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사의 코칭역량이 조직몰입과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홍진숙,김양진 한국코칭학회 2020 코칭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간호사의 코칭역량이 조직몰입과 심리적 복지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 00구 대학병원 1곳, 서울특별시 00구 종합병원 1곳, 경기도 00시 00구 대학병원 1곳, 경기도 00구 00시 종합병원 1곳에 근무하는 간호사 33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중 응답이 불성실한 17부를 제외하고 313부의 설문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조직몰입 수준과 심리적 복지감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조직몰입 수준에서는 연령, 결혼여부, 종교, 학력, 재직기간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심리적 복지감 수준에서는 성별과 학력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간호사의 코칭역량, 조직몰입, 심리적 복지감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간호사의 코칭역량과 조직몰입 및 심리적 복지감간의 관계에서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간호사의 코칭역량이 조직몰입과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간호사의 코칭역량은 조직몰입과 심리적 복지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이는 코칭역량이 높을수록 조직몰입과 심리적 복지감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how nurses' coaching competence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examin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nurses and the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of the social and demographics of age, marital status, religion, educational background, and employment perio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nd at the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by examining the correlations between nurses 'coaching compet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overall meaning of nurses' coaching compet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found. We also found that there was a certain correlation. Third, nurses 'coaching compet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s nurses' coaching compet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KCI등재

        재가복지서비스가 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백경숙,권용신 한국노인복지학회 2009 노인복지연구 Vol.0 No.4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community care service for the aged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ex, living style, health state, religion.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affect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home-helper of attitude in order preference, affirmation, accept. As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all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derly receiving home-based community care service explained 40.3% in three factors. Third, there was significant affect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satisfactions with home-based social service in order emotional support service, health related service, household chore service, social service. As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all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derly receiving home-based community care service explained 54.9% in four factors. 본 연구는 재가복지서비스가 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에 소재하는 가정봉사원파견시설 4개소에서 재가복지서비스를 받는 만 65세 이상 노인 2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5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다. 재가복지서비스가 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재가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을 파악하기 위해 ANOVA, t-test로 검증한 결과, 성별, 동거형태, 건강상태, 종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가정봉사원서비스에 대한 태도에 따른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한 결과, 선호도, 수용도, 긍정도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정봉사원서비스에 대한 태도의 3가지 변인이 재가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을 설명하는 수준은 40.3%로 나타났다. 건강한 재가노인이 건강하지 않은 재가노인보다 높은 심리적 복지감을 보였고, 종교가 있는 재가노인이 종교가 없는 재가노인보다 심리적 복지감이 높았다. 셋째, 재가복지서비스 유형에 따른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한 결과, 정서적 서비스, 건강관련 서비스, 가사서비스, 사회적 서비스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가복지서비스 유형의 4가지 변인이 재가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을 설명하는 수준은 54.9%로 나타났다. 건강한 재가노인이 건강하지 않은 재가노인보다 높은 심리적 복지감을 보였고, 종교가 있는 재가노인이 종교가 없는 재가노인보다 심리적 복지감이 높았다.

      • KCI등재후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몰입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 연구

        이주연,지명원,김경화 한국보육학회 2011 한국보육학회지 Vol.11 No.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몰입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변수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인천과 경기도의 보육시설 보육교사 249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직무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하는 보육교사의 경우 심리적 복지감을 낮게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직무몰입을 높게 지각하는 보육교사의 경우 심리적 복지감을 높게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은 직무 스트레스와 셀프 리더십이 상호작용하여 조절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의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심리적 복지감을 증진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넷째,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에 직무몰입과 셀프 리더십이 상호작용하여 조절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의 높을수록 직무몰입과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직무몰입을 증진시켜 심리적 복지감을 증진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he influence of job stress and job involvement of care-giving teachers on psychological welfare and the effect of adjustment of self-leadership in the relation among these variables.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249 care-giving teachers who works in child-care facilities located in Incheon and Gyounggi-do. As a result, followings can be concluded. First, care-giving teachers who highly sense job stress tend to sense low psychological welfare. Second, the care-giving teachers who highly sense job involvement tend to sense highly psychological welfare. Third, as a result of conduct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justment of self-leadership in the influence of job stress of care-giving teachers on psychological welfare, it appeared that for the psychological welfare of care-giving teachers, job stress and self-leadership interact and work as moderating variables. We could observe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care-giving teachers, the better they adjust the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welfare. This result means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care-giving teachers the better they improve psychological welfare by mitigating job stress. Fourth, it appeared that for psychological welfare of care-giving teachers, job involvement and self-leadership interact and work as moderating variables. We could see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care-giving teachers, the better they adjust the relation between job involvement and psychological welfare. This result means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care-giving teachers the better they improve psychological welfare by enhancing job involvement.

      • KCI등재

        일본 후기고령자의 자녀와의 사회적 지원과 심리적 복지감

        김혜경(Hye Kyung Kim),Erika Kobayashi,Jersey Liang 한국노년학회 2003 한국노년학 Vol.23 No.4

        본 연구는 일본 70세 이상 후기 고령자의 자녀와의 사회적 지원 교환과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련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일본 동경도 노인종합연구소에서 실시한 '후기고령자의 건강, 가족, 경제의 다이나믹스' 프로젝트의 일부자료(N=2,442)이다. 부모ㆍ자녀관계는 장기간에 걸쳐 형성, 유지되나 선행연구에서는 한 조사 시점에서 이루어진 사회적 지원 교환을 검토한 연구에 머무르고 있는 제한점을 고려하여 과거에 고령자가 자녀에게 준 지원과 현재 고령자가 자녀에게서 받는 지원을 측정하여 장기적 관점에서 지원의 교환을 파악하여 이의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련을 검토하였다. 심리적 복지감은 3항목으로 구성된 인생 만족도 척도를 통해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분산구조분석을 통해 사회적 지원 교환의 호혜성(reciprocity)이 심리적 복지감과 관련되는 양상을 분석한 결과, 지원을 해 주는 것과 지원을 받는 것의 상호작용이 유의한 수준에 이르지 않아 자녀와의 사회적 지원 호혜성과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련은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과거에 자녀에게 경제적 지원을 해 둔 사람은 현재 자녀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지 않더라도 심리적인 복지감이 높게 유지되고 있어, 일본의 고령자는 자녀에게 일방적으로 지원해주는 것에 만족하며 자녀에게서 보답을 반드시 기대하지 않고 이타적 동기에서 사회적 지원을 해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경로분석을 통해 과거에 해 준 지원은 현재의 받는 지원을 높여 심리적 복지감과 관련하는 간접효과가 있는가를 알아본 결과, 과거에 지원을 준 적이 잇는 사람일수록 현재 자녀로부터 지원을 받기 쉬웠고, 또한 지원을 받고 있는 사람의 심리적 복지감이 유의하게 높은 것을 통해 그 효과는 약하지만 지원을 해 준 것이 지원 받는 것을 높여 심리적 복지감과 관련하는 효과가 밝혀졌다. 한국의 후기 고령자를 대상으로 후속연구를 실시하여 일본과의 유사점 및 상이점에 관한 비교검토가요구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support exchange with children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Japanese elderly aged 70+. Data are from a national representative survey conducted in 1999. In our framework, the measure of support exchange with children exhibit a time lag between providing and receiving support. To measur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lderly, we employed a life satisfaction index composed of three items. We explored the interaction effects of previous providing support and current receiving support on well-being using ANCOVA(Analysis of Covariance) in other to examine the impact of support reciprocity on well-being. In addition, we conducted path analysis to examine the indirect effect of previous providing support on well-being via current receiving support. Main results are follows. (1) ANCOVA analysis revealed that the interaction effects of previous providing support and current receiving support on well-being was not sigruficant. This results implies that the reciprocity of support have no direct relation with the well-being of Japanese elderly. However, the main effect of previous provid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lying that the elderly who provided support enjoying higher well-being regardless of they receive support from children or not. (2) From the path analysis, we found an indirect effect of providing support on well-being of elderly. Further research are required from the standpoint of cross-culhxal viewpoint using Korean data.

      • KCI등재

        중노년기 미국성인들의 심리적 복지감

        안정신(An, Jeong-Shin) 한국노년학회 2005 한국노년학 Vol.25 No.2

        본 연구는 18세 이상의 자녀를 둔 1,882명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전생애과정의 부모자녀관계와 성인기의 발달, 그리고 중노년기 심리적 복지감 간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심리사회 발달적 관점과 생애과정 발달적 관점을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회상된 성인기 이전 부모자녀관계가 성인기 부모자녀관계와 생산감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이러한 성인기 전후의 경험들이 중노년기 심리적 복지감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는 성인기 이전에 부모로부터 호의적인 양육을 받았다고 회상할수록 성인기에 더 긍정적인 부모자녀관계를 갖고, 생산감도 더 많이 발달되며, 중노년기의 심리적 복지감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인기 부모자녀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생산감이 많이 발달하였고 심리적 복지감도 높았다. 마지막으로, 생산감이 높을수록 심리적 복지감도 증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기 이전에 부모로부터 받았다고 회상하는 양육방식이 중년기 이후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은 성인기 부모자녀관계와 생산감 발달에 의해 부분적으로 매개되었다. 따라서 성인기 이전의 부모로부터 호의적인 양육을 받지 못했어도 성인기에 긍정적인 부모자녀관계를 형성하거나 높은 생산감을 발전시킨 경우는 높은 심리적 복지감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성인기 이전 경험들이 지속적으로 성인기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을 주며 그 영향력이 현재의 가족관계에 영향을 미치지만, 이는 성인기 경험들에 의해 변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adulthood, and individual develop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 to later lif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data from 1,882 parents who have at least one child over 18 years old. Findings indicated that receiving more affectionate parenting in childhood was associated with greater generativity development, more positive parental experiences with one's own children, and better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 to later adulthood. In addition, the effects of received parenting in childhood on psychological well-being after midlife were partially mediated by parental experiences with adult children and generativity develop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arly experiences with parents in childhood continuously influence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ulthood through their impact on concurrent family experiences. However, early influences can be redirected through adult experiences too.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s aimed at promoting volunteer work for older adults, as well as for practitioners who work with families and individuals who are having problems.

      • KCI등재

        관광업체 종사자의 잡스케이프(jobscape)와 심리적 복지감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에 관한 융합연구

        지명원,이강욱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2

        본 연구는 감정노동자들의 직무만족감 개선을 위한 심리학적 융합연구이며, 관광업체 종사자의 잡스케이 프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과 그러한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지역 여행 업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물리적·정서적·사회적 환경을 포함하는 잡스케이프는 심리적 복지감의 하위요인인 심리적 안녕감에는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치고, 심리적 소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잡스케이프와 심리적 안녕감, 그리고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관광업체 종사자들의 심리적 복지감에는 잡스케이프가 중요한 요인이며, 특히 자아탄력성이 중요한 조절변 수임을 밝힘으로써 관광업체 종사자의 자아탄력성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This research was psychological convergence research for job satisfaction improvement of emotional worker, and verified the effects of jobscape on psychological welfare and moder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through the relation between jobscape and psychological welfar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by SPSS 20.0 program based on surveys from workers in travel agency in Seoul. As a result, jobscape that includes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environ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has a negative effect on psychological burnout. Moreover, ego-resilience plays a moderating role in relation among these factors.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at jobscape is an important factor in psychological welfare of the employees in tourism industry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role of the employees’ ego-resilience by revealing ego-resilience as an important moderating variable.

      • KCI등재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과정, 경제적,관계적 자원과 심리적 복지감: 남녀차이를 중심으로

        한경혜 ( Gyoung Hae Han ),손정연 ( Jeong Yeon Son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가족복지학 Vol.38 No.-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과정이 심리적 복지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그 과정에서 경제적·관계적 자원이 매개역할을 하는가에 대해 남녀차이를 중심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1955년에서 1963년 사이에 출생한 베이비붐 세대 4075명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은퇴 과정의 단계 유형, 경제적·관계적 자원에서 남녀차이가 나타났다. 남성이 여성보다 주된 일자리 및 가교 일자리 종사 비율이 더 높다. 또한 남성이 여성보다 소득수준 및 결혼만족도는 높은 반면 자녀와의 관계만족도는 낮다. (2) 경제적 자원인 소득은 주된 일자리에서 퇴직한 남녀의 자기수용과 성숙감을 낮추는데 중요한 매개요인으로 작용하였다. (3) 은퇴 과정과 심리적 복지감의 관계를 관계적 자원이 매개하는 과정에서 남녀 간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현재 일을 하고 있지 않은 남성은 일을 하고 있는 남성보다 결혼만족도 및 자녀관계만족도가 낮으며 이는 심리적 복지감을 저하시키는 반면, 완전히 은퇴한 여성의 경우 현재 일을 하고 있는 여성에 비해 결혼만족도가 높으며 이는 심리적 복지감을 향상시키는 결과로 나타났다. (4) 은퇴 과정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자원의 성격이 심리적 복지감의 하위차원에 따라 상이하였다.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를 대상으로 그들의 은퇴 과정과 심리적 복지감과의 인과관계에 대해 남녀차이를 중심으로 논리적인 검증을 시도하였고, 특히 은퇴 과정과 심리적 복지감의 관련성을 설명함에 있어 단순한 은퇴 여부가 아닌 은퇴 과정의 단계 유형과 베이비붐 세대가 가진 자원의 역할에 따라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how various aspects of retirement process is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ests whether economic and relational resource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proc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of Korean baby boomers. The 4,075 respondents born between 1955 and 1963 were surveyed in face-to-face interviews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various aspects of retirement process, economic and relational resources.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economic resources on the association between retirement proc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en and women was supported.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aspects of retirement process, relational resourc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iffer according to the gender. Lastly, the roles of economic and relational resources in the effects of retirement process on psychological well-being differ depending upon the sub-dimension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conclusion, gender differences and gender similarities are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aspects of retirement process, economic and relational resourc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particular,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e different pathways through which the retirement process is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for 4 different groups of baby boomers, the career job, the bridge job, non-employment, and full retirement.

      • KCI등재

        중년기 성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대한 성인기 이전 생활사건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

        김유정(Yu-jeong Kim),안정신(Jeong-shin An) 한국노년학회 2011 한국노년학 Vol.31 No.3

        본 연구는 생애과정적인 시각에서 성인기 이전 생활사건과 사회적 지지에 따라 중년기 성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중년기 성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대한 성인기 이전 생활사건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규명하고 그에 대한 실천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40-59세의 중년기 성인 남녀 51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성인기 이전 생활사건 경험여부와 사회적 지지여부에 따라 중년기 성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차이가 있었고, 성인기 이전 폭력, 죽음, 부모관련 생활사건과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는 중년기 성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인기 이전 부모관련 생활사건 경험에 따른 중년기 성인의 심리적 복지감은 성인기 이전 정보적 지지에 의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예전의 경험이 누적되고 서로 맞물려서 지속적 영향을 미치며 개인의 생애발달 과정이 의미있는 타인의 생애과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생애과정관점의 견해를 지지한다. 또한 심리적 복지감을 위한 개입에 있어서 생활사건을 예방하는 것뿐만 아니라, 생활사건 경험 이후 보호해줄 수 있는 사회적 지지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한데, 이때 생활사건 영역에 적합한 구체적인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f there was difference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 adulthood on experience of life events and social support in pre-adulthood and the effects of life events and social support in pre-adulthood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 adulthood from life course perspective. The data came from 511 mid-life adults aged from 40 to 59.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middle aged who were experienced life events concerning school, parent, violence, and death in pre-adulthood showed lower psychological well-being than those who didn't experience life events in pre-adulthoo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 aged who received social support in emotional, material, and informational area in pre-adulthood was higher than one of the whom didn't receive social support in pre-adulthood. (2) the experienced life events concerning parent, violence, and death in pre-adulthood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 adulthood. Also, the received emotional support and informational support in pre-adulthood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 adulthood. And there were adjusting effects of life events concerning parent and received informational support in pre-adulthood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 adulthood. These findings support life course perspective that past experiences have cumulative and interconnected effect and the individual life was closely connected with other people having meaningful relationships. Also, the interven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requires not only prevent life events but augment social support that can protect after experience of life events. The intervention should suggest suitable and specific method on life events.

      • KCI등재

        농촌노인의 일과 여가활동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이정화(Lee Jeong Hwa),한경혜(Han Gyeong Hye) 한국농촌사회학회 2003 農村社會 Vol.13 No.1

        농촌에서 노인의 인구비중이 높아지고 이들의 삶의 질이 중요하나 지금까지 농촌노인들의 삶의 질이나 심리적 복지에 대한 연구는 도시에 비해 매우 적었다. 특히 정년의 개념 없이 지속적으로 생산활동을 유지하고, 대부분 그 지역사회에서 오랜 기간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며 살아가는 농촌노인들은 도시노인에 비해 다양한 사회적 관계망과 사회적 활동을 더 오랫동안 유지할 가능성이 높지만 이러한 사회적 활동들이 농촌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많이 알려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농촌노인들의 사회적 활동영역중 농사일참여와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사회적 활동에의 참여가 농촌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료는 제주도를 제외한 8개 도 32개 시·군에서 1개 마을씩을 선정하여 총 1,226명의 농촌노인을 대상으로 생활지도사가 면접한 것이다. 자료분석은 Spss windows 10.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등의 기술통계와 교차분석, 피어슨의 적률상관계수, 중다회귀분석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였다. 농촌노인의 일반적 특성, 농사일 참여정도, 여가활동 참여정도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농사일 참여정도는 농촌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설명력이 나타나지 않은 반면, 여가활동 참여정도는 이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쳐 여가활동 참여가 농촌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년기 생산적 활동이 노인들의 심리적 복지에 긍정적이라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달리, 농촌노인들의 경우 농사일 참여는 그들의 심리적 복지에 영항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농사일`이 농촌 노인에게 생산성이라는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활동이라기보다는 경제적 필요에 의해 `해야만 하는 일`로서 비자발적인 측면이 부각되었기 때문이거나, 농촌노인들이 감당하기에 너무 고된 일이었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사회경제적 특성을 통제하고서도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정도가 높은 노인일수록 심리적 복지감이 높았다는 결과는 여가가 갖는 긍정적인 의미를 다시 보여주는 것으로, 농촌노인의 여가활동 참여를 더욱 활성화 시켜야 할 필요가 있음을, 그리고 이를 위해 농촌노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이용 가능한 여가 프로그램이 많이 개발·보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In Korea, as the elderly population is grow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rural elderly is becoming a major concern. According to Rowe and Kahn(1997), active and productive engagement in society is a central component of successful aging. Yet, the effect of various social participa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is not uniform. For ex. involuntary participation for productive activities due to economic needs might have negative impa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Likewise, involuntary leisure after the forced retirement could not be enjoyable for the elderly. However, few empirical research was done to examine the effect of work and leisure activity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people.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mpirically examine the connection between them. For this purpose, community welfare specialists gathered data from 1226 rural elderly in 32 villages,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statistic methods used for the data analysi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cross table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s10.0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 majority of rural elderly engaged in farming and 62.8% among them are heavily involved in that profession. The mean of daily working hours of the rural elderly during the busiest season for farmers was 7.8 hours. The main reason for their continued participation in farming was economic need. In terms of leisure activity, about 40% of rural elderly participated in various activities in the community. The main activities wer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s offered by community senior centers and visiting neighbors or friends. The effects of farming and leisure activities on the rural elderly`s psychological well-being was different. That is, the extent of leisure activities positively affected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while extent of farming didn`t show significant impact.

      • KCI등재

        여성단체활동자의 역할갈등과 심리적 복지감에 관한 연구

        이영석 ( Young Suk Lee ),최외선 ( Wae Sun Choi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1 한국가족복지학 Vol.16 No.1

        본 연구는 사회단체활동을 하는 여성의 역할갈등과 심리적 복지감의 수준과 그 관련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상북도에서 각종 단체활동을 하고 있는 여성 302명이며 설문지는 조옥희(2004)의 연구를 토대로 역할갈등 15개 문항과 심리적 복지감 18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2.0 program을 이용하여 신뢰도, 타당도, 요인분석, 상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여성단체활동자의 역할갈등은 중간 이하의 수준을 나타냈으며, 심리적 복지감은 중간 이상의 수준을 나타냈다. 학력과 월소득은 역할갈등 뿐만 아니라 심리적 복지감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단체활동기간은 심리적 복지감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 역할갈등이 높을 때 심리적 복지감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여성단체활동자의 역할갈등이나 심리적 복지감 연구의 기초적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females involved in women`s organizations. This study specificall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role conflict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2 women participating in women`s organizations in Gyeoungbuk Province. They were asked to answer survey questions, including 15 items about role conflicts and 18 items about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instrument was modified from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Jo, Ok-Hee (2004). The participants` answers were analyzed through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 The study revealed that more than half of the subjects were satisfied with their level of well-being. However, less than half of the participants had role conflicts during the activities. Women who had higher education and family income felt not only high psychological well-being but also low role conflict. In addition, positive psychological well-being corresponded with the duration of their membership in the organizations. Subjects who had high role-conflic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some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ies on the role conflict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females belonging to women`s organiz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