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항공교통관제사의 전문성이 상황인식에 미치는 영향

        송창선,윤용식,손영우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5 No.3

        본 연구는 항공교통관제사의 숙련 정도가 정상 및 비정상 관제상황에 따라 상황인식 수행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관제사들을 전문성의 정도에 따라 초보자와 전문가 집단으로 나누고 상황의 특수성에 따른 상황인식 수행의 차이와 전문가와 초보자의 작업기억이 상황인식 수행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실험 1은 전문가와 초보자 관제사에게 정상적, 비정상적 관제상황을 달리 제시하여 상황인식 과제의 수행 차이를 알아보았고, 추가적으로 작업기억 사용을 방해하는 과제를 제시하여 상황인식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비정상적 상황은 전문가 집단의 상황인식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초보자 집단의 상황인식에는 현저하게 낮은 상황인식 수행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해과제를 부여 했을 때 관제사들의 상황인식 정확도는 전반적으로 떨어졌지만, 전문가 집단은 초보자 집단에 비해 높은 정확성이 유지하였다. 실험 2는 작업기억 용량 과제를 이용하여 상황인식 수행에 영향을 끼친다고 여겨지는 작업기억 용량이 전문가와 초보자 사이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작업기억 용량은 전문가와 초보자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상황인식의 각 단계 수행이 관제사의 전문성에 의해 나아질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있으며, 관제사의 전문성 개발 및 훈련의 필요성을 시사해주고 있다.

      • KCI등재후보

        계층적 상황 온톨로지 관리를 이용한 상황 인식 서비스 미들웨어 설계

        이승근(Seung-Keun Lee),김영민(Young-Min K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6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1 No.1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는 기존 컴퓨팅 환경에서의 사용자와 컴퓨터간의 대화형 상호작용이 아니라 물리적인 환경, 상황 등을 시스템이 인식하고 이에 따라서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지원하는 상황 인식서비스가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상황 인식 서비스는 상황 인식 미들웨어로부터 전달된 상황 정보를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기존 연구에서 상황 인식 서비스는 상황 인식 미들웨어에서 사용하는 상황 온톨로지를 이용해서 설계되기 때문에 서비스의 실행도중 상황 온톨로지를 동적으로 변경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계층적 상황 온톨로지 관리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한 상황 인식 서비스 미들웨어를 설계한다. 제안한 모델은 상황 인식 서비스가 실행 중에 필요로 하는 상황 정보를 동적으로 추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유연하게 상황 인식 서비스를 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상황 온톨로지의 동적인 변화로 인해서 센서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상황 정보로 추론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 모호성(Context Uncertainty)을 해결하기 위해서 상황 충돌 해결 모델을 정의한다. 설계하는 미들웨어는 OSGi 프레임워크 위에서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유비쿼터스 환경에 필요한 상황 인식 서비스의 개발 및 운용을 효과적으로 지원을 할 수 있다. The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focuses on recognizing the context and physical entities, whereas, previous computing environments mainly focused on the conversational interactions between the computer and the user. For this reason,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research of context aware computing environments. In previous researches, context services are designed using context ontology used in context aware middleware. So, context service cannot change the context ontology in execution time. We propose a hierarchical context ontology management for context aware service to change their ontology in execution time. And we also a resolution model for context conflict which is occurred in inference of context. We have designed a middleware based on this model and implemented the middleware. As the middleware is implemented on the OSGi framework, it can cause interoperability among devices such as computers, PDAs, home appliances and sensors. It can also support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ontext aware services, which are required in the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 KCI등재

        상황 인식 응용을 위한 OSGi 기반 서비스 미들웨어

        정헌만,이정현,Jung, Heon-Man,Lee, Jung-Hyu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3 No.6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상황 인식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선 동적인 상황 관리 기술과 상황 추론 기술, 그리고 상황 모델링 기술이 필요하다. 기존 연구에서 상황 인식 서비스는 상황 인식 미들웨어에서 사용하는 상황 온톨로지를 이용해서 설계되기 때문에 서비스의 실행도중 상황 온톨로지를 동적으로 변경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상황 변화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능동적으로 반영하고, 동적인 응용 적응성을 지원하는 계층적 온톨로지 기반 상황 관리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황 인식 미들웨어를 설계한다 또한, 상황 인식 서비스 구현을 위해 다양한 컨텍스트 발견, 획득, 해석, 추론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며 사용자의 서비스 실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상황 충돌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설계하는 미들웨어는 OSGi 프레임워크 위에서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유비쿼터스 환경에 필요한 상황 인식 서비스의 개발 및 운용을 효과적으로 지원을 할 수 있다. To support context-aware services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there are required dynamic context managing, context reasoning and context modeling technologies. In previous researches, context services are designed using context ontology used in context aware middleware. So, context service cannot change the context ontology in execution time. In this paper, we propose a hierarchical ontology-based context management model and design a context-aware middleware based on this model for supporting active application adaptability and reflecting users' requirements dynamically in contextual changes. It also provides efficient support for inferencing, interpreting, acquiring and discovering various contexts to build context-aware services and presents a resolution method for context conflict which is occurred in execution of service. As the middleware is implemented on the OSGi framework, it can cause interoperability among devices such as computers, PDAs, home appliances and sensors. It can also support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ontext aware services, which are required in the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 KCI등재

        공간객체 기반의 온톨로지와 규칙을 이용한 상황정보 모델

        박미,류근호,Park, Mi,Ryu, Keun-Ho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3 No.6

        센서네트워크의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지능적이며 상황적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황인식 기술이 핵심이다. 상황인식 응용을 지원하기 위해 특정 응용에 종속되지 않고 같은 환경 안에서 응용들이 공유하여 인식할 수 있는 새로운 상황정보 모델이 요구된다. 또한 상황정보모델은 다양한 상황표현과 복잡한 상황인식을 지원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상황인식 과정에 따라 상황정보를 정의하고 도메인 지식과 응용 지식을 온톨로지와 규칙을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공간객체모델을 이용하여 도메인의 공간 온톨로지를 표현하였으며 온톨로지를 확장한 규칙으로 응용 지식을 표현하였다. 풍부한 공간 온톨로지의 표현은 객체의 위치뿐만 아니라 객체사이의 거리와 인접한 객체에 대한 상황정보도 표현하였다. 제안한 상황정보 모델은 확장성과 유연성 및 상호교환을 가능하게 하며 기존의 GIS와 연동하여 다양한 공간상황을 표현하고 복잡한 공간상황을 인식할 수 있는 모델이다. 이 모델을 기반으로 한 시스템구조는 다양한 상황인식 응용뿐 아니라 대규모 실외 상황인식 응용인 대기오염과 재난재해방재 서비스에 적용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Context-aware is the core in ubiquitous environment of sensor network to support intelligent and contextual adaptation service. The new context information model is demanded to support context-aware applications. The model should not depend on a specified application and be shareable between applications in the same environment. Also, it should support various context representation and complex context-aware. In this paper, we define the context information according to context-aware process. Also we design the knowledge of domain as well as applications using ontologies and rules. The domain spatial ontology and application knowledge are represented using the spatial object model and the rules of expanded ontologies, respectively. The expression of abundant spatial ontology represents the context information about distance between objects and adjacent object as well as the location of the object. The proposed context information model which is able to exhibit various spatial context and recognizes complex spatial context through the existing GIS. This model shows that it can adapt to a large scale outdoor context-aware applications such as air pollution and prevention of disasters as well as various context-aware applications.

      • KCI등재

        조종사 상황인식의 적응적 전문성: 전문가와 초보자의 계기비행 수행 비교

        손영우 ( Young Woo Sohn ),이경수 ( Kyung Soo Lee ) 한국감성과학회 2009 감성과학 Vol.12 No.1

        기존의 전문성 연구들은 참가자들에게 일상적인 과제를 수행하게 함으로써 전문가와 초보자들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일상적 비행 상황에 익숙해진 조종사들이 이전에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비행 상황에서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즉, 조종사의 숙련정도에 따라 정상적 및 비정상적 상황에서의 상황인식 능력이 차이가 나는지 관찰하였고 추가적으로, 전문성이 자극 제시 시간에 따른 수행 변화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42명의 조종사들을 전문성의 정도에 따라 초보자와 전문가 집단으로 나누고 이들의 수행이 상황의 특수성 및 자극 제시 시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하여 조종실 계기판을 모방한 동영상이 제작되었는데, 동영상에 보여지는 계기판들이 모두 정상으로 움직이는 정상적 상황과 이들 중 하나의 계기가 오작동을 일으키는 비정상 상황이 연출되었다. 또한 상황을 지각하기 위한 시간의 차이가 전문성에 따라 다른 효과를 가져오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계기판 상황이 오랫동안 제시되는 긴 제시 조건과 상대적으로 짧게 제시되는 조건으로 조작되었다. 실험 결과,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초보자와 전문가 집단 사이의 상황 인식이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비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전문가 집단의 상황인식이 초보자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행 상황의 제시 시간이 짧아졌을 때 조종사들의 전반적인 상황인식 정확도가 떨어졌지만, 전문가와 초보자의 수행차이는 변함없이 초보자 집단에 비해 전문가 집단의 높은 수행이 유지되었다. 비행 상황의 특수성과 제시 시간의 상호작용에 따라 초보자와 전문가의 상황인식은 어떻게 달라지는지 보았을 때, 비행 상황의 제시 시간이 길고 짧음에 관계없이 정상적 상황에서는 초보자와 전문가 집단의 상황인식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비정상적 상황에서는 전문가 집단의 상황인식 정확도가 초보자 집단 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볼 때, 비정상적 상황은 전문가 집단의 수행에 미치는 영향에는 큰 영향을 미치니 못하나 초보자 집단의 수행에는 현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revious research has mainl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expertise by using typical and routine tasks. This research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included non-routine task situations and observed expert and novice pilots` situation awareness (SA) performance in routine and non-routine situations. Additionally, whether the ability to aware or perceive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limited time varies with the level of expertise was tested. To this end, 2 * 2 * 2 mixed factorial design was employed, including expertise (novice/expert) as a between-subjects variable and normality of fight situation (routine/non-routine) and stimulus display time (long/short) as within-subjects variables. As results, there was no performance difference in routine situations between experts and novices, while experts significantly outperformed novices in non-routine situations. When the display time became shorter, overall SA accuracy was decreased for both experts and novices, whereas experts` performance remained significantly higher than novices in short and long conditions. When we examine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normality of fight situation and stimulus display tim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experts and novices in routine situations for both short and long conditions. In non-routine situations, however, experts` SA accurac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novices both in short and long conditions. Overall, non-routineness of flight situation does not have any impact on SA performance of experts, while it has a critical impact on SA performance of novices.

      • KCI등재

        공항 내 근로자의 안전 의식, 응급상황 인식 및 응급상황 대처 능력에 관한 연구 - I 공항 대상으로 -

        피혜영,김수태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2 안전문화연구 Vol.- No.17

        객실 내에서는 응급상황 발생했을 때를 대비해서 객실 승무원들은 법적으로 응급처치 교육을 받아야 하고 의학적 상황에 대비하여 비치된 안내서에 따라 응급 상황 대처, 응급처치 및 지침 등에 대해 대처할 수 있다. 하지만 탑승객 외에도 공항 내 시설 이용자, 식사, 쇼핑 등 다수의 사람들이 이용하는 공항 내에서는 응급 상황 시 공항 내 근로자 누구든지 그 상황을 대처해야 한다, 2020년 1월 이후에는 전 세계 팬더믹 상황인 COVID-19로 인해 객실 및 공항 내에서 감염관리에 대해 더욱 대처를 해야 하는 상황이다. 공항 내 근로자들은 각 근무처(부서)마다 작성되어 있는 간단한 안전 매뉴얼로 다양한 환자 상황에 대해 대처하고는 있으나 관련 교육은 많이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다. 공항 내 근로자는 별도의 법정 교육 시간이 주어지지 않는다. 최초 반응자로서 현장에서 제일 처음 환자를 접할 수 있는 공항 내 근로자들의 안전의식과 응급상황에 대한 인식 및 대처능력에 대한 내용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공항 내 근로자 업무 특성을 고려하여 설문 내용을 수정 개발하였으며 안전보건 교육, 응급 상황 인식 정도, 응급 상황 대처 능력으로 구성하여 대상자들의 응답을 ‘예’와 ‘아니요’로 간편하게 답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공항 내 근로자에게 구글 설문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접속방법을 설명했으며 설문에 동의한 129명의 대상자가 응답하였다. 2020년 12월부터 2021년 1월까지의 설문 조사로 이루어졌으며, 안전에 대한 인식 정도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SPSS/WIN 18.0을 이용한 빈도 분석하였다. 공항 내 근로자의 안전보건교육 ‘있다’ 125명(96.9%)로 공항 측에서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응급처치 경험이 있는 경우는 118명(91.5%)로 높게 나타났으며 최초 반응자로서 환자 발생 시 응급처치에 대한 경험들이 다수 있음을 나타냈다. 응급처치교육 내용으로는 54명(41.9%)이 기본소생술(심폐소생술, 자동제세동기) 내용으로 교육을 많이 받았고, 내과적 상황, 외과적 상황 등에서도 교육 내용을 받았다라고 나타냈다. 응급상황 인식 정도로는 현장평가(현장안전)에 대한 4가지 질문에서 전체적으로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의식평가·기도평가·호흡평가에서도 전체적으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응급상황 대처 능력은 실제 실습을 적용할 수 없어서 총 7가지 환자 사례를 제시하고 각 사례별로 질문 문항을 작성하여 응답하도록 했다. 화상사례 · 내과사례 · 심정지사례에 대해서는 잘 인지하고 있음을 나타냈으나, 호흡응급사례 · 외상사례 · 환경응급사례 및 기타응급사례에서는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함을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공항 내 근로자들의 안전의식, 응급상황 인식정도는 잘 인지하고 높게 나타났으나, 응급상황 대처 능력에서는 정확하게 대처할 수 있는 부분이 높지는 않음을 나타냈다. 즉, 공항 내 최초 반응자로서 공항 내 근로자들은 점점 증가하는 공항시설 사용자를 위해 공항 내에서 발생하는 응급상황, 응급상황별 인식에 따른 대처능력에 대한 교육 시 환자사례 중심으로 다양한 상황에서의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항 내에서 발생하는 환자유형 및 처치내용은 알 수 없었으나 공항 내 근무자 특성에 맞는 교육이 이루어져서 안전한 공항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적응적 모바일 상황인식 서비스 개발을 위한 피드백 프로세스 모델

        신수혜(Soohye Shin),박준석(Joonseok Park),염근혁(Keunhyuk Yeom) 한국정보과학회 2013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40 No.1

        최근 높은 휴대성과 이동성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도메인에서 사용자의 상황 정보와 환경 정보를 이용한 상황인식 서비스 및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인식 서비스들은 변화하는 사용자의 움직임과 요구사항을 모바일 기기로부터 분석 및 파악하여 그에 따라 스스로 제어 및 실행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변화하는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하기 위한 상황 정보 및 환경 정보가 모바일 도메인의 높은 이동성으로 인해 정확한 상황인식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모바일 기기와 사용자, 주변 시스템 간 지속적인 상호작용 및 피드백을 통해 상황 정보의 변화를 인식하고 분석, 수정, 보완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일련의 프로세스가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 상황인식 연구는 단순히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제공하는 방법만 제시하고 있으며, 상호작용 및 피드백을 통한 변화의 인식과 제어를 위한 체계화된 방법 및 적응적 프로세스를 제시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모바일 기기와 서비스 간 지속적인 상호작용 및 피드백을 통해 보다 정확한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사이버네틱스 개념을 적용한 적응적 모바일 상황인식 서비스 개발을 위한 피드백 프로세스 모델을 제시한다. Due to the high portability and mobility of mobile devices, the concerns for situationaware services and systems that utilize user situ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about mobile domain are very challenging. The situation-aware services are needed to self-controlled and self-ru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hanges in user"s movement and requirements from mobile devic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ovide accurate situation-aware services which recognize a situation and an environment information about the changes of user"s situation due to high mobility of mobile domain. To solve this problem, we need a series of process that performs activities such as recognize, analyze, modify and adapt situ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action and feedback among mobile devices, user and systems. However, the existing research for situation-awareness is simply a way to collect and analyze the user"s situ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it does not provide systematic approaches to identify and control the changes through interaction and feedback. Therefore, for providing further accurate situation-aware services through the consistent interaction and feedback between mobile devices and services, we provide a process model to develop adaptive situation-aware services based on software cybernetics in mobile environments in this paper.

      • KCI등재

        An Analysis of Future Student Pilots' Competency of Situation Awareness and Evaluation of Workload

        권문진,권한준,이장룡 한국항공운항학회 2022 한국항공운항학회지 Vol.30 No.4

        본 연구는 민간항공 조종사 훈련 및 평가에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는 8가지 핵심 역량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 마련을 위해 수행되었으며, 그 중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상황인식(situation awareness) 및 작업부하 관리에 대해 분석하였다. 예비 조종사를 대상으로 항공기 접근 및 착륙 단계를 진행하는 동안 PM(pilot monitoring) 역할을 수행하며 인식하는 항공기 상황과 작업부하량에 대해 평가하였다. 평가 시나리오는 기본비행훈련장치(basic aviation training device)를 사용하여 지형적 상황인식, 공간/시간적 상황인식, 시스템 상황인식, 환경적 상황인식을 평가할 수 있는 요소로 구성하였으며, 모니터링 도중 의도적인 주의분산 상황을 추가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 비행 단계에 대한 상황인식은 32.3%이고, 지형적 상황인식(60.3%)이 가장 높고, 시스템 상황인식(18%)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NASA-TLX 평가방법으로 측정한 작업부하량은 10.8점(20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초공중항법학을 수강한 예비 조종사들이 대체로 높은 상황인식을 하였고, 작업부하 결과는 지형적 상황인식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 KCI등재

        Colored Petri-Net을 이용한 상황인식 서비스의 모델링과 검증 방법

        한승욱(Seungwok Han),윤희용(Heeyong Youn)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6 No.4

        상황인식 서비스는 유비쿼터스 환경의 핵심으로 동적 환경에서 지능적이고 민감하게 동작하기 위해 상황과 서비스간의 연관관계를 명확하게 분류하기 위한 방법론이 요구된다. 기존의 모델링 방법들은 시나리오 중심의 상황정보 수집, 관리 그리고 표현에 초점이 맞추어 있다. 따라서 설계할 때 다양한 실제환경에 적용하여 상황인식 서비스 모델의 적합성을 검증하기는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colored Petri-Net을 응용한 모델링 방법을 제시한다. 모델은 상황 정보의 변화와 흐름의 표현과 평가에 초점을 두고 시간을 추가하여 수행시간제약에 대한 표현 및 평가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황 모델링 툴킷과 에이전트 기반의 상황인식 엔진 그리고 상황정보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에이전트 기반의 상황인식 서비스를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모델링 방법은 Usilvercare에 적용하여 실용성을 검증하였다. Context-awareness is one of the key features of ubiquitous paradigm. A methodology that is specif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ontexts and services needs to be developed to intelligently and sensitively deal with dynamic environment. The existing models on context-aware modeling are difficult to verify the correctness of models with respect to timelines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pproach which includes timing constraint in the relations of the context model,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using colored Petri-Net. Moreover, a context-modeling toolkit including context-awareness engine and simulator is developed to support agent-based context-aware servic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ology is demonstrated using an example of Usilvercare.

      • KCI등재

        상황인식(Situation Awareness)에 기반한 운전능력 측정방법에 관한 체계적 고찰

        박명옥,정봉근 대한작업치료학회 2015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3 No.2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 고찰을 통해 상황인식에 기반한 운전능력 측정방법을 알아봄으로써 운전재활의 임상영역에서 운전 상황에 기반한 평가도구 제작 시 기초자료로 삼고자 한다. 연구방법 : 전자 데이터 베이스인 Science Direct, PubMed, NDSL을 사용하였고 주요검색 용어로 ‘driving’,‘situation awareness’, ‘measurement OR assessment’를 사용하였다. 결과 : 운전 상황인식 능력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분석을 한 결과 정지기법(freeze method, 50.0%), 구어분석방법(verbal probe technique, 20.0%), 운전에러측정(driving error, 10.0%), 운전 행위에 대한 점검(driving behavior checklist, 10.0%)을 통해 운전 중 상황인식능력을 측정하였다. 운전자의 운전 상황인식능력 측정에 적용된 도구를 분석한 결과 운전시뮬레이터(driving simulator, 50.0%), 실제 도로주행 코스(on-road course, 20.0%), 실제 도로주행차량에 시각적 탐지 장치 장착(on-road vehicle with vidual detect task, 10.0%), 모션 시스템이 장착된 운전 시뮬레이터(driving simulator with motion system, 10.0%), 운전 상황 장면(scene)을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만들어 컴퓨터 화면으로 구연하는 방법(computer based program, 10.0%)을 적용하였다. 결론 : 이번 연구를 통해 운전 상황에 대해 이해하고 예측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것이 안전운전을 위해 중요함을 알 수 있었고, 운전재활 임상영역에서도 다양한 운전 상황을 기반으로 하는 상황인식 기반 운전능력 평가 및 훈련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various methods for measuring the Situation Awareness (SA) based driving ability through a systematic review. Methods : Previous studies were found in an electronic database (e.g., Science Direct, PubMed, NDSL). The keyword search terms were ‘driving’, ‘situation awareness’, ‘measurement OR assessment’. Results : The methods used for measuring the driving-related situation awareness were presented, including the freeze method (50.0%), verbal probe technique (20.0%), driving error (10.0%), and driving behavior checklist (10.0%). The tools used for the driving situation awareness measurement of drivers were presented, such as a driving simulator (50.0%), on-road course (20.0%), on-road vehicle with visual detection task (10.0%), a driving simulator with a motion system (10.0%), and a computer-based driving scene (10.0%). Conclusion : Through this systematic review, we found that a majority of studies were concerned with the driving situation for safe driving. This fact suggests that we have to develop new SA based driving measurements and tools for driving rehabilitation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