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작 여성 생애가사의 담론 특성과 여성문화적 의미

        천혜숙(Chun, Hye Sook) 실천민속학회 2014 실천민속학연구 Vol.23 No.-

        이 연구는 자신의 생애 이야기를 체계적으로 서술한 근작 여성가사들을 ‘생애가사’로 범주화하고 그 담론적 특성과 여성문화적 의미를 읽은 것이다. 이 가사들은 제목에서부터 ‘일생’, ‘수기’, ‘역사’ 등을 표방하는 데다, 엄청난 길이를 자랑하는 장편 서사도 적지 않다. 대상이 된 14편 가운데 9편은 아직 학계에 보고되지 않은 새로운 작품들이다. 생애가사 작품들 대부분이 여성의 일생에서 중요한 생애주기인 50대, 회갑, 고희, 팔순 등에 창작된 점도 주목된다. 특히 회갑과 고희의 의례를 계기로 창작된 생애가사들은 가족 외에도 친인척, 문중의 지손까지도 소통의 대상으로 삼는다. 이 경우에는 친족 집단의 남성들까지도 잠정적 독자층이 될 수 있으므로, 여성가사의 소통을 주로 동류집단을 중심으로 파악해 온 시각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작품이 창작되고 소통되는 맥락은 생애가사의 담론적 진폭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과연 드러냄과 숨김의 상반, 다성의 혼효 -자책으로 자긍 드러내기- 등은 이러한 맥락에서 선택된 담론 전략들이다. 그 외에도 근작 여성 생애가사들이 보여주는 특정 경험의 확장과 탈구조의 국면, 그리고 강화된 가족주의의 특징 등은 격동의 근대기, 그 험난한 세월을 견디고 이겨낸 과정에서 얻어진 형상과 인식이라 할 만하다. 생애가사의 창작과 소통은 작자인 여성이 자신, 동류집단 그리고 가족과 친족에게 일종의 ‘말걸기’를 시도한 것이란 점에서 중요한 여성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특히 ‘동년배 제우(諸友)’들간의 가사를 통한 말 걸기와 그 과정에서 이루어진 동감의 공유가 실제 가사 내용이나 첨기(添記) 부분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위로와 공감의 여성적 연대가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여성 생애가사에 관한 한, 조선 후기 화전가 류의 소통이 이루어냈던 대항적 연대가 가능했을지는 의문이다. 생애가사는 비일상의 놀이공간에서 이루어진 화전가 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일탈의 여지가 좁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소통의 맥락에서 볼 때 생애가사는 오히려 ‘구별짓기’를 위한 여성적 연대의 성격이 더 강한 편이다. 가사 내용도 ‘반가 며느리’로서의 정체성과 긍지를 강하게 견지한다. 따라서 생애가사의 창작과 향유는 ‘반가 여성’으로서의 정체성을 구현하고 재구성하는 문화적 기능을 했으리라 짐작된다. 이러한 차이는 가사의 유형과 소통 맥락에서 기인된 것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근대적 격동의 역사가 가족주의의 윤리를 강화한 부분, 더러는 몰락한 삶을 살았던 반가 여성들의 자기 정체성에 대한 강한 집착과도 무관하지 않다. 또한 여성의 회갑과 고희는 장수를 축하하고 기원하는 수연(壽宴)의 자리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여성의 성취지위가 친족집단 내에서 공인되는 자리이기도 하다. 이 시점에서 의례 주인공들의 생애가사 창작은 가족 또는 친족을 향한 일종의 ‘말 걸기’로서, “이 가문으로 시집 와서 나는 며느리로서, 가모(家母)로서, 어머니로서 내 책무를 다했다.”는 자기 확인이자 선언에 값하는 문화적 의미를 갖는 것이다.

      • KCI등재

        노년기 여성 생애담의 죽음의 의미화 양상 연구 -서사구조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김정경 ( Jong Kyoung Kim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3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7

        본고에서는 자신의 생애를 서사화하는 방식이 곧 자신의 삶을 인식하는 방식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고 보고, 이들 간의 상관성을 고찰하고자 했다. 특히 생애담의 종결 방식을 생애담 구연자가 죽음을 의미화하는 방식과 관련 지어 이해해 보려고 했다. 이를 위해 『시집살이 이야기 집성』에 실린 생애담 세 편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분석을 진행했다. 2장에서 검토한 생애담은 삶의 의미를 타인들과의 관계 속에서 발견하는 화자의 이야기였다. 이 생애담의 화자는 생의 의미를 어떠한 죽음을 맞는가에서 찾기 때문에, 이야기의 결말이 이전 사건들의 의미를 재규정한다는 점에서 소급형의 서사 구조를 갖는다고 보았다. 이 유형의 생애담에서 죽음은 삶의 이야기 전체에 허구적인 구조를 부여하는 종결의 기능을 하는 의미의 원천이다. 3장에서 살펴본 생애담의 화자는 삶을 그 의미를 찾아가는 여정으로 이해한다. 화자는 자신의 삶을 고난의 의미를 탐색하고 발견하는 과정으로 서사화하기에, 이 생애담은 탐색형의 서사 구조를 갖는다고 보았다. 이 유형의 생애담에서 죽음은 삶이라는 시련을 모두 겪고 난 뒤에 획득한 자격, 다시 말해서 자신에게 주어진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후, 삶이라는 무대에서 영광스럽게 맞는 은퇴와 같은 것이다. 4장에서 검토한 생애담은 어떠한 상황 속에 내던져진 개인의 이야기이다. 이 생애담의 화자는 우연한 생존의 에피소드들을 병렬식으로 나열하고, 삶과 죽음을 언제 어떻게 벌어질지 모르는 사건으로 이해한다. 이 생애담에서 죽음은 삶이 그러했듯 자신의 행위 또는 앞서 벌어진 사건들과 어떠한 유기적 관계도 맺지 않는, 불가항력적인 사건으로 존재한다. This paper has been focused on identifying the feature of Women`s life stories. In order to identify the way of narrating the self, the paper has been focused on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a way of narrating one`s lives and a way of recognizing one`s lives within the Women`s life stories. On chapter 2 the paper intended to find out the narrational features of Kim Pilyou`s life story. She thought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of our life is how to die. So she was envious of her two mothers-in-law because they died as if they were slept. She was signifying one`s life retroactively at the moment of dying. As a result, the paper find out that these life story regarded the death as the source of meaning. On chapter 3 the paper intended to find out the features of Han Misoo`s life story. She thought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of her life is to know the meaning of her life. She was signifying her life like a quest story. As a result, the paper find out that these life story regarded the death as a license or an evidence. After realizing the meaning of life, she didn`t care about her remaining years. On chapter 3 the paper intended to find out the features of Han Misoo`s life story. She thought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of her life is to know the meaning of her life. She was signifying her life like a quest story. As a result, the paper find out that these life story regarded the death as a license or an evidence. After realizing the meaning of life, she didn`t care about her remaining years. On chapter 4 the paper intended to find out the features of Shin C`s life story. She thought that the life and the death was an incident happened accidently. Her life story was a chain of survivals. In her story she described a private person as powerlessly. As a result, the paper find out that these life story regarded the death and the birth as an accident.

      • 초고령사회 고령후기 노인을 위한 생애말기 정책 지원방안 연구

        김경래,황남희,정진욱,송기민,양찬미,이수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환경 변화에 따라 노인 1인·부부가구의 증가 추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점차 80세 이상 노인가구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고조될 것으로 추정된다. 노화가 급속히 진행된 고령후기 노인은 일상생활 동작 수행 곤란과 함께 인지기능 저하에 시달릴 가능성이 높아 각별한 사회적 관심이 필요한 연령층이다. 그러나 현행 노인복지정책은 고령전기·중기 노인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양상이며, 고령후기 노인은 정책적 관심에서 소외된 경향이 있다. 초고령사회의 노인복지정책은 전체 노인에 대한 정책 재설계뿐만 아니라, 고령후기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특화된 생애말기 지원정책에 대한 고민도 함께 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고령후기 노인에 대해 `편안한 인생 마무리` 관점에서 스스로 준비하고 마무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국가·사회·가족의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2. 주요 연구 결과 통상적으로 79세~82.4세 연령대는 4대 노인문제에 전부 노출되는 시기로서 이전 연령대와 차별화되며, 4대 노인문제는 독립적으로 작용하기 보다는 교호작용을 일으킨다. 또한, 생애말기(生涯末期)는 `죽음에 임박한 특정 시점`의 분절적 개념이라기보다 임종기(臨終期)를 향해 가는 시간적 과정의 연속적 개념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므로 생애말기 생활기반 안정(Well-Being) 정책과 임종기 생애마무리 지원(Well-Dying)정책이 동시에 지원되어야 한다. 생애말기 정책 수급분석 결과, 고령후기 노인인구 비율이 급증하고, 1 인가구 비율은 60.2%(124만 9천 가구)까지 증가하며, 1인가구 순증분 (연평균 4만 2천 가구)은 사별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높아 관련 정책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보았다. 고령후기 노인인구밀도가 높은 시·군·구는 대폭 확대될 예정으로 정책 결정 시 이를 감안할 필요가 있었다. 고령후기 노인 장기요양 판정자와 관련 예산이 급증하고 고령후기 노인 사망자 수와 비율도 크게 증가하는 것은 물론, 사망 원인별 총재원 일수, 완화의료 수요도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償ㅅ퓸駭? 공급 기반 측면에서 봤을 때, 공공 의료기관, 지역 의료기관 등은 비교적 고른 지역적 분포를 보이고 있었으나, 공공 요양병원은 내륙ㆍ산간지방에 거주하는 고령후기 노인들에게는 접근성이 상당히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락 배달은 인구 밀집 지역이 아닌 도서, 산간 지역에 서비스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보았고, 호스피스 병원은 경북이나 강원 내륙지방으로는 전혀 설치되어 있지 않는 등 지역적 편중이 심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화장시설은 향후 화장 수요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드는 상황이다. 국내 생애말기 지원정책 분석 결과, 80세 이상 고령후기 노인에게 적용하는 부양의무자 기준은 가족 해체의 원인이 되거나 상속보다는 증여를 선택하는 부작용이 발생할 우려와 함께, 고령자용 주택에 관한 구체적 제도가 미비하여 낙상이나 사회적 고립을 가중시킬 우려, 저작·연하 기능 저하에 따른 영양불량, 면역기능 감소, 합병증 발생, 사망률 증가로 연결될 우려, 재택의료 서비스 미진으로 자택에 머물면서 치료하기 어려운 실정 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말기암 환자와 달리 다른 질환의 호스피스 이용자들에 대한 비용 지원에 관한 구체적 규정은 없고, 존엄사 후속 조치를 마련 중이긴 하지만 고려해야 할 요소가 많으며, 사회적 고립 해소나 사별 가족에 대한 지원 체계도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죽음 교육·문화 부재로 죽음 준비에 소홀하고, 고독사가 사회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제도나 통계조차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해외 생애말기 지원정책 분석 결과, 일본, 영국, 스웨덴 등 해외 주요 국가들의 고령후기 노인들은 지역사회의 보호를 받으며 주로 자신의 집에서 생애마지막을 보내는 것이 공통적인 특징이었다. 일본은 주택정책과 복지정책을 연계하고 있고, 영국은 노인보호주택과 주택수리 지원을 통해, 스웨덴은 보조금 지원을 통해 지역 생활의 계속성을 확보하고 있다. 그리고 저영양 상태 고령자를 위한 영양대책으로 개호식품 개발·보급(일본), 배식 서비스(영국), 반조리식품 배달 서비스(스웨덴) 등이 활성화되어 있고, 통합적 생활지원 서비스로 생활지원사업(일본), 홈케어 서비스(영국), 자립생활지원 서비스(스웨덴) 등이 실시되고 있다. 나아가 일본은 재택의료 서비스로서 개호, 의료, 주거, 생활지원, 예방이 일체적으로 제공되는 지역포괄케어시스템 구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완화의료 ·호스피스와 관련하여, 일본의 임종기 의료의 결정 프로세스는 몇 가지 기본원칙 하에 진행되고 있으며, 영국은 국민의료보험(NHS: National Health Service)의 돌봄시스템을 통해 존엄과 가치를 유지하면서 삶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사회적 고립으로 인한 고독사 방지를 위해 일본은 범정부 차원에서 다각적으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영국은 노노사회 에이전트를 활성화하고 있다. 죽음 준비와 관련하여 미국, 독일은 초·중·고 교과목으로 다양한 죽음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상황이며, `존엄한 죽음을 위한 선언서` 또는 `엔딩노트`는 실생활에서 참고할 만하다. 국민인식조사 결과, 생애말기 정책별로 정책 필요도(최저 87.4%, 최대 97.4%)와 정책 이용 및 추천 의사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정책적 관심도 제고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3. 결론 및 시사점 현행 노인복지정책에 대한 근본적 변화 모색이 필요하다. 전체 노인인구수 및 고령후기 노인의 급증에 따른 국가 노인복지 재정 부담을 감안하여 일반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보편주의에서 고령후기 노인에 중점을 두는 중점주의로 노인복지정책의 방향을 전환하는 것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 아울러, 장기요양 등급판정자 추이를 감안할 때, 시설보호가 아닌 재가보호 중심의 노인 장기요양서비스 정책 전환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본인이 거주하던 지역사회에 계속 머무를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고령후기 노인인구밀도를 감안한 지역 간 정책 차별화가 요구된다. 고령후기 노인인구가 2만 5천 명 이상인 시·군·구가 2015년 6개, 2026년 22개, 2037년 75개 등으로 확대되는 상황을 감안하여 시·군·구단위 노인복지정책 관련 민간 이양 사업 및 자체 개발 사업에 대해 고령 후기 노인 중심으로 선택과 집중을 꾀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급증하는 화장 수요에 대응하여 화장 시설 설치가 시급한데, 님비현상 극복을 위한 중앙 및 지방정부의 고심이 필요한 부분이다. 그 외, 생애말기 생활기반 안정(Well-Being) 정책 및 임종기 생애마무리 지원(Well-Dying) 정책과 관련하여 국내외 정책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각각의 정책 방안을 제언하였으며, 개괄적인 분석에 그친 한계점과 개별정책에 대한 심층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at looking into ways of improving policy support for those aged 80-plus in the final part of their lives. One`s end-of-life stage should be understood not as some segmented point in time that closely precedes one`s death, but as part of the continuum of one`s life that runs its course toward death. For that reason, policy support for oldest-older persons needs to be designed to help them not only to live well, but also to die well. Unlike oldest-older persons in some countries in the richer part of the world, where they are supported to spend the last days of their lives in the comfort of their own home, oldest-older Koreans, lacking policy support, mostly end up ending their lives in hospitals or long-term care establishments. Welfare policy on the elderly needs reshaping so that it can cover the elderly population in general and at the same time put in place support specific for oldest-older persons in their last phase of life.

      • KCI등재

        생애사 재구성 -남성노인의 생애사를 중심으로-

        양영자 ( Yeung Ja Ya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1 사회복지연구 Vol.4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이야기성에 주목한 생애사연구를 위해 남성노인의 생애사를 재구성하는 데에 있다. 이에 해당 생애사를 내러티브-생애사 인터뷰 분석방법에 따라 재구성한 결과, 이야기된 생애사는 ``독자로서의 의무가 이끄는 삶으로 엮여 들어가"독자 행세"를 하지 않을 수 없었던 삶``이라는 생애사적 관점에 따라 구성되고 있는 반면, 체험된 생애사는 ``자기주도적인 삶의 의지``를 관철시키는 삶을 살아온 것으로 구성되는 차이가 있음을 조절메커니즘에 의거해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양 생애사 간 차이는 생애사적 자기평가와 생애사적 실재성 간에 괴리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의거해, 이야기성에 주목한 생애사연구가 노인복지실천과 노인복지학 분야 생애사연구 방법에 함의하는 점을 논의하였다. The current study aims to reconstruct the biography of a male elderly for the biographical research, based on the narrativity.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ascertain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narrative-biographical interview: a life as told is constructed in a biographical perspective of life from the only son, who is oppressed by the duties for his role. On the contrary, a life as experienced is constructed with life from a self-determined point of view. Therefore it may be concluded that differences between the life as told and life as experienced stand for discrepancies between the biographical self-evaluation and the biographical reality. Some implications from this reconstructing biography, based on the narrativity, were addressed as regards welfare practice for the elderly and biographical research in the welfare for the elderly.

      • KCI등재

        기업공개자료를 활용한 고객자산과 재무적 성과의 비교

        송태호(Song, Tae Ho) 한국마케팅학회 2018 마케팅연구 Vol.33 No.3

        본 연구는 기존의 고객생애가치와 고객자산 측정 모형에 대한 논의 과정에서 소외되어 왔던 정확한 고객 가치 산출과 실무적 활용 증진을 위해 필요한 고객생애가치의 구성 개념들의 세부적인 측정 방법과 기준 그리고 이들이 어떻게 기업의 고객 관계 관리 전략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시장 데이터의 제한을 극복할 수 있는 기업 공개 데이터를 활용한 고객자산의 직접적 산정 방법을 제시하고 제시된 방법을 활용하여 추정된 고객자산과 기업의 실제 재무적 가치를 비교함으로써 고객자산 지표의 재무적 활용 가치에 대한 타당성을 재검증하고 나아가 고객관계관리 전략의 비교를 통해 마케팅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의 절차를 거쳐 수행되었다. 첫째, 기업 공개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객생애가치와 고객자산 측정을 위한 기초 자료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로부터 유지비용, 획득비용, 유지율, 획득률, 매출원가, 예상수익, 비용 상계 처리 등 고객생애가치 구성 요소의 세부적 추정 방법을 제안하고 제안된 세부 분류 기준을 바탕으로 고객생애가치와 고객자산을 추정한다. 둘째, 다양한 미래 고객 관계 기간에 따라 고객생애가치와 고객자산을 추정하고 이를 재무적 성과와 비교를 통해 적절한 고객 생애 기간에 대하여 논의한다. 셋째, 본 연구는 고객 생애 기간에 따른 장기적 고객 관계 관리의 효과성 특히, 기존 고객의 유지와 신규 고객의 획득의 상대적 가치를 비교함으로써, 어떻게 고객 생애기간의 적절한 정의가 기업의 고객 관계 관리 전략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보여줄 것이다. 본 연구는 일반적 회계 기준으로 비용을 공개하는 기업 공개 자료에서 어떻게 이를 구별하고 재산정할 수 있는지, 그리고, 중복된 역할로 인해 명확한 구별이 어려운 비용(예: 광고비)을 획득비와 유지비로 분리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비용 산정 방법론을 바탕으로 추정된 고객자산과 기업 가치를 비교하여 상관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제시된 방법론의 타당성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의 대상 기업의 경우 5년에서 10년 사이가 가장 적절한 고객생애 기간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고객생애가치와 고객자산 산정 시 여러 고객 생애 기간을 가정하여 고객생애 가치와 고객자산들을 산정하고 그 중 가장 적절한 고객 생애 기간을 결정하여 고객생애가치와 고객자산을 결정하는 접근 방식을 제안하였다. 또한, 추정된 전체 고객자산 중 유지 고객의 고객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신규 고객의 고객자산이 차지하는 비중보다 크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적절한 고객 생애 기간이 적용된 고객자산 추정 결과에서는 오히려 신규 고객 자산이 유지 고객 자산보다 비중이 더 높음을 보여줬고 이는 고객 유지 전략의 낮은 효율성을 잠재적으로 암시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기업이 처한 시장 환경에 따라 장기적 고객 관계 관리의 성과가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특히, 적절한 고객 생애 기간의 적용이 기업이 고객 관계 관리 전략의 방향에 지대한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tailed measurement methods and criteria of components of customer lifetime value (CLV) and customer equity (CE), which are necessary for the accurate estimation of customer value and its practical utilization, and how they affect the strategy of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CR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roposes a direct method of calculating CE using corporate disclosure data that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market data. By comparing the estimated CE with the actual financial value of the company, the validity of the CE is reassessed. Finally, this study suggests marketing implications through a comparison of CRM strategies using the following procedure. First, basic data for the measurement of CLV and CE are extracted from corporate disclosure data, and various customer-base components, including retention cost, acquisition cost, retention rate, acquisition rate, cost of goods sold, and estimated profit, are calculated. This study proposes a detailed classification of the components, and estimates the CLV and CE based o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Second, the CLV and CE are estimated according to various future customer relationship periods, and compared with firms` financial performance to calculate the appropriate customer lifetime. Third, the effectiveness of long-term CRM is examined in relation to customer lifetime, especially by comparing the relative value of retaining existing customers with that of acquiring new customers. This study suggests a methodology to distinguish the components of CLV from corporate disclosure data, and to separate costs (e.g., advertising costs) that are difficult to distinguish clearly due to the overlapping roles of acquisition costs and retention costs.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ology is verified by comparing the estimated CE with the firm value and confirming their correlations. As a result,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most suitable customer lifetime is 5 to 10 years for the target company. This study also proposes an approach to determine the CLV and CE by determining the optimal customer lifetime estimating the CLV and CE based on various customer lifetimes. In addition, the share of CE of retained customers among the estimated total CE is lower than the share of CE of new customers, and the share of new CE is larger in the appropriate customer lifetime. This result may imply potential low efficiency of customer retention strategies. This study suggests that CRM performance may be influenced by firms’ market environment, and that the application of an appropriate customer lifetime ma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RM strategy.

      • KCI등재

        생애사 연구의 자료기반 확장: 생애사 시간표를 활용한 구술 생애사 자료의 조직 및 분석

        한신갑 ( Shin-kap Han ),이상직 ( Sang-jic Lee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7 조사연구 Vol.18 No.2

        생애사 연구자들은 대개 특정 사건을 겪은 사람들이 자신의 삶을 어떤 식으로 이해하고 표현하는지에 관심을 두고, 그 생애 체험을 깊게 해석하려는 목적으로, 소수의 사례를 분석한다. 아직까지는 상대적으로 다수 사례의 생애사 자료로 생애이력을 비교하고 분류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관심이 적다. 이 연구는 생애사 연구의 방식을 확장해 보려는 시도의 일환으로, 생애사 시간표를 활용하여 생애이력을 비교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생애사 시간표는 주로 생애과정에 대한 조사연구에서 자료수집 용도로 사용되어 왔지만 이미 수집된 구술 생애사 자료를 조직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령이나 연도 단위로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는 축과 가족, 학교, 노동, 혼인 등의 범주로 구성된 주요생애 영역을 나타내는 축을 교차하여 만든 표에, 주요 사건의 발생 시점과 지속 기간을 표시하면 한 개인의 생애이력을 체계적으로 요약해 정리할 수 있다. 이렇게 요약된 사례별 생애이력을 모아 유사한 생애이력을 가진 사례들끼리 묶으면 하위집단별 생애이력의 패턴을 파악할 수 있어 개별 생애사의 특성을 집단 전체 생애사의 맥락에서 검토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노숙인 생애사 자료를 사례로 소개하면서 관련된 이론적, 방법론적 함의를 검토한다. The usual approach in life history research concerns how people understand and narrate their particular experience, and is typically implemented with a deep yet narrow focus on a small number of cases. As a result, how to organize, sort, compare, and map a large number of cases has yet to receive much sustained attention. We propose a method to scale it up-life history calendar. We are particularly interested in applying it to repurpose existing oral history archive. The calendar we showcase here is constructed in tabular format to summarize individual information on various life history domains, such as family, school, and work, over time. Using the oral history archive data on 60 homeless people, we sort and group them to produce an interpretable framework that charts various paths to homelessness, and within which individual life history can be meaningfully contextualized. We conclude with a discussion on its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mplications.

      • KCI등재

        생애사 연구를 통한 노년기 삶의 이해

        한경혜(Kim, Gyounghae) 한국노년학회 2004 한국노년학 Vol.24 No.4

        이 글에서는 노년기 삶에 대한 연구방법으로서 최근 학문적 관심과 적용이 급증하고 있는 생애사(life history) 방법 및 생애사 자료분석에 유용한 이론적 관점으로 생애과정 관점(Life course perspective)에 대해 소개하고, 한국노인의 삶을 이해하는데 적용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생애사 방법은 노인들의 과거 삶의 과정에서의 구체적 선택과 행동이 현재의 삶의 질 및 삶에 대한 해석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이해하는데 유용한 연구방법인 것으로 주목받으면서, 최근 서구 및 일본의 노년학 분야에서 그 적용이 급증하고 있는 연구방법이다. 반면 한국에는 노년학 연구방법으로서의 생애사 연구 및 이론적 분석틀로서 생애과정 관점에 대한 소개조차 체계적으로 이루어 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러한 국내연구의 제한점에 주목하여 이 글에서는 생애사 방법의 적용에 있어 중요한 몇가지 방법론적 이슈들과 노년기 현재의 삶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생애사 자료가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 제시해 보았다 나아가서 생애사 방법을 적용하여 수행된 연구의 예를 통하여 노인들이 과거에 경험 전환점적 사건의 경험이 아직도 진행형의 형태로 현재 살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줌으로서, 노년기 삶의 질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위해서 생애과정 전체의 맥락에서 노인들의 삶을 접근해야할 필요성 및 생애사적 연구의 유용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life history method as a useful methodological tool for studying the lives of old people. With the emergence of a life course perspective, there has been increased use of life history method in the area of gerontology in Japan and western countries, as researchers in the field became mo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historical context, individual subjectivity and lived experience of old people. Yet, there are few studies applying the life history method for studying the lives of old people in Korea. In this study, employing the example from our own research, the ways in which life history method can be utiliz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the lives of Korean elderly are illustrated. Also, the key assumptions and characteristics of life course perspective as a conceptual means analyzing life history materials are discussed. It was shown that the quality of life and adaptation in later life reflect the ways in which elderly interpret their past experience-life events, transitions, and choices the elderly people make -in order to maintain a sense of personal coherence and continuity over time. In this regard, it was argued that the life history represents an exemplary method for studying how presently remembered past, experienced present, and anticipated future provide elderly with a continuing sense of personal integrity.

      • KCI등재

        생애그래프를 통해 본 농촌여성노인의 생애과정유형과 생애사건

        정숙정(Jung, Sook Jung) 한국농촌사회학회 2018 農村社會 Vol.28 No.2

        이 연구는 A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농촌여성노인 30명의 생애과정을 분석한 연구이다. 먼저 생애그래프를 통해 생애과정을 유형화하고 생애사건의 의미를 분석했다. 농촌여성노인들의 생애과정 굴곡 유형은 ‘U형"으로 나타났다. 농촌여성 노인을 농업종사자와 비농업종사자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농업에 종사하는 여성노인들의 생애과정 굴곡은 ‘추락형’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영업 등 유급경제활동 여성노인은 ‘상승형’의 굴곡을 보였으며, 무급노동 여성노인의 생애과정은 다소 부침하는 ‘W형’으로 나타났다. 생애그래프와 구술 자료에 나타난 생애사건을 분석하여 의미를 추출한 결과 ‘비자발적 결혼과 가부장적 기질의 남편’, ‘자녀와 분리되지 않은 삶’, ‘가난과 이중노동’이 주요 의미로 나타났다. 자녀에 대한 특별한 의미, 결혼과 남편의 가부장적 기질로 인한 고통, 과도한 생산·재생산노동은 농촌여성노인들이 공유하는 경험이었다. 농업에 종사하는 여성노인의 생애과정에는 남편의 가부장적 기질, 힘겨운 이중노동의 수행, 경제적 자율권이 없는 빈곤상태가 더욱 심하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국내에서는 연구방법으로 활용된 적 없는 생애그래프 그리기를 활용하여 생애구술을 이끌어내고 농촌여성노인 간의 이질적 생애과정을 드러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lifestyle pattern of 30 numbers of elderly rural women aged 60 years or older living in area A. First of all, through the life-graphs, typed the life-course patterns and analyzed the meaning of life events. The type shown in the life-course pattern of rural elderly women was "U" type. As a result of analyzing rural elderly women as agriculture workers and non-agriculture workers, the life-course pattern of elderly women engaged in agriculture was "descending" type. On the other hand, the elderly women with paid economic activity such as self-employed were "ascending" type, and the life course of the elderly women without paid work was fluctuating "W" type. The analysis of the life events in the life-graph and life stories showed that "non-spontaneous marriage and husband"s patriarchal temperament", "life not separated from their children", "poverty and dual labor" were the main meanings. The special treatments for children, the pain caused by marriage and husband"s patriarchal temperament, and excessive production and reproduction labor were experiences shared by rural elderly women. The poverty of the elderly women who are engaged in agriculture, the patriarchal temperament of their husbands, the hard work of dual labor, and the lack of economic autonomy became more seve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raws a life story using life-graph drawing which has never been utilized as a research methodology in Korea and revealed a heterogeneous life events among rural elderly women in rural areas.

      • KCI등재

        근대기 한 반가 출신 여성의 생애 경험과 기록 -정명현의 생애가사를 중심으로-

        천혜숙(Chun, Hye Sook)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5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0

        정명현의 생애가사들은 반가 여성으로서는 몰락에 가까운 삶을 살았던 그녀가 일제강점기, 해방, 6.25전쟁, 그리고 근대화로 이어지는 격변의 근 현대사를 몸으로 성찰한 자전 기록이다. 정명현은 50대, 회갑, 칠순의 시점에서 모두 네 편의 생애가사를 썼다. 비록 개인의 자전이지만 그 개인의 사회적 문화적 정체성에 근거하여 일종의 전형성이 확보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네 편의 생애가사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근대기 여성이 구 장르인 가사로 이루어낸 문학적 발언이라는 점도 주목된다. 이는 ‘근대’라는 새로운 시대와 ‘가사’라는 구 장르의 만남이 어떤 조화 또는 길항을 보이는가의 문제와 연관되는 것으로, 한국 근대문학사 서술에서 더 적극적으로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정명현은 가족과의 별거, 남편의 이른 죽음, 극심한 생활고와 관련된 기억들을 자신의 생애가사에다 담아 냈다. 그녀의 생애가사들은 기억의 선택뿐 아니라, 선택된 기억들을 한편의 서사로 형상화 하는 방식에서, 전 시대 및 당대 동류 여성들에 의해 씌어진 자전류 가사들과 적지 않은 차이를 드러낸다. 이러한 차이는 그녀의 생애 경험이 워낙 독특한 이유도 있겠지만, 오히려 그녀의 독실한 가사 학습 이력과 뛰어난 문학적 재능, 그리고 남다른 역사의식과 현실 인식에서 연유된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그녀의 생애가사는 특정 시대 중심의 순차적 서사, 다양한 공간 기억의 병치, 선택된 기억의 확장과 심화, 마지막으로 일상적 삶의 리얼리티와 같은 특징을 지니게 된다. 이것이야말로 그녀의 생애가사가 지닌 근대적 국면이라 할 만하다. 40여 년의 객지생활에서 36회에 걸쳐 이사를 했을 만큼 정처없는 삶을 살았던 정명현이 그런 혹독한 가난 속에서도 끝내 가사를 손에서 놓지 않았던 것은 반가 출신 여성으로서 마지막 자존과도 같은 것이었다. 네번이나 거듭 생애가사를 기록한 것도 자기 정체성의 면에서 나름의 절박함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 절박함은 자녀들에게로 전이된다. 그녀가 가사 작품 속에서 수시로 자녀들과 대화를 시도하는 것은 어머니로서 자신의 삶을 해명하고 이해받고자 하는 욕구가 있었기 때문이다. 나아가서는 그녀의 가사 창작이 문학의 사회적 효용과 기능에 대한 분명한 성찰을 전제로 이루어졌다는 점도 주목된다. 소장해 온 가사를 모은 자료집과 더불어 자신의 창작 가사집을 제책본 형태로 묶어낸 것도 그러한 성찰이 바탕이 된 것이다. 따라서 정명현은 근대 가사 작가로 평가될 만하지만, 그녀의 다른 창작가사 작품들에 대한 논의가 보완될 필요가 있다. Myeonghyeon Jeong's narratives of her life experiences were her biographical records which she was faced with in the middle of fluctuations of modern times such as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the Liberation of Korea from it, the Korean Civil War and modernization. This study is part of research on discourse aspects of life experience narratives, taking notice of the fact that Myeonghyeon Jeong repeatedly wrote about her life experiences in important cycles of her life. Though life experience narratives are personal biographies,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se narratives were based on personal socio-cultural identities, securing a kind of typicality, and that it is necessary to deal more meaningfully with these old prosodic narratives -‘GASA of life’- written by a woman of modern times in 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It is notable to see how the age of modern times, which was a new concept of the time, could match or contrast with the old literary genre, GASA. Myeonghyeon Jeong wrote about her separation from her family, her husband's untimely death, and the unbearable hardships of life. She showed her selected memories of those experiences in her four works. Her life experience narrativ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ther biographical narratives by contemporary female writers in the way of structuring and embodying her selections of memories and using memories themselves to create the narratives. It is thought that this was not only because her life experiences were very unique but because she learned eagerly to write‘GASA’and recognized the historical realities in her own way with excellent literary talents. She was so badly off that she moved thirty six times in forty years. Nevertheless, she never ceased writing GASAs, which showed her self-respect as a person from a noble family. The fact that she wrote four narratives of life experiences showed that she was very desperate for her true identity. Also, her desperateness was related to her children. She tried to communicate with her children through her narratives, which revealed her desire to explain her life as mother and to be understood by her children. What was more notable was that her writing of life experience narratives was based on her recognition of the social usefulness and function of literature. Such awareness was the ground on which Myeonghyeon Jeong printed several GASAs in some books which she created and collected during her life. In this respect, Myeonghyeon Jeong can be regarded as a GASA writer of modern times, but it is necessary to wait for criticisms of her other works and her literary activities.

      • KCI등재후보

        일본 생애학습(生涯學習)의 연구동향 -『일본생애교육학회연보(日本生涯敎育學會年報)』 2004-2013년을 중심으로 -

        정일선,최은수 숭실대학교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2015 평생교육 · HRD연구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이 겪고 있는 저 출산, 고령화 등의 사회문제를 먼저 겪어 왔고 그 해결점을 평생교육(平生敎育)에서 찾아 그 해결 사례가 비교적 축적되어 있는 일본의 생애학습(生涯學習)의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평생교육(平生敎育)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 그 연구의 방향성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일본의 평생교육(平生敎育)에 관한 중요한 학회지라 할 수 있는 ‘일본생애교육학회(日本生涯敎育學會)’에서 발행한, 『일본생애교육학회연보(日本生涯敎育學會年報)』에 게재된 논문 중 권두언과 포럼 발표 자료를 제외한 137편을 대상으로 그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준거는 한국과의 비교가 용이하도록 이지연(2013)의 도구를 이용하되, 지역 및 대상 등은 일본의 상황을 고려하여 조금 수정하였다. 분석결과, 논문저자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비율이 48.7%로 수도권 집중이 심한 편이며, 논문저자의 소속은 대학이 64.3%였고, 정부 및 기관이 29.9%였다, 연구대상은 기관을 대상으로 한 논문이 27.0%이며,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17.5%였다. 연구주제별로는, 평생교육자 및 평생학습 담당자, 평생교육기관 및 현장, 평생교육제도 및 정책에 관한 연구가 12.4%, 28.5%, 19.7%로 많았으며,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질적연구가 62.0%, 20.4%로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 of research on the lifelong learning of Japan that has experienced social problems such as low-birth rates, aging, etc. as Korea now has and accumulated best solution practices and to find out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f Korean lifelong education.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examined a total of 137 papers with the exception of prefaces and forum presentation published in the yearbooks of Japan's Lifelong Education Association, one of the leading academic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of Japan. For the analysis criteria, the analytical tool by Lee(2013) was utilized by a little modification of areas and subjects of Japan's situation to be easily compared with conditions in Korea.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48.7% of the authors of research papers lived mainly in the capital city and its metropolitan areas. The institutions of authors were 64.3% belonging to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29.9% to the government and public organizations. The areas of research subject were 27.0% to organization-oriented and 17.5% to adult learners-oriented. By classification of research topics, lifelong educators and practitioners,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and field, and lifelong education systems and polices were 12.4%, 28.5%, 19.7% in the top list. The research methods were 62.0% to the literature review and 20.4% to the qualitativ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