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 성소수자의 드러내기와 심리사회적 적응 간의 관계: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장미래(Mirae Jang),송현주(Hyunjoo Song) 한국심리치료학회 2021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는 여성 성소수자의 드러내기, 무조건적 자기수용, 사회적 지지 그리고 심리사회적 적응 간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드러내기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 사회적 지지를 조절변인으로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만 18세 이상 여성 성소수자를 대상으로 드러내기 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 우울 척도, 무조건적 자기수용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 앞서 연구 참여자들에게 설문에 관한 내용을 충분히 설명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들의 동의하에 설문을 시행하였다. 총 215명의 설문지 중 자신을 성소수자로 인지하지 않는 경우, 설문을 끝까지 완료하지 않은 경우, 생물학적 남성이거나 간성인 경우를 제외하고 총 151명의 설문지를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은 SPSS 20.0을 활용하여 진행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드러내기는 심리사회적 적응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드러내기와 삶의 만족도, 심리적 안녕감 변인이 동시에 증가하고 우울 변인은 감소하였다. 둘째, 무조건적 자기수용은 드러내기가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는 드러내기가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지지가 낮은 집단에 비해 사회적 지지가 높은 집단에서 드러내기와 심리사회적 적응 변인이 동시에 증가하였다. 특히, 사회적 지지는 성소수자 친구에게 드러내기가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내의 성소수자 상담에서 활용하고 성소수자를 깊이 있게 이해하는 데 기여하고자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ing out of female sexual minority,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social support, and psychosocial adjustment, and it was verified by setting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social support as the moderating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ing out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To do this, we conducted to sexual minority over 18 years a questionnaire survey using the coming out scal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the social support scale. Participants were fully briefed on the questionnaire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after obtaining consent from the participants. Of the 215 questionnaires, 151 were used as the analysis data for this study, except for those who did not recognize themselves as sexual minorities, did not complete the questionnaire, or were male or female. Analysis was conducted by utilizing SPSS 20.0,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ming out and psychosocial adjustment. In other words, satisfaction with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creases as much to coming out and depression have been shown to decrease. Seco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did not control the effects of exposure on psychosocial adjustment. Third, social support has been shown to control the effects of coming out on psychosocial adjustment. In other words, the group with higher social support than the group with lower social support showed more psychological and social adjustment with more coming out. In particular, coming-out to friends of sexual minorities is more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aim to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gender minority and to utilize it in domestic gender minor counseling.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김은경,김종남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6 다문화교육연구 Vol.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go-ident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between acculturation stresses and psycho-social adjustments. Acculturation stress scale items are designed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s, and the previous studies are reviewed to examine cont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cculturation stress show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sycho-social adjustment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ego-identity.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ego-identity between acculturation stress and psycho-social adjustment reveals that ego-identity has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between acculturation stress and psycho-social adjustment reveals that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has no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Finally,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mentioned.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 적응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 탐색하고, 그 관계를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통해 검증하였다. 빈도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결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아정체감,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고,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 적응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각 변인에 영향력이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Baron과 Kenny(1986)의 위계적 회귀분석에 따른 매개효과 검증 결과,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정체감이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iken과 West(1991)의 절차에 따른 조절효과 검증 결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즉,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심리사회적 적응과 긴밀한 관계가 있었고,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따라서 심리사회적 적응 문제를 줄이기 위해서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건강한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화명 ( Lee Hwa-myung ),김영미 ( Kim Young-mi )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9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낙인이 학교 밖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사회적 낙인과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시에 거주하는 학교 밖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첫째, 사회적 낙인은 자기개념 명확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낙인은 심리사회적 적응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개념 명확성은 심리사회적 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낙인과 심리사회적적응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학교 밖 청소년들의 심리사회적 적응 향상을 위해서는 자기개념 명확성을 포괄하는 효율적인 상담개입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사회적 낙인과 심리사회적응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봄으로써 학교 밖 청소년들의 심리사회적 적응 방안을 모색하고, 자기개념 명확성을 높일 수 있는 상담적 개입을 촉구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psychosocial adjustment in out-of-school youth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psychosocial adjustme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out-of-school youth who resided in the city of Busan,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stigma was found to have exercised a negative influence on self-concept clarity. Second, social stigma was found to have exercised a negative influence on psychosocial adjustment. Third, self-concept clarity was found to have exercised a negative influence on psychosocial adjustment. Fourth, self-concept clarity was found to have had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psychosocial adjustment.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kind of efficient counseling intervention that aims at instilling distinct self-concept as one of its goals should be provided to facilitate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out-of-school youth.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attempted to seek ways of improving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out-of-school youth and urged offering counseling intervention geared toward boosting self-concept clarity by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psychosocial adjustment.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과 심리사회적 적응 간의 관계

        이화명(Hwa-Myung Lee),김영미(Yeoung-Mi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9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낙인이 학교 밖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사회적 낙인과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시에 거주하는 학교 밖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첫째, 사회적 낙인은 자기개념 명확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낙인은 심리사회적 적응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개념 명확성은 심리사회적 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낙인과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사회적 낙인과 심리사회적응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봄으로써 학교 밖 청소년들의 심리사회적 적응 방안을 모색하고, 자기개념 명확성을 높일 수 있는 상담적 개입을 촉구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psychosocial adjustment in out-of-school youth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psychosocial adjustme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out-of-school youth who resided in the city of Busan,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stigma was found to have exercised a negative influence on self-concept clarity. Second, social stigma was found to have exercised a negative influence on psychosocial adjustment. Third, self-concept clarity was found to have exercised a negative influence on psychosocial adjustment. Fourth, self-concept clarity was found to have had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psychosocial adjustment.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attempted to seek ways of improving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out-of-school youth and urged offering counseling intervention geared toward boosting self-concept clarity by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psychosocial adjustment.

      • KCI등재

        조선족 결손가정아동의 사회적지지가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5

        김명숙(Kim, Myeong Sook),김성봉(Kim, Sung Bong),김도영(Kim, Do Young),허철수(Hur, Chul Soo) 한국비교교육학회 2012 比較敎育硏究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족 결손가정아동의 사회적지지, 탄력성, 심리사회적 적응간의 경로모형 검증과 조선족 결손가정아동의 사회적지지가 심리사회적 적응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탄력성의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중국 연길시 조선족 초등학교 4∼6학년의 결손가정아동 241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직접효과모형에서는 조선족 결손가정아동의 사회적지지가 심리사회적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으나, 탄력성을 매개변인으로 투입한 연구모형에서는 사회적지지가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선족 결손가정아동의 사회적지지, 탄력성, 심리사회적 적응간의 경로모형에서 탄력성을 매개로 한 수정모형이 직접효과모형과 연구모형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탄력성은 조선족 결손가정아동의 사회적지지와 심리사회적 적응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어 탄력성은 심리사회적 적응을 완화시켜주는 완충작용의 변인임을 시사해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외부적인 지지보다는 탄력성을 향상시켜주는 것이 결손가정아동의 정서와 행동변화에 더 효과적인 개입이 될 수 있음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a path model among social support, resilience, and psychosocial adaptation for broken family korean-chinese children, and to analyze how their social support impacts with psychosocial adaptation and the mediated effect of resilience. According to those aims, this study was done to survey of 241 in 4th∼6th graders from broken family korean-chinese children elementary school in Yanji, Chin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ir social support had meaningful influence on their psychosocial adaptation in a direct effects model, but their social support didn't have meaningful influence on the children's psychosocial adaptation in a study model with resilience as an intervening variable. Second, a correction model with resilience as a variable was more fit than a direct effects model and a study model in a path model among social support, resilience, and psychosocial adaptation for children from broken family korean-chinese children. The study shows that resilience has mediated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and psychosocial adaptation so that resilience as a variable of absorbing effect can be relieved the psychosocial adaptation. In addition, it has been argued that to improve resilience is more effective than external support for their emotions and behavioral changes.

      • KCI등재

        부모의 양육태도유형과 청소년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 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빈곤청소년과 일반청소년 집단비교를 중심으로

        임성옥,박민정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10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s on psychosocial adjustment of adolescents from low-income and average-level income families and also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parenting attitudes and psychosocial adjustment of both group adolescents. Respondents were 777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from low income and average-level income families in Pohang.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Multiple Linar Regression(MLR) model was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support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psychosocial adjustment of adolescents from low income families. In specific, peer support moderated the link between intimate-reasonble attitudes and psychosocial adjustment of adolescents from low income families. Teacher support moderated the link between neglect attitudes and psychosocial adjustment of adolescents from low income families. These results could be useful for developing the counceling and education program to assist adolescents from low income families.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이 빈곤 및 일반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조절효과를 밝히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포항의 초․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로 빈곤청소년은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학생과 중식지원자 및 교사 추천 저소득층 자녀를 대상으로 하였고, 일반청소년은 이러한 기준에서 제외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최종 연구 대상은 총 777명으로,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 간에 사회적 지지가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다중선형회귀(Mltiple Linear Regression, MLR)모형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빈곤 청소년과 일반청소년 모두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 중 친밀·합리형이 그들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빈곤청소년과 일반청소년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청소년의 경우, 부모의 양육태도와 이들의 심리사회적 적응 간에는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빈곤청소년의 경우에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빈곤청소년의 경우, 친밀․합리적인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 간에 친구의 지지가 조절효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방임적 양육태도와 심리사회적 적응 간에는 교사지지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빈곤청소년들의 심리사회적 적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 특히 친구와 교사의 지지가 유용한 개입지점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빈곤청소년과 일반청소년 간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차이는 청소년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 시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해주고 있다.

      • KCI등재

        기독 청년의 개별성-관계성이 심리ㆍ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초록,백은령 기독교학문연구회 2019 신앙과 학문 Vol.24 No.3

        본 연구는 기독 청년의 개별성-관계성이 그들의 심리적,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 학생, 직장인, 취업준비생인 기독 청년의 신분에 따라 개별성-관계성과 심리ㆍ사회적 적응이 어떠한 양상을 나타내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기독 청년의 개별성-관계성은 심리적 적응의 하위 변인인 자아존중감, 생활만족감, 고독감과 사회적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학생인 기독 청년의 개별성-관계성은 심리적 적응의 하위변인 중 자아존중감, 고독감과 사회적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직장인인 기독 청년의 개별성-관계성은 심리적 적응의 하위변인 중 자아존중감, 생활만족감, 고독감과 사회적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반면 취업준비생인 기독 청년의 개별성-관계성은 사회적 적응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볼 때 기독 청년의 개별성-관계성은 심리ㆍ사회적 적응 전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과 직장인의 경우에도 개별성-관계성이 높을수록 심리ㆍ사회적 적응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취업준비생의 경우에는 사회적 적응에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교회와 기독교계에서 기독 청년의 개별성-관계성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studied the effect of Individuality-Relatedness of Christian Youth on their psychological and social adaptation. The paper concentrated on changes regarding Individuality-Relatedness, psychological and social adaptation caused by Christian youths’ transition of social position from students, workers to job seeker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Christian Youth’s Individuality-Relatedness has significant effects on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Loneliness as sub-parameter of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Social adaptation. Youth students’ Individuality-Relatedness has significant effects on Self-Esteem, Loneliness as sub-parameter of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social adaptation. Youth Workers' Individuality-Relatedness affected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Loneliness as sub-parameter of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social adaptation. Individuality-Relatedness among Youth preparing for employment has significant effects solely on social adaptat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Christian Youth’s Individuality- Relatedness has significant importance to overall psychological-social adaptation. When Individuality-Relatedness has well developed, Christian youths can develop their social adaptation well and if they are belong somewhere, they can also develop their psychological adaptation.

      •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프로그램 만족도 및 또래관계가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원경 한국부모교육학회 2014 부모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프로그램 만족도와 또래관계가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지역아동센터의 효과성 및 그 역할을 넓히고 저소득 가정 아동의 복지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연구문제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프로그램 만족도 및 또래관계와 문제행동, 프로그램 만족 도 및 또래관계와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문제행동 변인은 사회적 위축, 사고의 문제, 주의집중의 문제와 사회적 능력 변인은 사회성, 학업수행능력의 하위척도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만 족도 및 또래관계와 심리사회적 적응 변인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프로그램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서영숙 등(2000)이 번안,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또래관 계를 측정하기 위해 한미현(1996)이 번안, 제작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심리사회적 적응 변인의 측정 은 Achenbach(1991)가 개발한 YSR(Youth Self Report)을 오경자 외(1997)가 번안하여 표준화한 한국판 자기행동평가 척도(K-YSR)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7.0을 이용하여 빈도분 석, 기술통계, t-검정,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 정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 가정이여서 경제적 어려움은 있지만 부모?형제와의 정서적 지지, 친구?공부방 선생님의 보호 및 교육, 이해와 관심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조사대상 아동의 지역아동센터 프로그램 만족도 및 또래관계와 심리사회적 적응과의 관계 에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이 프로그램에 만족도가 높을수록, 또래관계가 원만할수록 문제행동 은 감소하고 사회적 능력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아동센터 프로그램 만족도와 또래관계와의 정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이 느끼는 학습, 친구관계,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 만족도는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이에 지역아동센터가 보호, 교육, 정서적?심리적 안정감은 물론이고 아동 들의 욕구를 잘 반영하여 유익하고 질 높은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통해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

      • KCI등재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학령기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방희성 ( Bang Hee-sung ),이영애 ( Lee Young-ae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8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학령기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을 분석하여 종합적인 결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종 62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1,001개의 상관관계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자료의 코딩과 분석은 Excel 2013과 CMA 2.0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학령기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변인 전체 간의 상관관계 효과크기는 .297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학령기 아동의 심리적 적응 변인 간 효과크기에서는 부적응적 완벽주의의 상관관계 효과크기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학령기 아동의 사회적 적응변인 간의 효과크기에서는 학교적응의 상관관계 효과크기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학령기 아동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의 각 하위변인들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부적응에 대한 개입 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변인임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mprehensively between psychological control and psycho-social adjustment in school aged children by means of meta-analysis. A total of 62 research studies were sampled. From these studies, 1,001 effect sizes were correlated. CAM 2.0 and Excel 2013 were used to code and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 total effect size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sycho-social adjustment in school aged children was .289. It was a mid-range effect size. Second, on the correlation effect size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in school aged children, maladaptive perfectionism was observed to be higher than the others. On the correlation effect size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ocial adjustment in school aged children, school adjustment was higher than the others. To sum up,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ppears to be related to various aspects of psychological and social maladjustment amongst school aged children. This suggests tha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is a factor that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for intervention of child maladjustment. This study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the limitation of the current study as well as implications for further work in this field.

      • KCI등재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이영주 ( Young Joo Lee ) 한국가족복지학회 2009 한국가족복지학 Vol.14 No.2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청소년을 대상으로 그들의 한국인정체감에 따른 심리사회적 적응실태를 알아보고 그들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협하는 위험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이들 위험요인들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가족 청소년 스스로 인식하는 한국인정체감 유형에 따른 심리사회적 적응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주변인 한국인정체감 유형에 따른 심리사회적 적응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어려움을 겪게 하는 위험요인을 알아본 결과 외국인엄마요인, 학교요인, 자아정체감 요인, 친구 요인, 개인적 요인 및 가족 요인의 6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들6개 위험요인 각각이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자아정체감 요인과 개인적 요인이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외국인엄마 요인, 학교 요인, 친구요인 및 가족요인의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defines the psychosocial adjustment status of a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 and investigates the risk factors to them. The data from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related basic data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to prepare more adaptive skills as sound Koreans. The specific research procedure was first to investigate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self-identit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n I determined the risk factors which influence their psychosocial adjustment. The study find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n adolescent`s self-identity according to perceived as Korean to self. Second, six factors are considered risk factors for psychosocial adjustment: foreign mother, school relation, self-identity, friend relation, personal, and family relation. Among these, the self-identity and personal factors significantly affected psychosocial adjustment. But the foreign mother, school relation, friend relation, and family relation factor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psychosocial adjus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