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문학사에서 중국 조선족 시문학의 의미

        윤여탁 서울대학교 2007 先淸語文 Vol.35 No.-

        本文旨在說明中國朝鮮族是韓民族的重要分支,朝鮮族文學是韓國文 學的主貴財産,朝鮮族及朝鮮族文學的存在也是世界任何民族及國家都 不存在的特有現象。中國朝鮮族及朝鮮族文學由于种种原因正陷于危机當中,所以在更大的危机席卷而來之前,有必要對朝鮮族文學投入更多 的關注和進行更深層次的硏究。鑒于此,本文立足于韓國詩文學史的角度,考察了改革開放以后長篇釵事詩人抒情詩在朝鮮族詩文學中的 意義。 本文闡明了應將中國朝鮮族詩文學納入韓國詩文學史的理由和諫据。 本文的論述可謂是丰富旣盛碩又貧瘠的韓國詩文學史的一個方法。本文說明了朝鮮族文學旣是韓國近現代詩文學史上出現的多科傾向之一,也是韓國近現代詩文學發展過程中的一部分。零外,筆者還表述了一個小 小的愿望,卽希望今后朝鮮族詩文學也能聚永保其獨特性。

      • KCI등재

        조선간(朝鮮刊) 소식(蘇軾) 시문집(詩文集) 및 문집(文集) 판본(板本) 소고(小考)

        당윤희 한국중국어문학회 2010 中國文學 Vol.63 No.-

        本稿主要以朝鮮刊蘇軾詩文合集與蘇軾文集的版本爲硏究對象, 首先對中國本蘇軾詩文合集與蘇軾文集的版本情況進行初步梳理, 然后通過對朝鮮刊蘇軾詩文合集與蘇軾文集版本實物的調査和分析, 歸納整理這些書的版本系統和流傳狀況。 其成果如下:朝鮮刊蘇軾詩文集僅有明刊本分類合編本系統甲辰字本≪蘇文忠公集≫殘帙本, 竝朝鮮刊蘇軾詩文集有≪宋大家蘇文忠公文抄≫(≪唐宋八大家文抄≫本), ≪蘇東坡文抄≫(≪四大家?英(四大家文抄)≫本), 朝鮮人許實選本≪蘇文抄≫和≪東坡文粹≫. 朝鮮刊蘇軾詩文集都是文選集, 而且其中三種是朝鮮人親自編定而刊印的選本; 一種是官本, 其他兩種是私刻本. 由于朝鮮出版環境規模較小, 中國新刊的蘇軾詩文集更容易從中國輸入到朝鮮. 倂且朝鮮對蘇軾學術的批評, 使得蘇軾詩文集不列于朝鮮主要出刊目錄.

      • KCI등재

        최남선의 시문독본 원전 연구 - 새로운 원전의 발굴과 수용 방식의 특질 정리를 중심으로 -

        노혜경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3 東洋學 Vol.- No.92

        Choi Nam-seon’s Si-Mun Dok-Bon , which was first published in 1916, is a representative sentence education textbook of modern times in Korea. In this paper, we traced the origin of ‘Si-Mun’, which is one of the core of the discussion of Choi Nam-seon’s Si-Mun Dok-Bon , and discussed its meaning and usage. In addition, 26 Japanese original works included in Si-Mun Dok-Bon , whose sources were unknown, were newly discovered and organized. Most of the original authors of the works included in Si-Mun Dok-Bon are intellectuals representing various fields such as thinkers and writers representing modern Japan. Choi Nam-seon did not translate the first original text containing the writings of these original authors as a translation script. Choi Nam-seon edited and translated the sentences based on the edited version of most of the textbooks published in Japan.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lated sentences of Si-Mun Dok-Bon is that short, concise sentences are changed into long sentences. This is the result of translation tailored to the tastes of intellectuals who were accustomed to writing long sentences at the time. When comparing the original Japanese text and the translated text, the most notable feature of the content is that the descriptions related to Japan in the original text are deleted or replaced with other content. The description revealing that the author of the original text was Japanese was also deleted. One of the other content-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translation of Si-Mun Dok-Bon is that so-called localization phenomenon occurs in the translation process. In some cases, new content is added that is not in the original text. In some cases, Japan in the original text is translated by changing it to ‘Oriental’. In addition, there are cases where place names or people’s names in the original text were hidden or changed to ambiguous expressions. What was important to Choi Nam-seon was not the original text itself. Rather, he remade them into Korean sentences and delivered them. To achieve the purpose of publication, Choi Nam-seon carried out the revision work ‘without hesitation’. 1916년 초판이 발행된 최남선의 시문독본 은 근대의 대표적인 문범서로서 청년들의 작문교육과 정신 수양에 큰 역할을 해온 저작물이다. 본 논문에서는 최남선의 시문독본 논의의 핵심 가운데 하나인 ‘시문’의 기원에 대해 추적하고, 그 의미와 용례에 대해 논의했다. 아울러 그동안 출처를 전혀 알 수 없었던 시문독본 수록 작품 26편의 일본어 원전을 새롭게 발굴 정리했다. 시문독본 에 수록된 작품들의 원작자는 대부분 일본의 근대를 대표하는 사상가와 문학가 등 각계를 대표하는 지식인들이다. 그런데 최남선이 이들 원작자의 글이 수록된 최초의 원전을 번역 대본으로 삼아 번역한경우는 많지 않다. 최남선은 대부분 일본에서 출판된 독본류 교과서에 실린 편집본을 저본으로 삼아 시문독본 의 문장들을 편찬 번역했다. 시문독본 소재 번역 문장의 특징 가운데 하나는 원문의 단문 중심 간결체문장을 복문 중심 만연체 문장으로 바꾸어 놓은 것이다. 이러한 형식의 변화는 당시 긴 호흡의 문장 쓰기에익숙한 지식인들의 기호에 맞춘 번역의 결과로 보인다. 일본어 원문과 번역문을 비교했을 때 가장 두드러진 내용상의 특징은 원문의 일본과 관련된 서술이 삭제되거나 다른 내용으로 대체된 점이다. 원문의 저자가 일본인이라는 사실이 드러나는 서술 역시 삭제되었다. 시문독본 소재 번역문의 또 다른 내용상 특질 가운데 하나는 번역과정에서 이른바 현지화 현상이 일어난다는것이다. 예를 들면 도량형의 단위나 친척의 호칭, 지명의 현지화 현상 등이 일어난다. 이러한 현지화 현상은일부 번역 사례에서는 원문 내용에 대한 역자의 적극적인 개입을 통한 변용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원문에는없는 내용이 새롭게 추가되는 것이다. 원문의 일본이 ‘동양’으로 대체되는 현상도 발견된다. 그 밖에 원문에 쓰인 구체적인 지명이나 인명을 번역문에서는 일부러 감추거나 모호한 표현으로 바꾸어 놓은 사례도 있다. 이는문장의 난이도를 고려하여 조선에서는 다소 생소한 내용과 정보를 배제하거나 변환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 시문독본 의 번역 방식과 태도는 요즘 번역자들의 번역 태도와는 분명히 차이가 있다. 이는 당시 번역자들의 인식이 지금과 다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근본적으로 시문독본 이 ‘文章之指針’ 즉 우리 글의 문범서로 엮인 책이기 때문이다. 최남선에게 중요했던 것은 원전 그 자체가 아니라 이를 우리 글로 다시 만들어 전달하는일이었다. 최남선은 시문독본 의 편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원전에 거리낌이 없이’ 가감 작업을 수행했다.

      • KCI등재

        劉大櫆 時文論에 관한 一考

        김호 한국중국학회 2017 中國學報 Vol.79 No.-

        LiuDaKui, one of the three great ancestors of Tungcheng, is a master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who carried out an important role of bridge between FangBao and YaoNai in the development of Tungcheng group’s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Owing to such reason, most of LiuDaKui’s literature theories or writings gave prominence to classical literature, most of those who study concentrate on LiuDaKui’s classical literature and the theory of the classical literature. However, to our interest, there are quite a little parts mentioning about current literature which is deemed to be an ostensible antipode to classical literature, if we review his garland. This study is for LiuDaKui’s opinion about current literature. It is not easy to find overseas preceding research related with this subject as well as there is no other domestic one than the one mentioned a little in the introductive specialty publication. It was intended in this study on the basis of preceding researches to investigate in which angle LiuDaKui viewed the current literature and what is LiuDaKui‘s point of view on the current literature in detail. At the same time it was intended to explain what the meaning of LiuDaKui’s opinion about current literature is. Through this it is aimed to prepare the basis for the study of Dongcheng group and the current literature,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research of which has not proceeded in depth yet. 유대괴(劉大櫆)는 桐城三祖의 일인으로 동성파 고문 발전에 있어 방포(方苞)와 요내(姚鼐)의 사이에서 중요한 교량 역할을 했던 고문 대가이다. 그런 까닭으로 유대괴의 문학이론이나 창작은 대부분 고문에 치중되어 있고, 연구자들도 대부분 유대괴의 고문 및 고문이론에 연구를 집중하고 있다. 다만 흥미롭게도 그의 시문집을 살펴보면 표면적으로는 고문과 대척점에 있다고 여겨지는 時文에 대해 언급한 부분이 적지 않다. 본문은 유대괴의 時文論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이 주제와 관련된 선행연구는 개론적인 성격을 갖고 있는 전문서적에 약간의 언급이 되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국내에서는 전무하고 국외에서도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본문에서는 선행 연구의 바탕 위에서 먼저 유대괴가 시문을 어떤 각도에서 바라보았는지? 그리고 시문에 대한 유대괴의 관점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동시에 시문에 대한 유대괴의 견해가 갖는 의의는 무엇인지를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국내외 동성파 연구에서 현재까지 연구가 깊이 있게 진척되지 않은 동성파와 時文 관련 연구에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암사동 유적 신석기시대 토기의 시문기법

        홍은경(Hong Eun Kyung) 한국신석기학회 2010 한국신석기연구 Vol.- No.20

        문양의 시문에는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지만, 암사동 토기에서 흔히 보이는 압날문과 침선문은 시문단계, 시문방법과 시문구의 형태에 의해 좌우된다. 본고에서는 이 세 가지의 요인을 시문기법의 주요 구성요소로 파악하고, 각 요인이 시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연구 결과를 검토하고, 유물에 대한 관찰을 통해 문양에서 보이는 시문기법의 특징을 살폈다. 검토와 관찰만으로는 시문기법을 추정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토기의 문양은 성형이 완료되고 소성이 시작되기 전에 새기는 것이 일반적이다. 수분함유 정도에 따라 점토를 다섯 단계로 구분한 바에 의하면 암사동 토기의 시문은 대략 D단계에 이루어진다. 또 유물에 새겨진 각 문양소를 관찰하면 암사동 토기의 문이 구연부에서 시작되어 동체부와 저부의 순서로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기존의 연구결과와도 부합하는 것이다. 구연부에 주로 새겨지는 압날문은 시문구 형태에 의해 문양의 종류가 좌우되는 반면, 침선문은 시문방법과 시문단계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실험은 압날 문과 침선문을 구분하여, 각기 다른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압날문의 각 문양(단사선문, 꺾쇠문, 조문, 점열문)에 적합한 시문구 형태를 찾을 수 있었으며, 침선문에 효과적인 시문방법과 시문단계도 알 수 있었다. 한편, 암사동 토기의 문양들은 대부분 문양소의 오른쪽이 경사져 있는데, 이러한 경사는 단순히 시문구와 기표면의 각도가 작기 때문에 생긴 것이 아니다. 시문구를 입체적으로 만들어 그 끝을 V형태로 다듬으면, 이와 같은 경사는 시문시 자연적 으로 생긴다. 시문구의 이런 형태는 다양한 문양효과를 내거나, 시문을 수정할 때, 토기표면을 정리할 때도 매우 유용하다. 시문구 끝을 어떻게 만드느냐에 따라 하나의 시문구로 다양한 문양을 새길 수 있고, 동일한 문양 내에서도 여러 가지 변이를 만들 수 있다. 실제의 시문에서 이와 같은 복합용 시문구가 이용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Engraving technique is an important approach to comprehend the pattern technically, leading to understand a certain aspect of producing pottery better. This paper will deliver more concrete understanding of engraving technique through the pottery excavated in the Amsa-dong site. Although numerous factors could be a pivotal contributor to decide the pattern engraving, impressed pattern and incised pattern which is commonly discovered in the Amsa-dong pottery is attributed to the type of decoration tool and the degree of clay’s solidification As a result of detailed examining the Amsa-dong pottery by part, I discovered that the most engraving had been progressed to stand and be the right-side of pottery. Impressed pattern carved in the mouth part of pottery, compared to the incised pattern, could be engraved effectively when the clay is less solidified. Considering the direction of engraving from rim to base, impressed pattern could be regard as having an adequate pattern disposition. The degree of clay’s solidification of incised pattern could normally result in the difference of depth, width and unexpected clay shift. But that could not be shown actually, I checked the removal of the clay shift of surface. A major pattern is artificially produced by researching the possible appearance of engraving tools. In this procedure, some meaningful outcome is discovered. In the most pottery of the Amsa-dong site, engraving tool is dispersed from right side of surface, then pattern is carved in order. If the right side of engraving tool is inclined, engraving will go along more easily. This mechanism is effective for the various pattern effect and beneficial for adjusting pattern and neatening the pottery surface. Furthermore, producer can carve all types of possible pattern with one typical engraving tool. There would be a possible usage of a multi-functional engraving tool with diverse characteristic, creating a various effect.

      • KCI등재

        유대괴(劉大?) 시문론(時文論)에 관한 일고(一考)

        김호 한국중국학회 2017 중국학보 Vol.79 No.-

        유대괴(劉大?)는 桐城三祖의 일인으로 동성파 고문 발전에 있어 방포(方苞)와 요내(姚?)의 사이에서 중요한 교량 역할을 했던 고문 대가이다. 그런 까닭으로 유대괴의 문학이론이나 창작은 대부분 고문에 치중되어 있고, 연구자들도 대부분 유대괴의 고문 및 고문이론에 연구를 집중하고 있다. 다만 흥미롭게도 그의 시문집을 살펴보면 표면적으로는 고문과 대척점에 있다고 여겨지는 時文에 대해 언급한 부분이 적지 않다. 본문은 유대괴의 時文論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이 주제와 관련된 선행연구는 개론적인 성격을 갖고 있는 전문서적에 약간의 언급이 되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국내에서는 전무하고 국외에서도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본문에서는 선행 연구의 바탕 위에서 먼저 유대괴가 시문을 어떤 각도에서 바라보았는지? 그리고 시문에 대한 유대괴의 관점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동시에 시문에 대한 유대괴의 견해가 갖는 의의는 무엇인지를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국내외 동성파 연구에서 현재까지 연구가 깊이 있게 진척되지 않은 동성파와 時文 관련 연구에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LiuDaKui, one of the three great ancestors of Tungcheng, is a master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who carried out an important role of bridge between FangBao and YaoNai in the development of Tungcheng group`s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Owing to such reason, most of LiuDaKui`s literature theories or writings gave prominence to classical literature, most of those who study concentrate on LiuDaKui`s classical literature and the theory of the classical literature. However, to our interest, there are quite a little parts mentioning about current literature which is deemed to be an ostensible antipode to classical literature, if we review his garland. This study is for LiuDaKui`s opinion about current literature. It is not easy to find overseas preceding research related with this subject as well as there is no other domestic one than the one mentioned a little in the introductive specialty publication. It was intended in this study on the basis of preceding researches to investigate in which angle LiuDaKui viewed the current literature and what is LiuDaKui`s point of view on the current literature in detail. At the same time it was intended to explain what the meaning of LiuDaKui`s opinion about current literature is. Through this it is aimed to prepare the basis for the study of Dongcheng group and the current literature,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research of which has not proceeded in depth yet.

      • KCI등재

        근대 척독집의 변전과 그 의미 − 『新體美文 時文편지투』를 중심으로 −

        홍인숙 동양고전학회 2015 東洋古典硏究 Vol.0 No.60

        이 글은 지금까지 본격적으로 조명되지 않았던 근대 척독집 자료인 『신체미문(新體美文) 시문(時文) 편지투』에 대한 연구이다. 본고에서는 『시문편 지투』의 전반적인 자료 양상을 검토하고 근대 척독집으로써의 특이성을 분 석한 뒤 그 의미를 살펴 보았다. 1926년에 지어진 이 책은 1929년, 1937년에 4판 이상 출판되었다. 저자는 판본별로 ‘조용구(趙用九), 조선시문연구회(朝鮮詩文硏究會), 이명세(李明世), 윤종덕(尹鍾悳)’ 등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위당 정인보의 서문을 표지에서 강조하고 있다. 정인보의 ‘序’와 저자 서문 뒤에 241면의 본문이 4장의 구성 으로 실려 있고 뒤에는 35쪽 분량의 논설문 ‘서한문강화략초(書翰文講話略 抄)’와 편지 투식구가 첨부되어 있다. 본고는 『시문편지투』의 근대 척독집으로서의 특이성을 다음과 같이 지 적하였다. 첫째, 문체 면에서 『時文편지투』는 언문일치 경향의 ‘시문체(時文 體)’를 표방하면서 동시에 국한문체의 일정 수준을 유지한다. 둘째, 내용 면 에서 『時文편지투』는 ‘벗’과 ‘학교’를 중심으로 한 수평적 교유관계와 학 생의 일상문화를 주로 보여준다. 이는 근대 척독집이 주로 국한문체의 범주 안에서도 한문식 문체를 선호하는 점, 가족 위주의 수직적 질서를 중심으로 하는 점에 비해 매우 특이한 지점이다. 또한 본고에서는 『時文편지투』가 특유의 ‘청년 담론’을 통해 ‘독본(讀本)’ 적 성격을 강화하고 있는 텍스트라고 보고, 근대 청년의 이상적인 삶과 고 뇌를 서간문을 통해 보여줌으로써 그러한 정서와 태도를 학습시키는 기능 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時文편지투』는 대중적인 한문 글쓰기 규범의 변화의 폭을 크게 보여주는 자료이며 근대 척독집의 독본 및 강화류와의 교섭 양상을 짐작하게 해주는 자료라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is a research on 『Shinchemimun contemporary writings letter writing style(新體美文時文편지투)』, modern study materials for writing letters in Chinese, which has not regularly been studied so far.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significance after reviewing overall material aspects of 『contemporary writings letter writing style(時文편지투)』and analyzing the peculiarity as the modern study materials for writing letters in Chinese. This book, written in 1926, was published over three editions in 1929, 1937, and 1938. The writer was written differently in each edition, i.e. 'Lee myeongse, Joseon contemporary writings research institute, Jo yonggu', and the characteristic is to emphasize forward of Jeong inbo on the cover. As the overall composition, Jeong, inbo's 'Seo(序)', the writer's 'Writer(著者)'s words are included in three pages and 2 pages respectively, the text is composed of 241 pages in 4 chapters. In the back, rhetorical writing in 35 pages and writing style phrases are separately attached as the appendix. This research investigated peculiarity of 『contemporary writings letter writing style(時文편지투)』as the modern study materials for writing letters in Chinese in two ways in respect of writing style and content. First, regarding writing style, 『contemporary writings letter writing style(時文편지투)』did not escape the style of Korean Chinese writing style, at the same time as claiming 'contemporary writings style(時文體)’ that has the identity of the written and spoken language. Second, in respect of content, 『contemporary writings letter writing style(時文편지투)』contained the content that emphasizes horizontal friendship based on 'friends' and 'school' and ordinary culture of characteristic students. This is a very peculiar point in respect that the modern study materials for writing letters in Chinese emphasized the expressiveness of Chinese writing style even mainly in the Korean Chinese writing style spectrum, which focused vertical order mainly with family. Also, this research analyzed 『contemporary writings letter writing style(時文 편지투)』changes to a direction that reinforces the characteristic of 'basic reader (讀本)' through characteristic 'young adults discussion'. This research suggested life and agony of ideal modern young adults through letter writing content and considered it has the function of enabling such emotion and attitude. This 『contemporary writings letter writing style(時文편지투)』is a material that shows width of popular Chinese writing standard change the most. Also, this text can be seen as the material that stands in the most extreme that can extend the spectrum of material group, modern study materials for writing letters in Chinese.

      • KCI등재

        고려 중기 東人意識의 형성과 詩文選集의 편찬

        鄭墡謨 동양한문학회 2013 동양한문학연구 Vol.36 No.-

        『동문선』은 중국의 『문선』을 본받아 우리나라의 역대 시문을 수집하고 그 중에서 우수한 작품을 선별한 대표적인 시문선집으로, 여기에는 '東人意識'이 강하게 반영되었다. 이처럼 한국의 시문선집을 편찬하면서 '동인의식' 또는 '문명의식'이 강하게 드러난 것은 고려 후기 김태현이 편찬한 『동국문감』과 최해가 편찬한 『동인지문』에서 시작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런데 사실 동인의식은 고려 중기에 처음 등장한다. 시문 제작 능력을 갖춘 고려 지식인들은 북송 사행을 통해 중국 지식인들과 직접 교류하면서 중국에 비견하여 小中華의식을 표출한다. 우리 민족의 문화수준에 자부심을 갖고 箕子를 우리 민족사의 체계로 인식하여 기자사당을 세우고 제사를 올리기 시작하는 것도 이때부터이다. 이것은 '동인의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역사서 편찬을 비롯하여 시문비평 및 시문선집의 편찬 등이 활발하게 전개된 것은 그러한 의식의 역사·문학적 표현이다. 고려 사행원들의 시문을 모아 편찬한 『西上雜詠』과 『小華集』, 그리고 『分行集』과 『睿宗唱和集』과 같은 시문창화집이 등장하며, 의종 때에는 전국 각지의 제화시 등을 수집 선별한 『詩選』이 편찬되었다. 한편 이 시기에는 '동인의식'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문학작품이나 이와 관련된 일화 등을 채집 수록하고 비평을 한 시화서도 출현한다. 鄭敍가 편찬한 『雜書』를 비롯하여 李仁老의 『破閑集』과 崔滋의 『補閑集』은 시화적인 요소를 갖춘 시문비평서인 동시에 우리 민족의 시문을 수집하고 선별한 시문선집의 역할도 겸하고 있다. 특히 최자의 『보한집』은 의식적으로 우리나라 역대 시문을 다량으로 수집하고 이를 분류 선별하고 있는 등, 『동국문감』과 『동인지문』에 앞서는 시문선집이다. Dongwenxuan(『東文選』) is based on the Wenxuan(『文選』). It collected the poems and essays from the past dynasties of the Korea. At the same time, it selected the excellent poems from those, then, the most representative poetry selection came into being. The works reflected the strong civilization consciousness of the Eastern people. As far as I am concerned, The practice-Taking advantage of compiling the poetry selections to stress on the “Eastern People's consciousness” or “civilization consciousness”-is decided by two passages from the later stage of Gaoli(高麗). One is the Dongguowenjian(『東國文鑑』)-compiled by Jin-Taixuan(金台鉉). The other is the Dongrenzhiwen(『東人之文』)-written by Cui-Xie(崔瀣). In fact, “the civilization consciousness of the Eastern people(東人意識)” started to produce from the intellectual at the middle stage of Gaoli. During the time when the intellectual who had the ability to create the poetry at Gaoli has the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intellectual in the Northern Song(北宋), they started to think highly of their country as the “Cultural Country” equal to the China, namely the “Small China(小中華).” Moreover, their knowledge about the Korea changed, and they regarded the Jizi Chaoxian(箕子朝鮮) as the part of the Korea national system, they even began to set up the ancestral hall and offered sacrifices. Based on this kind of “civilization consciousness” of Eastern people, the compilation of history in native country developed actively, and gradually broadened to the compilation of the poetry selections and criticism. By collecting the poems of the persons from Gaoli to the Northern Song, two poetry selections-Xishanzayong(『西上雜詠』) and Xiaohuaji(『小華集』) came into being, then, a new kind of poetry appeared which one person writing a poem to which one or more other people reply, including the Fenxingji(『分行集』) and Ruizongchangheji(『睿宗唱和集』).” Also, there appeared the Poetry selections(『詩選』) which collected the poems written on the pictures all over the country at the stage of Yizong(毅宗). Besides, with the Zashu(『雜書』) written by Zheng-Xu(鄭敍) as the head, the Poxianji(『破閑集』) written by Lirenlao(李仁老) has the notes on the poets and poetry. However,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criticism that based on the “civilization consciousness of Eastern people” and the criticism to literary works collected with the country. Especially, the Buxianji(『補閑集』) written by Cui-Zi(崔滋), which collected the poems and essays of pose dynasties, consciously in large amounts and classified them. To those collections, it seems that it should be put into the poetry selections of the pose earlier than the Dongguowenjian(『東國文鑑』) and Dongrenzhiwen(『東人之文』).”

      • KCI등재

        최남선의 시문독본 연구

        김지영(Kim Chi-young) 한국현대문학회 2007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3

        『시문독본』은 1916년 최남선이 간행한 최초의 문장 독본이다. 국문 쓰기 양식의 표준이 될 수 있는 문장의 지침을 마련한다는 뚜렷한 목적을 표방하면서 발간된 이 책의 시문체는 『청춘』의 현상문예 제도와 연계하여 근대 문학어의 형성을 촉발해냈던 새로운 문체로서 주목에 값한다. 근대적 국민 국가 건설이라는 정치적 기획이 좌절된 식민지 초기 공간에서 발간된 『시문독본』은, 전대의 독본들과 달리, 국가 위기 극복을 위한 정치적 열정 대신에 ‘사회’와 ‘문명’이라는 추상적 개념을 강조하면서 우수한 문명을 견인해야 할 개인의 능력에 최대한의 가능성을 부여했다. 『시문독본』의 사상적 경향은 첫째, 경험에 기초한 지식을 신뢰하고 인간의 사실적인 탐구와 판단 능력에 우선권을 주는 실용주의적 학문 정신, 둘째, 개인의 자기표현에 의미를 부여하고 평범한 사람의 일상생활 속에서 발현되는 독창력ㆍ발명력을 더 나은 문명으로 도약하기 위한 동력으로 간주하는 자기 책려의 정신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 같은 사상적 경향은 개인이보고 듣고 경험하는 세계의 사실적인 표현과 묘사에 가치를 부여하는 새로운 문장관의 토대를 이룬다. 『시문독본』의 시문체는 1900년대부터 주창되었던 국문체 운동을 계승했다. 그러나 실제로 수록된 글들은 국문의 어순을 기초로 하면서도 순국문에 가까운 것에서부터 한문 문법의 영향이 강하게 남아 있는 문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체의 스펙트럼을 보였다. 문체의 스펙트럼은 문종과 긴밀한 관련을 가졌다. 현장성이 강한 문예적 글에서는 국문에 가까운 문체가, 추상적 관념과 사상성이 강한 글에서는 한자와 한문의 영향이 짙은 문체가 사용되었다. 문종에 따른 문체 분리 경향을 드러내면서 문체 사이의 위계화에 저항했다는 점은, 1900년대부터 진행되어 온 ‘한글/한문’의 위계 부정 경향이 실질적인 글쓰기의 차원으로 스며들고 있음을 알려 주는 동시에, 또한 국문을 중심으로 쓰여지는 현장적 글들에 새로운 관심과 의미가 부여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시문독본』의 新文體 의식이 가장 돋보이는 부분은 체험을 사실적으로 표현해낸 일련의 전범들이었다. 특히 견문의 기록과 여정의 경과에 초점을 맞춰 채록된 기행문들은 사실적 묘사를 견인하는 ‘주체적 시각’과 분산되는 실존을 질서 있게 파악할 수 있는 ‘지각 틀’을 확보한 쓰기의 모범을 보여줌으로써, 사실적이고 현장적인 글쓰기를 장려했던 선자의 의도에 부응했다. 이 글들이 지닌 또 하나의 특징은 일상의 발화에 근접한 국문체와 ‘-다’체를 일관되게 견지한다는 점이었다. 한글 문체와 ‘-다’체의 결합은 서술 상황에 구애되지 않고 기억의 현장으로 이입하여 자유롭게 체험적 자아를 확장할 수 있는 글쓰기의 여건을 마련했다. 상대적ㆍ주체적 시각과 질서 있는 지각 틀, 그리고 ‘-다체’를 확립한 언어 형식의 확보는, 사실을 바라보고, 의식하고, 기록하는 심리적 존재로서 자기 구심력을 확보하는 쓰기 주체의 성립을 가능하게 해 주었다. 이 같은 쓰기 주체의 성립은 ‘시문체’가 근대 문학적 글쓰기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었던 조건이었다. Simun-Docpon(時文讀本), published by Namsôn Choi in 1916, was the first selected reader to give a guideline for Korean writing in the history of Korean reader books. Choi tried to give standards of Korean writing by this book, and to set a model of prosperous Korean writing which could make new writing circumstances to communicate on the basis of Korean reality facing up to the national enlightenment. Simun meant the comtemporary Korean writing, which was supposed to be suitable for describing modernized thoughts and feelings, following the movement of Korean emancipation from Chinese influence. With focus on writing skills, Choi selected diverse genres such as poetries, fictions, biographies, science essays, discourses, proverbs, etc. Although Simun was the writing based on Korean word order and grammar, each unit of the reader adopted diverse writing styles in combinations of Korean and Chinese, thus unites in the reader illustrated various spectrum from the one relatively close to pure Korean to the one affected from traditional Chinese writing significantly. One of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is book is that it chose different writing styles according to the genres of the units without giving a grade of ranks among them. The more actual scenary it describes the more Korean style it adopted, and the actual one was not considered to be low taste. This implied two meanings: one was that the movement to remove hierarchical ranks between Chinese and Korean was insinuated not only into theoretical thoughts but also into the real writings, the other was that the concept of writing the actual scenes and experiences was newly given an interest. In this vein, the most prosperous unites in Simun-docpon were the writings of individual experiences such as accounts of travels. The accounts of travels in Simun-docpon effectively used the benefits of travels such as writer's subjective point of view and systematic perception frame like the passage of time. In addition, these units chose relatively pure Korean and '-da' closing, which made it possible for a narrator to write the past ego freely, being deeply empathized with the past without the disturbance of the present writing condition. Obtaining writer's subjective point of view and systematic perception frame, adopting relatively pure Korean, and choosing '-da' closing joined together and established self-centered writing subject, who could watch, feel, and write by his own style without the traditional priori frame of writing. Establishing this kind of self-centered writing subject was the very condition that made Simun a ground sill for modern creative writing.

      • KCI등재

        구양수(歐陽修) 시문집(詩文集)의 조선에서의 수용과 유통(1) ― 한국 소장 중국본(中國本) 구양수(歐陽修) 시문집(詩文集)을 중심으로

        당윤희 한국중국어문학회 2013 中國文學 Vol.74 No.-

        本稿以韓國所藏中國本歐陽修詩文集板本爲主要硏究對象, 將探討朝鮮收容歐陽修詩文集與文學的情況. 目前韓國所藏歐陽修詩文集, 主要是明淸代歐陽修詩文全集. 明刊本有明正德一年(1506)日新書堂刊本《新刊歐陽文忠公集》五十卷, 嘉靖十六年(1537)吉安知府季本本一百五十三卷, 嘉靖三十九年(1560년)江西撫都院何遷重刊遞修本一百五十三卷, 萬曆四十年(1612)陳于玉刊本一百三十卷. 淸刊本有康熙十一年(1672)曾弘刻本《歐陽文忠公集》一百零五卷, 康熙十一年(1672)焉文堂重修曾弘本, 乾隆十一年(1746)孝思堂刊本一百五十三卷, 乾隆十二年(1747)孝思堂本重刊本, 光緖十九年(1893)澹雅書局飜刻歐陽衡校刊本一百五十三卷, 錦章圖書局石印歐陽衡校刊本一百五十三卷等等. ?外, 韓國所藏淸刊本歐陽修文選集, 有宋陳亮校刊《歐陽先生文粹》二十卷, 民國二年(1913)上海會文堂書局刊《六一居士文集》七卷, 民國彭期編訂《歐陽文忠公尺牘》四卷等等.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