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호문화역량의 개념 및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이병준,한현우 한국문화교육학회 2016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intercultural competence concept and component. Multicultural competence admits a cultural difference with other culture and people. However, intercultural competence expands our common things. Especially, intercultural competence has practical properties to expand the intersubjectivity, But, we have to concern about intercultural competence itself and perform a theoretical fundamental research to do not temporary trend. So, this study explored intercultural competence concept and component. The research methods are document research, FGI and conference of related experts. The results of intercultural competence concept is defined as ‘person who live in multicultural society reflect the wrong thought oneself therefore, we all have a desirable change to make a new culture for us’. And the results of intercultural competence component were composed of reflection, communication, conflict management, flexibility, sensibility, cultural knowledge, empathy, respect. Especially, reflection was defined essential competence of all. This study suggest that conduct a consistently follow-up studies and do intercultural praxis our society. 우리사회의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은 사회속에서 휴먼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는 많은 직업종사자들의 이에 합당한 역량의 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외국에서는 여러 사회영역의 ‘상호문화적 개방’이라는 슬로건 아래 상호문화역량에 대한 담론, 실천, 그리고 정책이 논의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최근 십여년 간 상호문화교육담론이 지속적으로 유럽담론의 연관성속에서 부각되고 있는데 상호문화교육담론은 다문화교육담론의 한계를 비판하는 다양한 철학적, 이론적 기반을 가지고 있다. 다문화역량은 소수문화에 대한 차이를 인정하는 역량임에 반해, 상호문화역량은 공통점을 확대해 나아가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상호문화역량은 문화적 우위가 아닌 사람 간의 상호주관성을 넓힘으로써 서로 간의 공통점을 확대한다는 차원에서 매우 실천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호문화교육과 상호문화역량 담론 속에서 향후 휴먼서비스에 종사할 전문인력들이 갖추어야 할 상호문화역량의 내용들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상호문화역량의 개념 및 구성요소가 무엇인가를 살펴보았다. 상호문화역량의 개념 및 구성요소 도출을 위해 국내외 상호문화역량 담론에 대한 문헌분석과 국내 상호문화교육담론 전문가들과의 FGI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상호문화역량은 ‘다문화사회에서 개인이 사회와 자신이 지닌 올바르지 못한 생각(타자를 차별적으로 배제하는)을 비판적으로 성찰함으로써 변화하여 모두가 평화롭게 지낼 수 있는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가는 역량’으로 정의될 수 있었다. 그리고 상호문화역량을 구성하는 요소인 하위역량으로는 성찰, 의사소통, 갈등관리, 유연성, 민감성, 문화적 지식, 공감, 존중 이상 여덟 가지 역량군으로 분류될 수 있었다. 이 중 특히, 성찰은 다른 역량군의 기초가 되는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 KCI등재

        다문화 인식개선을 위한 접근방법 연구

        서기주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5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4 No.3

        이 논문은 다문화 인식개선을 위하여 동화주의와 다문화주의, 다문화주의와 상호문 화주의, 다문화교육과 국제이해교육을 비교하고 그 접근방법을 살펴보았다. 상호문화 주의는 여러 문화의 단순한 공존을 넘어 문화 간의 대화와 소통을 통해 공유하는 문화를 만들어내려는 이념이다. 상호주관성에 기반하여 동일 사회의 구성원들이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새로운 정체성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상호문화주의는 다른 문화에 대한 현상학 적 이해, 문화 간의 상호작용, 공유가능한 문화성 창출 등에 기반하고 있는 원리이다. 다문화주의의 초점이 ‘다름의 인정과 공존’에 있다면, 상호문화주의의 중점은 ‘상호 열린 대화와 소통’에 있다. 그것은 접근방식에서의 차이일 뿐, 본질적으로 상호문화주의 나 다문화주의는 새로운 사회통합성을 위해 문화적 다양성을 관리하기 위한 공통의 이념이다. 우리가 주목할 두 이념의 본질은 다문화 시대의 갈등의 해소와 인정의 방식, 그리고 소통의 확장과 공유된 선의 증대이다. 한편 다문화교육에 있어 기존의 국제이해교 육과 차이를 살펴보는 것도 다문화 인식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접근방법이다. 다문화사회의 갈등해결과 통합을 위해서는 상호문화주의의 관점에서 유동적인 정체성 관념을 지닐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요구는 이주자와 주류집단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간문화적 지식의 확대와 다문화 수용성의 제고를 통해 강화될 수 있다. 나아가 공적 영역에의 참여를 통한 대화와 소통 그리고 상호이해가 증진될 때 다문화사회의 갈등 이 해소되고 통합의 가치가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다문화사회의 시민교육은 개방적이고 참여적인 정치문화를 진작하는 가운데 시민들의 상호존중과 합리적 대화 능력을 강조하고 이를 함양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is assimilation and multiculturalism in order to improve cultural awareness, multicultural and cross-cultural care, compar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and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looked at his approach. Cross-culturalism is trying to create a culture of sharing ideas through dialogue and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ultures beyond the mere coexistence of cultures.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nd mutual relations is the key. Based on intersubjectivity looking for a new identity, to share cultural diversity to each other, it is important to ensure that this power. Understanding phenomena of other cultures, interaction between cultures, creating a shareable Ministry of Culture, etc. based on the principle of cross-cultural care. Coexistence and recognition of difference’ is the focus of multiculturalism, cross-cultural focus of attention is the “mutual dialogue and open communication. It is only a difference in the approach. Essentially cross-cultural care and multiculturalism is a common philosophy for managing cultural diversity for a new social integration. Two notable is the essence of our philosophy and a way of resolving conflicts of recognition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increased sharing of communication lines and extensions. Meanwhile, in multicultural education to take a look at the existing differences in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an effective approach for improving multicultural awareness. Through this orientation is the integration in diversity. Citizens of a multicultural society, as well as to be able to participate effectively at Community level of national culture should be kept even affection for the culture of their communities. The lack of integration and cultural diversity on the other hand, repression and lack of integration results in a diversity of hegemony may cause cracks and sectarianism. Therefore, diversity and integration must achieve a delicate balance of mutual co-existence in a multicultural society. Multicultural societies can reveal a range of a few internal conflicts element of society with a growing population of immigrants mixed and layered composite structure conflict that flows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In order to resolve the conflict and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it is necessary to possess a flexible notion of identity in terms of cross-cultural care. And those needs can be enhanced through the expansion and enhancement of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cultural knowledge between targeting both immigrants and the mainstream population. Moreover, communication and dialogue with the participation of the public sector when the mutual understanding and promoting this conflict is to be resolved in a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value of integration can be realized. Civic educ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in this context, emphasizing the citizens of mutual respect and the ability of rational dialogue to promote an open and participatory political culture and will have to recharge it.

      • KCI등재

        한국 다문화사회 연착륙을 위한 시론 - 상호문화역량을 중심으로 -

        김진아 한국윤리교육학회 2023 윤리교육연구 Vol.- No.69

        이 연구는 상호문화주의의 필수요소인 상호문화역량이 한국 다문화 사회의 연착륙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21세기에 이르러 유럽에서는 다문화주의 실패론이 확산되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패러다임으로 상호문화주의가 주목받기 시작했다. 한국에서도 다 문화사회로의 이행과정에서 갈등과 정책부작용 등의 문제가 드러나면 서 상호문화주의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되어왔다. 따라서 대한민국이 보다 안정적이고 조화로운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상호문화역량의 의미와 실효성 등을 심도 있게 검토하고, 의식적 차원과 사회구조적 차원 등을 함께 고려하여 구체적인 실현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whether intercultural competences, an essential element of interculturalism, can contribute to the soft landing of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21st century, as the theory of multiculturalism failure spread in Europe, interculturalism began to draw attention as a paradigm that could replace it. In Korea, problems such as conflict and policy side effects have been revealed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to a multicultural society, raising the need to introduce interculturalism. Therefore, in order for Korea to move toward a more stable and harmonious society, it is necessary to in-depth review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intercultural competence and seek specific action measures by considering the conscious and social structural dimensions.

      • KCI등재

        상호문화성에 기반 한 문학 독서교육

        이준영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5 한국언어문화학 Vol.12 No.2

        이 연구는 문학 독서교육의 장에서 ‘상호문화성’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호문화성의 개념과 텍스트에 대한 적용을 시도했다. 이러한 시도는 지속가능성 교육이라는 목표를 기반으로 생태적 전환을 이루기 위한 작업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지금-여기에서 지속적이고 성찰적인 교육 목적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는 이유는 우리의 사회문화가 지속가능성을 끊임없이 파괴하는 위험사회라는 인식에서 출발하고, 교육 논의 또한 이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생각에서이다. 이 연구에서 지향하는 문명, 문화의 ‘생태적 전환’은 ‘포트스모더니즘’이 해체한 이성 중심주의에 대한 대안적 성격을 다분히 가지고 있다. ‘상호문화성’ 개념 또한 문화적 다원주의를 뛰어넘어 문화의 상호교섭적인 측면과 실천적인 측면까지를 아우른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은 생태적 전환을 시도하기 위한 ‘다리 놓기’의 성격을 가지고 있고, 포스트모더니즘 논의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들뢰즈의 ‘아장스망’이라는 개념을 통해, 새로운 ‘등자’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생태적인 공동체 문화를 탐색하고, ‘상호문화성’을 통해 비교문학을 넘어 해외문학에 대한 탐색을 시도한다. 이는 개인 간의 차이와 다름에 대한 존중에서 출발하여 작은 공동체의 문화, 지역 사회의 문화, 그리고 한 민족의 문화가 가진 정체성을 설명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러한 교섭이 만들어 내는 생태적 전환이 새로운 의미를 만들고 순환하는 것이 궁극적으로 생태지향적 교육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상호문화교육이 설정하는 교육의 목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상호문화교육이 설정한 교육의 범주는 사회교육과 학교교육이라는 경계를 인정하지 않는다. 둘째, ‘상호문화성’ 교육은 인간과 언어, 환경의 교섭적인 특징을 바탕으로 미시적인 구조에서 거시적인 구조까지 다양한 포지션을 추구한다. 셋째, ‘상호문화성’ 교육은 민족과 국가라는 정체성을 유지하되, 교섭을 위한 정체성, 소통을 위한 정체성을 형성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정체성 논리는 중심의 논리를 떠나 생태적 연관의 질서에서 계획되고 평가되어야 한다는 점을 이 논문에서 논의했다. This research has a purpose of searching the possibilities about ‘interculturality’ in the chapter of Literary Reading Education. For this, the application about the concept and text of interculturality was executed. This attempt can be seen as a work to achieve ecological conversion based on the purpose of sustainability education. The reason discussion about the continuous and reflective education purpose was proposed is in the thought that our social culture starts as a recognition that it is a dangerous society that constantly destroys sustainability, and also education discussion is not free compared with this. The ‘ecological conversion’ of culture and civilization aimed in this research has alternative characteristics about rationalism that ‘post- modernism’ dismantled. ‘Interculturality’ concept also overleaps the cultural pluralism encompassing mutual bargaining aspects to practical aspects. Thus, ‘postmodernism’ in this research has the characteristic of ‘bridgebuilder’ to attempt the ecological conversions and the postmodernism discussion shall not be the purpose. Through the detailed concept of Deleuze's ‘Agencement’, a new ecological culture of community that can play the role as a new ‘stirrup’ and also attempt a search about overseas literature that overleaps comparative literature though ‘interculturality’. With the start of respect about the difference and dissimilarity between individuals, this attempt is on explaining the identity that has culture of a small community, culture of a local community, and the culture of an ethnic group race. The ecological conversion made by these negotiations make a new meaning and circulation can be said to be the ultimate ecologically oriented education. Thus, the goal education set by intercultural education is as the following. First, the range of education set by intercultural education does not acknowledge the border that social education is school education. Secondly, ‘interculturality’ education is based on human, language, and the bargaining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 to seek for various positions from microscopic structure to macroscopic structure. Third, ‘interculturality’ education shall maintain identity of an ethnic group and nation, but also form an identity for bargaining and an identity for communication. Also, the logic of identity should be planned and evaluated based on the order of ecological connection apart from central logic, which is discussed in this thesis.

      • KCI등재

        상호문화교육과 스토리텔링

        고경민(Ko, Kyoung-min)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9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7 No.-

        이 글은 상호문화의 관점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의 문화교육을 살펴보고, 상호문화교육의 방법으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상호문화교육은 외국인 학습자들이 속한 사회에 대한 이해와 함께 그 사회에 속한 사람들과의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이러한 점은 그간의 문화교육이 바탕을 두고 있었던 ‘다문화주의’와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다. 이 연구는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갖고 한국에 온 유학생들이 한국사회와 한국문화를 경험하고, 한국 사람을 이해하고, 상호 소통하기 위해서는 ‘상호문화’의 관점이 필요하다는 전제로 출발하였다. 이러한 전제를 밑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상호문화소통을 훈련할 수 있는 방법으로 ‘문화 이력서’ 스토리텔링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문화이력서’ 작성은 문화의식화 교육의 하나로 상대방과의 문화적인 차이가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와 나에게 익숙한 문화가 상대방에게 얼마나 다르게 느껴질 수 있는지를 알아볼 수 있는 활동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화 이력서’ 스토리텔링을 통해 상호문화교육에 조금 더 가깝게 다가설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Using ‘storytelling’ as a pedagogical concept and a teaching tool, this paper aims to examine a possibility of intercultural educ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in South Korea. Intercultural education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students’ understandings of the host society and people in the society. This perspective differs from multiculturalism, which has been prevalent in cultural education research and curriculum. This study assumes that international students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should have an ‘intercultural’ sensitivity in order to experience Korean culture and society, understand the people, and mutually communicate with them. Based on this assumption, the study suggests a ‘cultural resume’ storytelling as a means of mutual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s a cultural consciousness activity, it is designed to help students see how cultural differences may affect mutual communication and how their own culture would be felt differently by other stud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ultural resume’ storytelling can offer students an opportunity for inter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고등교육 미션스쿨 숭실전문학교의 상호문화적 관점 연구: 상호문화성을 중심으로

        김진영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2 신학과 사회 Vol.36 No.2

        This study focuses on the purpose of searching for the germination of the interculture(mutual culture)of Korea as an examination of the intercultural perspectives through some historical examples on the Soongsil College in the mission school. For this study, intercultural viewpoints with centering around interculturality reconstructed four methods and suggested as an analysis framework. The four intercultural viewpoints are publicness, openness, nowness(reality), and continuity(possibility).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Soongsil College were evenly distributed and representative of the four characteristics concerning intercultural perspectives. However, there are other four characteristics : limited, selective, conditional, and strategic aspects etc. Nonetheless, with the discovery of four intercultural viewpoints at the Soongsil College in the mission school, we can see the existence concerning the naissance of mutual culture in Korea. We will expect that this is the research of mutual culture, at the same time, underlying study for finding historical examples of Korean mutual culture(interculture)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미션스쿨 숭실전문학교의 역사적 사례를 통한 상호문화적 관점을 고찰함 으로써 한국의 상호문화 맹아를 찾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상호문화성을 중심 으로 상호문화적 관점을 네 가지로 재구성하여 분석 틀로 제안하였다. 네 가지의 상호 문화적 관점은 각각 공공성, 개방성, 현재성(실제성), 연속성(가능성)이다. 미션스쿨 숭 실전문학교의 교육적 활동은 위 네 가지의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고르게 분포되어 나타 나지만, ‘제한적, 선택적, 조건적, 전략적’이라는 특징을 가졌다. 고등교육 미션스쿨 숭 실전문학교에서 상호문화적 관점 네 가지가 발견됨으로써 상호문화의 태동이 한국에 실재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한국의 상호문화에 대한 구명(究明)임과 동시에 향후 한국적 상호문화의 역사적 사례를 발굴하는 기저연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코로나 시대에 캐서린 켈러 (Catherine Keller)의 상호성육신 (Intercarnation)을 통한 문화선교적 패러다임의 전환 모색

        박덕현 ( Park Duck-hyun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22 神學과 宣敎 Vol.63 No.-

        본 논문은 작금의 팬데믹 현상 속에 공동체 집단의 통합과 유지에만 급급한 한국 교회의 현실에서 신학이라는 학문이 문화에 대한 신학적 해석에만 머무를 수 없다는 문제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특별히 코로나 상황에서 다원화된 사회 문화 속의 공적인 책임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그 사회 문화에 대한 해석학적인 작업을 수반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에 적합한 해석학적인 토대로서 켈러의 상호성육신 개념의 문화선교적 함의를 분석하였다. Ⅱ장에서는 첫째, 방대한 분열과 추방을 대가로 성취된 기존 교회의 제도적인 통일성에 의하여 신성의 ‘차이’를 무시하는 신학숭배 현상을 비판하고 둘째, 세계의 무한한 다수성인 만물이 하나님 안에서 함께 접혀들어가는 우주적 산고의 과정을 분석하였으며 셋째, 인과성이 아니라 동시성으로 설명가능한 상호성육신 개념을 바탕으로 문화선교의 가능성은 지구의 미래의 가능성으로부터 분리불가능하다는 경향성의 흐름을 연구하였다. Ⅲ장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추상적 초월이 아니라 급진적 내재성을 가지는 상호성육신 개념을 통해 복음의 문화변혁적인 힘의 배타성과 다른 한편 다양한 문화를 포괄하는 수용성을 함께 실현하기 위해 신구약 텍스트의 해석 과정을 수행하였다. 곧 아브라함의 중재에 의하여 하나님의 마음의 혁명적 변화를 구현함으로써 공간의 한계를 초월한 구약(창 18-19장)과 다른 한편 만물을 위한 해산의 과정에서 시간의 한계를 초월한 신약(마 24:8)을 고찰하였다. Ⅳ장에서는 이러한 복음의 상호성육신 개념을 토대로 하여 문화선교의 과제, 즉 문화를 도구로 이용하여 복음을 전달하는 기능주의 방식과 다른 한편 문화 자체를 변화시키는 구조주의 방식을 비교분석한 결과 양자 모두 주체-객체의 이분법적 도식을 탈피할 수 없었음을 진단하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문화를 이용하여 복음을 전달하는 ‘상호주관성’과 함께 그 상호주관성의 한계를 넘어서서 복음의 문화변혁적인 힘에 주목하는 ‘상호객관성’을 연구하였다.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는 관계적 및 생태적 이성에 의한 윤리적 분별력을 기반으로 인간 개인을 넘어 보다 넓은 인간 공동체뿐만 아니라 신음하는 자연 및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모든 체계의 상호의존성 속에 내재하고 있는 상호성육신 개념의 문화선교적 함의를 숙고하였다. 이로 인해 기존의 문화선교적 패러다임과 달리 켈러의 상호성육신을 통해 피조 세계가 함께 변형되는 지속적인 상호-창조성을 실현하는 문화선교적 패러다임의 전환을 전망할 수 있다. This thesis started from the recognition of the problem that theology cannot remain in the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culture in the reality of the Korean church, which pays attention to the integration and maintenance of community groups amid the current pandemic. In particular, we analyzed the cultural missionary implications of Keller’s concept of intercarnation as a hermeneutic basis for carrying out the public responsibility of the diversified social and culture for the purpose of reorienting theology by being challenged by the changing new culture in the Corona situation. Chapter II first, we criticized the theological idolatry that ignores the ‘difference’ of the divine by the institutional unity of the existing church, which was achieved at the cost of massive division and expulsion. Second, we analyzed the cosmic labor and suffering in which all things, the infinite multiplicity of the world which are folded together in God. Third, through the Keller’s concept of intercarnation, we confirmed the premise that the possibility of cultural mission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future possibility of the earth by the simultaneity that cannot be explained by causality. Based on this, in Chapter Ⅲ, creationism and eschatology are connected by intercarnation with radical immanence, not abstract transcendence, and the biblical application to realize cultural salvation was requested. To this end, the Old Testament(Genesis 18-19) that transcended the limits of space by realizing the revolutionary change of God’s heart through Abraham’s intercession was considered, and The New Testament(Matthew 24:8) that transcends the limits of time through the pain of childbirth for all things (including humans and non-humans) was examined. In Chapter IV, based on the concept of intercarnation of the gospel, the task of cultural missionary work, that is, the functionalist method of delivering the gospel by using culture as a tool, and the structuralist method of changing culture itself, on the other hand, were classified. It was diagnosed that both structures of cultural missions classified in this way have limitations in the dichotomous scheme of subject-object. As an alternative to this, intersubjectivity to deliver the gospel through culture and interobjectivity to focus on the cultural transformational power of the gospel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at intersubjectivity were studied. Taken together, with ethical discernment by relational and ecological reason, in this study, the implication of cultural mission was considered based on the concept of intercarnation with interdependence in the groaning natural world and all systems that maintain life as well as the wider human community beyond the individual personality. By discovering the interdependence, we can go beyond the existing cultural missionary paradigm and anticipate the continuous inter-creativity in which the created world is transformed with the incarnation of Christ.

      • KCI등재후보

        남북한의 문화통합과 한국교회의 과제

        고재길 ( Ko Jye-gil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7 神學과 宣敎 Vol.51 No.-

        통일의 필요성을 논할 때, 사람들은 민족동질성의 회복에 대해 이야기한다. 민족동질성의 회복은 노래의 가사처럼 우리의 소원이다. 그러나 통일된 한반도에서 그것은 실제로 이루어질 수 있을까? 분단 이후, 70년 이상을 갈라져 살아온 남북한은 서로 다른 문화를 갖고 있다. 한국사회에 쉽게 적응하지 못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수가 적지 않다. 이러한 사실은 민족의 동질성을 회복하는 과제가 쉬운 일이 아님을 잘 보여준다. 남한사회는 점차 다민족사회, 다문화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화통합의 관점에서 남북한의 통일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남북문화의 통합은 남북한 문화의 다양성을 기본적으로 전제하고 있다. 한국사회의 다문화적 상황은 한국교회로 하여금 남북한의 통일담론에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게 한다. 이는 한국교회가 상호문화에 근거하여 한반도의 통일문제를 해결해야 함을 의미한다. 다문화는 타자에 대한 선입견이나 편견을 지양하고 다양성에 대한 존중에 기초한 새로운 시각과 새로운 관계방식을 요구한다. 상호문화는 여기에서 더 나아가서 문화 간의 상호작용을 중요하게 여긴다. 상호문화는 소통과 대화를 통해 서로를 변화시키고 성장시키며 서로 간에 존재하는 경계와 장애물을 극복하려고 한다. 상호문화는 서로의 다름에 대한 존중과 인정을 넘어서 서로의 통합을 강조한다. 남북한의 문화통합은 통일 이후에만 할 수 있는 일은 아니다. 북한이탈주민들이 남한사회에서 겪은 경험은 통일 이후의 남북한의 문화통합에 기여할 수 있다. 북한이탈주민들이 남한사회에 적응해야 하는 과제는 단순히 그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남한 사람들의 문제이기도 하다. 그것은 남한사회가 함께 풀어야 할 과제이며 남북한의 주민들이 공존하는 연습의 과제이다. 북한이탈주민과 남한주민이 하나의 사건이나 현상을 서로 다른 관점에서 볼 수 있고, 그러한 생각은 서로 다른 문화에 기반하고 있음을 이해하는 훈련을 강화한다면 남북한은 문화통합의 열매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남북한의 문화통합을 위해 한국교회가 감당해야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교회는 상호문화에 대한 관심에 기초하여 상호문화주의를 기독교적 관점에서 수용할 필요가 있다. 본회퍼가 강조하는 기독교적 인격의 개념은 상호문화가 교회의 삶의 자리에서도 가능함을 보여준다. 본회퍼가 말하는 사회성 또는 사회적 기본관계는 상호문화에서 강조하는 상호관계성과 거의 동일한 개념으로 볼 수 있다. 교회는 남북한의 문화공동체가 서로 만날 때, 남북한 공동체가 상호문화성의 현실 안에서 만나는 것임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한국교회는 상호문화에 기초한 신학적 통일담론을 교회학교에서 체계적으로 교육해야 한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상호문화성을 반영하는 기독교 평화교육이다. 한국교회는 이제 상호이해를 통한 평화의 실현을 위해 상호문화성에 근거한 평화교육을 강조함으로써 남한사회의 다문화적 갈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더 나아가서는 남북한 문화공동체의 긴장해소와 창조적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한국교회는 교회는 북한이탈주민들과 다문화 주민들을 섬기고 사랑하는 환대의 윤리를 실천해야 한다. 남북한의 문화통합은 단순히 상호문화에 대한 신학적인 작업만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행함과 실천이 결여된 교육 즉, 교탁이나 강단에서 이루어지는 교육만을 통해서는 문화통합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다. 한국교회는 교육이 삶의 현장에서 열매를 맺을 수 있도록 환대의 윤리를 강조할 필요가 있다. When discussing the necessity of the Korean peninsula’s reunification, the discussion on recovering the ethnic homogeneity rises. A reunification to recover our homogeneity is, as the beloved lyrics say, our deepest wish. However the question of how it can actually come true should also be raised. 7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division, and the North and South now have very different cultures. There are a great deal of North Korea defectors who cannot adjust to the new culture and society of the South. This shows that the assignment of recovering our ethnic homogeneity is not an easy one. The South Korean society is gradually shifting towards changing into a multi-ethnic, multi-cultural society.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viewpoint of cultural integration. The integration of the North and Southern culture is based on the premise of its diversity. The multi-cultural situation in the South Korean society has led the Korean church to seek a new direction for the discourse regarding the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means that the Korean church should resolve the problems regarding the reunification, based on interculturalism. Multi-culturalism sublate certain prejudices and preconceived ideas about others and requires a new angle and relationship methods based on respect for diversity. Inter-culture takes a further step by regarding the interaction between cultures as a highly important matter. In inter-culturalism, communication and conversation is an important tool for change and growth in relationships, as well as overcoming the borders and barriers that exist between them. Inter-culturalism emphasizes cultural integration, which is more than respecting the differences in cultures. The integration of the North and South Korea’s culture is not something that is possible only post-reunification. The things that North Korea defectors have experienced in the South can contribute to the cultural integration of the North and South after the reunification. The North Korea defectors’ adjustment to the South Korean society can also be an assignment for the people in South Korea. South Korea should participate in this assignment and practice co-existence. North Korea defectors and South Koreans may see one happening or phenomenon from two different angles― and if we strengthen our efforts to understand that the difference is because of the two different cultures, then it will ultimately lead to the cultural integration of the North and South. The Korean Church’s assignment for the North and South’s cultural integration would be as follows. First, the Korean Church should find it necessary to accept inter-culturalism, based on its interest, from a Christian point of view. The Christian concept of ‘Person’ that Bonhoeffer says, shows that inter-culture is possible within the church. The social nature or the basic social relationship, according to Bonhoeffer, can be regarded as the same as the inter-relationship that is emphasized in inter-culturalism. The Korean church should be aware of the fact that when the cultural communities of the North and South meet, they are meeting within the reality of inter-culture. Second, the Korean Church should include the theological discourse regarding reunification in the Sunday School curriculum. The important point in this is the Christian peace education that reflects inter-culturalism. When the Korean Church highlights peace education based on inter-culturalism for the peace that comes from understanding, the conflicts from multi-cultural Korean society can be resolved and furthermore can contribute to solutions for the tension in North and South’s cultural community and its’ creative development. Third, the Korean Church should serve and love the North Korean defectors and multi-cultural people based on the ethics of hospitality. The cultural integration of the North and South Korea cannot simply come from theological efforts for inter-culture. True cultural integration cannot happen with only theories and lessons within the classroom. The Church should emphasize the ethics of hospitality for the lessons to bear fruit in our everyday lives.

      • KCI등재

        다문화미술교육에서 상호문화미술교육으로의 전환 - ‘상호문화성’에 관한 현상학적 사유를 중심으로 -

        이은영(Lee, Eun yo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16 美術敎育論叢 Vol.30 No.1

        본 연구는 다문화미술교육에서 도출되는 난점을 상호문화 철학에서 주목한 ‘상호문화성’ 개념을 통해 풀 수 있음을 검토하고, ‘다문화성’ 중심의 다문화미술교육이 ‘상호문화성’ 중심의 상호문화미술교육으로 전환해야 함을 모색한 것이다. 연구자가 문화와 상호문화성에 접근하는 배경은 유럽을 중심으로 실현되어 온 상호문화 철학에 기반하며, 상호문화성에 대한 현상학적 사유를 중심으로 하였다. 다문화미술교육은 자문화중심주의에서 동화를 유도하거나 차이를 전제하고 다문화를 병존하는 데 머문다는 문제점을 드러낸다. 연구자는 문헌연구를 종합하여 다문화미술교육의 난점을 문화의 다차원적 속성과 사람 중심 다문화적 실존의 부재, 타자의 목소리가 배제될 수 있다는 점으로 요약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난점은 현상학적 관점의 ‘상호문화성’을 통해 극복이 가능함을 탐색하고, 다문화미술교육이 상호문화미술교육으로 전환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상호문화성은 중심과 경계를 설정하지 않은 동등한 문화들이 만나 타자의 목소리를 듣고 소통하는 사이 영역에서 벌어지는 교차적 경험으로, 상호주체의 문화적 생동과 창조를 실현할 수 있다. 연구자는 상호문화미술교육으로의 전환에 필요한 접근을 교육의 지향점과 기본 관점, 실천적 접근, 교육적 가치의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상호문화미술교육은 학습자의 존재적 물음과 삶에 연계된 다문화적 문화 형성에 작동하여 자신과 타자의 실제적 변화를 이끌 긍정적 토양이 될 것이라 기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ize the problems of current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n Korea and explore new direction and implications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based on phenomenological concept of interculturality. This study examines various researches o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discourses in korea and finds some difficulties. It is that multicultural art education mainly has been focused on inducing assimilation in the ethnocentrism or stayed on cultural pluralism on the assumption the difference of cultures. These kinds of approach can occur problems of the absence of the presence of a multi-dimensional attributes in culture and the absence of presence of human beings and voices of the others in cultural process.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is study suggests intercultural philosophy and concept of interculturality as alternative approach and explores meanings founded on phenomenology. The concept of interculturality can entail cultural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It can generate not only the conversation and communication in between diverse cultures but also new transcultural experience transforming cultural borders. To doing this, learners can create new cultural identity. Going a step further beyond, this study suggests that multicultural art education centered multiculturality has to be changed into intercultural art education centered interculturality. Finally, this study provides the basic direction and implications of intercultural art education.

      • 다문화사회에서의 사회통합에 관한 사례연구: 독일 유아교육기관의 상호문화교육을 중심으로

        이현미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7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8 No.-

        본 연구에서는 우리보다 40년 앞서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독일에서의 사회통합 정책과 상호문화교육에 대해 살펴보았고 2000년 PISA 학업성취도 국제 비교연구 이후, 사회통합의 새로운 동력을 찾고 모든 아동들의 동등한 출발선을 보장하기 위해 이루어진 취학 전 교육기관의 개혁, 그리고 그 과정에서의 상호문화교육 강화 정책 및 독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상호문화교육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목적은 독일의 취학 전 아동들을 위한 상호문화교육 정책과 상호문화교육 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이제 막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되고 있는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시사점들을 도출하는 것이었다. 시사점들 중에서 중요한 것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문화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육기관은 일반 아동과 이주배경 아동을 위한 공동의 교육장소로서의 역할을 넘어서서 사회통합을 위한 장으로서의 역할을 확대하고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구심점이 되도록 한다. 둘째, 상호문화교육 교육과정이나 프로그램 개발 시 인위적으로 꾸며진 상황이 아니라 실제상황에서 삶에 필요한 내용을 배울 수 있도록 실제상황에서 핵심 주제를 찾고 실생활과의 연관성 하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편성한다. 셋째, 부모참여 활성화를 위하여 부모를 자원으로 인식하고 그들 자신의 상황과 자녀교육의 전문가로서 대우해 줌으로써 주체적으로 교육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든다. 또한 다문화 부모들이 우리나라에서 동등한 권리를 가지고 살아갈 수 있도록 이들을 지역사회에 통합시키고 사회적 네트워크를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부모들의 교육역량을 강화한다. 넷째, 유아기관 종사자들이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아동들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효과적인 상호문화교육을 실행할 수 있도록 단 기간의 연수가 아니라 지속적이고 내실있는 계속교육이 필요하다. 다섯째, 아동들이 불공정과 불평등 상황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적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 과정에서 편견에 대한 의식화와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반 편견교육을 실시한다. This study examined social integration policies and intercultural education in Germany, which entered multicultural society 40 years earlier than ours, and reviewed the 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in 2000. Then, it also reviewed the reform of preschool institutions, which was done to find a new driving force for social integration and to ensure an equal starting line for all children, the policy of strengthening mutual cultural education in the process, and the case of inter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German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practical implications when establishing multicultural policies for preschool children, developing curriculum, or operating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through examining Preschool Intercultural Education Policy and the cases of inter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Germany. The important results are as follows. 1.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at carry out intercultural education extend beyond their role as a common educational place for gener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migrant backgrounds, expanding their role as a forum for social integration and becoming the center of community networks. 2. When developing a curriculum or program for intercultural education, find key topics in real situations and organize them so that the meaning is found in relation to real life so that one can learn what they need in life, not in an artificially created situation. 3. Parents are recognized as resources for the activation of their parents' participation, and by treating them as the specialist of their own situation and their own children, the environment is created where they can participate in educational activities. And to help multicultural parents live with their equal rights in Korea, integrate them into local communities, expand social networks, and strengthen parents' educational capacity. 4. Continuous and sustained education is needed instead of short-term training so that early childhood educators can understand children with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and implement effective intercultural education. 5. Instruct children to talk freely about unfair and inequitable situations and actively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In this process, anti-prejudice education is needed to help them find out how to live while being conscious of prejud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