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범죄심리학의 학문적 정립을 위한 주요 연구영역의 탐색

        김시업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1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the research domains of Criminal Psychology, which is needed to improve the disciplinary identity of the Korean Criminal Psychology. Some major textbooks of Criminal Psychology, Forensic Psychology, Legal Psychology are written by korean and foreign psychologists. Major definitions and research domains of Criminal Psychology was compared and reviewed. For aggregating the criminal psychological researches were studied by korean psychologists, a total of 211 articles and papers, which was published by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 Sub-psychological Associations, and Korean Law Psychological Association, were reviewed. Several the major research domains in Criminal Psychology was suggested as follows: General psychological theories, aggressionㆍangerㆍmorality, adolescent delinquency, mind and motivations of criminals, victims, investigation techniques, testimony, assessmentㆍcounselingㆍcorrectionㆍrehabilitation of criminals, prediction and prevention of crime. 본 연구는 국내 범죄심리학(criminal psychology)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로 범죄심리학이 어떤 영역들을 연구해야 되는지를 탐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서 주로 심리학 분야와 심리학자들의 연구에 한정시켜 국내외 학자들의 범죄심리학에 대한 정의, 국내외 일부 범죄심리학 교재들의 주요 장과 그 구성내용, 그리고 범죄심리학과 연구영역들이 중첩되는 법정심리학( forensic psychology), 법심리학(legal psychology)의 국내외 일부 저술들의 주요 장과 내용들을 비교분석해 보았다. 또한 한국심리학회와 5개 분과학회 등 총 6개 학술지의 창간호부터 2004년 마지막 호 또는 2005년 1호까지에 게재된 논문들과 이들 학회들 중 일부 학회와 법심리학회에서 실시한 심포지움의 주제와 발표내용들을 중심으로, 범죄심리학의 연구영역과 연구주제에 포함될 수 있다고 판단되는 내용들을 범죄심리학의 이론적 기초와 응용의 두 차원에서 분류해 보았다. 이러한 분류된 내용들을 기초로 하고, 일반인이 범죄를 행하고, 처벌을 받고, 다시 사회인으로 복귀하는 전과정을 8개 과정으로 세분하여 각 과정에 상응하는 연구영역, 관련된 심리학의 분야, 그리고 범죄심리학의 하위 분야를 제시해 봄으로써 연구자가 상정하는 한국의 범죄심리학이 주로 다루어야 될 연구영역을 탐색해 보았다. 주요 연구영역으로 범죄심리학의 이론, 일반심리학적 이론, 공격성ㆍ분노ㆍ도덕성, 청소년 비행, 범죄동기와 범죄인 심리, 범죄피해자, 수사기법, 증언, 범죄자 평가ㆍ상담ㆍ교정ㆍ사회복귀, 범죄예측과 범죄예방 등을 제시했다. 끝으로 한국 범죄심리학의 학문적 발전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했다.

      • KCI우수등재

        산업안전보건 분야에서 심리학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직업건강심리학과 산업안전보건법을 중심으로

        김경우,이지동 한국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41 No.1

        지속적인 산업재해 감소 노력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은 매일 약 5.2명의 근로자가 산업재해로 사망하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현재 산업재해는 정체상황을 겪고 있다. 특히, 그간 산업안전보건 전문가들이 초점을 맞추어 왔던 기계기구 또는 물리화학적 요인 뿐 아니라 최근에는 인간행동 역시 중요한 산업재해 발생 원인으로 고려되고 있다는 점은 심리학의 필요성과 그 역할에 대한 고민으로 이어진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산업안전보건 분야와 심리학의 현재를 확인하고, 내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심리학의 적용 가능성, 직업건강심리학을 중심으로 해외의 산업안전보건 분야와 심리학의 접목 사례 소개, 그리고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 분석을 통해 국내 산업현장의 심리사회적 위험에 대한 관심을 알아보았다.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 분석 결과, 사업장의 규모가 클수록 산업현장의 심리적 접근에 대한 요구는 높았다. 또한 다른 안전보건문제에 비해 심리사회적 위험의 해결은 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업환경/예방의학 의사, 간호사, 안전보건전문가 대비 심리학자의 전문인력 활용 현황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산업현장에 심리학자가 접근할 수 있는 법적 근거 마련, 기존 산업안전보건 전문가들과의 협업 방안, 한국심리학회와 심리학 관련 학과 차원의 노력 필요성 등을 제언하였다. 직업건강심리학을 통해 산업안전보건 분야에 심리학이 주체가 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한국의 소비자·광고 심리 연구: 내용분석으로 미래를 조망하다

        염한결,조민하,김아연,LI XINGE,정영주,이욱진,안정용,성영신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9 No.2

        The current paper aims to review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covering areas in the field of research, researcher, theoretical background of research, its objectives and methodology, and recommends future directions for consumer research. The analysis includes a total of 448 articles across 59 volumes of the journal’s 18-year history, from the publication of its first issue in 2000 to the 18th in 2017. The findings show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in academia, as well as how the research trend has evolved over the last 18 years.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although the number of articles written by the researchers from the department of psychology has been higher in proportion, the number of research conducted by scholars from others fields, such as business is increasing in trend. This phenomenon precisely reflects how communication and integration are taken more importantly in a modern day society. Second, not only exploring the linear relationship of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but also an increasing number of research examining moderating and mediating variables implies the potential progress in the relevant field of research. Third, contrary to what is mentioned earlier about interdisciplinary approach in conducting research,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most research is limited to narrow spectrum of topics in psychology. This indicates the large body of research is skewed in terms of theories used and thus, the necessity to widen scope of topics of studies in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Fourth, the majority of research today depends heavily on experimental studies, and there remains to be very few studies based on surveys, qualitative research, and biological measurements. This leads to a challenge in understanding the evolving state of consumption and a lack of research that expla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onsumers’ biological or physical traits and their consumption behaviors. Fifth, the point of consumption studied and the types of media used reveal an inadequate reflection of time. This can be supported by the fact that most of the research observes scenes prior to consumption and that print advertising is the most commonly used medium. Finally, we discuss how the research in 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has progressed over the past 18 years - its commendable components as well as areas of improvement -and provid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에 게재되었던 논문들을 대상으로 연구분야, 연구자, 연구의 이론적 배경, 연구목적, 연구방법 측면에서 그 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미래 소비자 연구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2000년 창간호부터 2017년 18권 4호까지 18년 동안 발행된 59권의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에 게재된 논문 총 448편을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는 학회지에 게재된 연구들의 전체 특성과, 동시에 18년간의 연구 동향이 어떻게달라졌는지에 대한 변화 추세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에는 심리학과 소속 연구자들에 의한 논문이 전반적으로 높은 비중을 보이나, 최근 들어 경영학과 등 다른 전공 분야의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소통과 융합이 중시되는 현시대적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다. 둘째,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간의 단선적 관계만을 규명하는 것을 넘어 조절변인과 매개변인의 역할을 보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어소비자 및 광고심리학 연구의 진화를 짐작해볼 수 있다. 셋째로, 앞서 말한 다양한 소속에서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과 상반되게 대부분의 연구가 폭넓은 심리학이론을 기초로 하여 진행되었다기보다는 특정영역 이론에 치중되어 있었다. 특히 성격심리학, 인지심리학, 사회심리학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연구가 대다수여서 연구주제의 편중성이 보이며 소비자 및 광고심리학의 외현 확대가 절실하게 필요한 시점이다. 넷째, 조사연구, 질적연구방법, 생리적 측정을 기반으로 한 연구들이 매우 적으며 대부분의 연구가 실험연구에 의존하고 있다. 방법론의 편중은 곧 특정주제의 축소를 초래하게 되어, 변화하는 소비 현황을 폭넓게 파악하기 힘들며 혹은 소비자의 심리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연구가 부족하게 된다. 또는 소비자의 생물학적, 신체적 특성이 소비자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에 대한 연구 역시 수행하기 어려울 것이다. 다섯째, 소비시점 또는 매체활용에서 시대반영이 미흡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대부분의 연구가 구매전에 이뤄지는 현상을 보고 있으며 매체종류로 인쇄광고를 많이 활용하고 있다는 것은 이를 뒷받침한다. 끝으로 내용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18년간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연구가 어떻게 발전해왔는지를 분석한 후, 그중 바람직한 측면과 아쉬운 측면을 논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제시를 논의 부분에서 다루었다.

      • KCI등재

        후설과 프레게의 반심리학주의

        양영운(Young Woon Yang)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1 철학탐구 Vol.30 No.-

        이 글의 목적은 후설과 프레게의 심리학주의 비판의 차이점을 밝혀 보는 동시에 그 차이점으로 인해 그들이 어떻게 각기 다른 경향의 철학으로 나아가게 되었는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이들 두 철학자의 철학체계 전반에 대한 올바른 이해의 출발점을 마련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후설과 프레게는 모두 논리학과 수학의 정초에 대한 문제를 통해 심리학주의 논쟁에 깊이 관여하고 있었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이 있었으나, 프레게는 자신의 철학에서 심리학을 철저히 배제한 후에, 대상 그 자체에로 시선을 돌려 객관적인 사상(Gedanke)의 세계로 나아가게 된 반면에, 후설은 여전히 심리학적 탐구의 유용성을 유지해 나가면서 대상 그 자체가 아닌 대상을 인식하는 의식에로 시선을 돌리게 된다. 그 결과 후설은 심리학주의 비판을 통해 객관적인 인식의 가능성을 문제 삼는 인식론 나아가 선험철학으로서의 현상학적 철학의 방향으로 나아가게 되었고, 프레게의 경우에는 심리학주의와의 논쟁을 벌이면서 수리논리학에서 출발하게 되는 분석철학이라는 새로운 사조의 철학을 형성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riticisms levelled by G. Frege and E. Husserl against psychologism with special emphasis on clarifying in what respects their criticisms differ. Husserl and Frege got involved in the controversy over psychologism in the course of their attempts to lay a firm foundation for logic and mathematics. Though they were alike in firmly believing that there were some serious problems with psychologism, they did not agree in what those problems were. This disagreement made them take different steps in subsequently developing their respective philosophies. Frege, by removing every psychological elements and all kinds of psychological investigations from his philosophical study, could deal only with objective entities like what he called Thoughts[Gedanke]. In contrast, Husserl, despite his resolutely critical attitude toward psychologism, had no intention to drop his conviction of utility of psychological investigation and thus directed his attention toward consciousness of objects rather than objects themselves. As a result, from Husserl’s criticism of psychology grew his phenomenology as an epistemological theory or a transcendental philosophy which delves into the possibility of objective cognition, while Frege’s struggle with psychologism helped him create a new philosophical trend called ‘analytic philosophy’.

      • KCI등재

        상캬-요가 수행론에서 본 유식학과 융의 분석심리학의 수행론 비교연구

        문을식(Moon Eul Sik) 한국불교연구원 2016 불교연구 Vol.45 No.-

        이 글은 상캬-요가 수행론에서 본 유식학과 융의 분석심리학의 수행론 비교연구이다. 먼저 세 심리학의 수행 기본원리를 제시하고 나서 그것의 소통 점과 불통 점을 비교 연구한다. 요가심리학의 수행론의 8갈래 원리는 금계, 권계, 올바른 좌법, 호흡법, 감각철회, 집중, 명상, 삼매인데 이 가운데서 ‘집중, 명상, 삼매’가 중심이고, 더 정확하게는 마지막 삼매의 획득과 독존/해탈의 증득 과정이다. 유식학의 5갈래 수행원리는 자량위, 가행위, 통달위, 수습위, 구경위인데 이 가운데 수습위가 중심이다. 그리고 융의 분석심리학의 심리치료원리의 하나로서 적극적 명상은 무의식에 초대하기, 대화와 체험, 윤리적 가치를 더하기, 물리적 의례로 구체화하기의 네가지 접근법이다. 요가심리학의 수행론에서 보았을 때 유식학의 수행론과는 일정 정도는 소통할 수 있지만, 부분적으로 소통할 수 없는 곳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요가 심리학과 유식학은 출발점이 다르기 때문에 둘 사이의 근본적인 차이점은 요가심리학과 유식학의 자존적 근본 명제까지는 침범할 수 없다는 점이다. 또한 요가심리학의 수행론과 융의분석심리학의 수행론/심리치료법으로서 적극적 명상법은 대부분 소통하기 힘들었다. 그 이유는 요가심리학이 내재와 초월을 동시에 가능하지만, 서양의 융의 분석심리학은 심리를 분석하는 기법을 사용하는 접근방식이 달랐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이들 세 심리학은 현대에 들어와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그것은 이들 세 심리학의 근본 기법에 토대를 둔 응용된 다양한 기법들이 개발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이러한 응용연구의 토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a treatise on discipline theory of Yogācāra psychology(唯識學) and Jung’s Analytical psychology in the discipline theory of Yoga psychology. First of all, three psychology will suggest discipline principles, and then a comparative study of points of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The discipline theory of Yoga psycholology is eight. These are yama(禁戒), niyama(勸戒), āsana(坐法), prāṇāyāma (呼吸法), pratyāhāra(感覺撤回), dhāraṇā(執中), dhyāna(冥想), samādhi(三昧)이다. We are discussing samādhi as a priority. In other words, we discuss an acquisition of samādhi and a process of great awakening of kaivlaya(獨存). A discipline Theory of Yogācāra Psychology suggests five steps/pañca avastha of sambhāra avastha(資糧位), prayoga avastha(加行 位), prativedha avastha(通達位), bhāvanā avastha(修習位), aśaikṣa avastha(究竟位). Here, the fourth bhāvanā avastha(修 習位) is the center of discussion. An active imagination of Jung’s analytical psychology are four approaching methods of invitation to unconsciousness, to dialogue and participation, to add some moral values, to take shape of physical rite. When it views from a discipline theory of Yoga psychology, he can be communicated with discipline theory of Yogācāra psychology, but it seem to be difficult to communicate in many parts. For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he yoga psychology and Yogācāra psychology can not be accepted until each other’s a basic proposition. Also a discipline theory of the Yoga psychology and Jung’s analytical psychology are almost too much to communicate. For the Yoga psychology possible transcendence and immanence at the same time, whereas Jung’s Analytical psychology different to analytical techniques with that. But both similar with same. Nevertheless, three psychology would be able to communicate such as following points. Yama, niyama, āsana of Yoga psychology the sambhāra avastha of Yogācāra psychology and the ‘to invitation to unconsciousness’ and ‘to add some moral values’ of Jung’s Analytical psychology seems to be commensurate with each other. prāṇāyāma(呼吸 法), pratyāhāra(感覺撤回) of Yoga psychology and prayoga avastha(加行位) of Yogācāra psycholgy seems to be commensurate with each other. the dhāraṇā(執中), dhyāna(冥 想), samādhi(三昧) of Yoga psychology, prativedha avastha (通達位) and bhāvanā avastha(修習位) of Yogācāra psycholgy, and physical rite to take shape of Jung’s Analytical psychology seems to be commensurate with each other formally.

      • KCI등재

        소아청소년 심리학(Pediatric Psychology)에 기반한 소아와 청소년을 위한 건강심리학적 이슈

        박진희 한국건강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2 No.1

        'Health' has become the concern of every age and class in modern society, 'Health psychology' is no longer a discipline only for a specific group. To date, children and adolescents have not the center of attention in the clinical setting and research of health psychology. But, the stages of child and adolescents development have been an emerging subject of interest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prevention and treatment during periods making a fundamental and long-lasting impact on the whole lif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reation of Pediatric Psychology, created by the academic and clinical interest in the need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 health psychology. The "new marriage between Psychology and Pediatrics" (Kagan, 1965) also started the academic gestation of interdisciplinary groups such as Clinical Psychology, Child and Adolescents Clinical Developmental Psychology, Clinical Nursing, Social Work, Family Therapy,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Medicine. The Society of Pediatric Psychology, the 54th division in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was established in 2001. At last, health psychologist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re suggesting looking at domestic issues both now and in the future. 100세 시대를 맞아 건강심리학은 정신건강과 신체건강의 조화를 통해 인간의 건강한 삶을 지향하는 균형 잡힌 학문으로 새롭게 발전하고 있다. ‘건강’이 전 국민의 관심사가 된 현대사회에서 ‘건강심리학’은 더 이상 특정 대상만을 위한 학문이 아니다. 소아청소년은 지금까지 건강심리학의 학문적, 임상적 분야에서 중심대상이 되지 못했지만 전 생애의 건강에 미치는 소아청소년기 건강관리의 중요성이 입증되면서 새로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소아청소년에 대한 건강심리학의 학문적 관심과 임상적 필요성에 의해 탄생된 소아청소년 심리학(Pediatric Psychology)을 소개하고자 한다. ‘심리학과 소아의학(소아청소년의학)의 새로운 결혼(Kagan, 1965)’으로 시작된 학문적 태동은 임상심리학과 소아청소년임상의학 뿐 아니라 발달심리학, 임상간호학, 사회복지학, 가족치료학, 예방의학과 공중보건학 등 다학제적으로 융합되어 2001년 미국심리학회의 54번째 분과학회로 자리매김하였다. 소아청소년 심리학자들은 대학병원 및 1차 진료 장면, 학교, 연구소, 지역사회 등지에서 임상활동과 연구활동, 교육(임상수련)활동을 하고 있으며 증거기반 치료 및 개입을 통해 과학적 연구와 임상 영역을 넓혀나가고 있다. 현재까지 의료장면에서 소아청소년이 경험하는 치료 불순응과 치료적 협조, 만성 질환의 관리와 치료 과정에서 겪는 스트레스의 관리,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 등과 같이 건강에 관련된 다양한 이슈들이 연구되었다. 더불어 e-Health의 연구 및 대중적 활용, 가족과 간병 보호자의 건강관리 및 지역사회기반 서비스 등의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앞으로 소아청소년 심리학의 발전을 위해서는 소아청소년 건강을 담당하는 타 분야 보건 전문가들과의 의사소통과 협조 및 행정적 지원이 필수적이다. 마지막으로 국내 소아청소년을 위한 건강심리학자의 역할과 학문적 기틀 마련을 위한 몇 가지 대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진화심리학의 이론적 토대와 쟁점들

        전중환 한국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9 No.4

        지난 이십여 년 동안 진화심리학은 빠르게 발전을 거듭하면서 인간의 마음을 연구하는 새로운 흐름으로서 전세계 심리학계에서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진화심리학을 전공한 학자가 매우 부족한 국내의 실정상, 진화심리학에 대한 오해나 선입견이 심리학자들 사이에도 종종 발견된다. 본 논문은 국내 심리학자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진화심리학의 이론적 토대를 명확히 설명하고 진화심리학에 대한 흔한 오해들을 바로잡고자 한다. 먼저, 마음의 적응적 설계를 규명하고자 하는 진화심리학은 모든 심리현상에 적용 가능한 이론적 틀을 제공함을 설명한다. 다음으로 1) 진화심리학은 경험적으로 반증불가능하다는 오해, 2) 진화심리학은 유전자 결정론이라는 오해, 3) 인간 행동은 생물학적 진화보다는 학습에 의해 더 잘 설명된다는 오해, 4) 집단 간의 차이는 생물학이 아니라 문화로 설명된다는 오해 등을 논의한다. 결론적으로, 진화적 시각은 단편적인 사실들을 매끄럽게 통합해 설명해 줄 뿐만 아니라, 미지의 사실들에 대한 신빙성 있는 예측을 제공해주는 유용한 도구임을 강조한다. For the past two decades, evolutionary psychology has rapidly developed as a novel theoretical perspective that studies the human mind and behavior, thus gaining much attention from psychologists working worldwide. Unfortunately, Korea has few psychologists specialized in evolutionary psychology, which often results in a number of misunderstandings or prejudices of evolutionary psychology among mainstream psychologists. To overcome this difficulty, I hereby attempt to clarify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evolutionary psychology and to redress the common misunderstandings about it. Evolutionary psychology aims to elucidate the adaptive design of the human mind and hence provides the organizing theoretical framework that can be utilized to study any psychological phenomena. I then discuss four common misunderstandings of evolutionary psychology: 1) evolutionary psychology is empirically unfalsifiable, 2) evolutionary psychology is a form of genetic determinism, 3) human behavior stems from learning, rather than from biological evolution, and 4) between-group differences are best explained by culture, rather than biological evolution. I conclude that the evolutionary perspective not only unify scattered findings within a coherent explanation, but also provides a heuristic guide to unknown facts.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 철학(哲學) : 동양철학과 심리학 융합 연구의 동향과 과제

        김문준 ( Moon Joon Kim ),하창순 ( Chang Soon Ha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7 No.-

        이 조사 연구는 1980년대부터 약 30년간의 한국의 동양심리학 연구 성과를 유불도 사상으로 나누어 연도별로 살펴보고 그 동향을 파악하여 유불도의 동양철학과 현대심리학이 연계한 연구 경향을 조사했다. 첫째, 불교 분야 연구는 가장 활발한 동양심리학 연구 분야이다. 2000년 이전의 연구는 불교 이론을 심리학적으로 연계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단계였다면, 2000년 이후 본격적으로 심리학과 불교철학과의 연관성을 밝히는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특히 명상의 효과와 적용 양상에 관한 실험과 경험 연구의 성과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2010년 이후의 연구는 더욱 실제적인 적용 방법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불교 심리학 가운데 ‘명상치료’ 심리학 영역은 현재 한국 심리학의 주요 영역으로 자리 잡고 있다. 둘째, 유교 분야 연구는 한국인의 특성을 심리학적으로 탐색하고자 하는 차원에서 진행되었다. 유교철학 관련 연구는 불교철학 관련 연구에 비해 관심이 적고 연구자가 부족하며, 이에 따라 연구 편수가 대단히 적으며 연구 내용도 활용 단계로 나아가지 못하고 기초 단계에 머물러 있다. 셋째, 도교 및 기타 연구이다. 도가 사상을 연계한 심리학 연구는 전혀 활성화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위와 같은 동양심리학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점에서 성과를 거두었다. 하나는 한국인의 심리 이해에 도움을 주었다는 점이고, 또 하나는 한국인이 자신의 심리건강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일상적인 심리 치유에 기여하였다는 점이다. 따라서 앞으로도 동양철학의 내용으로 서양 상담심리학의 한계를 극복 보완하고, 동양정신이라는 내용을 서양과학이라는 그릇에 담는 노력이 지속 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 동양심리학의 연구 방향은 동양철학의 가치 체계를 현실 생활에 적용하도록 하기 위해 더욱 현실적이고 체계적인 이론을 만들어 나가도록 해야 하며, 그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의 실정에 맞게 구성된 프로그램이나 상담 기법을 더욱 많이 개발하도록 해야 한다. This study has surveyed the studying results in the Eastern psychology of Korea nearly for 30 years starting from the 1980. The first is Buddhist study. It is the most active field of the Eastern psychology. If the studies before 2000 can be treated as a step to connect Buddhist theory with psychology, the studies that light the relation of psychology and Buddhist philosophy have started since 2000. Especially, the effect of meditation, the experiment of applying aspects, and the result of experience study have achieved. The studies ofter 2010 pursue the way to apply strongly. Within Buddhist psychology, ``Meditation Therapy`` is the crucial field of Korean psychology. The second is the study of Confucian study. These studies proceeded in the means of probing the tracts of koreans psychologically. The studies related to Confucian philosophy are on basic state compared to studies related to Buddhism. The last is Taoism study. The psychological study related with Taoism is not facilitated yet. The results of studying the Eastern psychology in the past years have gained two crucial outcomes. One of them helped Koreans to understand psychology. The other contributed to the health and cure in mind of Koreans. Thus, it is necessary that the Eastern philosophy must surpass the limits of the Western counseling psychology while continuing efforts of sustaining the Eastern spirit in the container called the Western science. Consequently, to practice these facts, the studies of the Eastern psychology should be directed to make its systematic theory and to develop many programs and counseling method which are adapted to Koreans.

      • KCI등재

        죽음의 이해를 통한 심리학과 목회상담과의 협력관계 : 심리학의 자아실현과 신학의 종말론의 관점을 중심으로

        유현숙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61

        심리학과 목회상담과의 협력관계를 위한 적절한 방법은 인간 본성과 죽음의 현실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이해는 창조주 하나님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심리학의 신학화를 시도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협력관계를 이룬다는 것은 각각의 분야에서 이루어지는 이론들을 통합하여 섞어놓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고유한 방법론과 내용을 보존하면서 상호보완적이고 조화를 이루는 열린 자세로 심리학을 사회과학의 한 분야로 인정하면서, 창조주 하나님과 그 말씀인 성경을 중심으로 재해석하려는 시도이다. 무분별한 심리학의 흡수가 아니라, 인간의 본성을 다루는 심리학의 이론들을 모든 진리의 근원인 성경을 중심으로 재해석하고, 신학의 인간론을 중심으로 협력관계를 세워나가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심리학의 신학화이다. 다시 말해, 죽음을 자아실현의 목표로 보거나 불안의 요소로 다루고 있는 심리학의 한계점을 지적하고, 신학의 종말론을 중심으로 재정립함으로써 보다 넓은 시야로서의 목회상담을 이룩하는 것이다. 삶과 죽음이 서로 상호 영향을 미치며, 죽음이후에 유일하게 믿을만한 근원이 부활임을 분명히 알아야 한다. 이 사실을 모르는 일반 상담자, 카운슬러, 심리 치료사 및 목회 간병인은 사망을 두려워하는 환자들에게 적절하게 대응할 수 없다. 목회 양육자는 사람이 영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영적인 돌봄 자임을 인식해야 한다. 목숨을 돌보는 사람들은 삶뿐만 아니라, 죽음, 슬픔, 질병, 불안, 죄책감, 죽음의 두려움에 대한 도움을 구할 때 성령의 일하심을 민감하게 느끼며, 영적 차원에서 그들을 돕기 위해 준비되어져야 한다. 목회상담은 영혼의 돌봄뿐 아니라,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인 차원 등을 포함한 삶과 죽음의 문제를 통한 전인적인 보살핌이 이루어져야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본성을 바라보는 심리학적 관점을 비판하며 신학적인 인간론에서 간단히 요약하였고, 죽음의 이해를 통해 본 심리학의 주요 이론들을 살펴보고, 신학적인 종말론의 관점에서 심리학의 신학화를 시도하는 것에 더 중점을 두고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다양한 신학적 주제들과 성경, 찬송, 기도, 묵상, 치유, 회복 등의 신앙자원 및 방법의 통합에서 기독교의 중심축이 되는 성경을 중심으로 하는 실천적인 방법론과 종합적인 연구가 계속해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ppropriate methods for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psychology and pastoral counseling can be achieved through an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and the reality of death. This understanding can be improved by attempting the theologicalization of psychology centering on the Creator Lord.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is not to integrate the theories in each field, but to recognize psychology as a field of social science in a mutually complementary and harmonious open posture while preserving the original methodology and content of each other, It is an attempt to reinterpret by the Bible as the Creator Lord and the Word. It is not the absorption of indiscreet psychology but the reinterpretation of the theories of psychology that deal with the nature of man, centering on the Bible as the source of all truth, and establishing the cooperation relation centered on the theology of theolog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he theologicalization of psychology. In other words, pointing out the limit of psychology that regards death as the goal of self-realization or dealing with the element of anxiety, and reestablishing the theology of eschatology as the center, it is to achieve counseling as a broader vision. It is important to know that life and death interact with one another, and that after death, the only reliable source is the resurrection. General counselors, counselors, psychotherapists, and pastoral caregivers who are unaware of this fact can not adequately respond to patients who are afraid of death. The pastoral caregiver must recognize that a person is a spiritual carer because he is a spiritual being. Those who take care of their lives should be prepared to help them in spiritual matters, feel sensitive to the work of the Spirit in seeking help for life, death, sadness, disease, anxiety, guilt, and fear of death.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requires holistic care through life and death issues, including physical, mental, social, and spiritual dimensions, as well as the care of the soul. In this paper, I criticize the psychological point of view of human nature, summarized briefly in the theological anthropology, examined the main theories of psychology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death, attempted the theologicalization of psychology from the viewpoint of theological eschatology I focused more on them. Furthermore, practical methodology and comprehensive research centering on the Bible as the central axis of Christianity in the integration of various theological themes and resources and methods of faith such as Bible, hymn, prayer, meditation, healing, something to do.

      • 법심리학이란 무엇인가?: 연구 영역 및 법심리학자의 역할

        김민지 한국법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법 Vol.4 No.3

        Forensic psychology is a subdiscipline of psychology that applies theory, research, or practice of psychology to problems and issues related to the legal and criminal justice system. Recently, public interest in the area has grown immensely, but lack of clear understanding and use of multiple terminologies resulted in public confusion and misunderstanding of the field. Therefore, starting with historical events, the current study discussed development of the terminology, definitions provided by scholars and academic organizations, and a comparison between other related areas of research domains in order to provide full description of the field of forensic psychology. In addition, this paper examined how other scholars explained research domains of forensic psychology and described education and training as well as ethical guidelines of North American countries in order to examine what types of education and training should be provided in Korea. Lastly, policy changes related to forensic psychology and policy implications in Korea were also discussed. 심리학과 법학의 융합 학문인 법심리학은 심리학의 한 분야로 법체계나 법률과 관련된 문제들에 심리학의 이론, 연구, 또는 실제를 적용하는 분야를 말한다. 최근 법심리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지만 분야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부족하여 범죄심리학이나 법정심리학이라는 분야와 혼용되어 사용되면서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본 논문은 역사적인 사건들에 대한 설명을 시작으로 심리학과 법학의 융합 학문에 대한 명칭의 발달과 법심리학 분야에 대한 다양한 정의, 그리고 법정심리학과 범죄심리학 분야와의 비교를 통해 법심리학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또한 외국 학자들이 법심리학의 연구 영역을 어떻게 구분하였는지 살펴보고 외국의 교육 및 훈련 내용 및 윤리 규정을 설명하여 한국에서 필요한 교육 및 훈련 내용을 세부적으로 살펴보았다. 한국에서 법심리학 관련 정책적 변화에 대한 설명을 통해 법심리학 분야에 대한 발전 가능성 및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