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가 인식한 동료교사 및 원장에 대한 신뢰가 직무만족과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

        김혜진 ( Hye Jin Kim ),손유진 ( You Jin Son ),전윤숙 ( Yun Sook Ju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6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유아 교사가 인식하는 동료교사와 원장에 대한 신뢰가 직무만족과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B광역시에 위치한 유치원, 어린이집 교사 3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297부의 자료를 수집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신뢰는 직무만족과 조직헌신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원장에 대한 신뢰가 가진 영향력이 큰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료교사에 대한 신뢰와 원장에 대한 신뢰는 모두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구성원들 간 신뢰수준이 높을수록 직무에 대한 만족이 높았다. 셋째, 원장에 대한 신뢰는 조직헌신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장에 대한 신뢰가 높을수록 조직헌신도가 높았다. 결과를 통하여 경력, 연령에 따라 신뢰, 직무만족, 조직헌신 점수가 낮은 요인이 분석되어야 하며, 특히나 동료교사에 대한 신뢰보다 원장에 대한 신뢰가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사실에 따라 원장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받을 수 있었다. This study has confidence in the company and the director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fellow teachers was to analyze the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Located on the B metropolitan For this kindergarten, and day care teachers to target the 308 people through a survey to collect data and analyz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at confidence in colleagues Corporation and director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analyze the impact. Results First, trust was found to influenc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especially with influential director showed great confidence in. Second, both the trust and confidence of the President of the colleagues appear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job satisfaction, lower the confidence level is high among members were satisfied for the job. Third, it appeared to affect confidence in the organization``s commitment ledger. Through the resulting career, confidence, depending on ag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cores are lower factors should be analyzed, especially confidence in the ledger depending on greater impact on the trust organization devoted facts about the president than trust in colleagues that needs to be presented in this way could be to increase the current events.

      • KCI등재

        단위학교장의 지도성 행동 및 학교장 신뢰와 교사의 학교 헌신 관계 탐색

        이태상 ( Tae Sang Le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0 중등교육연구 Vol.58 No.3

        이 연구는 단위학교장의 지도성 행동 및 학교장 신뢰와 교사의 학교 헌신의 관계 정도를 탐색하는 것이다. 3개 시도교육청들에 소재한 학교에 재직 중인 교원 173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교사의 학교규모별, 그리고 교육경력별에 따라 학교장 지도성 행동 유형, 학교 헌신, 학교장 신뢰 인식 정도가 달랐다. 학교장 지도성 행동, 학교장 신뢰, 그리고 학교 헌신의 관계는 교사들이 인식하는 정도에 의해 학교장의 지도성 행동과 교사의 학교 헌신 영역에서 배경 변인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학교장의 지도성 행동, 학교장 신뢰 그리고 교사의 학교 헌신은 각 하위 요인별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교장의 지도성 행동은 교사의 학교장 신뢰에 따라 학교 헌신이 달라지며, 교사의 신뢰에 바탕을 둔 효과적인 지도성 발휘를 통해 교사의 학교 헌신을 유도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principal`s leadership behavior style, teachers` principal trust and teachers` school commitment among 3 areas school teachers.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173 school teachers in Gyunggi, Daejeon, Gangwon Province. For the purposes, it were found that a significant different perception existed on principal`s leadership behavior style, teachers` principal trust and teachers` school commitment by the background subvariable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principal`s leadership behavior style, teachers` principal trust and teachers` school commitment factor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some subvariables of principal`s leadership behavior style, teachers` principal trust and teachers` school commitment.

      • 학교장의 도덕적 지도성이 교사의 학교장 신뢰 및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

        박청원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08 교육문화연구 Vol.14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principal's moral leadership influences on teachers' trust in him/her and their teaching commitment The study found that male teachers with longer career and higher status in elementary school rather than middle or high schools showed a high trust in principal's moral leadership, Teaching commitmen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levels.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the highest teaching commitment, and then middle school teachers and high school teachers in the order of highest level of commitmen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etween principal's moral leadership and teachers' trust in principal and their teaching commitment, especially between a sense of educational profession, one of sub-variables of principal's moral leadership and teachers' sincerity, one of sub-variables of teachers' trust in principal, and between a sense of accountability, one of sub-variables of principal's moral leadership and teachers' love for teaching, one of sub-variables of teachers' teaching commitment. The study found that a sense of justice and accountability, two of sub-variables of principal's moral leadership have the highest influence on teachers' trust in principal and their teaching commitment, respectivel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igh moral leadership of principal may enhance teachers' trust in principal and teaching commitment. 본 연구는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도덕적 지도성이 교사의 학교장 신뢰 및 교사의 교직 헌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결과 학교장의 도덕적 지도성과 교사의 학교장 신뢰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대체로 남교사, 교직 경력이 높은 교사가, 평교사보다는 부장교사가, 초등교사가 중등교사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교직헌신 수준은 학교급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사 순으로 교직헌신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학교장의 도덕적 지도성과 교사의 학교장 신뢰, 교사의 교직헌신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특히 학교장의 도덕적 지도성 하위변인 중 사명감과 교사의 학교장 신뢰 하위변인 중 성실성 간에, 학교장의 지도성 하위변인 중 책임감과 교직헌신 하위변인 중 교육애 간에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학교장의 도덕적 지도성 하위변인 중 공정성 요인이 교사의 학교장 신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학교장의 책임감 요인이 교사의 교직헌신에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교 현장에서 학교장의 도덕적 지도성이 발휘될 때 교사의 신뢰를 얻을 수 있고 교사의 교직헌신을 제고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중소기업의 헌신형 인적자원관리와 조직성과

        유미림(Milim Yoo),김영신(Youngshin Kim),배종석(Johngseok Bae) 한국인사조직학회 2011 인사조직연구 Vol.19 No.4

        헌신형 인적자원관리의 기업성과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는 많은 거시적 인적자원관리 연구들에서 검증되었지만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일관된 결과를 보이지 못하였고 그에 대한 이론 및 실무적 시사점 또한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는 89개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헌신형 인적자원관리와 성과와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에 대한 신뢰와 CEO의 기업가정신의 매개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자료로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개발한 인적자본기업 패널의 2007년도 자료와 한국신용 평가정보의 성과자료, 그리고 중소기업 CEO를 대상으로 한 설문자료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성과에 대한 매개요인으로 조직에 대한 신뢰는 성과에 대한 인적자원관리의 효과를 완전매개하며, CEO의 기업가정신은 헌신형 인적자원관리와 조직성과와의 긍정적 관계를 보다 강화하는 것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헌신형 인적자원관리가 조직에 대한 신뢰를 강화함으로써 중소기업의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주장을 지지한다. CEO의 기업가정신은 일반적으로 조직에 대한 신뢰와 조직성과와의 관계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기울기 검증 결과 기업가정신 수준이 높을 때 조직에 대한 신뢰에 따라 조직성과가 증가하는 정도가 더 큰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조직에 대한 신뢰수준이 낮을 때에는 CEO의 기업가정신이 높을 때보다 낮을 때 생산성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론에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인적자원관리 도입 및 실행 수준을 비교분석하여 중소기업에서의 헌신형 인적자원관리의 의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have limited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than large firms and are characterized by high risk and dynamic working environments. Most employees in SMEs are in charge of critical roles for gaining and sustaining a firm competitive advantage. Thus, human resources having knowledge and technologies are a critical factor for survival and performance in SMEs. Although many previous studies on macro human resource management (HRM) have examined the effects of-HRM systems on firm performance, most of them used large firms as their samples. Some studies took SMEs as their research settings but showed at best inconsistent results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RM and firm performance. In the case of research targeting SMEs, focusing a few policy choices is important because SMEs cannot afford to take extensive HRM practices given limited resources. In addition, more appropriate characteristics of SME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formula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HRM and firm performance is examined. In line with these argu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chanis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commitment (HC) HRM system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s a mediating effect of trust in management and a moderating effect of CEO’s entrepreneu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RM and performance. HC HRM system is a configuration of principles, policies, and practices designed to enhance employees’ capabilities, commitment, and opportunities through which high performance can be realized. HC HRM includes such policies as employment security, selective hiring, self-managed team, extensive training and development,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based compensation, egalitarianism, and sharing information (Pfeffer, 1998). These policies enhance employees’ commitment and trust toward organization based on the norm of reciprocity and social exchange. We defined trust as the employee’s belief in organizational leaders, which leads employees to believe that organizational actions prove to be beneficial for employees. Trust influences to form positive attitudes and behaviors of employees in the organization. In the case of CEO’s entrepreneurship, it usually contains three aspects : innovativeness, proactiveness, and risk-taking propensity. The CEO characteristics enhance empowerment and innovative behaviors. Therefore, CEO’s entrepreneurship positively enhances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aking a contingency perspective, it would be interesting to see how the relationship is strengthened or weakened by a contingent factor, CEO’s entrepreneurship. Based on these arguments, we generated following hypotheses: H1 : High commitment HRM system is positively related with trust-in-management of employees. H2 : Trust-in-management is positively related with organizational performance. H3 : Trust-in-managemen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commitment HRM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H4 : The higher the level of CEO’s entrepreneurship, the stronger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rust-in-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e used three sources of data for this study. The first source is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which is to measure HC HRM system and trust-in-management. Seco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as measured as the logarithm of sales per employee from KISinfo data. Finally, we collected survey data from CEOs of SMEs to measure CEO’s entrepreneurship. The sample of this study is SMEs in Korea and the sample size is 89. The results of the analyses reveal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HC HRM system and performance was fully mediated by trust-in-management and that the relationship was moderated by CEO’s entrepreneurship.

      • KCI등재

        교인들의 영적경험이 교회 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교회 대인신뢰의 조절효과

        이건호 한국융합학회 2022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3 No.3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which the interpersonal trust between christians has on the daily spiritual experiences and church commitments of christian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400 Christians – 193 men (48.3%) and 207 women (51.7%). The SPSS 25.0 program and PROCESS Procedure for SPSS version 3.5 (Model 1)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nd for verifying the hypothesi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First, the daily spiritual experience of Christian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hurch commitment. Second, the interpersonal trust between christian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hurch commitment among Christians. Third, the interpersonal trust between christian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aily spiritual experiences and on church commitment. Hence, based on the above conclusions the role and importance of trustworthy relationships in the church as well as personal belief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인들이 경험하는 매일의 영적경험이 교회 헌신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회 대인신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기독교인 400명이었으며, 남성이 193명(48.3%), 여성이 207명(51.7%)이었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과 PROCESS Procedure for SPSS Version 3.5 (Model 1)를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독교인의 매일의 영적경험은 교회 헌신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기독교인들의 교회 대인신뢰는 교회 헌신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매일의 영적경험이 교회 헌신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회 대인신뢰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었다. 즉, 교회 대인신뢰는 영적경험이 교회 헌신도에 미치는 정적 영향을 더욱 강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개인의 신앙뿐만 아니라 교회 내에서의 신뢰로운 인간관계의 역할과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불확실한 공급환경이 공급망 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 공급망 구성원들 간 관계적 특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성현정 ( Hyun Jung Sung ),김석수 ( Seog Soo Kim )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015 로지스틱스연구 Vol.23 No.4

        불확실성과 복잡성으로 대표되는 최근의 경영환경은 기업으로 하여금 공급망 내 구성원들 간의 전략적인 협력 관계를 형성하고 전체 공급망을 하나로 통합하여 관리하도록 한다. 본 연구는 불확실한 공급환경에서 공급망 간 원활한 물류 통합과 정보 공유를 위해서는 신뢰와 헌신을 바탕으로 한 구성원들 간의 관계가 선행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여 공급망 관리의 관계적 선행요소를 매개요인으로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공급환경의 불확실성이 공급망 구성원들의 신뢰와 헌신의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을 나타났으며 신뢰가 물류 통합과 정보 공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헌신의 경우 물류 통합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정보 공유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불확실한 공급환경에서 기업은 공급망 관리활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공급망 구성원들 간에 신뢰를 바탕으로 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자원을 투자하여 전략적인 상호 관계를 형성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rust and commitment as the relationship attributes among supply chain memb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ly uncertainty and supply chain management such as logistics integr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As a result of hypothesis tests, supply uncertainty affects positively on trust and commitment, and also trust influences positive impacts on both logistics integr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However, commitment affects on only logistics integration positively. In addition, trust and commitment undertake the medium role between the supply uncertainty and Supply chain management activities, respectively. Thus, this study suggests firms should establish the strategic relationship based on trust and commitment with suppliers under uncertain supply environment.

      • KCI등재

        공중의 성향, 정책-공중 관계성, 행위변인 간의 PR효과모형

        김찬석(Kim, Chan-Souk),황성욱(Hwang, Sungwook) 한국광고홍보학회 2014 광고연구 Vol.0 No.102

        본 연구는 공중 성향 변인, 관계성 변인, 그리고 행위 변인인 구전의도 간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모형화하여 통합적인 PR학술연구에 기여하고자 설계되었다. 이러한 모형을 정책PR 영역에서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다양한 정책 공중에 직면하는 정부조직 PR실무자들에게 궁극적으로 공중의 행동을 끌어내기위해 어떻게 소구해야하는지 실무적으로 조언하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2009년도 고용노동부가 실행한 6개 주요정책에 대하여 공중 인식을 조사하였다. CASI(Computer Assisted Self Interviewing) 방법으로 2010년 5월과 6월에 걸쳐 조사가 실시되었으며, 6개 정책에 대해 응답한 5,995명의 답변을 중심으로 AMOS18프로그램의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지식과 관여도는 신뢰와 헌신의 관계성 변인에 각각 정적 영향을 미쳤다. 지식은 직접적으로 구전의도에 정적 영향을 보여준 반면에 관여도는 구전의도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지식과 관여도 모두 신뢰를 통한 매개효과가 아닌 헌신을 통한 매개효과가 유의미하였다. 또한, 지식과 관여도의 두 성향변인들 중 관여도가 신뢰도, 헌신도, 및 구전의도 모두에 대해 보다 높은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이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토론하였으며 PR메시지를 접하고 노출된 공중들이 구전에 이르기까지의 일련의 사고의 과정에 대한 경로를 밝혀내고 있다는 점에서 그 통합적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the public"s characteristics, relationship variable, and word-of-mouth(WOM) intention as a behavioral variabl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the variables contributes to synthesizing different public relations theori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knowledge and involvement positively influenced commitment and trust as relationship variables. Second, knowledge positively influenced WOM intention, while involvement did not directly influence WOM intention. A series of Sobel Test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mediating effects of commitment between the public’s characteristics and WOM intention. Fourth, knowledge was more influential than involvement in trust, while involvement was more influential than knowledge in commitment and WOM intention.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sum up,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synthesized model clearly explains a series of thought process from the public"s exposure to PR messages to WOM inten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The Byzantine Imperial Power and Its Sigillographic Records : Focused on the Images of the Cross during the 8th-10th Centuries

        Won-Ho HWANG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17 西洋中世史硏究 Vol.0 No.39

        본 논문은 비잔티움 제국 황제와 귀족 인장위에 기록된 십자가 이미지와 텍스트를 분석하고 중세 유럽 기록문화의 관점에서 그것의 역할과 의미를 조명하는 데 있다. 핵심요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황제 인장과 주화에 기록된 승리의 십자가는 기독교 로마 황제의 절대적 통치권이 지배하는 제국의 새로운 질서와 정치 이념을 표방하는 아이콘이었다. 콘스탄티누스 대제 치세에 처음 주화에 새겨진 승리의 십자가는 8-9세기 제국의 군사적 충돌과 종교적 갈등의 시기에 십자가 경배신앙의 발전과 함께 가장 빈번하게 기록되었다. 이 시기에 승리의 십자가는 로마 황제의 세속적 통치권과 만왕의 왕 예수 그리스도의 천상의 통치권을 결합시키는 고리의 역할을 했다. 또한 제국의 영토가 중근동으로 확장된 10세기 인장에 나타나는 십자가 이미지는 예수 그리스도의 후광을 장식하거나 황관이나 황홀을 장식하기도 하며, 황제의 초상을 감싸기도 한다. 이러한 형식의 표상은 황제들의 인격에 더욱 신성한 권한을 부여했으며 ‘지상에 하나님의 대리인’으로서 황제가 지닌 절대적 통치권을 선전하는데 활용되었다. 둘째, 귀족 인장에 기록된 승리의 십자가는 제국의 안녕과 통합을 위한 헌신과 협력정신을 기념하는 아이콘이었다.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중재(중보)자인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과 최후 승리를 상징하는 십자가는 황제 뿐 아니라 제국 동방에서 성장한 지방귀족들의 인장에도 잘 나타난다. 예컨대 8-10세기 소아시아 시민들에게 가장 영향력을 행사한 정치 집단이자 역대 황제들을 가장 충성스럽게 섬겼던 포카스 가문은 황제들이 경배한 것과 동일한 유형의 십자가를 인장에 새겼다. 이 가문 일족들의 인장 뿐 아니라 그들의 후원으로 지어진 카파도키아 암벽교회에 묘사된 십자가와 ‘십자가 형태 조합문자’들은 8-10세기 이슬람 군대의 침입에 맞서 콘스탄티노플을 비롯해 속주 시민들을 수호하는데 헌신했던 소아시아 군인귀족들의 황실과의 수평적 연대의식을 고취시키는 기록물이었음을 각인시켜준다. 셋째, 인장과 주화에 기록된 승리의 십자가와 그것이 지닌 상징성은 당대 서유럽 세계에도 전파되었다. 특히 제국의 십자가는 11-12세기 십자군 전쟁 기간에 서유럽 군주와 제후 그리고 도시상인들이 발행한 인장과 문장 그리고 각종 기념물에 채택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기록은 중세 유럽인들에게 세속 군주를 중심으로 통합된 질서에 대한 믿음과 자유로운 시민사회를 향한 신념 그리고 계층 간의 갈등을 넘어 상호 협력을 위한 신뢰감을 배양시켰다. 요컨대 승리의 십자가는 중세 기독교 로마 제국이 추구한 보편적 이념과 이상이 담긴 역사적 기록물이었다. 그것은 근대 유럽 주권국가의 국기를 비롯해 도시와 지역 공동체들이 발행한 문서나 문장에 남아있으며, 국제적십자사와 같은 초국가적 기구의 문장에서도 역사적 증거를 찾아볼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images of the cross recorded on the Byzantine seals and coins and analyzes their historical significances from the viewpoint of medieval European archival culture. The key points are as follows. First, the cross of victory developed as an icon representing the new imperial order and political ideology defined by the Christian Roman emperors. This type of Christian image combined with the Roman imperial power blossomed on the Byzantine emperor's seals and coins of the 8th-10th centuries. These evidences confirm that this type of imperial representation functioned as an icon legitimating the absolute power of the emperors as ‘agents of God on earth.’ Second, the cross of victory was an icon commemorating the dedication of the Byzantine military aristocracy who had defended the Christian Roman empire against the invasion of the Muslims. The motifs of ‘cruciform monogram’ or ‘patriarchal cross’ symbolizing the suffering and triumph of Jesus Christ as the mediator between God and humans, appears also on the seals of Anatolian aristocracy and its members. These evidences demonstrate that this cross image have served as building the horizontal solidarity between the Anatolian aristocracies and the Macedonian dynasty. Third, we observed that the cross images on Byzantine seals and coins were diffused into European monarchies and municipal cities at the times when social contacts and cultural exchanges increased between Byzantium and Western Europe. In this point of view, we can understand that this type of records and its archival tradition contributed to have served as producing the modern citizenship in Europe as well as diffusing the modern political order and ideology in and out the European sovereign's terri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