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아로니아 분말 첨가 스펀지케이크의 품질 특성

        임은정(Lim Eun Jeong) 한국식공간학회 2017 식공간연구 Vol.12 No.1

        본 연구에서는 아로니아 분말의 첨가량을 밀가루의 중량 비율에 비해 3%, 5%, 7% 및 9%의 비율로 첨가하여 만든 스펀지케이크의 물리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비중은 3% 첨가구에서는 대조구와 큰 차이 없게 나타났으나 5% 첨가구부터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아로니아 분말 첨가 스펀지케이크의 굽기 손실과 수율은 첨가구들 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아로니아 분말 첨가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스펀지케이크의 색은 어두워졌고 붉은색을 띄는 변화를 보였다. 밝은 정도를 나타내는 L값은 대조구가 다른 첨가구들에 비해 높게 평가되었고 아로니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아로니아 분말 9% 첨가구에서는 유의적으로 가장 어두운 색임을 알 수 있었다(p<0.05).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대조구가 가장 낮았으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아로니아 분말 첨가량이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아로니아 분말 첨가 스펀지케이크의 texture 특성으로 경도(Hardness), 탄력성(Springiness), 응집성(Cohesiveness), 점착성(Gumminess)과 씹힘성(chewiness)을 측정하였다. 대조구의 경도는 아로니아 분말 첨가 비율 증가에 따라 유의적 차이를 보이며 점차 감소하였다. 응집성 대조구가 가장 높았으며 아로니아 분말 첨가 량이 증가함에 따라 다소 감소하였다. 탄력성, 검성과 씹힘성은 대조구와 3% 첨가구에서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5% 첨가구부터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아로니아 분말을 첨가해서 구운 스펀지케이크의 색, 향기, 조직감, 맛, 전반적인 기호도에 대한 관능적 특성을 검토해본 결과 향기를 제외하고 모든 부분에서 아로니아 분말 5% 첨가구가 가장 선호도가 높게 유의성(p<0.05) 있는 결과가 보여 아로니아 분말 첨가 스펀지케이크의 관능적 우수성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ponge cake with Aronia melanocarpa powder. To evaluate the physical and sensory analysis, the Aronia melanocarpa powder was added to wheat flour by various ratio (3, 5, 7, 9%, w/w). The specific gravity and loss rate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Aronia melanocarpa powder. The crude protein and ash levels in the sponge cakes increased linearly with the addition of 0-9 g of Aronia melanocarpa powder/100 g of wheat flour. For the crumb color values, lightness (L) and yellowness (b)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Aronia melanocarpa powder whereas redness (a)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In the texture analysis,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ere increased, but cohesiveness and resilience were reduced by the addition of Aronia melanocarpa powder. Whe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5% Aronia melanocarpa sponge cake showed the highest sensory properties except for color. Therefore, the results suggested that 5% Aronia melanocarpa sponge cake could be helpful in improving physical quality and taste.

      • KCI등재

        아로니아 잎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소재 개발

        이정민,유민정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8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6 No.2

        Purpose: To determine the anti-oxidant, whitening, anti-inflammatory and collagen synthesis effects of Aronia melanocarpa (A. melanocarpa) leaf extracts for use as cosmetic ingredients. Methods: Ethanol and hot water leaf extracts of A. melanocarpa were used as test samples.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the leaf extracts were quantifi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leaf extracts was measured using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The whitening effect of leaf extracts was measured in the mouse melanoma cell line B16F10. The inhibitory effect of leaf extracts on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was measured using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mouse macrophages. The amount of procollagen synthesized with and without leaf extracts was measured in human dermal fibroblasts (HDF) using ELISA. Result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in the ethanol and hot water leaf extracts of A. melanocarpa were 167.46±1.03 μg/mL and 79.04±1.01 μg/mL, respectively, and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105.15±1.22 μg/mL and 52.21±1.13 μg/mL, respectivel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ethanol extracts was higher than that of hot water extracts. In the mouse melanoma cell line B16F10,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nd melanin inhibition rate using 100 μg/mL ethanol extracts and 100 μg/mL hot water extracts were 21% and 24%, 18% and 18%, respectively.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nd melanin inhibition induced by α-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α-MSH) were higher in ethanol extracts than in hot water extracts.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ethanol extracts, measured as the inhibition of NO production in LPS-stimulated RAW 264.7 mouse macrophages, was higher than that of hot water extracts. Procollagen synthesis was lower than the positive control group due to the respective 58% and 41% increases in procollagen synthesis with the concentration of 200 μg/mL. Conclusion: Data showed that A. melanocarpa leaf extracts isolated using ethanol exhibited higher anti-oxidant, whitening, antiinflammatory, and collagen synthesis effects than those isolated using hot water. Thus, ethanol leaf extracts can be considered as a candidate for use as ingredients in cosmetic products. 목적: 아로니아 잎 추출물의 화장품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항산화, 미백, 항염증, collagen 합성량을 측정하였다. 방법: 아로니아 잎을 에탄올, 열수 추출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능과 총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B16F10 mouse melanoma 세포주를 사용하여 미백효과를 측정하였다. 마우스의 RAW 264.7 대식세포에 lipopolysaccharide (LPS)를 처리하여 nitric oxide (NO) 억제 효과를 확인 하였으며, human dermal fibroblast (HDF)에서 ELISA kit를 이용하여 procollagen 합성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아로니아 잎 에탄올, 열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167.46±1.03, 79.04±1.01 μg/mL으로 확인되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05.15±1.22, 52.21±1.13 μg/mL로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아로니아 에탄올 추출물의 효과가 높게 확인되었다. B16F10 세포에서 아로니아 잎의 tyrosinase 저해활성 및 melanin 저해율의 경우, 에탄올 추출물이 100 μg/mL 농도에서 21%, 24%의 저해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열수 추출물은 18%, 18%의 저해 효과가 확인되었다. α-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α-MSH) 유도에 의한 tyrosinase 저해활성 및melanin 저해율도 아로니아 에탄올 추출물의 효과가 더 높게 확인되었다. 아로니아 잎의 항염증 효과는 에탄올 추출물의 NO 생성억제능이 더 우수하였다. 아로나이 잎 에탄올, 열수 추출물의 200 μg/mL 농도에서 각각 58%, 41%의 procollagen 합성이 증가하여양성대조군 보다는 낮은 procollagen 합성이 확인 되었지만 HDF 세포에서 procollagen 합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주름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 아로니아 잎은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 보다 항산화, 미백 그리고 항염증 및 collagen 합성 효과가 더 우수하였으며,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하리라고 생각된다.

      • KCI등재

        단양지역 아로니아 재배 품질 향상을 위한 기상 및 기후학적 특성

        문윤섭,강우경,정옥진,김선미,김다빈 한국지구과학회 2017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8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meteorologicalclimatic factors and fruit property data from Aronia sampling points during May to August 2016 in the Danyang area.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d the meteorological factor, the physicalchemical property of fruit and soil, and the property change of fruit according to the setting of rain and daylight shielding from Aronia sampling points. The result indicate that first, meteorologicalclimatic factors such as the maximum air temperature, the accumulated precipitation, the relative humidity, and daylight hours are a positive influence on products and maintenance of quality of Aronia as well as a suitable field for cultivating Aronia in the Danyang. However, a strong wind in April and May deeply affects the falling phenomenon of the flowering and blooming season. Second, the quality and products of Aronia show the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of more than 0.9 with agricultural meteorologicalclimatic factors such as daily maximum temperature, daily soil temp, daily soil pH, cumulated precipitation, and daily soil humidity. Also, they can be predicted by the regression equations using these factors. Third,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rain shielding in these fields because antocyanin and saccharinity components within Aronia decreased in case of heavy rainfalls. And,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saccharinity and antocyanin within aronia from normal fields and rain shieldingfields at Aronia sampling points show a high correlation, respectively. 본 연구의 목적은 2016년 5월에서 8월 기간 동안 단양지역의 아로니아 표본 재배 농가들을 대상으로 기상·기후학적 인자와 아로니아 과실 특성과의 관계를 조사·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아로니아 표본 재배 농가들로부터 기상 요소, 과실과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조건, 비가림 및 해가림 설치에 따른 과실의 특성 변화 등을 조사한다. 그결과로서, 첫째, 단양지역의 최근 최고기온, 누적강수량, 상대습도, 일조시간 등의 기상·기후 인자가 아로니아 재배 적지뿐만 아니라 일정한 품질 유지 및 생산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하지만 4월과 5월의 강풍은 아로니아의 개화기및 만개기의 낙화현상에 큰 영향을 준다. 둘째, 아로니아 품질과 생산량은 일최고기온, 일토양온도, 일토양 pH, 누적강수량, 일토양습도 등의 농업 기상·기후 인자와 0.9 이상의 높은 상관을 나타낸다. 그리고 이들 인자들을 이용한 회귀식을 통해 그 품질과 생산량을 예측할 수 있다. 셋째, 강수량이 많은 경우에 아로니아의 당도와 안토시아닌 성분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과일 변색기 이후에는 비가림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아로니아 표본 농가의 노지 및 비가림재배 시에 당도와 안토시아닌 성분 간 회귀분석 결과는 모두 높은 상관을 나타낸다.

      • KCI등재

        아로니아 비가식 부위로부터 기능성 바이오융복합 소재 개발을 위한 폴리페놀의 추출 공정 최적화

        김혜림,김연아,인만진,채희정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2

        Polyphenols extraction conditions including extraction solvent, temperature, pH and time were optimized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bio-convergence materials using non-edible parts of Aronia melanocarpa including its berry. Water, ethanol, and methanol were used for the extraction of polyphenol from aronia leaves, stem and twigs. Water was selected as an extraction solvent because water gave the highest extraction yields. Among the non-edible parts, aronia leaves had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 The polyphenol extraction conditions from aronia leaves were statistically optimized using a experimental design method: reaction time of 4.5 h, extraction temperature of 79.3℃, and pH 7.2. These optimized extraction conditions could be used for the production of functional bio-material. 기능성 원료로 사용되는 아로니아 열매를 포함하여 열매 이외의 비가식 부위를 이용하여 바이오 융복합 소재로의 개발을 검토하기 위하여 폴리페놀의 추출 공정변수인 추출 용매, 온도, pH, 시간 등의 추출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아로니아 부위별(열매, 잎, 가지, 송이가지)로 물, 에탄올, 메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하여 총 폴리페놀 추출율이 가장 높은 물을 추출용매로 선정하였다. 비가식 부위 중 가장 높은 총 폴리페놀 함량을 보인 아로니아 잎을 폴리페놀의 주원료로 선정하였고, 실험계획법을 이용하여 비가식 부위인 잎의 폴리페놀의 열수 추출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그 결과 79.3℃, 4.5시간, pH 7.2에서 추출하는 것이 최적의 추출 조건이었으며 폴리페놀의 최대 추출 수율은 139.4±2.5 mg/g이었다. 이와 같이 아로니아 비가식 부위인 잎의 최적화된 추출조건은 기능성 바이오 소재의 생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녹차와 아로니아 혼합물이 난소절제쥐의 혈중 지질농도와 간지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최미자 한국차학회 2019 한국차학회지 Vol.25 No.2

        Green tea and aronia have both been identified as being healthy dietary flavonoids. Green tea and aronia can be consumed together and they may exert combined health benefits through their potential hypolipidemic effects. There have been no studie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green tea and aronia mixture. Thus, we conducted this study to determine the effects of green tea and aronia mixture when given to OVX rats. Female rats (220 g) were randomly assigned into 5 groups (sham control, OVX control, OVX green tea, OVX aronia and OVX green tea+aronia). The control group was fed an AIN-diet. The serum triglyceride concentration de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HDL cholesterol concentr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green tea+aronia group as compared to that in the other groups in OVX rats. Taken together, supplementation with green tea+aronia for 4 weeks significantly reduced triglyceride in OVX rats. In conclusion, our results highly suggest that green tea and aronia mixture when consumed by OVX rats has a beneficial effect on the lipid profile. The synergy of bioactive components such as catechin in green tea and anthocyanins in aronia can have a beneficial effect on the blood lipids. In conclusion, our study provides some synergistic health benefits of a combined intake of green tea and aronia. 노인 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심혈관질환 발병율 및 노화에 따른 여러 가지 질병이 증가하고 있다.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키는데 혈중 지질 농도를 개선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폴리페놀이 풍부한 기능성 식품이나 음료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녹차와 아로니아는 각각 카테킨과 안토시아닌이 풍부하다. 녹차에 풍부한 카테킨은 혈중 지질저하 효과를 나타내고 아로니아에 풍부한 안토시아닌도 심장질환 예방에 도움을 준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나 이들 각각의 혈중 지질 저하 효과에 대한 연구 보고는 있으나 녹차와 아로니아의 혼합 섭취시 효과에 대한 연구보고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난소절제쥐에서 녹차와 아로니아의 혼합 첨가식이가 혈중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평균 체중이 약 200 g인 Sprague-Dawley 암컷 쥐를 난소절제하여 4주 동안 실험식이를 공급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공급한 실험식이는 AIN-93G를 기준으로 했고, 녹차분말 2%, 아로니아분말 2%, 녹차와 아로니아 혼합 2% 식이를 제공하였다. 실험기간 종료 후 간과 혈액을 채취하여 혈중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과 간의 혈중 중성지방을 분석하였고 동맥경화지수를 구하였다. 그 결과 난소절제군 (OVX)내에서 녹차와 아로니아, 녹차와 아로니아 혼합 분말을 섭취시킨 경우 녹차와 아로니아를 각각 섭취시킨 경우보다 녹차와 아로니아 혼합식이군의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유의적으로 높았고, 중성지방 농도는 유의적으로 낮았다. 따라서 녹차 단독보다 녹차와 아로니아 혼합식이가 혈중 지질 개선에 유리하게 나타나 이것은 녹차와 아로니아의 혼합으로 서로 다른 폴리페놀이 기능성을 상승시킨 것으로 추측되나 이에 대한 규명을 위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녹차 소비 확대를 위하여 녹차와 다른 다양한 기능성 물질과 혼합하여 혼합차나 혼합 음료개발 및 녹차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기능성 바이오소재 활용을 위한 아로니아 비가식 부위 추출물의 생리활성 평가

        김혜림,이은지,채희정 중소기업융합학회 2020 융합정보논문지 Vol.10 No.2

        아로니아 비가식 부위(잎, 송이가지, 가지)를 바이오 기능성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부위별, 용매별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생리활성을 분석하였다. 잎과 가지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열매와 송이가지 추출물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냈고, 아로니아의 부위별 항산화능(DPPH 래디컬과 ABTS 래디컬 소거능)을 분석한 결과, 열수추출물과 메탄올추출물 두 경우에서 가지, 잎, 열매, 송이가지의 순으로 활성을 나타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을 평가한 결과, 열수추출물은 열매, 잎, 가지, 송이가지의 순으로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으며, 메탄올추출물의 경우 가지, 잎, 열매, 송이가지의 순으로 저해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Nitric oxide 저해활성은 열수추출물과 메탄올추출물 두 경우에서 열매, 잎, 가지, 송이가지의 순으로 높았다. 결론적으로 아로니아 가지와 잎은 항산화, 미백 및 항염증 활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고,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화장품 등의 바이오 헬스케어 제품의 기능성 바이오소재로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water and methanol extract from Aronia melanocarpa berry, leaf, stem and twig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for a bio-functional material. The polyphenol content of leaf and twig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berry and stem extracts. DPPH radical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both extracts, were measured in order of twig, leaf, berry and stem.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water extract were measured in order of berry, leaf, twig and stem. Those of methanol extract were measured in order of twig, leaf, berry and stem. The nitrite-scavenging ability of water and methanol extract were measured in order of berry, leaf, twig and stem. Consequently it was shown that the non-edible parts of aronia, leaf and twig, had antioxidant activities and nitric oxide scavenging activities. It is expected that these materials could be used as functional bio-materials in bio-health care products including cosmetic products.

      • KCI등재

        아로니아를 첨가한 고기능성 스펠트 밀가루 식빵의 기호도 분석

        이선구(Seon-gu Lee) 한국조리학회 2017 한국조리학회지 Vol.23 No.2

        아로니아는 항산화 성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슈퍼베리로서 그 영양학적 가치로 인해 많은 관심과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펠트 밀가루에 아로니아를 첨가하여 나타나는 가공적성을 pH와 발효팽창율을 중심으로 측정하였으며, 일반인을 대상으로 아로니아 첨가에 따른 기호도를 조사하였다. 산도측정 결과, 아로니아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pH 값이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발효팽창률에 있어서 아로니아를 첨가한 반죽의 부피는 아로니아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보다 약간 작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아로니아를 첨가한 빵의 기호도 조사 결과, 아로니아가 3% 첨가되었을 때는 맛에서 가장 많은 기호도가 나타났다. 색깔과 향기 그리고 전반적 호감도에서는 아로니아가 6% 첨가되었을 때 가장 많은 기호도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스펠트 밀가루 식빵에 대한 아로니아 성분의 적정 배합비율은 6%로 선정되었다. Aronia is a superberry that contains antioxidants. Due to its nutritional value, it has received much attention and has been widely researched. In this study, the proportion of aronia powder applied to spelt wheat flour was measured with the pH ratio of the additive and respondents’ preference was examined for the preferred addition to the additive population. As a result of the acidity measurement, the pH value tended to decrease as the amount of aronia powder was increased. As for the fermentation expansion rate, the volume of the dough added with aronia powder was measured to be slightly smaller than that without addition of aronia powder. Preference of breads with aronia powder added showed higher preference when 6% was added compared to when 3% of aronia powder was added. As a result of preference survey of breads containing aronia powder, the most preference was given to taste when 3% of aronia powder was added. Color, fragrance, and overall acceptance were the most preferred when 6% of aronia powder was add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optimal mixing ratio of aronia powder to spelt flour bread was selected to be 6% of aronia powder.

      • KCI등재
      • KCI등재

        선형가속기 6 MV X선에 조사된 흰쥐의 간에서 아로니아의 방사선 방호효과

        이준행(Jun-Haeng Lee) 한국방사선학회 2020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4 No.2

        방사선이 조사된 흰쥐의 간에서 아로니아의 방사선 방호효과가 나타나는가를 혈청검사를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동물은 (체중 200~250g) 수컷 흰쥐 5마리씩, 1군으로 정상군, 5 Gy 방사선대조군은 2군, 5 Gy 방사선조사 아로니아 실험군은 3군으로 설정하였다. 정상군 1군(A)은 일반식을 투여하고 방사선 조사를 실시하지 않고, 대조군 2군(B)은 일반식을 투여하여 방사선 조사를 하였고, 실험군 3군(C)는 방사선조사 전 14일 동안 아로니아, 경구투여량(100 mg/kg/day)로 1일 2회씩 50 mg/kg/day로 증류수에 희석하여 각각 흰쥐에 14일 동안 쥐용 존데를 이용하여 경구투여 후 방사선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서 Linac (선형가속기) 6 MV X선 치료장치를 사용하여 5 Gy 방사선이 1회 전신조사 된 흰쥐의 혈액을 채취하여 간에 관련된 5가지 혈청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통계분석은 분산분석(ANOVA test)를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실험분석을 확인한 결과는 아로니아의 간에 대한 방사선방호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ALB (P > 0.05)는 유의성이 없고, TP (P < 0.05)는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확인되었다. 향후에는 다양한 검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aimed at figuring out if there were the radioprotection effects of aronia on livers of laboratory rats radiated through serum test. For the objects of animal testing, one group consists of five male laboratory rats (weight 200~250 g), and the groups were set as follows: Group 1, normal; Group 2, 5 Gy radiated control group; and Group 3, 5 Gy radiated experiment group with aronia. Group 1(A) was prescribed with ordinary meal without radiation while the control group, Group 2(B) was prescribed with ordinary meal and radiation, and the experiment group, Group 3(C) was orally prescribed with aronia (daily oral dosage: 100 mg/kg/day) diluted with distilled water at the amount of 50 mg/kg/day twice a week, using oral zonde needle for rats for 14 days before being radiated, and then, radiation were made on them. For the study, using Linac (Linear Accelerator) 6 MV X-ray therapy device, rats were irradiated on their whole bodies once, and their blood was sampled for conducting five blood serum tests with regard to liver. For statistical analysis, ANOVA test was conducted. In conclus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seemed that there were no the radioprotection effects of aronia on liver. However, it was confirmed statistically that ALB (P>0.05) showed no significance and that TP (P<0.05)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t is expected that there should be more tests in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