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El vanguardismo espanol: su concepto y sus temas

        박효영 조선대학교 국제문화연구원 2014 국제문화연구 Vol.7 No.2

        울트라이즘은 예외로 하고 스페인의 아방가르드 문학은 다다이즘, 미래주의, 초현실주의, 표현주의와 같은 다른 유럽의 아방가르드 문학과는달리 그 운동을 주도한 구체적 그룹이나 조직 없이 막연히 개별 작가의다음 속에 내재한 일종의 강박관념 같은 것이었다. 이같은 포괄적이고막연한 개념인 스페인의 아방가르드 문학의 실체에 대한 접근이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지금까지 이같은 분야의 많은 연구서에서 아방가르드라는 말을 수없이 반복하여 언급하고 있지만 함의하고 있는 개념은연구가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라몬 버클리 (Ramon Buckley)와 존 크리스핀 (John Crispin)은 그들의 공저에서 밝힌 바와 같이 울트라이즘은 스페인 아방가르드 운동의 출발점에 불과했다. 비록 구체적인 아방가르드 경향의 운동으로서 울트라이즘이 1923년 종식되지만그 이후에도 아방가르드의 정신은 1930년대까지 이어진다. 본론에서 다루겠지만 스페인 아방가르드는 크게 두 개의 시기로 대별된다. 즉 제 1 시기인 울트라이즘의 시기와 울트라이즘의 종말로부터 「문학소식지 (La Gaceta Literaria)」의 편집부가 사실상 해체된 1930년까지의 제 2 시기로 나눌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논점들을 본 연구서에서는 보다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자료에 근거하여 스페인의 아방가르드 문학에 대한 분석적인 접근을 시도하게 되며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차례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째, 우선 아방가르드의 일반적인 개념에 관한 것인데 즉 그당시의 젊은 작가들은 아방가르드 문학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었고 또 다른 유럽 국가처럼 스페인에서도 울트라이즘을 제외한 진정한 아방가르드 문학 운동이 존재했는가에 관한 문제를 다루게된다. 둘째, 스페인에서 이러한 아방가르드 문학이 탄생할 수 있었던1920년대의 스페인 사회 및 문화적 배경과 문학적인 요소를 고찰하게 된다. 셋째, 그같은 문학 운동 내지는 정신이 있었다면 작가 개인의개별성은 차치하고 많은 작가들이 공통적으로 지향했던 어떤 보편적인 문학적인 이상이나 태도 문제를 규명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1930년「문학소식지」에서 실시한 아방가르드에 관한 앙케이트 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 KCI등재

        El vanguardismo español: su concepto y sus temas

        Hyo Young Park 조선대학교 국제문화연구원 2014 국제문화연구 Vol.7 No.2

        울트라이즘은 예외로 하고 스페인의 아방가르드 문학은 다다이즘, 미래주의, 초현실주의, 표현주의와 같은 다른 유럽의 아방가르드 문학과는 달리 그 운동을 주도한 구체적 그룹이나 조직 없이 막연히 개별 작가의 다음 속에 내재한 일종의 강박관념 같은 것이었다. 이같은 포괄적이고 막연한 개념인 스페인의 아방가르드 문학의 실체에 대한 접근이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지금까지 이같은 분야의 많은 연구서에서 아방가르드라는 말을 수없이 반복하여 언급하고 있지만 함의하고 있는 개념은 연구가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라몬 버클리 (Ramón Buckley)와 존 크리스핀 (John Crispin)은 그들의 공저에서 밝힌 바와 같이 울트라이즘은 스페인 아방가르드 운동의 출발점에 불과했다. 비록 구체적인 아방가르드 경향의 운동으로서 울트라이즘이 1923년 종식되지만 그 이후에도 아방가르드의 정신은 1930년대까지 이어진다. 본론에서 다루겠지만 스페인 아방가르드는 크게 두 개의 시기로 대별된다. 즉 제 1 시기인 울트라이즘의 시기와 울트라이즘의 종말로부터 「문학소식지 (La Gaceta Literaria)」의 편집부가 사실상 해체된 1930년까지의 제 2 시기로 나눌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논점들을 본 연구서에서는 보다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자료에 근거하여 스페인의 아방가르드 문학에 대한 분석적인 접근을 시도하게 되며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차례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째, 우선 아방가르드의 일반적인 개념에 관한 것인데 즉 그 당시의 젊은 작가들은 아방가르드 문학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었고 또 다른 유럽 국가처럼 스페인에서도 울트라이즘을 제외한 진정한 아방가르드 문학 운동이 존재했는가에 관한 문제를 다루게 된다. 둘째, 스페인에서 이러한 아방가르드 문학이 탄생할 수 있었던 1920년대의 스페인 사회 및 문화적 배경과 문학적인 요소를 고찰하게 된다. 셋째, 그같은 문학 운동 내지는 정신이 있었다면 작가 개인의 개별성은 차치하고 많은 작가들이 공통적으로 지향했던 어떤 보편적인 문학적인 이상이나 태도 문제를 규명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1930년「문학소식지」에서 실시한 아방가르드에 관한 앙케이트 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 <AG> 그룹에서의 "아방가르드" 연구

        김전희 ( Junhee Kim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5 예술과 미디어 Vol.14 No.4

        본 글은 1960년대 한국 미술에 등장한 예술 운동인 <AG>그룹에 관하여 탐구한다. 이들은 한국미술사에서 최초로 전위적인 미술운동을 표방하며 스스로를 아방가르드 운동으로 칭하였다. 또한 당시 서구의 선진 미술 현상을 적극적으로 연구하면서, 한국미술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방식으로 연구하고 활동하였다. 필자는 이들 운동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양상들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특히나 ‘아방가르드’라는 용어에 집중하여 살펴볼 것이다. 최초로 아방가르드라는 용어가 시작된 19세기 유럽에서부터 20세기 후반의 네오 아방가르드까지, 그 의미와 그 발전 과정을 순차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이는 필연적으로 이용어가 미술로 수용되어 사용된 흐름을 되짚어보는 작업을 필요로 할 것이다. 따라서 아방가르드 미술의 흐름과 그에 대한 비평을 전개한 이론가들을 차례로 살펴보며, 서구 아방가르드에 대한 개략적인 지형도를 만들어 볼 것이다. 이러한 지형도 위에서 한국의 <AG> 그룹에 대하여 연구할 것이다. 이들의 운동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는데, 본고에서는 다양한 작가들의 작품 중에서도 이들 운동의 특징들을 잘 보여주는 작품들을 선택적으로 설명할 것이며, 무엇보다도 이들 운동의 고유한 특징 중 하나인 이론과 현상의 합일적 실천에 집중할 것이다. <AG>그룹은 작가들과 이론가들이 최초로 함께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여, 실천과 이론의 양상 모두를 선진적인 방향으로 이끌어 나아가고자 노력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들 운동의 근거를 제시하고 있는 이론가의 글들을 함께 고찰해 봄으로써, 그룹이 나아가고자 하였던 목표에 대하여 살피고 이러한 이론적 연구를 근거로 AG 그룹의 작품들을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탐구를 바탕으로 하여 필자는 한국의 <AG>그룹의 양상이 서구의 아방가르드와 제도 비판이라는 본질을 공유하고 있음을 주장할 것이다. 또한 당시 한국 아방가르드 운동이 수용하였던 서구의 아방가르드 이론과 현상은 초기 아방가르드 이후의 네오 아방가르드였음을 설명할 것이다. 이러한 설명과 당시 한국의 사회상을 살펴봄으로써 AG 운동에서 ‘아방가르드’라는 용어는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맥락과는 별로 부합하지 않으며, 미술의 제도 안에서의 변혁을 목표로 하였음을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그들이 초기의 유럽 아방가르드가 아니라 동시대의 네오 아방가르드적 양상과 의미를 공유한다고 하여 <AG>그룹의 의의나 의미가 희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 그룹은 당시 한국 미술에서 아카데미적인 기존의 미술제도를 공격하고 선진적이고 현대적인 미술의 한국적 수용에 대한 심도있는 고찰을 이어나갔으며, 그 결과 새로운 실험정신을 한국 미술에 도입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Korean avant-gard art movement, named AG movement, was emerged in 1960s in Korea. This paper will be focused on the AG movenment, compared to Western avant-garde theories and art where oriented it. The AG movement accepted the practices of modern Western art and the ideas/theories of ‘modern art’ at the time, and tried to proceed the avant-garde art in Korea. Therefore the AG movement was founded by a group of artists and theorists to aim the leading a new stage of Korean art. I, however, argues that the Korean AG movement actually share more similar idea with Neo-avantgard which was influenced by the European AG art rather than Ag in Europ in 1930s-40s. There will be three steps to support the argument. First, start with the etymologic approach of the term, which will explain the original meaning of the word and how the word started to use in art world. Followed by the meaning of the word, we will study several significant theorists to explain the idea of avant-garde and neo-avantgarde. Based on the former of Europe and American avant-garde, I will explain that the essene or the nature of avant garde is the character of resistance, whether toward social-politic or art institution. Therefore, the Western/European’s avant-garde works had various artistic practices which show the art is more than a image on the flat canvas, so it includes the relation with participating in a political parties or presenting new genre of arts. Neo-avantgarde also inherits from it. Unlike its ancestor, however, Neo-avantgarde was more focused on destructing artistic institution rather that politic of social issues in 1960s. As a conclusion, the Korean AG movement shared the idea of contemporary western art, Neo-avantgard, which allow them to create various experimenting art to attack the existing Korean academic art and its system in 1960s Korea.

      • KCI등재

        로맨틱 아방가르드 특성을 응용한 신발 디자인 연구

        이웅섭,조윤진,김선아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5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5 No.4

        현대사회는 패션에 대한 의식이 고조됨에 따라 개인의 다양화된 특성을 만족하기 위해 더욱 독특하고 자기중심적인 패션스타일을 구현하며 이에 따라 패션아이템의 역할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수많은 패션아이템 중 신발은 패션스타일의 완성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과거에는 특별한 날에만 신었던 하이힐이 패션의 개성화가 이루어지며 다양한 의상에 필요하게 되었다. 신발의 착용은 발의 보호, 사회적 지위 등을 표현하고자 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었으나, 오늘날 혼잡한 문화 속에서 더욱 개성적이고 독창적이며 새로움을 추구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고도로 발달한 과학기술은 인간성 부재, 자연파괴 등의 부정적 이미지를 드러내고 있으며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야 했다. 이러한 현상은 과거에 대한 향수와 함께 여유롭고 화려한 로맨티시즘을 부활시켰고, 현대 아방가르드 패션은 과거의 특징적이고 화려한 장식성을 현재의 이미지에 맞게 표현하는 로맨틱 아방가르드 스타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로맨틱 아방가르드 신발의 특성을 활용하여 새로운 양식의 신발 디자인 개발 및 제작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로맨틱 아방가르드의 개념 및 특성을 고찰하고, 2005년 S/S부터 2014년 S/S까지 로맨틱 아방가르드 디자이너의 신발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여 새로운 양식의 로맨틱 아방가르드 신발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신발이 복식에 있어 액세서리가 아닌 하나의 패션아이템으로 새롭게 인식되어 패션 영역에서의 가치를 높이고자 한다. 로맨틱 아방가르드 신발을 개발 및 제작함으로써 향후 신발 디자인 산업의 활용 및 교육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modern society has been realized more unique and egocentric fashion styles to satisfy the diversified individuality as the awareness on fashion rises and with this, the role of fashion items are emphasized more. Among numerous fashion items, the shoes are important to the completion of fashion. As the fashion individualizes, the high-heeled shoes, which was worn during special occasions in the past, became necessary for various clothes. Although wearing of shoes had started to protect the feet and express the social position, it has been influenced by the post-modernism that seeks for something new that is more individual and creative within today’s chaotic culture. This phenomenon revived the relaxing and fancy romanticism along with the nostalgia. Modern avant-garde fashion is shown in a romantic avant-garde style expressing the particular and fancy features of the past according to the modern imag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produce a newly formed romantic avant-garde shoes design through shoes characteristics of romantic avant-garde. For this, the notion of a romantic avant-garde was studied and characterized The shoes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notion of romantic avant-garde designer were observed from S/S of 2005 to S/S of 2014 and a romantic avant-garde shoes design was developed. This study aims to increase the value of shoes in the field of fashion by newly recognizing it as one of fashion items instead of an accessory in terms of dressing. Developing and producing the romantic avant-garde shoes are significant in utilizing the design industry of shoes and providing basic information for education.

      • KCI등재

        1920년대 후반 임화 평론에 나타난 아방가르드 수용과 예술의 정치화

        이성혁 한국미학예술학회 2013 美學·藝術學硏究 Vol.37 No.-

        1차 세계 대전 전후에 등장한 아방가르드는 기성의 예술이 삶으로부터 분리되어 제도화되었다는 점을 비판하면서 예술과 삶의 일치를 꾀한 집단적인 예술 운동이다. 아방가르드는 기존 예술의 재현 양식을 파괴하고 여러 실험을 통해 실생활을 예술적으로 재조직하고자 했다. 일제 강점기 한국에서 이러한 아방가르드의 요건과 상당히 부합하는 활동을 보여준 이는 임화이다. 그는 당시 아방가르드 예술의 급진성을 그 누구보다도 열정적으로 수용했고, 이를 소화하여 전위적이고 정치적인 시의 창작으로까지 나아갔다. 그는 창작만이 아니라 아방가르드 이론을 수용한 평론을 발표하면서 전위적인 예술 활동을 전개했다. 임화는 이탈리아 미래주의와 소용돌이파를 소개하는 평론을 발표하면서 아방가르드 이론을 수용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그는 현대의 속도와 새로움을 재현하고자 했던 이탈리아 미래주의를 비판하고, 원시적 생명력을 비재현적으로 표현하고자 했던 소용돌이파를 받아들였다. 아방가르드의 이러한 선별적인 수용을 통해, 그는 "프로문학"을 프롤레타리아의 억압된 생명력이 표출되는 문예로서 이론화했다. 또한 그는 프로문학은 아방가르드처럼 미리 정해진 양식이 없기 때문에 어떠한 "물건"도 가능하다고도 주장하기도 했다. 여기에서 프로문학이라는 "물건"을 어떻게 제작할 것인가의 문제에 봉착하게 되는데, 이때 그는 무라야마 토모요시와 마보(MAVO)의 예술론과 만나게 된다. 1920년대 중반, 일본의 예술계를 뒤흔든 무라야마와 마보는 직업예술가로서의 전문가가 되길 거부하고 비예술 영역을 횡단하면서 작품 제작을 아방가르드적으로 실천해나갔다. 이들에게 중요한 것은, "형성예술"(buildende kunst)의 제작 활동을 통해 혁명하고 창조하고 첨단에 서는 일이었다. 조각가 김복진은 마보의 예술론을 수용하여 프롤레타리아 예술운동과 "형성예술"을 결합시키려고 했다. 임화는 이를 이어받아 마보의 횡단적인 예술 활동 방식을 선전선동 활동으로 전환시켜 의식적으로 정치화하자는 주장을 폈다. 그는 "프로문학"이 현실을 담는 재현물이 아니라 아방가르드처럼 현실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현실을 변화시키려는 선전선동 예술이라고 주장했다. 그런데 임화는 선전선동 문학을 의식적으로 창작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기 위해서 프롤레타리아 생명력의 표출이라는 프로문학론에서 더 나아가야 했다. 이는 무라야마 토모요시가 다다(DADA)와 결별하고 프롤레타리아 예술로서 러시아의 구축주의를 수용하는 전환과 관련된다. 이 수용을 통해 무라야마는 기능적이고 실용적인 예술관을 받아들이게 되는데, 이 예술관은 바로 임화가 주장한 프로문학의 실용성인 선전선동과 상통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예술을 부정함으로써 예술을 미학에서 해방시키려고 한 러시아 구축주의를 수용하면서, 임화는 예술이란 범주를 완전히 지양해야 한다는 과격한 발언까지 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임화는, 기술과 실험, 재료의 조직이 사회를 전진시킨다는 러시아 구축주의의 주장을 받아들여, "프로 예술"을 세상을 바꾸는 "무기로서의 기술"이라고 정의한다. 그 이후에 그는 당시로서는 첨단적인 기술이 필요한 예술 장르인 영화계에 들어가고, 여기서 습득한 영화적 기술을 활용하여 "단편서사시"를 창작하게 된다. Avant-garde of around the First World War was the collective art movement which tried to keep a balance between art and life. It criticized the existing art as institutionalized. Avant-garde not only has destroyed the representation of the existing art but also has tried to reorganize a real life artistically through several experiments. It was Lim Hwa that did active work of such an avant-garde in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While Lim Hwa accepted the radicalism of avant-garde impassionedly at that time, he wrote the radical and political poems digesting this avant-garde. He announced not only a literary creation but also the literary criticism which had accepted avant-garde theory. Lim Hwa started to accept the avant-garde theory while publishing the literary criticism of introducing the Italian Futurism and Vorticism. But he criticized the Italian Futurism as representing the modern pace and freshness. He accepted the Vorticism of expressing the primitive life force with non-representational. He had made the "proletarian literature" as the literature expressed by the repressed life force of proletarian through selective acceptance of avant-garde. He had insisted that proletarian literature could be "something" because proletarian literature did not have fixed-method. Thus he was getting into trouble how to make the proletarian literature. At that time he met Murayama Tomoyoshi and the art theory of MAVO. In the mid-1920s, Murayama Tomoyoshi and MAVO who shook the Japanese art world had refused to be a professional artist. They had practiced the avant-garde work while going across the non-art world. It had been important for them to revolute, to create and to stand on state-of-the-art through manufacturing the "buildende kunst". Sculptor Kim Bok-jin tried to combine the proletarian art movement and buildende kunst accepting the art theory of MAVO. Lim Hwa insisted that the artistic activities ways of MAVO should be politicized consciously by converting it into the propaganda-agitation activities. He insisted that "proletarian literature" should not be the representation of reality any more but it should be the propaganda-agitation art of changing a reality like avant-garde. In order to create the propaganda-agitation literature consciously, Lim Hwa had to surpass the proletarian literature theory which expressed the proletarian life force. It was related that Murayama Tomoyoshi not only broke with DADA but also accepted Russian Constructivism as the proletarian art. Murayama Tomoyoshi accepted the functional and practical view of art. This practicality was equivalent to the propaganda-agitation of proletarian literature practicality which Lim Hwa had insisted. Accepting the Russian Constructivism which tried to liberate the art from the esthetics, Lim Hwa employed violent language to sublate the art category completely. Simultaneously accepting the Russian Constructivism which insisted that technology, experiment and material should develop the society, Lim Hwa defined the "proletarian art" as the "art for weapons" of changing the world. Since accepting the Russian Constructivism he entered the movie world which needed the state-of-the-art technology at that time. He created the "short epic" making full use of cinematic skills acquired there.

      • KCI등재

        뎀나 바잘리아의 아방가르드 정신에 내재한 패션의 의미

        고예지 ( Ko Ye Zy ),주보림 ( Joo Bo Rim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1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는 뎀나 바잘리아의 시각적 결과물에 의존한 외적인 분석을 넘어 아방가르드 예술 운동과 정신에 부합하는 개념에 근거한 학자들의 이론적 고찰에 초점을 맞추어 디자이너와 그의 작품을 분석하는 관점을 취했다. 21세기 가장 강력한 패션 아이콘이자 시대정신을 내포한 인물로 부상한 바잘리아에 대한 평가와 분석은 단시간 내 범람했다. 현재까지 이루어진 그와 관련된 연구들은 그의 시각적 결과물에 초점을 맞추거나 마틴 마르지엘라의 산물이라는 평가 또는 그가 추구하는 해체주의 면모와 유사한 분석이 주를 이루었다. 본 연구자는 바잘리아의 인터뷰와 그가 표현하는 패션 전반의 활동을 통해 20세기 가장 중요한 예술운동 중 하나인 아방가르드 예술을 설명하는 개념에 상응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역사적 아방가르드 정신의 개념적 접근과 근본적 고찰을 시도했고, 이를 근거로 룩북, 캠페인 등을 통해 발현되는 아방가르드 정신을 관찰하였다. 아방가르드 예술 운동의 근본적인 정신을 전제로 바잘리아의 패션을 관찰한 결과, 바잘리아는 패션에 굳어진 시스템을 변화시키기 위한 저항정신을 토대로 반미학적, 반부르주아적 가치관에 부합하는 이념을 지닌다. 패션의 일상성을 강조하며 삶과 유리된 예술의 무의미성을 강조했던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의 특징에 상응하는 면모를 보이며, 동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디자이너로서의 시대적 사명감을 토대로 자신의 패션디자인에 사회적, 정치적 관심을 반영하며 사회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환하고자 했던 아방가르드 예술가들과 유사한 수행자의 면모 또한 드러내고 있다. 바잘리아는 인터뷰를 포함한 패션 행위를 수단으로 자신의 정치적 편향성을 표출하는 동시에 사회적 가치의 실천적 수행자로서 자신의 의견을 전달하고 있다. 이는 자신의 세계관과 이념을 공격적이고 공공연하게 선언함으로 활동을 시작한 아방가르드주의자들과 유사한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귀결됐다. 바잘리아는 자신의 패션에 저항적, 정치적, 휴머니즘적인 사회적 가치의 관점을 표출하고 이를 실행하는 실천적 자세를 취한다. 본 연구를 통해 문화예술의 용어로부터 기인한 아방가르드의 개념을 되짚고 패션에 대한 연구 관점을 사회학 그리고 미학적 접근에 기여한 논제를 시사하고자 하는 데에 연구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designers and their works by focusing on the theoretical contemplation by scholars based on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avant-garde movement and spirit, beyond the external analysis relying on the visual achievements of Demna Gvasalia. Assessments and analyses poured out in a short time, as he emerged as the most powerful fashion icon of the 21<sup>st</sup> century and a person who reflects the spirit of the age. Until now the studies regarding him focused on his visual achievements or evaluated him as the product of Martin Margiela, assessing him based on the aspect of deconstructivism. In regard with Gvasalia’s interviews and his overall fashion activities, this study identifies that Gvasalia corresponds to the concept that explains the avant-garde movement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rt movements of the 20<sup>th</sup> century. This study attempts a conceptual approach and fundamental consideration of the historical avant-garde spirit, while observing the avant-garde spirit expressed through showcases, lookbooks, and campaigns. As a result of observing Gvasalia’s fashion on the premise of the fundamental spirit of the avant-garde movement, Gvasalia expresses an ideology that conforms to anti-aesthetic and anti-bourgeois values based on the spirit of resistance to change the system that was solidified in fashion. He displays the characteristics of avant-garde artists who emphasized the everydayness of fashion and the insignificance of art isolated from life, and also shows disciplinant characteristics of avant-garde artists in reflecting social and political interests in his fashion with the intend to make society better based on the sense of duty as a contemporary artist. Gvasalia expresses his political bias by means of fashion, including interviews, and at the same time expresses his opinion as a practical performer for social values. This results in an aggressive and open declaration of his view of the world similar to that of the avant-garde artists. Gvasalia expresses the perspective of defiant, political, and humanistic social values in his fashion and takes a practical attitude to implement them.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on the concept of avant-garde derived from the terminology of culture and arts, and to suggest a thesis that contributes to sociological and aesthetic approaches on fashion.

      • KCI등재

        러시아아방가르드 예술의 발생과 기원

        장혜진(Jang, Hye-zin)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8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6 No.-

        본 논문은 러시아 아방가르드를 대표하는 미래주의 이전의 예술경향과 그 발생과 기원에 대한 논의이다. 초기 아방가르드 예술가 그룹의 통합과 해체의 역사를 통해 아방가르드 예술이 러시아 토양에서 어떠한 고유성을 지니는지 고찰한다. 특히, 모스크바와 뻬쩨르부르그를 대표하는 두 그룹인 〈다이아몬드 잭〉과 〈청년 연합〉을 중심으로 초기 아방가르드 예술의 활동과 새로운 경향의 성립에 대해 살펴본다. 1910년에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한 〈다이아몬드 잭〉의 전시회는 매회 미술계의 스캔들로 인식된다. 유럽보다 파격적인 기법과 ‘낯선’ 도발적인 예술행보는 예술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주기에 충분했다. 당시 모스크바 예술그룹은 아무것도 상징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당나귀꼬리〉, 〈표적〉이라는 명칭으로, 사조와 상징에서 벗어나 낯선 예술로 스스로의 예술에 기념비를 세운다. 원시주의, 세잔주의, 민속화, 도시민속의 경향을 보여주는 〈다이아몬드 잭〉은 라리오노프와 부를류크의 참여로 예술에서의 다양성, 동양지향성, 자유로운 창조의 특징을 획득한다. 뻬쩨르부르그에서 주로 활동한 〈청년 연합〉은 쿨빈이 주장한 예술의 자유와 사물의 본질에 대한 예술적 연속성을 지닌다. 이들이 중요한 것은 ‘동양성’, ‘팍뚜라’, ‘우연의 원칙’을 통해 러시아 원시주의의 경향을 규정하고 예술 재료가 작품 자체의 자율성을 보장하도록 하며 자연에서 착안된 기법으로 그 예술 형식을 규정하지 않는 점이다. 이들의 7회의 전시회와 3권의 선집은 이후 활동하는 아방가르드 예술의 이론적 토대가 된다. 이와 같이, 예술 스스로의 가치와 그 이름을 새긴 기념비를 세움으로써 구시대를 거쳐 왔던 예술 자체, 스스로를 향한 제약들에 대한 타파와 투쟁이 아방가르드 예술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예술의 자유’뿐만 아니라, 자연적 세계관의 영향인 ‘정신-직관’의 두 가지 의미는 초기 아방가르드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기본적인 개념이다. 러시아 아방가르드 초기의 이런 개념들을 통해 그들의 미래예술은 종합예술(Gesamtkunstwerk)이 아닌 프쇼체스트보(Всёчество)의 미래예술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is a discussion on the tendency of art before the futurism, and it’s origins and formation. So, through the history of the unification and disintegration of the early avant - garde artists" group, it examines the uniqueness of avant - garde art in Russia. In particular, I will examine the activities of the early avant-garde arts and the establishment of new trends, focusing on the two groups of representatives of Moscow and Petrograd, that is, 〈Jack of Diamonds〉 and 〈Union of Youth〉. The every exhibition of 〈Jack of Diamonds〉, which started its activities in 1910, is perceived as an artistic scandal. At that time, the name of the Moscow art group was in the sense that it did not symbolize anything, for example, 〈Donkey’s Tail> and <Target〉. They set up their own a monument as unfamiliar arts. They show the tendency of Primitivism, Cenzanism, Folklorization, urban’s folklore, and With the participation of Larionov and D. Burliuk, they acquire the characteristics of diversity and creation of free in art, orientalism. 〈Union of Youth〉, which mainly works in Petrograd, has an artistic continuity with the freedom of art and the essence of objects claimed by Kulbin. The important thing is that they define the tendency of Russian primitivism through "Faktura" and "principle of chance". Their 7’s exhibitions and 3 anthologies are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avant-garde art in the future. In this way, the aim of avant - garde art i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art itself and the constraints on itself that have been through the old age. In addition, "freedom of art" and "spirit-intuition", which is the influence of the natural world view, are fundamental concepts to understand the early avant-garde culture. In this premise of the early Russian avant-garde, their future art could be understood not as ‘Gesamtkunstwerk’, but as ‘Everythingism’.

      • KCI등재

        아방가르드, 네오-아방가르드, 새로움의 정치학

        진휘연(Whuiyeon Jin) 현대미술사학회 2013 현대미술사연구 Vol.0 No.34

        This paper explores the history of the avant-garde as the major concept for the 20th century art and attempts to find its’ possibility as a valid discourse for the art today. One of the military terms, “avant-garde” became a cultural metaphor and has been adopted by literatures and art since the 16th century. However it has been defined as the politically critical perspective to society both in concept and practice by Saint-Simon in the 19th century. In the Theory of the Avant-garde (1974), Peter Buger provided the theoretic hypothesis based upon Saint-Simon and Frankfurt school, in particular, Adorno and Benjamin. He opposes to Greenbergian concept of modernism, especially criticizing the autonomy which excludes art from the society and hinders art from criticizing the Bourgeois society. Buger categorizes historical avant-garde separating from Modernism; Dada, Surrealism, Russian avant-garde, and Futurism all reject traditional aesthetics and negate autonomy while trying to reconnect social aesthetics and art. In addition, Burger was eager to criticize de-modern art movement since 1950s due to repeating historical avant-garde. He blamed it as anti-avant-garde, because it institutionalized and systematized the historical meaning of avant-garde. Regarding Burger’s neo(post)-avant-garde theory, Hal Foster, rebuked his idea, proposing repetition is not a negative term. He proclaimed that as Freud theorized in “trauma”, repetition makes things recognized. Therefore, neo-avant-garde produces real meaning repeating historic avant-garde; besides, the latter could not be marked in the history without the former. Whatever the differences of their theories, avant-garde is not a historic period or style; nor aims only for the negation of the convention and ideology. Even though avant-garde is regarded as the best terminology for framing something new, Rosalind Krauss, Hal Foster, and Jacques Derrida doubt if there is anything new in the history of art. It is semiotic false if there is perfect newness. In this perspective, “newness” is never been satisfied. Avant-garde, related to the newness, could not be grouped based upon its political or formal characteristics. In this circumstance, I suggests, avant-garde is still valid for individual experience for something special and meaningful. For example, the Swiss architect Peter Zumthor’s Bruder Klaus Field Kapelle, a private chaple in mid-Germany, has been built in unique method with help from the neighbors of the town. Zumthor designed and worked from his inspiration coming from his own memories of every day materials. Setting a fire from inside of the chapel consisting of 120 tree logs below concrete wall, the whole church has unique features and elements, that stimulate the viewers’ senses. Smell, color black, surface textures, and light above, all provoked each viewer’s memories and experiences. Avant-garde is working expressing something unique and special, which might have aroused a new emotions and ideas. Neither a historic category, nor socio-political critical stands, avant-garde could help to expands artistic (re)production in the 21stcentury.

      • KCI등재

        시의 혁명과 시적 혁명 : 심미적 아방가르드와 ‘온몸의 시’로서의 아방가르드

        김승희(Kim Seung-Hui) 한국시학회 2007 한국시학연구 Vol.- No.20

        Avant-garde art brought the energy of a full transformation to Korean poetry, which was bogged down in traditional lyrical conventions. The impulse provided by the avant-garde, violating the standard artistic norms, produced many experimental texts in a quest for constant renewal. Studies of the avant-garde in Korean poetry have so far mainly been conducted in terms of Modernism. Taking the tendency toward Dadaism found in the early poems of Im Hwa or Jeong Ji-Yong in the 1920s, the influence of Futurism and Cubism in the concrete or visual and numerical poems by Yi Sang in the 1930s, surrealist texts expressing in prose the flow of the unconscious by free association and the absence of spacing between words, or the surrealist poetry of Jo Hyang in the 1950s, etc. the specific avant-garde artistic quality is defined. However, although the texts and poetic theories of the poet Kim Su-Yeong in the 1960s are clearly avant-garde, they present slight differences from the previous forms of avant-garde poetry. In his 'full-bodied poetics' or his 'anti-poetics,' Kim Su-Yeong rejected the forms of literature that were Modernist only in technique, advocating at the same time a text into which physicality had been integrated and a revolution of society. Kim Su-Yeong's antipoetics is very similar to the poetics of negation of Julia Kristeva. She linked the conflict between the symbolic and the semiotic and the physical to the production of text as she explicated the nature of avant-garde poetry. She stipulated that avant-garde texts do not simply violate the standards of previous aesthetics, they rather express a challenge to the symbolic structures governing society as a whole, as a revolutionary dream. Invoking the theoretical positions of Julia Kristeva, it is proposed to express this distinction by terming the avant-garde poetry that simply violates aesthetic norms 'a revolution in poetry' and the poetry that calls for a radical transformation of society as a whole, as Kim Su-Yeong's 'full-bodied poetry' does, 'a poetic revolution.' In his "Full-bodied Poetics," Kim Su-Yeong wrote "Poetry is not written with the head, nor with the heart, but with the whole body." He went on the say, "Modernity in poetry should not be pursued by poetic techniques but with the whole body." That is to say that the advanced poetry dreamed of by Kim Su-Yeong demands the integration into the text of the physicality that had been eliminated by the symbolic. That (the physicality of the pre-oedipal conflict) endows the text with a vigorous conflictual rhythm or libidinal energy and, although paradox and irony produce a confusion of meaning, at the same time they also introduce the dream of a revolution attacking and rejecting previous systems. A subject that disturbs and threatens a subject that has been secure in the order of previous systems, producing a divided subject, gives rise to dreams of a new world, one that does not as yet exist. Therefore Kim Su-Yeong came to assert that: "all advanced poetry is subversive poetry." It is also possible to affirm that this is very close to a practice of what Kristeva called 'poetic revolution.' Seen in this way, it becomes possible to include the ballads of Kim Ji-Ha, such as Ojeok (Five Thieves), or the calls for anti-capitalistic detachment or bohemian freedom of a Kim Jong-Sam or Cheon Sang-Byeong, and the feminist confessional poems of the 1980s, among earlier examples of avant-garde poetry.

      • KCI등재후보

        현대 패션에 표현된 로맨틱 아방가르드 특성연구

        안광숙 ( An Kwang Sook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5

        본 연구는 현대 패션에서 끊임없이 변화를 추구하는 아방가르드와 서로 대조되는 회고적 성향의 로맨틱 이미지가 혼합되어 나타난 새로운 로맨틱 아방가르드의 개념과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방가르드 예술과 로맨틱 예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대표적인 아방가르드 패션디자이너들의 작품을 분석하여 공통적인 로맨틱아방가르드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여성적인 로맨틱과 창의적인 아방가르드가 조화된 신개념인 로맨틱 아방가르드의 특성은 기존의 정형화된 이미지와 형태에서 벗어난 해체성, 현대의 기술과 디자인을 결합시켜 과거의 풍요로움을 재현한 역사성, 탈 패션의 특성이 로맨틱한 요소와 상호 절충되어 나타난 다양한 감성과 시대성을 반영한 혼합성, 디테일의 과장된 장식과 신소재 결합에 의한 환상적이며 화려한 형태의 장식성 등으로 표현되었다. 연구 결과 로맨틱 아방가르드는 변화하는 현대 패션이 다양한 패러다임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고, 패션이 소극적 영역을 넘어 적극적 예술영역으로 확대되고 패션의 새로운 흐름의 기초를 마련해 주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oncept and properties of romantic avant-garde by grafting the avant-garde that is continuously seeking for changes in modern fashion to the romantic image having retrospective tendency that conflicts with aforesaid avant-garde. For this, the works o representative avant-garde fashion designers were analyze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avant-garde art and romantic art and the common properties of romantic avant-garde were deduced. As the result, the properties of new-concept romantic avant-garde in which feminine romantic avant-garde and creative avant-garde is harmonized were expressed in terms of deconstructivity that deviates from traditional formal images and shapes, historicity that expresses past abundance by combining modern technologies with designs, syncretism that reflects various kinds of sensibility and times with compromise of the properties of ex-fashion and romantic elements, and ornamentality that shows fantastic and splendid shapes in which exaggerated ornaments of diverse details and new materials are combined. This study on romantic avant-garde provided the foundation of new flows of fashion by showing diversely changed paradigms of modern fashion and by expanding the artistic area of fash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