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8세기 영국 우스터 자기와 중국수출자기의 영향관계 : 청화백자 풍경문 다호를 중심으로

        이정민(Lee, Jungmi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0 美術史學 Vol.- No.39

        18세기 영국동인도회사를 통한 중국과의 차와 도자무역은 조지안 사회에 새로운 취향과 소비혁명을 불러 일으켰다. 영국 내 급증하는 차 소비량과 더불어 이에 적합한 다도구의 필요성은 영국자기회사의 발전을 촉진시켰다. 자본주의와 기술발전의 핵심인 산업혁명을 기반으로 1740년대부터 수도인 런던 주변 지역, 영국 남서부 지역의 세번 벨리(Severn Valley), 중부의 스테퍼드셔(Staffordshire)와 더비셔(Derbyshire), 북서부의 리버풀(Liverpool) 그리고 동부의 서폭(Suffolk) 지역의 중심으로 영국 자기회사들이 설립되었다. 각 지역별 원료의 확보 및 운반 그리고 완성된 자기의 운송이 용이하도록 항구도시나 큰 강 부근에 형성되었다. 반세기에 걸쳐 30여 곳이 넘는 영국 자기회사가 설립, 합병, 폐업 되는 과정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안정적으로 자기개발을 이룩한 독일이나 프랑스와는 상대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영국자기의 발전은 지역별 다양하게 채택된 태토의 구성만큼이나 다채롭고 장식요소 역시 회사별로 동일한 주제 속에서도 개별적이고 독특한 취향이 반영되어 영국만의 고유한 특수성이 드러나는 측면이 흥미롭다. 영국 우스터 자기회사는 설립이래 40년간 청화백자 생산량이 총 75%에 달했다. 동시기 영국자기회사들 중 가장 오랜 시간동안 제일 많은 청화백자를 생산하여 경매나 소매업에서 거래되는 비율이 25%를 차지한다. 본고에서는 영국 우스터 자기회사의 풍경문이 시문된 청화백자 다호를 중심으로 중국수출자기의 영향과 영국도자의 독자적 양식과 제작기술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청화백자는 중국수출자기로서 가장 많이 수출된 스타일이며 난파선 출수품의 기록을 분석할 때 수량적으로나 보존 상태에서 유행의 변화를 추적하는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 영국의 동인도회사의 수출입 기록은 부분적으로 유실되고 상세한 주문 목록 또한 구체적인 스타일이 명시 되어 있지 않아 전체적인 양상을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따른다. 연구방법으로 중국수출자기의 양상과 유행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영국동인도회사의 난파선 및 기타 유럽지역 그리고 동남아시아에서 발견되는 난파선 출수품 양상을 분석하였다. 특히 예테보리(Göteborg, 1745), 겔더말슨(Geldermalsen, 1752) 등 기타 유럽지역으로 항해하고 있었던 선박의 출수품들은 영국으로 수출된 것과 비교분석적인자료에서 중요한 단서가 되었다. 그리고 영국동인도회사 선박이었던 그리핀(Griffin, 1761)은 영국으로 수출된 중국자기 분석에 중요한 자료이며 특히 1797년에 난파된 시드니 코브(Sydney Cove)의 경우 영국 식민지로의 중국자기수출 활동에 관한 기존 수출품의 연장선상에서 살펴볼 수 있는 유용한 자료이다. 난파선출수품의 스타일 변화와 동시기 제작된 영국자기와의 상호관계성을 파악하기 위해 출수품 분석은 용도 및 종류의 구분 없이 풍경화의 장식 요소를 중심으로 집중 비교 분석되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경제적, 기술적, 지역적인 맥락에서 영국 남서부 지역의 세번 강(River Severn) 부근에 설립된 우스터 자기회사의 청화백자 제작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1751년 존 월 박사(Dr John Wall, 1708-76)를 비롯해 그 외 14명의 투자자들을 기반으로 설립된 우스터 회사의 강점은 자체적인 원료 개발에 있었다. 동석을 첨가해 연질자기의 기능적인 한계를 극복한 것은 동시기 기타 자기회사, 런던의 첼시, 스테퍼드셔의 롱턴, 그리고 더비회사가 극복하지 못한 문제를 넘어서 중국수출자기에 견줄 만한 내구성을 갖춘 획기적인 일이었다. 또한 장식적인 면에서도 중국수출자기의 단순 모방을 넘어 전사기법을 적극 도입하여 영국식 취향과 시대적인 미감을 반영하여 영국자기 발전사에서 독창적이고 경쟁력 있는 회사로 자리매김 하였다. The establishment of English East India Company and tea and porcelain trade with China brought new tastes and consumer revolutions to Georgian society. The demand of suitable tea wares coupled with the soaring consumption of tea in England has spurred the development of English porcelain factories. The socio-economic features of Industrial capitalism were reflected on formation of English manufactures from around 1740s in London, Severn Valley, Staffordshire, Derbyshire, Liverpool and Suffolk region. It was formed in the port city or near large river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of raw materials and shipping ready goods. There were more than thirty English porcelain factories active over half a century which merged, closed, and became successful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y faced. The English porcelain manufacturing context was relatively unpromising compared to Germany or France where they had supports on a national level. However, variations on style and technology were the strength of the English ceramic industry. The Worcester porcelain factory produced blue and white porcelains a total of 75% of its overall porcelain production in the forty years of its establishment. At the same time, Worcester produced the most blue and white porcelain for the longest period in England and now almost 25% of transactions are covered with Worcester porcelains at auctions or retai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hinese export porcelain on Worcester blue and white landscape decorated teapots and how Worcester developed its own stylistic features and decorating techniques. The blue and white porcelain was the most popular exported style among Chinese export porcelains and this clearly illustrate the changes in export trend. As the English East India Company"s records are partly lost and detailed orders are not recorded, there are limitations in understanding the overall backgrou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trend of Chinese export porcelain, I have analyzed the shipwreck founds of Göteborg(1745) and Geldermalsen(1752) in comparison to Griffin(1761) which was owned by the English East India Company, and Sydney Cove(1797). The shipwreck data is studied with the focus on stylistic changes in landscape decoration. In this paper, I have looked into Worcester blue and white porcelains from economic, technical and regional perspective. Founded in 1751 by Dr. John Wall (1708-76) and 14 other investors, the company"s strength was in developing its own raw materials. Overcoming the functional limitations of soft-paste porcelain with the addition of soapstone was a critical breakthrough that seemed to be difficult by Chelsea in London, Longton Hall, Derby, and other factories. Worcester also adopted the transfer decoration technique and this is regarded as a very significant move to stop mimicking Chinese export decorations and manifest the true British taste and the aesthetics of the time, which marked Worcester as a very revolutionary and competitive porcelain factory in English porcelain history.

      • KCI등재

        朝鮮의 淸 琺瑯瓷器 유입경로와 수용태도 연구

        김은경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9 美術史學 Vol.- No.37

        After the mid-eighteenth century, as the production technology of Falangcai porcelain spread to the folk kilns, the production of Falangcai as a typical commodity became mainstream practice. This was an important factor that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Falangcai porcelain as one of the prevailing products on the global porcelain market. In other words, the fact that the majority of the Falangcai porcelains imported to Joseon consisted of Fencai porcelains was a result of changes in the production environment of Qing Falangcai. By the nineteenth century, the Asian market was at the forefront while in the existing European market, the Qing Falangcai lost its competitiveness. Another reason why the Asian market is important is because of the distinct cultures and customs of each Asian country and how these manifest in the different approaches to accepting Qing culture. Therefore, this thesis mainly examined the regions of the Ryukyu Islands, Japan, Thailand, and the Malay Peninsula where the inflow of Falangcai porcelain was more distinctive. As for Thailand and the Malay Peninsula, the use of Qing Falangcai was a means of expressing their cultural and ethnic identities as an upper-class culture. This is in contrast to Joseon and Japan where the acceptance of Qing Falangcai was done independently of their ceramic culture with the intention of highlighting the authority of the ruling class. In addition, by the nineteenth century, the quality of Falangcai porcelain within the Qing dynasty experienced decline and was ultimately overshadowed by European examples. However, Falangcai continued to be associated with the notion of high society in the regions of Joseon, Japan, Thailand and the Malay Peninsula where Falangcai was still being consumed by mostly the upper class or wealthy. This also explains why the Joseon royal family continued to purchase Falangcai porcelain even to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During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the Joseon royal family seemed to attach high social status to all Qing porcelain including Falangcai. The Joseon dynasty adhered to the use of Yangcai porcelain in royal banquets until the era of the Korean Empire. During the long negotiation process with the Qing Dynasty, Joseon would have been aware of the fact that Falangcai porcelain was originally used as imperial articles inside the Qing’s imperial palace. This seems to be the image of Falangcai that the Joseon dynasty possessed until the period of the Korean Empire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It is believed that the royal family of the Joseon dynasty attempted to reveal their favorable feelings toward the cultural products of the Qing dynasty, which had continued since the end of the eighteenth century. This was done by using the Qing Falangcai as an expression of Joseon’s approval of Qing culture as well as the pride cherished in committing to maintaining and developing ethological order. 18세기 중반 이후 법랑자기 제작 기술이 민간으로 확산되면서 상품용 법랑자기의 제작이 이루어졌고, 이는 청의 법랑자기가 세계 도자기 시장의 주류로 성장하는 중요 한 요인이었다. 즉, 조선에 유입된 대다수의 법랑자기가 분채라는 사실은 청의 법랑자 기 생산 환경 변화에 따른 결과이다. 19세기에 이르면 청 도자기가 기존 유럽 시장에서 의 경쟁력을 잃어가면서 아시아 시장이 부각되었다. 아시아 시장이 중요한 또 다른 이 유는 각 나라별로 문화적 차이와 풍습으로 인하여 각기 다른 형태의 수용태도를 보여 준다는 점이다. 이에 법랑자기의 유입 정황이 뚜렷한 琉球와 일본, 그리고 태국, 말레 이반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태국과 말레이반도에서는 상류층 문화로서 그들의 문화적, 민족적 정체성을 표현하 는 하나의 수단이었다면, 조선과 일본은 자국의 도자문화와는 별개로 지배층의 권위를 부각시키기 위한 의도로 청대의 법랑자기를 수용하였다. 아울러 19세기의 법랑자기는 청 내부적으로 품질이 쇠퇴하고 유럽 자기에 밀려 고전을 면치 못했지만, 조선이나 일 본, 그리고 태국, 말레이반도에서는 여전히 상류층 혹은 부유층을 중심으로 소비되었 고 높은 사회적 위치를 점하고 있었다. 이는 19세기 말엽까지도 조선왕실이 법랑자기를 구득한 배경이기도 하다. 조선 왕실은 18-19세기 동안 법랑자기를 포함한 청 자기의 사회적 위상을 높게 인식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왕실은 대한제국 시기까지 왕실에서 치러지는 진연에 양채자기의 사용을 고수하였다. 조선은 청과의 오랜 교섭 과정 중 청 황제 혹은 사행을 통해 법랑자기가 본래 청궁에서 소용되던 어용 기물임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었을 것이다. 이는 20세기 초 대한제국 시기까지 조선이 법랑자기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이미지로 보인다. 조선 왕실은 18세기 말기부터 이어진 청 문물에 대한 호의, 더 나아가 성리학적 질서를 유지 발전시키는 주체로서의 자부심으로 청 법랑자기를 사용함으로서 이를 드러내고자 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후보

        清代前期的景德鎮外銷瓷對近現代歐洲瓷器設計的影響

        교운운(乔芸芸),김난희 한국도자학회 2014 한국도자학연구 Vol.11 No.2

        During Kangxi(1662-1722), Yongzheng(1723-1735) and Qianlong(1736-1795) periods of the early Qing Dynasty, export of porcelain to Europe from Jingdezhen, China made a huge influence on European porcelain manufacturing in 17th, 18th centuries. At the beginning , this thesis illustrated background of Jingdezhen export porcelain. After that, it summarized main characteristics of export porcelain during those periods by applying comparative analysis approach, illustrating export porcelain influence of Kangxi, Yongzheng and Qianlong periods of Qing Dynasty on European porcelain. European porcelain mainly learned decorative styles of Chinese export porcelain, and started imitating Chinese porcelain. Until the late 19th century, after such a long time porcelain imitation, European porcelain industry grew from nothing, especially modern European porcelain design, which largely absorbed characteristics of export porcelain of Qing Dynasty, accumulating current European porcelain design styles. In this thesis, it will elaborate the relationship of modern European porcelain design and export porcelain of Qing Dynasty in detailed. 清代前期,即清三代時期-康熙(1662-1722年),雍正(1723-1735年),乾隆(1736-1795年),中國景德鎮出口到歐洲的外銷瓷, 對17、18世紀的歐洲(以法國、德國、荷蘭、英國和意大利為中心)的瓷器製作影響巨大. 下面來看一下那影響是以怎樣的樣式出現的. 本文先敘述了清三代時期景德鎮輸出瓷器的背景條件,接著概括了這一時期外銷瓷的主要特點,論述了清三代時期景德鎮外銷瓷對歐洲瓷器的影響. 他們主要以藉鑑中國外銷瓷的裝飾風格的方法,開始模仿中國瓷器. 一直持續到19世紀晚期,漫長的仿製瓷器的歷程中,歐洲瓷業從無到有,特別是歐洲現代陶瓷設計大量吸收了中國清代外銷瓷的特點,進而形成了現在歐洲瓷器的設計風格. 本文將詳細闡述歐洲現代陶瓷設計與中國清代輸出陶瓷的關係.

      • KCI등재

        15세기 명(明) 암흑기(暗黑期)(1436~1463) 청화백자의 조선 유입과 수용

        김은경 ( Kim Eun-kyoung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0 石堂論叢 Vol.0 No.76

        본 연구는 15세기 正統-景泰-天順시기(1436~1463), 명나라 관요 생산의 침체기였던 暗黑期(혹은 空白期)때 명과 조선의 도자교섭에 관한 것이다. 1447년 명나라가 자기 무역 일체를 금하면서 조선도 중국과의 자기무역을 금하지만, 조선시대 유적에서 암흑기로 추정되는 경덕진 청화백자가 출토 확인되어 문헌기록과 다른 정황이 확인된다. 암흑기 때 명을 통한 공식적인 자기 유입은 문종즉위년인 1450년, 즉 경태원년(景泰元年) 단 한 차례이다. 이때 명 사신을 통해 진상된 암흑기의 자기는 상당한 수량으로 당시 황위를 둘러싼 불안정안 명 조정과 환관정치가 극에 달했던 정황, 그리고 양국의 기록에 명 황제의 하사품이라 언급되지 않은 점을 토대로 명 사신이 개인적으로 조선 국왕에게 진상하였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아울러 문종즉위년 이후, 명 황실을 통한 자기 유입의 기록이 전무한 것은 암흑기의 특성에 기인한다고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조선시대 유적에서 출토되는 암흑기 자기는 경태~천순시기의 양식적 특징을 보이고 있어, 문종즉위년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입되었음을 알 수 있다. 주목되는 점은 이 시기 일본과 류큐를 통해 상당수의 명 자기가 조선으로 유입되었다는 것이다. 특히 익히 알려진 용천요 청자 외에 백자 및 청화백자도 포함하고 있으며, 품종을 알 수 없는 자기도 최대 1천점이 한꺼번에 진상되는 것으로 보아 암흑기 명 청화백자는 일본과 류큐를 통한 제 2의 경로로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실제 오늘날 일본과 류큐 유적에는 암흑기 청화백자가 다수 출토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암흑기 자기와 동반 출토된 명 청화백자의 편년대가 15세기 후반~16세기에 분포되거나, 암흑기 이후인 성화년간(1465~1487)부터 본격적으로 출토되는 점으로 보아 동시기 유입이 아닌, 사무역이 증가하기 시작하는 15세기 3/4분기 이후부터 유입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만약 그렇다면, 16세기 조선관요에서 15세기 편년의 명대 자기가 출토된 사실도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여러 경로와 뒤늦은 시기에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암흑기 자기는 조선관요 백자 제작에도 영향을 미쳐, 전기 청화백자에 암흑기 자기의 양식적 특징이 확인된다. This study is about the trade of Porcelain between Joseon and Ming Dynasty during the reign of ZhengTong(正統)-JingTai(景泰)-TianShun(天順)(1436~1463) in the 15th century and the Interregnum Period of official kiln in the Ming Dynasty. In 1447, the Ming Dynasty banned Porcelain trade, and Joseon prohibited Porcelain trade with the Ming Dynasty. However, the Blue and White porcelain of Jingdezhen, believed to be in the Interregnum Period, was excavated from the historical site of the Joseon Dynasty, confirming the literature records and other circumstances. The official influx of ceramics through the Ming Dynasty during the Interregnum Period is only the first year that King Munjong(文宗, 1450~1452) took the throne in 1450. Porcelain of Interregnum Period delivered through Ming Dynasty envoys is a considerable amount. However, raised the possibility that envoys of the Ming Dynasty personally gift the Porcelain to the Joseon king based on the fact that the records of the two countries were not mentioned as imperial gifts of the Ming Dynasty along with the unstable situation of the Ming Dynasty and the situation in which the politics of the endoscope was at its peak.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regnum Period, it was also possible to understand that there was no record of any record through the imperial family of the Ming Dynasty since the year when King Munjong first took the throne. Besides, the Porcelain of Interregnum Period excavated from the historical site of the Joseon Dynasty shows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JingTai(景泰)-TianShun(天順) period, indicating that it has been continuously introduced since 1450. Noteworthy is that during this period, Porcelain from the Ming Dynasty often flows into Joseon via Japan and Ryukyu. In addition to the well-known Longquan celadon (龍泉靑瓷), it also contains white porcelain and Blue and White porcelain, and since up to 1,000 Porcelain pieces of unknown variety have been presented at onc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y have flowed into the second route through the Ryukyu with Japan. In fact, it has been confirmed that a number of blue-and-white porcelain from the Interregnum Period have been excavated from Japan and the Ryukyu historical site. The Blue and White porcelain production in Ming Dynasty, excavated with Porcelain of Interregnum Period, was distributed in the late 15th century to the 16th century. Excavated with Porcelain from the Interregnum Period, the Ming Dynasty Blue and White porcelain produced in the late 15th and 16th centuries. Also, considering the fact that it was excavated in earnest from the reign of the ChengHua(成化, 1465~1487) it would not have been introduced during the same period. In other words, it is likely that personal trade has flowed in since the third quarter of the 15th century when it began to increase. If so, it may also be understood that Ming Dynasty Porcelain produced in the 15th century was excavated from the Joseon official kiln of the 16th century. Porcelain from the Interregnum Period, which is likely to have been introduced in various channels and late periods, also affects the production of the joseon official kiln white porcelain, and the stylistic features of the Porcelain of Interregnum Period are identified in the electric purifying white porcelain.

      • KCI등재

        조선 후기 백자 사각병의 연원과 조형 특징

        박혜선 미술사연구회 2019 미술사연구 Vol.- No.3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The first objective is the identification of the original form of the white porcelain rectangular bottles that began to emerge in the late Joseon period, particularly in relation to similar bottles produced in China and Japan at that time. The second is the determination of the significance and meaning of these white porcelain rectangular bottles based on an analysis of their shapes and decorations. A typical white porcelain rectangular bottle under the aforementioned analysis has a square or rectangular shape with angled shoulders, and a comparatively narrower mouth and a flat bottom attached to the rectangular body. This rectangular bottle appeared after the 18th century which had not been produced before. However, information about white porcelain rectangular bottles has not yet been discovered regarding background of its appearance, period of production, its technique, place of manufacture, and the user. Rather, it has been dealt indirectly which was only included as a part of angular bottle studies in the broader range or a chapter of pattern studies. Especially, studies of its production period or method is in confusion, that every holding institution has different opinions. Since white porcelain rectangular bottle has a fastidious procedure of its manufacture, there is not much relics remain. Although, pure kaolin was used and its pattern was drawn delicately, which indicates it intended to pursue a good quality. These bottles have been excavated around Gyeonghuigung Palace and some of the remains has inscriptions on the bottom which represents it was used for the royal family or correspondingly considered as a valuable collection. Moreover, it has various style, composition, and types of patterns, that enables to comprehend aspects of transition in late Joseon dynasty. Therefore, this thesis will examine blue and white porcelain fever over Europe and production conditions of white rectangular porcelain in China and Japan and understand the origin of its production. Further, appearance of white rectangular bottle in Joseon will also be studied together with its foreign element and feature of its modeling.

      • KCI등재후보

        이역(異域)의 창조-프롱크 ‘양산을 든 부인’ 자기 접시 연구-

        류자오후이 ( Zhaohui Liu ),다이뤄웨이 ( Ruowei Dai ) 동양미술사학회 2021 동양미술사학 Vol.13 No.-

        본 연구는 18세기 아시아와 유럽 간의 무역을 바탕으로, 네덜란드 화가 코르넬리스 프롱크(Cornelis Pronk)가 디자인한 ‘양산을 든 부인(Lady with Parasol)’자기의 도상과 이와 관련된 무역자기에 대한 문제를 재차 정리하고 고찰하려 시도한 것이다. ‘양산을 든 부인’ 자기 도상은 프롱크가 네덜란드 동인도회사를 위해 특별히 고안한 주문 제작자기 도상으로서 무역자기 연구에서 특히 중요한 위치에 있다. 본문은 관련 연구사를 기초로 하여, 도상의 유래를 재고찰하였으며, 중국ㆍ일본ㆍ유럽 등지에서 생산된 유사 자기들의 변형 양상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경을 넘나들며 지속된 도상의 탄생과 유통, 생산과 수용, 변형 및 타 문화권과의 조우에서 태동되는 ‘이역(異域)’의 상상과 그 창조를 탐구해 보고자 한다. Based on the trade between Europe and Asia in 18<sup> th</sup> century, this essay offers are-evaluation of Lady with Parasol, a famous pattern on Chinese export porcelain by Dutch artist Cornelis Pronk. This pattern is designed for the Dutch East Indian Company for sending special porcelain order from China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export porcelain. By rethinking the origin of Pronk’s design and the transformation of it on porcelain plates produced in China, Japan and Europe, this case reveals the life cycle of an image from design, delivery, production, accommodation to appropriation in a perspective of global history and transcultural communication, highlighting the creation and imagination of Exotic in cultural encounters.

      • KCI등재

        17~20세기 동아시아 망문(網紋)백자의 제작과 확산

        박수정 동양미술사학회 2023 동양미술사학 Vol.17 No.-

        망문백자는 기면 위에 도안화된 그물문을 장식한 것으로 중국과 일본, 한국에서 제작됐다. 본 연구는 그동안 종합적으로 조망되지 못했던 망문백자의 양식을 규명하고, 동아시아 망문백자의 제작양상과 특징을 고찰했다. 망문백자는 명 말기 수출자기 양식으로 확산됐다. 따라서 명 말기 망문백자가 유통되었던 국가들의 자료를 종합하여 살펴봄으로써 중국 망문백자 제작 경향을 파악했다. 한편, 중국 망문백자는 주요 소비국이었던 일본에서 모방 및 변용 되었다. 일본은 경질백자를 생산한 이래로 망문백자를 꾸준히 생산한 것으로 이해된다. 일본에서 망문 그 자체는 길상상징으로 도자기를 비롯한 공예품의 의장으로 애호됐다. 특히 도안집을 통해 널리 유포되었는데, 이러한 도안집이 조선 19세기 이후 등장하는 망문백자 제작에 자극이 되었을 가능성을 추정했다. 조선 후기는 백자 제작에 있어서 일본의 영향이 고조되는 시기로 대일교류를 통한 망문백자 제작을 밝혔다. 이처럼 중국과 일본, 조선에 이르기까지 각국에서 망문백자 제작과 수용이 각기 다른 양상으로 나타난 점을 통해 동아시아에서 공통으로 출현하는 망문백자의 상호 영향관계를 탐구했다. Decorated with patterned net design on the porcelain surface, net design porcelain was produced in China, Japan, and Chosŏn. This study examined the style of net design porcelain in East Asia that had not been comprehensively viewed so far, and also considered the aspect and characteristics of production. Net design porcelain that spread as export porcelain in the late Ming period, influenced the ceramics of Japan and Chosŏn.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the origin and spread process of net design porcelain in East Asia, this study put together and examined data of the countries where net design porcelain was distributed in the late Ming period. Meanwhile, net design porcelain in China was imitated in Japan which was the main consumer. Japan is understood to continuously produce net design porcelain since producing hard white porcelain. Net design porcelain of China tended to be continuously imitated, transformed, and diversified in Japan. As the auspicious symbols, the net design itself in Japan was loved for the design of craftworks including ceramics. Especially, it was widely circulated through design books, and this study estimated the possibility in which such design books probably stimulated the production of net design white porcelain that appeared after the 19th century in the Chosŏn Dynasty. Like this, this study considered the meanings of net design porcelain in East Asia through the fact in which the aspect of accepting and producing net design porcelain was differently shown in each country such as China, Japan, and Chosŏn.

      • KCI등재

        朝鮮後期 淸 陶資의 受容과 認識 變化

        김은경(Kim Eun-Kyoung)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연구 Vol.66 No.-

        본 연구는 조선이 청 도자기를 비롯한 청 문물에 대해 가진 인식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시기별로 그 양상을 파악해보고자 시도되었다. 조선의 도자기를 포함한 청 문물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크게 ‘부정적-제한적-적극적’ 인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먼저 胡亂 후 교섭이 개시된 仁祖4년(1626)부터 景宗4년(1724)까지만 하여도 명에 대한 ‘再造之恩’과 청에 대한 北伐論이 팽배하여 청 문물의 유입 자체를 꺼렸다. 英祖元年(1725)부터 正祖14년 (1790)의 기간 동안 옹정~건륭시기 연행을 통해 안정된 청나라의 정세를 실감하며 현실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려는 인식의 전환이 시작된다. 하지만 여전히 청 문물에 대한 거부감은 남아있었으며, 英 · 正祖의 근검을 숭상하는 정책은 청 문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야기하였다. 아울러 사치스러운 물건이라 하여 받아들이되 제한적 수용 태도를 취하였다. 흥미로운 사실은 정조15 년(1791)을 전후로 청 문물에 대한 다소 부정적인 인식이 바뀌게 된다는 점이다. 태도의 변화는 익히 알려졌다시피 惠慶宮 洪氏 回甲宴(1795)에서 총 120점의 중국산 그릇이 사용되었다는 기록을 통해 명확히 드러난다. 이는 동일한 연회에 사용된 조선 관요 생산의 갑번사기 37점의 3배를 넘는 수량에 해당한다. 조선의 적극적인 청 문물 수용과 소비 행태는 조정으로 하여금 끊임없이 ‘唐物’의 수입을 강력하게 규제하는 등 범람하는 청 문물에 대한 우려가 표출되게 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19세기까지 이어진다. 그렇지만, 한편으로 이전보다 자유로운 청 문물에 대한 접근은 19세기 전반 일부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청을 객관적 대상으로 평가하려는 움직임으로 이어진다. 이는 청의 문물을 보다 객관적으로 판단하여 선별적 수용이 시작된 시기라고 볼 수 있다. 이 시기에 이르면 도자를 포함한 다양한 청 문물은 더 이상 진귀하고 놀라운 대상이 아니라 생활상 익숙한 물건으로 그 위치가 재조정되는 경향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Joseon people accepted the importation of Qing dynasty porcelain by focusing on factors. This is internal in nature and examines how the Joseon people’s perception of Qing culture, including its ceramics, changed over time. The Joseon perception of the Qing Manchu people and their cultural products experienced change in three general phases. From the 4th year of King Injo (1626) when negotiations commenced following the Second Manchu invasion of Korea up until the fourth year of King Gyeongjong (1724), the mindset of ‘chaejo jieun’ (indebtedness for the second creation of the Korean state) was prevalent among the Joseon people. In combination with ‘bukbeollon’ (Theory of the Expedition to Conquer the North), the national agenda dictated a political environment that discouraged the importation of all Qing products. However during the second phase from the first year of King Yeongjo (1725) to the 14th year of King Jeongjo (1790), the Joseon people were able to directly witness the stable situation of the Qing dynasty through Chinese visitation during the years of the Yongzheng~Qianlong dynasties. Thus, the perception of the Ming dynasty began to change accordingly. However, feelings of resistance against the Qing remained and the policy of reverence for the spirit of diligence and frugality promoted by both Kings Yeongjo and Jeongjo continued to encourage a negative perception toward the products of the Qing dynasty. As such, objects including Falancai porcelain were viewed as items of extreme extravagance, to be accepted by Joseon in a strictly limited manner. But the fifteenth year of King Jeongjo (1791) marks a drastic turning point in the Joseon perception of the Qing. For example, a total of 120 pieces of Chinese pottery were used at the 60th birthday celebration of Queen Heongyeong (1795). This was more than three times the 37 pieces of saggar-fired porcelain present at the same event. Subsequently, Joseon started to embrace Qing products without hesitation to the extent that the royal court continued to take various measures to regulate the importation of `Tang goods(唐物)` over concern for the flood-like influx of the products of the Qing dynasty. This trend continued until the nineteenth century. At the same time,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a few intellectuals started a movement directed towards evaluating the Qing from an objective point of view. With a more objective attitude, selective acceptance of certain Qing products commenced at this time. By this point, objects originating from the Qing were no longer considered rare and precious or remarkable but rather as familiar objects used in a person’s daily life, prompting the reassessment of the value of all Qing dynasty object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