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매서비스만족도와 사회적 연결감이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 분석: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을 중심으로

        이동형 ( Dong Hyung Lee ),이정희 ( Jung Hee Lee ),황성혁 ( Seong Hyuk Hwang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5 中小企業硏究 Vol.3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의 조합원을 대상으로 서비스 품질 만족도, 마케팅 믹스 만족도, 고객만족, 사회적 연결감, 매장충성도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의 특수한 성격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모형은 서비스품질만족도와 마케팅 믹스 만족도가 고객만족도를 거쳐서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연결감이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5개의 서비스 요인 중 4개의 요인(물리성, 신뢰성, 인적작용, 문제해결)으로 구성된 서비스 품질 만족도와 마케팅 믹스 요인(입지, 가격, 판촉)으로 구성된 마케팅 믹스 만족도가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고객만족과 사회적 연결감이 점포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연결감의 경로계수가 점포만족도의 경로계수보다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의 점포충성도에 소비자생활협동조합과 조합원 간의 사회적 연결감이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서비스 요인과 마케팅 믹스 요인뿐만이 아니라 사회적 연결감이라는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의 특성을 반영하는 잠재변수를 포함했다는 점에서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을 단순히 친환경농산물 전문매장으로만 분석한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satisfaction, marketing mix satisfaction, customer satisfaction, social connectedness and store loyalty targeting the members in consumer cooperative and to identify its unique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model is composed of the effects of service factors and marketing mix factors to store loyalty through customer satisfaction and of social connectedness to store loyalty.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t ftrst, 4 factors in 5 service satisfaction factors (physicality, reliability, human interaction, problem solving) and marketing mix factors (place, price, promotion) positively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customer satisfaction and social connectedness positively affect store loyalty, and path coefftcient of social connectedness is higher than that of store loyalty. Third, moderating effect of environmental commitment is not signiftcant.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e implication that social connectedness between consumer cooperative and its members is important to store loyalty of consumer cooperative.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preceding studies which analyzed consumer cooperative just with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 specialty stores in the point that latent variabl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 cooperative which are regarded as social connectedness were included as well as service factors and marketing mix factors.

      • KCI등재

        독일 Co-op Dortmund-Kassel의 실패 사례에서 본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의 한계와 대안

        전형수,강연우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2 산업혁신연구 Vol.28 No.4

        지난 1998년 독일 굴지의 소비자협동조합인 Co-op Dortmund-Kassel이 해산의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이를 통해 세계화된 시장에서 소비자협동조합의 생존 기회를 높여야 한다는 절박감을 인지하게 되었다. 이 협동조합의 실패는 협동조합 자체에 문제가 있어서라기보다는 협동조합의 정체성을 제대로 지키지 못한 데에 그 원인이 있다. 협동조합의 중심에는 영업파트너로서 조합원이 있다. 따라서 협동조합의 과제는 조합원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지위 향상, 즉 조합원촉진이지 일반 대중 혹은 제3자의 이해촉진이 아니다. 만약 협동조합이 조합원촉진 외의 다른목적을 추구한다면, 이는 협동조합의 정체성을 포기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논문은 우선 Co-op Dortmund-Kassel의 실패사례를 살펴보고, 이어서 특히 협동조합의 정체성확립에 역점을 두고 소비자협동조합의 장기적 발전을 위한 대안을 찾아보았다.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소비자협동조합의 운명을 책임진 지도자의 자세를 위한 쟁점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의료협동조합의 의료기관 개설ㆍ운영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의료기관 개설기준 위반을 중심으로 -

        김준래,백남복,이윤학 대한의료법학회 2015 의료법학 Vol.16 No.2

        협동조합은 조합원의 권익을 향상시키고 지역사회에 공헌하는 것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조직을 의미하는 것으로 실제로 지역사회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그리고 이중에서 특히 소비자들이 상부상조의 정신에 입각하여 공동의 복리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자발적으로 설립한 조직이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이다. 한편, 의료법에 의하면 비영리법인에게 의료기관을 개설할 자격을 부여하고 있으므로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이나 협동조합기본법에 따라 설립된 비영리법인인 협동조합은 의료기관을 개설할 자격이 있다. 그런데 애초 사회적 약자인 구성원들의 공동의 이익을 위해 조직되어야 할 협동조합이 의료기관 개설자격을 부여받기 위한 탈법적인 수단으로 악용되는 사례가 증가하였다. 특히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의료법상 의료기관을 개설할 수 없는 자가 의료인을 고용하여 의료기관을 개설하는 이른바 사무장병원에 대한 조사와 부당이득징수가 강화되자, 이에 따른 우회적인 회피수단으로 의료협동조합을 설립하여 의료기관을 개설하는 수가 급증하였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우선 의료협동조합의 개설을 규율하고 있는 이원화된 현행 규범체계를 소개하고,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부분 내지 제도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부분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의료협동조합의 개설·운영, 폐업 현황 및 법령위반 내용 등을 구체적으로 확인함으로써 현행 의료협동조합개설·운영에 대한 규범적·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Cooperative associations are established in order to enhance the rights and the interests of their members and serve the local communities, and actually do much for the local society. And among these, consumer cooperatives are spontaneously founded, particularly in the spirit of mutual help, in order to promote the common welfare of the members. Meanwhile, because the current medical law qualifys noncommercial corporation to open medical institution, consumer cooperative and noncommercial- corporation cooperative which are established under the Cooperative Act have the right to do. However, though cooperative association should be founded for common interests of the members who are weaker parties of society, it became rapidly to be abused as means of circumvention of law. Especially as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stepped up the investigation and the collection of unfair profits against the hospital owned by non-medical personnel who are unable to establish a medical institution, setting up medical institutions as a roundabout way to avoid the restricts dramatically increased in number. In this study, we are going to introduce the current dualised normative system regulating the establishment of a medical cooperative association, and find a way to improve the system and make up for the week points. And we will look though the present situation about medical cooperative association’s opening, operating, and closing, and review the normative and systematic improving plans.

      • KCI등재

        소비자생활협동조합에서의 소비자보호 - 조합원의 지위와 비조합원의 권리를 중심으로 -

        김세준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외법논집 Vol.41 No.1

        Die Verbrauchergenossenschaft(VerG) ist ein nicht wirtschaftlicher Verein (Juristische Person), der zu dem Zweck der Förderung des freiwillige und aktive Verbrauches von Verbraucher errichtet wird. Es ist Verbrauchergenossenschaftsgesetz angewendet. Kürzlich nimmt der Umfang und die Aktivität der VerG zu. Also es handelt sich um Überprüfung der rechtsverhältnisse der VerG in Hinsicht von Verbraucherschutz. Zuerst ist das wesentliche Problem, wer der Verbraucher in Geschäftsverbindung der VerG ist. Die VerG ist kein Verbraucher selbst, weil sie keine Informationsasymmetrie hat und nicht endgültig verbraucht. Aber der Mitglied kann der Verbraucher sein. Der Mitglied hat doppelte Stellung : als die Mitgliedschaft der VerG und als die individuelle Betreffende in Geschäft mit VerG. Der Letztere kann der Verbraucher werden. Zweitens regelt Verbrauchergenossenschaftsgesetz, dass die Nichtmitglieder grundsäzlich die VerG nicht benutzen können. Sie können deshalb durch die VerG verbraucher Leben nicht führen, trotzdem sie der Verbraucher sind. Diese Beschränkung ist angemessen Nebenwirkungen zu entfernen, die die VerG wirtschaftlich sich verändern kann. Aber diese fordert die Übereinstimmung mit gesellschaftlichen Rolle der VerG.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이하 ‘소비자생협’)은 소비자들의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소비활동을 촉진하는것을 목적으로 하는 비영리법인을 말하며, 근거법률로서 소비자생활협동조합법이 있다. 최근 들어 소비자생협의 규모와 활동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고, 그로부터 분쟁의 여지도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보호의 측면에서 소비자생협에 관한 법률관계를 검토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다양한 쟁점이 있을수 있으나 본 논문은 다음 두 가지의 쟁점을 중심으로 한다. 첫 번째는 조합원의 소비자로서의 지위에 관한 것이다. 소비자생협의 거래관계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것은 누가 소비자인가 하는 것이다. 소비자생협은 정보의 비대칭성도 갖지 않으며 최종단계의 소비활동도 하지 않으므로 조합 자체는 소비자가 아니다. 그러나 조합의 구성원이면서 소비자생협과 개별적으로 거래하는 당사자라는 이중적 지위를 갖는 조합원은 소비자가 될 수 있다. 두 번째는 비조합원의 소비자로서의 권리 측면이다. 소비자생협법에서는 비조합원이 원칙적으로 조합을 이용할 수 없도록 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조합원은 소비자이더라도 소비자생협을 통하여 소비활동을 할 수는 없다. 이러한 제한은 소비자생협이 영리목적으로 변질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기위하여 타당하다고 할 수 있으나, 조합이 갖는 사회적 역할과 조화를 이룰 것을 요한다.

      • KCI등재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의 CSR인식과 충성도 - 서비스품질과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준겸,박상선 한국생산관리학회 2022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33 No.1

        본 연구는 한국의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을 대상으로 고객의 CSR인식이 서비스품질, 만족도, 충성도에 어떠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의 4대 소비자생활협동조합 조합원 773명에게서 얻은 표본을 기반으로 공분산 기반 구조방정식을 수립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몇 가지 사실을 밝혔다. 첫째, 한국의 소비자생활협동조합에서 CSR인식은 서비스품질과 만족도, 충성도에 모두 직접 영향력을 가진다. 이는 CSR인식이 서비스품질과 만족도, 충성도의 중요한 선행변수라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CSR인식은 고객 충성도에 직접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서비스품질과 만족도를 경유하는 간접효과도 함께 가진다. CSR인식이 충성도에 미치는 총효과 중 간접효과의 비중이 더크기는 하지만, 직접효과의 비중도 작지 않았다. 셋째, 서비스품질은 충성도에 직접 영향을 주지 않고, 만족도를 경유하는 간접효과만 가진다. 본 연구는 CSR인식이 어떤 경로와 과정을 통해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서비스품질과 만족도의 이중 매개효과를 통해 통합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소비자생활협동조합에서 CSR의 가치에대한 실증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CSR 전략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소유권체제 발전에 따른 「소비자생활협동조합법」 법제화 과정 분석

        신이수 국회입법조사처 2020 입법과 정책 Vol.12 No.2

        Cooperatives, one of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has been increasing after the legalization of ‘ Framework Act on Cooperatives ’ in 2012. But there has been some legal frameworks and acts before that legalization and the one is ‘ Consumer Cooperatives Act. ’ The Act was legalized in 1999, and there was a try for an amendment concerning about the conduct of mutual-aid or cooperative insurance, the change of the ministry concerned, and so on. However, until now, there is little improvement, so that it asks for analyzing why the conflictual situation does not improve. This thesis asserts that the analysis of the cooperatives ’ common interest, not public interest or publicness which is the dominant perspective of earlier studies or policy implementation, could be critical for illuminating cooperatives ’ practical stand. For this, this thesis apply the property-rights regime for the developments of cooperatives ’ common interest, and explain the regime consists of bundles of property rights. 사회적경제 영역의 주요 조직 형태인 ‘협동조합’은 2012년 「협동조합 기본법」 제정 이후급격한 양적 성장을 경험하고 있다. 하지만 해당 기본법 제정 이전에도 개별법에 근거한협동조합들이 존재했으며, 그중 가장 마지막으로 제정된 법이 「소비자생활협동조합법」이다. 해당 법은 1999년에 제정되었으며, 2010년 1차 개정이 이루어졌으나 현재까지도 공제사업 시행, 주무부처 변경 등의 사안을 두고 개정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본 글은 「소비자생활협동조합법」의 제정 및 개정 과정, 즉 일련의 법제화 과정을 분석한다. ‘공익(public interest)’ 내지 ‘공공성(publicness)’의 강조로 주목받지 못했던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의‘공동 이해관계(common interest)’에 주목한다. 이를 통해 법제화 과정에서의 소유권체제(property-rights regime) 형성 및 발전 양상을 확인하며, 소유권체제의 수준이 실행 수준-집합선택 수준-헌법선택 수준으로 변화되었음을 보인다.

      • KCI등재

        협동조합시민론의 이론모형과 실천쟁점

        전지윤,장승권 한국협동조합학회 2023 韓國協同組合硏究 Vol.41 No.2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concept and theoretical framework of corporate citizenship within the context of changing capitalism discourses and to discuss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cooperatives and practical issues of Korean consumer cooperatives based on a theoretical review of corporate citizenship. To this end, this study claims that the existi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theory’ cannot adequately explain the role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cooperatives’ in times of global crises in the shifting discourses of capitalism. The study aims to modify the expanded corporate citizenship as cooperative citizenship and explains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cooperative based on this concept. The study reviews existing research and theories on the concept, perspectives, and theoretical models of corporate citizenship to explain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cooperatives. Furthermore, the study sheds light on the role of cooperative in fulfilling stakeholders’ civil rights, social rights, and political rights based on cooperative citizenship. Additionally, this study provides a detailed analysis of the practices of Korean consumer cooperatives in addressing the climate crisis to specify the practical issues of cooperative citizenship.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provides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concept and theoretical models of corporate citizenship and discusses cooperative citizenship through the case of cooperative, particularly domestic consumer cooperatives. Furthermore, it offers practical CSR strategies and perspectives within the changing capitalism discourse to practitioners implementing CSR. 본 연구의 목적은 변화하는 자본주의 담론 속에서 유의미한 기업시민론의 개념과 이론모형을 설명하고 기업시민론에 관한 이론 리뷰를 근거로 협동조합과 한국 소비자생활협동조합(생협)의 사회적책임 활동과 실천쟁점을 토론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변화하는 자본주의 담론과 인류사회의 위기상황에서 협동조합의 역할과 사회적책임을 기존의 ‘기업의 사회적책임(CSR) 이론’으로 설명하는 것은 부족하다고 평가한다. 따라서 확장된 기업시민론을 ‘협동조합시민론’이라는 용어로 수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협동조합의 사회적책임을 설명하려고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문헌연구에 기반하여 기업시민론의 개념, 관점, 이론모형 등에 관한 선행연구와 이론을 검토한다. 또한, 협동조합시민론을 중심으로 협동조합이 이해관계자들의 시민권, 사회권, 정치권을 충족해왔던 역할을 조명한다. 국내 생협이 수행하는 기후위기실천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협동조합시민의 실천 쟁점도 구체화한다. 본 논문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으로 기업시민론의 개념과 이론모형을 자세하게 설명했으며 협동조합, 특히 생협의 사례를 통해 협동조합시민론을 토론하고 실천 쟁점을 구체화했다. 둘째, CSR을 실천하는 현장 실무자들에게 변화하는 자본주의 담론 내에서 유용한 CSR 전략과 관점을 제공해 주었다.

      • KCI등재

        소비자생활협동조합 이용 동기에 따른 소비자 유형화 연구

        유상화,구혜경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9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otivations of consumers of Consumer Cooperatives and to classify them according to the motives for suggesting sustainable development plans of Korean Consumer Cooperative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 Cooperatives use behaviors were identified in detail, and the level of ethical consciousness was changed. Subject to the survey are 317 housewives with experience using the 30-40 Consumer Cooperatives. In addition to altruistic motivations such as ethical consumption practices, consumers' motivation to use Consumer Cooperatives was identified as ‘The safety and health motivation of me and my family’, ‘The economic motivation’, ‘The social recognition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The ethical consumption motivation’. Four types of consumers using the Consumer Cooperatives were derived: Active Participation Group', ‘Practical benefit-seeking Group’, ‘Economic Motivation Ignore Group’, ‘Apathy group’. Active Participation Group was 30.3 percent, slightly higher in the ratio of those in their 40s, and because they use Consumer Cooperatives with various motives, they are the most diverse groups, including participation in Consumer Cooperatives, relative use of Consumer Cooperatives, and items used by Consumer Cooperatives. And the highest type of history of ethical consciousness level improvement. Practical benefit-seeking Group is a 28.4% group that appreciates the economic motives of Consumer Cooperatives and uses them. The rate of use of Consumer Cooperatives and the level of ethical consciousness are similar to those of Active Participation Group, but slightly lower. In Economic Motivation Ignore Group, 26.5% perceive that Consumer Cooperatives products are not cheap and have a relatively high proportion in their 30s. Although the proportion of Consumer Cooperatives is relatively low, they are consumers who purchase various items from Consumer Cooperatives. Lastly, Apathy group had the lowest level of motivation, with a variety of motivations. As such, consumers who use the current Consumer Cooperatives have various characteristics, the use behavior varies according to the motivation, and the improvement of the ethical consciousness level also differs. It was emphasized that Korea's Consumer Cooperatives are in the growing stage, and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consumer and to take a differentiated approach by type. It is hoped that through this study, Consumer Cooperatives can grow into more attractive and useful distribution points for consumers. 본 연구는 우리나라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이하 생협)의 지속가능한 발전방안의 제언을 위하여 생협 소비자들의 이용동기를 확인하고, 동기에 따른 소비자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그리고 유형별 생협 이용행태의 특성, 윤리적 의식 수준, 생협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였는지를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생협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3040 주부 31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소비자의 주요 생협 이용동기는 나와 가족의 안전 및 건강 동기, 사회적 인정 및 참여 동기, 경제적 동기 등 이기적 동기로 확인하였다. 생협 이용소비자는 열성참여형, 실리추구형, 경제적 동기 무관형, 무관심 참여형의 4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열성참여형은 30.3%로 40대 비율이 약간 높았으며, 다양한 동기로 생협을 이용하기 때문에 생협활동 참여 및 상대적 생협이용비율, 생협 이용품목 등이 가장 다양한 집단이다. 그리고 윤리적 의식 수준의 향상 역사 가장 높은 유형이다. 실리추구형은 28.4%로 생협의 경제적 동기를 높게 평가하고 생협을 이용하는 집단이며, 생협이용비율이나 윤리적 의식 수준 등이 열성참여형과 유사하지만 약간 낮은 수준의 유형이다. 경제적 동기 무관형의 경우 26.5%로 생협 상품이 저렴하지 않다고 인식하는 유형이며 상대적으로 30대의 비율이 높다. 생협이용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지만 생협에서 다양한 품목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이다. 마지막으로 무관심참여형은 14.8%로 다양한 동기 수준이 모두 가장 낮은 유형으로 상대적으로 구매비중이나 구매품목수이나 윤리적 의식 향상 수준 역시 다른 유형에 비해 가장 낮은 유형이었다. 이렇듯 현재 생협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은 다양한 특성을 지니며, 동기에 따라 이용행태가 달라지고, 윤리적 의식 수준의 향상도 역시 차이가 있다. 우리나라의 생협은 성장기에 있으며, 이를 위해 소비자 유형별 특성을 이해하고 유형별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생협이 소비자들에게 더욱 매력적이고 유용한 유통점으로 성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협동조합의 거버넌스 실천: 전주아이쿱소비자생활협동조합 사례연구

        김아영 ( Kim Ah-young ),조영정 ( Cho Young-jeong ),장승권 ( Jang Seung-kwon ) 한국협동조합학회 2016 韓國協同組合硏究 Vol.34 No.3

        협동조합의 거버넌스 실천이란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의 추구라는 이중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합의를 이루어가는 과정이다. 또한 참여와 소통을 전제로 하여 구성원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한 커뮤니케이션 과정이기도 하다. 협동조합 이사회는 거버넌스의 핵심 기관으로 조합원의 이해와 요구를 반영한 사업을 효율적으로 지속하고 조합원의 능동적 참여를 이끌어 내야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협동조합 이사회는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환경 변화에 반응하며 새로운 의미를 형성하는 생성거버넌스(generative gover-nance)를 만들어 간다. Weick(1995)의 커뮤니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의미생성(sensemaking) 이론은 협동조합의 생성거버넌스를 살펴보는데 유용하다. 의미생성이란 상황과 이슈에 대해 조직내 공통된 의미를 창출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를 통해 조직 구성원들은 변화된 상황에 대응하며 조직이 추구하고 있는 목적을 향해 나아간다. 협동조합의 거버넌스 실천을 살펴보고자 전라북도 전주의 전주아이쿱소비자생활협동조합 이사회가 위기 상황을 새로운 기회로 변화시킨 사례를 탐색적으로 연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협동조합은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생성거버넌스를 만들어 가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이 의미생성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aim of the paper is to investigate “cooperative governance practice,” a concept that is either not practically or theoretically developed. Cooperative governance practice is the process of consensus among various stakeholders to achieve the dual purposes of cooperatives, i.e, economic and social value creation. Weick`s (1995) sensemaking theory provides a valuable perspective for cooperative generative governance. Sensemaking is the ability to create shared meanings of given situations and issues within an organization. It compels members to adapt themselves to everchanging environments and to achieve their organization`s own goals. The present research is an exploratory case study of the Jeonju iCOOP Consumer Cooperative, which investigates cooperative governance practice, particularly BOD`s attempt to turn a crisis into an opportunity. The study concludes that cooperatives practice generative governance, which is the process of sensemaking with active communication.

      • KCI등재

        협동조합 조합원과 직원의 학습과 성장: 아이쿱소비자생활협동조합 사례

        김아영 ( Kim¸ Ah-young ) (사)한국협동조합학회 2021 韓國協同組合硏究 Vol.39 No.1

        협동조합에서 강조하며 실천하고 있는 교육·훈련은 넓은 의미에서 인력개발(Human Resources Development)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실천공동체 이론을 바탕으로 아이쿱소비자생활협동조합(이하 아이쿱생협) 조합원과 직원들이 어떻게 학습하고 성장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아이쿱생협은 조합원과 직원의 학습과 성장을 위해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협동조합의 정체성을 유지·발전시키고 있다. 아이쿱생협 조합원과 직원의 학습과 개발은 차원(개인 또는 집단)과 방법(형식 또는 무형식)을 두 축으로 하여 탐색, 진입, 관여, 책임 등 4개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조합원의 학습과 성장은 탐색-진입-관여-책임의 순서로 이어지며 직원의 학습과 성장은 진입-탐색-책임-관여의 순서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조합원과 직원의 실천이 연계될 때 학습과 성장이 활성화되었다. 조합원과 직원의 학습과 성장을 통해 협동조합의 인력개발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각 유형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조합원과 직원의 연계 실천에 주목해야 한다. This paper analyzes how members and employees of iCOOP Korea learn and develop, based on the Communities of Practice theory. As a result of research, iCOOP Korea has been conducting training and development programs to maintain and develop the cooperative’s identity. iCoop Korea’s member and employee learning and development can be divided into four types based on dimension (individual or group) and form (planned or emergent): exploration, entry, engagement, responsibility. Member learning and development occurs in the sequence of exploration-entry-engagement-responsibility, while for employees it follows entry-exploration-responsibility-engagement. In addition, learning and cooperation is vitalized through connections between members and employees. A comprehensive approach is needed for each typ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to bring about greater human resource development for coopera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