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목회상담자의 셀프 슈퍼비전을 위한 신학적 성찰: 신학적 성찰을 위한 영적 저널 활용을 중심으로

        허영자 한국목회상담학회 2020 목회와 상담 Vol.3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acilitate self-supervision for pastoral counselors. Self-supervision has been regarded as the process of applying all things the supervisee has learned from the supervisor to his(her) own clinical work. However, with the influence of constructionism, self-supervision has come to imply all dynamics, feelings, and thoughts between counselor and client of the present time and the process after counseling sessions. From that point of view, self-supervision cannot be regarded as a future goal but can be a goal from the early stage of supervisee training. Reflection is the core concept of self-supervision, Reflection means to think deeply about something in the past. Also, reflection focuses on relational dynamics, feeling, thinking, belief, value, attitude, and insight of the present time. However, general reflective questions and reflective thinking are not enough to make our counseling become pastoral counseling. For this reason, this study accepts the frame of theological reflection by Patricia O’Connell Killen and John de Beer. Theological reflection pursues the conversation between our experiences and Christian spiritual traditions. A spiritual journal can be a tool to process conversation between our experiences and Christian spiritual traditions and as a vessel to exteriorize and contain insights gained from the process. If counselor trainees use a spiritual journal as a tool of self-supervision from the early stage of clinical training, they can proceed with self-supervision independently even after completing their mandatory training course. In their self-supervision, all things that they had learned from previous supervision will be reactivated. Furthermore, a spiritual journal will contribute to open the field to experience intimacy with God and the dynamic work of the Holy Spirit in pastoral counseling and supervision. 이 연구의 목적은 목회상담자의 셀프 슈퍼비전을 활성화하는 데 있다. 셀프 슈퍼비전이란 슈퍼바이저에게서 배운 내용을 스스로의 임상활동에 적용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 왔다. 그러나 구성주의의 영향과 함께 셀프 슈퍼비전은 상담자와 내담자의 상호관계 속에서 일어나는 현시점의 모든 역동과 감정, 생각 등을 비롯하여 그 이후의 과정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 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셀프 슈퍼비전은 슈퍼바이지의 미래 목표가 아닌 임상의 초기에서부터 훈련해야 할 목표가 될 수 있다. 셀프 슈퍼비전의 핵심 개념은 성찰이다. 성찰은 지나간 것을 되돌아본다는 의미도 있지만 현재 일어나고 있는 관계의 역동, 감정, 생각, 신념, 가치 태도, 통찰 등에 주의를 기울인다. 그러나 목회상담자로서 일반적인 성찰 질문과 성찰적 사고만으로써 상담을 목회적이 되게 하기에는 부족하다. 이에 패트리샤 오코넬 킬런과 죤 드 비어(Patricia O’connel Killen & John de Beer)가 제안한 신학적 성찰의 틀을 수용한다. 신학적 성찰은 우리의 경험을 기독교의 영적 전통과 대화하는 것을 추구한다. 영적 저널(spiritual journal)은 우리의 경험과 영적 자원과의 대화 과정을 이끌어 주는 도구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주어지는 통찰들을 외재화하고 보관할 그릇으로서 유용하다. 영적 저널을 셀프 슈퍼비전의 도구로 활용하여 임상활동의 초기부터 훈련해 나간다면 모든 의무적 훈련 과정이 끝난 후에도 목회상담자로서 셀프 슈퍼비전을 계속해나갈 수 있을 것이다. 그 안에는 슈퍼바이저로부터 받았던 모든 슈퍼비전의 경험도 재활성화될 것이다. 더 나아가 영적 저널은 하나님과의 친밀감을 체험하게 하고 목회상담과 슈퍼비전에 있어서 역동적인 성령님의 역사를 체험하게 하는 장을 여는 데 이바지할 것이다.

      • KCI등재

        연극치료 슈퍼비전 재고: 연극이라는 모체에 기반한 연극치료 슈퍼비전

        김숙현(Kim Suk Hyun)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8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8

        본 연구는 연극치료 영역에서의 슈퍼비전이 지향하는 목표를 재점검하고, 연극을 기반으로 하는 슈퍼비전의 가능성과 그 방법론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치료과정, 진단평가, 슈퍼비전으로 이어지는 구조적 일관성, 혹은 연계성을 강화하는 맥락에서의 연극치료 슈퍼비전을 제안하는 가운데, 치료사의 자기 돌봄과 성장에 중요한 셀프슈퍼비전과, 개인과 집단의 연극치료 슈퍼비전의 일례를 제시하고 있다. 타 분야와 다른‘연극’치료의 고유성을 참조하고 반영하는 것이야말로 곧 연극치료사로서의 전문성 신장과 정체성을 담보하는 슈퍼비전이 될 수 있음을 역설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연극치료사 교육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슈퍼비전의 실효성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문인으로서의 연극치료사를 위한 교육과 지지, 관리 등 그들의 지속적인 질적 성장을 도모하는데 없어서는 안 될 슈퍼비전의 ‘기존’ 프레임에 대한 ‘재고’의 장을 열어, 연극치료 고유의 정체성과 연동하는 슈퍼비전의 실제적 방법론을 모색하고 독려하였다는 데 그 의미가 깊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the goals of the supervision in the dramatherapy field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and the methodology of a theatre-based Supervis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supervision of dramatherapy should be in the context of enhancing the structural consistency or linkage to the therapeutic process, diagnostic assessment, and supervision. This study presents an example of self-supervision, which is important for therapist s self-care and growth, and dramatherapy supervision of individuals and groups. This study emphasizes a unique supervision with dramatherapy that is distinguished from other fields, can be a supervision that guarantees the growth of professionalism and identity as a drama therapist. As a result, this paper specifies the supervision which is essential in the process of drama therapist training and the curriculu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searched the practical methodology by reconsidering of the frames in the dramatherapy supervision which is indispensable for the continuous qualitative growth of drama therapist as a professional.

      • KCI등재

        슈퍼비전 스타일과 상담자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군집별 슈퍼비전 만족도의 차이

        신경원 ( Shin Kyoung-won ),이영애 ( Lee Young-ae ) 한국놀이치료학회 2021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4 No.4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가 지각하는 슈퍼비전 스타일과 상담자 자기효능감의 수준에 따라 군집을 분류하여 각 군집유형에 따라 슈퍼비전 만족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1년 이내에 동일한 슈퍼바이저에게 최소 3회 이상 개인 슈퍼비전을 받았거나, 현재 개인 슈퍼비전을 받고 있는 상담자 184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슈퍼비전 스타일, 상담자 자기효능감, 슈퍼비전 만족도 간에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초심자, 숙련자로 구분한 후, 슈퍼비전 스타일과 상담자 자기효능감의 수준에 따라 군집을 분석한 결과 4개의 군집이 분류되었고, 초심자의 경우 ‘호의상-효능상’, ‘과업상-효능하’, ‘과업하-효능상’, ‘민감하-효능하’로 명명하였으며, 숙련자의 경우 ‘민감상-효능상’, ‘과업상-효능하’, ‘과업하-효능상’, ‘민감하-효능하’로 명명하였다. 셋째, 각 군집들 간에 슈퍼비전 만족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초심자는 호의성을 높게 지각하고, 상담자 자기효능감이 높을 때 슈퍼비전 만족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고, 숙련자는 대인민감성을 높게 지각하고, 상담자 자기효능감이 높을 때 슈퍼비전 만족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상담전문가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만족스러운 슈퍼비전을 경험하기 위해 필요한 변인들을 다각적으로 탐색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The results were verified according to each cluster type by classifying clusters according to the level of supervisory style and counselor self-efficacy, as perceived by the counselor. For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data from 184 counselors who receive personal supervision, was collected and then analyz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supervision style, counselor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Second, as a result of classifying clusters according to the level of each variable, four clusters were able to be discerned. Third, the data analysis verified the differences in the clusters’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levels, as classified by supervision style and counselor self-efficacy. The above findings indicate that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is directly related to the supervision style and counselor self-efficacy.

      • KCI등재

        노인여가복지시설 종사자의 슈퍼비전과 조직몰입의 관계: 전문성인식과 셀프리더십의 이중매개효과

        이병록 한국노년학회 2024 한국노년학 Vol.44 No.3

        본 연구는 그동안 노인여가복지시설 서비스의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조직몰입과 관련된 다양한 변수들인 슈퍼비전, 전문성인식,셀프리더십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SPSS와 Amos 18.0 프로그램을 통해 대전과 충남 19개 노인여가복지시설 종사자 375명을 조사한설문지를 분석하였다. 핵심적인 분석방법은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이다. 분석결과는 첫째, 종사자들에 대한 슈퍼비전이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주요 변수들의 경로들이 모두 유의미하였다. 셋째, 종사자들의 슈퍼비전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전문성인식과 셀프리더십의 이중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종사자들의 조직몰입을 향상시켜 양질의 노인여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대책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슈퍼비전의 개선을 위해 세부 슈퍼비전들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슈퍼바이저 교육, 구체적인 운영시스템과매뉴얼 개발, 사회복지시설평가에 슈퍼비전의 포함이 필요하다. 둘째, 종사자들의 전문성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상황에 적합한전문적 심화교육, 사회사복지사 자격시험의 유형 검토, 자발적으로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환경의 조성 등이 요구된다. 셋째, 종사자들의 셀프리더십을 증진시키기 위해 관리자들의 다양한 지원, 직무교육에 셀프리더십 포함, 셀프리더십을 발휘하여 발생한 업무성과에대한 적절한 보상 등이 바람직하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ion, professionalism awareness, and self-leadership, which are various variables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t can raise the level of leisure welfare facilities for older adult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to 375 workers in 19 facilities in Daejeon and Chungcheongnam-do through SPSS and Amos 18.0 program. Confirmatory factor and structuralequation model analysis were used as important analysis method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supervision of workershas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ly, the paths of major variables were all significant. Thirdly, the dual mediatingeffect of professionalism awareness and self-leadership was confirmed. The measures to improve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to provide high quality leisure services are as follows. Firstly, for enhancing the supervision for the workers, it is necessary to educatethe supervisor to balance the detailed supervision, to develop the operating system and manual of the specific supervision, and to includethe supervision in the facility evaluation. Secondly, in order to improve workers’ professionalism percep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professional deepening education, to examine the type of social worker qualification examination, and to create an environment to improvethe professionalism voluntarily. Thirdly, for developing their self-leadership, it is desirable to include various supports of managers,self-leadership in job training and appropriate compensation for work performance caused by self-leadership.

      • KCI등재

        슈퍼비전을 통한 목회상담자의 정체성 발달과 성장과정

        강은영 한국목회상담학회 2019 목회와 상담 Vol.33 No.-

        본 연구의 목적은 슈퍼비전이 목회상담자의 정체성 발달과 성장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담자의 성장에 필요한 슈퍼비전의 기능과 슈퍼바이저의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해 기존 연구를 고찰한 후, 본 필자가 2007년부터 2018년까지 10년 동안 목회상담 슈퍼비전과 일반상담 슈퍼비전을 받으면서 작성한 반성적 사고 기록을 바탕으로 전문적인 목회상담사가 되어가는 과정을 탐구한다. 이로 인해 목회상담자가 일반 상담자와 다른 특성이 무엇인지 인식하고, 슈퍼바이저와 슈퍼바이지의 치료적 동맹, 지지적이고 안아주는 환경, 수평적이고 상호작용적 관계, 하나님의 관계에 대한 구속적인 통찰이 이루어진 슈퍼비전을 재고하였다. 더불어 권위적인 슈퍼비전에서 벗어나 상호존중의 목회상담 슈퍼비전이 되기 위해서는 슈퍼바이저의 수용적인 태도와 상담자의 목회신학적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필자의 실제적 경험보고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목회상담자가 효과적인 상담을 할 수 있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관계 경험이 중요하고, 슈퍼비전을 통해 신학적 성찰과 자기 인식이 이루어지도록 도와주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목회상담자 수련과정에서 이루어진 신학적 성찰이 목회상담자 정체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일반상담과 차별된 목회상담 슈퍼비전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In this paper I use my own experience to explore the impact of supervision on a pastoral counselor’s identity development and growth process. After reviewing existing research on the function of supervision and the role of supervisors for the counselor’s growth, I explore my own journey as a pastoral counselor by reviewing the personal self-reflection papers I have written after each supervision for pastoral counseling and general counseling sessions for 10 years, from 2007 to 2018. This demonstrates general distinctions of pastoral counseling supervision including the therapeutic alliance between a supervisor and a supervisee, supportive and holding environment, horizontal and interactive relationships, and salvific insight on the relationship with God. Also, I use my personal experience to document the importance of the supervisor’s accepting attitude and the pastoral theological role of the counselor in order to create a supervisory relationship that is mutually respectful but not authoritative. Further, my analysis implies that it is essential for the pastoral counselor to experience positive relationships in order to offer effective counseling services, which can be assisted by supervision that encourages theological reflection and self-understand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monstrates the impact of theological reflection through pastoral supervision on the supervisee’s identity formation as a pastoral counselor, and in doing so it implies the future orientation of pastoral supervision as distinguished from general supervision.

      • KCI등재

        슈퍼비전 구조와 기능의 다양성이 수련중인 예비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정선영(Jung, Sun-Young),이연호(Lee, Yun-Ho)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5

        본 연구는 슈퍼비전의 구조와 기능의 다양성이 수련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예비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이론적, 정책적 함의의 제시를 목적으로 2012년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수련에 참여한 수련생 346명 전체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수련기관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와 임상수련형태, 수련 전 정신보건영역 근무경험 유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슈퍼비전 구조 다양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에서는 개별과 집단수퍼비젼을 병행하는 경우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슈퍼비전 형식의 다양성에서는 슈퍼비전 제공방법이 다양할수록 자기효능감이 제고되었다. 셋째, 슈퍼비전 기능에 따른 자기효능감 차이는 행정적, 교육적, 그리고 지지적 슈퍼비전을 평균이상으로 제공받는 수련생들의 자기효능감이 그 이하로 제공받는 경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슈퍼비전 형태와 형식, 그리고 슈퍼비전 기능이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The research attempts to disclose the factors of promotion of self-efficacy for preliminary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the structure and functions of supervision would influence the degree of self efficacy. The study asked 346 those prep-workers who have participated the training program organized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in 2012. The result shows that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self-efficacy is insignificant in accordance with the features of training agencies. The research also indicates that the co-training program of both individual and group supervision together promotes the self-efficacy most. The administrative supervision, the educational supervision and the supportive supervision together have greatly improved the self-efficacy of trainee. Finally,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s being specified confirm that those explanatory variables, the degree of diversity in structure and functions of supervision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promotion of self-efficacy for the preliminary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슈퍼비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신문영,박종두 중소기업융합학회 2020 융합정보논문지 Vol.10 No.7

        클라이언트 삶의 질 향상 및 자립을 위해 힘쓰는 사회복지사에게 있어 직무만족은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는 사회복 지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슈퍼비전이 조절하는지 파악하기 위함으로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슈퍼비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또한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며 사회복지사의 자기효 능감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슈퍼비전의 조절효과를 파악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경기도 및 서울북부권역 지역사 회복지관 10곳의 사회복지사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자료분석은 통계프로그램 PASW(SPSS) 25.0을 활용하였 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 사회복지사들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유의미 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슈퍼비전의 기능(행정적, 교육적, 지지적)의 조절효과가 모두 유의함을 확인하여 사회복지사들을 위한 슈퍼비전 기능이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Job satisfaction is an important part of social workers who striv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independence of their client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workers'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supervision to determine whether supervision regulated the effect of social worker's self-efficacy on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effect of social worker's self-efficacy on job satisfaction was grasped, and the control effect of supervision regarding the process of social worker's self-efficacy on job satisfaction was identified. For the study, 150 social workers at 10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Gyeonggi-do and North Seoul area were surveyed, and the statistical program PASW (SPSS) 25.0 was used for data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social worker's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that the social worker's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static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social worker's self-efficacy affecting job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upervision function (administrative, educational, and supportiv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so it turned out that the supervision function for social workers was crucial to enhance self-efficacy.

      • KCI등재

        연극치료 슈퍼비전의 체계 정립을 위한 제언

        박미리 ( Mi Ri Park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5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5

        본 연구는 연극치료 슈퍼비전의 체계를 정립하기 위한 목적으로, 먼저 활동하고 있는 소수의 연극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슈퍼비전과 관련하여 어떻게 경험하고 무엇을 원하는지 설문조사를 한 다음, 사회복지와 정신건강 등의 다른 영역에서 진행하는 슈퍼비전의 구조를 살펴보았다. 그러고 나서 슈퍼바이저의 역할 및 관계 역동에 대해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치료사들이 슈퍼비전에서 작업 내용과 치료사로서의 자기 점검을 가장 필요로 한다는 것을 알았고, 이것과 다른 영역에서의 구조를 연계하여 연극치료 슈퍼비전에 적합한 기본 골격을 작업 내용, 작업 환경, 관계역동의 세 가지 기능 중심으로 설계하였다. 또한 슈퍼바이저의 역할 점검에 있어서 슈퍼바이저- 치료사(슈퍼바이지)- 참여자의 세 축이 서로 상호 영향력을 미치는 가운데 역동을 일으키는 것을 확인하였고, 연극치료 슈퍼바이저의 역할을 관리자이자 전문가, 안아주고 보호하는 부모, 창조적 예술가의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 연극치료에서 앞으로 슈퍼비전과 관련하여 연구할 과제는 매우 많으며, 작업내용과 행정, 지지의 세 가지 기능을 포함하여 실제 슈퍼비전 작업과 교육,훈련 전반에 걸쳐 세부적인 요소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것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극치료 슈퍼비전이 궁극적으로 연극이라는 예술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onstruct the framework of the dramatherapy supervision. To address this central aim, questionnaire survey on the experiences of dramatherapists and their needs was conducted.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supervision in other fields such as Social welfare and Mental hygiene was examined. Lastly, the role of the supervisor and dynamics of relationship were also explored by conducting case studies. The research finding indicates that the program of supervision work and self examination as dramatherapists are the main concerns for dramatherapists. Based on this result and the frameworks from other areas, the basic structure for dramatherapy supervision was structured focusing on the program of work, working environment, and dynamics of relationships. By examining the role of the supervisor, it was found that the reciprocal influences among three participants- supervisor, therapist (supervisee) and client- resulted in the dynamics of relationship. Therefore, the role of dramatherapy supervision was classified as an expert and manager; embracing and protective parents; and a creative artist.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further research on the supervision in dramatherapy is required. Specifically, more in-depth studies on the function of program, administration and support with detailed elements of supervision practice, education and training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ramatherapy. Finally, it was reassured that the dramatherapy supervision is fundamentally based upon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drama.

      • KCI등재

        미술치료사의 동영상을 활용한 자기 슈퍼비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정보라(Jung Bo- Ra),최선남(Choi Sun-nam) 한국미술치료학회 2019 美術治療硏究 Vol.26 No.6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가 미술치료 과정을 동영상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자료를 반복 시청하면서 어떻게 자기 슈퍼비전이 야기 되는지를 탐구한 것이다. 이를 통하여 자기 슈퍼비전 과정의 경험과 내담자와의 관계에서 어떤 치료적 의미를 구성하는지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탐구방법은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1명의 아동 내담자와 치료사 자신의 변화 과정을 관찰하고 탐구하였다. 탐구는 2018년 9월에서 10월 사이에 1주일에 한 번씩 6회를 스마트 폰으로 촬영을 하여 동영상을 보며 자기 슈퍼비전 하여 경험의 의미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미술치료사는 자기 슈퍼비전을 함에 있어 저항, 실망, 자책, 소진 등의 다룰 수 있는 균형 있는 방법들을 생각해야 하고, 전통적 슈퍼비전에서도 자기 슈퍼비전의 선행이 중요하며 또한 미술치료사는 자신만의 자기점검과 성장으로서의 슈퍼비전의 도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에서 ‘동영상을 통한 자기 슈퍼비전’이라는 새로운 시도와 방식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plored how an art therapist can create “self-supervision through video“ of an art therapy se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eply understand what constitutes therapeutic mean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self - supervision and the client.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narrative inquiry was applied to investigate the changing process of the therapist’s and a child client’s experiences in therapy sessions. A survey was taken on a smartphone six times a week between September and October 2018. The researcher looked at the videos and set up the meaning of experience by self - supervis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rt therapists should consider balanced ways to deal with resistance, disappointment, feelings of self-defeat, exhaustion so on in their own supervision. This suggests the need for a self-examination and supervision tool that therapists can use to grow professional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d a new approach and method called supervision through video in art therapy.

      • KCI등재

        정신보건수련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과 슈퍼바이저 스타일 인식이 슈퍼비전 성과에 미치는 영향

        권자영(Kwon, Ja-Young),문영주(Moon, Young-Joo)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4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2 No.3

        본 연구는 정신보건수련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과 슈퍼바이저 스타일이 슈퍼비전 성과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지 혹은 슈퍼비전 관계를 통해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정신보건사회복지사 2급 수련생 3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정신보건수련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은 슈퍼비전 만족도에는 간접적 영향을 미치지만, 역량강화에는 직접적 영향과 간접적 영향 모두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슈퍼바이저의 과업지향성은 슈퍼비전 만족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만, 역량강화에는 그 어떤 영향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슈퍼바이저의 민감성은 슈퍼비전 만족도에 직접적 영향과 간접적 영향 모두 미치지만, 역랑강화에는 직접적 영향만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슈퍼바이저의 호의성은 슈퍼비전 만족도에 직접적 영향과 간접적 영향 모두 미치지만, 역량강화에는 간접적 영향만 미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슈퍼비전 만족도에는 슈퍼바이저 민감성의 효과크기가 가장 크고, 역량강화(임파워먼트)에는 정신보건수련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의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신보건수련과정의 효과적인 슈퍼비전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research studies whether the self-efficacy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 trainees or supervisory style directly affect or indirectly affect, through supervisory relationship, the performance of supervision.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339 second-level mental health social worker trainees were survey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the self-efficacy of trainees have indirect effects on supervision satisfaction, and hav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empowerment. Second, performance-oriented supervision have direct effects on supervision satisfaction, but does not affect empowerment. Third, the supervisor’s sensitivity hav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supervision satisfaction, but only directly affects empowerment. Lastly, the favorableness of the supervisor hav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supervision satisfaction, but only indirectly affects empowerment. The supervisor’s sensitivity has the largest effect on supervision satisfaction, and the trainees’ self-efficacy has the largest affect on empowerment. Based on such results, the study proposed implication for the effective supervision system for training social 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