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체 움직임 경험이 지역아동센터 학생들의 신체 유능감 및 참여활동에 미치는 영향

        김정하,박은규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2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10 No.5

        본 연구는 신체 움직임 경험이 지역아동센터 학생들의 신체 유능감 및 참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경상북도 Y시에 거주하는 학생들로 80%가 다문화 가정의 학생들로 남학 생 10명 여학생 16명의 초등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연구 기간은 2021년 7월부터 첫째 주부터 설계를 시작하 여 10주간 신체 움직임 프로그램을 90분씩 적용하고 2021년 12월 31일까지 진행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신체 움직임 활동에 대한 신체적 유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전‧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개방형 설문에 의 한 자료는 귀납적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신체 움직임 경험을 통해 지역아동센터 학생들의 신체 유능감의 사전 사후 차이의 평균값을 알아보는 데 있고 둘째, 신체 움직임 경험을 통해 지역 아동센터 학생들의 참여 태도 변화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그 결과 첫째, 신체 유능감 변화에서 신체 움직임 프로그램 참여 전과 참여 후의 차이의 평균값은 신체적 유능성이 사회적 유능성과 일반적 유능성에 비해 평균값이 4.2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는 결과를 얻었다. 둘째, 신체 움직임 활동 참여 후 공감에 의한 적 극성, 또래 친구들과의 소통의 확장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 KCI등재

        대학신입생의 종교유무에 따른 신체화증후군 정도의 차이분석

        박미라 한국실천신학회 2019 신학과 실천 Vol.0 No.64

        College freshmen is in the halfway between adolescent and adulthood. They have confronted many tasks to adapt to college life and prepare to get a job after graduation. In this situation they have faced various psychological difficulties and mental problems. Sometimes these problems comes with somatizing syndromes. Somatizing syndrome is physical symptom in daily life without special medical problems. This research analyzed college freshmen’s somatizing syndromes according to their religious background. The author surveyed 1015 college students in a universi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women have felt more somatizing syndromes than me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questions are summing up to three. First, college freshmen have confronted various somatizing symdromes even if they are in the early twenties. Second, the students who have religion have felt more somatizing syndromes than non-religion students. Third, Christian religion background students have the least somatizing syndromes than Catholic and Buddhism background students. The years of the college students are very important for preparing to adulthood years.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prevention of somatizing syndromes in the college students should be an action as a prior consideration. The religious requirements, such as norms and rules, are sometimes have given psychological burdens to the religious members, and those burdens arouse the somatizing syndromes. Christian church should remember the Bible’s verse “the truth will set you free”, and that truth should influence each Church member. 청소년기를 지나 성인의 관문을 통과하는 대학생들은 입학 후에 새로운 환경과 학교생활에 적응해야 하는 부담과 미래의 취업준비를 위한 삶의 과제 앞에서 다양한 심리·정신적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스트레스나 우울 등의 심리적 문제들은 신체화증후군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은 데, 신체화증후군은 일상생활에서 특별한 내과적 이상 없이도 신체증상이 다양하게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을 말한다. 본 논문은 종교유무에 따른 대학신입생의 신체화증후군의 차이를 분석하고 개신교, 천주교, 불교 등의 종교가 대학신입생의 신체화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대해 연구하였다. 결과분석에 의하면, 남자신입생 보다 여자신입생이 신체화증후군을 조금 더 느끼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종교를 가지고 있는 집단과 가지고 있지 않은 집단의 신체화증후군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종교를 가지고 있지 않은 집단은 종교를 가지고 있는 집단보다 신체화증후군을 덜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종교별로 구분하면, 불교(1.97), 천주교(1.96)로 신체화증후군의 경험이 각각 높게 나왔고, 개신교(1.68)가 가장 낮게 분석 되었다. 그러므로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분석은 다음의 설명과 같다. 첫째, 대학신입생들이 20대 초반의 젊은 청년이라고 할지라도 신체화증후군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신입생들의 신체화증후군은 종교의 유무와 유의미하게 관계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종교를 가진 집단의 응답자들이 신체화증후군을 더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신입생들의 신체화증후군은 각 종교별로 유의미하게 관계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개신교가 천주교와 불교보다는 신체화증후군을 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대학생 시절에 신체화증후군이 발병하여 만성화되고 평생에 걸쳐 지속될 수 있음이 선행연구에서 분석되었듯이, 청년 정신건강과 신체화증후군에 대한 예방적 차원의 지원과 지지가 필요하다. 종교가 요구하는 종교적 규범과 규칙 등이 종교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심리적인 부담과 책임을 부과함으로, 신체적 증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인지하고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는 성경말씀의 실천과 성취가 개신교 안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한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신체표현 교수태도와 교수효능감이 신체표현 교수실제 및 교수불안에 미치는 영향

        허수윤 ( Heo Su Yun ),서현아 ( Seo Hyun Ah ),오지은 ( Oh Ji Eu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신체표현 교수태도와 교수효능감이 신체표현 교수실제 및 교수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 경남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 32개 기관의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신뢰도 검증, 기술통계,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 다중공선성 진단,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신체표현 교수태도와 교수효능감은 신체표현 교수실제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체표현 교수태도의 흥미 및 부담감과 신체표현활동을 위한 준비가 신체표현 교수실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표현 교수효능감의 결과기대 효능감과 개인적 신체표현 효능감 모두 신체표현교수실제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유아교사의 신체표현 교수태도와 교수효능감은 신체표현 교수불안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신체표현 교수태도의 흥미 및 부담감, 직접적 조작에 의한 신체표현활동, 신체표현활동의 필요성 및 발달적 적합성이 신체표현 교수불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신체표현 교수효능감 중에서는 개인적 신체표현 교수효능감이 신체표현 교수불안에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는 유아교사의 신체표현 교수실제와 교수불안에 있어 신체표현 교수태도와 교수효능감의 중요성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attitud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efficacy and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practices and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anxiety. Distributed a questionnaire targeting teachers 300 people in 32 preschool institutions located in Busan, Gyeongnam For this purpose the data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a reliability test,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moments of Pearson, multicollinearity diagnostic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attitudes,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efficacy as predictor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practices. Second,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attitudes and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efficacy as predictors affect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anxie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practices and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anxiety of the importance of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attitudes and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efficacy.

      • KCI등재

        여자 초등학생의 신체활동과 심폐체력 및 신체구성 그리고 심혈관 위험인자와의 연관성

        강현식 ( Hyun Sick Kang ),하창덕 ( Chang Duck Ha ),홍혜련 ( Hye Ryun Hong ),권훈겸 ( Hun Kyeom Kwon ),김성희 ( Seong Hee Kim ),우상구 ( Sang Koo Woo )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1 운동과학 Vol.20 No.4

        강현식, 하창덕, 홍혜련, 권훈겸, 김성희, 우상구. 여자 초등학생의 신체활동량 및 강도와 심폐체력, 신체구성, 심혈관 위험인자와의 상관성. 운동과학, 제20권 제4호. 389-396, 2011.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횡단적 연구에서 비만 및 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제시된 13,000보수의 적정보수를 목표로 12주간의 신체활동 중재를 실시한 후, 신체활동량 및 강도와 심폐체력, 비만지표, 심혈관 위험인자의 상관성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초등학교 여학생24명(11.79±0.78세)으로 하였고, 12주 신체활동 중재 전과 후에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율, 허리둘레, 최대산소섭취량,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혈당을 측정하여 분석하였으며, 12주간 1일 13,000보수의 신체활동을 하도록 권고하였다. 연구결과, 12주간의 신체활동 중재를 통해 신장, 체중, BMI, 심폐체력의 유의한 증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활동량과 신체구성, 심폐체력,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와의 상관성 분석 결과, 신체활동량은 최대산소섭취량과 수축기혈압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활동 강도와 신체구성, 심폐체력,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와의 상관성 분석 결과, 신장과 중강도 및 고강도 신체활동이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초등학교 여학생의 경우 심폐체력증진과 키 성장 자극 그리고 비만 및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의 효과적인 개선을 위해서는 중등도 이상의 규칙적인 운동을 포함하여 상당한 수준의 신체활동량(예, 1일 13,000보수)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Kang, H. S., Ha, C. D., Hong, H. R, Kwon, H. K., Kim, S. H., Woo, S. K. Correlations of physical activity with cardiorespiratory fitness, body composition,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elementary school girls. Exercise Science. 20(4): 389-396, 2011.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of physical activity with cardiorespiratory fitness (CRF), body composition,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elementary school girls. A total of 24 girls (11.79±0.78 year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stuy.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ll the participants underwent a series of measurements including body composition, obesity indices, CRF,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Then each participant was invited to participate in a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targeting at 13,000 steps/day, which was predetermined in our preliminary study, for 12 weeks. All participants worn the Life-corder accelerometer to monitor their daily physical activities including its volume and intensity.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CRF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12-week PA intervention. PA volume was positively related to CRF and systolic blood pressure (SBP). Moderate and high PA intensities were positively relate to height growth. In conclusion, the current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substantial amount of physical activity (i.e., accumulated 13,000 steps per day) including regular exercise with moderate or higher intensities would be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s of in CRF, obesity indices,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s well as height growth.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특성불안이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왜곡의 매개효과

        김산 ( San Kim ),하은혜 ( Eun Hye Ha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1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특성불안이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신체감각 증폭 지각과 신체증상 귀인 양식 등의 인지적 왜곡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서울, 경기지역 고등학교의 학생 941명을 대상으로 특성-불안 척도, 한국판 아동 신체화 척도, 신체감각 증폭 척도, 증상 해석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불안과 신체화 증상의 관계에서 신체감각 증폭 지각, 신체증상 귀인양식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 절차와 Sobel Test를 하였다. 특성불안과 신체화 증상의 관계에서 신체감각 증폭 지각과 신체증상 귀인 양식 등의 인지적 왜곡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신체감각 증폭 지각과 신체증상의 귀인 양식 중 신체귀인, 정서귀인은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반면 중성귀인은 매개효과를 갖지 못하였다. 이 결과는 불안이 청소년의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주지만 중성귀인을 한다면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에 따라 청소년기의 특성불안과 신체화 증상의 관계에서 인지적 요인의 영향력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특성불안이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신체감각 증폭지각과 신체귀인, 정서귀인이 일부 원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distortions, such as somatosensory amplification and attribution styles of somatic symptom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trait-anxiety and somatization symptom. The participants were 941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unggi area. The instruments used were as follows: Korean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K-STAI), Children`s Somatization Inventory (CSI), Somatosensory Amplification Scale (SSAS), and Symptom Interpretation Questionnaire (SIQ).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The mediating effects of somatosensory amplification and the attribution styles of somatic symptom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it anxiety and somatization symptoms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steps developed by Baron & Kenny`s (1986). The Sobel test was used to analyze the effects. The main findings showed that cognitive distortions, in particular, somatosensory amplification and the attribution styles of somatic symptoms including somatic attribution and emotional attribution,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of interest. However, neutral attribution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 신체화에 따른 질병행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송지영,염태호,오동재,조성욱,Song, Ji-Young,Yum, Tae-Ho,Oh, Dong-Jae,Cho, Seong-Wook 한국정신신체의학회 1997 정신신체의학 Vol.5 No.2

        목적: 한국인의 질병행동 특성에는 전통적인 질병개념, 신체화경향 및 각종 사회문화적 요소와 복합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이에 신체화 기전을 근본으로 한 신체형환자의 질병행동의 특성을 파악하여 여기에서 얻은 결과를 향후 치료에 활용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환자군은 DSM-IV에 의거하여 신체형장애로 진단된 환자 29명이었고, 대조군은 질병대조군으로서 골절 및 급성질환에 의해서 수술받은 환자 57명으로 하였다. 양군에서 임상증상의 특성과 통증의 유무 및 통증정도측정(Visual Analogue Scale) 상태불안(Spielberger의 Anxiety State Inventory), 우울정도 측정(Beck's Depression Inventory), 스트레스정도(Psychosocial Stress Scale)를 재고, 그리고 질병행동의 특성은 질병행동 평가 설문인 illness Behavior questionnaire(IBQ)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신뢰도를 검증한 후에 검사도구로 이용하였다. 결과: 신체형장애 환자는 대조군에 비해 증상기간이 길고 (71.8+64.3개월), 나이가 많았으며(39.0+10.2세), 측정당시의 통증정도($1.0{\pm}2.0$, p<0.05)는 낮았다. 과거력상 신체질병이 상대적으로 많았고, 불안$(50.9{\pm}10.7)$과 우울정도(20.3+9.5)가 높았다. 그러나 스트레스의 정도는 비슷하였다. IBQ의 척도중에 건강염려증$(5.2{\pm}2.6)$, 질병확신(3.1+2.0) 그리고 정서장애 척도$(3.0{\pm}1.6)$는 환자군에서 의미있게 높았으나(p<0.05), 심리적인 관심 대 신체적인 관심, 감정억제, 부정 및 짜증 척도에서는 양군에서 비슷하였다. 결론: 신체형장애 환자는 병에 대한 두려움과 질병확신에 의해서 신체증상에 더욱 집중하며, 이는 과거의 신체질환 병력, 잦은 신체검사와 병원방문과 같은 행동특성과 관련된다. 이들이 급성 신체질환자보다 스트레스정도가 높지도 않으면서 불안과 우울의 정도가 크다는 것은, 신체형장애환자의 신체화기전에 정서장애가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 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행동증후군으로서의 신체형장애를 파악하는 데에 있어서 질병행동의 평가는 중요하며, 앞으로 한국어로 번역되고 신뢰도가 확립된 IBQ는 질병행동의 특성을 아는데 뿐만 아니라 신체형장애와 기타의 질환과 구별하는 도구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고 사료된다. Abnormal illness behavior in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s were known formed by their traditional disease concepts and somatization-prone socio-cultural factors. The authors evaluated the characteristics of abnormal illness behavior in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s(who had somatization) by using abnormal illness behavior questionnaire. Methods : 29 somatoform disorders(SD) and 57 disease controls were compared by clinical characteristics, severity of pain, state anxiety(by Spielberger's State & Trait Anxiety Inventory), depression(by Beck's Depression Inventory) and level of psychosocial stess(by DSM-III-R). The illness behavior was measured by illness Behavior Questionnaire(IBQ). Results SD group had longer period of somatic symptoms with less severity in pain. The degree of anxiety and depression were higher in SB compared with controls. However, the degree of psychosocial stress was almost same between both groups. In IBQ, SD showed higher scores in general hypochondriasis, disease conviction, and affective disturbance subscales compared to control group. Conclusion: High disease conviction and hypochondriacal nature revealed by IBQ seemed to be a role in making somatization by way of somatic focusing and hypervigilance. And those tended to lead patients visit hospital frequently and report various somatic complaints. Evaluating abnormal illness behavior in somatoform disorders would be not only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natures of somatoform disorders but also useful differentiating SD with other psychiatric conditions.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신체화의 관계에서 신체감각 증폭지각 및 신체적 귀인의 매개효과

        김서윤 ( Seo Yun Kim ),하은혜 ( Eun Hye Ha ) 한국놀이치료학회 2009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2 No.2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신체감각 증폭지각과 신체적 귀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부산, 서울, 경기지역 고등학교의 1, 2학년 학생 1,590명(남자 730명, 여자 860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수준 검사지, 한국판 아동 신체화척도, 신체감각 증폭 척도, 증상 해석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스트레스와 신체화의 관계에서 인지변인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 절차와 Sobel test를 사용하였다. 스트레스와 신체화의 관계에서 신체감각 증폭지각 및 신체적 귀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스트레스와 신체화 총점간의 관계에서 신체감각 증폭지각과 신체적 귀인 모두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스트레스와 통증 및 허약 증상, 소화기 증상, 시각적 증상 등의 관계에서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에 따라 청소년기 스트레스와 신체화 관계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스트레스와 신체화의 관계에서 신체감각 증폭지각 및 신체적 귀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e effects of somato-sensory amplification and somatic attribu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tress and somatization. The subjects were 1,590 1st and 2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Kyonggi and Busan. The Examination Paper of Stress Level, Korean Children`s Somatization Inventory, Korean Versions of Somatosensory Amplification Scale and Symptom Interpretation Questionnaire were assess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2.0, Baron and Kenny`s(1986) model and Sobel test were used to verify mediational effe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omato-sensory amplification and somatic attribu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tress and total score of somatization. Somato-sensory amplification and somatic attribu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tress and pain and weakness, conversion or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visual symptoms. The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tress and somatization and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s of somato-sensory amplification and somatic attribu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tress and somatization.

      • KCI등재

        신체화에 따른 의미확장 연구

        남혜현(Nam Hye Hy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07 노어노문학 Vol.19 No.3

        언어의 이해와 사용은 인간의 인지능력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의미란 인지과정의 산물로서 세상에 대한 인간의 체험, 곧 ‘신체화(embodiment)’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것은 인간이 이 세상에서 얻는 모든 경험이 그의 신체조직에 의해 제약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체화는 인간 인식의 출발점으로서 의미확장의 진원지이며, 언어의 구조와 의미에 내재된다. 본 연구는 신체부위를 가리키는 어휘, 곧 신체어의 의미확장을 통해 러시아어에서 ‘신체화’의 의미, 곧 ‘신체’ 개념이 다른 어떤 개념을 인지하고 언어화하는데 사용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1) 신체어의 다의성과 그것의 관용어 및 파생어 생산성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그리하여 가장 활발한 영역으로 의미를 확장하는 голова, глаз, рука, нога의 관용어와 파생어의 수는 다른 신체어들에 비해 월등히 많다. 2) ‘동물’을 제외하고, 신체어가 표현하는 주된 개념으로는 ‘사람’, 그 가운데에서도 ‘신체부위의 구성요소’와 ‘사람의 심리적, 물리적 상태’가 있다. 이것은 구성면, 즉 전체와 부분사이의 인접성이 작용한 결과이다. 3) 대단히 많은 수의 신체어 관용어가 사람의 심리, 감정 상태의 의미장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특성은 러시아인의 민족성과 연관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4) 신체어가 식물을 지칭하는 경우는 대개 신체부위와 형태적 속성의 유사성에 기반한다. 5) 많은 수의 신체어는 공간을 분할, 명명하는데 사용된다. 이것은 인간이 자신의 신체를 중심으로 공간을 인지하고, 측정한다는 원리에 의한다. 신체어는 주관적 거리측정의 기준으로서 첫째, '근접거리'의 개념을 표현하고, 둘째, 신체부위를 중심으로 주변 공간을 명명한다. 6) 신체어의 많은 전이의미가 추상적 개념 영역에 속한다. 여기에는 기능적 인접이나 유사에 의한 의미가 많고, 위치적 속성의 인접이나 유사에 의한 것도 소수 있다. 그러나 위치면은 기능, 구성, 형태면에 비해 의미전이성이 낮다. 7) 구성, 형태, 기능, 위치적 특성이 개별 신체어의 의미확장에 개입하는 정도는 해당 신체부위가 갖고 있는 여러 특성 가운데 어느 것이 가장 현저하게 드러나는지, 어느 것이 가장 인간의 삶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8) 신체어의 전이의미들은 서로 밀접히 연관되며, 각 신체어들의 개념장은 서로 접경하고, 교차한다. 이것은 단어의 의미확장이라는 것이 본질적으로 범주와 범주간에 명확한 구분이 불가능한 인간의 인지체계에 기반한다는 사실을 상기해볼 때,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 우울증 환자에서 신체화 증상에 따른 질병행동의 차이

        윤창영,장세헌,제영묘,이대수,최진혁,Yoon, Chang-Young,Jang, Se-Heon,Jae, Young-Myo,Lee, Dae-Su,Choi, Jin-Hyuk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9 정신신체의학 Vol.17 No.2

        연구목적 : 질병행동은 건강 상태 또는 그에 상응하는 증상을 지각, 평가, 반응하는 적응적/비적응적 방식을 의미한다. 인지치료적인 측면에서 볼 때, 신체화 증상은 신체 지각적 측면에서 증상을 지각, 평가, 반응할 때 확대나 증폭과 같은 왜곡이 일어나 생긴다고 설명된다. 즉, 신체화를 질병행동의 이상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체화 우울증군과 비신체화 우울증군 간의 질병행동을 비교하여 우울증 환자에서 보이는 신체화와 관련된 질병행동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ICD-10의 진단 기준으로 진단된 우울증 환자 45명을 대상으로 한국형우울증척도(Korean Depression Scale)를 이용하여 신체화 우울증군과 비신체화 우울증군을 나누었으며, 두 집단에서의 질병행동의 차이점을 질병행동질문지(Illness Behavior Questionnaire)를 통해 비교하였다. 결과 : 신체화 우울증군은 비신체화 우울증군에 비해 질병확신 하위척도($6.79{\pm}2.08$ vs $4.76{\pm}2.23$, p=0.003)와 부인 하위척도($3.25{\pm}1.22$ vs $2.10{\pm}1.41$, p=0.006)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건강염려 하위척도와 불안정성 하위척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질병행동 하위척도들이 신체화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회귀분석의 결과에서도 신체화 우울증군이 질병확신 하위척도(odds ratio=1.418, p=0.089)와 부인 하위척도(odds ratio=1.880, p=0.083)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신체적으로 질병을 확신하고 심리적으로 질병을 부인하는 것이 우울증 환자에서 신체화 증상을 특징짓는 질병행동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질병행동의 하위척도들은 우울 기분과 신체화 증상을 보이는 정신질환을 감별하고 예측하는 유용한 심리적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 Illness behavior is defined as the persistence of an adaptive/maladaptive mode of perceiving, evaluating and responding to health status and symptoms according to the status. In a cognitive aspect, somatizing symptoms are regarded as being originated from distortions, including magnification and/or amplification, of perceiving, evaluating and responding to symptoms such as bodily sensations. That is somatization may be explained by maladaptive illness behavior. In this study, we tried to investigate differences of illness behavior in depressive patient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somatization. Methods : We divided 45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depression with ICD-10 diagnostic criteria into two groups(somatizing and non-somatizing group) according to the somatization subscale of Korean Depression Scale and compared two groups in the differences of illness behavior using the Illness Behavior Questionnaire. Results : Somatizing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non-somatizing group on the disease affirmation subscale($6.79{\pm}2.08$ vs. 4.76, p=0.003) and the denial subscale($3.25{\pm}1.22$ vs. $2.10{\pm}1.41$, p=0.006).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on the general hypochondriasis subscale and the affective unstability subscale. In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omatizing group also showed higher odds ratio (OR) scores on the disease affirmation subscale(OR=1.418, p=0.089) and the denial subscale(OR=1.880, p=0.083). Conclusion : The disease affirmation and denial may be a discriminative mechanism of somatization in depressive patients. These subscales of Illness Behavior Questionnare could be useful markers, and psychiatric illnesses with somatizing and depressive symptoms may be differentially diagnosed and be predicted through these subscales.

      • KCI등재

        무용전공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학과적응과의 관계

        장희옥,김선정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09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5 No.2

        이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학과적응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즉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 자신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는 신체적 자기효능감(신체적 유능감, 신체적 X댄감, 신체적 매력감)과 무용과에 대한 적응(지도자적응, 동료적응, 학습적응, 생활적응)의 영향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소재 4년제 무용과에 재학중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유의표집 (purposive sampling) 방법을 이용하여 397명을 표집 하였으며, 총 388부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된 자료처리방법으로는 기초통계량(평균치, 빈도분석) 산출,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무용전공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지도자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유일하게 신체적 매력감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동료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신체적 유능감, 신체적 자신감, 신체적 매력감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전공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학습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신체적 자신감, 신체적 매력감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무용전공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신체적 유능감, 신체적 매력감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여 보면, 무용전공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학과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증명하고 있다. 이것은 자신의 신체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를 심어줄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학과에 대한 적응력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 between dance student physical self -efficacy and their department adjustment. That is, we examined how physical self-efficacy (physical efficacy, physical confidence, physical attractiveness) perceived by dance students concerning themselves affects their adjustment to the dance department (adjustment to leaders, adjustment to peers, adjustment to learning, and adjustment to life).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397 students majoring in dance in Seoul and Gyeonggi-do through purposive sampling, and used 388 questionnaires in analysis.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through the generation of basic statistics (means, frequencie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thes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were drawn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factors of dance student physical self-efficacy, physical attractive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djustment to leaders. Second, among the sub-factors of dance student physical self-efficacy, physical efficacy, physical confidence, and physical attractive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djustment to leaders. Third, among the sub-factors of dance student physical self-efficacy, physical confidence and physical attractive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djustment to learning. Fourth, among the sub-factors of dance student physical self-efficacy, physical efficacy and physical attractive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djustment to life. Summing up the conclusions above, dance student physical self-efficacy was found to be a variable affecting the student department adjustment significantly. This suggests that student physical self -efficacy can bring a positive change to their perception of their body and, consequently, enhance their adaptability to the depar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