 관련된 종족과 민족성 문제에도 영국인의 편견이 내재되어 있으며, 그들에 대한 이중적 평가의 한쪽 측면만을 강조해서도 안될 일이다. 따라서 이민자와 영국인 사이의 게토 문제는 신중히 접근할 필요가 있다. 요컨대, 영국인 거주지와 구분되는 좁고 누추한 골목은 존재했으나 이는 경제적 문제와 관련 깊은 것이다. 실질적인 게토로 불릴 수 있는 지역이 실재했는지는 더 규명이 필요하다. So far, I have been reviewed the Irish ghetto problems in the British Victorian era. As a result, I had have several conclusions as follows. Firstly, the Irish immigrants to British in the Victorian age were divided into by race and ethnicity, nationalism and radicalism, and religious heterogeneity, and were recognized as staying in certain regions. However, the Irish immigrants are very diverse, and there is problem to evaluate it as a homogeneous group. Nationalism and religion did not play a major role in differentiating the Irish from the British. These two factors didn"t make the Irish exile or stay in the "ghetto" area. Irish nationalism had an influence on the Chartist and Fenian movements. And nationalism played a role in rene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ritain and Irish. Furthermore, it nourished British radicalism and movements. Secondly, Race and ethnicity issues between immigrant Irish and British can be explained in the same context. Racial differences in themselves did not drive the Irish into the ghetto or expel them as purgee. The tribal and ethnicity issues related to the Irish also contain the British prejudice, and it should not be emphasized that only one aspect of the double evaluation. Therefore, the ghetto issues between immigrants and British people need to be approached carefully. There was a narrow, shabby alley that separates the British residence, but this is deeply related to economic problems. Further investigation is needed to determine whether an area that could be called a ghetto exists.

      • KCI등재

        대기근 직후 아일랜드에 대한 여행자의 시선 -해리엇 마티노와 "아일랜드 문제"-

        배인성 ( In Sung Bae ) 호남사학회(구-전남사학회) 2012 역사학연구 Vol.46 No.-

        본고는 아일랜드 여행을 통해 직접 목격하고 경험한 내용을 담고 있는 마티노의 『아일랜드에서 온 편지』에 대한 논의이다. 마티노가 여행한 1852년은 아일랜드 역사에서 가장 참혹한 사건인 ``대기근``이 어느 정도 사라진 뒤였다. 영 제국의 시민이었던 마티노에게 아일랜드 여행은 자칫 편협해지기 쉬운 상황에 처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티노는 ``아일랜드 문제``를 객관적인 시선에서 관찰하고 이에 대한 상황을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는 저널리스트로서의 사명과 정체성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아일랜드에서 온 편지』는 기근 직후의 아일랜드 사회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중요한 역사적 텍스트인 것이다. 마티노는 기근의 피해가 컸던 서부 지역을 목격하고 이에 대한 슬픔을 여러 번 상기시켰다. 마티노는 아일랜드인의 고통을 공감하고 나아가 ``아일랜드 문제``를 진단하고 대안을 제시했다. 마티노는 풍부한 천연자원, 아일랜드 국민, 그리고 교육을 통해 아일랜드의 갱생 가능성을 언급했다. 무엇보다 마티노는 가난한 아일랜드인의 "토지에 대한 열망"을 간파했다. 그들에게 토지는 "힘, 독립, 그리고 존엄성"을 의미했다. 그래서 타당한 지대, 보유권 고정, 토지 개선분에 대한 보상, 그리고 자작농으로의 전환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또한, 기근 시기에 실제적인 대안이 없는 상황에서 아일랜드 구빈원의 중요성을 인정했다. 나아가 아일랜드 산업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여성 산업에 대해 한편으로는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가정생활의 퇴보``를 가져왔다고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즉, 기근, 남성들의 이주, 낮은 임금, 여성노동자의 대체, 그리고 가정경제 파탄과 같은 악순환의 반복인 것이다. 그래서 마티노는 이러한 "경제적 징후"를 아일랜드의 "이례적인 상황을 명시하는 특징들 중 하나"로서 설명했다. 사실 기근 전부터 ``아일랜드 문제``는 영 제국의 골치 아픈 문제들 가운데 하나였다. 1830-40년대부터 전개된 합방폐지운동은 그 중 하나였다. 여기에 6년 동안(1845-1851) 지속된 대기근은 아일랜드와 영 제국 사이의 관계를 더욱 악화시켰다. 마티노는 합방옹호론자였음에도 불구하고 아일랜드에 대한 영 제국의 실정을 인정하고 이를 신랄하게 비판했다. 기근에 대한 무관심과 늑장 대응 그리고 정부정책의 비효율성 등이 그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북아일랜드의 산업발전과 토착민과 이주민 사이의 조화와 협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아일랜드와 영 제국의 관계에 대한 적절한 사례로 간주했다. 요컨대 마티노는 영국정부의 좀 더 현실적이고 실제적인 대응을 통해 기근으로 고통 받는 아일랜드인을 구제하는 것이 영국정부의 역할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This paper examines Harriet Martineua`s Letters from Ireland, focusing on the ``Irish Question`` which included from geographical and agricultural to social and economic themes. Such public works projects as railroads and bridges, reforestation, and bog reclamation were crucial to the industrialization of Ireland, as was implementing modern methods of agriculture and flax production. It was post-famine in 1852 that ``The Great Famine``, the wretched accident in Ireland`s history, passed by. As a citizen of the British Empire, Harriet Martineau was apt to have a prejudice. However, she tried to see and report correctly ``Irish Question`` based on an objective gaze. This demonstrated a mission and identity of journalist. Letters from Ireland was an important text which could understand post-famine Ireland. She tried to sympathize the Irish`s suffering and consider settlements. It was abundant natural resources, Irish people, and education to which Martineau consistently appealed as the permanent remedy for the ``Irish Question``. Above all, she told us of ``the Irishman`s passion for land`` as being explainable in terms of the symbolic meaning of land as a source of ``power, independence, and dignity``. She insisted a proper lent, fixity of tenure, the value of the improvements of land, and a change as a land owner. She explained the Irish workhouses which related to the condition of the famine of Ireland. Moreover, she gave a positive assessment of the industry of the women in Ireland on the one hand and a negative view of it on the other hand. Because the women had to work out of the house and home for making a living during the famine. In fact, ``Irish Question`` has been one of the most troublesome problems in the British Empire before the famine happened. The Union Repeal Movement had been developed in the 1830-40. After that, the relations between two countries were made worse than before through the great famine. She supported the union of two countries. She acknowledged, however, the British Empire`s misgovernment toward Ireland and heavily criticized it. In Short, She emphasized the real remedy for the Ireland`s difficulties and the duty of the British Empire leading the Irish to do better.

      • KCI등재

        연구논문 : 처칠 부자(父子)의 아일랜드 정책과저술가 윈스턴 처칠의 재현(再現)

        이태숙 ( Tai Sook Lee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인문학연구 Vol.0 No.29

        영국의 대정치가 윈스턴 처칠에 대한 추앙은 우리나라도 포함하여 범세계적이지만 아일랜드인들의 태도는 반감에 가깝다. 이 논문은 그 이유로서 처칠의 아일랜드정책을 조사했다. 조사방향은 두 가지 특징을 지닌다. 첫째는 영국에서 “아일랜드문제”의 긴 맥락을 고려하여 19세기말 아일랜드자치반대의 선봉장이던 랜돌프 처칠의 아일랜드정책도 조사했다. 둘째는 처칠의 저술가 면모에 주목하여 그의 주요 저서를 1차사료로서 이용했다. 발견한 사항은 세 가지다. 첫째, 랜돌프 처칠의 아일랜드정책은 영국정쟁의 일환이었고 얼스터의 개신교도를 선동함으로써 아일랜드분단의 단초를 놓았다. 둘째, 아들 윈스턴 처칠은 20세기 초 자유당으로 전향했던 짧은 시기를 제외하고 보수당 복귀 후부터는 아일랜드분단과 남부아일랜드에 대한 영국의 영향력 행사에서 극우 입장을 견지했다. 셋째, 처칠의 글쓰기에는 현역 정치가로서의 의도가 크게 작용했다. 이런 발견은 처칠의 한반도정책을 타당하게 평가하는 작업에도 시사점을 제공한다. Though Winston Churchill has been held in high esteem worldwidely, Irish attitudes appear to be rather antagonistic. This paper investigates Churchill`s Irish policy as a source of their antipathy. The approach has two traits. Firstly, in order to put his policy in the context of "the Irish Question" Randolph Churchill`s anti Home Rule activities are examined. Secondly, Irish policies of the Churchillian father and son are traced mainly in the latter`s celebrated books. This paper presents three points. Firstly, Randolph Churchill`s Irish policy was a part of domestic power struggle and by instigating religious conflicts he played a great part towards the partition of Ireland. Secondly, Winston Churchill maintained extreme rightist attitudes towards both Ulster and the Irish state except the short period as a Liberal minister. Thirdly, Churchill`s writings plainly reflect his desire to be in power. In appraising Churchill`s policy towards Korea these findings need be duly considered.

      • KCI등재

        1920년대 초기 아일랜드 희곡 수용의 의미

        김지혜 ( Kim Ji-hye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3 국제어문 Vol.59 No.-

        1920년대 초기 아일랜드 희곡의 수용이 증가한 사실은 기존의 연구에서 지적되어 왔다. 본고는 그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현철의 번역으로 『개벽』에 실린 「달 □ 때」와 「바다로 가는 자들」, 그리고 김우진이 무대화하고 『동명』에 작자미상으로 실린 「번□이는 문」을 `텍스트`와 `번역자` 및 번역극이 실린 `매체`의 아일랜드 담론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그 수용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가 아일랜드와 조선의 정치적 동일성을 전제로 하고 번역극의 의미를 밝힌 것에 비해, 본고는 1920년대 초기 민족담론 형성의 중심 매체였던 『개벽』과 『동명』이 구축하는 아일랜드 담론과 번역극이 어떠한 관련성을 지니는지, 그리고 당시 근대극을 선두에서 이끌었던 현철과 김우진이 조선의 근대극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아일랜드 연극을 참조하였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구체적으로 현철은 「달 □ 때」와 「바다로 가는 자들」을 세계적으로 유명한 서구의 모범적인 `근대극`을 소개하기 위해 선택, 번역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당시 수록 매체인 『개벽』이 구축해가던 `식민지`로서의 아일랜드와 두 텍스트가 조응하면서 `아일랜드 연극`이 `민족`의 차원에서 전유되었다는 점이다. 특히 「달 □ 때」의 경우, 주동인물인 독립운동가가 반동인물인 경찰을 민족적 동질감에 근거해 회유하는 서사를 보여줌으로써, 식민지 조선의 독자에게 탈식민의 상상을 경험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다음으로 『동명』에 실린 「번□이는 문」은 궁핍과 차별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인간의 절망적 운명을 다룬 텍스트로서, 아일랜드 문예부흥운동의 후계자이자 세계적인 위상을 갖는 작가 던세이니의 작품으로 소개되었다. 『동명』에서는 민족이라는 특수성보다 세계문학이라는 보편성의 차원에서 「번□이는 문」이 소개되었다고 할 수 있는데, 그러나 김우진이 번역 연출한 「찬란한 문」의 의미는, 평소 아일랜드 연극을 `민족어 수립`의 차원에서 참조했던 그의 연극의식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당시 김우진은 `민족어수립`을 통한 근대극 형성을 자신의 문제의식으로 삼았으며 그 대표로서 아일랜드 연극을 주목하였다. 그는 이러한 자신의 연극적 의도를 드러내면서도, 대본과 무대에서 이중 검열이 있었던 식민지 공연 환경을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작품을 선택할 필요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즉, 김우진은 의도적으로 아일랜드 번역극 「찬란한 문」을 공연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3.1운동 후 `아일랜드`라는 기표가 상징하게 된 `민족의식`을 겨냥했다고 볼 수 있다. As it has been pointed out by the preceding studies that the acceptance of Irish plays increased in the early 1920s, this study empirically looked into Irish discourses, especially represented in the media publishing the writings, 「The Rising of the moon」, 「Riders to the sea」 and 「The glittering gate」 which represent Irish discourses, in order to interpret the meanings of the acceptance of them. 「The Rising of the moon」 and 「Riders to the sea」 were translated by Hyun, cheol in order to interpret the famous modern play to the readers. More to the point, Irish national discourse of liberation in 『Gaebyeok』 coincides national consciousness from the narratives. As a result, Irish plays have been appropriated(from Homi Bhabha) by nationalism. 「The glittering gate」 in 『Dongmyeong』 says about the limit of the universal fate of human. The first mesning of it published in the media is to introduce world literature. But the meanings of acceptance of it translated and directed by Kim, woo-jin are needed to consider his consciousness of national language. He needs to consider Japanese colonial government`s censorship. Therefor he choose it because Irish play 「The glittering gate」 symbolizes national consciousness after Korea`s Independence M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