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하 대만⋅조선총독부의 세출구조 비교분석

        문명기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논총 Vol.44 No.-

        . 일본의 식민 지배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 식민지 권력의 구조와 이를 물질적⋅화폐적으로 떠받치는 역할을 한 식민지 재정의 구조를 해명하는 것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특히 비교사적인 접근을 통해 식민지 재정을 재검토하게 되면 개별 식민지에 대해서만 관찰해서는 잘 보이지 않던 식민지 재정 전체의 특징이 더욱 선명하게 부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정 현상에서 파생되는 지배 양상과 그 함의에 대해서도 새로운 인식을 가져다줄 수 있다. 통치기간이 비교적 길고 유사한 통치모델이 적용되었던 대만과 조선의 식민지 재정과 재정 문제에서 비롯된 통치의 제반 양상을 재검토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작지 않다. 필자는 본고를 포함하여 대만과 조선의 재정 현상에 관한 일련의 비교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세출 구조 비교 연구, 세입 구조 및 조세부담 비교연구, 지방재정 비교 연구 등이 그것이다. 본고는 필자가 금후 수행할 일련의 식민지 재정사 비교연구의 일부에 해당된다. 세출의 비교분석을 통해 세출의 추이와 특징은 물론이고 세출의 부문별 비교를 통해 두 식민지의 통치 양상이 어떤 개성을 가지고 있으며, 재정 현상이 식민지 지배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추적하는 것이 본고의 목표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두 총독부 세출을 비교한 결과 이하의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우선 대만⋅조선총독부의 재정 운용이 외지특별회계라는 동일한 제도적 설계 하에서 운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세출 부문에서 확인된 바 재정운영의 실적에는 무시할 수 없는 차이를 낳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통상 재정 현상은 ‘政務의 貨幣的 표현’이라 정의되는 만큼, 규모(인구와 면적)를 고려한 1인당 또는 단위면적당 세출 규모의 차이는 당연하게도 통치효과에 있어서의 차이를 낳았다. 대만재정독립계획이 성공한 결과 “대만 재정은 비상한 호황을 맞아 收入의 洪水를 現出하여 총독부 당국마저 현혹케 하는 황금시대를 보여주었으며,” 풍부한 재원을 활용한 토목⋅권업 경비의 지출이 “대만 人口 및 民度에 비해 과대하다”고까지 표현했다. 반면 거의 전 시기에 걸쳐 일본정부 일반회계로부터의 보충금에 의존해야 했던 조선총독부로서는 대만총독부와 같은 과감한 재정 지출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웠고, 이는 결과적으로 대만 수준의 통치경비 지출을 곤란하게 만든 것이다. 달리 말하면 식민지 조선 재정에서 식민지 행정 및 ‘순화’ 비용이 상대적으로 훨씬 컸고, 따라서 경제개발이나 산업개발에 돌릴 여력이 대만에 비해 훨씬 작았다.

      • KCI등재

        ‘외지’ 고등교육기관 학생들의 식민지 표상 연구: 일본어잡지 『청량(清涼)』과 『상풍(翔風)』을 중심으로

        김욱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8 일본연구 Vol.29 No.-

        This paper is a study on colonial representation based on Seiryo and Shohu, which were Japanese language magazines published by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n colonial Korea and Taiwan. Imperial Japan, which succeeded in being the first East Asian nation to modernize through the Meiji restoration, perceived Chosun (Korea) and Taiwan as uncivilized regions. Japan took control of Taiwan as a result of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Treaty of Shimonoseki and forcibly annexed Korea after the Japan–Korea Protectorate Treaty. Early Imperial Japan segregated colonial Korea and Taiwan from Japan based on cultural superiority, but after a dispute over mainland extension policy, it attempted to unify the three countries’ cultures and languages. One way to do this was to establish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two colonies for the purpose of giving the people living there the opportunity to receive higher education, at least superficially. However, entrance to these institutions was intensely competitive for colonials because their admission policies discriminated in favor of Japanese colonial residents. Students of these institutions engaged in literature activities through official Japanese-language magazines. Most Japanese students contributing to these magazines regarded the cultures of colonial Korea and Taiwan as negative representations of uncivilized regions which needed to be modernized. On the other hand, some colonial students did not hesitate to reveal their identities when contributing to Japanese magazines, especially Yu, Jin-Oh and Huang, De-Shi. Yu translated shi-ga, Korean traditional poetry, into Japanese in order to introduce classical Korean literature to Japanese students. Huang also wrote a poem written in Chinese which described contemporary colonial Taiwan, even though it was published in a Japanese magazine. It would appear from these examples that some colonial students not only tried to represent their culture positively, but also did not lose their identities 본고는 식민지 고등교육기관에 해당하는 조선의 경성제국대학 예과와 대만의 대북고등학교의 일본어 잡지 『청량』과 『상풍』을 중심으로 식민지 표상을 검토한 연구이다. 메이지 유신을 통해 동아시아에서 최초로 근대화에 성공한 제국 일본은 타지(他地)인 조선과 대만을 미개지로 인식하였다. 이후 청일전쟁을 통해 대만을 중국으로부터 할양받고, 러일전쟁 승리 이후 5년 만에 조선을 합병하였다. 제국 일본은 스스로가 우월하다는 문화관을 바탕으로 식민지인 조선과 대만을 ‘외지’로 구분하면서도 ‘내지연장주의’에 의거하여 문화적, 언어적 통일을 꾀하였으며, 그 방법의 하나로써 식민지에 고등교육기관을 세웠다. 이로서 표면적으로 식민지인은 일본인과 동등하게 일본어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하지만 입학 정원수에 차별을 두어 식민지인이 제국대학 예과 혹은 고등학교에 진학하기엔 매우 치열한 경쟁이 필요했고, 그 수도 일본인에 비해 매우 적었다. 더구나 조선에는 대만과 다르게 고등학교가 없이 제국대학 및 그 예과만 존재하였기에 대학 진학에 크게 불리하였다. 그들은 학교에서 공인된 일본어 잡지를 통해 문예활동을 벌였는데, 일본인 학생들의 식민지문화관과 조선인, 대만인 학생들의 자기문화관은 매우 달랐다. 대부분의 일본 학생들은 조선과 대만을 문화적으로 개척해야 할 대상 혹은 전근대적인 표상으로서 식민지 문화를 바라보았다. 하지만 식민지인 학생들 중에는 자기 정체성을 일본어 잡지 안에서 드러내는 것을 서슴지 않았다. 특히 유진오는 한국의 전통시인 시가(詩歌)를 일역하여 조선인의 고전문학을 일본인 학생들에게 소개하였고, 황더시는 일본어 잡지에서 한시(漢詩)가 아닌 중국어로 된 시를 창작하여 식민지 대만의 현실을 그려냈다. 이는 식민지 지식인이 스스로의 문화를 긍정적으로 표상하려는 시도였으며, 제국 일본의 제도권 안에 속한 소수자로서 자기 정체성을 잃지 않았다는 반증이기도 하였다.

      • KCI등재

        식민지 체험자의 기억 속의 ‘제국’과 ‘식민지’ - 후지카이(不二會)를 중심으로

        부산경남사학회 2011 역사와 경계 Vol.79 No.-

        <P>이 글에서는 전후 일본의 식민지 기억을 한일회담 전후에 결성된 후지카이 관련자들이 남긴 식민지 체험 기억을 담은 회고록과 수기를 바탕으로 귀환자의 식민지 체험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전이되고 왜곡되었는지를 검토했다. 제국의 일반 서민이 식민지를 기억하는 회로는 다양하다. 식민지 기억은 ‘식민지 권역’과 ‘비식민지 권역’이라는 기억 대상에 따라, 또 본국으로의 귀환과 현지 억류 등 원체험의 차이에 따라 재편되었다. 제국 서민의 조선에 대한 기억은 식민자로 살아온 역사를 봉인한 채 ‘경계인’으로 살아갈 수밖에 없었지만, 제국과 식민지의 관계는 여타 식민지 권역과는 다른 양상으로 기억되었다.</P><P> 후지카이를 비롯한 많은 식민지 귀환자들은 패전 이후 억눌려 왔던 기억을 한일회담을 계기로 ‘재생’시켰다. 전후 일본사회가 귀환자에게 던졌던 ‘싸늘한 시선’에 억눌려 살아온 자신들의 모습에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한 시도였다. 한일회담을 통한 조약 체결은 식민지로부터의 귀환자들을 ‘식민지 개발 공로자’가 아니라 ‘침략자의 첨병’으로 인식하게 했지만, 후지카이를 비롯한 많은 귀환자들은 이에 반발하여 식민지에서의 자신들의 족적을 합리화하는 ‘언설의 공간’을 만들어 나갔다.</P><P> 전후 일본사회의 귀환자에 대한 따가운 시선과 식민지에 대한 향수, 자기합리화의 감정은 새로운 제국의식으로 형태를 바꾸어 표출되었다. 그것은 단순히 자기합리화의 감정을 넘어 신생 한국에 대한 차별적인 고정관념의 고착화라는 ‘기억’의 역전으로 나타난다. 귀환자들은 식민지 체험에 대해 천황제 이데올로기로 상징되는 ‘사악한 국가권력’으로부터 외지로 밀려난 ‘선량한 서민’이라는 허울 좋은 도식으로 굴절시킨 심층의식을 형성했다. 식민지 시대를 언급한 수기의 공통성은 수기의 주인공인 자신이나 자기 육친은 하나같이 조선인에게 차별의식을 품지 않은 ‘착한 일본인’으로 형상화되었다. 한일 간의 ‘기억을 둘러싼 역사전쟁’은 아직 ‘휴전’ 상태이다. 완전한 ‘정전’ 상태를 맞이하기 위해 우리는 기억을 공동으로 재생시킬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후지카이의 식민지 기억에 관한 검토는 해방 전후 연속과 단절의 문제와 관련하여 한국인의 식민지 기억과 비교 작업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P>

      • KCI등재

        식민지 체험자의 기억 속의 ‘제국’과 ‘식민지’

        이규수(Yi Gyu-Soo) 부산경남사학회 2011 역사와 경계 Vol.79 No.-

        이 글에서는 전후 일본의 식민지 기억을 한일회담 전후에 결성된 후지카이 관련자들이 남긴 식민지 체험 기억을 담은 회고록과 수기를 바탕으로 귀환자의 식민지 체험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전이되고 왜곡되었는지를 검토했다. 제국의 일반 서민이 식민지를 기억하는 회로는 다양하다. 식민지 기억은 ‘식민지 권역’과 ‘비식민지 권역’이라는 기억 대상에 따라, 또 본국으로의 귀환과 현지 억류 등 원체험의 차이에 따라 재편되었다. 제국 서민의 조선에 대한 기억은 식민자로 살아온 역사를 봉인한 채 ‘경계인’으로 살아갈 수밖에 없었지만, 제국과 식민지의 관계는 여타 식민지 권역과는 다른 양상으로 기억되었다. 후지카이를 비롯한 많은 식민지 귀환자들은 패전 이후 억눌려 왔던 기억을 한일회담을 계기로 ‘재생’시켰다. 전후 일본사회가 귀환자에게 던졌던 ‘싸늘한 시선’에 억눌려 살아온 자신들의 모습에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한 시도였다. 한일회담을 통한 조약 체결은 식민지로부터의 귀환자들을 ‘식민지 개발 공로자’가 아니라 ‘침략자의 첨병’으로 인식하게 했지만, 후지카이를 비롯한 많은 귀환자들은 이에 반발하여 식민지에서의 자신들의 족적을 합리화하는 ‘언설의 공간’을 만들어 나갔다. 전후 일본사회의 귀환자에 대한 따가운 시선과 식민지에 대한 향수, 자기합리화의 감정은 새로운 제국의식으로 형태를 바꾸어 표출되었다. 그것은 단순히 자기합리화의 감정을 넘어 신생 한국에 대한 차별적인 고정관념의 고착화라는 ‘기억’의 역전으로 나타난다. 귀환자들은 식민지 체험에 대해 천황제 이데올로기로 상징되는 ‘사악한 국가권력’으로부터 외지로 밀려난 ‘선량한 서민’이라는 허울 좋은 도식으로 굴절시킨 심층의식을 형성했다. 식민지 시대를 언급한 수기의 공통성은 수기의 주인공인 자신이나 자기 육친은 하나같이 조선인에게 차별의식을 품지 않은 ‘착한 일본인’으로 형상화되었다. 한일 간의 ‘기억을 둘러싼 역사전쟁’은 아직 ‘휴전’ 상태이다. 완전한 ‘정전’ 상태를 맞이하기 위해 우리는 기억을 공동으로 재생시킬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후지카이의 식민지 기억에 관한 검토는 해방 전후 연속과 단절의 문제와 관련하여 한국인의 식민지 기억과 비교 작업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In this thesis, I examined how the colony recognition of the japanese returned was transferred and distorted after the 2nd World War. on the center of the memoirs and manuscripts of the Fujikai related persons. The circuits in which the general japanese citizens remembered were various. The colony memories were reorganized according to the memory subject such as the colony district or the non-colony district, and the difference of original experiences like the return to the country or local detention. Though the empire citizens as the colonizers must have lived as ‘the bordered people’. their memory on the relation of the empire and the colony. Chosun was very different with on that of other colony districts. Many colony returned japanese have revived the suppressed memories after the war, with the talks of Korea and Japan as a momentum. It was the trial that the returned, who have been repressed in the cold gaze of the japan society, would have to justify their own attitudes. Though the agreement concluded through the talks of Korea and Japan recognized the returned as not ‘colony developers’, but ‘advance guard of the invasion’. they, resisting to this, have built ‘the justifying space of their traces’ in the colony of Chosun. In the Japan society after the war, the colony returned people’s homesick on the colony and the self-justifying feeing were changed as a new empire consciousness. In the manuscripts on the colony. the returned people and their family have been depicted as ‘a good people’ who have never had discriminatory consciousness to the korean. It was not simply the feeling of justification, but was ‘the reversal of the memories’. the adherence of the discriminated and fixed idea to the newly-born Korea. The historical war on the memory between Korea and Japan has been ‘a suspension state’ so far. To face with the complete ‘cease-fire’. we have to take the procedure in order to revive our common memories between Korea and Japan. The examination of Fujikai’s memories on the colony should be compared with that of the korean. And also I would go on inquiring into this problem.

      • 식민지근대화론에 대한 비판 - 『반일 종족주의』 비판 -

        김병기 국학연구소 2020 국학연구 Vol.24 No.-

        『반일 종족주의』라는 책은 일제의 식민사관을 再論하는 저술이다. 이 가 운데 ‘식민지근대화론’은 일제식민지 통치시기에 비로소 한국의 근대화가 촉진되었다는 것이다. 일제가 한국을 수탈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시혜(施 惠)를 베풀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논리는 일제가 한국을 무력으로 불법 강 점한 사실과 민족말살정책을 부정하는 한편 그들의 식민통치를 통해 한국 은 후진성을 극복하고 ‘근대화의 길’로 나가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식민지근대화론의 허구성은 이미 많은 학자들에 의해 비판을 받았다. 1)한국사의 정체성론은 해방 후 남북한 학자들에 의해 ‘내재적 발전론’으로 극복되었다. 한국에서는 17~18세기에 이미 자생적 근대화의 싹이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2)식민지근대화론자들은 조선시대까지 이루어진 경 제발전은 과소평가하고 일제에 의한 개발을 과도하게 평가하고 있다. 이는 통계에 대한 자의적 해석과 오독(誤讀)으로, 일제강점기와 해방 후 한국경 제를 비교해 보면 모든 통계는 식민지적 질곡에서 벗어나면서 비로소 근대 화가 이루어졌다는 것을 수치로 말해주고 있다. 3)일제강점기 한국사회를 식민지근대화론자 주장처럼 경제논리로만 이해하는 것은 위험한 분석이다. 정치적 발전, 사회적 발전을 비롯하여 문화적 발전 등도 함께 검토해 보아 야 한다. 일제하 국민주권, 국민참정권 등이 철저히 제한되었고, 한국어 말 살정책, 역사 문화의 왜곡 말살을 통해 한국인들의 입지는 철저하게 제한 되었음을 함께 살펴야 할 것이다. 식민지근대화론자들의 주장대로 일제시기가 좋았다는 식민지 미화론, 식 민지 시혜론이 난무한다면 상대적으로 국권회복을 위해 힘썼던 독립운동은 설 자리를 잃게 될 것이다. "Anti-Japanese Ethnicism" is a book that re-examines Japanese colonial history. Among them, the "Theory of Colonial Modernity" is that modernization of Korea was promoted in Japanese colonial era. They say that the Japanese did not take away Korea, but rather gave benefits. This is a logic that denies the Japanese imperial aggression and annihilation policy, and that through colonial rule, Korea overcame backwardness and achieved "modernization". Many scholars have already criticized the fiction of the “Theory of Colonial Modernity”. 1) The theory of stagnation in Korean history was overcome by South and North Korean scholars with "internal development theory" after liberation. In Korea, in the 17th to 18th centuries, spontaneous modernization had already sprung. 2) Colonial modernizationists underestimate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Chosun era” and overestimate the development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It is the arbitrary interpretation and misreading of statistics. A statistical comparison of the Korean economy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liberation shows that modernization took place only after it escaped from the colony. 3) As the colonial modernizationists argue, it is dangerous to understand Korean socie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only economic logic. Naturally,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aspects must be reviewed together. It should be noted tha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Koreans were thoroughly regulated due to restrictions on the suffrage, the eradi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and distortion of history. If “colonial beautification theory” and “colonial benefit theory” are insisted, as the colonial modernizationists have argued, the independence movement that tried to find the country will lose its place.

      • KCI등재

        일제 식민지기 재래시장의 사회사적 분석을 통한 식민지근대성론의 사회변동론적 재구성

        조형근(Hyung Keun Cho) 한국사회학회 2014 韓國社會學 Vol.48 No.5

        이 글은 일제 식민지기 재래시장에 대한 역사적 사례 분석을 통해 식민지근대성론을 사회변동론의 관점에서 적용할 수 있는지 가능성을 타진한다. 서구에서 유래한 기존의 사회변동론들은 식민지사회의 근대적 사회변동을 설명하는 데 한계를 보여왔다. 사회변동이 구조와 행위주체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이라는 프레임 위에 서 있다면, 확산론적 관점에 선 기존의 사회변동론들은 식민지사회의 행위주체를 배제함으로써 이 복잡한 상호동학을 이해할 수 없게 만들기 때문이다. 일제시기 한국 재래시장의 구조는 공영 없는 공영제, 시장의 폭증과 상대적 비중 감소, 민족적 분절, 식민지 자본주의적 진전과 시장원리의 부정에 이르기까지 식민지적 구조가 뚜렷해졌다. 식민지 조선인들은 이러한 구조적 규정성 아래서 재래시장에 대한 선호를 지속하였고, 시장을 민족적 사회생활의 중심으로 만들었으며, 저항의 장소로 활용했고, 권리와 의무에 대한 인식과 사회적 공론장으로 발전시켰다. 이 과정에서 식민권력은 일관성을 상실했고, 통치의 무능을 드러낼 수밖에 없었다. 재래시장에 참여한 식민지 주체들은 근대성이 자신을 보편으로 정립할 수 있도록 평가절하됨으로써 그 근대성을 구성해주는 외부가 됨과 동시에, 그 내부에서의 주체적 행위를 통해 끊임없이 그 식민지적 구조를 비틀고 변이시키는 내재하는 외부로서 작동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사례분석을 통해 확산론적 사회변동론과는 달리 식민지근대성론이 식민지 사회변동의 동학 이해를 위한 좀 더 현실적합한 틀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Is it possible to apply the concept of colonial modernity to social change theory for colonial societies? This paper tries to examine this possibility through theoretical and historical analysis. If social change is advanced by complex dynamics between structure and subject, main theories of social change have a distinctive weakness to describe such dynamics, because they regard modern change of colonial societies as a simple result of diffusion of western moderni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colonial power reorganized the structure of the Korean traditional markets: Public management system focused on policing, rapid growth and relative fall of portion, ethnic segregation, advance of colonial capitalism and its turn to self-negation. Under these structural forces, colonial Korean continued to prefer traditional markets, made them as centers of Korean society, used as locus for national resistance, and developed as public spheres for debating social rights and obligations. Colonial power lacked consistency in market policies and showed its incompetence before the collective acts of colonial subjects. Although traditional markets and subjects were devaluated as inferior exterior by colonial power, colonial subjects in the traditional markets contorted and changed colonial structure itself by their own active practices, and became constituitive and internalized exterior of modernity. By this case study, we can expect that colonial modernity approach could provide a useful theoretic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dynamics of colonial modern change.

      • KCI등재

        식민지 건축의 재이용ㆍ재인식ㆍ재개발 -중국 동북지역을 중심으로-

        저우싱[周星] 실천민속학회 2022 실천민속학연구 Vol.39 No.-

        식민지 건축은 일반적으로 지배국이 식민지에서 본국의 고유한 건축 기술과 디자인, 양식에 따라 건설한 건축물들의 총칭이다. 역사의 영향으로 중국 동북부 지역에는 제정 러시아 제국주의와 일본 제국주의(꼭두각시 정권 ‘만주국’ 포함)가 중국에서 식민 지배할 때 지은 일부 건축물이 아직도 남아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특히 신 중국 건국 이후 이러한 식민지 건축이 모두 불가피하게 ‘탈식민지화’의 운명에 직면했다. 그러나 각각의 구체적인 상황이 다르니 일률적으로 논하기는 어렵다. 중국 동북부 지역에 위치한 식민지 건축의 ‘탈식민지화’는 일부 파괴 및 철거 외에도 명칭 변경, 계속 이용, 전용, 개축, 재해석, 유산화 등의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점차 진행되어 왔다. ‘탈식민지화’ 과정에서 사실상 식민지 건축에 대한 ‘재이용’과 ‘재인식’, ‘재개발’과 같은 몇 가지 실천 패턴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었다. 우선 ‘재이용’은 주로 식민지 건축이 국유 재산으로 몰수된 후 그 사용 가치를 바탕으로 활용되어 수명을 더 연장하는 경우이다. ‘재인식’은 주로 식민지 건축을 문화유산으로 전화한 경우로 그 과정에는 식민지 건축의 역사적ㆍ문화적ㆍ과학적 가치 재발견이 필연적으로 수반된다. ‘재개발’은 식민지 건축이 도시의 랜드마크나 도시 경관의 일부로서, 새로운 시대적 배경에서 개발될 만한 경관 자원이 되어 관광 개발에 활용되는 경우이다. 본고는 중국 동북부 지역에 위치한 식민지 건축의 위와 같은 몇 가지 ‘탈식민지화’ 실천 패턴을 집중적으로 논의하여, 그 궁극적인 방향이 대부분 각각이 속한 도시의 다원적인 역사 건축 계보에 점차 흡수되고 있음을 지적했다.

      • KCI등재

        한국 근대소설과 식민지 근대성: 시론적 연구-염상섭의 「만세전」을 중심으로

        김명인 ( Kim Myoung-i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7 민족문학사연구 Vol.64 No.-

        이 논문은 한국 역사학계에서 식민지 시대를 바라보는 양대 담론이었던 내재적 발전론과 식민지근대화론이 공히 지닌 근대 추종적 경향과 민족주의적 경향을 극복하여 지배와 저항, 포섭과 동의, 예속과 복종이 혼재하는 식민지체제에서의 근대성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 내세운 `식민지근대성론`을 식민지시대 문학을 중심으로 하는 한국 근대문학 연구와 연결하기 위한 시론적 작업이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이 `식민지근대성론`의 합리적 핵심을 받아들이되 식민지 근대성 범주 안에 식민주체의 헤게모니적 지배와 그에 구속되는 피식민 주체의 심리와 행동양식으로 요약될 수 있는 역사학계에서 말하는 `식민지 근대성` 으로는 다 포획되지 않는 근대성 자체의 해방적 성격와 식민지 지배의 근원적 폭력성, 그리고 이에 대한 피식민 주체들의 근본적 저항 또한 이 식민지 근대성 범주 안에 포함시킴으로써 기존의 `식민지근대성론`이 지닌 또 다른 근대절대주의를 지양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문학 연구에서 `식민지근대성론`과 유사한 문제의식을 지닌 탈식민주의 문학연구 방법론의 핵심인 양가성, 혼종성 개념을 받아들이되 여기에 `식민지 근대성` 개념을 적극 인입하여 탈식민주의 방법론이 지닌 현상적, 미시적 접근법의 한계를 넘어 식민지 시대 이후의 한국근대문학에 대한 거시적 접근을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한 시론적 작업으로서 염상섭의 「만세전」을 주로 판본 비교와 시점 전략이라는 측면에서 재검토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만세전」이 `식민지 민족현실의 발견 서사`거나 혹은 `근대적 주체의 형성 서사` 둘 중의 하나가 아니라 강력한 근대적 이성과 민족적 정념의 힘으로 식민지 지배체제와 이데올로기 너머를 지향하는 근대적 해방의 서사임을 밝혀냄으로써 `확장된 식민지근대성론`의 한국 근대문학에 대한 적용의 가능성과 유효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This article is an experimental study for adaptation the `Colonial Modernity-discourse` in the academic field of Korean Hitory to the stud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The `Colonial Modernity-Discourse` is opposed to overcome the modernity-pursuing and na-tionalistic inclination of both the Theory of Immanent Development and the Theory of Colonial modernization. And it is also opposed to explain the modernity of colonial system in which rule and resistance, bringing-round and agreement is mixed each other. However, this article has expanded the category of the `Colonial Modernity` to the liberating power of modernity itself, the primitively violent nature of colonial rule, and the radical resistance of colony people against the colonial rule which are not included in `Colonial Modernity-Discourse`. And this article has intended to join this discourse with the Post-colonialism study on Korean modern literature which is similar to this discourse in the view of colonial system. This joining has some merits to complement each other, with that one could get microscopic methodology and terminology such as `ambivalence` and / or `hybridity`, the other could get macroscopic view over the colonial system and it`s era. For this experimental study, this article has examined the text of Yeom-Sang Seop`s novel Manse-jeon. And could reach to the conclution that the text is not the `narrative of the finding colonized national reality` or the `narrative of the building of a modern subject` but the `liberation narrative which is oriented beyond the colonial rulling system and ideology with the power of strong modern reason and national pathoses. And Accordingly it could testify the pos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adaptation the expanded `Colonial Modernity-Discourse` to Korean modern literature.

      • KCI등재

        제국-식민지 체제의 구멍을 응시하는 눈: 차승기의 <비상시의 문/법>에 기대어

        오태영 상허학회 2017 상허학보 Vol.49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life and literature of empire-colonial regime by leaning on of Bisangsi ŭi Mun/bŏp by Cha, Seung-Ki. He has to deal with empire and colonial as a regime, find a void in its structure in the midst of a structure that sustains it, start from what it can say, dismantle the world constructed by the grammar of that regime, it is necessary to look for new grammar. Thus, they stare at the critical point of the transition period, which is a mixture of modern and post-modern, and explores the state of mixed state of them, in which the empire and the colony are involved but also the difference in the differential structure. In addition, the positivity of the empire-colonial regime formed by the devices of human desire and form as they operate in the process of nationalization is sharpened by the rationalization of control, the internalization of desire, and the absoluteization of visibility. In addition, the positivity of these imperial-colonial regime has been reinforced or disorganized through the politics of literature. Paying attention to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causes concern that it is immersed in gazing at the ruins of modern criticality, empire-colonial regime, thereby fixing historic things as immutable. However, it makes it possible to discover the hybrid language which has been excluded from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and to grasp the cultural and ideological chain between empire and colony. In that respect it is still important to continue searching for the regime, life, and literature of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e now-here critical point of modernity. And it is necessary to discover the meaning of the literary language which has violated or overturned the positivity of the modern empire-colonial regime and what it means. The Reasoning about a colony is to have an eye on the hole of the empire-colonial regime. 이 글은 차승기의 <비상시의 문/법>에 기대어 식민지 말 제국-식민지 체제의 삶과 문학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차승기는 제국과 식민지를 하나의 체제로 다뤄야 하고, 그러한 체제를 지속시키는 구조의 한가운데서 그 구조의 공백을 발견해야 하며, 말할 수 있는 것에서부터 시작해 그러한 체제의 문법이 구축해놓은 세계를 해체하거나 또 다른 문법을 모색할 필요성을 전제한다. 그리하여 근대와 현대가 뒤섞인 전환기의 임계점에 서서 그것들이 뒤섞인 상태를, 제국과 식민지가 함께 연루되어 있으면서도 차별적 구조 속에서 차이를 발생시킨 양상을 면밀하게 탐색한다. 또한, 인간 욕망의 조건이자 형식으로서의 장치들이 황민화 과정에서 작동하면서 구성한 제국-식민지 체제의 실정성을 통제적 합리화, 욕망의 내재화, 가시성의 절대화 등으로 예리하게 포착해낸다. 아울러 이러한 제국-식민지 체제의 실정성이 문학이라는 장치를 통해 강화되거나 해체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식민지 말’에 주목하는 것은 근대의 임계점, 제국-식민지 체제의 폐허를 응시하는 데 몰입하게 하고, 그로 인해 역사적인 것을 불변적인 것으로 고정화시킬 우려를 낳는다. 하지만 그러한 집착은 한국 근대문학사에서 배제되었던 혼종적인 언어를 발견하게 하고, 제국과 식민지 사이의 문화적․사상적 연쇄 고리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그런 점에서 지금-여기의 또 다른 근대의 임계점에 서서 식민지 말의 체제, 삶, 문학에 대한 탐색을 지속하는 것은 여전히 중요하다. 그리고 이때 근대의 제국-식민지 체제의 실정성을 위반하거나 전복하고 있었던 문학의 언어를 발굴하고 그것이 갖는 의미에 대해 말할 필요가 있다. 식민지를 사유한다는 것은 제국-식민지 체제의 구멍을 응시하는 눈을 갖는 것이다.

      • KCI등재

        담론의 균열과 지식인의 위치

        이상옥(Lee, Sang-ok) 우리말글학회 2013 우리말 글 Vol.57 No.-

        이 글은 식민지말기 제국 담론의 균열에 관한 새로운 접근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기존의 논의에서는 대개 지배 담론을 모방, 반복/확대 재생산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균열의 흔적들을 제국 담론의 본질적 한계로 해석하고는 한다. 하지만 균열의 문제는 그리 단순하지 않다. 왜냐하면 중일전쟁(1937.7)에서 태평양전쟁(1941.12)으로 이어지는 식민지말기의 전시상황에서, 제국 담론 균열은 제국/식민지 담론공간이 생성되는 기원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주지하듯이 중일전쟁의 고착화/장기화로 인해 제국 일본은 전시체제의 구축을 위해 식민지 조선과의 관계를 재정립한다. 흔히 황국신민화 정책이라 일컬어지는, 황국신민의 서사 제정, 조선교육령 개정, 육군지원병제도 실시, 국어(일본어) 전용, 창씨개명 등 식민지 조선(인)의 적극적인 전시협력/전쟁동원을 요구/명령하기 위한 일련의 제도적 장치들은 그 구체적 산물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문제는 원활한 전시협력/전쟁동원을 요구/명령하기 위해 식민지 조선을 제국의 경계 내부로 포섭/포획하려고 하면서도 제국의 지위를 그대로 유지하고자 했던 식민 지배 권력의 이율배반성이다. 이로 인해 “국책담론”은 일관성이나 구체성을 가지기 어려웠고, 담론적 이상과 현실 사이의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그동안 이와 같은 균열의 흔적들은 제국 담론의 불완전성/비완결성을 증명하는 근거로 활용되어 왔다. 하지만 식민지말기 전시국가 총동원(총력전)체제 구축을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국책담론들은 애초부터 완결되지 않은 상태로 식민지에 던져진 것이었고, 당연히 조선의 현실에 적용되었을 때에도 다양한 문제점이 표면화될 수밖에 없었다. 그렇지만 피식민지인의 적극적인 전시협력이 “필수불가결한” 사항으로 부각된 식민지말기의 상황에서 그러한 담론의 균열은 어떻게든 봉합되어야만 하는 것이었다. 조선의 지식인들이 제국/식민지 담론공간으로 호명된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었다. 그리고 “서구 근대의 파국”으로 상징되는 세계사적 정세를 바탕으로 “근대의 초극”이라는 일본의 탈근대적 이상을 새로운 시대의 패러다임으로 받아들였던 식민지 조선의 친일파시즘 지식인들은 “국책담론”에서 나타나는 균열을 봉합하는 “지식인의 책무”를 수행함으로써 자신들의 지적 담론공간과 위치를 창출할 수 있었다. 이렇게 볼 때, 식민지 지식인들은 제국 담론의 균열 속에 존재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plain the crack of colonial discourse in the late colonial era. Existing discussions interpreted as inherently limits of colonial discourse, imitation of the dominant discourse and the cracks that appear in the process. However, the problem of crack is not so simple. Because, in the situation of the late colonial period, leading to the Sino-Japanese war in the Pacific War, the crack of colonial discourse is the origin that forming the space of empire/colonial discourses and discourse system of interpellation and response. Since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imperial Japanese is Redefining the relations with Colonial Korea to build a system of war. But the problem is contradictions of dominant power that subsumed to the colony inside the boundaries of the empire, but wanted to retain the status of the empire. As a result, the cracks between the discursive ideal and the reality will occur. Meanwhile, signs of cracks has been used as evidence to prove the imperfection of the dominant discourse. But the dominant discourse was thrown into the colony as a non-completion status. That"s why they called intellectuals of this colonial korea. Based on the world-historical situation, chosun intellectuals that embraced it as a new paradigm Japan"s postmodern ideal, has created a discourse space and intellectual position through the stitching of cracks appearing in the national discou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