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GPS를 활용한 단위거리 기준 궤적 정보 산정 알고리즘 개발

        양인철,전우훈 한국도로학회 2016 한국도로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6 No.06

        최근 IT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GPS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위치 정보를 활용한 분석은 일정 거리로 표현되는 구간(section)을 기준으로 이 루어지기 때문에 GPS를 통해 취득되는 단위시간 기준의 위치 정보는 단위거리 기준의 데이터로 변환되어 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구간에 대해 단위시간(e.g. 1초) 기준으로 저장된 다수의 GPS 궤적 정보를 단위거리(e.g. 500m) 기준으로 변환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n개의 단위시간 궤적 정보를 단 위거리 기준으로 변환하기 위해 먼저 기준이 되는 도로의 중심선을 추출하였다. 도로중심선은 기존 전자 지도를 활용하는 것도 방법일 수 있으나, 정밀도가 낮을 경우 정확한 기준점 산정 및 단위거리 기준의 궤 적 정보를 계산하기 어렵기 때문에 궤적 정보 중 가장 좌표 개수가 많은, 즉, 가장 정밀하게 관측된 정보 를 이용하여 도로중심선을 추출하였다. 직각투영법(orthogonal projection)을 이용하여 시종점 좌표를 찾았고, 이때 두 개의 GPS 좌표 간 거리계산은 Andoyer’s approximate 방법을 이용하였다. 도로중심선 추출이 완료되면, 이를 활용하여 단위거리 기준점 위치를 산정하는데, 기준점은 시점으로부터 단위거리 (또는 등간격)에 위치한 점을 의미한다. 단위거리 기준점의 좌표열이 계산되면, 직각투영법을 이용하여 n 개의 단위시간 궤적 정보를 단위거리 궤적 정보로 변환한다. 그림 1은 단위시간 궤적과 단위거리 궤적을 비교한 것으로, 두 대 차량의 1초 간격 궤적을 단위거리를 표현하는 기준점(anchor point)에 따라 단위거 리 기준 궤적으로 변환한 예비 결과를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알고리즘은 GPS 좌표 기반의 구간 통행속도 분석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일본 변형근로시간제도에 관한 연구

        이승욱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9 産業關係硏究 Vol.29 No.2

        With the passage of the Amendment of Labor Standards Act(‘LSA’) on January 15th 2019, there has been made significant changes in calculating working hours. Before the amendment, although LSA provided that maximum number of working hours is 40 hours in a week, and 8 hours in a day, the courts and the Ministry of Labor have had arguably interpreted the ceiling of working hours did not cover holiday work, and as a result, in practice the actual maximum number of working hours in a week amounted to 68 hours. However, as the Amendment of LSA clearly states that holiday working hours are included in overtime working hours, the actual total working hours in a week is now reduced from 68 hours to 52 hours. As the employers have shown strong opposition to these changes, the tripartite commission made a compromise regarding the reform of working-hours averaging system. The main issue here is to extend the unit period of averaging working hours. They have succeeded in settlement to extend the unit period from 3 month to 6 month despite of the fierce opposition from the labor movement. Their compromise can be appraised as a limited success as I believe they did not carefully consider the various legal issues to be raised when it implemented. In this paper I have tried to examine the potential legal issues arising from the possible extension of unit period of working-hours averaging system in terms of the experiences in Japan which adopted the similar system in 1993. In doing so, I believe we can get some implications for the issues that have not been considered in detail during the social dialogue process. 2019년 1월 근로기준법 개정에 의해 현장의 일반적인 관행과 달리 휴일근로를 시간외근로에 포함시키는 방법을 통해 근로시간의 실질적인 단축 조치가 이루어졌다. 이에 경영계와 정치권을 중심으로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단위기간을 연장하여야 한다는 요구가 제기되었다.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노동시간제도개선위원회’는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단위기간을 현행 3개월에서 6개월로 연장하는 데 합의하고, 이에 따라 근로기준법개정안이 국회에 발의되어 있는 상태이다. 탄력적 근로시간제에서 단위기간의 길이가 길어지면 근로자의 생활과 건강에 미치는 불리한 영향은 커질 수밖에 없고 근로시간규제 원칙에 대한 예외의 범위가 넓어지기 때문에 제도변화에 수반하여 복잡하고 다양한 법적 쟁점이 수반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논의는 단위기간의 연장에 국한되어, 그밖에 수반되는 세부적인 쟁점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심도 깊은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이 논문은 1993년 1년 단위의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도입하여 20년 이상 운용하여 온 일본의 제도 내용과 그 과정에서 제기된 법적 쟁점, 그리고 최근에 이루어진 일본 노동기준법의 개정 사항까지 포함한 관련 내용에 대하여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관련 제도변화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탄력적 근로시간제 개정 논의에 대한 소고

        권오성(Kwon Oh-Seong)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2019 노동연구 Vol.38 No.-

        2018년 개정 근로기준법 부칙 제3조는 “고용노동부장관은 2022년 12월 31일까지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단위기간 확대 등 제도개선을 위한 방안을 준비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산하 노동시간제도개선위원회는 2019. 2. 19. 주 최대 52시간 제도의 현장 안착을 위한 탄력적 근로시간제도 개선에 합의하였다. 이러한 노동시간제도개선위원회의 탄력적 근로시간제도 개선 합의는 내용과 절차의 양 측면에서 근로자 보호에 충실하지 못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그러나 노동시간제도개선위원회의 합의에 대한 평가는 이러한 합의에 이르게 된 맥락 속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탄력적 근로시간제도 개선에 관한 논의의 경위와 노동시간제도개선위원회의 법적지위를 검토하고, 이에 근거하여 탄력적 근로시간제도 개선 합의의 문제점과 향후의 과제를 모색한다. 노동시간제도개선위원회의 합의는 11시간 연속 휴식시간 의무화, 임금저하 방지를 위한 임금보전 방안 신고의무 도입 등을 내용으로 한다는 점에서 종래 정부가 추진하였던 단위기간 확대시도에 비해 개선된 부분이 있다. 다만 향후 단위기간 확대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단위기간 확대가 시행되기 전까지 근로자대표의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제도개선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Article 3 of the supplementary clause of the revised Labor Standards Act of 2018 stipulates that the Minister of Employment and Labor shall prepare a plan for improving the system by expanding the flexible working time system by December 31, 2022. Under this circumstance, the Economic, Social and Labor Committee agreed to improve the flexible working time system for the settlement of the maximum 52-hour system in May 2019. The evaluation of the agreement of the working hours committee should be made in the context of this agreement. In this article, the review of the flexible working hours extension period and the legal status of the working hours committee are reviewed, We will look for problems and future challenges of the labor agreement. The consensus of the Working Time System Improvement Committee is that it requires 11 hours of continuous breaks and introduces the obligation to declare wage conservation measures to prevent wage depreciation, which is an improvement compared to the previous attempts by the previous government to expand the unit period . However, in order to secure the legitimacy of the extension of the unit perio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ystem to ensure the democratic legitimacy of the representative of the workers until the extension of the flexible period of working hours.

      • KCI등재

        탄력적 근로시간제 개선에 대한 연구

        권용만 사단법인 한국벤처혁신학회 2022 벤처혁신연구 Vol.5 No.3

        현대의 산업자본주의는 근로의 제공과 임금의 수령이라는 관계가 사회를 규율하는 중요한 원리로 자리 잡고 있다. 근로계약에 따라 자신의 노동력에 대한 처분권을 사용자에게 맡기고 제공받는 임금은 직접적인 보상이 되고 있으며, 적절한 휴식의 보장으로 인간다운 삶의 보장과 재생산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자유계약에 의한 근로관계의 구축은 근로자 보호에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따라 근로자에 대한 최소한의 권리로 근로시간의 최대치를 정하고 최소휴식의 기준을 설정·부여하고 있다. 근로시간의 단축은 근로자의 삶의 질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지만 효율적인 기업활동에 있어서도 중요한 문제이다. 우리나라는 2020년 기준 연간 근로시간이 1,908시간으로 장시간 근로를 하고 있으며, UN산하 자문기구인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SDSN)가 조사한 행복지수에서 OECD 37개국 중에서 하위 3번째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근로시간 단축의 필요성은 인정되어, 2018년부터 1주의 최대 근로시간이 52시간으로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의 부가가치 창출력을 유지하고, 근로자의 다양한 니즈에 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법적으로 다양한 근로시간의 예외를 두고 있으며, 우리나라 근로기준법은 3개월 이내의 탄력적 근로시간제와 3개월을 초과하는 탄력적 근로시간제, 선택적 근로시간제와 근로시간의 연장을 허용하는 연장근로의 제한을 두어 이를 허용하고 있다. 하지만 2021년 개정된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적용하는 것과 최근 논의되고 있는 정산 단위기간의 확대에 대한 논의에서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문제점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문제점과 이에 때한 개선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탄력적 근로시간제는 미리정한 기준에 따라 특정일 또는 특정주에 법정근로시간을 초과하더라도 근로기준법에서 정하고 있는 근로시간에 위배되는 것이 아님과 동시에 초과한 연장근로에 대한 가산임금을 지급하지 않아도 되는 제도로 주로 계절별 시기별 업무량 편차가 심한 제조업, 판매서비스업, 연속사업이나 장기간 조업을 위한 전기·가스·수도, 운수업 등에 있어 교대근무형태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운용에 따라 보다 짧은 근무일 설정을 통한 휴일 확대 등 근로시간 단축의 방편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정산 단위기간을 확대할 경우 근로자가 수령할 수 있는 가산임금을 수령하지 못하게 되어 근로자에게 불리하다. 따라서 첫째,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정산 단위기간 확대를 하려면 현행 기준에서 확대되는 기간에 대하여 추가임금 지급을 하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개별근로자에 대한 적용을 개선하여 근로자대표와의 서면합의에 있어 개별근로자와 충분한 협의를 하도록 하는 조치가 필요하고, 셋째, 정산 단위기간 동안 연장 근로의 허용시간을 명확히 하여야 하며, 넷째, 1일 최대근로시간이 정해지지 않고 있어 근로시간의 한도를 최대 근로시간으로 제한하거나 연속휴식에 대한 적용이 필요하며, 추가적으로 근로자대표의 서면합의가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적용에 있어 중요한 문제이므로 근로자대표의 대표성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소비자는 3개월과 90일을 다르게 지각할까 동일하게 지각할까?

        양윤,최하나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22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unit of time, construal level, and maximization influences consumer’s perception. The experimental design was 2(time unit frame: 3months/90days) × 2(maximization: satisficers/maximizers) × 2(construal level: low/high) factorial desig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n time perception. When the message was high level construal, maximizers perceived 3months message longer than 90days message. On the other hands, satisficers perceived 90days message longer than 3months message. Also, two-way interaction effects were significant. Specific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when the message was low level constural. When the message was high level construal, 90days frame made time perception longer than 3months.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at maximizers but satisficers perceived 90days message longer than 3months message. Fi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maximization at time perception. 본 연구는 상황 변수인 시간단위 틀과 해석수준, 그리고 성향 변수인 극대화 성향이 소비자의 시간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2(시간단위틀: 3개월/90일) × 2(극대화 성향: 극대자/만족자) × 2(해석수준: 상위/하위) 요인설계였다. 실험 결과, 시간지각에 대한 삼원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상위 해석수준의 시나리오에서 만족자 집단은 3달 틀보다 90일 틀일 때 시간을 더 길게 지각하였고, 극대자 집단은 90일 틀보다 3달 틀일 때 시간을 더 길게 지각하였다. 하위 해석수준에서는 극대화 성향과 시간 단위 틀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시간지각에 대한 시간 단위 틀과 극대화 성향의 이원상호작용효과 그리고 시간 단위 틀과 해석수준의 이원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만족자 집단에서는 3달 틀보다 90일 틀에서 시간을 더 길게 지각하였고, 극대자 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상위 해석수준에서는 3달 틀보다 90일 틀에서 시간을 더 길게 지각하였고, 하위 해석수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KCI등재

        중국 고대사회의 시간활용

        최진묵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人文論叢 Vol.70 No.-

        本文主要推定在中國古代,雖然貫徹了統壹的十二時制或十六時制,但在多元的生活領域却有不同的時間觀念和分割時間的方式,可以考證此種推定的領域有文書行政、農業活動、祭祀與儀禮,以及醫療活動等,竝且針對這些領域中具體的時間活用和事例進行比較分析. 古代中國的文書行政中,構建了將壹天分爲半日、或是三分爲1/3日,竝且記錄時刻和分單位等詳細時間的高效率計時行政. 由于重視行政處理的速度,所以不得不關注時間的精密度和准確性. 령外,上計文書的編寫等過程中還包含整理完成壹年的業務這壹意義,以此表示歲終,重視年單位的終點. 反面,雖然在行政上竝不是沒有隨著季節變化而産生的勞動力變化,但其竝不占흔大比重. 除農業活動、祭祀儀禮、醫療活動等文書行政以外的領域中,四季是最爲重要的標准. 因爲,季節變化就是意味著會導致某種行爲的發生. 對于試圖與自然規律相壹致,順應時間順序的古代人來說,四季便是絶對的標准. 農業活動中,除季節以外,月令、節氣也占據不小的比重;醫療活動中主要活用根據五行、八卦區分開來的五分法或是八分法的時間分割法,以及隨著疾病的次等進行時間分割的方法. 在這兩個領域是比較符合時間的循環和反複,卽周期性這壹特征的領域. 但是,祭祀和儀禮中,元會儀或是告朔會强調如同朔日等時間單位的初始點,又或是重視晝夜的初始點等陰陽交替的特定時間點,如同像上辛日,在特定的時間點賦予齋戒、自新等意義. 像這種與帝國內部統壹的時制無關的古代社會的各個活動領域的實際生活中,會反映出各自不同的時間觀念和時間的活用. 령外,有關時間活用的差異比較顯著的其他領域,卽除上述四個領域以外,還有占蔔這壹領域. 由于占蔔是基于時間和空間的選擇法而進行的,占術家們的時間觀念和活用也極爲重要. 這也是本文日後需要補充的部分.

      • 실시간 Data를 이용한 이상단위 작업 정보 제공 Application 제안

        김도연,장경훈,이성군,박재일 대한산업공학회 2016 대한산업공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4

        조립라인에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관리항목은 편성효율 최적화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공정별 단위작업 분석을 통해 이상(異常)point를 찾아내어 개선을 수행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VCR 촬영, 단위작업 분석, 이상(異常)단위작업 발견 등은 반복적인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IoT(laser)센서를 이용, 공정별 단위 작업시간 data를 실시간으로 gathering하여 VCR 촬영 및 분석 과정 없이 이상(異常)작업을 제시하는 방법이다. 작업대에 설치된 IoT(laser)센서는 작업자의 손이 부품을 잡는 동작을 인식하며, 인식된 data는 단위작업간의 시작과 종료의 기준 시간으로 전환시켰다. 실시간 data는 산포 분석을 통해 이상(異常)단위작업을 판단하고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분석과정 없이 작업시간 data가 자동으로 취합 분석되어 이상(異常)작업, 공정을 바로 check할 수 있었고 공정별 동일 단위작업 시간의 trend를 확인 할 수 있었다.

      • 실시간 Data를 이용한 이상단위 작업 정보 제공 Application 제안

        김도연,장경훈,이성군,박재일 한국경영과학회 2016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4

        조립라인에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관리항목은 편성효율 최적화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공정별 단위작업 분석을 통해 이상(異常)point를 찾아내어 개선을 수행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VCR 촬영, 단위작업 분석, 이상(異常)단위작업 발견 등은 반복적인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IoT(laser)센서를 이용, 공정별 단위 작업시간 data를 실시간으로 gathering하여 VCR 촬영 및 분석 과정 없이 이상(異常)작업을 제시하는 방법이다. 작업대에 설치된 IoT(laser)센서는 작업자의 손이 부품을 잡는 동작을 인식하며, 인식된 data는 단위작업간의 시작과 종료의 기준 시간으로 전환시켰다. 실시간 data는 산포 분석을 통해 이상(異常)단위작업을 판단하고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분석과정 없이 작업시간 data가 자동으로 취합 분석되어 이상(異常)작업, 공정을 바로 check할 수 있었고 공정별 동일 단위작업 시간의 trend를 확인 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탄력적 근로시간제 및 재량근로제 개선방안

        김재훈(Jae Hoon Kim) 한국노동연구원 2007 노동정책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근로시간관련 법제도를 변화하는 근로환경에 적합하도록 유연하게 개선하면서도 적정한 보호를 행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탄력적 근로시간제와 재량근로제를 대상으로 하여 논한다. 1997년에 도입된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활용실태를 분석하고 주요국가의 입법례를 참조하여, 근로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기업의 생산성을 제고시킬 수 있도록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단위기간을 확대함에 있어서 필요한 제도적 보완책을 제시한다. 그리고 재량근로제의 운영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도 연구한다.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적용단위기간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일정기간 이전에 근로일 및 근로일별 근로시간의 명시를 제도적으로 명확히 할 필요가 있으며, 1년 단위의 적용확대에는 소정근로일수의 한도ㆍ연속근로일수의 상한ㆍ소정근로일수의 상한ㆍ시간외근로의 상한 등에 관한 특별한 기준이 필요하고, 도입시 동의주체가 되는 근로자대표제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재량근로제는 기획업무형 업무에도 도입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는데, 건강복지 확보조치 강구 등 남용을 억제할 방안에 대한 강구도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egal structure for flexicurity of working hour system. To reduce too long working hours in Korea, working hour system needs to be adjusted to industrial change and necessity of company and worker. For the introduction of Flexible Working Hour System over a One-Year Period, the institution leaves much room for improvement. Scheduled hours in the unit must be specified at least 30days(in priciple) before the beginning of each unit by a labor-management agreement. Furthermore, making the working hour ceiling per day & per year and ensuring rest day at least every six workdays are needed for the protection of employees. And a scheduled over-working workweek per week must not continue for more than three weeks and there must be no more than three such workweeks within any three-month period. And the majority representative system at the establishment, which becomes the subject of agreement with an employer introducing mid-long Flexible Working Hour System, needs to be amended for ensuring representation and independence. With the increase of workers engaged in creative and discretionary activities, the expended application of Discretionary Working Hour System has been discussed. Introducing a new discretionary work scheme for high-level white collar workers(“management planning type” discretionary work scheme) can be considered. This scheme is available in “an establishment where important management decisions are made” and their duties must be “duties of planning,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matters regarding management of the enterprise,” and “for their proper implementation, the nature of such duties requires that the means of accomplishment must be mostly entrusted to the discretion of workers, and no concrete direction will be given regarding either the means of performance or the allocation of time.” But the procedural requirements(for example, measures to promote health and welfare of workers covered by the scheme) to control employer's abuse of this scheme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 KCI등재후보

        영화의 시간성 표현을 위한 기호학적 모델의 제언

        김병선(Byoung-Sun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04 한국언론정보학보 Vol.26 No.-

        이 논문은 영화에서의 시간성 표현 과정에 대한 기호학적 모델을 구성하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연구자는 영화의 시간성 표현과 관련된 기존 서사 이론의 한계를 지적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들뢰즈(Gille Deleuze) 영화 철학(philosophy of cinema)의 적절성을 논의했다. 들뢰즈 영화 철학은 퍼스(Charles S. Peirce)의 삼원론적 기호학을 영화에 가장 잘 적용시킨 것으로 평가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연구자는 우선 영화를 구성하는 기호학적 최소 단위로서의 “운동 이미지” 개념을 논의한 다음, 이를 기반으로 고전적 서사 영화(classic narrative cinema)와 현대 영화(modem cinema)에서 나타나는 두가지 서로 다른 시간성 표현의 기호학 과정을 비교했다. 즉, 고전적 서사 영화에서는 “정상적인 운동 이미지”가 “간접적 시간 표현”과 “이야기-서사”라는 해석체를 구성하는 기호학 과정을 거치는 반면, 현대 영화에서는 “비정상적 운동 이미지”가 “직접적 시간 표현”과 “시간-이미지”라는 해석체를 구성하는 또 다른 기호학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보았다. 현대 영화의 기호화 과정에서 출현하고 있는 이와 같은 “시간-이미지”는 영화와 현실 사이에 놓여진 “시간”이라는 철학적 대상을 통찰하게 만들고, 기존의 가치관과 이데올로기의 상투성을 극복할 수 있게 만든다. 이러한 맥락에서 “비정상적인 운동-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현대적 영상 제작 작업은 단지 특이하고 새로운 영화적 표현을 구성하는 데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을 주요한 사유의 대상으로 취하고 새로운 철학적 사유를 하게 만드는 보다 근원적인 성격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is paper proposed semiotic model to explain representation process of time in cinema. Limitations of cinematic narratology which explain representation process of time in cinema were indicated, then alternative explanations of Deleuzian philosophy of cinema were proposed. After discussion about articulations of cinematic code, Deleuzian concept of movement-image was suggested as semiotic minimal unit of cinema. In cinema, Movement-image is divided two different aspects ; "normal movement-image" and "abnormal movement-image". Therefore, two different semiotic representation process of time was re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Peircean semiosis theory. In this two different semiotic process, modern cinema emphasize the direct representation process of time with "abnormal movement-image". As Deleuze indicated, The "time-image" is presented in this semiotic process. The "time-image" makes it possible to consider "time itself" as philosophical fact which is laid between reality and cinema. This semiotic process more emphasizes pure expressionality than representationality. Deleuzian philosophical journey through cinema was started in this poi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