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심형 복합쇼핑몰 공간구성 변화에 관한 연구

        장현진 ( Hyun Jin Jang ),허범팔 ( Bum Pall Hur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5

        1920년대에 이미 쇼핑몰의 효시가 태동된 미국이나 1950년대 지하철 역사를 중심으로 개발이 시작된 일본과 같은 선진국과 비교해 볼 때 우리나라 복합쇼핑몰의 역사는 매우 짧고 비교 대상 또한 적어 복합쇼핑몰의 공간구성에 관련된 연구가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였었다. 하지만, 최근 국내 백화점 업계에서 복합쇼핑몰 사업에 참여하면서 복합쇼핑몰의 수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어 국내 복합쇼핑몰 관련 연구에 박차를 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과정에서는 시대에 따라 일어나는 사회 문화적 변화가 복합쇼핑몰 발전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도심형 복합쇼핑몰의 공간구성이 어떤 특성과 유형을 가지고 변화되고 있는지 연구 하고자한다. 먼저, 쇼핑몰의 개념, 특성, 유형을 이해하고 사회 문화적 변화가 복합쇼핑몰 발전 형태에 미치는 영향과 국내외 쇼핑몰의 연혁과 성장배경에 관하여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국내 도심과 부도심 중심상권에 위치한 쇼핑몰 중 개점연도와 발전 형태에 따라 대형 몰, 현대적 쇼핑몰, 역사형몰, 도심형몰의 4가지 유형으로 세대를 분류하였고 각 세대의 사례 중 규모가 크고 최근에 오픈한 점포를 기준으로 4곳을 선정하여 개요 및 유형, 물리적 공간배치, 용도 및 시설구성, 실내디자인 구성요소를 통해 도심형 복합쇼핑몰 사례를 연구하고 시대별 사회 문화적 변화를 통해 다양한 발전 형태로 개발된 복합쇼핑몰의 공간구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There were shopping malls already in the US in the 1920s, Japan established their subway system in the 1950s; compared to these advanced countries, Korea has a relatively short history of complex shopping malls and there is not enough foundation therefore not many studies regarding spatial configuration of complex shopping malls have been done so far. However department stores are recently getting involved in complex shopping mall business, which increased the number of complex shopping malls and accelerated research and studies regarding complex shopping malls in the country. This study identifies the effect of social, cultural change on complex shopping mall development and the nature and type of changes of urban complex shopping malls` spatial configuration. First, the concept,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shopping malls were discussed based on theories. The effect of social, cultural changes on complex shopping mall development and the history of shopping mall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nd the development were also discussed. Shopping malls located in civic centers and secondary central business districts are classified by development and year; 4 large malls that were recently opened were selected to examine the types, physical spatial layouts, uses, configurations and interior designs; and changes of spatial configuration of complex shopping malls developed in various forms through social, cultural changes were analyzed.

      • KCI등재

        쇼핑몰 자산 구성요인이 쇼핑몰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지완,서용구,이동한 韓國商品學會 2012 商品學硏究 Vol.30 No.2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쇼핑 욕구의 진화와 더불어, 최근 복합쇼핑몰은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시설들이 갖춰진 새로운 형태의 상업개발 전략의 도입 및 기존 엔터테인먼트 기능에 소비자들이 직접 체험을 하는 복합쇼핑몰 형태가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진행되어 왔던 쇼핑몰 충성도에 관한 연구는 마케팅 관리 관점에서 쇼핑객의 인구통계적 특성, 특정쇼핑몰에 대한 방문동기와 행동 등에 국한되어 쇼핑몰 충성도의 심리학적 과정이 간과되어왔다. 본 연구는 쇼핑객기반의 몰 자산(SBME)이 쇼핑몰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자아일치성과 몰입의 정도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쇼핑몰의 편리성과 쇼핑몰의 품질이 쇼핑객의 자아일치성에 영향을 미치며, 긍정적 복합쇼핑몰인지와 자아일치성은 복합쇼핑몰 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쇼핑객의 쇼핑몰에 대한 몰입이 높으면 쇼핑몰에 대한 충성도도 높았다. Given the change of consumers’ lifestyle, recent shopping malls have been introduced in Korea: a Hybrid Shopping Mall which is equipped with a variety of entertainment facilities and gives consumers unique visiting experiences. However, the present field studies concerning mall loyalty, focus on a marketing viewpoint including demographic factors, motivations, and consumer behaviors, but overlook psychological processes of mall loyalty.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shopper-based mall equity (SBME) on mall loyalty, and analyses comparatively two influence variables: self-congruence and mall commitment. Based on exploratory data analysis, we have found that both convenience and quality of shopping mall have a positive impact on self-congruence, and both positive mall awareness and self-congruence have a positive effect on mall commitment.

      • KCI등재

        복합관광쇼핑몰 방문객 유형분석에 따른 특성 연구

        서용구(Suh, Yong Gu),문윤정(Moon, Yoon Jung),서용건(Suh, Yong Kun) 한국상품학회 2013 商品學硏究 Vol.31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복합쇼핑몰 방문객들을 활동기준에 따라 유형화하는 것이다. 아울러 쇼핑몰 관계자들의 몰링과 소비자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도 유형화한다. 둘째는 이러한 유형에 따른 특성을 상호지향성 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연구 설계 및 방법론: 복합쇼핑몰 방문객들이 쇼핑몰을 어떻게 인식하고 이용하는지에 따라 어떤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지 주관성측정에 효과적인 도구인 Q 방법론을 이용하였다. 아울러 쇼핑몰 이용객과 관리자간 쇼핑몰에 대한 인식과 생각차이를 상호지향성 모델을 적용해 분석하였다. 분석 및 연구 결과: 복합쇼핑몰을 이용하는 10대 ∼ 50대 여성 이용객을 분석하여 그 유형을 4가지 요약할 수 있었다. 복합쇼핑몰의 1차적 기능인 쇼핑만을 위한 이용객 유형인 제1유형- 기능형 쇼퍼와 복합쇼핑몰을 일상 탈출과 놀이 문화, 엔터테인먼트 요소와 사회적 의미로 즐기고 있는 제2유형- 여가 생활 몰링족, 그리고 자신들의 가치 추구와 편익을 위해 다양한 동기와 목적을 가지고 복합쇼핑몰을 활용하는 제3유형- 가치추구 몰링족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근거리의 복합쇼핑몰 방문을 즐기며, 편안하고, 기분전환이 가능한 도심의 여행지처럼 몰링을 즐기는 제4유형- 생활권 몰링족 타입이 이들이다. 연구문제 Ⅰ을 통해 4가지 유형의 몰링족들이 과연 복합쇼핑몰에서 어떤 경험을 하고, 그것이 그들에게 어떠한 의미로 인식되고 있는지를 해석해 봄으로써 다양한 이용객군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 진행한 연구문제 Ⅱ인 복합쇼핑몰 관계자와 이용객 상호간의 몰링 인식유형과 상호지향성 연구를 통해서는 현재 국내 복합쇼핑몰의 관계자들의 마케팅 근시안(Marketing Myopia)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Q 분석에서는 이용객 자신의 입장과 관계자로 가정한 두 가지 경우 모두 4개의 유형들이 도출된 반면 관계자들의 경우는 양쪽 모두 유형이 1개씩만 추출되었으며 이는 관계자들의 몰링 인식이 단순하고 평면적 수준에 머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향후 연구방향: 향후 국내 복합쇼핑몰이 지역 대표 관광명소로 발달하기 위해서는 차별화된 디자인과 브랜드 전략이 필요하고 이에 따른 연구가 필요하다. 공헌점: 본 연구는 Q 방법론과 Co-orientation 모델을 적용하여 복합쇼핑몰 방문객을 유형화하고 인식차이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실무적 기여를 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wo research questions: 1) identifying the malling types adopting the Q methodology for visitors and 2) finding different perceptions using the co-orientation model between shopping mall managers and visitors. Design/methodology/approach: The study adopted the Q methodology in order to identify the types of visitors according to how visitors perceive shopping mall as well as their behaviors, and how managers perceive shopping malls and visitors. The co-orientation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gap of perceptions between visitors and managers of shopping malls. Results/findings: The study first provided the following four different types: Type I is the function shopper who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price and distance. Type II is teenagers who consider shopping malls as a social location where they can spend time with their friends. Type III is similar to cherry picker type who takes advantages of shopping malls for their own necessities. In particular, this group had higher education than the other three. Finally, type IV could be referred to as district shoppers who primarily care about distance from their location. They enjoy walking around the shopping mall and are also familiar with it. For the second goal of the study, the research attempted to find perceptions on malling behaviors. Visitors of shopping malls have multi-dimensional perceptions, whereas managers have one dimensional perception, known as 'Marketers Myopia'. Research implications/limitations: These results have captured distinctive types of shoppers based on subjectivity, implying the necessity of strategic changes of mall managers to respond to various types of shopping mall visitors. Future work/research: The desirable shopping mall model would be found in reducing the differences between cognitive gaps of visitors and managers. Originality/value: The study first classified the types of visitors of shopping malls and tried to identify the gap of perceptions based on the Q method and the co-orientation model.

      • KCI등재

        인터넷 쇼핑몰의 고객유지 전략에 대한 이해 - 순수 온라인 vs. 온오프라인 쇼핑몰의 비교

        정남호(Chung Namho) 한국상품학회 2008 商品學硏究 Vol.26 No.1

          인터넷 쇼핑몰의 발전에 힘입어 소비자들은 온오프 연계쇼핑몰(Bricks-and-Clicks)과 순수 온라인쇼핑몰(Pure-Players) 중에서 더 나은 쇼핑몰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닷컴기업의 몰락과 더불어 순수 온라인쇼핑몰 업체는 마케팅 분석가나 소비자들로부터 회의적인 평가를 받은 반면에 오프라인 기반을 둔 온오프 연계쇼핑몰은 그 채널을 온라인으로 더욱 확장하고 있다. 이제 온오프 연계쇼핑몰은 소비자 간에 신뢰할 수 있는 쇼핑수단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아직 어떤 요인들로 하여금 소비자들이 온오프 연계쇼핑몰을 선택하게 하는지 또는 순수 온라인 쇼핑몰을 선택하게 하는지에 대해서는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인터넷쇼핑을 하는 228명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112명이 온오프 연계쇼핑몰 사용자 였으며, 116명은 순수 온라인쇼핑몰 사용자로 나타났다. PLS(Partial Least Square) 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순수 온라인 쇼핑몰 사용자들이 온오프 연계쇼핑몰 사용자들에 비해 시스템 품질과 비용절감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오프 연계쇼핑몰 사용자는 정보품질과 시간절감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서비스 품질은 그룹 간에 인식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나타났다.   With the advent of a wide variety of Internet shopping malls, consumers can choose a best appealing shopping mall from among the Bricks-and-Clicks and Pure-Player malls. While Pure-Players suffer skeptical views from market analysts as well as consumers, traditional offline companies learned important lessons from Dot-com companies collapse phenomena, and expanded their business channels into online in the name of Bricks-and-Clicks. Nowadays, Bricks-and-Clicks successfully establish in the market as one of reliable business partners among consumers. But, we didn"t know about the which factors affect the choice of Internet shopping mall.<BR>  Therefore, empirical analysis is adopted by garnering valid questionnaires from 228 Internet shopping mall users. 112 were mainly using Bricks-and-Clicks for shopping, while 116 were found to visit Pure-Players for shopping. PLS was applied to analyze the survey data to verify the proposed research hypotheses. Findings from the empirical test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nsumers perceive more system quality and cost saving in Pure-Players, comparing with Bricks-and-Clicks. Second, consumers more affected by information quality, time saving in Bricks-and-Clickers, comparing Pure-Players. Third,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rvice quality between Bricks-and-Clickers and Pure-Players.

      • KCI등재

        인터넷 쇼핑몰의 특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곽원섭(Kwak Won-Seob) 한국문화산업학회 2004 문화산업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몰의 특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568명을 대상으로 4개의 인터넷 쇼핑몰에 대한 과제 수행을 하도록 한후 방문 쇼핑몰에 대한 지각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인터넷 쇼핑몰의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들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상품정보/전반적 구매절차 명확성, 시스템의 성능 및 안정성, 웹 사이트의 사용성,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디자인, 사업자정보의 명시성, 결제수단의 다양성 및 확인, 그리고 고객서비스의 8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둘째, 쇼핑몰의 특성 8개요인과 쇼핑몰에 대한 평판요인을 독립변수로, 쇼핑몰의 만족도 및 행동의도 각각을 종속변수로 한 회귀분석 결과, 3개의 종속변수 모두에서 공히 쇼핑몰 평판의 설명력이 가장 높았고, 쇼핑몰의 특성에서는 쇼핑몰 디자인, 쇼핑몰의 사용성, 보안 및 개인정보보호, 고객서비스 요인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쇼핑몰 운영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ctors of internet shopping malls on customer satisfaction in electronic commerce. It examin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hat dimensions are consisted of shopping mall site and what specific Web site cues are associated with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We test our hypothesis in a empirical data from 568 consumers across 4 Web sites. B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Web site characteristics are such as information of product and purchase process, system stability, navigation, privacy and security, design, information of seller, pay methods, and customer service. We also find that brand and Web site characteristics such as Web site design, navigation, privacy and security, and customer service can explain over 60% in satisfaction and 45% in behavioral intention. The results offer important implication for Web site strategies that include the manipulation of factors influencing customer satisfaction . And the future directions of the present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몰의 특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568명을 대상으로 4개의 인터넷 쇼핑몰에 대한 과제 수행을 하도록 한후 방문 쇼핑몰에 대한 지각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인터넷 쇼핑몰의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들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상품정보/전반적 구매절차 명확성, 시스템의 성능 및 안정성, 웹 사이트의 사용성,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디자인, 사업자정보의 명시성, 결제수단의 다양성 및 확인, 그리고 고객서비스의 8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둘째, 쇼핑몰의 특성 8개요인과 쇼핑몰에 대한 평판요인을 독립변수로, 쇼핑몰의 만족도 및 행동의도 각각을 종속변수로 한 회귀분석 결과, 3개의 종속변수 모두에서 공히 쇼핑몰 평판의 설명력이 가장 높았고, 쇼핑몰의 특성에서는 쇼핑몰 디자인, 쇼핑몰의 사용성, 보안 및 개인정보보호, 고객서비스 요인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쇼핑몰 운영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ctors of internet shopping malls on customer satisfaction in electronic commerce. It examin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hat dimensions are consisted of shopping mall site and what specific Web site cues are associated with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We test our hypothesis in a empirical data from 568 consumers across 4 Web sites. B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Web site characteristics are such as information of product and purchase process, system stability, navigation, privacy and security, design, information of seller, pay methods, and customer service. We also find that brand and Web site characteristics such as Web site design, navigation, privacy and security, and customer service can explain over 60% in satisfaction and 45% in behavioral intention. The results offer important implication for Web site strategies that include the manipulation of factors influencing customer satisfaction . And the future directions of the present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인터넷 쇼핑몰 구매결정요인이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구교봉(Ku Gyo-Bong),권광현(Kwon Kwang-Hyon) 한국국제회계학회 2006 국제회계연구 Vol.0 No.15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쇼핑몰 구매결정요인이 고객만족과 쇼핑몰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고객만족과 인터넷 쇼핑몰 충성도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쇼핑몰 신뢰성, 쇼핑몰 편리성, 쇼핑몰 디자인이 고객만족과 쇼핑몰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고객만족, 쇼핑몰 충성도가 재구매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쇼핑몰 인지도가 고객만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분석 결과 인터넷 쇼핑몰 운영자는 인터넷 쇼핑몰 편의성, 쇼핑몰 컨텐츠, 쇼핑몰에 대한 신뢰가 성공전략임을 간과해서는 안 되고 제품 구매 후 불만족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품의 질, 가격, 신속한 배송이 요망된다. This paper is purpose to research repurchase intention decision factors considering trust, ease of use, recognition, design in internet shopping mall. Basis of prior research, this study tested empirically repurchase decision factors considering purchase decision factors in internet shopping mall. In this study customer satisfaction, internet shopping mall loyalty was signification influenced by internet shopping mall purchase decision factors and repurchase intention. But customer satisfaction was not signification influenced by internet shopping mall recognition.

      • KCI등재

        국내 복합쇼핑몰의 가로특성에 따른 변화에 관한 연구

        박두리 ( Doory Park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5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상업공간은 점차 쇼핑과 외식 등 단순한 소비행위를 넘어 다양한 문화적 행위를 담아냄으로써 이용자의 문화 및 여가를 충족시키기 위한 복합쇼핑몰로 발전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소비는 단순한 물건구매가 아니라 보다 넓은 개념으로 구매과정에서 일어나는 경험적 측면을 포함한 개념이며 그 과정에서 공간소비가 함께 발생한다. 최근에 준공된 복합쇼핑몰은 직접적인 판매보다 소비자들의 체류시간을 증가시키고 자연스럽게 소비를 유도하며 쇼핑몰의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기 위한 방식으로 공간소비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는 복합쇼핑몰이 도시의 연장선상이자 여가문화공간으로써 도시의 특성을 내부화함에 따라 공용공간의 확대, 내부 가로화, 외부와 내부의 중첩, 외부성의 발현과 같은 건축적 특징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내부가로뿐만 아니라 가로와 인접된 매장에도 영향을 주어 매장의 구성과 배치, 건축적 특징들에 반영되어 나타나고 있다. 도시의 가로가 인접한 매장들과의 상호 작용를 통해 그 이미지가 생성되듯이 복합쇼핑몰의 내부가로 또한 도심 가로화 되면서 인접한 매장들의 공간적 시도와 설정도 변화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에 대한 고찰은 변화하고 있는 복합쇼핑몰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복합쇼핑몰의 내부가로의 공간분석을 통해 현재 내부가로의 공간적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복합쇼핑몰 내 매장의 공간 전략과 디자인 특성을 평가함으로써 향후 차별화된 복합쇼핑몰의 매장구성계획에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현재 복합쇼핑몰의 내부가로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개념, 특징, 유형을 파악하고 선행연구로부터 수평성, 야외성, 복합성, 개방성, 비일상성이라는 내부가로의 5가지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5가지 핵심특성을 가지고 국내의 대표적인 복합쇼핑몰 6곳을 선정하여 사례별로 분석한 후 매장의 공간 계획 특성과 디자인 특성 및 효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결과) 그 결과 복합쇼핑몰의 매장은 다중심화, 업종의 혼합, 개방성강화, 외부성의 발현, 복합형 체험매장의 증가라는 특성이 나타난다. 매장이 다중심적으로 혼합배치되어 공간의 위계가 옅어지고 개방성이 강화되어 내부가로와 매장공간의 연계성이 높아진다. 실내와 실외의 중첩과 건축 요소등으로 외부성이 발현되며 복합형 체험 매장이 증가하여 비일상성이 높아진다. (결론) 매장의 가로특성 발현으로 유추한 복합쇼핑몰의 변화는 3가지이다. 첫째 경계의 약화, 둘째 비일상성의 강화, 셋째, 공간소비의 강화이다. 이런 3가지의 특성들은 최근의 복합쇼핑몰이 타 쇼핑몰과 차별화 요소로써 제품의 대규모 집적과 직접적인 소비가 아닌 다양한 집적을 기반으로 이용자의 문화적 요구를 충족시키고 감성을 자극하기 위해 이용자, 공간, 프로그램이 상호작용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복합하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modern commercial space is gradually evolving into the complex shopping mall to satisfy the cultural and leisure needs of users, capturing various cultural activities, rather than common consumption activities such as shopping and dining. In today’s society, consumption is not simply the purchase of goods but a concept that includes the empirical aspects of buying in a broader way, encompassing space consumption. Newly completed complex shopping malls have begun paying attention to space consumption in a way that will increase consumers’ stay time, drive consumption naturally, and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shopping mall; the focus on direct sales has shifted. This change represents the extension of a city; as the complex shopping mall internalizes the character of the city as a leisure and cultural space, malls are characterized by the expansion of public space, superposition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and expression of the outdoors. These characteristics are reflected in the composition, layout, and architectural features of stores, affecting not only their interior street but also their adjacent stores. Focusing on these six core characteristics, six representative shopping malls in Korea were selected to analyze comprehensively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planning, design, and effects of the stores. Just as the city’s streets interact with neighboring cities, the inner city of a shopping mall also becomes a city street, changing the spatial attempts and settings of adjacent stores. The discussion identifies the changing nature of the complex shopping mall. (Method) This study examine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inner street of the complex shopping mall through analyzing the interior street. The research aimed to evaluate the spatial strategy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stores in the complex shopping mall to assess the future differentiation of shopping malls. This study identified the concepts, features, and types of interior street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from which six characteristics of the interior streets were derived: horizontal, outdoor, complex, openness, and non-commodity. (Results) The stores of complex shopping malls are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inversions, mixed deployments by industry, increased openness, improvement of externality, and increased experience stores. The multi-hearted arrangement of the stores makes the space smaller and more open, increasing the link between the street and floor space. The externality of indoor and outdoor features and building elements is promoted, and non-operative will increase as theme park type stores increase. (Conclusions) The complex shopping mall has undergone three changes as estimated by street characteristics: first, the weakening of boundaries; second, the strengthening of non-uniformity; and third, the strengthening of space consumption. These show that the recent complex shopping mall has the following differentiating element from other shopping malls: space interacts and mixes in various ways to meet the cultural needs of users and stimulate their emotions based on various purposes, instead of on large product aggregation and consumption.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쇼핑몰 이용과 만족도의 차이분석 -중국유학생을 중심으로-

        이제홍,이정우 국제e-비즈니스학회 2017 e-비즈니스 연구 Vol.18 No.6

        With the popularization of the Internet, we are making fundamental changes in everyday life. Especially, electronic commerce based on the Internet is changing various patterns of consumption while changing the form of commercial transac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the shop ping mall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ystem quality, logistics service quality and reliability evaluation factors of the Internet shopping malls in Korea and China, and helps the development of the shopping mall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atisfaction of Korea and China. In the case of Korea and China shop ping mall,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shopping mall in China has more superiority in the quality of internet shopping mall and the service quality of the delivery process itself, and the shopping mall in Korea is significant in terms of promptness, stability, reliability and overall satisfaction It has an advantage. This is the quality of the shopping mall has the advantage that Chinese people are more familiar with and familiar with their own countries, while Chinese consumers using shopping malls in Korea are more likely to respond to delivery, reliability, and reliability. 인터넷의 대중화에 따라 일상생활에 근본적인 변화를 일으켜 나가고 있다. 특히,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상거래는 기존의 상거래 형태를 변화 시키면서 소비패턴이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인터넷 쇼핑몰의 시스템 품질과 물류 서비스품질, 신뢰성 평가요소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쇼핑몰 발전에 기여하고, 한국과 중국의 만족도를 비교분석하여 쇼핑몰 발전에 도움을 주며, 쇼핑몰 발전의 결정요인 을 도출한다. 한국과 중국 쇼핑몰은 응답자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인터넷 쇼핑몰 품질 그리고 배송과정의 서비스 품질 자체에 중국 쇼핑몰이 더 우위적 만족을 가지고 있으며, 한국의 쇼핑몰은 신속성, 안정성 그리고 신뢰성과 전반적 만족도에 유의한 우위를 지니고 있다. 이는 쇼핑몰 품질 자체가 우위를 가진다는 것은 중국인들은 자국의 사이에 더 익숙하고 친숙하기 때문인 반면, 한국에서 쇼핑몰을 이용하는 중국 소비자들은 즉시 배송되기 때문에 신송성과 안정성, 신뢰성에 더 높은 응답을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임대형 쇼핑몰 관리모드 디자인에 관한 연구

        진정오 대한경영교육학회 2006 경영교육저널 Vol.9 No.-

        초기 인터넷 쇼핑몰은 독립형 쇼핑몰이 대부분이었으나, 이러한 쇼핑몰 형태는 많은 초기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고 쇼핑몰 구축 및 운영에 있어 관리자로 하여금 고난위의 기술을 요구함으로, 오늘날엔 그 활용도가 현저하게 저하되고 있다. 이러한 독립형 쇼핑몰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대안책으로 부상한 것이 임대형 이라는 새로운 쇼핑몰 형태이다. 임대형 쇼핑몰은 기존의 독립형 쇼핑몰에 대비, 적은 비용과 단시간 내에 편의하게 쇼핑몰을 운영할 수 있다는 면에서 독립형 쇼핑몰보다 월등한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근래의 임대형 쇼핑몰을 운영하는 관리자들은 소자본과 단시간에 쇼핑몰을 열어 운영하므로, 쇼핑몰의 운영, 즉 관리를 위한 충분한 지식을 갖지 못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관리자는 소비자들의 기호와 취향의 변화에 신속한 대처를 할수 없게 되어 쇼핑몰을 방문하는 소비자들은 흡족한 만족을 얻지 못한 결과에 이르게 되고, 따라서 관리자로 하여금 쇼핑몰 관리를 더욱 어렵게 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 같은 현상은 임대형 쇼핑몰의 관리모드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의 부족에서 비롯된다고 판단되는바,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임대형 쇼핑몰 관리모드를 위한 체계적인 인터페이스의 디자인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임대형 쇼핑몰 관리모드 인터페이스를 분석하기위해 인간의 지각에 대한 여러 가지 관점 중 게슈탈트(Gestalt) 이론을 적용하여 이를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요소와 연관시러 분석 함으로서 관리모드 인터페이스 디자인 분석의 기준을 마련하고 이를 준거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관리모드 인터페이스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도출해낸 문제점을 보완하여 관리모드 인터페이스의 체계적인 디자인과정을 제안하였다. 결국 임대형 쇼핑몰의 목적은 소비자들에게 충분한 만족을 얻어 그 파생효과로서 소비자들로 하여금 구매를 하도록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관리자를 위한 관리모드 인터페이스의 체계적인 디자인 과정은 앞으로 임대형 쇼핑몰의 운영에 있어 가장 효율적인 관리모드 인터페이스가 되리라 판단되어진다. The internet based online market goes on rapid growing with its fast development and phases. So do the internet shopping malls in the size. The type of early shopping malls were mostly stand-alone types, which takes a lot of initial cost and time, and requires a high level technology in their establishment and operation, and so therefore, the demand and utilization of early stand-alone type shopping malls went dramatically down in reality.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at the stand-alone types have, as an alternative, it is the lease type of new shopping malls. Compared to the stand-alone type shopping malls, the lease type shopping malls can be ready to run conveniently with a little cost and a short time. which is of course a superior strong point to that of the stand-alone type shopping malls. However, since they have a small fund and a short time to open them, the administrators that run lease type shopping malls should lack the knowledge of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shopping malls. Owing to these problems, because they cannot keep up with the taste and trend of their consumers, they have to meet the result that they cannot satisfy their consumers who visit their shopping malls, and accordingly, they come to a point that it is much harder to run and manage the shopping malls. It is assumed that this phenomenon is mainly from the lack of study in the administrative mode interface of lease type shopping mall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ystematic interface design process with the administrative mode of lease type shopping malls to back up the problems as mentioned above. Accordingly, criterions for the administrative mode interface design analysis are established by applying the Gestalt theory, one of many aspects of human perceptions to the interface and by analyzing the interface in connection with the interface design elements to analyze administrative mode interfaces for lease type shopping malls, and based on these, the derived problems are amended to propose a systematic design process of administrative mode interface. After all, the purpose of lease type shopping malls is to get the full satisfaction from their consumers, which may results in a side effect that they can have their consumers purchase their products, and for this, it is found that a systematic design process of administrative mode interface for administrators presented in this study, is going to be one of the most effective administrative mode interfaces in running lease type shopping malls. Thus, this study may not only contribute to the administrators who run lease type shopping malls, and to the visitors of these shopping malls with better quality-applied web environment, but this study can also contribute to a convenient and effective web utilization.

      • KCI등재

        온라인 쇼핑몰에서 제공하는 상품설명과 이용후기가 온라인 쇼핑의도에 미치는 영향

        황윤용,이국용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10 고객만족경영연구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product information and online reviews in making the online shopping intention. Particularly we wished to confirm the role of perceived reliability in product information, the role of perceived reliability and perceived usefulness in online reviews. To identify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secondary data or past studies were collected and theoretically arranged. We made the theoretical proposed model to expla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onstructs, identify the operational definitions and 13 Hypotheses were established, there was executed the survey of 216 online shopping users. Using the collected data, previous performances to confirm the construct validity and internal consistency by EFA(Exploratory Factor Analysis); i.e. factor analysis by SPSS, reliability by cronbach's a, and by the CFA(Confirmative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s modelling the proposed model was tested by LISREL. As the result of test that make the relations of used variables clear, we can get the conclusion as followings; First, perceived reliability in product information, perceived reliability and perceived usefulness in online reviews has the effects positively to online shopping intention directly or indirectly. Second, it was significantly tested the effect on perceived reliability in product information, perceived reliability and perceived usefulness in online reviews by trust, familiarity, perceived reputation of online shopping site. To increase the intention in a certain online shopping site, it would be developed that a variety of methods and ways to raise the trust in product information, trust and perceived usefulness in online reviews. 많은 온라인 쇼핑몰 이용자들은 다양한 쇼핑몰을 이용하기 보다는, 특정한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하려는 경향이 있다. 특정한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하려는 성향은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제공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제공에 대한 신뢰성과 온라인 이용후기 신뢰성 그리고 유용성이 온라인 쇼핑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온라인 쇼핑몰을 대상으로 수행한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연구가설과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실제로 특정 온라인 쇼핑몰에서 주로 쇼핑하는 쇼핑몰 이용자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16명으로부터 실증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실증분석 결과, 특정한 온라인 쇼핑몰만을 이용하려는 의도에 있어, 온라인 이용후기 유용성과 신뢰성 그리고 상품설명 신뢰성 등이 모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해당 온라인 쇼핑몰에 대한 지각한 친숙성과 명성, 그리고 쇼핑몰 신뢰 등이 이용후기 유용성과 신뢰성 그리고 상품설명 신뢰성을 경유하여 쇼핑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각각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함에 있어 이용자 전환을 줄이고, 기존의 온라인 쇼핑몰 이용자들을 유지하기 위해서 온라인 쇼핑몰에서 제공하는 상품설명을 이용자들이 신뢰할 수 있도록 유지해야 하며, 상품 및 쇼핑몰에 대한 이용후기가 믿을만하고, 실제 구매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운영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