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범계열 대학생들의 성취목표지향성, 기본욕구만족, 학업성취도 및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연구

        김수연,조한익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0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basic need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adjustment of teachers’ college students. The study enrolled 450 College of Education and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tudents. The instruments wer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basic need satisfaction, and adjustment. GPA was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tudents at the first semester of 2012. Mastery approach goal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Mastery-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s had negative effects on autonomy and competence. Compet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competence and relatedness had positive effects on adjustment. In the research of mediation effect, mastery approach goal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adjustment by the mediation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Mastery avoidance goal orient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by the mediation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university adjustment by the mediation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When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discrete factors of the basic need satisfaction, competence played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adjustment, competence and relatedness played as positive mediating variables between mastery avoidance and adjustment. Implications for the research related to the literatures and sugges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사범계열 대학생들의 성취목표지향성, 기본욕구만족, 학업성취도 및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사범대학과 교육대학교 학생 450명이며 측정도구는 성취목표지향성, 기본욕구만족, 대학생활적응척도이고, 학업성취도 자료는 2012학년도 1학기 성적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숙달접근 목표지향성은 기본욕구만족의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수행회피와 숙달회피 목표지향성은 자율성과 유능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유능성은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은 대학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숙달접근 목표지향성은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을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도와 대학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숙달회피 목표지향성은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을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수행회피 목표지향성은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을 매개로 하여 대학생활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서 기본욕구만족의 하위요인별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숙달접근 목표지향성은 유능성을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성취목표지향성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기본욕구만족의 하위요인별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숙달접근 목표지향성은 유능성과 관계성을 매개로 대학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숙달회피 목표지향성은 유능성을 매개로 대학생활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와의 관련성 및 시사점 등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학업,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 자기결정성, 학업성취도 및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분석

        조한익 ( Han Ik Cho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4 초등교육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업·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 자기결정성, 학업성취도 및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6학년 882명으로 남학생은 475명이고 여학생은 407명이다. 측정도구는 학업적 성취목표 지향성,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 자기결정성, 학교생활적응검사이며 학업성취도는 2013학년도 2학기말 학업성취도 평가결과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학업숙달 목표지향성, 학업수행접근 목표지향성은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학업 수행회피 목표지향성과 사회수행회피 목표지향성은 학업성취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사회숙달 목표지향성, 학업숙달 목표지향성은 학교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학업수행회피 목표지향성은 학교생활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회숙달, 사회수행접근, 사회수행회피 목표 지향성은 자기결정성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학업숙달목표와 학업수행회피 목표지향성도 자기결정성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의 관련성, 시사점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cademic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determination theory,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The subjects were 882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which boys were 475 and girls were 407.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social-, academic goal orientation, self-determination, and school adjustment. Academic achievement were Korean, Math, Social studies, Science, and English administered as a summative evaluation in the 2nd semester of 2013. Statistical methods were correlation and descriptive statistics by SPSS 21.0 program. Model fits and mediation effects of research model were analyzed by Mplus 6.0 program. Academic mastery goal orientation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 orient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achievement but social performance avoidance-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had negative effects on achievement. Social mastery- and mastery goal orient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school adjustment but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Self-determination had a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astery-, social performance-, social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Mastery-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by the mediation of self-determination.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social-, academic goal orientation and related variables were discussed.

      •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성취목표지향성, 기본심리욕구, 학업성취도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이상우 ( Sang Woo Lee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10 교육학논총 Vol.31 No.1

        본 연구는 지각된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성취목표지향성, 기본심리욕구,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5학년에게 지각된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성취목표지향성, 기본심리욕구, 학업성취도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 지각된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초등학생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학생들의 성취목표지향성과 기본심리욕구가 매개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모형과 대안모형을 설정하고 공분산구조분석을 통해 모형의 적합도를 비교 검증하였다. 적합도 비교 검증 결과, 지각된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성취목표지향성, 기본심리욕구, 학업성취도간의 구조적 관계에서 학생들의 성취목표지향성이 기본심리욕구 만족에 직·간접적인 효과를 미치는 연구모형이 보다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초등학생들의 부모와 교사는 자율성을 많이 부여하면서 학업에 관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지각된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학생들에게 수행목표지향성보다 숙달목표지향성을 가지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성취목표지향성은 학생들의 기본심리욕구 중 유능감과 높은 상관을 보였으나 학생들의 유능감에 대한 평균은 다른 기본심리욕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또 성취목표지향성 유형 중 숙달목표지향성은 학생들의 기본심리욕구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쳐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수행목표지향성은 학생들의 기본심리욕구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학업성취도와도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에 따라 학생들의 성취목표 지향성 유형과 기본심리욕구만족이 달라지며 학업성취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본 연구결과는 부모와 교사들에게 많은 시사점을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goal orientatio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cademic achievement. A total of 170 4th through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that included the perceived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goal orientation, basic psychological needs scales and academic achievement, which were all analyzed in this study.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as used to compare the goodness of fit of two models: default model and alternative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fault model was better fitted to the data than the alternative model. The default model depicte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goal orientation on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goal orientation,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parents and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pported student`s autonomy and engaging in academic problems. The structure model analysis revealed that perceived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influenced mastery goal orientation rather than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The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orientation and competence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was high but students did not meet the mean competence level compared to that of the other basic psychological needs. Mastery goal orient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had positively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had negative effects on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the relation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cademic achievement was not significant. The results indicated that perceived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might contribute to change in the type of students` goal orientation, specifically in their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s parents and teachers of the importance of parent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 KCI등재

        지각된 교수능력, 자기효능감, 실제지능, 성취목표, 지향성 및 학습전략이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의 구조적 관계 분석

        김정환 ( Jeong Hwan Ki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1 초등교육연구 Vol.24 No.4

        본 연구에서 초등학교 4, 5, 6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지각된 교수능력, 자기 효능감, 실제지능, 성취목표지향성 및 학습전략이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틀 요인들과 학업 성취도간에 어떠한 구조적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있었다. 연구수행을 위해 지각된 교수능력, 자기효능감, 실제지능, 성취목표지향성, 학습전략 각 각 10문항씩 총 50문항으로 구성된 검사를 실시하고 요인분석을 통해서 교수능력과 효능감은 각 6문항씩,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전략은 각 5문항씩, 실제지능은 4문항으로 구성된 최종적인 특성 검사를 제작해서 실시하였다. 지각된 교수능력, 자기효능감 및 실제지능 등의 외생변수와 두 매개변수(성취목표 지향성 및 학습전략) 및 학업 성취도(국어와 과학 및 영어 성적)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첫째, 학습자가 지각된 교수능력, 자기 효능감, 실제지능, 학습전략 및 성취목표지 향성이 성취도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각각 .19, .25, .30, .17과 .45로 확인되었다. 둘째, 교수능력이 목표지향성, 학습전략 및 실제지능과 결합하여, 성취도에 미치는 간접 효과는 .12이며, 효능감이 학습전략, 실제지능 및 목표지향성 등과 결합하여 성취도에 미치는 간접 효과는 .52로 확인되었다. 셋째, 지각된 교수능력, 자기 효능감, 실제지능, 학습전략, 및 성취목표지향성 등이 성취도에 미치는 총 효과는 각 각 .31, .77, .58, .17 및 .49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학교에서 각 교과의 교수-학습을 수행할 때 교과의 특성을 활성화 하되, 학습자의 효능감, 실제지능 및 성취목표지향성 및 학습전략 등의 역학적인 상호작용 구조를 고려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용함으로써 학업 성취도의 향상 가능성을 시사해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six factors, named achievement-goal orientation, perceived instructional ability, learning strategy, self-efficacy, practical intellig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fourth, fifth and sixth graders of primary schools. For this research, a test instrument composed of achievement-goal orientation, perceived instructional ability, learning strategy, self-efficacy and practical intelligence was constructed, validated and used for analyzing research problems. After performing factor analysis, 26 item-test was decided and used. Also, achievement test scores of Korean Language, natural science and English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ubjects` academic achievement was influenced directly by achievement-goal orientation(.45), practical intelligence(.30), perceived instructional ability(.19), learning strategy (.17) and self-efficacy(.25). Second, perceived instructional ability, practic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had significantly and indirectly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interacting with achievement-goal orientation and learning strategy. Third, total effect of self-efficacy(.77), practical intelligence(.58), and achievement-goal orientation(.45), perceived instructional ability(.29) and learning strategy(.l7) on academic achievement were somewhat high. Accordingly, instructional program focusing on enhancing self-efficacy, practical intelligence and achievement-goal orient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used to improve primary school pupils` learning competency.

      • KCI등재

        성취목표지향성과 성취결과의 상호 인과적 관계

        정준욱(Jun Wook Jeong),이은주(Eun Ju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15 敎育心理硏究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통제-가치 이론을 바탕으로 성취목표지향성(숙달접근목표, 수행접근목표)과 성취결과(수업이해도, 학업성취도)의 상호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 모델을 적용하여 성취목표지향성과 성취결과의 종단적인 관계를 탐색해 보았다.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 2~4차년도 데이터(중2~고1)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성취목표지향성 및 성취결과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안정적이었다. 성취목표지향성과 성취결과 간의 교차지연효과를 확인한 결과, 숙달접근목표와 성취결과 간의 상호 인과적 관계가 검증되었다. 특히 성취결과가 숙달접근목표에 미치는 영향력이 숙달접근목표가 성취결과에 미치는 영향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수행접근목표와 성취결과 간의 교차지연효과의 경우, 성취결과에서 수행접근목표에 이르는 경로에서만 유의하였으며 수행접근목표가 성취결과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성취결과에 수업이해도를 적용한 모델과 학업성취도를 적용한 모델 간에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의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educational outcomes based on control-value theory.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4 Year data was analyzed, applying autoregressive cross - lagged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bidirectional interactions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educational outcomes. Results confirmed the significant cross-lagged effect between mastery-approach goals and educational outcomes; the effect of educational outcomes on mastery-approach goals was higher than vice versa. Educational outcomes had significant effect on performance-approach goals whereas performance-approach goals had no effect on educational outcome. These findings were consistent across the two models in which educational outcomes were represented either by perceived understanding of classes or by standardized academic achievements.

      • KCI등재

        초등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성취정서, 학업성취도 및 주관적 안녕감의 구조적 관계 분석

        조한익(Han Ik Cho) 한국교육심리학회 2012 敎育心理硏究 Vol.26 No.4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성취정서, 학업성취도 및 주관적 안녕감의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 학생 454명이며, 측정도구는 성취목표지향성, 성취정서, 학업성취도 및 주관적 안녕감이다. 기초자료는 상관과 회귀분석이며, 구조방정식 모형에서는 모형의 적합도와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수업, 숙제 및 시험관련 상황에서 숙달접근과 수행접근 목표지향성은 즐거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수행회피와 숙달회피 목표지향성은 불안감과 지루함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수행회피 목표지향성은 즐거움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즐거움은 학업성취도와 주관적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불안감과 지루함은 학업성취도와 주관적 안녕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수업, 숙제, 및 시험상황에서 숙달접근 목표지향성은 즐거움, 불안감, 지루함의 성취정서를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숙달회피와 수행회피 목표지향성도 성취정서를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부적인 영향이 있었다. 숙달접근과 수행접근 목표지향성은 성취정서와 학업성취도를 매개로 하여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그러나 수행회피와 숙달회피 목표지향성은 성취정서와 학업성취도를 매개로 하여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부적인 영향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성취목표지향성과 성취정서, 학업성취도 및 주관적 안녕감까지 연결하여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성취정서를 구조적인 관련 속에서 통합적으로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chievement emotions, and academic achievement on subjective well-being. The subjects were 454 students of grade 6 in elementary schools. The instruments used for the study wer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chievement emotions,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researcher analyzed the scores of academic achievements administered by the education research and information institute. Statistical methods are correlation and regression by SPSS program, and model fit and mediation effects by AMOS program. Related to the class, homework, and test, mastery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 orienta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enjoyment and performance and mastery avoidance goal orientations had positive effects on anxiety and boredom.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enjoyment. Enjoyment had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but anxiety and boredom had nega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In the test related circumstance, academic achievement and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By the analysis of the mediation effect in the class, homework, and test related circumstance, mastery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by the mediation of achievement emotions, but performance and mastery avoidance goal orientations had a nega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by the mediation of achievement emotions. Mastery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by the mediation of academic emotions and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Mastery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by the mediation of academic emotions and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유아용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정영미(Yeong Mi Jeong),조한익(Han Ik Cho) 한국교육심리학회 2015 敎育心理硏究 Vol.29 No.2

        본 연구는 유아용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만4세와 만5세 유아 261명으로 남자는 126명, 여자는 135명이다. 유아용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서 예비문항의 작성, 예비 그림장면의 제작, 그림 수정, 보완, 최종그림 선정을 통해서 2x2 성취목표지향성 척도 40문항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아용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척도 검사문항들은 유아자신의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과 같으면 1, 아니면 0으로 응답하는 이분형태의 자료들이다. 탐색적 요인분석에서는 요인추정방법을 WLSMV(weighted least square parameter estimates using mean and variance adjusted chi-square test statistic)로 하였다. 4요인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χ2 =801, 363(df=626, p<, 01), CFI=, 903, RMSEA=, 033으로 나타나 요인분석의 2x2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사회적 숙달회피와 사회적 수행회피 목표지향성은 하나로 묶이는 것으로 나타나 다시 3요인으로 분석한 결과 χ2=477, 983(df=403, p<, 01), CFI=, 950, RMSEA=, 027로 만족할만한 것으로 나타났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유아용 사회적 숙달목표지향성 8문항, 사회적 수행목표지향성 8 문항, 사회적 회피목표지향성 16문항이 최종 문항으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회적 숙달목표지향성의 신뢰도는 , 732, 사회적 수행목표지향성의 신뢰도는 , 764, 사회적 회피목표지향성의 신뢰도는 , 759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용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했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와 관련하여 선행연구와의 관련성,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등을 논의하였다. The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social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for infants, The research subjects are 261 infants with 126 boys and 135 girls, In the development of social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for infants, 2x2 social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as developed by the stage of preliminary items development, preliminary scene drawing, revision of items and scenes, and final scene compositi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used with 40 items with WLSMV(weighted least square parameter estimates using mean and variance adjusted chi-square test statistic) and Geomin rotation, In the test of scree plot, social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as composed of 3 factors model so the researchers named its factors as social mastery goal, social performance goal, and avoidance goal, The final items were 32 in which social mastery goal was 8 items, social performance goal was 8 items, and social avoidance goal was 16 items, The Cronbach α for social mastery goal was , 732, social performance goal was , 764, and social avoidance goal was , 759, In criterion-related validity between social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emotional regulation and social competence, emotion regulation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approach goal and social avoidance goal, Social competenc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performance goal, Based on the relevance of prior researches, significance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미용전공자의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개인적 흥미와 상황적 흥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성남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rrelation between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beauty industry professionals and their effects on different variables and provide data that can help understand importance of human resources, build management strategy, and reduce the turnover rate in the industry by improv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employees, considering the high level of dependence of the industry on human resource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between May 2 and May 30, 2017 among beauty industry professionals, by distributing 350 copies of questionnaire. Excluding inadequate responses, 301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which was conducted by using SPSS ver. 21.0 based on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was as follows: first, regard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majority of them were working in skincare, with one to three years of experience, as a staff member, and earned 1.5million to 2.5million KRW as monthly income, on average. Second, analysis of difference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the working years and position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etency and job security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sub-factor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continuous involvement, and affirmative involvement according to th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regarding the effect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beauty industry professionals, increase of involvement, competency, and job security, which are sub-factor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led to increase of normative commitment, indicating a positive correl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understood in terms of individual and contextual interests of the process of achievement oriented toward academic achievement and confirmed that interest in learning situations was an important explanatory variable in academic achievement. 본 연구는 미용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개인적 흥미, 상황적 흥미의 매개역할과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한 실증연구이다. 자료의 수집은 서울, 경기지역 미용대학과 대학원 재학 중인 학생들에게 자기기입식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총 287부를 최종 분석 자료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빈도분석과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변수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상관관계분석과 매개효과분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을 위한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성취목표지향성은 학습접근목표, 학습회피목표,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목표의 4요인이도출되었으며, 학습접근목표와 수행접근목표는 개인적흥미, 상황적 흥미, 학업성취도간 정(+)적 상관관계를보여주었고 학습회피목표와 수행회피목표에서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독립변수로 고려된 성취목표지향성은 매개변수로 고려된 개인적 흥미와 상황적 흥미와 종속변수로 고려된 학업성취도에 유의한상관관계를 보이며 성취목표지향성의 학습접근과 수행접근이 개인적 흥미와 상황적 흥미에 영향을 미치고, 개인적 흥미와 상황적 흥미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의 시사점은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과정을 개인적 흥미와 상황적 흥미의 관점에서이해하고 학습 상황에서의 흥미가 학업성취도에 중요한 설명변수임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정체성과 성취 목표 지향성: 개인 정체화와 사회 정체화의 동기 효과

        박영석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개인정체화와 사회정체화의 구조적 특징을 검토하고, 정체화 요인과 성취목표 지향성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196명의 금융 서비스 분야 근무자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정체화 문항에 대한 요인 분석 결과, 개인정체화와 사회정체화 외에 사회비정체화라고 명명할 수 있는 요인이 관찰되었다. 세 가지 정체화와 성취 목표 지향성과의 상관관계를 검토한 결과, 개인정체화는 두 개의 접근목표 지향성(즉, 숙달접근 목표지향성과 수행접근 목표지향성)과 각각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사회정체화 역시 이 두 가지 접근 목표 지향성과 각각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숙달접근 목표지향성보다 수행접근 목표지향성과 통계적으로 더 강한 상관계수를 나타냈다. 사회비정체화는 두 개의 회피목표 지향성과 각각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연구 2는 362명의 제조업 근로자와 21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 1에서 나타난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연구 1과 동일한 정체화의 요인구조를 확인하였고, 근로자 집단의 정체화와 성취목표 지향성간의 상관계수 역시 연구 1과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특히 개인정체화는 수행접근 목표지향성보다 숙달접근 목표지향성과 통계적으로 더 강한 상관계수를 나타냈다. 학생집단의 상관계수의 패턴도 근로자 집단과 유사하지만, 사회정체화가 어떤 성취목표지향성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사회정체화는 사회정체화와 사회비정체화의 요인으로 구분될 수 있다. 둘째, 개인정체화, 사회정체화 및 사회비정체화는 성취목표 지향성과 비교적 체계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을 지적하고 향후 연구에서 다룰 이슈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취목표지향성, 희망 및 학습전략의 구조적 관계

        조한익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9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ope and learning strategy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The subjects were 480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responded to the tes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ope, learning strategy, and school adjustment. Also, the researcher analyzed the scores of academic achievements administered by Chungnam Office of Education. Mastery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 orientations had positive effects on hope and learning strategy. Hope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strategy ha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hope and mastery avoidance goal orient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Hope and mastery approach goal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but mastery avoidance goal orient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Mastery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strategy by the mediation of hope. And, mastery and performance had positive effects on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by the mediation of hope and learning strategy. However,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learning strategy by the mediation of hope,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 had a nega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by the mediation of hope and learning strategy. Hope had a posi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by the mediation of learning strategy.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취목표지향성, 희망 및 학습전략의 구조적인 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충남지역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480명으로 측정도구는 성취목표지향성, 희망, 학습전략 및 학교생활적응검사이고 학업성취도는 도학력평가 결과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숙달접근과 수행접근 목표지향성은 희망과 학습전략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희망은 학습전략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전략은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수행회피 목표지향성은 희망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숙달회피 목표지향성도 학업성취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희망과 숙달접근 목표지향성은 학교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숙달회피 목표지향성은 학교생활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숙달접근과 수행접근 목표지향성은 희망을 매개로 하여 학습전략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행회피 목표지향성은 희망을 매개로 학습전략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숙달접근과 수행접근 목표지향성은 희망과 학습전략을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숙달접근과 수행접근 목표지향성은 희망과 학습전략을 매개로 하여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행회피 목표지향성은 희망과 학습전략을 매개로 하여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부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희망은 학습전략을 매개로 하여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