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격민감도 분석(PSM)을 이용한 주택수요 추정방법 실증연구

        장인석(Chang In Seok),송기욱(Song Ki-Wook),조한진(Cho Han Jin) 한국부동산학회 2017 不動産學報 Vol.68 No.-

        오늘날 주택수요 추정을 위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어 왔던 맨큐-웨일 모형은 주택 수요자의 선호도 및 지불가능 능력을 고려한 시장수요량 대해 현실적인 설명력이 부족한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현행 주택수요함수 추정방법과 가격민감도분석 방법을 결합하여 주택공급자 관점에서 실제 활용이 가능한 수요추정 방법 제시와 분석절차에 관한 실증적 접근을 시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주택수요 추정 과정에서 요구되는 인구․가구 유입에 따른 잠재수요권 설정, 잠재수요자의 유효지불가능 수요량 산정에 기초한 가격민감도 분석을 통해 최종 유효수요를 추정하고, 이의 정합성 판단을 위해 기수립된 주택공급계획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기존의 통계적 모형을 보완하여 향후 주택의 적정 유효수요 판단에 의한 수급격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Most of studies about housing demand estimation are based on the Mankiw-Weil s model to estimate the requirement of housing demand. But housing providers are impossible to determine the market demand, which can not reflect the consumer price preferenc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make procedure to estimate housing demand on price using PSM approach unlike estimation methodology. (2) RESEARCH METHOD To empirically testify, Theory of Housing Demand Functional Estimation and Price sensitivity meter(PSM) based on willingness to pay is employed to analyze the valid demand of housing market. The case studies for this project was focused on Suwon ○○ on Kyung-Gi Korea district and which were conducted survey for 370 home resident and 30 real estate brokers. (3) RESEARCH FINDINGS As the result of PSM analysis for general consumer and real estate brokers, final effective demand rate is about 2.4%, 6.7% at the 9.8million/3.3m² to 10.0million/3.3m² price range. If there has been already planned 2,103 for housing supply volume and target area is deeply concerned about housing oversupply. Therefore, it was required to minimize the unsold by reducing the housing supply through plan modification. 2. RESULTS The PSM can be valid method that allows for estimated housing demand relationships to determining consumer price preferences. Also, it is possible to derived the effective demand volume for pricing range and evaluated the adequacy of housing supply planning in the future.

      • KCI등재

        도로포장의 생애주기비용 분석을 위한 장기 교통수요 추정

        도명식,김윤식,이상혁,한대석,Do, Myungsik,Kim, Yoonsik,Lee, Sang Hyuk,Han, Daeseok 대한토목학회 201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3 No.5

        기존의 포장관리를 위한 장래 교통수요의 추정에는 객관적인 방법에 의한 장래 교통수요의 추정이라기보다는 과거 추세(trends)나 분석가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으며, 새로운 도로의 신설 및 우회도로의 계획 등 대상 지역의 장래 도로 및 지역개발 계획을 전혀 고려하지 못한 교통수요의 추정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객관적이며 정도 높은 국도의 유지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decision-making support system)의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장래 포장의 공용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장기 교통수요 예측의 중요성을 살펴보고 기존 교통수요 추정 방식과의 비교를 위한 기준(baseline) 수요를 산정하기 위해 EMME(Equilibre multimodal, Multimodal Equilibrium)를 이용하여 4단계 교통수요 추정 방법에 따라 장래 교통수요를 예측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사례연구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전지방국토관리청 관할의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교통수요 추정방안별 비교를 수행하였으며, 기존의 수요추정 방법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장래 지역개발계획과 도로의 신설 및 확장계획 등을 고려한 교통수요 추정방법과는 교통량의 수요뿐만 아니라 관리자비용 및 이용자비용의 수준에도 큰 괴리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raffic demand forecasting for pavement management in the present can be estimated using the past trends or subjective judgement of experts instead of objective methods. Also future road plans and local development plans of a target region, for example new road constructions and detour plans cannot be considered for the estimate of future traffic demands. This study, which is the fundamental research for developing objective and accurate decision-making support system of maintenance management for the national highway, proposed the methodology to predict future traffic demands according to 4-step traffic forecasting method using EMME in order to examine significance of future traffic demands affecting pavement deterioration trends and compare existing traffic demand forecasting methods. For the case study, this study conducted the comparison of traffic demand forecasting methods targeting Daejeon Regional Construction and Management Administration. Therefore, this study figured out that the differences of traffic demands and the level of agent costs as well as user costs between existing traffic demand forecasting methods and proposed traffic demand forecasting method with considering future road plans and local development plan.

      • KCI등재

        농촌 임대주택 수요분석 연구

        이창우,윤갑식 한국농촌건축학회 2017 농촌건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Vol.19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농촌 임대주택의 수요예측을 통한 농촌의 주거환경개선에 있다. 농촌의 주거문제는 농촌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이다. 이러한 농촌임대주택으로 농촌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고자 한다. 조사는 주택과 농촌에 살고 있는 기존 농촌거주가구와 귀농·귀촌 예정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주요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거주자와 예정자 모두 임대주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농촌거주자들보다는 귀농·귀촌예정자들이 임대주택을 더욱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농촌 활성화를 위한 효과적인 농촌임대주택 공급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앞으로 보다 다양한 변수를 포함하여 지속적인 분석이 진행됨으로써 정책으로 연계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주택정책의 기초가 되고자 한다. Recently, it is recognized that the increase of returning farmers is an important impetus in revitalizing rural areas. There is a growing need to improve the housing environment in rural areas by expanding the rental housing supply in order to attract returning far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ecast the rural rental housing demand based on a questionnaire survey and to predict the rural rental housing supply in the public sector. The rural rental housing demand consists of demand from incoming rural residents and demand from returning farmer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rural residents and potential return farmers. The rural rental housing demand was analyzed by using surveys to identify prospective incoming rural residents and potential returning farmers and the rate of intention to move into rural rental housing. In this study, rural rental housing demand which does no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rent level and rural rental house demand considering rent cost are presented respectively.

      • KCI등재

        가격민감도 분석(PSM)을 이용한 주택수요 추정방법 실증연구

        장인석,송기욱,조한진 한국부동산학회 2017 不動産學報 Vol.66 No.-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Most of studies about housing demand estimation are based on the Mankiw-Weil's model to estimate the requirement of housing demand. But housing providers are impossible to determine the market demand, which can not reflect the consumer price preferenc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make procedure to estimate housing demand on price using PSM approach unlike estimation methodology. (2) RESEARCH METHOD To empirically testify, Theory of Housing Demand Functional Estimation and Price sensitivity meter(PSM) based on willingness to pay is employed to analyze the valid demand of housing market. The case studies for this project was focused on Suwon ○○ on Kyung-Gi Korea district and which were conducted survey for 370 home resident and 30 real estate brokers. (3) RESEARCH FINDINGS As the result of PSM analysis for general consumer and real estate brokers, final effective demand rate is about 2.4%, 6.7% at the 9.8million/3.3m² to 10.0million/3.3m² price range. If there has been already planned 2,103 for housing supply volume and target area is deeply concerned about housing oversupply. Therefore, it was required to minimize the unsold by reducing the housing supply through plan modification. 2. RESULTS The PSM can be valid method that allows for estimated housing demand relationships to determining consumer price preferences. Also, it is possible to derived the effective demand volume for pricing range and evaluated the adequacy of housing supply planning in the future. 오늘날 주택수요 추정을 위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어 왔던 맨큐-웨일 모형은 주택 수요자의 선호도 및 지불가능 능력을 고려한 시장수요량 대해 현실적인 설명력이 부족한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현행 주택수요함수 추정방법과 가격민감도분석 방법을 결합하여 주택공급자 관점에서 실제 활용이 가능한 수요추정 방법 제시와 분석절차에 관한 실증적 접근을 시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주택수요 추정 과정에서 요구되는 인구․가구 유입에 따른 잠재수요권 설정, 잠재수요자의 유효지불가능 수요량 산정에 기초한 가격민감도 분석을 통해 최종 유효수요를 추정하고, 이의 정합성 판단을 위해 기수립된 주택공급계획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기존의 통계적 모형을 보완하여 향후 주택의 적정 유효수요 판단에 의한 수급격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유발계수행렬에서 발생하는 추정오차 문제에 관한 연구: IO, OO, FF모형을 통한 과대추정을 중심으로

        김호언 ( Ho Un Gim ),이춘근 ( Choon Keun Lee )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8 지역산업연구 Vol.41 No.2

        투입·산출(IO)모형이 갖는 연속적 연결의 문제와 순승수 개념의 한계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하여 레온티에프 역행렬(C<sup>f</sup>)의 요인별 분해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유발계수행렬을 통하여 각종 경제분석(승수효과, 연관효과, 파급효과 등)을 수행할 때에 원인변수와 결과변수 사이의 논리적 인과관계에서 연속적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 심각한 추정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최근 유발계수행렬에 대한 다양한 논의와 연구 성과에 대하여 유념하면서 다음과 같은 연구 목적을 설정하고자 한다. (1) 산업연관분석의 유발계수행렬에서 나타나는 추정오차 문제의 본질을 경제 이론 및 경험적 분석 측면에서 규명하고자 한다. (2) 여러 형태의 추정오차가 발생하는 구체적인 사례를 투입·산출(IO)모형, 산출·산출(OO)모형, 최종수요·최종산출(FF)모형을 통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3) 개별 유발계수행렬을 통한 인과관계식에서 나타나는 추정오차를 실제 경험적 자료를 통하여 추계하고자 한다. 연구 범위와 선행 연구와 구별되는 본 논문의 차별적인 성격은 다음과 같다. (1) 다양한 인과변수 사이에서 존재하는 추정오차는 과대추정과 과소추정으로 대별하여 분석할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과대추정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2) IO모형의 균형식, OO모형의 균형식, FF모형의 균형식을 토대로 하여 추정오차를 분석하는데 연구의 주안점을 두는 것이다. (3) 세 모형(IO, OO, FF)에서 총산출 증분(△x)과 최종산출 증분(△o)에 따른 이중계산, 과대추정, 과대추정 비율 등을 실제로 추계하는데 본 과제의 차별성을 부여할 수 있다. 경험적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는『2013년 산업연관표』30기본부문으로 하였다. 개별 분석 모형에서 추정오차가 발생하는 구체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다. (1) 투입·산출모형에서는 외생적인 최종수요(△f) 대신에 총산출(△x)을 C<sup>f</sup>역행렬에 후승하게 되면, (2) 산출·산출모형에서는 외생적 총산출(△x) 대신에 최종산출(△o)을 C<sup>g</sup>역행렬에 후승하게 되면, (3) 최종수요·최종산출 모형에서는 외생적 최종수요(△f) 대신에 최종산출(△o)을 C<sup>gf</sup>행렬에 각각 후승하게 되면, 경제변수 사이의 연속적 연결도 되지 않으며 이중계산에 의한 과대추정이 존재하게 된다. Specifically, we show that there is a consecutive connection in the interrelation of intersectoral interdependence between elements in the Leontief inverse L = (I-A)<sup>-1</sup>=C<sup>f</sup> and final demand f, but there is no consecutive connection between elements in L and total output x. Through the exact concept of consecutive connection, we then introduce the four requirements matrices in the models of input-output (IO) and output-output (OO): the two input requirements matrices Γ<sup>f</sup> and Γ<sup>g</sup> for final demand f and gross output x and the two output requirements matrices C<sup>f</sup> and C<sup>g</sup> for final demand f and total output x,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he latest research findings and results from the decomposition by factors in the Leontief inverse L and the buildings of models without having the estimation error and consecutive connection problems,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paper can be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1) We primarily clarify the nature of estimation error problem, in all its aspects, especially in economic theory and empirical analysis, which occur in the various requirements matrices of interindustry analysis. (2) We secondly illustrate the specific examples of estimation error in the different double countings based on the consecutive connections between the intersectoral relations through the diverse cause and effect models of IO, OO, and FF. (3) We empirically calculate the varied estimation errors happen in the cause-and-effect equations drawn from each requirements matrix based on a new circulation system of production in the three economic variables (final demand f, total output x, and final output o). The basic data for computing estimation error is the 2013 national IO tables compiled by the BOK on the basis of 30 endogenous sectors of the Korean economy.

      • KCI등재후보

        기종점 통행수요 추정의 단계별 검증방안 개선연구

        박민철,성홍모,김찬성 한국교통연구원 2010 交通硏究 Vol.17 No.1

        Although passenger and freight traffic O/D, which are fundamental input data of the preliminary feasibility and the feasibility study,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easibility of a transportation project, there is no strict validation methods by a step of the estimation of traffic O/D data in Korea. It has been also proposed that existing validation methods need to be improv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organized validation method by each step of traffic O/D estimation and improve the reliability of traffic demand data in Korea. To do this, we reviewed validation processes in various countries and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to apply a stepwise validation method to traffic O/D estimation in Korea through a practical analysis using real dat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reliability of traffic demand can be improved by appling a scheme of traffic O/D validation. In addition, we recognized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ata sets as well as a systematic process for a stepwise traffic O/D validation. 여객 및 화물 기종점 통행수요는 예비타당성조사 및 타당성평가에서 기초 입력자료로 활용되며 교통사업의 시행여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기종점 통행수요는 주로 4단계 교통수요모형을 통하여 추정이 되고 있으나 각 단계를 거치면서 발생한 오차를 줄이는 것이 당면과제로 제기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현실에도 불구하고 국내에는 기종점 통행량의 추정 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검증방법론이 존재하지 않으며 기존에 사용하던 검증방법론도 개선이 필요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통행수요 검증사례를 통하여 그동안 국내 기종점 통행수요 추정 단계별로 간과하였던 검증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국내 통행수요 추정의 신뢰성을 제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자료 수득이 가능한 범위에서 기종점 통행수요 추정의 단계별 검증방법을 전국 지역 간 기종점 통행수요 추정에 적용한 실제 사례로 분석하고 그 적용가능성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기종점 통행수요 추정의 단계별 검증방법론을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그동안 간과하였던 검증방법을 개선함으로써 국내의 기종점 통행량 자료의 신뢰도를 제고할 여지가 충분히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KCI등재

        역세권 기반 도시철도의 역별 수요추정

        이은아,손의영,김설주,황보연 국토연구원 2013 국토연구 Vol.77 No.-

        Currently the urban railway is constructed in some metropolis to solve the traffic congestion, but some errors have occurred in estimating its demand. In most cases, the demand is calculated from the basis of traffic analysis zone (TAZ) as a minimum administrative area, i.e. Haengjeong-dong. Here all trips in Haegjeong-dong are assumed to be generated in one location. However more than two urban railway stations might be located in one Hangjeong-dong. So the actual demand of urban railway is most affected by the catchment area rather than Haengjeong-dong. Therefore, the segmentation of TAZ based on the catchment area is required to estimate its demand more accurately. In this study, the estimation model based on the catchment area has been developed and its demand forecasting has been made using the newly developed catchment area based model. As a result, it shows the urban railway demand estimation by the catchment area is more accurate than that by Haengjeong-dong. That is, this study shows that it is possible to estimate urban railway demand more accurately by segmenting TAZ based on the catchment area. 현재 우리나라는 교통혼잡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시 위주로 도시철도 건설이 진행 중이나 수요추정 오류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교통수요는 행정동을 교통존으로 설정하여 추정되며, 행정동별 하나의 교통존에서 행정동 전체의 통행량이 발생한다고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하나의 행정동에는 2개 이상의 도시철도 역이 존재하기도 하므로 도시철도의 실제 수요는 행정동 보다 수요의 분포범위인 역세권에 대부분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역세권을 기반으로 존 세분화를 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때에는 정확한 수요추정을 위해 역별 역세권 범위가 정립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역세권 기반 수요추정방법을 제시하고자 역세권 범위에 대한 추정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모형을 적용하여 도시철도 역별 수요추정을 실시함으로써 모형의 검증과 기존 행정동 기반 수요추정 대비 역세권 기반 수요추정의 정확성을 증명하였다. 즉, 본 논문은 역세권 기반 존 세분화를 가능하게 하여 정확한 도시철도 역별 수요추정을 가능하게 하였다.

      • KCI등재

        역세권을 반영한 도시철도 역별 수요추정 모형 개발

        손의영,김재영,정창용,이종훈 대한교통학회 2009 대한교통학회지 Vol.27 No.2

        There exist some limits when we forecast urban railway demand by traditional 4 step model. The first reason is that the model based on socioeconomic data by an administrative unit, ‘Dong’, yields a ‘Dong’ unit trip matrix. But a ‘Dong’ often has two or more stations. The second reason is that urban railway demand by station would be affected rather by station access area on foot than by a ‘Dong’ unit. So the model based on ‘Dong’ characteristic data have some inaccuracies in itself. Owing to the limits of the model based on ‘Dong’ unit data, there exits some difficulty in forecasting urban railway demand by station. So this paper studied two alternatives. The first is to forecast the demand by using the data of station access area on foot rather than ‘Dong’ unit data. This needs too much time and effort to collect data and analyse them, while the accuracy of the model didn’t improve a lot. The second is to adjust the location of ‘Dong’ centroid and the length of centroid connector link. By this way we can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station access area on foot under traditional 4 step model. Comparing the expected demand to the observed data for each station, the result looks like very similar. 도시철도 수요를 일반적인 4단계 모형에 의해서 역별로 추정하는 경우에는 몇 가지 한계가 존재한다. 첫째 행정동 기반 사회경제지표를 토대로 하므로 행정동 단위의 도시철도 수요가 추정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각 행정동에 1개만이 아닌 2개 이상의 역이 위치할 경우 행정동 단위의 수요를 2개 이상의 역에 적절하게 할당하기가 쉽지 않다. 둘째 역별 도시철도 수요는 행정동보다 공간적 범위가 좁은 역세권 특성에 커다란 영향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역세권보다 넓은 행정동 전체 특성을 기반으로 한 도시철도 수요 추정과 역별 할당에 의한 역별 수요 추정은 부정확할 수밖에 없다. 위와 같이 행정동을 기반으로 한 자료 사용의 한계로 도시철도 역별 수요를 제대로 추정하기 어려운 점이 존재하여, 본 연구에서는 크게 두 가지 방안을 검토하였다. 첫째는 행정동이 아닌 역세권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경제지표 자료를 토대로 역별 수요를 추정하는 방안이다. 그러나 이 방안은 자료 수집과 분석에 너무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것에 비하여, 추정의 정확도는 크게 높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는 일반적인 4단계모형을 적용하되 역세권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행정동 센트로이드 위치 및 도시철도 역과의 커넥터 거리를 각 역별로 조정하여 역세권을 반영하는 방안이다. 행정동 센트로이드 위치 및 커넥터 거리를 조정하는 두 번째 방법을 적용하여 역별 수요를 추정한 결과를 실제 집계된 서울시 지하철의 역별 수요를 비교한 결과, 각 역별로 매우 근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 KCI등재

        신규 항공노선 개설시 수요 및 수익성 추정 방법론 연구 - 인천~로마 노선 사례분석 중심 -

        이광수,최종해 한국교통연구원 2013 交通硏究 Vol.20 No.2

        The ultimate factor to assess airport's competitiveness is the airport network. And developing new routes is the key action to enhance network competitiveness. Until now, most information for decision-making of opening new routes has been focused on the airline side and there have been lack of relevant research and case studies. Therefore this study is presenting some methodologies to produce essential information that is necessary for decision-making like demand estimation and profitability analysis. This study classifies the new demand into five types that can occur and proposes a reasonable methodology to estimate the potential demand for the existing part of the transition through interviews with key stakeholders. This study also proposes a methodology to estimate the appropriate aircraft and the proper number of flights by taking advantage of the seasonal, regional, and hourly boarding rate information. The profitability analysis perspective approach is considered to be essential in order to be meaningful information for decision-making. Therefore this study separates the cost of the airline into fixed costs and variable costs and analyzes how much revenue of new routes can cover variable costs which account for more than 80% of the total cost. This study gives a implication which differs from existing studies in terms of an approaching perspective such as specific demand estimation, using financial tools and this study can be an instrument to trigger the activation of additional research activities related to academics. 궁극적인 공항의 경쟁력은 공항이 가지고 있는 네트워크의 수준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신규노선 개설은 네트워크 경쟁력 강화에 직결된다는 점에서 항공업계의 주요한 이슈이다. 현재까지는 신규노선 개설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가 항공사 측에 집중되어 왔고, 관련연구나 사례분석이 부족했던 측면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요 추정 및 수익성 분석 등 노선 개설 의사 결정에 필수적인 정보를 생산하는 방법론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수요 추정의 경우 신규노선 개설에 따라 발생가능한 수요의 유형을 5가지로 분류하고, 핵심 이해관계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기존의 잠재수요가 신규수요로 전환되는 부분을 추정하는 합리적인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실제 사례는 2013년 4월말 현재 인천공항에 직항노선이 없는 인천(ICN)~로마(FCO) 노선 개설시를 가정하였으며, 추정수요는 직항여객 11만 6,823명과 환승여객 3만 4,202명을 합친 연간 15만 1,025명 수준이다. 신규노선 개설시 수요를 추정한 후에는 취항항공사의 의사결정 지원을 위해 계절별, 지역별, 시간대별 탑승률 정보 등을 활용하여 적정기재와 적정 운항횟수를 산정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인천(ICN)~로마(FCO) 노선의 경우 중대형기인 Boeing 747-400, A330-200과 같은 E급 항공기의 취항이 적정한 것으로 보이며 인천공항을 기준으로 연간 적정운항 횟수는 297회, 1주(week) 기준으로는 비성수기시 주당 5회, 성수기시 주당 6회로 추정하였다. 신규노선 취항 의사결정에 유의미한 정보가 되기 위해서는 수익성 분석 관점의 접근도 필수적이라고 판단하였다. 공항운영당국의 경우 신규노선 취항에 따른 비용증가나 수익증가 효과는 미미할 것으로 분석하였으며, 실제로 공항운영자가 얻게 되는 실익은 신규노선 개설이 가져오는 네트워크 경쟁력 강화 효과이다. 다만 해당노선 취항항공사의 경우, 항공사의 비용을 감가상각비 등 고정비 성격과 유류비 등 변동비 성격으로 구분하고, 전체 비용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변동비를 신규노선 취항에 따른 수익으로 얼마만큼 충당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인천(ICN)~로마(FCO) 노선의 경우 연간 수익은 1,878억 원, 연간 변동비는 1,829억 원, 변동비 기준 영업이익은 49억 원, 이익률은 2.6%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항공사의 예약시스템에 기반한 MIDT(Saber)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초자료를 수집하였고 제한된 가정을 사용한 측면이 있지만, 실제 노선분석 및 수요추정을 공항운영 현장에 적극 활용하고 있는 싱가포르 창이공항의 사례와 같이, 본 연구가 관련학계의 추가적인 연구활동의 활성화를 촉발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수단O/D기반 및 P/C기반 화물수요추정방식의 실증적 비교: 우리나라 컨테이너 화물을 중심으로

        김현승,박동주,김찬성,최창호,조한선 대한교통학회 2013 대한교통학회지 Vol.31 No.2

        This study deals with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wo freight demand estimation methods: Unimodal O/D based method and P/C based method. The data of access/egress truck trips has been omitted from the Korean freight unimodal O/D of KTDB. This is because KTDB's unimodal O/D has not marked the series of unlinked trips down as the whole freight intermodal transport and surveyed only the main-haul trips of them. For these reasons, freight intermodal transport mechanism has not been analysed perfectly with Korean unimodal O/D data. This study tries to estimate P/C table of Korean Import/Export container freight and develop the MCC(Multimodal Channel Choice) model. Then, comparing unimodal O/D based method and P/C based method in terms of the switch commodities between production point(the initial point of freight transport) and consumption point(the terminal point of freight transport), unimodal commodities, and commodities on links is conducted. The results show that the P/C based method is able to simulate the freight intermodal transport.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현재까지 사용되어 온 (수단O/D기반)화물수요추정법의 문제점 인식을 바탕으로 P/C기반 화물수요추정법과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우리나라 화물수단O/D는 화물의 최초기점과 최종종점 간 운송을 수단별 통행으로 나누어 인식하면서 접근트럭통행(Access/Egress Truck Trip)에 대한 정보가 누락되어있다. 이러한 이유로 수단O/D기반 화물수요추정법은 화물의 복합수단운송을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컨테이너 화물을 중심으로 P/C표와 복합수단선택모형을 추정하여 P/C기반 화물수요추정법을 제시하고, 기존 사용되어 오던 수단O/D기반 화물수요추정법과 기종점쌍 간 전환량, 수단통행물동량, 링크물동량을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P/C기반 화물수요추정법은 복합운송을 제대로 모사하지 못하는 기존 수단O/D기반 화물수요추정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