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군의 표준차량 상용화 현황과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김민철 ( Kim Min-chul ),이형석 ( Lee Hyung-seog ),이인석 ( Lee Insuk ),정무관 ( Jeong Mugoan )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21 지역산업연구 Vol.44 No.3

        국방부는 국방예산의 효율적 활용을 위하여 2005년부터 군수품 상용화를 추진하였고, 대표적으로 군수용 차량을 민수용 차량으로 대체하는 표준차량 상용화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그리하여 지금까지 많은 군수용 차량들이 민수용 차량으로 대체되었고, 이를 통한 많은 예산절감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군 표준차량의 상용화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미비하였고, 국방부 자체적인 평가에서는 예산절감의 효과에 치중한 나머지 실질적으로 민간차량을 운영하는 군인들의 만족도를 파악하지는 못하였다. 이로 인하여 군 표준차량 상용화를 통해서 획득한 성과가 간과되는 측면이 있고, 효과 또한 예산절감만을 고려하여 편도된 결과만을 보여주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군 표준차량 상용화 현황과 효과에 대한 다양한 분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군수품 상용화와 표준차량 상용화의 의미를 살펴보고, 표준차량 상용화와 관련하여 2018년부터 2020년까지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최근 3년간 표준차량을 상용차량으로 대체한 수량은 총 2,824대로 연간 941대에 달하였다, 상용차량으로 대체되는 표준차량은 주로 화물계열 차량으로, 전체의 83.4%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상용차량으로 대체가능한 대상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었다. 표준차량 상용화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예산절감과 사용자의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표준차량 상용화의 예산절감 효과는 최근 3년간(2018년~2020년)562억 원으로, 연평균 약 188억 원에 달하였으며, 연도별 절감액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었다. 다음으로, 상용차량을 운용하고 있는 사용자 중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45개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표준차량 상용화의 외관과 유지보수 측면에서 만족도 향상이 있었음이 확인되었고, 운용성과 경제성은 유의미한 변화가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함의를 살펴보고, 본 연구의 한계점을 파악하여 이와 관련된 향후 연구에 도움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conduct various analyzes on the current status and effects of commercialization of standard vehicles, a representative policy of commercialization of munitions promoted since 2005 for the efficient use of the defense budget. First, the meaning of commercialization of military supplies and commercialization of standard vehicles was examined, and the current status from 2018 to 2020 in relation to commercialization of standard vehicles was examined. Over the past three years, the total number of standard vehicles replaced by commercial vehicles was 2,824 units, reaching 941 units per year. The standard vehicles replaced by commercial vehicles were mainly cargo vehicles, which accounted for 83.4% of the total. And the targets that can be replaced by commercial vehicles were continuously expanding.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commercialization of standard vehicles, a budget reduction and user satisfaction survey were conducted. First, the budget saving effect of commercialization of standard vehicles was 56.2 billion won over the past three years (2018-2020), reaching an average annual average of about 18.8 billion w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se budget savings are also continuously increasing. Next, a survey was conducted on 150 users of commercial vehicles and 145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n improvement in satisfaction in terms of appearance and maintenance of standard vehicle commercialization,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operabi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examined,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identified to provide help to related future studies.

      • 기술의 효율적 상용화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정헌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6 정책자료 Vol.- No.-

        서 론우리나라는 지금까지 원천기술의 개발에 비해 이의 사업화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나라에서 개발된 많은 원천기술들이 활용처를 찾지 못하고 사장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우선 선진기업 및 연구기관의 기술상용화 사례 및 정부지원 실태를 살펴보고, 이와 한국기업이나 연구기관들의 상용화 실태를 조사, 비교해 봄으로써 한국 기업이나 조직의 성공적 기술상용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정부의 지원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선진기관의 우수 기술상용화 사례본 연구는 먼저 선진 기술상용화 관련기관의 우수사례로 영국의 British Technology Group과 미국의 스탠포드 대학의 기술상용화 지원전략을 살펴본다.BTG는 일반적으로 먼저 대학교,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시장성이 유망한 기술을 확인, 평가한다. 특허출원과 관계없이 기술의 개발부터 제품생산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를 조사한 후 매년 유망기술 100여개를 선별한다. 일단 유망하다고 판정된 기술의 경우 우선 특허출원하여 법으로 보호받도록 하게 되는데 특허는 20년간 유효하다. 특허출원을 마치고 나면 기존의 인적 전문가 네트웍크를 이용해 마케팅전략을 개발한다. 개발된 마케팅전략을 바탕으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관련 제조업체에 기술을 판매 또는 라이센싱하게 된다.스탠포드 대학에서 기술이전 및 상용화는 연구자가 발명에 관한 보고서를 기술이전사무소(office of technology licensing: OTL)에 제출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각각의 발명에 대해 한 사람의 이전담당자(licensing associate: LA)를 할당하여 예비평가를 하게 되는데, 예비평가는 새로움, 시장성, 기술적 특징, 가격 경쟁력 등 다각도로 대략적인 검토를 하게 된다.예비평가 후 LA는 발명에 대한 이전 및 상용화 예비전략을 작성한다. 일반적으로는 다수의 기업들을 대상으로 비독점적인 이전계획을 세우나, 투자가 많이 요구되거나 시간이 필요한 발명의 경우 독점적인 이전 기업체를 물색한다. LA는 물색된 이전대상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개발자와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상용화가 성공하도록 지원하는데, 보통 기술이전 후 계약이 끝날 때까지 15-20년을 follow-up한다. 선진국가의 기술상용화 지원정책OECD 선진국가의 기술상용화 지원정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호주의 One-stop Shopping기술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기업에 대한 즉시성 있는 상용화 관련정보의 제공과 더불어 정부의 적절한 지원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호주에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 곳에서 모든 지원과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one stop shopping 제도를 도입하였다. One stop shopping은 영국의 상무성(DTI)이 개발한 OSS시스템을 본뜬 것으로 전국적으로 산재해 있는 기업지원센터들을 통해 기업들에게 경영자문, 분석, 시장정보 제공 등을 한꺼번에 서비스하는 것이다. 2. 캐나다의 One-stop Shopping 캐나다의 CBSC(Canadian Business Service Center)는 기업에 대한 정부지원 프로그램 및 정보서비스를 제고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활동들을 한다.○ 기술기업의 욕구파악○ 기업을 돕기 위한 정보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정보제공 단체들과 파트너쉽 구축○ 협력업체들의 고객서비스 정신고양○ 기업의 요구에 부응하는 배달시스템 구축을 위해 정교한 서비스, 향상된 정보제공, 다양한 배달시스템의 효율성 평가 등의 업무를 수행 3. 미국의 One-stop Shopping미국의 SBA (Small Business Administration)은 미국의 주요도시에BIC(BusinessInformation Center)를 세워 사업 매뉴얼, 관련정보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 최첨단의 경영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최근 센터는 이름을 USEAC(US Export Assistant Center)로 바꾸면서 상용화 제품의 해외수출을 희망하는 기업들에게 한번의 접촉으로 모든 정부의 프로모션 정보나 자금지원 프로그램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센터는 이와 관련한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거나 전문기관을 소개해주고 있다. 4. 핀란드의 One-stop Shopping핀란드의 MTI(Ministry of Trade and Industry’s Regional Business Service)는 기술기업들의 기술개발, 해외시장개척, 경영스킬 능력을 제고시키기 위해 집중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5. 일본의 One-stop Shopping일본은 일찍이 중소기업이 산업의 주요 부분을 차지해온 결과로 중소기업들의 기술사업화 지원 측면에서 많은 노력이 행해져 왔다. 초기의 정부지원은 주로 기술기업의 기술개발, 운영자금 지원에 초점이 맞추어졌으나, 최근 들어 기업들이 전략적 기획력 등의 부재로 중도하차 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함에 따라 경영, 기술인력의 확충이 중소기업 사업화 지원에 있어 중요한 전략적 이슈로 대두되었다. 따라서 최근 일본정부는 기업의 기술, 경영인력 능력 제고를 위한 교육훈련에 가장 중점을 두고 있다. 6. UK의 One-stop Shopping영국의 기업 관리교육 및 지원 책무는 DTI(Department of Trade and Industry)에 의해 수행되는데, 교육훈련을 담당하는 TECs(Training and Enterprise Council)과 비즈니스링크가 두 축을 이루고 있다. 한국의 기술상용화 실태한국기업의 상용화 실태는 크게 중소기업과 대기업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대기업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기업 내에 R&D부서와 사업화부서가 공존하거나, 독립적인 R&D연구소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들 대기업들은 R&D부서와 사업화부서의 커뮤니케이션 상에 다소 장애가 있을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R&D부서에서 개발된 기술들을 사업화하는 데 요구되는 자원과 전문인력을 가지고 있고, R&D부서에서 기술의 사업화에 적극적으로 협조하므로 일반적으로 성공적인 기술 사업화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문제는 중소기업들의 경우인데, 이들 중소기업들은 종업원들 대부분이 R&D또는 생산인력이고 개발된 기술의 사업화에 투여할 충분한 자원과 전문인력을 가지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이들은 좋은 기술을 보유하고도 이를 제대로 사업화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1. 한국 기업의 기술상용화 실태2. 한국 연구기관의 기술상용화 실태3. 한국의 기술사업화 지원기관의 지원실태 효과적인 기술상용화 추진을 위한 정부의 지원방안미국 등 선진국과 한국의 기술사업화 상황을 살펴보면 양자간에 크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첫째, 미국 등 선진국의 경우 대학 등 연구기관이 자체적으로 기술사업화를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 실제로 다수의 성공적인 기술사업화 실적을 보이고 있으나, 한국의 경우 대부분의 연구기관들이 자체적인 기술의 사업화 지원은 이제 막 시작하려는 단계에 있다는 점이다.둘째, 미국 등 선진국 정부의 경우 자체적인 사업화 능력이 부족한 기업이나 기관의 경우 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자원을 한 곳에 투여하여 지원서비스에 있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있는 반면, 한국의 경우 정부의 각 부처별로 상이한 지원 프로그램을 가동시켜 지원이 필요한 기업들이 제대로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정부는 이들 두 가지 문제의 근원적인 해결책을 모색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는데,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이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정부의 지원시스템에 대한 설계방향을 제시한다.우선 현재 과학기술부, 산업자원부, 정보통신부 등 각 부처에 산재되어 있는 기술의 사업화 지원기능을 통합,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 위해 사업화지원 전문기관을 국무총리 산하기관으로 설립한다. 이를 가칭 “기술사업화진흥원”이라 한 다. 이의 설립을 바탕으로 기술의 사업화 지원 시스템을 2단계의 체계적 지원 시스템으로 가져가는데, 우선 기존의 각 정부부처 산하기관에서는 기술의 사업화의 초기단계에 해당되는 사업화 기술의 발굴 및 사업화 기획사업만을 전담하게 하고, 각 부처 산하기관에서 유망하다고 판단된 신기술 사업화건의 경우 기술사업화진흥원에

      • 대덕연구개발특구 기업의 기술상용화에 관한 연구

        김홍기 서울大學校經濟硏究所 2008 經濟論集 Vol.47 No.2-3

        기업의 기술개발은 개발된 기술을 통해 시장에서 구체적인 상품으로 고객의 니즈를 만족시킴으로써 이익을 창출한다는 데 목적이 있다는 점에서 기술상용화를 전제로 한다. 과거에는 개발된 기술개발은 기업가정신을 갖춘 기업가에 의해 자동적으로 상용화된다고 가정되었으나, 최근에는 기술개발과 상용화 간에는 많은 갭이 존재하여 기술개발이 자동적으로 상용화되는 것은 아니라는 인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서 본 연구는 기술상용화 과정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를 소개하면서 이론적 토대 위에서 대덕연구 개발특구 기업들의 기술상용화 현황을 살펴보았다. 대덕연구개발특구에서의 기업들은 기술상용화 실적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건수로 측정한 상용화 성공도나 만족도로 평가한 상용화 성공도 모두양호하게 나타나 최근 기술상용화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상용화 성공도가 급속히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기업들의 성장단계가 높을수록, 기술개발부서와 판매부서 간의 협조가 잘 될수록, 기술개발부서가 설치된 기업일수록 정성적 상용화 성공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상용화 실패의 주된 원인으로는 '재원 부족'과 '적절한 시장진입시기 실패' 및 '경쟁기업과의 가격경쟁'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기업들은 기술상용화의 활성화를 위해 '금융지원' , '마케팅 지원'과 '세제지원' 등을 정부로부터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상용화 소요기간이 상대적으로 길다는 사실과 대덕연구 개발특구 내 기업들은 주로 중소기업이라는 사실을 통해 '재원부족'이 기술상용화에 상당한 장애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기술상용화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창투사나 엔젤투자자와 같은 투자금응기관들을 적극적으로 유치하여 금융문제를 해결함은 물론 적극적인 마케팅에 대한 컨설팅이 필요하다.

      • KCI등재

        IT업계의 기술상용화 주요 요인에 관한 연구

        성태경,Sung, Taekyung 서비스사이언스학회 2017 서비스연구 Vol.7 No.2

        본 논문은 IT업계에서 기술 상용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파악하고, 기술 상용화 주요요인이 상용화의 성공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데 있다. IT 기술 상용화 프로젝트 관리자들은 기술의 상용화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기술 상용화 장려책'을 꼽았고, 뒤이어 '경영층 지원,' '정부 지원,' '관계자간의 협력,' '경영에 대한 이해' 순으로 평가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기술 상용화에 영향을 미치는 11개 주요 요인은 종합적으로 기술 상용화의 성공에 대한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술 상용화 장려책,' '관련자간의 협력,' '수요자 요청 기술'은 유의수준 1%에서 '기술 상용화 경험'은 유의수준 1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기술 상용화의 성공에 가장 많은 기여를 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성공한 상용화 프로젝트의 경우 주요 요인의 기술 상용화의 성공에 대한 설명력(46.80%)이 실패한 프로젝트의 설명력(38.50%)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CSFs for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n IT industry, and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impact of CSFs on the succes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omprehensive literature study identifies eleven factors affecting the process and results of technology transfer and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Incentives for Commercialization,' 'Leadership Support,' 'Government Support,' 'Cooperation among Parties,' and 'Understanding of Business' a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Regression analyses show that CSFs in total have very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in the succes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ncentives for Commercialization,' 'Cooperation among Parties, 'Demand-Pull Technology', and 'Commercialization Experienc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explaining the success of commercialization. Successful commercialization projects show higher explanatory power (46.80%) than failure projects (38.50%).

      • KCI등재

        벤처기업의 제품 상용화 성공요인

        박경미,황재원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3 산업혁신연구 Vol.29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벤처기업의 제품 상용화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유자원 특성, 기업가 특성, 산업환경 특성, 경영전략 특성 등의 네 가지 범주를 제시하고, 각 특성의 실질적인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보유자원 특성 중에서는 연구개발능력, 생산능력, 마케팅 능력이 각각 높을수록 상용화 성공의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가 특성 중에서는 기업가의 학력이 높을수록, 최고경영자가 창업자일수록, 기업가가 장기투자를 중시할수록 상용화 성공의 정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환경 특성 중에서는 시장규모가 클수록, 경쟁강도가 낮을수록 상용화 성공의 정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영전략 특성 중에서는 마케팅차별화전략을 추구하는 경우 상용화 성공의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추가분석을 통해 기업연한과 제품의 시장진입시기에 따라 상용화의 성공요인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업연한이 짧은 경우 연구개발능력, 마케팅능력, 기업가의 학력, 전공, 경쟁강도, 기술차별화전략이 상용화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기업연한이 오래된 경우 연구개발능력, 장기투자 중시 성향, 경쟁강도, 마케팅차별화전략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의 시장진입시기가 신기술 개발단계인 경우 재무능력, 생산능력, 기업가 전공, 경쟁강도, 마케팅차별화전략이 영향을 미치며, 기존 기술 활용단계인 경우 마케팅능력, 경쟁강도, 마케팅차별화전략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업 수준의 성과에 초점을 맞추는 기존 연구와는 달리 제품 수준에서 상용화 성공요인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의 기술 상용화에 관한 연구

        성태경 서비스사이언스학회 2019 서비스연구 Vol.9 No.1

        This study discusse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C), identifies success factor (SFs) for TC from the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ly tests these factors through questionnaires to executiv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dustries. Literature review identifies 11 SFs and they are communication, management support, incentives for TC, common goals, understanding business, awareness of TC, cooperation among partners, government support, concreteness of technology, demand-pull technology, and experience of TC.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CEOs and CIOs in 202 compani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dustries and final response rate was 64.4% (260 out of 404) that is considered to be high. Respondents rate cooperation among partners as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management support, communication, common goals, and incentives for TC. To successfully pursu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roject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dustries, the attention should be focused on SFs that are evaluated as very important.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과 기술 상용화에 대해 논의하고, 기술 상용화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 요인을 문헌 연구를통하여 도출하여, 제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산업계 경영진에게 설문을 통하여 이들 요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문헌연구 결과 기술 상용화에 영향을 미치는 11가지 성공 요인은‘대화와 소통’,‘경영층 지원’,‘경영에 대한이해’,‘기술 상용화의 이해’,‘관련자간의 협력’,‘기술 상용화 장려책’,‘공동목표 인식’,‘정부 지원’,‘기술상용화 경험’, ‘기술의 구체성’,‘수요자 요청 기술’이었다. 404부의 설문지를 제4차 산업혁명 업계에 속하는 기업의 CEO와 CIO에게 발송하였고, 최종 응답률은 64.4%(260부)로서상당히 높은 참여율을 보였다. 응답자들은 제4차 산업혁명의 기술 상용화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관련자간의 협력’을꼽았고, 뒤이어‘경영층 지원’,‘대화와 소통’,‘공동 목표 인식’,‘기술 상용화에 대한 이해’순으로 평가하였다. 기업이 제4차 산업혁명의 기술 상용화 프로젝트의 성공 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성공 요인들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사업을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를 위한 법적 개선방안 연구

        이재삼 ( Lee Jae Sam )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원 2019 과학기술법연구 Vol.25 No.4

        현행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은 자율주행자동차의 안전한 운행기반 조성 등을 통해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를 촉진함으로써 국민의 생활환경 개선과 국가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에 있어서 여러가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우선, 정부의 자율주행자동차 정책방향의 소극성과 국민적 수용성 등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자율주행자동차의 구조적 불비나 결함에 따른 안전성이 문제되고 있다. 또한, 자율주행자동차의 연구개발에 대한 낮은 집약도 문제, 아울러, 자율주행차의 사고발생 시 원인 규명과 책임 부여의 어려움 등이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다. 위와 같은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에 따른 문제점에 대하여는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이 요구된다. 우선, 자율주행자동차 정책의 강화를 제고하기 위한 법·제도 개선, 첨단 교통인프라 구축, 안전관리체계 확립, 관학 협동을 통한 추진동력 확보와 정책적 지원이 요망된다. 그리고,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자율주행자동차의 안전기준인 조향장치, 제동장치, 좌석 등의 완비와 충분한 시험운전이 필요하다. 또한, 자율주행차 산업의 경험 및 데이터 축적과 기술개발을 통한 완전한 상용화를 추구한다. 아울러, 자율주행자동차의 사고 시 신속한 원인규명과 사고책임을 부여하도록 한다. 이러한 개선방안의 구체적 실현을 위해서는 우선 자율주행자동차 정책의 적극적 추진과 정책의 결정에 대한 평가 시스템(피드백)을 통한 발전적 정책집행 및 적극적 지원이 요구된다. 그리고 자율주행자동차의 고도의 안전성 제고를 위해서는 첨단시스템을 도입한 사전점검 및 사후점검을 제도화 한다. 또한 자율주행자동차의 기술 고도화를 통한 자율주행자동차의 완전 상용화와 산업경쟁력 및 국가경쟁력에 기여하도록 한다. 아울러 자율주행자동차의 사고 시 신속한 원인규명과 분명한 책임을 제도화 한다. 결국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와 기술의 고도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법적·제도적 보완이 선행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The Act on the Promotion and Support of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aims to improve living environment of people and contribute to the country’s economic development by promoting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through creation of safe operating system of autonomous vehicles, etc. However, there are several prob-lems with such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First, the government’s policy toward autonomous vehicles is passive and public acceptance is inadequate. And safety according to structural deficiency of an autonomous vehicle is at issue. In addition, difficulties that arise when finding the cause and assigning responsibility in case of an auton-omous vehicle accident as well as low intensity i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utonomous vehicles are being posed. For remedying above problems due to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it requires to: Improve a law/system for enforcing an autonomous vehicle policy, establish an advanced traffic infrastructure, establish a safety control system, secure the driving force through government- school cooperation and have government’s supporting policy; Complete security devices in an autonomous vehicle such as steering wheel, braking system and seat and have adequate test-driving for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Pursue full commercialization with extensive experience and accumulated data in the autonomous vehicle industry and technical development, and; Promptly establish the cause and assign responsibility in case of an autonomous vehicle accident. For realizing such improvements specifically, it requires to: Actively promote a policy for autonomous vehicles, and implement and completely support a development policy through an assessment system (feedback) on the decision of policy; Institutionalize pre- and post-inspections with an advanced system so as to increase high-level safety of autonomous vehicles; Pursue full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through advanced techniques and contribute to enhancement of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Institutionalize a prompt inquest into cause and transparent responsibility in case of an autonomous vehicle accident. As a result, the legal and institutional complement must take precedence in order for autonomous vehicles to commercialize and have refined techniques.

      • KCI등재

        한국산업기술진흥원 (KAIT)기술경영우수논문 공모전 수상작 : 기술상용화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자동차산업을 바탕으로

        김광석 ( Gwang Suk Kim ),정호진 ( Ho Jin Jung ),장용재 ( Young Jae Jang ) 기술경영경제학회 2012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0 No.1

        기술을 상용화하는 것은 기업의 성패 및 경쟁우위 확보에 있어 매우 중요한 영역이지만, 개발된 기술이 상용화되는 비율은 매우 낮다. 이는 기술상용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즉, 결정요인 분석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산업을 바탕으로 기업 내 의사결정권자의 기술상용화에 대한 태도, 기술의 질적수준, 시장지향성, 정부의 지원수준의 측면에서 기술상용화의 영향요인들을 통계적인 방법으로 검증하고, 각 변수들간의 인과관계를 설명해주는 모형을 제안하였다. 더욱이 제안한 모형이 기업능력수준과 산업분야에 따라 다른 영향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들을 조절변수로 상정하여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의 시장지향성과 정부의 지원수준은 기술상용화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주었다. 이 때 경영진의 태도는 시장지향성의 선행변수로, 기술수준은 정부 지원수준의 선행변수로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기업능력은 경영자의 태도, 시장 지향성, 기술상용화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난 반면, 산업분야는 기술의 질적수준이 정부의 지원수준으로 이어지는 경로에서만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 및 학문적·실무적 공헌을 자세히 서술하였으며, 한계점을 바탕으로 한 추후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Although a commercialization of developed technology is an important factor for firm`s competitiveness, the success rate i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s significantly low. This fact raises a need of an analysis on factors affecting success i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hus, in this study, in order to determine the success factor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tatistical analysis is done on 4 different elements of Korean automobile industry firms: managerial group attitude, market orientation, technology quality, and government support; and developed a causal-relationship model of the above elements and commercialization. In the developed model, two moderating variables, corporate ability and industry classification, are added to determine the level of correlations respect to two moderating variables. As a result of hypothesis tests, market orientation, managerial attitude as an antecedent variable; and government support, technology quality as an antecedent variable, both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For moderating variables, a corporate ability has moderating effects on the connections of managerial attitude, market orientation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but an industry classification has a moderating effect only on the link between technology quality and government suppor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erve a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R&D efficiency improvement by providing government with direction in science & technology policy.

      • KCI등재

        한국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개발 및 상용화 추진 전략 제안

        권이균,신영재,Kwon, Yi Kyun,Shinn, Young Jae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8 자원환경지질 Vol.51 No.4

        본 연구에서는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한 실질적인 수단인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상용화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과 실행 계획을 검토하였다. 우리나라의 포집 및 저장 사업의 경제성 확보를 위한 추진 전략으로 1) 대용량 저장소 확보와 실질적 저장용량 평가의 시급성, 2) 포집원-저장소 수송거리 최소화, 3) 기술 혁신을 통한 비용 효율화, 4) 공공성 확보와 민간 참여를 유도하는 정부 정책 도입을 제안한다. 이러한 전략들을 바탕으로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상용화를 위한 실행 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실행 계획은 대규모 포집 및 저장 통합 실증과 이어지는 상용화 사업이 동일한 지역(저장소)에서 수행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계별로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고 목표 달성 여부를 면밀히 판단하여 계속 수행 여부를 단계마다 결정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1단계(2019년~2021년)는 대규모 저장소 선정과 포집 기술 상용화 단계이다. 최종 부지 선정을 위한 시추와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고, 연소 후 습식 포집 기술의 격상과 적용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저장소 및 포집원이 선정되면, 2단계(2022년~2025년)에 정부 주도의 100만톤급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대규모 통합실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 수송, 포집 설비 및 시설의 설계와 구축, 기술의 통합과 실증이 요구된다. 2단계 종료 시점에서 통합실증 성과와 탄소 시장의 성숙도 등을 바탕으로 상용화 사업 진입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상용화 사업 추진이 결정되면, 포집 설비의 증설과 수송 및 저장 설비의 격상, 보완을 통해 3단계(2026년~2030년) 민간 주도의 400만톤급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상용화 사업이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strategies and implementation plans for commercializing $CO_2$ capture and storage, which is an effective method to achieve the national goal of reducing greenhouse gas. In order to secure cost-efficient business model of $CO_2$ capture and storage, we propose four key strategies, including 1) urgent need to select a large-scale storage site and to estimate realistic storage capacity, 2) minimization of source-to-sink distance, 3) cost-effectiveness through technology innovation, and 4) policy implementation to secure public interest and to encourage private sector participation. Based on these strategies, the implementation plans must be designed for enabling $CO_2$ capture and storage to be commercialized until 2030. It is desirable to make those plans in which large-scale demonstration and subsequent commercial projects share a single storage site. In addition, the plans must be able to deliver step-wised targets and assessment processes to decide if the project will move to the next stage or not. The main target of stage 1 (2019 ~ 2021) is that the large-scale storage site will be selected and post-combustion capture technology will be upgraded and commercialized. The site selection, which is prerequisite to forward to the next stage, will be made through exploratory drilling and investigation for candidate sites. The commercial-scale applicability of the capture technology must be ensured at this stage. Stage 2 (2022 ~ 2025) aims design and construction of facility and infrastructure for successful large-scale demonstration (million tons of $CO_2$ per year), i.e., large-scale $CO_2$ capture, transportation, and storage. Based on the achievement of the demonstration project and the maturity of carbon market at the end of stage 2, it is necessary to decide whether to enter commercialization of $CO_2$ capture and storage. If the commercialization project is decided, it will be possible to capture and storage 4 million tons of $CO_2$ per year by the private sector in stage 3 (2026 ~ 2030). The existing facility, infrastructure, and capture plant will be upgraded and supplemented, which allows the commercialization project to be cost-effective.

      • KCI등재후보

        상용화 정책에 관한 조직 메타포 분석

        김순선 ( Soon-Sun Kim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08 국가정책연구 Vol.22 No.1

        오늘날 대부분의 국가들이 과학기술 발전을 통한 국가경쟁력 제고에 주력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를 인식하고 공공R&D기관을 통한 과학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다. 그러나 최근 공공R&D기관의 연구개발 결과물의 상용화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산업체 기술이전을 통한 국가경쟁력 제고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는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여러 대안들을 제시하고 있으나 그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미지수다. 이에 대해 본 논문은 조직 메타포를 활용하여 공공R&D기관을 통한 상용화 정책을 분석하였다. 상용화 정책을 입안하는 정부기관과 이를 시행하는 공공R&D기관이 자신 및 서로를 어떤 조직 메타포로 바라보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공무원과 공공R&D기관의 연구원들의 언어를 분석하였다. 정부기관과 공공R&D기관의 조직 메타포를 통해, 상용화 정책에 있어서 정책입안자(정부기관)와 정책의 수행자(공공R/D기관)의 견해를 알 수 있었다. 서로를 바라보는 메타포를 통해 상용화 정책을 보다 객관적으로 조망하였다. 이는 상용화 정책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Nowadays almost nations try to promote the competition of n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national science technology. Also Korea has been engaging in this race of through public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But recently the commercialization of R&D products appears a poor result in the royalty of technology according weak technology transfer toward I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Even If we try to find the problems and causes, as yet it is true that we don`t solve the problem, make a diagnosis about it. Therefore this paper researches the point of view of organization and its member through metaphor, try to analyze different viewpoint of the government and public R&D research institute related with commercialization policy through the analysis of their language. The result of the paper will be the guide to make decision and effectively implement the commercialization of public R&D research institute`s produ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