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과 일본에서의 <삼국지연의> 전래와 수용

        이은봉 동아시아고대학회 2010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23

        한국에서의 <삼국지연의> 수용은 유입 초기부터 왕을 비롯한 상층 독자를 위해 중국에서 유입된 <삼국지연의> 원문을 그대로 인출 혹은 판각해 보급했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사실로 보건데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지연의>가 유입 초기부터 성행했음을 알 수 있으며, 여러 문인들의 문집에 기록된 글로 볼 때 비록 허황된 소설이지만 역사 교화서로서의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한글로 번역되어 출판되면서 이러한 역사 교화서로서의 역할은 축소되었지만 그렇다고 해도 <삼국지연의>의 기본 주제인 촉한을 정통으로 하는 ‘대의’는 계속 이어졌다. 이러한 인식은 중국과 잇닿은 반도국이라는 지리적 여건상 중국의 정치 문화적 영향도 무시할 수 없지만, 이보다 더 큰 이유는 성리학이라는 국가 이데올로기가 <삼국지연의>의 주제의식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에 반하여 일본에서의 <삼국지연의> 수용은 중국에서 유입된 <삼국지연의>를 따로 출판하지는 않은 것으로 볼 때 유입 초기에 독자층이 매우 제한적이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하지만 일본 최초의 자각적 주자학자인 하야시 라잔과 같은 문인들의 독서목록에 역사서류와 같이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봤을 때 일본 역시 유입초기에는 역사서의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일본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삼국지연의>를 성리학적 맥락에서 받아들이고 있는 것처럼 보이나 한국이 중국과의 관계 속에서 촉한에 대한 정통론적 대의명분을 직접 내세우는 것과는 달리 일본은 <삼국지연의>의 정통론을 통해 자신들의 역사 정통론과 당시의 지배이념을 공고히 하는데 활용하고 있어 <삼국지연의>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게다가 일본어로 번역된 <삼국지연의>에서는 이러한 차이가 더욱 두드러져 일본만의 <삼국지연의> 문화를 형성했으며, 가부키 등과 같은 공연물로 연희되면서는 일본풍이 더욱 가미되어 그 주제의식마저 ‘충의’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인식은 섬나라의 특수성 때문에 중국과의 정치 문화적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은데다가 지배 이념도 달라 순수하게 문화적 측면만을 받아들였기 때문일 것이다. From the early stage of its reception to Chosun,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was copied and printed in its original Classical Chinese form in order to be distributed to the upper class readers, including the king. It seems to have enjoyed popularity among Koreans from the early stage of its introduction, and judging from the accounts in anthologies of many literati, it provided historical lesson and guidance to the readers, although it was a book of fiction. Though its role as historical lesson reduced when the Korean translation became available, the fundamental theme that supported the cause of Shu Han remained intact. This may have been a result of political consideration that came from Chosun's geographic location as the neighboring country of China. However, a more fundamental reason would be that the theme of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was deeply related to Chosun's state ideology, Confucianism. To the contrary,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in its original form from China was not published in Japan. This suggests the limited readership in Japan in the early stage of its reception. As it was listed along with history books in the reading list compiled by intellectuals, such as Hayashi Razan, it seems that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was also treated as a book of historical lesson in Japan. Hence, Japan seems to have accepted the Confucian context of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just as Chosun did. Nonetheless, while Chosun asserted the cause of Shu Han based on its direct relation with China, Japan used the logic of historical legitimacy demonstrated in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to support their own historical legitimacy and the ruling ideology. Japanese translation of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enhanced the difference even more and established a culture of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unique to Japan. When it was adopted in Kabuki, the Japanese-ness was far more strengthened and even the theme changed to the 'loyalty.' This could be a result of Japan's geographical location that allowed it to keep certain distance from China's political influence, and enabled it to accept the purely cultural side of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 KCI등재후보

        <청백운>에 나타난 <삼국지연의>의 수용 양상과 의미

        張欣(Zhang, xin)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 장서각 Vol.0 No.35

        이 글에서는 <청백운>에 나타난 <삼국지연의>의 수용 양상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의미를 도출해보았다. 고대 四大奇書로 이름난 <삼국지연의>는 한국 고전소설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는데, 도원결의로 생사를 함께 한 劉 · 關 · 張, 신기묘산을 지닌 제갈량, 음모술수로 패권을 차지한 조조 등의 인물 형상은 관습적으로 고전소설에 수용되었다. 이 글에서는 이런 관습적인 인물 형상에서 벗어나 결연담과 처첩갈등담 등 서사적 측면에서의 수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청백운>의 결연담과 처첩갈등담에 수용된 <삼국지연의>의 화소는 주로 적벽대전에서 나타난 소재들이다. 특히 결연과정은 적벽대전 때 쓰인 장계취계의 형식으로 이루어지고, 처첩갈등의 구도는 위 · 촉 · 오 삼국정립 형세로 비유되며, 그들 사이의 갈등전개에는 적벽대전에서 쓰인 고육계와 연환계 등이 수용되었다. 이처럼 작가가 결연담과 처첩갈등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삼국지연의>를 수용한 것을 통하여 <청백운>은 <삼국지연의>를 수용하는 데에 있어서 그 범위를 결연담과 처첩갈등담이라는 서사적 측면으로 확장시킨 점이 획기적이다. 또한 <삼국지연의>의 수용은 蜀漢정통론인 <삼국지연의>의 독법을 따르면서 새롭게 형상화하였다는 것도 의미가 크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작가가 <청백운>을 창작할 당시에 새로운 창작 방식을 시도한 것이 확실하다. <청백운>이 <삼국지연의>를 수용하면서 이전과 달라진 시도를 했다는 점은 간과할 수 없는 지점이다. 특히 전투로 이루어진 <삼국지연의>의 내용을 결연담과 처첩갈등담으로 전환시킨 시도는 높이 평가할 만하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acceptance and significance of Three Kingdoms in Cheongbaegun. The characters such as sworn brothers Liu, Guan and Zhang, tactful Zhuge Liang, crafty hero Cao Cao and others of Three Kingdoms, which is one of ‘the four masterpieces’ in ancient times, are widely used in Korean classical novels. Moreover, almost all the military tales in Korean classical novels appeared to be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ed by Three Kingdoms. This article separates from the conventional manners of acceptance, but focuses on the acceptance of the conjugal relations tales and the contradictions between wife and concubines tales of Three Kingdoms in Cheongbaegun. In the conjugal relations tales and the contradictions between wife and concubines tales of the Cheongbaegun, the acceptance of Three Kingdoms embodies in the resourceful materials of the War of Jeokbyeok(赤壁, The Red Cliff). Thereinto, the conjugation process in this article is developed in the form of ‘meet trick with trick(將計就計)’ in the War of Jeokbyeok. The structure of the contradictions between wife and concubines is adopted in the form of tripartite confrontation of kingdoms Wei, Shu and Wu. The development of the contradictions between wife and concubines is applied by stratagems such as ‘inflict injury on oneself to win the enemy’s trust(苦肉計)’ and ‘chain stratagems (連環計)’. Thus, through the above analysis, the acceptance of Three Kingdoms in Cheongbaegun has exceeded the previous characters and military tales, and extended to the fields of the conjugal relations tales and the contradictions between wife and concubines tales. Moreover, the author of Cheongbaegun are not only followed the ideology of Shu Han Kingdom orthodoxy, but also endowed the novel with a new content structure. These two aspects are fully reflected that the author adopted new creation patterns while writing Cheongbaegun. The acceptance of Three Kingdoms in Cheongbaegun demonstrates various new attempts, the meaning of which cannot be ignored. In particular, the convert of the war materials in Three Kingdoms to the conjugal relations tales and the contradictions between wife and concubines tales should be highly praised.

      • KCI등재

        효종(孝宗)의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독서와 번역

        김수영 국문학회 2015 국문학연구 Vol.0 No.32

        This paper aims to reveal for the first time how Hyojong(孝宗, 1619∼1659), 17th king of Joseon, enjoyed reading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三國志演義), as well as the cultural meaning of the king's such enjoyment. These aspects were identified as follows through the analysis of Comment on Queen Inseon's dictation of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in Korean(仁宣王后御書諺書三國演義跋) by Sim Ik-un(沈翼雲). First, King Hyojong, during his reign(1649-1659), read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and translated it into Korean. Second, King Hyojong translated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and dictated it to Queen Inseon(仁宣王后) and court ladies. Third, King Hyojong-translated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was handed down to his third daughter, princess Sukmyeong(淑明公主), to whose great-great child Sim Ik-un the translation was handed down. Fourth, King Hyojong-translated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existed in the title of Queen Inseon's Translation of Romance of the Three Kingdom, comprising 13 books from book 5 to 17, on June 16, 1763 when Sim Ik-un wrote Comment on Queen Inseon's Translation of Romance of the Three Kingdom. Thes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afresh that King Hyojong royal family of Joseon had a very positive perception of novels. 이 논문은 조선의 제17대 국왕 효종(孝宗, 1619∼1659)의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향유 사실과 그 양상을 처음 밝히고, 그 문화적 의미를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심익운(沈翼雲, 1734∼1782년 이후)이 쓴 <인선왕후어서언서삼국연의발>(仁宣王后御書諺書三國演義跋)의 분석을 통해 이 논문에서 밝힌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효종은 국왕 재위 중(1649년∼1659년)에 궁중에서 <삼국지연의>를 읽고 그것을 국문으로 번역하였다. 둘째, 효종이 <삼국지연의>를 국문으로 번역하여 구술하면 왕비 인선왕후(仁宣王后)가 받아쓰고, 때로 궁인(宮人)이 대필(代筆)하여 책이 이루어졌다. 셋째, 효종이 국문으로 번역한 <삼국지연의>는 셋째 딸 숙명공주(淑明公主)에게 하사되었으며, 그 후 숙명공주의 고손(高孫)인 심익운의 집안에 전해졌다. 넷째, 효종이 국문으로 번역한 <삼국지연의>는 심익운이 <인선왕후어서언서삼국연의발>을 쓴 1763년 6월 16일 당시에 ‘인선왕후어서언서삼국지통속연의’(仁宣王后御書諺書三國志通俗演義)라는 제목으로 제5권부터 제17권까지 총13권으로 존재하였다. 이처럼 효종은 문예적 욕구에 따른 취미로 <삼국지연의>를 읽고 그것을 국문으로 번역하였다. 효종의 소설 향유 과정에 인선왕후와 숙명공주가 함께했다는 사실은, 효종대 왕실의 소설 인식이 상당히 긍정적이었으며, 왕실에서 퍽 유연한 태도로 소설을 향유했음을 말해 준다. 통시적으로 볼 때 효종의 <삼국지연의> 향유는 조선 전기 이래 이어져 온 ‘국왕의 소설 향유 문화’를 계승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좀더 적극적인 향유 양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실증적 사례로 여겨진다. 효종이 <삼국지연의>를 직접 번역한 일은 그의 ‘북벌(北伐) 의지(意志)’와 일정 정도 관련이 있지 않은가 생각된다.

      • KCI등재

        부산광역시립 시민도서관 소장 『삼국지연의』의 연구

        유춘동 ( Choon Dong Yoo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1 東洋學 Vol.49 No.-

        本文考述了釜山廣域市立市民圖書館所藏的韓文飜譯本『三國志演義』的性格和特点。這本書共30卷30冊。從外形上看這本象是套裝本, 但其實是2種飜譯本的合裝本。原來的30冊中的卷二缺失, 這部分從新抄寫補了進去。除了卷二, 其餘29冊飜譯的是毛宗崗本『三國志演義』, 基本每卷4回。但卷20和卷23分別抄錄了5回和3回分量的內容。章回題目也和毛宗崗本幾乎一致。只是卷二, 不受原本的拘束, 筆抄者根據內容任意題名, 內容也沒有章回之分。除了卷二的其餘29冊, 把開場詩、注、評語、``且聽下回``等套語和每回最後登場的詩, 大部分都省略了。但內容각忠實地根據毛宗崗本縮約飜譯。有些內容改稱比較容易的描寫, 書信、表、上疏文等也縮約飜譯, 但基本上沒有毁損原本內容。這本書的最大特點是把毛宗崗本的揷入詩大部分都飜譯了。揷入詩沒有表寫漢字或韓文音符, 而是飜譯解釋了其內容。一個場面裏出現二首以上的詩, 只飜譯了第一首。刪掉的揷入詩, 主要是批判劉備的、贊揚曹操的、筆抄者判斷是惡人出場的部分, 都刪掉了。相反, 關羽、諸葛亮、趙子龍、張飛等登場的部分, 或忠臣出場部分的詩, 全都飜譯了。卷二沒有考慮毛宗崗本。卷二同樣把開場詩、注、評語、``且聽下回``等套語和每回最後登場的詩大部分都省略了。但中間出現的揷入詩都沒有解釋, 內容的省略也흔多。這本書是1903年前後筆抄, 閱讀, 中間卷二缺失之后, 仍舊流傳。到1909年把卷二部分從新抄寫補充。從這一點, 可以推看10年間隔, 飜譯本有何變化的面貌。這本書的筆抄者和筆抄目的現在還不明確。但從筆抄記中的일선니 공부□니요來看, 是想通過小說『三國志演義』, 了解中國曆史, 又一個字一個字的寫韓文來學習韓文。這本書在釜山-慶南一帶閱讀的本, 타是在活版本『三國志演義』或新小說出現之前, 在20世紀初就出現的飜譯本, 這一點比其他任何異本具有更大的意義。

      • KCI등재

        <天君紀>의 <三國志演義> 援用 양상과 의미

        金秀永(Kim, Soo-young) 대동한문학회 2018 大東漢文學 Vol.57 No.1

        1. 서론 2. <天君紀>의 <三國志演義>援用 양상 3. <天君紀>의 <三國志演義>援用의 의미 4. 결 론 본고는 17세기 소설가 黃中允이 창작한 <天君紀>와 중국소설 <三國志演義>를 마주 세워 <천군기>가 <삼국지연의>를 어떻게 援用하였는지를 해명하고 그 원용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周曰校刊本 <삼국지연의>의 朝鮮 刻本인 新刊 校正古本大字音釋三國志傳通俗演義를 비교의 대상으로 삼아 논의를 진행하여 다음의 사실을 밝혔다. <천군기>에서 ‘敬’을 뜻하는 등장인물인 惺惺翁・主一翁・誠意伯 3인의 서사는, 각각 <삼국지연의>에 등장하는 劉備의 軍師인 徐庶・諸葛亮・龐統 3인의 서사를 원용했다. 그 중에서도 주일옹의 서사는 <삼국지연의>를 가장 적극적으로 원용했다. 그런데 <천군기>의 성성옹・주일옹・성의백 3인은 각각 謝良佐, 程頤, 尹燉에 의해 주창된 敬 사상을 알레고리적으로 표현한 인물이다. <천군기>가 전대의 천군서사와 달리 ‘경’을 뜻하는 인물을 이렇게 셋으로 설정하고, 그중에서도 주일옹을 가장 중요하게 부각시킨 것은 이 세 사상가의 이론을 통합한 朱熹의 경 사상에 뿌리를 두고 있다. 그러므로 황중윤은 ‘마음을 경의 상태에 거하게 하라’[居敬]라는 <천군기>의 주제의식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통합적인 기획 하에 ‘서사전략’의 일환으로 주체적이고도 창의적으로 <삼국지연의>를 원용했다고 말할수 있다.

      • KCI등재

        三國志演義 初期 텍스트 연구― 3種 朝鮮唯一本 포함 諸版本對校例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민경욱 한국중국소설학회 2019 中國小說論叢 Vol.57 No.-

        In this paper, I comprehensively present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e work of a comparative texual criticism between 6 to 11 editions of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limited to the remaining parts of Chosun Metal Type Edition). This is a close sympathetic work of the early editions of the present Three Kingdoms, and in particular, it contains all of the editions which that had not been fully studied. Based on this, I tried to review the relevant academic issues surrounding the genealogy of the early editions of Three Kingdoms. In Chapter 2, we first demonstrate that Jiajing Edition is the isolated edition and that the text of the existing AB-series edition is, in part, farther away from the original text than the existing CD-series edition. Then, at the end, I presented two methodologies for analyzing the genealogy of existing AB series editions. Section 1 of Chapter 3 has argued why Chosun Metal Type Edition belongs to the AB-series. In Section 2, we first demonstrate that Jiajing Edition belongs to a different series from Shanghai Folios and Chosun Metal Type Edition, and the reason why Shanghai Folios belongs to the AB-series, and the reference version of Zhou Yuexiao Edition-A(Probably Shanghai Folios), and why Zhou Yuexiao Edition-A precedes Zhou Yuexiao Edition-B and Zhou Yuexiao Edition-C. Section 3 demonstrated that Xia Zhenyu Edition is older than Zhou Yuexiao Edition. To summarize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t is clear that the common conclusions of scholars represented by Andrew West have once again been proved by the method of text critisism. In addition, by the work of incorporating several of the above editions, which had not been sufficiently studied in the past, we have further elaborated the genealogy of the AB-series of Three Kingdoms and have made some corrections to that part of Andrew West’s the genealogy of the AB-series. 본고에서 필자는 (朝鮮活字本이 남아있는 부분에 국한된) 최소 6종 판본, 일부에서는 최대 11종 이상의 三國志演義 판본간의 對校 작업을 통해 얻은 결론을 압축적으로 제시한다. 이는 현존하는 삼국지연의 초기 판본을 거의 망라한 교감 작업으로서, 특히 기존에 연구가 충분하지 않았던 朝鮮活字本, 朝鮮飜刻本, 樂善齋本, 2종 滿譯本(3종 텍스트), 上海殘葉, 夏振宇本을 對校 범위에 모두 포함했다는 점에서 현 단계 三國志演義 판본 교감 연구의 집대성 성격을 가진다. 이를 기반으로 필자는 삼국지연의 초기 판본의 계보를 둘러싼 관련 학술 현안을 다시 한 번 종합적으로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제2장에서는 먼저 嘉靖本이 孤本이라는 점과 현존 AB계열 판본의 텍스트가 일부분에 있어서는 현존 CD계열 판본에 비해 羅貫中의 原本 텍스트에서 더 멀어졌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이어서 말미에서 필자는 현존 AB계열 판본의 계보를 분석하기 위한 교감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제3장 제1절에서는 朝鮮活字本이 AB계열에 속한 이유에 대해 논증하였다. 이어서 제2절에서는 먼저 嘉靖本이 上海殘葉 및 朝鮮活字本과 다른 판본 계열에 속한다는 점과 上海殘葉이 AB계열에 속한 이유에 대해 논증하였고, 다시 周曰校本甲本(=朝鮮飜刻本)의 參校本이 A계열이 아니라 AB계열(아마도 上海殘葉)인 이유 및 周曰校本甲本이 周曰校本乙本과 周曰校本丙本보다 선행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논증하였다. 제3절에서는 夏振宇本이 周曰校本보다 선행한다는 점에 대해 논증하였다. 본고의 의의를 요약하자면, 웨스트를 위시한 판본 학자들의 공통된 결론을 (그들과 다른) 텍스트 교감의 방법으로 다시 한 번 확증하였다는 점, 그리고 기존에 연구가 충분하지 않았던 상기 여러 판본을 망라하여 三國志演義 AB계열 판본의 계보를 좀 더 구체화했으며 아울러 웨스트의 판본 계보도의 해당 부분을 일부 수정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 KCI등재

        『三國志演義』와 關索故事의 영향 관계 고찰

        옥주(Ock, Ju)(玉珠) 대한중국학회 2021 중국학 Vol.75 No.-

        『三國志演義』는 元代 建安 虞氏의 『三國志平話』를 시작으로 현전하는 통행본인 毛宗崗本에 이르기까지 약 350여 년의 발전 과정을 거쳤다. 이러한 발전 과정 안에서 상업성을 목적으로 한 福建地方과 江南地方의 출판 경쟁이 시작됐고, 江南地方에서 刊行된 演義系列 版本과 福建 建陽地方에서 刊行된 志傳系列 版本이 생겨났다. 그리고 이 두 系列의 版本은 回目과 內容 등에서 독자적인 특색을 갖고자 여러 가지 변화를 시도하였다. 두 系列의 版本들을 살펴보던 중 필자가 주목한 것은 『花關索傳』과 『三國志演義』에 대한 영향 관계였다. 본 연구는 『三國志演義』에 『花關索傳』이 揷入되면서 系列 분류 및 관련 版本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三國志演義』』내에서 『花關索傳』점차 사라지게 된 근본적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하여 毛宗崗을 비롯한 몇 가지 이유를 들어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까지도 잘 보존되어 이어지는 關索과 관련된 전설과 민간고사 등을 통해 『花關索傳』이 갖는 의미와 가치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The novel,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which appeared initially with the title, 『Pinghwa version of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authored by an author of his surname Yu of the area of Jianan in the era under the reign of Emperor Yingzong of Yuan Dynasty(1321-1323), has been transferred so far through different versions of the 『Translation of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of 240 Chik authored by Luo Guanzhong in 1522 of the era of Myng Dynasty, and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compiled and criticized by Li Zhouwu』 of 120 editions authored by Li Zhouwu, under the reign of Emperor Wanli of Ming Dynasty. Thereafter, the versions passed through the process of continuous transformation in terms of its contents and subtitles until the emergence of currently available popular version of Mao Zonggang of 『Four Great Novels』. Author of the present paper intend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mutual influence between 『Hua Guan-suo‘s zhuan』 and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to each other, for which the versions were analyzed through divided approaches to Yanyi series, another name Jiangnan series published in the region of Jiangnan, and Zhizhuan series, another name Fusian series published in the region of Jianyang in Fujian Province, upon initial analysis of the 『Pinghwa version of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e relationship of mutual influence of Zhizhuan series appeared higher than that of Yanyi series, wherein the indications of old stories of Guan-suo inserted into Zhizhuan series, owing to commercial competitions for publication of different versions of Zhizhuan series, were found. Thereafter, it was identified that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of the versions with 『Hua Guan-suo‘s zhuan』 appeared diminishing as it went toward the version of Mao Zonggang, the currently available popular version.

      • KCI등재

        한국에서 요시카와 에이지 <삼국지> 유행의 의미

        이은봉 동아시아고대학회 2015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40

        조선 후기 이미 <삼국지연의>가 한글로 번역되어 필사․방각본 형태로 유통되었고, 근대 초기 구활자본을 거쳐 신문과 잡지에 연재된 <삼국지연의>까지 숱한 <삼국지연의> 번역본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유독 요시카와 에이지 <삼국지>가 유행한 첫 번째 이유는 ‘가독성’ 때문이다. 근대 초에 번역된 <삼국지연의>들은 비록 쉬운 우리말 번역으로 한문 어투가 주는 난해함은 극복했다 하더라도 구성은 ‘모종강평본’을 그대로 따르고 있어, 이 이야기를 했다가 저 이야기를 하는 느낌을 주어 독자의 혼란을 더했다. 이는 같은 제목의 챕터에서도 시간과 공간의 연속성이 해체되어 있고, 소실점이 너무 다양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요시카와 에이지는 단일한 시점 즉, 원근법으로 <삼국지연의>를 재구성함으로 해서 깊이감을 더했다. 비록 전지적 작가 시점이긴 하지만 모든 사건을 주요 인물 중심으로 전개하는 ‘초점화’를 통해 전근대 소설이 주는 난삽함을 없앴다. 이렇게 ‘초점화’된 시선으로 이야기를 전개함으로 해서 독자는 작가의 눈을 통해 보는 것이 아니라 등장인물의 시선을 통해 사건을 인식하게 되었다. 그리고 두 번째 이유는 당연 ‘재미’ 때문이다. 원래 재미있었던 이야기에 원근법으로 깊이감을 더했으니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은 당연했다. 그런데 요시카와 에이지는 <삼국지연의>에 없는 새로운 이야기를 첨가해 근대 독자를 사로잡았다. 그 대표적인 것이 시작 부분에 있는 ‘차 사건으로 만들어진 모험’과 ‘홍부용과의 로맨스’다. 이러한 모험과 로맨스는 근대 독자들이 서양의 소설을 통해 접했던 이야기와도 상통하는 것으로 근대 독자의 시선을 끌기에 충분했다. 또한 그는 전 근대소설이 가지는 불필요한 우연 혹은 기이한 이야기 등을 제거하거나 자신의 설명을 덧붙여 나름의 합리성을 확보했다. 왜냐하면 근대 교육을 받은 독자들에게 기적에 가까운 사건이나 미로처럼 얽혀 드는 서사는 리얼리티를 방해하는 요소였기 때문이다. 이처럼 요시카와 에이지 <삼국지>가 해방이후 우리나라에서 유행할 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었다. 전근대 <삼국지연의>가 재미없어진 것이 아니라 인식의 변화로 인한 서사 배치에 문제가 생겼기 때문이다. Numerous versions of Korean translations could be found for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hereinafter, Romance)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and the Early Modern Period. By the late Joseon Period, it had already been translated into Korean and circulated into transcribed forms or mill block-printed editions. A considerable number of translations ranging from the old printed editions to the ones serialized in newspapers and magazines in the Early Modern Period were also available. Nonetheless, the reason that Eiji Yoshikawa’s Romance was exceptionally popular in Korea was, first because of its “readability.” The readers who received modern education could no longer read traditional fiction, which could be perceived as a disarray of confusing narratives, such as the version with a commentary by Mao Zong Gang. What used to be entertaining had become complicated. The abstruseness of classical Chinese locution was in a form that the Korean readers felt could be overcome by the translation of Romance into Korean. However, the narrative structure continued to follow that of Mao Zong Gang’s commentary version, imparting a feeling that the story was all over the place causing confusion for the readers. This was because even in a chapter under the same title, the continuity of time and space was deconstructed and too many focal points existed within a story. Eiji Yoshikawa, however, reconstructed Romance through one viewpoint, or perspective, and added depth to the story. Although through an omniscient viewpoint, Yoshikawa brought in “focalization” to the narrative and let the events unfold around the central characters to do away with the confusion and disarray that existed in the pre-modern form of fiction. By developing the story through a “focalized” viewpoint, he enabled the readers to perceive the events through the eyes of the characters instead of the author. The second reason that Yoshikawa’s version of Romance enjoyed popularity, of course, is because it was “entertaining.” The original novel itself was entertaining and it was only natural that people were drawn into its narrative even more, as depth was added to the story by putting things in perspective. In addition, Eiji Yoshikawa captivated the readers by adding new stories to Romance. Two such examples are the “Adventure Triggered by the Tea Incident” and “The Romance with Hong Furong” that appear at the start. The aspect of adventure and romance was something with which the modern readers became familiar through Western novels, which, in turn, captured their attention. Yoshikawa also eliminated the unnecessary coincidences or bizarre episodes from Romance, which pre-modern fictions often entailed, or added his own explanation to secure some level of rationality. To the modern readers, events that verged on miracles or narratives that looked too much like a tangled maze were elements that disrupted the reality of the novel. As such, these are the reasons that Eiji Yoshikawa’s version of Romance could become popular in Korea after the country’s independence. It is not that Romance from the Pre-Modern Period was no longer interesting or fun to read, but that due to the change in people’s perception, its narrative structure has been called into ques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