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대의 선호색 및 색채 이미지 조사 연구

        박연선(YunSun Park),송선아(SunA Song) 한국색채학회 2014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8 No.3

        색이란 많은 사람들이 공통적인 감정을 가지고 사회적으로 일반화되면서 특정한 것을 의미하는 상징성을 갖는다. 색은 별도의 언어가 없어도 일반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감각언어이고, 사회규범으로써의 시각 언어이다. 특히 선호색은 교육환경, 주위 환경에서 오는 심리적 영향과 성격, 기질과 연관성을 가진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선호색이 현대에 어떻게 변화되었고, 색채 이미지에 대한 언어적 표현이 실제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 알기 위해 색에 대해 가장 민감하게 인식하고, 다양성과 개성을 추구하는 것에 가장 발빠른 20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KS산업규격에 따른 표준화된 155가지 색을 기본차트로 사용하여 샘플을 보여주고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하여 선호색 계열과 그에 따른 성격?성향별 분석을 하고, 선호 색채에 따라 연상되는 감성언어(형용사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첫째, 20대의 성별에 따른 선호색의 구분이 존재하였다. 전체적으로 20대는 남?여 모두 파란색을 선호하였으며, 남자의 경우는 파랑과 검정을, 여자는 경우 파랑 다음으로 빨강과 분홍을 좋아한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20대의 성격유형별 선호색의 특징으로 주도형은 빨강을, 사교형은 파랑을, 안정형은 분홍을, 신중형은 파랑, 청록을 좋아한다고 분석되어 일반적으로 모든 사람이 공통적으로 인식되는 색채의 감성적 이미지와 DISC 성격 유형별로 분류되는 성향과의 일치성을 보였다. 셋째, 20대의 선호색과 선호톤의 경우 대다수가 생각하는 형용사 이미지가 비슷한 것으로 보아 일정한 패턴과 상관성이 존재하였다. 난색 중 "노랑"의 경우 귀여운 이미지를, 갈색과 어두운톤의 경우 "고상한"을, 초록과 하양의 경우 "맑은"을, 무채색 톤은 "모던한"이미지를 선택하여 색에 대해 느끼는 일반적인 감성 이미지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자신을 표현하고 드러내는 것에 익숙한 20대들은 색 선호에 있어서 본인의 취향과 느낌을 가장 중요시하여 선택한다. 하지만 과거로부터 이어져 온 공통되는 색채의 연상적, 상징적 성질이 현대에도 반영되는 것으로 보아 주요 색채와 톤의 감성적 이미지는 크게 변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오늘날과 같은 다원화된 감성시대에 있어 빠르게 변화하는 20대의 선호색을 확인하여 20대를 위한 심리적 활동이나 색채를 통한 심리 요법, 또는 상품 이미지 전략을 위한 마케팅 활동 등에 이용되어 감성 색채 정보의 데이터 기반 구축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s many people become socially generalized with common emotions, a color becomes symbolic of something specific. Even without separate language, a color is sensory language that can be understood in general and visual language as a social code. In particular, a preferred color is correlated with the education environment,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the surroundings, personality, and disposition. To determine how generally preferred colors have changed and how verbal expressions of color image were used in practice, a survey was conducted in college students in their twenties, who are most active in expressing themselves and are sensitive to fashion and to analyze the preferred color groups by personality and disposition and determine emotional language (adjective image) associated with the preferred color. First, in term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ose in their twenties, preferred colors differed insignificantly by blood type but varied by gender. In general, both men and women in their twenties preferred blue; the former preferred blue and black and the latter preferred blue, followed by red and pink. Second, in terms of personality type, the dominance type preferred red, the influence type blue, the steadiness type pink, and the conscientiousness type blue and bluish green; thus, the emotional image of colors commonly perceived by all the people generally agreed with dispositions classified by the DISC personality type. Third, there were certain patterns and correlation in preferred colors and tones since the majority of them had similar adjective images. Yellow among the warm colors was associated with the cute image, blue and dark tones with noble one, green and white with clear one, and achromatic tones with modern one; thu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al images of colors in general. Those in their twenties, who give the first priority to their own taste and feelings in preferring and selecting colors. However, there has been insignificant variation in emotional images of principal colors and tones, given that associative and symbolic properties of colors which have long been common are reflected these days. In this era of diversified emot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in psychological activities, color-based psychotherapy, or marketing activities with product image strategies for those in their twenties, who are quick to respond, by identifying their preferred colors and to assist in building databases for information about emotional colors.

      • KCI등재

        선호색 연구 동향에 관한 분석

        제나나(Na-na Je),유연숙(Yeon-sook Yoo),최경실(Gyoung-sil Choi) 한국색채학회 2012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6 No.2

        본 연구는 다양한 분아에서 기초자료로 사용되고 있는 색채 선호의 선행연구를 분석해 봄으로써, 기존 연구의 문제점과 한계점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선호색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 연구이다. 연구의 범위와 방법은 2000년부터 2011년까지 발표된 논문 중 색채 선호에 대한 논문을 71 편 선정하여 연도별, 분야별, 연령별, 성별, 조사방법과 조사도구, 분석 방법 등의 기준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선호색 연구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통해 도출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도구 선정 과정의 객관성과 신뢰도 확보가 어렵다. 둘째, 피실험자가 선택할 수 있는 색의 제한으로 인해 결과가 왜곡 될 가능성이 있다. 셋째, 선호색에 대한 결과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가 어렵다. 선행 연구 분석으로 나타난 문제점을 통해 효과적인 색채선호 연구에 대한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도구의 객관성과 타당성이 확보될 수 있는 실험 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자는 조사도구로 L*a*b* 좌표상에서 피실험자가 직접 자신의 선호색을 조정하여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결과값은 특정한 값이 아닌 3차원 그래프 안에서 영역 범위로 제시하는 것을 제안한다. 둘째, 색채 선호 결과 분석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필요하다. 본 연구자는 특정한 색에 대한 %를 나타내는 단편적 연구 결과 보다는 선호색에 영향을 미치는 색의 속성에 대한 상관성으로 결과를 제시하는 방법을 제안해본다. 즉 선호색을 선택할 때 색상, 명도, 채도 중 어떠한 속성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여러 변인들 중 어떠한 속성이 선호색에 더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결과를 알아낼 수 있어 선호경향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해 새로운 시각으로 색채 선호에 대한 연구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으며, 선호색에 대한 연구가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 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precedent studies on preferred colors which have been used as basic data in various sectors so as to identify the problems and challenges with the previous studies as well as to recommend the direction in implementing the systematic and objective study on preferred colors. To that end, total 71 papers on color preference which were published from 200 till 2011 were selected and analyzed based on such criteria as year, sector, age, gender, survey method and tool and analysis method. The problems identified in the wake of analysis of the studies on preferred color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s difficult to secure th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in determining the survey tool. Second, the result would possibly be distorted because of the limited colors for selection by the interviewees. Third, the survey result can hardly be used effectively. The recommendations based on analysis of the problems from precedent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experimental method which will allow the objectivity and adequacy of the survey tool. The method allowing the interviewee to adjust and produce the preferred color on coordinates, L*a*b* is herewith recommended as survey tool. The outcome is recommended to be within the territory of 3D graph, instead of the specific value. Second, another standpoint for the analysis result of the preferred colors. What suggested by the researcher is; the result will be suggested from the viewpoint of interrelationship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or which might have effect on color preference, instead of simply indicating the preference to the specific color in percentage. That is, the metho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 including the category of color, brightness and chroma which have effect on determining the preferred color. This method indicates the characteristic which might have greater effect on preferred colors, thereby producing the comprehensive result of the preference. This study is aimed at seeking the approaches from another standpoint and hopefully makes commitment to performing the study on preferred colors in more diverse ways, braking from the stereotyped approaches.

      • KCI등재

        대학생의 색선호도와 낙관성과의 관계

        홍은주,윤지영,김효은,송연옥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2 예술심리치료연구 Vol.8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의 낙관성과 색선호도와의 관계를 조사하는데 목표가 있다. 연구대상은 천안지역 A대학교의 414명(1-4학년)의 대학생으로 하였다. 색선호도 질문지와 낙관성 척도를 사용하여 수집한 자료를 통해 색선호도와 낙관성의 경향과 성별, 학년별, 전공별 낙관성과 색선호도의 차이, 낙관성에 따른 색선호도의 차이, 색선호도와 낙관성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를 SPSS 12.0을 사용하여 구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대학생의 색선호도는 검정, 흰색, 파랑, 빨강, 보라, 초록, 노랑, 주황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빨강, 노랑), 학년별(빨강, 주황, 보라), 전공별(노랑)로 색선호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색선호도는 낙관성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선호도와 낙관성은 빨강, 노랑, 초록, 파랑, 흰색과 정적상관관계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 preference and optimism of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of study were 414 university students from freshman to senior in the city of Cheonan.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by the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using SPSS 12.0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 color preference of university student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gender(red, yellow), grade(red, orange, purple), majors(yellow) and color preference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ir level optimism. In addition,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color preference and optimism had significant possitive correlations(red, yellow, green, blue, white).

      • KCI등재

        일반 선호색에 따른 색조 제품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 상하이 여대생을 중심으로

        뢰청운 (Lei, Qing Yun),김영삼 (Kim, Yong Sam)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5 No.3

        요즘 시대에 색조 제품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높아지고 나아가 구매 행위와 그 영향에 대한 관심도 부상하고 있다. 색은 감성 소비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로 마케팅 분야에 만이 활용되고 있다. 사람마다 선호하는 색이 다르고 일반 선호색과 특정 색채 선호 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제품마다의 선호색이 다르기 때문에 소비자가 제품의 색을 선택할 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일반 선호색이 색조 제품을 구매할 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일상생활에서 많이 구매하는 립스틱, 아이섀도, 블러셔 세 가지를 선정하여 아시아 패션의 도시인 상하이 지역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해 일반 선호색, 색조제품의 구매행동, 일반 선호색이 색조 제품을 구매하는 데 미치는 영향, 선호하는 색과 구매한 색조 제품 색이 다른 이우, 색조 제품을 구매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의 6가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주로 빈도분석과 일월분산 분석을 사용하였고 일반 선호색과 제품 선호색을 분석할 때 PCCS 색체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 선호색과 가장 많이 구매하는 색조 제품의 색을 비교했는데, v, b, It, p 네 가지 톤에 주로 분포하고 있어 일치 정도가 높다. 제품의 톤이 소비자의 제품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 선호색이 색조 제품의 색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일반 선호색이 구매하는 색조 제품 구매하는 색이 다른 이유를 분석했는데 색조 제품을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색조 제품의 색과 피부색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주요 요인은 모두 색과 관련되어 있다. 셋째, SPSS에서의 Duncan s multiple range test를 사용하여 색조 제품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했는데 평소에 선호색에 따라 색조 제품을 구매할 것이다 요인의 영향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소비자가 선호하는 색에 따라 제품의 선택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 선호색이 색조 제품 색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따라서 색조 제품의 판매 과정에서 일반 선호색을 활용한 색채 기획 및 마케팅 전략에 지도 의견을 제공할 수 있다. These days, interest in color products is increasing, and furthermore, interest in purchasing behavior and its influence is increasing. Color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emotional consumption process, and is only used in marketing. Different people have different preferences, different general preferences, different preferences, and different preferences for different products, so there may be differences when consumers choose colors for their products. Therefore,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find out how general preference colors affect the purchase of color products. In this study, three types of lipstick, eye shadow, and blusher that are purchased frequently in daily life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rough a survey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Shanghai, the city of Asian fashion, the effect of general preference color on purchasing color product, the effect of general preference color on purchasing color product, the difference between preferred color and purchased color product color, and the factors that affect purchasing color product. In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and month-to-month analysis were mainly used, and PCCS color system was used to analyze general preference color and product preference col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compared the colors of general preference with the colors of the most purchased color products, which are mainly distributed in four tones, v, b, It, and p, so the degree of concordance is high. It means that the tone of the product can affect the choice of the consumer s product. It was confirmed that general preference color affects color selection of color products. Second, we analyzed the reasons why general preference colors purchase different colors, and confirmed that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the purchase of color products were the color and skin color of color products. All of these key factors are related to color. Third, using Duncan s multi-range test in SPSS, we analyz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urchase of color products, and the degree of influence of I will usually buy color products according to preference was the highest. It can be seen that consumers choose the product according to the color they prefer. It has been proved that general preference color affects color selection of color products. Therefore, guidance comments can be provided on color planning and marketing strategies using general preference colors in the process of selling color products.

      • KCI등재후보

        국내 주요 도시의 공공시설물 선호색에 관한 비교 연구

        주대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주요 5개 도시를 중심으로 공공시설물 이용자의 색채 선호도를 조사하여 선호색의 특성을 파악하고 분석, 종합함으로써 이용자의 감성을 고려한 색채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5개 도시 1,000명의 이용자들에게 190색 Hue & Tone 시스템 기반의 색채 샘플을 제시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3가지 선호색을 선정하도록 하였다. 도시별 선호색의 우선 순위로 20색을 선정한 후 이를 NCD 190색 Hue & Tone 시스템 및 단색 Image Scale에 포시셔닝하여 우선 순위에 따라 HUE 1~4, TONE 1~4까지 군집화함으로써 선호색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최종 도출된 선호색은 순색 계열, 선명하고 강한 색, 밝고 부드러운 톤이 주류를 이루었다. 도시별 상위 20색의 비교에서는 단색의 유사성 비율은 50%~75%로 비슷하였다. 공통 선호색은 6가지로 나타났고 Y, GY, B계열 색상의 V, B, P계열이었으며 종합 선호색은 중․고명도, 중․고채도의 48가지 색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ims to sort and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which people of the five major cities in Korea prefer for public facilities. This paper attempt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a comprehensive color planning considering emotion of users.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s to present 190 color samples which are sorted by Hue & Tone color system to 1,000 users in the five cities and ask them to choose their favorite three color among the 190 color samples. The research process is as follows. The favorite 20 color of each city's people is selected and positioned according to NCD Hue & Tone system and single color Image Scale. After this process, the researcher tries to compare and analyse the characteristic of the preferred color through categorizing in the range of HUE from 1 to 4 and TONE from 1 to 4. The result shows that preferred color which is ultimately selected is dominated by solid, clear, and strong color, bright and soft tone. In comparison, the top 20 color which is selected in the five cities is similar with the ratio of 50-75% of similarity in single color. Through the research, the common preferred color is six color : the color of V, B, P tones in Y, GY, B hue range. My analysis has found that the comprehended preferred color which is selected in the five major cities in Korea is 48 color of medium/high value, medium/high chroma.

      • KCI등재

        현대주거공간의 오방색 선호에 관한 연구

        김희성,조인숙,신화경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6

        (Background and Purpose) Colors are an important means of creating design identities. Recent design trends have attempted to construct an identity through traditional culture. As such, interests have been raised in traditional colors that have evolved with regional historical backgrounds. Traditional colors used in modern living spaces construct residential ident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ferred traditional colors in modern living spaces and to present data on how such colors should be applied in the future. (Method) Adults in their 20s and 50s tend to use traditional colors in their living spaces. Data were collected with quotas considering gender and age. A web survey was implemented for one week starting on July 24, 2018. The survey examined general characteristics about the participants, such as their gender, age, marital status, and income level. We examined their preferred color scheme and preferred colors in five spaces of a home: the entrance, living room, bedroom, kitchen, and bathroom. The data were analyzed by taking the mean and frequency and conducting a cross analysis. (Results) Of the five colors participants were asked to choose from, blue was generally the most preferred. The preferred color of the entrance was white, with differences in sex and age. The respondents preferred white in the living room, and there were generally differences in preferences between the five colors and groups. White was preferred in the kitchen, an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by age and generally preferred colors. White and blue were preferred for bedrooms, an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age group and generally preferred colors. Bathrooms were also highly preferred in white, with group differences in gender and age. (Conclusions) The preference for living space colors varied between group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The age of the double was different in preference for all spaces. Colors are the cultural products of the time and are influential in age. The generally preferred color was blue, but the preferred spatial color was white in all spaces studied. Bedrooms have been shown to be similar to the general preferred color and preference color for space. A bedroom is a representation of one's own identity and is therefore designed with one’s preferred colors. This research is limited in the application of color design to residential spaces by examining the overall color image of each space.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explore indoor color schemes based on the preferred variety of colors by space, and to study color systems based on five colors. (연구배경 및 목적)색은 시대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며, 디자인에서 정체성을 구현하기 위해 중요한 수단인 것이다. 이와 같이 전통색은 한 지역에서 역사성을 갖고 발전해온 것이며, 전통의 색은 우리의 문화적 정체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최근 전통문화를 통한 우리의 정체성을 구축하고자 하는 패러다임의 변화로 인해 전통색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와 같이, 현대 주거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선호하는 전통색에 대한 연구함으로써 우리의 주거공간 정체성의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의 생활문화의 토대인 현대 주거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전통색의 선호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향후 주거공간디자인 시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조사대상은 20대부터 50대까지 전통색을 주거공간에 디자인하고자 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성별과 연령을 고려하여 할당표집하였다. 조사방법은 구조화된 설문도구를 웹설문도구로 개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018년 7월 24일부터 일주일동안 진행되었다. 둘째, 조사내용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 연령, 결혼상태, 소득 수준 등을 조사하였다. 일반적으로 선호하는 오방색 계열과 현관, 거실, 침실, 주방, 욕실 등 5개의 공간으로 한정하여 각 공간별 선호하는 오방색에 대해 조사하였다. 셋째, 분석방법은 평균, 빈도, 교차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일반적으로 선호하는 오방색은 청색을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관의 선호하는 오방색은 백색이었으며, 성별과 연령에 따른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실도 백색을 가장 많이 선호하였고, 일반적으로 선호하는 오방색계열에서 집단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방도 백색을 가장 선호하였고, 연령과 일반적으로 선호하는 오방색에서 집단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침실은 백색과 청색의 선호가 높았으며, 연령과 일반적으로 선호하는 오방색에서 집단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욕실도 백색의 선호가 높았으며, 성별과 연령에서 집단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주거공간에 선호하는 오방색은 성별과 연령에 따라 집단간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이중 연령은 조사대상 모든 공간에서 선호하는 오방색의 계열이 다르게 나타났다. 색은 그 시대를 반영하는 문화적 산물로 연령에 영향력이 큰 것으로 해석된다. 일반적으로 선호하는 오방색은 청색으로 나타났으나 현관, 거실, 주방, 침실, 욕실 등 조사대상 모든 공간에서 대체로 백색의 선호가 높게 나타났다. 침실은 일반적으로 선호하는 색이 침실공간의 선호하는 색과 유사하게 선호하는 것으로 보였으며, 침실은 다른 공간과 다르게 개인적 공간으로 자신이 선호하는 색을 통해 자신만의 정체성을 구현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각 공간별 전체적인 색의 이미지를 통해 조사하여 주거공간의 색채 디자인 적용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오방색은 청, 적, 황, 백, 흑의 5가지 계열색으로 구분하고 있어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색체계와는 다른 색의 구분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향후 공간별 선호하는 오방색 계열을 토대로 실내배색계획방안 모색과 더불어 오방색의 5색을 기준으로 한 색체계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소비자 감성유형에 따른 주얼리 선호색에 관한 연구

        김경태(Kim, Kyeng tae) 한국색채학회 2013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7 No.3

        본 연구는 소비자 감성의 다양성을 전제로, 향후 색채디자인개발, 특히 주얼리디자인에 있어서 활용 가능한 20대 여성소비자의 주얼리 선호색을 확인하기위하여 진행되었다. 피실험자는 대도시에 재학하고 있는 20대 여대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일반 여성의 색 감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공을 특정하지는 않았다. 연구는 설문지를 통한 일대일 혹은 집단 대면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선행연구의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먼저 소비자 감성 유형을 분류하고, Excel과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한 통계학적 분석 방법(빈도분석과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일반선호색과 주얼리 선호색에 관한 분석을 하였다. 첫째, [소비자 감성유형 유형화] 기법을 활용한 소비자 감성유형 분류 결과를 보면, 20대 도시여성의 경우 색채에 민감한 Color지향형 감성유형[‘자기어필적 Color지향형’(79명, 25%), ‘오감만족적 Color지향형’(69명, 22%)]이 전체 피실험자 314명중 47%를 점유하여 색채에 민감한 소비자층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20대 도시 여성의 일반선호색과 주얼리 선호색 선택에 있어서 상관성 유무를 판단하기위하여 진행한 빈도분석과 회귀분석의 결과, 유의확률 0.0002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아울러 일반선호색의 결과는 타 선행연구 등에서 추출된 일반선호색 선호도 상위 결과 값과 대부분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0대 도시 여성의 감성유형별 일반선호색과 주얼리 선호색의 비교?분석을 위해 실시한 빈도분석과 회귀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Color지향형 감성유형의 경우, 주얼리 선호색의 선택에 있어서 유의 확률 0.002로 상관성이 매우 높은 유의 결과를 얻었으며 일반선호색과 주얼리 선호색 선택에 있어서도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반해 기타 감성유형의 경우에는 상관성이 미약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20대 도시 여성을 대상으로 한 소비자 감성유형 분류와 일반선호색-주얼리 선호색 간의 상관성 및 각각의 선호색을 확인하기위하여 진행된 본 연구가, 향후 다양한 세대, 지역 등을 대상으로 보다 심도 있게 연구되어 소비자 감성색채 정보를 구축하는데 초석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ith the diversity of the consumer"s emotion, was conducted to find the preferred jewelry colors by female consumers in their 20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color design, especially jewelry design. The subjects were female college students at the major city, and their majors were not considered to find common women"s color sensitivitie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survey of face-to-face or group questionnaires. With the analysis of the previous study, at first, the consumer"s sensibility was classified,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 (frequency and regression analysis) with Excel and SPSS program was used to analyse the general preferred color and jewelry preferred one. First, the classification of the consumer emotional type using the consumer emotional typology method are as follows. Of the 314 surveys, 79 urban women in their 20s (25%) were found to have "color inclination emotion type" [self-appealing color] and 69 women (22%) had "five senses-satisfying inclinations". This result showed they are color-sensitive consumers. Second, the result of the frequency of progression and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the correlation between general preferred color and preferred jewelry color choice are as follows: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significantly with 0.0002 probability. In addition,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for general preferred colors was shown to be same as the one from other previous studies conducted for general preferred color preferences. Third, the results for frequency and regression analysis to compare and analyse the preferred general and jewelry color according to the emotional types of urban women in their 20s are as follows.: As for the color inclination emotional type, it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choice for the jewelry color preference with 0.002 probability.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in the choice between general preferred and jewelry preferred color. It is hoped this study will be a cornerstone for building the consumer"s emotional color information with an in-depth study on various generations and regions in the future.

      • KCI등재

        소비자 감성타입에 따른 주얼리색에 관한 연구 15 - 20대 여성 감성타입별 일반선호색 및 주얼리선호색을 중심으로 -

        김경태 한국색채학회 2013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7 No.3

        This study, with the diversity of the consumer's emotion, was conducted to find the preferred jewelry colors by female consumers in their 20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color design, especially jewelry design. The subjects were female college students at the major city, and their majors were not considered to find common women's color sensitivitie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survey of face-to-face or group questionnaires. With the analysis of the previous study, at first, the consumer's sensibility was classified,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 (frequency and regression analysis) with Excel and SPSS program was used to analyse the general preferred color and jewelry preferred one. First, the classification of the consumer emotional type using the consumer emotional typology method are as follows. Of the 314 surveys, 79 urban women in their 20s (25%) were found to have 'color inclination emotion type' [self-appealing color] and 69 women (22%) had 'five senses-satisfying inclinations'. This result showed they are color-sensitive consumers. Second, the result of the frequency of progression and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the correlation between general preferred color and preferred jewelry color choice are as follows: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significantly with 0.0002 probability. In addition,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for general preferred colors was shown to be same as the one from other previous studies conducted for general preferred color preferences. Third, the results for frequency and regression analysis to compare and analyse the preferred general and jewelry color according to the emotional types of urban women in their 20s are as follows.: As for the color inclination emotional type, it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choice for the jewelry color preference with 0.002 probability.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in the choice between general preferred and jewelry preferred color. It is hoped this study will be a cornerstone for building the consumer's emotional color information with an in-depth study on various generations and region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소비자 감성의 다양성을 전제로, 향후 색채디자인개발, 특히 주얼리디자인에 있어서 활용 가능한 20대 여성소비자의 주얼리 선호색을 확인하기위하여 진행되었다. 피실험자는 대도시에 재학하고 있는 20대 여대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일반 여성의 색 감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공을 특정하지는 않았다. 연구는 설문지를 통한 일대일 혹은 집단 대면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선행연구의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먼저 소비자 감성 유형을 분류하고, Excel과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한 통계학적 분석 방법(빈도분석과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일반선호색과 주얼리 선호색에 관한 분석을 하였다. 첫째, [소비자 감성유형 유형화] 기법을 활용한 소비자 감성유형 분류 결과를 보면, 20대 도시여성의 경우 색채에 민감한 Color지향형 감성유형[‘자기어필적 Color지향형’(79명, 25%), ‘오감만족적 Color지향형’(69명, 22%)]이 전체 피실험자 314명중 47%를 점유하여 색채에 민감한 소비자층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20대 도시 여성의 일반선호색과 주얼리 선호색 선택에 있어서 상관성 유무를 판단하기위하여 진행한 빈도분석과 회귀분석의 결과, 유의확률 0.0002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아울러 일반선호색의 결과는 타 선행연구 등에서 추출된 일반선호색 선호도 상위 결과 값과 대부분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0대 도시 여성의 감성유형별 일반선호색과 주얼리 선호색의 비교․분석을 위해 실시한 빈도분석과 회귀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Color지향형 감성유형의 경우, 주얼리 선호색의 선택에 있어서 유의 확률 0.002로 상관성이 매우 높은 유의 결과를 얻었으며 일반선호색과 주얼리 선호색 선택에 있어서도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반해 기타 감성유형의 경우에는 상관성이 미약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20대 도시 여성을 대상으로 한 소비자 감성유형 분류와 일반선호색-주얼리 선호색 간의 상관성 및 각각의 선호색을 확인하기위하여 진행된 본 연구가, 향후 다양한 세대, 지역 등을 대상으로 보다 심도 있게 연구되어 소비자 감성색채 정보를 구축하는데 초석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표면특성으로서 투명성이 물체색 선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황영지 ( Hwang Yeong Ji ),조택연 ( Cho Taigyo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8

        (연구배경 및 목적) 표색계가 개발된 이후 특정 색에 대한 선호는 다양한 연구 결과를 통해 확인해왔다. 그러나 단일 색에서 나타나는 선호 경향이 물체에 적용된 색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데, 기존 연구는 이에 대해 물체의 기능이나 의미적인 맥락이 선호도에 영향을 주기 때문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디자인 과정에서 선호 요인으로서 물체의 맥락에 적합한 색도 중요하지만, 미적 선호가 있는 색을 찾아내는 것은 여전히 중요한 과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물체의 맥락을 제외하고도 물체색 선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에서는 두 가지 가설을 확인하는데 첫째, 기능이 없는 물체에서도 특정 색 선호경향이 나타나는지 확인한다. 둘째, 광학적 관점에서 색과 투명성을 동시에 드러나는 표면특성으로 봄으로써 물체의 투명성이 색 선호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를 수행했으며 편의표본추출 방식으로 선정된 200명의 피실험자에게 기능이 없는 기하학적 물체 이미지를 보여주고 해당 물체색에 대한 선호도를 5점 척도로 응답하게 했다. 설문에 사용된 물체 이미지는 3-D 모델링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만들었으며 특정한 색과 투명성이 동시에 드러나도록 렌더링했다. 색과 투명성은 먼셀표색계를 기반으로 하는 KS 기본색 6가지(빨강, 노랑, 연두, 초록, 파랑, 보라)에 3가지의 투과도(불투명, 반투명, 투명)를 조합하여 만들었다. (결과)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첫째, 기능이 없는 물체에서도 특정 색 선호 경향이 나타난다. 이를 통해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물체의 맥락 외에 다른 요인이 물체색 선호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투명성이 물체색 선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모든 색에서 투명한 물체색을 불투명한 물체색보다 선호했다. 다만, 빨강과 노랑은 투명성과 선호도 간의 관계에서 선형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빨강은 반투명을 투명보다 선호하고 노랑은 반투명보다 불투명을 선호했다. (결론)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표면특성으로서 색과 투명성이 물체색 선호 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했다. 기존 연구에서는 색의 선호 요인을 색상, 명도, 채도로 분석해왔으며, 일부 연구는 물체색과 관련하여 물체의 기능이나 의미적 맥락을 선호 요인으로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기능이 없는 물체를 대상으로 연구함으로써 표면특성인 투명성이 물체색 선호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밝혀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Because the color preference in simple colors does not appear in the object, some researchers have reported that an object's function or context affects its color preference. In the design process, object color appropriateness is important as a preference factor, but finding a property that enhances that color's visual attractiveness is still an important task.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determine whether the object color preference appears even excluding the functional context. This study focuses on object color as an interaction between light and surface from an optical perspective and finds a surface property that affects object color preference. (Method) Specifically, we address two main questions about object color preference. Firstly, do object color preferences appear even in contextless object color? When the object color preference appears in contextless object, surface factors can be explained because object color in this study was only affected surface property. Next, we look at whether transparency, which is a surface property, affects color preference. To this end, 200 subjects were shown 18 images of objects without function or meaning, and they were asked to rate how much they liked each object color on a 5-point scale. The objects used in the questionnaire were created using a 3-D modeling program and rendered to express a specific color and transparency at the same time. (Results) As a result, first, we confirmed that object color preferences exist in objects without apparent function. This illustrates there is another factor affecting color preference that is not related to function. Second, on average, transparent objects are more likely to be preferred when it comes to object color. In particular, transparency was a factor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object color preference even more so than color. The results were transparent yellow-green, green, blue, purple were all favored over their translucent and opaque counterparts. However,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because red and yellow did not show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ransparency and color preference. People preferred translucent red over transparent red and opaque yellow over translucent yellow. (Conclusions)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color and transparency as surface properties determine object color preference. Previous studies have analyzed hue, value, and saturation as factors of color preference. In particular, some researchers suggested that the object's functional context is a factor of object color preference. However, by confirming color preference even in objects without function and meaning, we suggest that transparency influences object color preference.

      • KCI등재

        잠재집단분석을 활용한 대학생의 오방색 선호도와 대인관계 관련성 분석

        윤해옥(Hae-Ok Y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통색인 오방색에 대한 대학생의 선호도와 잠재집단유형을 분류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5개 도시 7개 대학의 대학생 1,268명의 설문 응답결과를 수집하여, 오방색 선호도 차이검증을 위해 반복측정분산분석과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하고, 오방색 선호도에 따른 잠재계층을 확인하기 위해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전공계열에 따라 오방색 선호도에는 차이가 있지만 계열 구분없이 백색을 가장 선호하였다. 둘째, 잠재프로파일분석 결과 3개 유형의 잠재집단(높은 선호, 중간 선호, 낮은 선호)으로 분류되며, 오방색 전체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면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특정 색채에 대한 선호도보다 색채 선호도 강도를 중심으로 구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전통색에 대한 대학생의 색채선호도와 대인관계 성향과의 관련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접근이며,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Obang-colors with the tendency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Method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the sampling of 1,268 university students in five cities in Korea was conducted,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latent profiles analysis and other sources. Result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significant differences in Obang-color preferences according to the students’ majors and genders. Second, the university students’ preference types for Obang-colors were categorized and the latent profile analysis was execu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eference type. Third, there existed the difference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ccording to the levels of the color preference and color sensitivity. Conclusions This study expects the changes in understanding the methodology of the researches on the connection between color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