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명종말~선조초 고봉 기대승의 정치 활동

        나종현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3 한국학논총 Vol.59 No.-

        이 연구에서는 기대승의 정치 활동을 재구성하고, 당시의 정국 속에서 그의 정치 활동이 가진 의미를 이해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기대승은 기묘사림의 후예로서 가학에 입각하여 도학 사상을 근간으로 하였다. 그는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척신정치의 청산과 사림 정치의 실현이라는 정치적 입장을 형성하고 있었다. 기대승은 명종말 문과에 급제한 후 정치활동을 시작하였고, 어린 연배에도 불구하고 신진사류를 대표하는 인물로 기대를 받았다. 이에 권신 이량으로부터 고담준론을 일삼는다고 탄핵을 받기도 하였지만, 이량의 실각과 함께 조정에 복귀한 후에는 신진사류의 중심으로 입지를 굳건히 하였다. 선조 초반 정국에서 명종대 권간으로 인한 구체제의 혁신을 둘러싸고 개혁에 미온적이었던 구신 세력과 개혁에 적극적이었던 신진사류의 갈등이 구체화되었다. 낭천제와 문소전 문제를 둘러싸고 갈등은 격화되었으며, 급기야 신진사류들은 또 다른 사화가 일어날 수 있다는 위기감에 휩싸였다. 이 시기 기대승은 이황과의 협조 속에서 신진사류를 대표하여 정치 개혁을 강하게 주장하였다. 그는 기묘사화 이후의 정치적 사건들에 대하여 시비를 명백히 할 것을 요구하고, 사림의 정치적·학문적 정당성을 천명함으로써, 신진사류가 주장하고 있던 정치 개혁의 기반을 닦으려 하였다. 그는 문소전 문제와 같이 신구갈등을 촉발시킨 문제에 대하여서도, 개혁에 미온적인 구신 세력을 강하게 비판하면서, 이들로부터 신진사류의 중심으로 지목받았다. 결국 김개를 비롯한 구신 세력에 의해 축출될 뻔한 사건을 겪으면서, 정치적 위기의식 속에서 고민하던 기대승은 이황의 조언을 받아 정계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이후 정치 개혁은 이이로 대표되는 신진사류 중에서도 후진들에 의해서 주도되었다.

      • KCI등재

        성종 14년(1483), 신진사류, 그리고 道學으로의 轉回-추강 남효온과 그 師友의 동향을 중심으로-

        정출헌 한국고전번역원 2018 民族文化 Vol.52 No.-

        The Joseon Dynasty which was established with Confucianism as a national policy made steady progress in the history of thought from Buddhism to Confucianism by making use of national power. Thus, a genealogy of Neo- Confucianism was created such as that of Jeong Mongju to Gil Jae to Kim Sukja to Kim Jongjik to Kim Gwangpil and Jeong Yeo Chang to Jo Gwanggjo to Yi Eonjeok to Yi Hwang. However there is little revelation on the true nature of Neo-Confucianism that Neo-Confucian scholars such as Kim Gwangpil had in the period of King Seongjong. The loss of data must be the main reason, but a lack of close examination about material on their lives and the trends of the times were also crucial factors. This article focuses on the change in the study and thoughts of Neo-Confucian scholars in the 14th year of King Seongjong (1438) with the necessity of reflective investigation in mind. Interestingly, Kim Gwangpil moved to Yangju in the same year and finally pursued studies other than Sohak and his close friend Nam Hyo-On built Gyeongjijae, a study in Haengju and actively wrote Neo-Confucian articles such as the Essay on the Mind 心論, Essay on Human Nature 性論, Essay on Life 命論, Essay on Ghosts 鬼神論. Moreover, this is the time when Kim Si-Seup who had a huge impact on Neo-Confucian scholars at the time of Seongjong left Seoul heading towards Chuncheon with a wagon loaded with books, the Six Books 六經 and history books 子史. It was not an accident that Neo-Confucian scholars at the time of King Seongjong scattered in all directions living in the vicinity of Seoul and began to immerse themselves in new life and new study in the same year. It was a sign of the times caused by the deep frustration with political practices and the intellectual desires of Neo-Confucianism with King Seongjong getting into politics. The organization of Bamboo forest scholars and the incident of Seonggyungwan wall poetry in the 13th year of King Seongjong were indications that suggest the change. In the end, these young scholars did not pass Gwageo civil exam in the spring of King Seongjong’s 14th year, and took the opportunity to promote change in the direction of Neo-Confucianism through Neo-Confucian books such as Seongri Gunseo and Seongri Daejeon. However, except fr Kim Gwangpil, leading figures who struggled together such as Nam Hyo-On, Yi Simwon, and Yi Hyeonson ended up having their names removed from the genealogy of Neo-Confucianism. That is why I paid attention on their activities in the 14th year of King Seongjong. 유교를 국시로 내걸고 건국한 조선은 국가권력을 활용하여, 불교로부터 유교로의 사상사적 전환을 꾸준하게 진전시켜나갔다. 그리하여 ‘정몽주→길재→김숙자→김종직→김굉필․정여창→조광조→이언적→이황’으로 이어지는 도학의 계보를 만들어내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김굉필․정여창으로 대표되는 성종대의 신진사류가 그 계보에서 차지하는 도학의 실체에 대해서는 밝혀진 것이 별로 없다. 자료의 일실이 주된 원인이겠지만, 그들의 생애자료와 시대적 동향에 대한 세밀한 탐구가 부족했던 것도 원인으로 작용했다. 본고는 그런 반성적 고찰의 필요성을 염두에 두고, 성종 14년(1483)에 보인 신진사류의 학문적․사상적 변화에 세밀하게 주목하고자 했다. 흥미롭게도 김굉필은 그 해 楊州로 물러앉아 비로소 『소학』이 아닌 다른 책을 읽어가며 강학활동을 시작했고, 남효온도 幸州에 敬止齋를 지어놓고 「心論」․「性論」․「命論」․「鬼神論」과 같은 성리학적 논설을 활발하게 집필했다. 뿐만 아니라 성종대의 신진사류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쳤던 김시습도 바로 그때 六經과 子史를 수레에 싣고 서울을 등지고 춘천으로 떠나버렸다. 이처럼 성종대의 신진사류들이 같은 해에 뿔뿔이 흩어져 서울 인근에 은거하며 새로운 삶과 새로운 학문에 빠져들기 시작했던 것은 우연이 아니었다. 성종 7년의 親政을 계기로 일어난 성리학에 대한 지적 요구와 정치현실에 대한 좌절이 빚어낸 시대적 징후였던 것이다. 성종 13년에 일어난 竹林羽士 결성과 성균관 壁書詩 사건은 그런 변화를 암시하는 강력한 조짐이었다. 결국 성종 14년 봄의 과거 낙방을 계기로 젊은 그들은 『근사록』․『성리군서』․『성리대전』과 같은 성리서적을 통해 도학으로의 轉回를 도모해갔다. 하지만 김굉필을 제외한 南孝溫․李深源․李賢孫처럼 함께 분투했던 선구적인 존재는 道學의 계보에서 지워지고 말았다. 본고에서 성종 14년의 잊혀져간 그들을 새삼 주목하게 된 까닭이다.

      • KCI등재

        고려말 房士良의 時務 11事와 정치 성향

        김철웅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08 東洋學 Vol.44 No.-

        The 3rd year of King Gongyang’s throne was, on one hand, the period in which the circumstance for the rise of a new dynasty was getting formed; on the other hand, the time in which a group circling Jeong Mongju, surpporting King Gongyang, was struggling to maintain the Koryeo regime. At this critical period, Bangsaryang reported a reform plan to suggest a measure for the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military matters. In the Reform Plan, Bangsaryang indirectly criticizing King Gongyang’s Buddhism-friendly attitude through mentioning the matter of extravagance. This fact says that Bangsaryang, unlike other Sinjin Salyu planning a new dynasty, was supportive to the criticism against Buddhism. The fundamental of Bangsaryang’s economic policy was to rely on self-supporting economy and against the private and underground international trade. He stood by the consuming domestic products and blamed the thoughtless foreign import. Regarding this, he asserted the strict application of penalty against merchants’ underground trade. Bangsaryang also asserted the use of money, as he thought it will help the government to stabilize its finance. His Claim for the compensation for loyal subjects that died for their country shows his position to maintain the Koryeo Regime. King Gongyang accepted Bangsaryang’s reform policy and appointed him to the Hyeongjo Jeongrang; this was a very special rare case. Bangsaryang is thought to have been supportive for King Gongyang. Yet, when the references of the 11 articles of Shimu were Book of Poetry[Shigyeong], Jeongguangjeongyo, and so on, Bangsaryang’s political tendancy seems to have had some distance from Sinjin Salyu planning a new dynasty. He was supportive for the monarchy system. Bangsaryang is thought to have been a member of the anti-Li Seonggye group. 공양왕 3년은 신왕조 개창의 분위기가 한창 고조되던 시기였으며, 한편으론 정몽주를 중심으로 한 일단의 세력들이 공양왕을 지지하며 고려 체제 유지를 위해 고심하던 때였다. 이러한 중요한 시기에 방사량은 공양왕에게 時務 11事를 올려 정치, 경제, 사회, 군사 등의 문제에 대한 대책을 제시하였다. 시무 11사에서 방사량은 사치문제를 언급하면서 공양왕의 숭불을 은유적으로 비판하고 있는데, 이것은 개국파 신진사류와는 달리 불교 비판에 대해 온건한 입장이었음을 말해준다. 그리고 방사량이 주장한 경제론의 기본은 대체로 자급자족의 경제를 우선으로 하고 사무역과 밀무역을 반대하는 것이었다. 그는 토산물의 사용을 바람직한 것으로 보고 무분별한 외국 물품의 수입을 비난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상인의 밀무역에 대해 엄정한 令의 시행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鑄錢과 楮幣 사용을 주장했는데, 이것은 국가 재정 확보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었다. 또한 국가를 위해 죽은 勳烈之臣을 포증하자고 한 것은 고려 체제 유지의 입장을 보여준다. 공양왕은 방사량의 시무책을 “深納之”하였으며 그를 형조정랑에 임명하였는데, 이는 다른 사례에서는 볼 수 없는 매우 특별한 경우였다. 그리고 시무 11사의 내용을 볼 때 방사량은 공양왕을 지지했던 신진사류로 생각된다. 한편, 시무 11사의 주요 전거가 『시경』, 『정관정요』 등이었음을 볼 때 그의 정치 성향은 개국파 신진사류와 다소 거리가 있었던 것으로 생각되며, 군주 중심의 체제를 옹호하는 입장이었다. 즉 방사량은 공양왕을 지지한 반이성계세력의 한 사람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조위(曺偉) 시(詩)에 나타난 15세기(世紀) 후반(後半)의 관인상(官人像)과 그 의미

        김창호 ( Chang Ho Kim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2 漢文古典硏究 Vol.25 No.1

        이 글은 조위 시에 나타난 15세기 후반의 官人像에 대해 알아보고, 그것이 조선 전기 時代精神의 변화 가운데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를 규명하는 데에목표를 둔다. 조위의 관인상 형성의 배경에는 두 축이 있다. 하나는 자형이자 스승인 김종직으로, 그는 조위에게 유가적 근본이념의 탐구와 실천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한편, 그러한 이념적 지향을 바탕으로 새 시대를 열어나가기를 기대했다. 또 하나는 당숙인 조석문으로, 조위를 경화 사회에 훈구가문의 일원으로 인식하게 하는 한편, 그가 이른 나이에 경화문화적 체질을 형성하는 데에 도움을 주었다. 상대적인 성향의 두 사람을 통해 조위는 당대에 필요한 관인적 능력을 갖추어 가면서, 관인으로서의 지향 정립에 필요한 사고와 감각을 갖추어 나갔다고 할 수 있다. ‘관인상’은 임금을 보좌하고 백성을 다스리는 관리로서 지향하는 이상적 지점이면서, 직접적으로는 시대 인식을 바탕으로 자신을 규율하고 실천의 방향을 정립하는 지점이기도 하다. 조위의 관인상은 두 가지로 요약된다. 하나는 태평 성세로 자부하는 당대에서의 ‘聖君을 보좌하는 盛世의 官人’의 像이다. 이는 시대에 대한 자신감 또는 낙관적 사고의 반영으로, 봄볕같은 성세의 혜택을 입으면서 그러한 성세를 지속시켜 나가야 한다는 책임 의식과 관련된 것이다. 다른 하나는 신진사류적 의식과 관련된 것으로 ‘自己檢束을 바탕으로 道義를 견지하는 관인’의 상이다. 신진사류와의 연대 속에서 학문적ㆍ정치적신념의 실천에 대한 기대를 자주 볼 수 있는데, 이 가운데 특히 민생을 우선시하고 時政에 대한 비판을 서슴지 않는 태도와 관계된 것이다. 시대적인 흐름을 볼 때, 조위가 활동한 시기는 정치권력이나 학문권력의면에서 훈구로부터 사림으로의 점차적인 이동이 시작되는 시기였다. 김종직 진출 이후 조위, 金宏弼, 金馹孫등으로 이어질 무렵에 사화가 일어나고, 극심한 피해가 있었지만, 종국적으로는 16세기 후반 사림의 승리로 귀결된다. 조위의 시에 나타나는 두 관인상은 훈구로부터 사림으로 정치ㆍ학문 권력이 이동하기 시작하던 15세기 중ㆍ후반의 모습을 잘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時代精神의 점차적인 변화라는 측면에서도 설명 가능하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images of the 15th century`s bureaucrats in Jo Wi`s poems, and what implications they have with changes of zeitgeist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ere were two bases of the formation of Jo`s images of bureaucrats. One is his brother-in-law and teacher, Kim Jong-jik, who woke up Jo about the importance of the exploration and practice of the radical ideologies of Confucianism, and expected him to open a new age on the basis of such an ideological orientation. The other is his uncle (his father`s cousin) Jo Seok-mun, who got Jo Wi to recognize himself as a member of a Hungu family in capital society, and helped him to be equipped with capital-cultural features in his early days. The `images of bureaucrats` not only meant ideal points toward which officials who assisted the king and govern people should be oriented, but also directly refer to directions in which they disciplined themselves and established their practice on the ground of the evaluation of the times. Jo`s images of bureaucrats can be summarized generally in two dimensions. In one dimension, they are ``officials assisting the lord in the reign of peace`` in the days of King Seongjong, which the poet himself regarded as the reign of peace. This was a reflection of his confidence in the times or optimistic thoughts, and the officials in those images appeared to vow to fulfill their responsibilities in keeping the time of prosperity. In the other dimension related with neo-bureaucratic consciousness, they were ``officials maintaining morality on the basis of self-regulation.`` In particular, they put priority on public welfare, and were willing to criticize political situations at that time. The parallelism between the two images of bureaucrats in Jo Wi`s poems well reflect the aspects of the middle and late 15th century, in which politics, scholarship, and power began to move from Hungu to Sarim. This can be accounted for on the side of changes of zeitgeist.

      • KCI등재

        성종대 新進士類의 同類意識과 그 分化의 양상

        정출헌 민족문학사연구소 2012 민족문학사연구 Vol.50 No.-

        Since modern studies began, the main interest of academic field leans deeply towards the search for modernity. We could say as a typical example that people discover new signs and aspects in late Joseon period and sought to understand them as root of modernity. Thus, the interest of scholars on pre-modern era concentrated on late Joseon period, on the other hand, early Joseon period was considered as so called ‘dark period’and left as it is and neglected. However we should not overlook the pride and enthusi-asm of founding fathers of new nation, Joseon. They acknowledge a new way of thinking called Neo-Confucianism and attempt to establish Joseon to be civilized nation. In the late fifteenth century, that is, the reign of King Seongjong, was estimated as completion period of culture and institutions for confucian politics. It is necessary to examine carefully the academic trends of Kim Jong-Jik(Jeom Pil-Jae, pen name) and his followers who led the period from that perspective. They had undergone very special bond and camaraderie and the process of division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we could ascertain unexplicable features by existent dichotomy between ruling bureaucrats, Hungu and neo-confucian scholars, Sinjinsaryu. The new era brought forth various classes of scholars at the cultural inflection point under Kim Jong-Jik; moral philosophers such as Kim Gweng-Pil, Jeong Yeo-Chang, great writers such as Jo Wi, Kim Il-Son, Nam Gon, and outlier like Nam Hyo-On. This result was confirmed from the record of Hong Gwi-Dal, close friend of Kim Jong-Jik, and disciple Nam Hyo-On as well as documents of Yi Hwang and Hong Han-Ju from later period. Further study will be done in the future about specific fields of each class and how they become varied in the sixteenth century based on these facts.

      • KCI등재

        추강 남효온과 유산(遊山): 한 젊은 이상주의자의 상처와 지리산의 위무(慰撫)

        정출헌 ( Chul Heon Chung ) 한국한문학회 2011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47

        추강 남효온 그의 나의 34세 되던 1497년(성종 18) 9월 27일부터 l0월 l3일까지 지리산에 올랐다. 그리고 그때의 여정을 『智異山日課』 라는 유산록에 담았다. 그보다 l5년 전 스승 김종직도 지리산을 유람한 뒤 『遊頭流錄』 올 남겼고 그보다 2년 뒤 김종직의 제자였던 탁영 김일손도 『鑽頭流錄 』(頭流紀行錄) 을 남겼다, 이들 외에 조위, 유호인, 김굉필, 정여창, 훙유손, 양준과 같은 김종직 제자들도 지리산에 올랐다. 이들이 잇따라 지리산을 유람하고 그 여정과 감회를 기록으로 남겼던 이런 현상이 우연만은 아닐 터다. 거기엔 분명 15세기 후반 김종직과 그 문도들을 중심오로 한 新進士類의 강력한 동류의식이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런 동질성에 유념하면서도 그들 각각이 지리산에 올랐던 까닭, 그리고 유산과정에서 드러나는 감정의 미세한 떨림과 변화를 삶의 여정 위에서 보다 꼼꼼하게 읽어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런 점에서 남효온이 남긴 『智異山日課』와 문집에 산재 되어 있는 지리산 詩文들을 함께 아울러 검토하는 작업은 매우 요긴하다. 여정에 대한 사실적 기록인 『지리산일과」 와 내면의 심회를 읊고 있는 시문 작풍들을 통해, 16일 동안 지리산을 ``홀로`` 유람했던 남효온의 모습을 거의 온전하게 재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때 『지리산일과』 에 인상적흐로 轉聞, 記錄되어 있는 ``칠불사의 玉寶高 거문고 전설``, ``화엄사의 緣起祖師 모자 전설``, ``쌍계사의 최치원 은거 전설`` 은 지리산을 유람하던 즈음, 남효온의 상황과 심경을 대변하고 있는 흥미로운 단서로 읽힌다. 한때 뜻을 같이 했던 師友들로부터 점차 고립되어 가던 자신의 처지, 거기에 가족사의 시련이 겹쳐지면서 늙은 모친과 처자식을 뒤로한 채 정처 없이 떠돌던 자신의 심회, 그런 방랑의 삶에 지친 심신을 내려놓고 싶던 내면의 갈망과 일정하게 조웅되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소릉복위 상소의 실패로부터 시작된 한 젊은 이상주의자의 깊은 상처를 장엄한 지리산은 慰撫의 손길로 어루만져 주고 있었던 것이다. 『지리산일과』 와 그때 지은 시문은 그런 모습을 잘 보여준다. 이런 면모는 신진사류의 士意識 만으로는 설명하기 힘든, 남효온 개인의 구체적인 삶에서 분비되는 독특함이다, 이런 결과는 개인의 체험을 집단 의식으로 환원하려는 거대담론의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고, 한 인물의 연구가 보다 철저한 실증적 삶의 再構로부터 출발해야 할 필요성을 일깨워주는 것이기도 하다. Chugang Nam Hyo-On climbed Jiri mountain from September 27th to October 13th in 1487(eighteenth year of King Seongjong) at the age of thirty four. After that he recorded mountain travelogue called Jirisan Ilgwa. His teacher Kim Kong-Jik had written Yuduryurok after climbing Jiri mountain fifteen years before and Tak Young, Kim Il-Son, another pupil of Kim Jong-Jik, wrote Sokduryurok or Duryu Travelogue two years after that. Besides them, followers of Kim Jong-Jik such as Jo-Wi. Yu Ho-In. Kim Gweng-Pil. Jeong Yeo-Chang. Hong Yu-Son. Yang Jun climbed Jiri mountain. It was no accident that they went sightseeing to Jiri mountain and recorded their itinerary and impressions. It seems that there must have been strong concept of the consciousness of kind among Sinjinsaryu(newly established scholars) such as Kim Jong-Jik and his followers in the late fifteen century. However keeping in mind that homogeneity we need to endeavor to read more in detail their reasons of climbing, subtle tremor of feelings and changes in mountain sightseeing in the middle of life journey. Some stories that they heard and wrote were interesting such as "The Legend of Okbogo (geomungo. six string instrument) at Chilbulsa Temple", "The Legend of Yeongijosa and his mother at Hwaumsa Temple". "The Legend of Choi Chi-Won`s Hermitage at Ssanggyesa Temple". It appears that the scholar Choi Chi-Won left behind his teachers and scholar friends who were of the same mind once and secluded himself and left behind old mother and his family due to family`s ordeals. It seems that he expresses feelings of his wandering life and inner longings to let down worries and soothe his weary body and soul. Jib Mountain appeases the idealist`s deep hurt with soothing hands who submitted appeal to the government and got discouraged in his younger years. These aspects were distinct from other newly established scholars, which is coming from Nam Hyo-On`s personal life experience. These findings not only shows the limitations of grand narrative to reduce individual experience to group consciousness, but also awakens to more thorough and substantial reexamination of an individual scholar.

      • KCI등재

        남효온의 송도유람과 『송경록(松京錄)』의 울울한 여정

        정출헌 ( Chul Heon Chung ) 한국한문학회 2015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8

        고려의 古都 松都는 조선전기 문인들이 자주 찾았던 대표적인 유람지였다. 南孝溫은 이런 송도를 모두 네 차례 유람한 바 있다. 개성 인근에 田庄이 있었기 때문에 그처럼 자주 찾을 수 있었다. 그 가운데 성종 16년(1485) 가을 禹善言ㆍ李貞恩ㆍ李摠 등 절친한 벗들과 함께 했던 제3차 송도유람을 마친 뒤, 그 여정과 감회를 『松京錄』에 담아냈다. 거기에는 현실에서 소외된 성종대 신진사류가 꿈꾸던 逸脫과 鬱鬱한 정감이짙게 드리워져 있었다. 하지만 선배 문인들이 다녀간 발자취를 되짚어가며 문사로서의 자부심을 발동시키기도 했다. 天水亭에 걸려 있는 崔斯立의 시에 대한 和韻詩에서 그런 면모가 잘 드러난다. 또는 고즈넉한 山寺에서 마음의 위안을 얻는다거나 집단기억으로 고착된 鄭夢周의 충절을 곱씹어보는 비판적 시각을 내비치기도 했다. 이런 『송도록』의 특징은 徐居正.李承召와 같은 훈구 관료문인들이 송도를 遊興과 懷古로 상징화했던 태도와도 다르고, 蔡壽ㆍ兪好仁과 같은 신진 관료문인이 遊興을 대폭 절제하는 한편 懷古를 詠史로 전환하려했던 맥락과도 달랐다. 새로운 시대를 꿈꾸던 ‘젊은 이상주의자의 挫折과 송도의 慰撫’라고 일컬을 만한 독특한 파토스로 가득차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이런 면모를 제대로 음미하기 위해서는 여정별로 담담하게 기록해간 『송경록』만이 아니라 그 기간 중에 얻은 詩篇은 물론 생애관련 자료 및 시대적 상황과 관련지어 함께 감상할 필요가 있다. 그럴 때 비로소 짤막짤막한 기록 너머에 감춰져 있는 남효온의 眞情을 읽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 시편은 본래 『송경록』 속에 포함되어 있었던 작품인데, 뒷날 추강집 을 편찬하는 과정에서 해체되어 詩體別로 문집에 분산ㆍ편입된 것들이기에 더욱 그러하다. 이런 방식을 통해 遊記.遊錄을 읽는 새로운 독법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Songdo, ancient capital of Goryeo, was one of the most visited and well-renowned attractions by scholars of early Joseon Period. Nam Hyo-On went on sightseeing tours to Songdo four times. He visited there frequently since his private fields were nearby. After his third trip to Songdo with his close friends, Wu Seon-Eon, Yi Jeong-Eun, Yi Chong in the autumn in the sixteenth year of King Seongjong(1485), he recorded his journey and sentiments in Songgyeongrok. The book covers the sentiments of escape from the routines of daily life they dreamed and melancholy of the rising scholars of King Seongjong period who were isolated from the reality. However they exercised their confidence as scholars and writers while tracing back the footsteps of senior scholars. It appears well in the rhyming poem in responding to Choi Sa-Rib``s poem which hung in the arbor, Cheonsujeong. It also shows he could get consolation from a quiet mountain temple or a skeptic perspective to reconsider fidelity of Jeong Mong-Ju that was fixed as collective memory.The characteristic of Songdorok is different from the attitude of bureaucratic scholars such as Seo Geo-Jeong, Yi Seung-So in that they symbolized Songdo as entertainment and reminiscence; again it is different from the rising scholars such as Chae Su and Yu Ho-In in that they controlled entertainment and intended to transform reminiscence into historic poems. Songdorok was full of unique pathos, that is, frustration of a young idealist who dreamed of a new era and consolation of Songdo. To appreciate this aspect properly we need to apprehend the data of his life and circumstances of the times as well as Songgyeongrok, a record by chronological journey, let alone poems of the period. Only then we could read the true sentiments of Nam Hyo-On hidden beyond the brief record. These poems were originally included in Songgyeongrok but later in the future, it was divided in the process of compiling Chugangjib and included separately by types of poems. I expect a new way of reading these travel books or the records of journey through these methods.

      • KCI등재

        朝鮮前期 園林文化의 한 局面

        이종한(Lee Jong-Ha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0 동양한문학연구 Vol.31 No.-

        朝鮮前期의 한문학사는 당시 문인들을 勳舊·士林으로 나누는 구도로 논의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시각을 통해 두 집단의 대별적인 측면을 주목해온 것을 반성하고 그들이 공유했던 부분들을 ‘원림문화’를 통해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대상 인물들을 成宗朝에 서로 다른 문학적·정치적 성향을 보인 것으로 논의된 ‘勳舊’와 ‘新進士類’에 해당하는 인물들로 선택했다. 이들의 일상과 문학에서 원림 문화가 자리잡고 있는 양상을 통해 두 문학 담당층의 공유점들을 확인해 보았다. 당시 원림 문화는 ‘훈구’와 ‘신진사류’의 일상 속에서 공통적으로 향유되었다. 서거정과 김종직은 자신의 가택에 별도로 화원을 조성했으며 이를 보고 느낀 바를 시문으로 나타내기도 했다. 또 강희맹과 조위도 자신의 원림에 花樹을 직접 재배했었고, 김굉필도 평소에 산수에 대한 애호가 깊어서 별서를 따로 지어서 그 곳에 원림을 조성했다는 기록이 확인된다. 조선 전기의 문인들이 원림을 문학적 소재로 대할 때에도 서로 유사한 양상이 확인되었다. 즉, 기존의 시각을 따르자면 훈구의 경우 관각적 화려함에 기반한 神仙思想이 내재된 표현, 신진사림의 경우 주자학을 의식한 心性陶冶와 관련된 표현이 서로의 문학이 지니는 대별적인 특징들이었다. 하지만 원림에 대한 문학에서는 두 집단이 이러한 표현들을 함께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고찰되어진 부분들은 기존의 ‘훈구’와 ‘신진사류’를 二分해서 대별적으로 보는 시각으로는 파악하기 힘든 특징들이다. 물론 원림이 그 특성상 당시의 인물들에게 문화적 산물로서 향유되는 것이 그저 자연한 현상일 수도 있다. 그러나 그 속에서 엿보이는 전기 문인들의 일상적 생각과 표현에서 대립이 아닌 공유점이 찾아지는데 의의를 둘 수 있다. 그리고 훈구에서 사림으로 이어지는 과정 전체에서 대상 인물들을 아우르지 못한 점에도 한계가 있다. 하지만 대상 시기가 훈구와 사림의 선구인 ‘신진사류’가 만나기 시작하는 시점이므로 이 부분에서 발견되는 접점에도 의미가 없진 않을것이다. The dualistic structure which divides the literati into the two group, Hungu(勳舊) and Salim(士林) has made many discussions about the history of the literature of the early Chosun period. This study reflects the tendency that some researches have focused on each groups' different characters, and tries to find the sharing part of the two groups. Hungu(勳舊) and New scholar-officials(新進士類) in the reign of king Seong-jong(成宗), who have been researched as having contrary literary and political characters, are involved in this study. The sharing parts between two groups are searched by focusing on how the garden culture are enjoyed in their daily lives and literature. At that time the enjoyment of the garden culture were common to Hungu(勳舊) and New scholar-officials(新進士類). Seo Geo-Jeong(徐居正) and Kim Jong-jik(金宗直) grew their gardens and wrote many poetries with the appreciation of their gardens. Kang Hi-maeng(姜希孟) and Jo We(曺偉) also grew trees and flowers in their own garden, and there are some records saying that Kim Goeng-pil(金宏弼) liked the scenery of nature so much that he built some cottages and grew gardens near them. When the garden is regarded as literary material, similar aspects are found between them. The existing study says about each groups' literary characters that Hungu(勳舊) often uses the expressions implying the idea of immortals(神仙思想) that are from the splendidudy says wan-gak(館閣) literature, and Salim(士林) often uses the expressions implying the training of mind(心性陶冶) that are from the Zhuxi studies. However, these expressions are used altogether when they see garden as a literary material. These parts can rarely be found in the view focusing on the contrary points between them. The fact that they enjoyed the garden culture together would be a natural cultural phenomenon, but it would be significant that we can find out the similar things, not the contrary things in their daily thoughts and literary expressions. There's a limit in this study that it can't involve the whole people in the course in which the people in charge of literature are changing from Hungu(勳舊) to Salim(士林). However, the time this study focuses on is the beginning point when the two groups start to meet each other, so the sharing point between them would be meaningful.

      • KCI등재

        노국대장공주와 공민왕의 정치

        이형우(Lee Hyung-Woo) 한국인물사연구소 2009 한국인물사연구 Vol.12 No.-

        고려 충렬왕이 원 나라의 제국대장공주와 혼인을 시작한 이후 고려와 원 나라는 사위와 장인의 관계가 성립되었다. 노국공주는 그런 역사적 상황 속에서 고려 31대왕인 공민왕과 혼인하여 왕후가 된 인물이다. 노국공주와 공민왕의 혼인은 두 사람의 배경으로 볼 때 특별한 정략적인 의미보다는 오히려 개인적인 관계 속에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았다. 그런 혼인의 배경은 공주와 왕이 후대에 기억되는 매우 각별한 부부관계를 갖게 했다고도 보인다. 그들의 인생은 공민왕이 갑자기 고려의 왕이 되면서부터 변하였다. 고려로 돌아온 직후 왕은 원 나라의 제도를 버리고 고려의 제도를 받아들여 공주를 시험에 들게 하였다. 그러나 공주는 조일신의 난을 함께 극복해 가는 과정에서 보이듯이 공민왕을 원 나라 제후국의 왕으로서가 아니라 자신의 부군이자 고려의 왕으로서 받아들였다. 그리고 그런 공주의 입장은 1356년 '反元개혁'의 단행에서 공민왕을 지지함으로써 결정적으로 굳어졌으며, 이후 공주는 원 나라 출신 공주가 아닌 공민왕의 왕후일 뿐이었다. 그런 까닭에 興王寺의 난에서도 공주는 목숨을 아끼지 않고 왕을 죽음의 순간에서 지켜주기도 하였다. 공민왕도 선대의 왕들과는 달리 공주에게 각별한 애정을 보였다. 혼인한지 10년이 지나도록 대를 이을 왕자는 물론 공주도 얻지 못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후궁을 맞아들이지 않았다. 그렇게 오랜 기간 동안 후사를 얻지 못하였던 그들에게 16년만에 아이가 생겼지만 불행히도 아이가 태어나는 도중에 아이는 물론 공주도 함께 죽었다. 왕의 슬픔은 달리 표현할 방법이 없을 정도였다. 왕은 공주에 대한 미안함과 애정을 표현하는 일환으로 공주의 무덤인 正陵과 공주의 초상화를 모시는 影殿을 조성하는 공사를 10여 년에 걸쳐 진행하였다. 왕이 이들 공사에 보인 집착은 도를 너무 지나친 수준이었다. 이 공사들에 대하여 백성들은 계속하여 고통을 호소하였고, 공사의 중지를 원하였다. 그런데 백성들의 바람을 왕에게 전달하여야 할 신하들은 간언을 제대로 하지 않았다. 待中이었던 유탁은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공사 중지의 요청을 실행한 신하였다. 그는 그 때문에 죽기 직전의 상황으로까지 몰렸었다. 그런 영향 때문인지 그 이후 실행에 옮겨진 신하들의 간언은 더 이상 없었다. 이 시기 정치세력화한 '신진사류'들 역시 그 공사의 중지에 대해서 실행에 옮겨진 간언을 한 인물은 없었다. 이런 사실은 '신진사류'들의 역사적 평가에서 다시 한 번 생각하고 가야할 사실이라고 생각된다. 공민왕의 개혁정치가 실패한 것에는 공주의 죽음과 그녀를 위한 토목공사가 일정한 작용을 하였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보다 중요한 원인은 왕의 잘못된 행동에 대하여 간언을 해주는 뜻있는 신하들이 부족하였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되는 것이다. The Goryeo dynasty and the Mongol Yuan dynasty had entered in the relation of son-in-law and father-in-law since King Chungryeol(충렬왕) of Goryeo married Princess Jegukdaejang(제국대장공주) of Yuan. Under this circumstance Princess Nogukdaejang wedded King Gongmin, the 31st king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n became a queen. Considering the personal backgrounds of Princess Nogukdaejang and King Gongmin,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ir marriage had been induced from personal relations than a political maneuver. That might have enabled their marriage specially remembered for such a long time. Their lives had changed just after the husband was unexpectedly enthroned as a king of Goryeo. As soon as the couple returned to Goryeo, King Gongmin made Princess Nogukdaejang suffer by abolishing the Yuan institutions and restoring the original Goryeo political system. However, as shown during the revolt of Jo Il sin(趙日新의 난), she embraced the modified position of her husband as a king of the Goryeo dynasty from a prince of the Yuan court. Her standpoint had decisively confirmed when she supported King Gongmin on his reformation against the Yuan(反元개혁) in 1356. Since then, she was no longer a Yuan princess she had been only a queen of King Gongmin. Thus Princess Nogukdaejang dared to disregard her life to save King Gongmin at the moment of death during the rebellion at the temple Heungwang sa(興王寺의 난). King Gongmin himself showed exceptional affection to Princess Nogukdaejang unlikely other kings who were married to the princesses from the Yuan court. He did not allow keep any concubine even though they could not have a baby for more than ten years. Although the royal couple was finally able to have a junior in the 16th year of their marriage, Princess Nogukdaejang died during the labor with her long-awaited' baby. King Gongmin's grief was overwhelming. He started on a construction project to build Jeongreung (正陵), a royal tomb for Princess Nogukdaejang, and Yeongjeon(影殿), a shrine in where the queen's portrait to be placed for ten years as a small token of his love and sorry for his wife. King Gongmin became obsessed more and more with the construction project. The common people of Goryeo constantly complained their hard times demanding to stop the construction. The king's vassals whose duty was to deliver the commoner's hopes to the ruler had neglected their responsibilities. Attendant-in-Chief(侍中) Yu Tak(柳濯) was the only one who asked to stop the construction so that to be put to the moment of death. It is unsure if Yu Tak's case traumatized his colleagues, but there is no more record of remonstrance during King Gongmin's following reign. Also, no single person among the New Scholar-Officials(新進士類), the newly emerged power groups, was persistent or brave enough to put his exhortation into action. This point should be reconsidered especially when the New Scholar-Officials was evaluated for their historical contribution. It is certain that the irrational construction project is partly responsible for the failure of King Gongmin's reformation. The much responsibility, however, lies in deficiency of faithful retainers who could have advised King Gongmin to rectify his misgovernme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