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명력’과 역사의식의 간극―김우진의 ‘생명력’의 사유와 일본의 생명담론

        권정희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1 한국민족문화 Vol.40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speculation of‘Life force’of dramatist yujin kim. A characteristic of the drama work of yujin kim is to have regarded Life force as the subject. This article considered it how his speculation of Life force and reality recognition to link in various criticism and the essay and the diary of yujin kim., especially on the extension of the discussion that‘rhythm of the Lifeforce’ of yujinkim’s SanDoeji(A wild boar)(1926) was elaborated in consonance with philosophy of the life of Bergson. There seems to be gaps between the reality recognition and the speculation of the ‘Life force’, such as summarization as the‘Life force’ and collision of the history awareness in the precedent study. A keyword of the life characterizing the Taisho era in Japan becomes the clue on thinking about this gap. In addition, the philosophy of the‘Life force’ of the Taisho era gave us the suggestion that was effective the class consciousness of yujin kim and the analysis over relations between the recognition of an individual and the community. As a result, that makes it possible to depths-like appreciation that speculation of‘Life force’ of yujin kim has been corresponded to the philosophy of Bergson in the same period. 이 글의 목적은 극작가 김우진의 ‘생명력’의 사유를 분석하는 것이다. 김우진의 희곡 작품 세계의 특징은 생명력을 주제로 했다는 점이다. 이 글에서는 김우진의 <산돼지>(1926)의 ‘생명력의 리듬’의 스케치가 베르그송의 생의 철학과 공명하는 사유 안에서 구상된 것임을 해명한 논의의 연장선상에서 그의 평론․수상․일기 등의 현실 인식과 생명력의 사유가 어떻게 접속되는지 규명했다. 선행연구에서 ‘생명력과 역사의식의 충돌’로 요약한 바와 같이 여러 논고의 현실 인식과 ‘생명력’의 사유는 간극이 존재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 차이를 생각하는 데 일본 다이쇼 시대를 특징짓는 생명의 키워드가 단서가 된다. 또한 다이쇼 시대의 생명력의 철학은 김우진의 계급의식과 개인과 공동체 인식의 관계에 대한 분석에도 유효한 시사를 준다. 그 결과, 김우진의 생명력의 사유와 베르그송과 동시대의 생명력의 철학이 맺는 관계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이해가 가능하게 되었다.

      • KCI등재

        ‘생명력’과 역사의식의 간극

        권정희(Kwon, Jung-Hee)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1 한국민족문화 Vol.40 No.-

        이 글의 목적은 극작가 김우진의 ‘생명력’의 사유를 분석하는 것이다. 김우진의 희곡 작품 세계의 특징은 생명력을 주제로 했다는 점이다. 이 글에 서는 김우진의 <산돼지>(1926)의 ‘생명력의 리듬’의 스케치가 베르그송의 생의 철학과 공명하는 사유 안에서 구상된 것임을 해명한 논의의 연장선상에서 그의 평론?수상?일기 등의 현실 인식과 생명력의 사유가 어떻게 접속 되는지 규명했다. 선행연구에서 ‘생명력과 역사의식의 충돌’로 요약한 바와 같이 여러 논고의 현실 인식과 ‘생명력’의 사유는 간극이 존재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 차이를 생각하는 데 일본 다이쇼 시대를 특징짓는 생명의 키워드가 단서가 된다. 또한 다이쇼 시대의 생명력의 철학은 김우진의 계급의식과 개인과 공동체 인식의 관계에 대한 분석에도 유효한 시사를 준다. 그 결과, 김우진의 생명력의 사유와 베르그송과 동시대의 생명력의 철학이 맺는 관계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이해가 가능하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speculation of ‘Life force’ of dramatist yujin kim. A characteristic of the drama work of yujin kim is to have regarded Life force as the subject. This article considered it how his speculation of Life force and reality recognition to link in various criticism and the essay and the diary of yujin kim., especially on the extension of the discussion that ‘rhythm of the Lifeforce’ of yujinkim’s SanDoeji(A wild boar)(1926) was elaborated in consonance with philosophy of the life of Bergson. There seems to be gaps between the reality recognition and the speculation of the ‘Life force’, such as summarization as the ‘Life force’ and collision of the history awareness in the precedent study. A keyword of the life characterizing the Taisho era in Japan becomes the clue on thinking about this gap. In addition, the philosophy of the ‘Life force’ of the Taisho era gave us the suggestion that was effective the class consciousness of yujin kim and the analysis over relations between the recognition of an individual and the community. As a result, that makes it possible to depths-like appreciation that speculation of ‘Life force’ of yujin kim has been corresponded to the philosophy of Bergson in the same period.

      • KCI등재후보

        생명력 회복을 위한 미술교육-교수,학습 방법 연구: 일본 학교현장을 중심으로-

        김성숙 ( Sung Sook Kim ) 한국예술교육학회 2009 예술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의 생명력(살아가는 힘)에 관한 일고찰을 통해, 현재 학교교육현장에서 상실해가고 있는 어린이들의 생명력의 회복을 지향하고, 자연체험과 감성에 기초한 미술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에 의해 어린이의 생명력과 창의적 표현력의 향상을 함께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조사·실험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내용은, 생명력 회복을 위한 미술교육의 의미를 고찰하고, 일본의 미술교육현장에 참여하여 다양한 수업사례를 관찰·분석하였으며, 특수아(특별지원학교)를 대상으로 감성을 살린 조형 활동 즉, 신체를 열어가는 조형 활동과 자연체험을 통한 활동을 직접 수업 실천하였다. 그 과정에서 어린이들의 이미지의 확장과 표현력의 향상에 대해 고찰하고, 나아가 그것들의 원동력이 되는 생명력의 회복과 신장을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감성을 살린 조형 활동은 어린이들의 내면의 이미지를 풍부하게 하고, 창조적 발상과 표현능력, 생명력을 높일 수 있었다. 즉, 미술교육을 통해 1. 어린이가 자신의 내면의 이미지를 마음껏 개방하고, 2. 자신감을 갖고 창의적으로 표현하며, 3. 원활한 소통능력과 행복한 생명감을 분출함으로써 생명력이 회복되고 고양되는 성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미술교육의 표현활동과정에서 각자의 내면에 생성되는 기쁨의 감정이 개개인의 생명력 증진과 통합적인 정서 치유의 원동력이 될 수 있도록, 생명력 회복을 위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ise the strategies for the revival of liveliness of the dehumanized child, who were living in the deteriorated school environment, and was to explore the methods for the increasement of living power and creative competency of expression through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of sensitive arts education. The research methods involved were literature reviews on living power of human beings, and survey and quasi-experiment methodology. 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composed of the definition of living power, a case study on elementary arts education in Japan, and analysis on the quasi-experiment. The subjects of experiment were the special children in the special aided school in Japan. The involved activities of experiment were included a moulding activity based on sensitivity, expressive body activity and nature experiences. The researcher had observed the increasement of expressive power and image expansion of the children. In the process of experiment, the researcher had tried to increase the power of liveliness of the subjects. The findings of the study revealed that a moulding activity based on sensitivity enriched the inner image of the children. The activity had also increased a creative idea and expression, and power of liveliness. By devised arts education, 1) the children involved opened their inner images as much as they like, 2) expressed their own ideas creatively and confidently, and 3) increased power of liveliness through harmonious communication and effusion of happy liveliness. The feelings and joyfulness which were created in the process of activities, became the driving forces for the increasement of individual liveliness and an integrated healing power of emotion.

      • KCI등재

        "생명력의 리듬"의 형식 -김우진의 <산돼지>

        권정희 ( Jung Hee Kwon ) 반교어문학회 2011 泮橋語文硏究 Vol.0 No.30

        이 글은 김우진의 희곡 <산돼지>(1926)를 작가의 구상과 관련지어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려는 것이다. 수산은 전3막으로 된 희곡 작품을 "생명력의 리듬"으로 구상하여 스케치 한 바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생명력의 리듬"의 극 구성 원리와 그 의미를 분석했다. 그 결과 그의 "생명력의 리듬"은 베르그송의 생의 철학과 공명하는 사유 안에서 구상되었음이 명확해졌다. 김우진의 극의 내용과 형식의 구상은 베르그송의 생의 철학에서 도출된 것이다. 또한 김우진이 <산돼지>를 "행진곡"이라 명명한 것도 자신의 생애를 "생명력의 리듬"으로 재구성했기 때문이다. 희곡 <산돼지>의 연애와 자기 정체성의 두 축은 "생명력의 리듬"을 구성 원리로 하는 체계에서 구성된다. 특히 제2막 몽환 장면에서 높은 파고의 곡선이 그려지는데 이것은 극의 생명력의 분출과 관계한다. 또한 제3막에서 직선에 가까운 낮은 선이 지속되는데, 이는 베르그송의 ``순수지속``의 상태인 "참 앎"의 존재를 나타내는 것이다. 수산의 생을 관통하는 "lifeforce인가, reason인가"라는 고뇌가 담겨진 이 텍스트는 수산 개인의 정신적 편력의 여정을 형상화하는 의미를 갖는다. 또한 한국문학이 계몽에서 개인의 감각으로의 전회를 내재하는 의미를 함축한다. 1920년대 조선 현실을 변혁하려는 청년들을 모델로 추상화한 새로운 ``개성``에서 뜻밖에 공동체와 갈등하는 청년의 내면의 소리와 조우하게 된다. This paper aims at offering another interpretation about a drama SanDoeji(A wild boar) (1926) of Kim,Yu-jin, which is attempt to consider the design of the writer in connection with the interpretation of Text. Kim, Yu-jin had sketched and elaborated "the rhythm of the lifeforce" of whole three books. This article analyzed the constitution principle of "the rhythm of the internal Lifeforce" and the meaning. As a result, as for "the rhythm of the internal Lifeforce" of Kim,Yu-jin, it is certain that it was derived from speculation and consonance with philosophy of life of Bergson. The reason why Kim,Yu-jin named a SanDoeji as "march" was that he reconstituted his life in "the rhythm of the internal Lifeforce". Two axes of the love of a SanDoeji and one`s identity are composed of "the rhythm of the internal lifeforce" as a constitution principle. Specifically, the curves of high wave and phantasms in the second scene are concerned with a spout of the vitality of the drama. Furthermore, in the third curtain, the low line, which is almost a straight line continues, represents a state of "duree pure" of Bergson. This work of a suffering carried through Kim, Yu-jin`s life, "lifeforce or reason?", means the itinerary of his own mind journey. Besides, this includes that Korean literature evolved to the personal sense from enlightenment. In this course, young men`s models to revolutionize Korean reality in 1920s come to meet with an internal sound to do a community and a tangle; appear.

      • 나선운동과 생명력 표현에 관한 연구

        김정숙 한국꽃예술학회 2012 한국꽃예술학회지 Vol.18 No.-

        덩굴식물을 대상으로 곡선과 나선운동에 의하여 운동성,반복성,방향성,속도성,지속 성,공간의 확산성 등의 특성을 강조하여 구성함으로써 왕성하게 성장하는 생명력을 표현 하고,그 결과를 형태, 운동, 질감, 색채 등의 조형적 특성을 관점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 음과 같다. 곡선형태와 나선형태의 변화 있는 반복구성에 의하여 통합된 역동적 유기체를 형성함 으로써 왕성하게 성장하는 생명력이 표현되었다. 다양한 곡선형태와 나선형태의 구성에 의한 동적 구조에서 방향과 속도와 시간의 변화 속에서 지속되는 생명력 있는 역동감이 연출되었다. 강인한 금속,견고하고 거친 칡덩굴, 유연하고 섬세한 살아 있는 잎과 꽃에 의해 표면 질감의 대비로 생명력과 성장력이 증대되었다. 나뭇가지의 갈색, 잎의 녹색, 담적자색의 꽃에 의하여 살아 있는 나무의 생장에서 오는 신선한 생명력이 구현되었다. 이와 같이 나선운동과 생명력 표현에 관한 지시적 가설은 검증되었다.

      • KCI등재

        한국교회 다음 세대 위기에 대한 대안 모색

        이규민(Kyoomin Lee)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5 신학논단 Vol.81 No.-

        This study aims to reconstruct church education for the life and the vitality of next generation. Based upon the reconstructive structure proposed, this study also endeavors to provide salient suggestions with which the vitality of next generation can be restored in an effective manner. This study undertakes procedures for the inquiry to be reinforced by preparatory steps for the line of thoughts. First, this inquiry looks for the spheres and direction for the desirable change. Second, in order to provide a foundation of the inquiry meanings and definitions of life and vitality are investigated from biblical and Christian world view. Third, this inquiry provides a biblical paradigm for the restoration of the vitality of faith community as appeared in the book of Ezekiel specifically in chapter 37. Based upon these investigations this study endeavors to reconstruct church education and provide salient suggestions for the restoration of the vitality of next generation. Basically the key structure for the creative church education can be epitomized by the complementary integration of bipolar realities such as word & prayer, tradition & novelty, ecclesia & koinonia, and school & camps. All these can be summed up by a metaphor of “the Oval Church.” Compared to “the Triangle Church” or “the Circle Church,” “the Oval Church” includes lots of constructive insights and implications. As a final step this study suggests constructive ideas centering around the dynamism of koinonia and envisioning communities comprised of parents, children, teachers, and students. This study aims to reconstruct church education for the life and the vitality of next generation. Based upon the reconstructive structure proposed, this study also endeavors to provide salient suggestions with which the vitality of next generation can be restored in an effective manner. This study undertakes procedures for the inquiry to be reinforced by preparatory steps for the line of thoughts. First, this inquiry looks for the spheres and direction for the desirable change. Second, in order to provide a foundation of the inquiry meanings and definitions of life and vitality are investigated from biblical and Christian world view. Third, this inquiry provides a biblical paradigm for the restoration of the vitality of faith community as appeared in the book of Ezekiel specifically in chapter 37. Based upon these investigations this study endeavors to reconstruct church education and provide salient suggestions for the restoration of the vitality of next generation. Basically the key structure for the creative church education can be epitomized by the complementary integration of bipolar realities such as word & prayer, tradition & novelty, ecclesia & koinonia, and school & camps. All these can be summed up by a metaphor of “the Oval Church.” Compared to “the Triangle Church” or “the Circle Church,” “the Oval Church” includes lots of constructive insights and implications. As a final step this study suggests constructive ideas centering around the dynamism of koinonia and envisioning communities comprised of parents, children, teachers, and students.

      • KCI등재

        鄭誧 詩에 나타난 生命本質 및 生命欲求에 대하여

        유호진(Ryu Ho-ji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6 동양한문학연구 Vol.23 No.-

          鄭?의 詩에 대한 연구는 시인의 불우한 삶과 작품을 직접적으로 연계하여 해석하는 쪽으로 치우쳐 있었다. 본고는 이러한 연구방법에서 벗어나 작품에 나타난 이미지와 정서를 분석함으로써 정포 시의 高妙함과 아름다움을 해명하고자 한 것이다. 시인의 시에서 주목되는 이미지는 꽃ㆍ빛ㆍ산 등 생명력을 드러낸 이미지들과, 새ㆍ길ㆍ물 등 고요함을 상징하는 이미지들이다. 이들은 자연생명이 지닌 두 가지 생명 본질을 시사한다.<BR>  시인이 두 가지 생명본질 가운데 생명력에 더 주목하고 있었다는 사실은 꽃의 이미지나 아름다운 여인의 형상을 묘사한 그의 개성적인 작품들이 생명력을 현시한다는 점에서 드러난다. 특히 시인은 남녀의 이별을 극화하여 순수한 사랑의 정감을 노래함으로써 인간의 생명욕구를 드러내었다. 또한 자연물의 생명력과 이를 관조하는 데서 오는 환희를 노래하여 자신의 생명욕구를 암시하기도 하였다. 그러므로 아름다운 여인, 악기와 노랫소리, 자연경물 등을 묘사하여 그의 風流를 묘사한 시는 생명욕구 즉 생명력 회복에의 지향을 시화한 작품들이라 할 수 있다.<BR>  중요한 사실은 이러한 생명욕구가 세속적인 욕망과 구별된다는 점이다. 시인은 작품을 통해 생명본질인 고요함을 획득하였을 때 이러한 생명욕구를 온전하게 발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요함은 ‘無思’로부터 비롯된다는 자신의 통찰을 전하였다. 결국 이러한 통찰은 시인의 시가 老子思想에 뿌리를 두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는 노자사상의 영향을 받아 ‘利欲으로 얼룩진 세계’를 거부하고 자연스러운 생명욕구에 따라사는 삶을 추구하였던 것이다.   A study on Jeongpo(鄭?)"s poems evaluated high has had a bent for interpretation of his works by directly connecting the unhappy life of the poet to his work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dexterity and beauty of Jeongpo"s poems by escaping from such a study view and analyzing images and emotion represented in this works.<BR>  The images indicated in the poet"s poems are those showing vitality such as flower, light, mountain etc and those symbolizing calmness such as a bird, road, water etc. They implies not simple vigor and calmness but two types of life essence contained in natural life. The fact that the poet directed more attention to vigor of the two essential elements is revealed in that his peculiar works which depicted an image of an flower, a shape of a beautiful woman, sound of a song, etc. shows vigor. Especially, the poet represented life desire able to be called essence of vigor to the human by dramatizing a separation between man and woman and singing pure love. Also, the poet implied his life desire by singing vitality of natural things and delight in contemplating them.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poems that represented a beautiful woman, a musical instrument, sound of a song, scenery, etc. did not express simple romance but poeticize life desire, that is, the recovery of vitality.<BR>  The important fact is that such life desire is differentiated from various desires which derived from distinguishing between loss and gain, and good and evil. The poet, through his works, conveyed his insight that when calmness, another life essence, was obtained, such a life desire can be appropriately revealed and such calmness derived from thoughtlessness. At last, such an insight implies that the poems of the poet is rooted in Taoism. To resist the world full of individual avarice, he sought life essence of all things under the sun following Taoism and sought a life according to a natural life desire.

      • KCI등재

        근대초극론에서 ‘도의적 생명력’의 의미 - 생명과 주권의 만남 -

        김태진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0 일본학 Vol.52 No.-

        This paper tries to deal with the concept of ‘moralische energie’, which was widely circulated in Japan during the wartime. This phrase, which has been borrowed from the concept of LANKE, has so far only interpreted as totalitarianism to build a moral world against Western hegemony. However, throughout the Overcoming Modernity’ Symposium(1941~1942), the concept of ‘moralische energie’ has been used in various ways like “healthy life force,” “healthy morality,” “fresh life force,” “healthy life feeling,” “national life force,” “healthy life force,” “healthy life’s counterattack” and so on. In this various ways, “life” or “health” are used together with “morality”. If so, we should put an emphasize on the concept of “life” rather than “morality”. This paper tries to examine the two questions; Why this translated word came to be used with the concept of life, and by doing so what they were trying to say? By answering these questions, this paper would like to approach the reality of the socalled “overcoming modernity” discourse. 본 논문은 전간기 일본에서 많이 회자되었던 ‘모랄리세 에네르기’(moralische energie)라는 개념에 대해서 다루고자 한다. ‘도의적 생명력’으로 번역되는 이 말은 원래 랑케의 개념에서 가져온 말이었다. 지금까지는 ‘모랄리세 에네르기’에 대해서 ‘도의적’ 측면에만 한정해 근대초극론을 해석해왔다. 즉 서양의 패권적 지배에 대항해 일본은 도의적 세계를 건설하겠다는 명분 속에서만 읽어온 것이다. 하지만 이 말이 <세계사적 입장과 일본>의 좌담회 내내 ‘건강한 생명력(健康な生命力)’, ‘건강한 도의감(健康な道義感)’, ‘신선한 생명력(新鮮な生命力)’, ‘건강한 생활감정(健康な生活感情)’ ‘민족의 생명력(民族の生命力)’ ‘건강한 생명의 반격(健康な生命の反撃)’ 등으로 변주되면서 보다 다양하게 ‘생명’, ‘건강’과 같은 개념과 함께 쓰이고 있다고 할 때 오히려 주목해야 할 것은 ‘도의’라기보다 ‘생명’일지 모른다. 그렇다면 ‘도의적 생명력’에서 생명이 의미하는 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왜 이 말이 생명과 함께 쓰이게 되었는지, 그리고 이 때 생명을 말하면서 그들이 말하고자 했던 바는 무엇일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른바 근대초극론의 잡히지 않는 실체에 접근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한승원 소설에 나타난 여성 형상과 시원적 생명력

        정미경 ( Mi-gyeong Jeong ) 배달말학회 2016 배달말 Vol.58 No.-

        한승원의 소설에서 바다는 빛과 어둠, 생명과 죽음 등과 같이 대립적인 이미지들이 서로 연결되어 끝없이 순환한다. 이는 우주적 율동으로서의 자연의 질서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승원의 소설에서 성은 바로 이러한 바다를상징적으로 드러낸다. 따라서 한승원의 작품에서 성은 생명유지로서 종족보존으로서 원초적이고 본능적인 것으로 표출된다. 한승원은 성을 가학과 피학으로 보고 생명력의 예찬 혹은 우주적 율동의 비의(秘意)로 읽는다. 이 때그 율동의 시원은 우주적 자궁으로 이는 생산, 생식을 위한 율동이다. 한승원은 인간의 생명은 신비로운 우주의 시원적 생명력과의 접촉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한 부분이라고 보고 그 곳과의 접촉 통로로 성을 제시하고 있다. 한승원의 작품에서 시원적 생명력은 우주의 율동 원리로 그것은 자연과 인간에게 내재된 변증법적 극복의지로 작용한다.한승원의 여성성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친 것은 일차적으로 이와 같은 자연의 바다 생명체와 갯가 사람들이며 다음으로 어머니와 누나 아기업개들이다. 한승원은 엄한 아버지 아래서 주눅 들린 채 성장하면서 하고자 하는 일마다 거부당하였는데 그 때마다 어머니의 적극적인 도움에 의해 뜻을 이룰 수 있었다. 어머니의 헌신적 희생에 대한 강박과 부채의식으로부터 생겨난 어머니 콤플렉스는 그의 문학적 화두들 중 한 요소로 여성성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쳤다. 한승원은 어머니 콤플렉스를 극복하고자 하는 과정에서 인간에게 내재된 생명력에 주목했다. 어린 시절을 함께 했던 누님과 아기업 개는 생계를 꾸렸던 어머니를 대신하여 사랑을 주었으며 한승원으로 하여금 성에 눈 뜨게 했던 여인들이었다. 한승원의 소설에서 성과 사랑은 대체로 육체적 사랑을 기초한 에로스적 사랑으로 가학과 피학의 형태로 형상화되며 가학을 자행하는 남성을 피학 대상인 여성이 포용함으로써 궁극에는 아가페적 사랑에 이르는 것으로 확장된다. 한승원의 작품에는 대부분 폭압적인 남성들에 의해 유린당하는 여성들이 등장한다. 이때 그 남성들을 포용하고 훼손된 성을 치유하는 것은 상처 입은 여성들의 질긴 생명력이다. From Han Seung-won``s novels, it was found that the sea cycle happened constantly by connecting mutual oppositive images like light and darkness, life and death, and so on. This meant the natural order like cosmic rhythm, and sexuality shown in Han Seung-won``s novels symbolized the above-mentioned sea. Sexuality was expressed as the origin of basic and vital things for life maintenance in his works. Han Seung-won regarded sexuality as the secret meaning of cosmic rhythm or the cult of vitality. In addition, he regarded sexuality as the aesthetics composed of sadism and masochism, which was cosmic rhythm. It was found that the origin of rhythm was regarded as cosmic womb, which meant the rhythm for birth and procreation. It was regarded that the life of human came from the contact with the original vitality of mysterious universe, so sexuality was suggested as a way to contact with it. The original vitality was a fundamental principle in cosmic rhythm, and it was the dialectical will to overcome within human. Firstly sea creatures and villagers around mud flats, and secondly his mother, elder sister, and Agieobgae (baby-sitter), all of them influenced on Han Seung-won``s awareness of femininity. He was raised by his strict father, and he was too uptight because his father always opposed against his plans. However, whenever his father opposed against his plans and will, he could carry through them because of his mother``s active involvement in them. He was much loved by his elder sister and Agieobgae when he was a kid, because his mother was busy for a livelihood. He woke up sexually by his elder sister and Agieobgae. Particularly, his mother complex came from his obsession and debt consciousness by his mother``s devotional sacrifice influenced on his awareness of sexuality, which was one of literary hot issues. He paid attention to human``s inherent vitality, while overcame his mother complex. Sexuality and love revealed in Han Seung-won``s novels showed the imagery of sadism and masochism as mainly erotic love based on physical love, and the abused female forgave and accepted the male with sadism, and finally it was expanded toward agape. It was found that most men infringed upon women``s rights in Han Seung-won``s novels. The broken-hearted women``s persistent vitality led for them to forgive the men and to heal desecrated sexuality.

      • KCI우수등재

        한정동 동화에 나타난 아동 인물의 생명력 연구

        박주혜(Park, Ju-hye) 국어국문학회 2024 국어국문학 Vol.0 No.206

        본 연구는 한정동 동화를 살펴본다. 한정동은 한국의 동요(시)문학사에 주춧돌이된 작가이지만 50〜60년대에는 동화를 주로 창작하였다. 그의 동화에서는 작가 한정동이 갖고 있는 아동문학가로서 유의미한 시선을 탐색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간 한정동 문학 세계의 한계로 거론되었던 동화가 아동 인물의 생명력을 드러내고 있음에 주목한다. 이를 위해 이야기 세계로의 진입과 욕망이 발현됨의 의미를 살펴본다. 이야기 세계로 진입이 가능하다는 것은 아동 인물이 사회적 체계 안으로 발을 들여놓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아동 인물은 아동이기에 미숙함과 균열을 드러낸다. 본성과 욕망이 드러나는 순간들이 그렇다. 한정동의 동화는 이러한 지점을 포착하고 있음을 살펴본다. 아동 인물의 욕망은 총 네 가지 차원으로 구현되고 있다. 지기 싫음의 욕망, 놀이하고 싶은 욕망, 소중한 것을 지키고 싶은 욕망, 사랑에 대한 욕망이 그것이다. 다양한 층위에서 발휘되는 욕망은 작가의 시선 안에서 그 자체로 긍정되고 있음을 살핀다. 욕망의 발현은 아동 인물을 행동하게 하며 성장의 순간으로 귀결된다. 이러한 지점에서 아동 인물의 생명력이 드러나고 있음에 주목한다. 아동의 본성과 욕망의 발현을 긍정하고 그러한 태도로 아동들의 생명력을 드러내고자 하는 작가적 욕망은 아동을 존중하는 아동문학가로서의 자질을 유감없이 드러내는 것이다. 이러한 성취는 교훈성으로만 갈음될 수 없는 한정동 동화만의 가치이다. This study examines Han Jung-dong’s fairy tale. Han Jeong-dong is a writer who became a cornerstone of 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history. However, Han Jeong-dong mainly created fairy tales in the 50s and 60s.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fairy tales, which have been discussed as the limitations of the Hanjeong-dong literary world, reveal the vitality of children’s characters. It examines the meaning of entering the story world and expressing desire. Entering the story world means that the child character has entered the social system. However, children’s characters reveal inexperience and cracks. It is the moment when nature and desire are revealed. Han Jeong-dong’s fairy tale captures this point. The desire of a child character is embodied in four ways. The desire to not lose, the desire to play, the desire to keep something precious, and the desire for love. The desire displayed at various levels is fully affirmed within the artist’s gaze. The desire of a child character is realized as a moment of growth. At this point, the vitality of the child character is revealed. The artist’s desire to reveal the vitality of children reveals his qualities as a child writer who respects children without regret. These achievements cannot be overshadowed by didaction. This is the value of Han Jung-dong’s fairy ta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