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형 기반 체육 수업에 관한 연구 동향과 과제: 2004년-2018년 연구를 중심으로

        장경환,이기대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9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모형 기반 체육 수업에 관한 최근 15년간의 국내의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 시사점을 탐색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04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출판된 관련 논문 80편에 대하여 내용 분석을 실시하여 가장 많은 빈도수로 발표된 다섯 가지 수업 모형(스포츠교육 모형, 협동학습 모형, 하나로 수업 모형, 이해중심게임수업 모형, 책임감 모형)에 대한 각각의 동향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체육 수업 모형 연구 시사점을 세 가지로 도출하였다. 첫째, 인성교육 사례로서 체육 수업 모형 적용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가 보다 실천적인 수준에서 필요하다. 둘째, 모형 기반 체육 수업은 교사의 모형 활용 지식을 필 요로 하며, 이와 같은 실천적 지식에 관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셋째, 각 지역과 학교, 학생의 문화 적, 교육적 맥락을 고려한 수정, 변형 모형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모형 기반 체육 수업 에 관한 후속 연구 및 현장 적합성 제고를 위해 교육과정과 체육수업모형의 논리적 연결 노력, 학습자의 입 장 고려와 목소리 반영,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의 수업 모형에 관한 교육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rend and issues of research on model-based instruction in physical education. Th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80 related researches which were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KCI) from 2004 to 2018. As a result, five instruction models are analyzed and three implications were followed.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necessity of a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models for the practice of character education. Second, model-based instruction in physical education would enable teachers to enhance their professionalism and practical knowledge in model-based instruction need to be studied. Third, efforts were need to develop a modified models taking into account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context of each region and school, student, and the research needed to be carried out in a way that began a specific model. Thus, further research on model-based instruc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suggestions were made to enhance suitability on school contexts. This study suggested the logical connection effort between curriculum and model-based instruction in physical education, consideration of learner's voice, and instruction of model-based instruction in teacher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하나로수업모형 성장기(成長記): 연구 동향에서 드러난 성과와 과제

        박용남,정현수 한국초등체육학회 2018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하나로수업모형의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하나로수업모형의 성과와 향후 연구 과제를 도출하고, 체육수업의 질적 제고를 견인하는 모형기반체육수업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하나로수업모형이 소개된 2001년 이후 현재(2017.08.30)까지 하나로수업모형을 연구한 총 75편의 학술 논문과 학위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 동향은 모형 적용기(2001-2006), 검증기(2007-2010), 확산기(2011-현재)로 나누어 각 시기 별로 연구주제, 출판 학회지 및 대학원, 연구자, 연구대상, 연구방법으로 유목화하여 특징과 함께 정리하였다. 연구 동향 데이터에 의거한 하나로수업모형의 성과는 대안적 체육수업모형, 시대적 흐름에 부응하는 체육수업모형, 연구하는 교사를 양성하는 체육수업모형으로 범주화되었다. 또, 하나로수업의 학문적, 실천적 성장을 위해 성장통 역할을 할 수 있는 비판적 연구의 필요성과 편중된 연구방법의 다각화가 향후 연구 과제로 도출되었다. 끝으로 체육수업모형연구와 모형기반체육수업 활성화를 위해 교육과정 개발자로서의 교사를 양성하는 예비 및 현직교사교육의 강화와 한국형 체육수업모형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outcomes of Hanaro Teaching Model and its further research task, and to provide a perspective for a model-based instruction which could lead to qualitative improvement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75 academic papers and dissertations have been published since 2001 when this model was introduced and these 75 paper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Research trend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effective period(2001-2006), verification period(2007-2010), diffusion period(2011-ongoing), and each period’s trend is arrang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research topic, journal/graduate school, researcher, research subject, and research method with specific features. Based on this research, we identified Hanaro teaching model as an alternative instructional model, an instructional model that is responsive to current time, and an instructional model that promotes teachers’ study.  Furthermore, we have identified its further research tasks such as significances of critical research for academic and practical growth of Hanaro teaching model and its necessities of diverse research methods. Lastly, this research suggested the possibilities of Korean instructional models for physical education as well as strength of pre- and in-service teacher training which could train teachers as curriculum developers.

      • KCI등재

        책임감모형 기반 교사학습공동체의 교육적 의미

        조기희(Kihee Jo)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8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5 No.2

        본 연구는 인성 교육적 효과로 체육수업에 적용되고 있는 책임감모형을 배우고자 모인 초등 교사학습공동체의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6년 3월부터 12월까지 질적 사례연구에 기초하여 모임 자료집, 모임 참여 관찰, 연구자 일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때, 연구 참여자는 책임감모형 기반 교사학습공동체에 지속적으로 참여한 6명의 초등 교사였다. 자료를 분석 및 해석하여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책임감모형 기반 교사학습공동체를 운영한 결과 참여 교사들의 수업이 기승전결이 없었던 체육수업에서 책임감모형의 단계를 밝는 체계적인 체육수업으로, 교사 중심의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에게 책임을 주는 체육수업으로, 노는 체육수업에서 책임감모형의 가치를 배우는 체육수업으로 변모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 교사들은 책임감모형 체육수업 관련 앎이 확장되고 할 거리가 많아졌고, 책임감모형의 단계를 밟으며 체육수업을 능숙하게 운영하게 되었으며, 체육수업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게 되었고, 교과서의 노예에서 책임감모형에 맞게 능동적으로 생각하고 변형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초등 교사들의 책임감모형 학습 공동체를 운영한 결과 교사학습공동체, 교사, 수업모형 측면에서 한계점이 드러났으며, 학교 현장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에 유의한 교사학습공동체 운영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mean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er learning community (TLC) in order to learn the responsibility model.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data based on qualitative case studies from March to December 2016. The main data were TLC materials, participant observation of workshop, field notes, and in-depth interview with the participants. Participants were 6 elementary teacher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ting teachers’ lessons changed a) from non-systematic physical education classes to systematic physical education classes, b) from teacher-center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to student-center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c) play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to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at teaches value. Second, TLC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promoting professionalism. a) Participants increased their knowledge about physical education and got more contents to do. b) Participants became proficient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c) Participants became responsible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d) Participants turned out to be active teachers from slaves of textbooks. TLC based responsibility model revealed limitations in terms of TLC, teacher, and responsibility model. It is necessary to operate TLC based responsibility model with caution.

      • William Glasser의 리드형 관리 요소를 적용한 중학교 체육수업 모형 개발

        김승모(Seung-Mo Kim),박재황(Jae-Hwang Park) 한국현실치료상담학회 2019 현실치료연구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Rosenshine(1983)의 직접교수모형에 William Glasser (1998)의 리드형 관리 요소를 적용한 중학교 체육수업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며,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Glasser의 리드형 관리 요소를 Rosenshine(1983)의 직접교수모형에 적용하여 중학교 체육수업모형 초안을 구성한 후, 내적 타당화를 거쳐 수업모형안을 개발한다. 둘째, 이 수업모형안에 근거하여 수업지도안을 구성하고 이에 따라 수업을 실시한 후, 외적 타당화를 거쳐 최종 수업모형을 확정한다. 연구에서 사용한 주요 연구방법으로 Richey와 Klein(2012)이 제안하고 있는 문헌 검토와 전문가 검토 그리고 심층면담을 활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Glasser의 리드형 관리 주요소 8개와 하위요소 32개를 추출하였고 이를 Rosenshine(1983)의 직접교수모형에 적용하여 초기 수업모형안을 구성한 후, 내적 타당화를 거쳐 수업모형안을 개발하였다. 둘째, 수업모형안을 바탕으로 지도안을 구성하여 수업을 실시한 후, 외적 타당화를 거쳤으며, 학습자 반응 평가와 교수자 반응 평가를 반영하여 최종 수업모형을 확정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model for physical education of middle school by applying the William Glasser’s lead management elements to the Rosenshine’s direct instructional model. 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lasser s lead management elements were extracted and then an initial model was developed by applying them to the Rosenshine’s direct instructional model and by examining its internal validity. Second, the teaching guides were developed based upon the instructional model, and the final instructional model was determined by implementing the actual teaching based on the guides and by examining its external validity. The major methods used in the study were the literature review, export’s review and in-depth interview suggested by Richey and Klei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rough reviewing the literature, eight main elements and 32 sub-elements of Glasser s lead management were extracted. The initial instructional model was constructed by applying them to the Rosenshine’s direct teaching model. And the instructional model was developed by examining its internal validity. Second, the teaching guides were developed based upon the instructional model, and the final instructional model was determined by implementing the actual teaching based on the guides and by examining its external validity. The results implied that the model could be used as a useful tool for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physical education of middle school.

      • KCI등재후보

        배드민턴수업의 기능중심모형과 이해중심게임모형에 대한 인식도와 수업만족도 비교

        정인국(In Guk Jeong),황영성(Young Sung Hwang),정일홍(Il Hong Jeong) 한국체육교육학회 201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는 고등학교 배드민턴수업에 기능중심수업모형과 이해중심게임수업모형을 적용하고 각 모형에 대한 학생의 인식의 차이 및 수업만족도를 비교·분석하여 체육교육목적에 적합하고, 수업의 질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수업모형을 찾고자하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연구대상으로 B시 소재 G고교 1학년 여학생 208명을 대상으로 체력 및 체격에 관한 동질성 검사를 통해 기능중심수업모형 집단 41명, 이해중심게임수업모형 집단 41명의 2개 집단(반)을 선정하였다. 배드민턴수업에서 수업모형 적용은 주 2시간, 약 2개월간의 12차시로 운영하였다. 수업모형 적용 후 배드민턴수업의 인식도와 만족도에 대한 이해중심게임수업모형 집단과 기능중심수업모형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먼저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집단 간 평균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결론을 얻었다. 첫째, 배드민턴수업에 있어서 여고생의 수업인식도는 이해중심게임수업모형이 기능중심수업모형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배드민턴수업에 있어서 여고생의 수업만족도는 이해중심게임수업모형이 기능중심수업모형보다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is a survey investigation aimed at finding teaching learning methods that can improve qualitative teaching effectiveness and be appropriate for the purposes of physical educ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students` perception difference and the satisfaction about each approach-the technique-oriented approach and teaching games for understanding approach-applied to badminton classes of a high school.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I chose 2 groups-as an object of this study, one was 41 students of technique-oriented approach group and the other was 41 students of the teaching games for understanding approach group-through the homogeneity test on stamina or physical conditions of 208 first-year girls students in G high school located in B city. Two groups were composed of homogeneous ones which had similar stamina or physical conditions, and I conducted the teaching approaches in badminton classes of 12 periods twice a week for around 2 months. After conducting two teaching approaches, I calculated the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in order to know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the technique-oriented approach group and teaching games for understanding approach group-about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badminton classes. On the basis of these, I used the independent sampling t-test in order to know the difference of average between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badminton classes, concerning the class perception of high school girls students, the teaching games for understanding approach was higher than the technique-oriented approach. Second, in badminton classes, concerning the class satisfaction of high school girls students, the teaching games for understanding approach was also higher than the technique-oriented approach.

      • KCI등재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과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자기효능감이 수업이해도에 미치는 종단적 관계 분석

        류은수(Ryu, Eun Su),서민원(Seo, Min Won) 한국교육평가학회 2015 교육평가연구 Vol.2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육개발원에서 2005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한국교육종단연구(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자료를 이용하여 전국 150개의 중학교 1학년 6,908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과 수업이해도 두변인 간의 인과관계와 성별에 따른 차이 검증을 바탕으로 자기효능감과 수업이해도 간의 종단적인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연구모형-Ⅰ로 설정하여 자기효능감과 수업이해도 변인 중각 시점에서 어떤 변인이 인과적인 선행변수로 작용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남․여학생 집단별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다중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연구모형-Ⅰ(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효능감과 수업이해도 각 변인의 초기치와 변화율을 파악하고, 두 변인 간의 종단적 변화양상을 연구모형-Ⅱ(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종단적 연구방법의 결과는 다음의 세 가지로 압축될 수 있다. 첫째, 남․여학생 집단 모두에서 수업이해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높다는 결과를 통해 자기효능감이 수업이해도 향상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기 보다는 오히려 수업이해도가 학습자들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종단적인 효과의 크기와 인과적 방향성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남․여학생 집단별로 학년이 올라감에 따른 수업이해도와 자기효능감 간의 인과관계는 남․여학생 집단 모두에서 이전 학년의 수업이해도가 다음 학년의 자기효능감 향상의 요인이었다. 그리고 남․여학생 집단별로 각 조사시점에서의 수업이해도가 다음 학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지 않았으며, 남․여학생 간의 차이도 없었다. 그러나 자기효능감과 수업이해도 간의 인과관계와 미치는 영향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지 않았으나 남․여학생 집단 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반복 측정된 수업이해도와 자기효능감 변인 간의 학생 개인별 변화추이는 중학교 2학년 때 수업이해도가 높은 경우 자기효능감도 높았으며, 수업이해도가 높아짐에 따라 향후 자기효능감도 점차 향상된다는 개인 간의 종단적인 관련성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nalyzed th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learning understanding based on the verification of difference according to causality of two variables, elf-efficacy and learning understanding and difference according to sexuality targeting 6,908 students in the 1st grade of nationwide 150 middle schools using the data of KELS(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which has been being conducted since 2005 by KEDI(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For this purpose, it was examined which variables of self-efficacy and learning understanding act as a causal antecedent annually at each point through setting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s a research model-Ⅰ. And, the multi-group analysis was performed to clarify the difference between male group and female group. The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research model-I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the initial values and change rates between each variable were analyzed and the longitudinal changing aspects between two variables were reviewed through setting a research model-Ⅱ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Such analysis results of longitudinal research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we could understand the longitudinal effect size and casuality direction that learning understanding decisively affects on improvement of self-efficacy of learners rather than self-efficacy decisively affects on improvement of learning understanding through the result that the learning understanding highly affects on self-efficacy in both groups of male and female. Second, the casuality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understanding and self-efficacy as the grade goes up by groups of male and female emphasized that the level of learning understanding in the previous grade was a cause of improvement of self-efficacy in the next grade in both groups of male and female. And, the affections of learning understanding on self-efficacy in the next year were not changed at the time of survey for each male and female group, and furthermor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However, the affections on casuality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learning understanding were not changed with the lapse of time, bu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hird, the trend of change by students individuals between learning understanding and self-efficacy which were repeatedly measured as the time passed reveale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that high level of learning understanding in the 2nd grade of the middle school results in high self-efficacy, and as learning understanding becomes high, self-efficacy is improved gradually.

      • KCI등재

        개별화수업모형을 적용한 체육수업이 초등학생의 주도적 학습능력과 운동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문규성,남석희 한국초등체육학회 2020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는 개별화수업모형을 적용한 체육수업이 초등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운동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 향력을 규명하는데 있다. 목적달성을 위해 D광역시에 소재하는 A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 45명을 선정하여 4주 10차시 동안 실험 집단은 개별화수업모형을 적용한 체육수업을 실시하고, 비교 집단은 교육과정에 따른 직접교수 모형을 적용한 체육수업을 운영한 후, 연구대상자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운동기능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 과, 개별화수업모형을 적용한 체육수업은 초등학생들의 주인의식, 메타인지, 정보탐색, 내재적 동기 및 자기성찰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 반면, 직접교수모형을 적용한 체육수업은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유의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별화수업모형과 직접교수모형 모두 초등학생들의 운동기능 향상에 효과적임을 밝혀냈다. 다만, 직접교수모형보다 개별화수업모형을 적용한 체육수업에서 더욱 높은 평균값이 나타난 것으로 볼 때, 개별화수업모형을 적용한 체육수업이 운동기능 향상에 더욱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he influence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applied with individualization class models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improvement of athletic func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45 students of two sixth graders of A Elementary School, based in D-area, were selected to conduct physical education classes using the individual painting class model during the 10th week, and the comparative group operat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using the direct teaching model according to the curriculum, and then measured the self-led learning ability and changes in the exercise function of the subjects. As a result, physical education classes using the individualization class model proved to be effective for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nse of master, meta-knowledge, information search, inherent motivation and introspection. On the other hand, physical education classes with direct teaching models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Both professors of direct and individualized instructional model and motor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und to be effective. However, given that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using the individualization class model showed a higher average value than the direct teaching model, it is deemed that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using the individualization class model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exercise function.

      • KCI등재

        통합적 수업전문성 모형 탐색

        박세훈,박지훈 한국교원교육학회 201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8 No.3

        이 연구는 변화하는 시대에 다양한 특성을 지닌 학교조직에서의 효율적인 수업전문성 확보를 위해 장학, 평가, 연수 등의 다차원적 접근을 통해 새로운 통합적 수업전문성 모형을 개발하고 그에 따른 적용방안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관한 장학, 평가, 연수 등의 다차원적 접근을 통하여 각각의 활동에서 갖게 되는 문제점이나 한계는 무엇인지를 밝히고, 새로운 통합적 수업전문성 모형을 개발하여 그 내용을 제시하였다. 모형에는 통합적 수업전문성 모형의 기본가정, 이념 및 목표, 핵심가치, 실천전략, 기대되는 성과 등이 포함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새로운 통합적 수업전문성 모형이 단위학교에 정착하기 위한 방향과 과제를 탐색·제시하였다.

      • KCI등재

        교과교육 관점의 수업설계모형 연구

        김경한(Kyong-Hah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7

        본 연구에서는 수업설계의 시각에서 교과교육 관점의 수업모형의 이론과 실제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나의 사례 연구로서 영어과 수업모형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업설계 원리에 근거하여 교과 내용 수업에 적용 가능한 교과 대표 수업모형의 개발이 모든 교과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그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미진하였다. 기존의 교과 일반 수업모형의 형태는 교육 방법 중심의 수업모형으로 모든 교과에 적용될 것을 목표로 수업의 일반적인 절차적 단계만 제시하고 현장 교실에서 교과별로 응용하여 사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교과 일반 수업모형이 제시하는 일반적인 절차적 단계는 교과 특수적인 내용 학습 방법을 담보하지 못하므로 궁극적으로는 교과 내용과 관련된 고유한 수업 방법 체계, 즉 내용과 방법이 통합된 교과교육 관점의 수업모형을 정립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 사례로 제시한 영어과 수업모형은 일반적인 수업 방법 절차를 교과 특수적인 학습 내용에 결합한 수업모형의 예이다. 본 수업모형은 수업의 일반적인 절차적 단계뿐만 아니라, 교과 특수적인 학습 내용, 그리고 이 둘의 통합적 구현 기법을 제시하는 대표 활동으로 구성된다. This study reviews instructional design models in theory and practice and presents an English instructional model as a case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subject-matter education. Although the development of representative instructional models applicable to subject classes based on the principle of instructional design is the ultimate goal of all subject-matter education, its research and development has so far been insufficient. The existing form of subject-general instructional models centered on the teaching method is designed to present only the general procedural steps of instruction with the purpose of being applied to all subjects. However, since the subject-general instructional model does not guarantee the learning of subject-specific contents,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 unique method of instruction related to subject matters, that is, a subject-specific instructional model. The study provides an English instructional model in the form of combining the method frame of general education and the content frame of subject matters, and the model consists of procedural steps, learning contents, and representative activities that embody the technique of integrating educational methods and subject contents.

      • KCI등재

        기능중심 수업모형과 이해중심 게임 수업모형이 정신지체 중학생의 농구 기술과 게임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은영 ( Eun Young Jun ),이인경 ( In Kyung Lee ) 한국특수체육학회 2009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기능중심 수업모형과 이해중심 게임 수업모형을 정신지체 중학생의 농구 수업에 적용하여 두 집단간과 두 집단내의농구 기술과 게임수행능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정신지체 중학생 16명을 대상으로 두 집단으로 분류하여 8주 동안 기능중심 수업모형과 이해중심 게임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농구 기술과 게임수행을 지도하였다. 농구 기술 측정은 특수올림픽 농구 종목에 제시된 공식 종목 중 개인 스킬 경기에 사용되는 종목을 채택하여 실시하였고, 게임수행능력 검사는 Oslin 등이 개발한 게임수행력 평가도구(GPAI)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선행연구의 고찰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기술능력과 게임수행력 향상에 있어서 기능 중심 수업모형과 이해 중심 게임 수업모형 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두 수업모형 모두 기술능력을 유사한 비율로 개선시키고, 이해중심 게임 수업모형이 게임수행력의 사전 수행력에 비하여 중재 후 수행력을 유의미하게 향상시킨다면, 타 연구의 흥미도와 수업참여도를 고려하고, 지역사회에서의 일반화와 평생체육의 참여경험을 증진시킨다는 선행논문 고찰을 고려할 때 이해중심 게임모형이 효과적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s of the Technical Model(TM) and the Teaching Games for Understanding(TGfU) on the basketball techniques and game performance abilit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 total of 16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a special education class were selecte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8 for the TM and 8 for the TGfU. Pre-tests and post-tests were implemented for both groups before and after 8 weeks of intervention. Comparisons and analyses of changes in their basketball techniques and game performance abilities were conducted. Basketball techniques were measured by adopting personal skill events in the Special Olympics and game performance abilities were evaluated by the Game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 (GPAI). The data was analysed by the paired and independent sample t-tests and the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test.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TM was more effective in developing basketball techniques while the TGfU Model was more successful in improving game performance abilities. This study suggests that an adequate combination of both models is needed to maximize the intended effects, depending on the learning objec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