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SP 시나리오에 따른 기후변화가 다목적댐 수력발전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왕사철,김지영,김용찬,김동균,김태웅 한국수자원학회 2024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7 No.7

        최근 발생한 가뭄으로 인해 수력발전량이 감소하고 있다. 또한, 미래 기후변화로 인해 가뭄의 빈도와 강도는 커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다목적댐의 수력발전량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게 할 것이다. 따라서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수력발전량을 추정하고, 가뭄이 수력발전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SSP2-4.5와 SSP5-8.5 시나리오에 따른 소양강댐과 충주댐의 수력발전량을 분석하였다. My water에서 제공되는 수력발전량, 발전방류량 및 총방류량 자료를 바탕으로 수력발전량에 대한 회귀방정식을 개발하고, SSP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수력발전량을 추정하였다. 또한 환경 빅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4개의 GCM (CanESM5, ACCESS-ESM1-5, INM-CM4-8, IPSL-CM6A) 모델에 대한 강수량 자료를 기반으로 표준강수지수(SPI)를 산정하여 연간 가뭄 심각도를 계산하고, 가뭄에 따른 수력발전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전체적인 분석 결과 기후변화는 수력발전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양강댐의 경우, SSP2-4.5 및 SSP5-8.5 시나리오에서 수력발전량이 감소하는 추세가 나타났고, SSP2-4.5 시나리오에서 CanESM 모델은 2031년에 65%, SSP5-8.5 시나리오에서 ACCESS-ESM1-5 모델은 2029년에 54% 감소하는 것을 나타냈다. 충주댐의 경우, SSP2-4.5와 SSP5-8.5 시나리오에서 기준 기간 대비 월평균 수력발전량이 INM-CM4 모델을 제외하고 감소 추세를 보였다. Recent droughts make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HPG) decreasing. Due to climate change in the future,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drought are expected to increase, which will increase uncertainty of HPG in multi-purpose da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he amount of HPG according to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analyze the effect of drought on the amount of HPG. This study analyzed the future HPG of the Soyanggang Dam and Chungju Dam according to the SSP2-4.5 and SSP5-8.5 scenarios. Regression equations for HPG were developed based on the observed data of power generation discharge and HPG in the past provided by My Water, and future HPGs were estimated according to the SSP scenarios. The effect of drought on the amount of HPG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drought severity calculated using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In this study, the future SPIs were calculated using precipitation data based on four GCM models (CanESM5, ACCESS-ESM1-5, INM-CM4-8, IPSL-CM6A) provided through the environmental big data platform. Overall results show that climate chang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amount of HPG. In the case of Soyanggang Dam, the amount of HPG decreased in the SSP2-4.5 and SSP5-8.5 scenarios. Under the SSP2-4.5 scenario the CanESM model showed a 65% reduction in 2031, and under the SSP5-8.5 scenario the ACCESS-ESM1-5 model showed a 54% reduction in 2029. In the case of Chungju Dam, under the SSP2-4.5 and SSP5-8.5 scenarios the average monthly HPG compared to the reference period showed a decreasing trend except for INM-CM4 model.

      • KCI등재

        라오스의 수력발전개발: 경제개발을 위한 해결방안인가? 남툰2댐 사례를 중심으로

        이승호 ( Seungho Lee )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2018 東南亞硏究 Vol.28 No.2

        본 연구는 1990년대 이후 라오스의 현대화 과정에서 수력발전댐이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는데 주요 사례연구로 남툰2댐을 주목하고자 한다. 라오스의 수력발전개발은 사회경제발전을 달성하기 위한 강한 의지를 나타내는 좋은 본보기이고 이런 과정에서 민간회사 및 세계 은행과 아시아개발은행과 같은 국제원조기구가 참여하여 수력발전개발을 더욱 가속하였다. 남툰2댐 사례는 수력발전개발을 위한 정부의 강한 정책적 의지, 인접국가로의 수력 수출 및 이를 통한 라오스 경제 발전과 같은 성과를 보여준다. 그러나 수력발전댐 개발로 인한 환경문제의 부적절한 대응, 댐 개발에 대한 시민사회의 목소리 부재 및 사회경제발전과 환경보호의 균형을 위한 수력발전개발 정책 결여 등과 같은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라오스의 수력발전개발을 통한 사회경제발전은 주목받을 만하지만 향후 라오스 정부는 사회환경적인 문제를 함께 균형적으로 다뤄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valuates the impacts of hydropower dams on the modernization of Laos since the 1990s with the case study of the Nam Theun 2 Dam. Hydropower development in Laos is as an example of governmental commitment to achieving socio-economic development, and private players and international donor agencies, such as the World Bank and the Asian Development Bank have accelerated the expansion of hydropower dams in the country. The case study of the Nam Theun 2 Dam discloses a strong drive by the public sector for hydropower development, a rapid establishment of hydropower export, and the contribution of dam projects to boosting local economy. Long-term challenges are ahead, including ill-management of environmental issues, little voice from civil society, and a lack of vision for hydropower projects to balance between socio-economic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It is concluded that the achievements gained through hydropower development in Laos can be offset by social and environmental issues, which should properly be tackled by the government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후보

        수력발전댐의 경영효율화를 위한 관리일원화 정책 연구

        김순구, 정희석, 김선제 충북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9 産業과 經營 Vol.32 No.2

        기후변화의 심화로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를 위해 댐 관리 일원화 정책을 시행할 필요 성이 있다. 본 연구는 수력발전 댐의 관리일원화에 따른 하천수질개선 편익을 추정하고, 관리일원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하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연구결과, 물 관리를 일원화 하면 홍수조절용량 추가확보로 치수능력이 강화되고, 기상상황과 녹조, 가뭄 등에 효과 적인 대응이 가능해지며, 안정적인 용수공급이 제고되므로 수자원을 더 효율적으로 이용 가능할 것이다. 연간등가편익과 유지관리비를 고려한 연간 수질개선편익이 185억원으로 추정되어 하천의 수질개선편익이 크게 나타났다. 수력발전댐의 경영효율화를 위해 댐 소 유권과운용주체의 일치추진,댐 관리를 국가사무로전환,댐 설치자에게 의무로부과된 물 관리 기능을 국가가 회수하여 전문기관 대행, 수력발전댐의 국유화 또는 인수방안의 검토를 제안한다. 연구의 기여도는 수력발전댐의 관리일원화에 대한 정책을 분석함으로 써 정책의사결정자의 의사결정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고, 향후 연구방향은 댐 운 영에관한 통계자료가축적되면계량분석 결과를제시하고자한다.

      • KCI등재

        관개용댐의 수력발전 시설용량 평가

        정재성 ( Jae-sung Jung ),한상호 ( Sang-ho Han ),김기성 ( Ki-sung Kim ) 한국환경기술학회 2004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5 No.2

        관개용댐의 수력발전 시설용량 설계를 연구하기 위하여 댐운영 현황조사, 댐유입량 분석, 장기 물수지분석을 위한 저수지 운영, 수력발전소 시설용량 및 연간발전량 추정, 수익/비용 분석 등을 수행 하였다. 댐건설 전후의 유입량 비교에서 댐 건설 이후에 연간 유입량이 21.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 물수지분석에서 용수공급을 충족하는 상태에서 상시발전 가능한 최대 발전사용수량은 0.35㎥/s 이었다. 실시설계보고서에 제시된 발전수량 0.52㎥/s 와 최대용수공급량 0.25㎥/s는 유황분석결과에서 18.4% 및 15.5%의 지속기간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용수이용량에 대한 시설용량과 수익/비용을 분석하였고, 최적의 발전용수 사용량은 2.25㎥/s이며, 최적 시설용량은 930kw로 추정되었다. A design of hydropower capacity was studied with the investigation of dam operation status, dam inflow analysis, reservoir operation for long-term water budget analysis, estimation of hydropower capacity and annual generation amount of the plant and benefit/cost analysis. The comparison of inflow before and after the dam construction showed 21.5% of annual inflow increase after the construction. The maximum useable flow for generation within satisfied water supply was 0.35㎥/s in long-term water budget analysis. The generation flow 0.52㎥/s and maximum water use 0.25㎥/s suggested in the actual design reports showed 18.4% and 15.5% duration at the flow duration analysis. The facility capacity and benefit/cost were checked for several amounts of water use. The optimal water use was 2.25㎥/s and the optimal facility capacity was estimated with 930kw.

      • KCI등재

        재생에너지를 둘러싼 갈등 그리고 해결방안 : 수력발전을 중심으로

        이순자 韓國土地公法學會 2014 土地公法硏究 Vol.65 No.-

        수력발전은 지구온난화를 감소시키기 위한 온실가스 감축방법 중의 하나로 선진국과 개도국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온실가스 감축 사업 인 CDM(Clean Development Mechanism)의 하나이다. 그러나 환경을 살리기 위한 재생에너지 중의 하나인 수력발전은 많은 장점도 갖고 있지만 수력발전을 하기 위해 댐을 건설하면 환경적 영향과 사회적 영향 및 문화적으로 많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런 부정적인 영향으로 인해 댐 건설에는 많은 갈등을 유발한다. 그렇다고 댐 건설을 전면적으로 중단할 수는 없고,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가장 큰 갈동의 주체는 주민과 시행주체이다. 그래서 주민과의 근원적인 갈등을 해결하는 방안으로서 주민 참여의 절차적 보장을 위한 제안, 공청회 개최의 주체를 공정성과 객관성을 담보할 수 있는 주체로 변경이 필요함을 설명하였다 무엇보다 사례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다양한 이해관계자로 구성된 협의체를 구성하여 이 협의체에서 다양한 의사결정을 하게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발전차액지원제도(FIT) 에서 의무할당제도(RPS)로 제도를 변경함에 따라 재생에너지 생산이 대규모화 되면서 환경을 파괴할 가능성이 커졌고, 이를 보완할 새로운 방법의 모색이 필요함을 언급했다. 또한 댐 건설로 인해 댐 주변지역 주민들은 어떤 혜택을 향유하기 보다는 많은 불편함을 겪고 있다. 이런 주민들을 위해 뱀 주변지역 주민의 경제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고 유연한 이주대책의 실시가 필요함을 서술했다. 덧붙여 재생에너지 생산과 관련한 분쟁은 끊임없이 일어날 것인데 이런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분쟁해결기관에 대해 언급했고, 마지막으로 새로운 댐을 짓지 않는 방법으로 기존의 뱀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Water-power generation is one of ways to reduce green house gas to improve global warπling. It is a sort of COM (Clean Development Mechanism), green house gas-reducing project which is executed by advanced country and emerging country together. However, water-power generation which is one of recycled energy to improve environment has many merits but affect negatively in terms of environmental, social, cultural aspects as dams are constructed for water-power generation. Due to this negative impact, a lot of conflict is generated while building darns. However, dam construction can't be stopped because of such conflicts entirely. Therefore, the methods to solve such conflict were searched. The greatest conflictive subjects are citizens and operator. As a method to solve fundamental conflict with citizens, suggestion to guarantee citizens' participation procedure and necessity to change the subjects for public hearing into the subjects who can secure fairness and objectivity were explained. Most of all, as reviewed the cases, it was suggested to build consultative body comprised of diverse concerned parties and make the body decide for different issues. And as FIT has been changed into RPS and recycling energy production proceeds in a big scale, environment could be damaged more. New method to compensate is required, which was mentioned. In addition, citizens who reside around darns have many inconveniences rather than benefits by building darns. For these citizens, effort to facilitate citizens' economy around darns is required and flexible moving policy needs to be executed. Additionally, dispute related to recycling energy will continuously happen. To solve this kind of dispute, dispute resolution bodies were mentioned. Finally, methods to apply previous dams as a method not to build new ones were suggested.

      • KCI등재

        평화의 댐 흥수지체 효과에 따른 화천댐 계통 이수 능력의 증대에 대한 검정

        유주환,박창근,조효섭 한국수자원학회 2001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34 No.6

        수공 방어용으로 건설된 평화의 댐은 화천댐과 연계되어 있고 배수 터널과 함께 1단계 준공 상태로서 화천댐 상류에 위치하여 댐 하류에 홍수지체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 평화의 댐의 활용방안을 연구할 목적으로 화천댐 시스템 조작을 수행하여 평화의 댐 홍수조절효과와 화천댐의 홍수기 제한수위 등을 검토하고 평가하였다. 그리고 이 결과를 분석하여 화천댐 계통의 이수 증대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우선 저수지 조작 기준과 모형을 설정한 다음 Peace dam constructed against the water attack had stopped in the first step, linked with Hwacheon dam through bypass tunnels and had an effect of flood surcharging in its pocket on Hwacheon dam downstream. To study the utility of Peace dam, the flood con

      • 녹색경제 확산을 위한 국제협력방안(2) -메콩지역의 월경성 전략환경평가체계 구축을 중심으로

        유헌석,노태호,조을생,박준현,윤소운,김세원,유기희,서종혁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5 사업보고서 Vol.2015 No.-

        본 연구의 목적은 월경성 전략환경평가(Transboundarγ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를 통해 메콩 강의 수력발전 댐 건설이 메콩 유역국에 미치는 부정적인 환경 영향을 파악하고, 그중 가장 시급한 영역으로 판단되는 농업 및 관광 분야에 관해 우리나라의 사례를 바탕으로 향후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메콩 지역의 전략환경평가 사례를 살펴보기에 앞서 제2장에서는 월경성 환경평가제도 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메콩강위원회가 강 유역 관리를 위해 개발한 ``Rapid Basin-wide Hydropower Sustainability Assessment Tool (이하 RSAT)`` 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다루었다 월경성 환경영향평가는 Espoo 협약에 따라 국경간의 환경적 영향을 예상해 계획을 시행해야 한다. 이를 반영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메콩강위원회는 RSAT를 개발하였으나 수력발전 개발로 인한 영향의 규모를 측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준이 없으며 겨우 관련 기관 및 이해당사자 간의 국제적 협력만 강조하는 수준이다. 따라서 메콩 강의 수력에 너지를 위한 댐 건설에 대한 실질적인 월경성 전략환경평가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어서 제3장에서는 메콩 유역의 수력발전 계획에 대해 시행된 전략환경평가의 사례를 통해 수력발전 계획이 메콩 유역국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살펴보았다. 전략환경평가는 16개월에 걸쳐 메콩 유역을 6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환경적인 측면뿐 야니라 경제·사회적 측면을 고려하여 총 9개의 주요항목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였고 댐 건설과 운영으로 인해 발생하는 생태계 변화, 하천의 퇴적물 및 영양분 이동 감소, 농어업 생산성 저하 식량 안보 문제 등과 같은 부정적 영향으로 메콩 유역 국가간 국제적 긴장감을 조성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끌어낼 정책 결정기구의 역할이 대두되며,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등 유역 국가들이 농업국가인 점에 미루어 볼 때 수력발전 개발에 따라 예상되는 부정적인 영향을 극복하고자 농촌개발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제3장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메콩 강 하류 지역 국가, 특히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의 세 국가에 대해 농업생산성을 향상하고 농촌관광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게다가 2016년부터 이행해야 하는 SDGs 의제 중 ``빈곤퇴치`` 와 ``지속가능한 농업 증진`` 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세 국가의 지속가능한 농촌개발 은 더욱 요구된다 이에 따라 제4장에서는 세 국가의 농업현황과 농촌개발 정책 및 관광산업의 현황을 파의F하였다 수력발전 개발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 또는 방지하고 기후변화 에 대응하기 위하여 기술집약적인 스마트 농업의 도입과 이와 연계한 지속가능한 관광을 제안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를 중심으로 지역주민대표 등 모든 관련 이해당사자들이 정책수립과 지원제도 확립에 참여해야 한다. 하지만 제5장을 통해 한국이 실시한 농촌개발 정책 사례를 보면 2000년대 초 이후에 친환경 농촌개발 정책이 도입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메콩 유역국 같은 개도국에 대한 개발 원조사업에 여러 시사점을 제공한다 환경보전과 개발을 동시에 추구하는 지속적인 농촌개발 정책이 빈곤과 기아문제로 경제성장이 시급한 개도국에 적합하며 바로 도입 가능한 정책이 될 수 있는지 다시 한 번 고민해봐야 한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과거 농촌개발 정책 중 연료림 조성과 연료 절약형 취사도구의 보급 이 농업 농촌의 다원적 기능을 살리고 동시에 농촌 주민의 경제성과 삶의 질을 높이는 정책이므로 이를 바탕으로 친환경 기술과 더불어 각국의 환경과 현황에 적합하도록 현지화 전략과 보급방안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policy direction for agriculture development and sustainable tourism in the Mekong region in the frame of green economy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t asserts that based on the experiences of Korea, mo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which is on a strategy plan to spread new eco-friendly agrotechnology and establishing local-appropriate policy for rural development and agricultural tourism (sustainable tourism) in Mekong region. It requires participation of not only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but also all stakeholders such as local residents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Mekong River Commission(MRC) conducted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SEA) of Hydropower on the Mekong Mainstream in 2010. The report predicted adverse impacts on environment section and also social economy section in Mekong basin countries by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hydropower dams, which are food security problem, reduction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productivity, decrease in sediments and nutrients load and ecosystem change. These problems have big possibility to bring potential conflict on the issue among the countries in the region. Hence, considering the Mekong region such as Vietnam, Lao PDR, and Cambodia as agrarian countries, role of policy-making body and necessary of agriculture development is much emphasized in order to prevent or at least minimize predictable negative influences. Looking at the contemporary changes in rural development policy in Korea, introduction of eco-friendly policy is seen after the early 2000s. This provides a number of implications to development assistance for developing countries. Economic growth is much urgent in the developing countries having problems of poverty and hunger and it would be difficult to consider sustainable agriculture development policy which pursues both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development at the same time. Therefore, policy and technolog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agriculture should be more appropriate to local in each country and these will be discussed in the following research project in 2016.

      • KCI등재

        ASTGTM 전지구 DEM 기반의 수력발전댐 적지분석 사전모델링

        장원진,이용관,김성준 한국수자원학회 2020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3 No.7

        A feasibility modeling for potential hydroelectric dam site selection was suggested using 1 sec ASTGTM (ASTER Global Digital Elevation Model) and Terra/Aqua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derived land use (MCD12Q1) data. The modeling includes DEM pre-processing of peak, sink, and flat, river network generation, watershed delineation and segmentation, terrain analysis of stream cross section and reservoir storage, and estimation of submerged area for compensation. The modeling algorithms were developed using Python and as an open source GIS. When a user-defined stream point is selected, the model evaluates potential hydroelectric head, reservoir surface area and storage capacity curve, watershed time of concentration from DEM, and compensation area from land use data. The model was tested for 4 locations of already constructed Buhang, BohyunMountain, Sungdeok, and Yeongju dams. The modeling results obtained maximum possible heads of 37.0, 67.0, 73.0, 42.0 m, surface areas of 1.81, 2.4, 2.8, 8.8 km2, storages of 35.9, 68.0, 91.3, 168.3×106 m3 respectively. BohyunMountain and Sungdeok show validity but in case of Buhang and Yeongju dams have maximum head errors. These errors came from the stream generation error due to ASTGTM. So, wrong dam watershed boundary limit the head. This study showed a possibility to estimate potential hydroelectric dam sites before field investigation especially for overseas project. 본 연구에서는 해외 수력댐 건설 프로젝트의 사전조사 기초자료 제공을 위하여 댐 위치 결정을 위한 사전적지분석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위성영상 수치표고자료인 ASTER Global Digital Elevation Model (ASTGTM)과 토지피복자료인 Terra/Aqua combined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MCD12Q1를 사용하였다. 사전적지분석 알고리즘은 DEM의 전처리, 하천망생성, 유역분할과 지형정보를 고려한 적지분석과 댐 건설 시 수몰면적에 따른 보상면적 산정 알고리즘을 포함하고 있으며 Python기반의 오픈소스 GIS로 구현되었다. 적지분석은 사용자가 하천 위의 지점을 선택하면, DEM으로부터 낙차, 도달시간, 내용적곡선과 같은 지형정보와 토지피복자료를 통한 보상면적을 기반으로 지점의 적지여부를 평가한다. 분석알고리즘은 국내 부항, 보현산, 성덕, 영주댐을 대상으로 시범적용 됐으며 해당 지점의 가능 최대낙차는 각각 37, 67, 73, 42 m로 나타났으며 최대저수면적은 1.81, 2.4, 2.8, 8.8 km2 최대저수량은 35.9, 68, 91.3, 168.3×106 m3으로 나타났다. 보현산과 성주 댐에서는 타당성을 보였으나, 부항과 영주 댐의 경우 ASTGTM 에러로 인한 잘못된 하천망과 유역경계로 인해 낙차가 제한됨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해외 수력댐 사업 진출시 사전분석에서 적지의 지형학적 평가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자유경쟁 시장 내에서 용담다목적댐 발전소의 최적 계약가능 공급량 평가

        유주환 한국수자원학회 2005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38 No.1

        요즘 다목적댐의 수력발전을 일으킬 수 있는 수자원은 용수공급이 증가함에 따라서 점점 감소하고 있는 형편이다. 한편 국내 수력 발전량의 거래가 다자간의 시장경제 체제로 형성될 경우, 수력에너지 생산자는 최적 공급량과 공급의 수문학적 신뢰도 수준을 제시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금강 수계 내 위치한 용담다목적댐의 수력 발전소에서 공급가능한 발전량과 공급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저수지 조작 기법으로 선형계획법을 적용하였고 1차원 조사법을 이용하여 유입 Nowaday the amount of water resource to generate the hydro-power energy has decreased as that of the water supply has increased. In case that the national market of the energy will be in free competition, the energy producer need to suggest the amount of

      • KCI등재

        충주 다목적댐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ICT 기반 편익 증대 방안 연구

        배창용(Chang-young Bae),장암(Am Jang) 대한환경공학회 2018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0 No.8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 가뭄, 한파, 폭설 등의 기상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전 지구적으로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종합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기후변화를 완화하기 위한 노력 없이 현재 추세대로 온실가스를 계속 배출한다면(RCP 8.5) 21세기 후반기(2071년~2100년)에는 평균 기온이 현재 보다 5.7℃ 상승한 16.7℃ 정도로 예상되며, 연평균 강수량 또한 현재 대비 17.6%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어 홍수, 가뭄 등 증가하는 자연재해의 위험으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보다 전문적인 물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최신 ICT를 활용한 수자원시설(다목적댐)의 과학적인 운영관리 기술과 변화하는 수문상황에 맞춰 수문학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충주 다목적댐의 치수 능력 증대 사례를 조사하였다. 또한, 다목적댐의 관리자가 시설운영을 통해 기대할 수 있는 운영수익(용수공급, 수력발전)의 종류와 판매절차 등 수익구조에 대해 살펴보고, 충주 다목적댐의 운영사례를 분석하여 수익을 증대시킬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을 도출하였다. 특히, 2018년도 전력시장의 거래가격 예측을 통해 충주 다목적댐의 연간 전력판매 수익을 전망하고, 시장거래가격이 높은 시간대 발전운영을 통해 발전량의 증가 없이 수익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과 그 효과를 계량적으로 제시하였다. Recently, due to the climate change, weather disasters, such as floods, droughts, cold weather and heavy snow, have frequently been occurring, and its frequency is expected to further accelerate around the globe. In Korea, if greenhouse gases continue to be released as the current trend without efforts to mitigate climate change (RCP 8.5), the average temperature will rise 5.7℃ in the second half of the 21st century (2071-2100). Also, annual average precipitation is expected to increase 17.6% compared to current average precipitation, which means more specialized water management is required to protect people and property from the increased risk of flooding and drough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cientific management technology of water resources facilities (multi-purpose dams) using the latest ICT and the hydrologic stability of changing hydrologic conditions were secured to effectively respond to climate changes. It also examines the types of revenue (water supply, hydro-electric power) that operators of multi-purpose dams can expect from their facility operations, as well as the sales procedures and profit structures. We analyzed the operation cases of the Chung-ju multi-purpose dam and came up with realistic measures to increase our profits. In particular, we were able to predict annual power sales revenue of Chung-ju multi-purpose dam by forecasting the prices in the electricity market in 2018, and to improve profits without increasing power generation volume by operating power generation at the time where market prices are relatively hig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