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아동복지시설 종사자는 보호대상아동의 원가정복귀 체계를 어떻게 바라보는가?

        김진숙,정선욱,정선영,강지영 인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2 사회과학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 아동보호전문기관, 가정위탁지원센터등 위기 아동을 보호하는 아동복지시설 종사자들의 보호대상아동 원가정복귀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2020년 8월부터 10월까지 아동복지시설 종사자 62명으로 구성된 12개의 FGI를 실시하여 원가정복귀 과정의 당사자 및 관련 체계별로 드러난주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원가정복귀와 관련된 업무수행 과정과 맥락에서, 이들의 원가정복귀체계(아동, 원가정, 대리보호체계, 공공아동보호체계)에 대한 인식이 혼재되어 있고, 각 체계에 대해 상반되는 관점이 대별되고 있었다. 아동에 대해서는 ‘혼란은 당연한 것’과 ‘혼란은 부적응’, ‘원가정복귀 의사에 일관성 없음’과 ‘현실적인 판단과정’, ‘피해자로 보임’와 ‘원인제공자로 보임’으로 대별되었고, 원가족에 대해서는일종의 낙인효과가 반영되어 ‘지원받을 권리’라는 인식과 ‘지원받는 것이 목적’이라는 인식, ‘법이 보장하는 부모의 권리’로 인정해야 한다는 입장과 ‘의무가 이행될 때 권리도 인정’된다는 관점으로 나뉘어졌다. 대리보호에 대해서는 ‘부모를 대체하는 것이다’와 ‘부모를 대신할 수 없다’, ‘여기가 지원이 더 많은데’과 ‘그래도가족과 함께’, ‘아동만 잘 키우면 된다’와 ‘원가족도 살펴야한다’로 대별되었다. 공공아동보호체계에 대해서는 ‘행정적 권위’에 대한 기대와 우려, 마련된 제도적 환경 ’ 에 대한 기대와 ‘ 미흡한 실천적 환경 ’ 에 대 한 우 려 로 대별되었다. 이러한 상반된 관점들은 원가정복귀와 관련되어 종사자나 시설마다 다른 지향을 갖게 할 수 있으며, 원가정복귀 결과에 대한 성과의 차이를 가져올 가능성이 있으며, 정책적 합의를 이루는 데에도 저해요소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원가정복귀에 대한 아동보호체계 종사자 교육, 대리보호체계에 대한 정체성 전환, 공공체계에 대한 실천적 환경 마련 등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아동복지종사자 통합교육을 위한 역량모델 개발

        조소연,유지희 한국아동복지학회 2023 한국아동복지학 Vol.72 No.1

        본 연구는 아동복지종사자 통합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아동복지종사자의 교육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문헌연구와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바탕으로 아동복지종사자 역량모델을 설계하고, AHP 분석을 통해 역량의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전문가 델파이 조사 결과, 8개의 역량군과 각각의 역량군에 따른 35개의 세부 역량군을 도출하였다. 리더십 영역은 크게 조직관리 역량과 자기관리 역량으로, 직무공통 영역은 아동복지 기본 역량, 실천 역량, 행정 역량으로 구분하였으며, 전문 영역은 아동돌봄 역량, 아동보호 역량, 아동학대개입 역량으로 구분하였다. 아울러 도출한 역량을 AHP 조사를 통해 가중치를 부여하여 우선순위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아동복지종사자 통합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아동복지시설 종사자의 코로나19 감염 예방 실천 영향요인

        노충래(Nho, Choong Rai),최려나(Cui, Li Na),김현진(Kim, Hyun Jin) 한국아동복지학회 2021 한국아동복지학 Vol.70 No.2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아동복지시설에도 장기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복지시설 종사자의 개인적 특성과 시설 특성이 코로나19 감염 예방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에 따른 아동복지의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 지역아동센터, 드림스타트 종사자 336명을 임의 표집하여 전자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에 따른 집단간 차이 및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여성이 남성보다 코로나19 인식 및 직무 스트레스가 높았고, 직책 중 사례관리사의 실천수준이 낮았다. 둘째, 기관 운영체계 중 유연/재택근무가 불가능한 시설이 가능한 시설보다 직무 스트레스가 높았다. 또한, 강사 대신 프로그램을 직접 진행하는 종사자 집단이 감염 예방 실천 및 직무스트레스가 높았고, 강사 대신 프로그램을 진행하지 않는 종사자 집단은 감염관리 수준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근무 시설유형과 코로나19 인식이 코로나19 감염 예방 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를 바탕으로 코로나19 이후 아동복지시설과 종사자 차원에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하였다. As the pandemic persists, it continues to have an impact on child welfare agencies. However, literature on this topic remains scarc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raw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for Korean child welfare by examining how various characteristics of both child welfare workers and agencies affect COVID-19 prevention practice among child welfare workers in Korea. For this purpose, we recruited 336 child welfare workers (from residential care facilities, group homes,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and Dream Start centers) using a purposive sampling method. The analyses were conducte4d in two ways. First, we tested group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COVID-19 recognition, job stress, and COVID-19 prevention practice by the child welfare worker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we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predictive factors for COVID-19 prevention practi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emale workers reported higher levels of COVID-19 recognition and job stress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Second, workers at agencies that provide neither flexible work schedules nor home-based work reported higher levels of job stress than their counterparts. However, workers with a substitute worker to run programs reported higher levels of COVID-19 prevention practice and job stress, and those without a substituted worker reported higher levels of COVID-19 management than their counterparts. Lastly, type of agency (residential vs non-residential facility) and COVID-19 recogni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factors for COVID-19 prevention practice. In other words, workers at a residential facility with higher COVID-19 recognition reported higher COVID-19 prevention practice. Based on the results, we present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for child welfare including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care for child welfare workers.

      • KCI등재

        아동복지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직과 조직구성원과의 상호교환관계를 중심으로

        강현아 ( Hyn Ah Kang ),모선영 ( Sun Young Mo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0 청소년복지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사회교환이론의 관점에서 조직과 조직구성원과의 교환관계에 초점을 두어 아동복지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종사자들이 조직 의사결정과정, 정보 및 자원의 공유, 동료관계 등에 얼마나 포함된 다고 인식하는지(조직에의 포함/배제)가 조직지원인식을 통해 조직몰입에 영향을 줌으로써 결과 적으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전국 가정위탁지원센터, 아동보호전문기관, 아동양육시설에서 직접 사례를 담당하는 353명의 종사자로서, 그들에 대한 정보는 우편을 통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다.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한 분석결과, 종사자들이 조직에 포함된다고 느낄수록 조직지원인식이 높아졌으며 이는 조직몰입을 높이는 결과로 이어졌고, 최종적으로 이직의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아동복지 종사자의 이직을 줄이는 데에 장기적이며 무형의 교환에 해당하는 조직의 긍정적 처우와 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The study applies theoretical concepts derived from Social Exchange theory to develop and estimate a causal model of turnover intention among front-line child welfare workers. The study argues members of an organization develop relationships with their organizations based on the norm of reciprocation. The study examines the hypothesized causal relationships among organizational inclusion/ exclusio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PO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It relies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of data from a cross-sectional survey of 353 child welfare employees within foster care, child protective services, and child residential facilities. The results shows that organizational inclusion/exclusion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POS, POS mediates their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negatively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al ap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운영 현황에 대한 고찰

        장영은 ( Youngeun J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의 아동실태와 종사자 현황 자료를 기초로 지역아동센터 운영의 종사자 측면에 대한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보건복지부에서 발행된 전국 지역아동센터 통계조사보고서의 4년간 자료를 활용하여 아동현황과 종사자 현황에 집중하여 지역아동센터의 운영 현황을 점검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들은 지속적인 증가를 보이고 있는 반면, 중, 고등학생의 이용률은 꾸준히 감소를 하고 있었다. 또한 종사자들의 근무경력은 증가 추세를 보였으나 평균근무경력은 여전히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복지사들의 사회복지사 자격 비율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여전히 20% 이상의 생활복지사는 사회복지사 자격증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지역아동센터 운영에 대한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direction for improvement in the aspect of workers in the operation of local children’s centers based on the data on the actual status of children and workers in regional children’s centers. To this end, the four-year data from the National Regional Children’s Center Statistical Survey Report issu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was used to examine the operation status of regional children’s centers by focusing on the status of children and workers. As a result of the study, while the number of children who use the local children’s center showed a continuous increase, the utilization rat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as steadily decreasing. In addition, the working experience of the workers showed an increasing trend, but the average working experience was still short. Although the percentage of social worker qualifications among living workers is showing an increasing trend, more than 20% of living workers still do not have social worker certifi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a direction for improvement was proposed for the operation of regional children’s centers.

      • KCI등재

        아동복지기관 종사자의 내재적 동기가 경력몰입을 통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현아 ( Hyun Ah Ka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1 사회복지연구 Vol.42 No.4

        본 연구는 아동복지 종사자가 자신의 일에 대한 순수한 즐거움을 동기로 그 일을 하는지, 즉 그들의 내재적 동기가 자신의 전문분야에 대한 애착을 의미하는 경력몰입을 통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아동보호전문기관, 가정위탁지원센터, 아동양육시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분석방법을 통해 353명의 아동복지 종사자의 내재적 동기, 경력만족 및 이직의도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먼저, 잠재변인이 적절한 측정변인으로 구성되었는지 측정분석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구조분석을 통해 구조모형의 변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연구가설에서 설정한 대로 내재적 동기는 경력몰입을 통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내재적 동기가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제변수들 중에서는 종사자의 월수입과 근무시간이 경력몰입과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 결과를 반영하여 모형 적합도를 높인 수정모형을 제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Based on the framework of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past relevant literature, the study develops and estimate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career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 study utilizes data from a cross-sectional survey conducted on 353 child welfare workers of the fields of foster care, child protective services, and child residential care all over the country. The study relies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method.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 the validity of measurement model. The results of SEM tests show a good fit of the proposed model. Controlling the level of salary and the working hours of the workers, the model reveals that intrinsic motiva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career commitment, and that career commitment is negatively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In other words, the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on turnover intention is mediated by career commitment.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practice and study limit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아동복지 종사자들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 소진 및 이직의도의 관계

        강현아(Kang Hyun Ah),노충래(Nho Choong Rai),박은미(Park Eun Mie),신혜령(Shin He Reo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08 한국사회복지학 Vol.60 No.3

        본 연구는 아동복지 종사자들의 이직의도에 관한 이론적 모형을 바탕으로 직무 스트레스 요인(역할갈등, 아동복지 업무고충 등)이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혹은 소진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종사자들의 스트레스 대처자원의 양에 대한 인식이 소진에 대한 직무 스트레스 요인의 부정적 영향을 완충하는지 그 조절효과(moderating effect)를 탐색하였다. 연구대상은 가정위탁서비스와 아동보호서비스 담당자들로 총 190명을 포함하였다. 통계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아동복지 종사자들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은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보다는 소진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사자들의 스트레스 대처자원에 대한 인식은 직무 스트레스 요인의 부정적 영향을 줄이는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함의를 논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rect or indirect effects through burnout of sources of work stress of child welfare employees on turnover intentions. In addition, the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resources, which was hypothesized to buffer the negative effects of the sources of work stress on burnout.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190 social workers in foster care services and child protective services. As a statistical metho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mployed.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sources of work stress affect indirectly though raising the level of burnout. The study did not fi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resource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child welfare practice were discussed.

      • KCI등재

        폭력피해를 경험한 아동복지 종사자의 외상후 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권리보호인식과 내재적 직무동기의 다중매개효과

        최려나,최현영,노충래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23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9 No.2

        본 연구는 폭력피해를 경험한 아동복지 종사자의 외상후 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자기권리보호인식과 내재적 직무동기가 이들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진은 전국의 아동양육시설, 공동 생활가정, 지역아동센터, 드림스타트 등 아동복지 관련 기관의 협조를 받아 참여 자를 모집하였으며 총 246부의 설문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아동복지 종사자의 폭력피해 경험은 외상후 스트레스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이직의도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외상후 스트레스를 통해 이직의도 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외상후 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자 기권리보호인식과 내재적 직무동기는 다중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는 폭력피해를 경험한 종사자의 외상후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기권리보호인식과 내재적 직무 동기가 낮아지고, 궁극적으로 이직의도를 높이는 효과를 보인 것이다. 이를 바탕 으로 본 연구에서는 폭력피해를 경험한 아동복지 종사자의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는 사회복지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코로나19 시기 아동복지 종사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주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23 학교사회복지 Vol.- No.64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전남지역 아동복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감정노동 및 소진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은 전남지역 아동복지 종사자 306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과 소벨 테스트(Sobel Test)를 활용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는 직무스트레스와 감정노동 및 소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구체적으로, 아동복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는 소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는데, 직무스트레스와 감정노동 모두 소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이 모델에서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끝으로 이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직무스트레스와 감정노동 및 소진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ssociations of job stress, emotional labor and burnout, and to analyze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al labor among child welfare social worke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06 child welfare social workers in Jeonnam reg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applied to analyze the data. It was found that Job stress, emotional labor, and burnout were all significantly higher for social workers who worked directly with children during COVID-19 pandemic.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job stress, emotional labor, and burnout among social workers. Specifically, emotional labor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both job stress and burnout. In addition, emotional labor had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among social worker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possible implications for reducing the job stress, emotional labor and burnout among social workers were provided.

      • KCI등재

        아동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세계시민교육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연구

        유수정,최희진,송인한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5

        최근 세계시민교육(이하 GCE)의 필요성이 세계적으로 강조되고 있으나, 아동기 세계시민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복지시설 종사자 GCE가 국내에서 부족했다. 이에 본 연구는 ⑴ 국내외 GCE 정책·현황 조사 ⑵ GCE 전문가 심층 인터뷰 ⑶ 종사자 설문 조사로 교육 욕구 실제를 분석했다. 정책분석 결과 주로 학교체계에서만 행해진 국내 GCE와 달리 세계적으로는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심층 인터뷰에서는 국내 GCE 확대의 필요성이 강조되었고, 설문 분석 결과 GCE에 대한 인지-관심-참여 의사에 경로 관계가 유의해 인지·관심 증대가 실천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이를 근 거로 GCE가 아동복지시설 종사자에게 필요한 교육임을 확인하고 AIDA 모델에 입각해 GCE 인지도를 높여야 함을 강조하였으며 GCE 구성 시 활용할 수 있는 지표를 제시하였다. Although the need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CE) has been emphasized globally, Korea lacks GCE for child welfare workers who affect children’s global citizenship. In response, this study analyzed the reality of educational needs by (a) investigat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GCE policies, (b) doing the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and (c) surveying workers. According to the policy analysis, GCE in Korea has been mainly conducted through the school system but it was conducted in various ways worldwide. The need to expand GCE in Korea was also emphasized in the in-depth interview. The survey analysis showed that the path relationship among awareness-interest-desire to participate in GCE was significant, indicating that increasing awareness and interest for GCE was effective in real action. Based on this, we confirmed that GCE is a necessary education for child welfare workers, emphasized the need to raise awareness of GCE based on the AIDA model, and presented indicators that can be used for G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