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omparative monitoring of insecticide resistance of Bemisia tabaci collected from greenhouse peppers in the Republic of Korea

        Gyeongmo Gu,Minsung Ma,Seojin Jung,Donghun Kim 한국응용곤충학회 2024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4 No.04

        담배가루이는 전세계의 온대 및 아열대 지방에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시설재배작물의 주요 해충 이다. 1998년 충북 친천군 장미재배지에서 처음 확인되었으며, 이후 전국적으로 확산된 것으로 추정된다. 담배가 루이는 고추, 토마토, 오이 등 300종이 넘는 넓은 기주범위를 가지며, 식물체를 흡즙하여 작물의 생산성을 저하시 키고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TYLCV) 등 100여종이 넘는 바이러스를 매개한다. 담배가루이는 주로 살충제를 이용한 방제가 이루어진다. 하지만 살충제를 이용한 방제법은 살충제 저항성 개체 를 발생시킨다. 살충제 저항성 개체가 발생하게 되면 방제 효율이 급감하여 농가에 추가적인 경제적 피해를 야기 한다. 본 연구는 국내 지역별 담배가루이를 대상으로 약제별 살충제 저항성의 발생 현황을 조사하여, 지역별 효과적인 약제를 탐색하고 향후 방제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담배가루이는 전국 15지역(파주, 양평, 화성, 양구, 횡성, 평창, 당진, 천안, 공주, 예천, 구미, 사천, 남원, 나주, 고흥)에서 채집되었다. 살충제는 작용기작 별 사용량이 많은 8종을 선정하였으며, 엽침지법을 사용하여 살충률을 확인하였다. 곤충생장조절제(insect growth regulators, IGR) 피리프록시펜계 약제는 알을 대상으로, 그 외 7개 약제는 2령약충을 대상으로 살충률을 확인하였 다. 모든 지역에서 높은 살충력을 보인 약제는 아버멕틴과 밀베마이신계, 스피노신계, METI살충제, 디아마이드 계 약제이다. 특히 아버멕틴과 밀베마이신계 약제는 살충제 권장사용농도(10ppm)보다 낮은 8.9ppm이하의 LC90 값을 보여 감수성으로 추정되며, 예외적으로 천안 지역의 25.6ppm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LC90값을 보였다. 낮은 살충력을 보인 약제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설폭시민계, 피리프록시펜계, 테트론산 및 테트람산 유도체 약제이 다 특히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약제는 모든 지역에서 살충제 권장사용농도(50ppm)보다 높은 715ppm이상의 LC90 값을 보여, 모든 지역에서 살충제 저항성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실험결과를 통해 살충제 별 살충력의 차이와 지역별 살충제 저항성을 검정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지역별/약제별 저항성관리 및 대응전략을 수립하여 농업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곤충병원성 곰팡이 중심의 국내 천연식물보호제 연구 현황

        우수동 한국농약과학회 2022 한국농약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2 No.11

        유기합성농약의 여러 가지 부작용에 따라 그를 대체하거나 보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양한 천연식물보호제(생물농약)의 연구개발 및 실용화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살충제 분야에서는 곤충의 병원성 미생물을 이용한 미생물 살충제가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연구개발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미생물 살충제의 개발에는 곤충병원성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나 선충 등 다양한 미생물들이 이용되고 있으며, 각 미생물의 특성에 따라 그리고 대상 해충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까지는 곤충병원성 세균인 Bacillus thuringiensis (Bt)를 중심으로 미생물 살충제의 시장이 형성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곰팡이 살충제의 시장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Bt 살충제는 주로 나비목 해충의 유충에 대해서 높은 효과를 보이지만 그 적용 범위나 방제 대상의 확장에는 거의 한계에 이르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해충의 저항성 발생 또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에 비해 곰팡이 살충제는 나방류, 딱정벌레류, 응애류, 가루이류, 노린재류, 깍지벌레류 등 매우 광범위한 해충에 대해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알에서부터 성충 시기까지 거의 모든 발육단계에서 효과적이기 때문에 그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아직 천연식물보호제로서 살충제의 이용이 활발하지 못한 국내에서, 최근 곰팡이 및 Bt를 이용한 미생물 살충제와 곰팡이의 대사산물과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생화학 살충제의 제품화를 위한 연구개발이 진행 중이다. 이들 살충제는 관행적인 방법으로는 방제가 어려운 진딧물이나 응애류 그리고 깍지벌레와 같은 흡즙성 미소 해충들과 주요 나방류 해충들을 우선적인 방제 대상으로 연구개발을 수행중에 있다.

      • Monitoring of the regional insecticide resistance of Bemisia tabaci collected from the pepper house in the Republic of Korea

        Gyeongmo Gu,Jiseok Kim,Donghun Kim 한국응용곤충학회 2023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3 No.10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는 국내 주요 농업 해충으로서 고추, 오이, 토마토 등의 시설재배 작물에 큰 피해를 입힌다. 담배가루이는 작물을 흡즙하여 식물체의 상태를 악화시키고 TYLCV(tomato yellow leaf curl virus)등 100 여 종의 바이러스를 매개하며, 배설물을 통해 그을음병을 유발한다. 가장 일반적인 담배가루이의 방제방법은 빠르고 높은 효과를 지닌 살충제 살포이다. 하지만, 지속적인 화학적 방제는 해충의 살충제 저항성을 야기한다. 살충제 저항성은 방제 효율 감소와 농가의 경제적 손실을 일으킨다. 본 연구는 국내 지역별 시설 고추 재배지에서 발생한 담배가루이의 약제별 저항성을 조사하여, 지역별로 효과적인 약제 선정 및 대체 약제 추천 등 지속 가능한 해충관리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담배가루이는 전국 13개(파주, 양평, 화성, 횡성, 당진, 천안, 공주, 예천, 구미, 사천, 남원, 나주, 고흥) 지역에서 채집되었다. 작용기작 별 사용량이 많은 8종을 선정하였으며, 엽침지법을 사용 하여 살충률을 확인하였다. 곤충생장조절제(insect growth regulators, IGR)인 피리프록시펜계 약제는 알을 대상 으로, 그 외 7개 약제는 2령약충을 대상으로 살충률을 확인하였다. 높은 살충력을 보인 약제는 아버멕틴, 밀베마 이신계, 스피노신계, METI살충제, 디아마이드계 약제이다. 아버멕틴, 밀베마이신계는 권장사용농도로 처리 시 최소 84.5%, 최대 100% 살충률을 보였다. 스피노신계는 최소 86.3%, 최대 90.6% 살충률을 보였으나 천안, 파주, 사천에서 각각 59.7%, 66.6%, 79%로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살충률을 보였다. METI살충제는 최소 81.1%, 최대 98% 살충률을 보였으나 나주, 예천, 천안, 사천이 각각 61.6%, 68.8%, 68.9%, 69.2%의 상대적으로 낮은 살충률을 보였다. 디아마이드계는 최소 83.9%, 최대 91.9% 살충률을 보였으나 천안과 구미가 각각 56.6%, 59.8%로 상대적으로 낮은 살충률을 보였다. 낮은 살충력을 보인 약제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설폭시민계, 테트 론산 및 테트람산 유도체, 피리프록시펜계 약제이다. 네오니코티노이드계는 최소 14.1%, 최대 41.9% 살충률을 보였다. 설폭시민계는 최소 17%, 최대 42.8% 살충률을 보였다. 테트론산 및 테트람산 유도체는 최소 30.5%, 최대 54.9% 살충률을 보였으나 천안이 14.4%로 특히 낮은 살충률을 보였다. 피리프록시펜계는 최소 55.3%, 최대 64.3% 살충률을 보였으나 횡성이 72.2%로 상대적으로 높은 살충률을 보였으며, 파주가 35%로 상대적으로 낮은 살충률을 보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살충제 별 살충력의 차이와 지역별로 살충률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 과를 통해 효과적인 약제 추천과 지역에 따라 다른 방제 전략 제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Control of the Vector Insect of Pinewood Nematode by Insecticide Trunk Injections

        Gun Hyung Kwon,Min Seop Lee,Jin Heung Lee,Yun Mi Jung,Sarker Souvic,Young Dae Kw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8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8 No.04

        소나무재선충병의 방제를 위한 나무주사는 살선충제를 사용하여 예방적인 측면에서 이루어 졌다. 본 연구는 소나무에 살충제를 나무주사하여 약제를 소나무 전체에 침투 이행시킨 후 우화한 매개충이 후식하는 과정에서 약제가 포함된 신초를 섭식하게 되면 소화중독으로 교미 및 산란 전에 살충시킴으로서 매개충을 방제하고자 실시하였 다. 이러한 살충제 나무주사 방법은 신초를 후식하는 하늘소류만을 소화중독에 의해 살충시키는 방법으로 기존의 항공방제에 비해 환경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살충제 나무주사에 가장 적합한 약제 선발을 위해 실내에서 Neonicotinoid계 살충제 7종을 각 2,000배로 희석한 후 솔수염하늘소에 2㎕를 경구투입하여 살충효과를 평가한 결과 Clotianidin SL, Thiamethoxam DC이 소화중독에 의한 살충효과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이들 살충제를 야외에서 소나무에 나무주사 후 가지에 망대를 설치하고 솔수염하늘소를 접종하여 살충력을 검정한 결과 Thiamethoxam DC가 살충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현장적용을 위해 잣나무림에 나무주사후 산란유인목을 설치하여 무처리구와 비교한 결과 살충제 나무주사 시험지의 산란유인목에서는 산란이 이루어지지 않아 현장방제에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Management of the Development of Insecticide Resistance by Sensible Use of Insecticide, Operational Methods

        정부근,박정규,Chung, Bu-Keun,Park, Chung-Gyoo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8 No.2

        해충의 저항성발달로 야기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향후연구를 촉진시키고자 하였다. 농약사용이 지속되는 한 저항성 발달은 필연적이라는 생각으로, 저항성발달을 지연시키기 위해 재배자가 활용할 수 있는 약제성질에 근거를 둔 약종선택, 혼용, 교호, 모자이크 처리 등 약제살포법과, 천적과 양립할 수 있는 선택성 살충제와 저항성 천적의 이용을 중심으로 한 병해충 종합관리(IPM)에 대해 고찰하였다. 저항성관리에 약종의 성질을 이용할 경우 약종별로 작용점과 mode of action(작용방식)이 같거나 다를 수 있고, 2차 해충과 함께 살충제의 활성, 잔류기간, 약제 저항성 발달에 대한 취약성도 다르다. 약제는 섭식, locomotion(거동), 비행, 교미, 포식자 회피 등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역교차저항성을 나타내는 살충제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농약혼용은 실제 많이 이루어지고 있고 앞으로도 그러하겠지만, 진정한 의미에서 저항성 발달 지연을 위한 혼용, 교호, 모자이크 처리법은 대립유전자의 우성도, 교차저항성, 유입(immigration), fitness 불이익 등과 함께 살충제의 작용방식과 작용점들의 차이에서 구성약제가 매우 높은 비율로 충을 죽이는 부의 교차저항성을 가진 살충제들의 채택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저항성 관리에 약제혼용의 대표적인 사례 22가지와 교호처리 사례 27가지를 표로 제시하였다. 혼용처리의 잠재적 불이익은 생물적 방제의 와해, 이차해충의 저항성발달, 고도의 저항성 개체군 선발, 다양한 살충제에 대한 교차저항성 범위 확대를 내포하고 있다. 교호처리는 살포약량을 높이거나 낮추고, 다른 대사기구를 가진 살충제를 사용하는 것도 고려되었다. 모자이크 처리는 진딧물 같이 정주성 해충인 경우에 연관없는 살충제를 교호로 다른 구역에 처리하거나, 살충제 처리한 열(列)과 그렇지 않은 것을 혼합 배치하여 저항성 발달을 지연시키거나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해충의 저항성 진화 측면에서 볼 때, 기생자와 포식자의 저항성과 선택성은 농약처리를 요하는 세대 수를 감소시키고 농약으로부터 피난처의 상보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작물별, 기주별, 기생자와 포식자에게 선택성을 보이는 약제를 별도의 표로 요약하여 제시하였다. 기생자의 생존력 향상을 위해 살충제의 선택성과 선택성에 영향을 주는 내 외적 요인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농약사용 하에서 기생자를 사용하기 위해 농약에 대해 저항성이거나 내성이 있는 기생자를 검정, 채집 혹은 선발하는 것을 논의하였다. 포식자에 대한 선택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농약의 선택성, 선택성의 포장적용과 그에 미치는 요인, 포식자와 기주의 균형, 선택성을 도외시한 방제법의 문제점, 천적과 농약의 양립성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n attempt was made to stimulate future research by providing exemplary information, which would integrate published knowledge to solve specific pest problem caused by resistance. This review was directed to find a way for delaying resistance development with consideration of chemical(s) nature, of mixture, rotation, or mosaics, and of insecticide(s) compatible with the biological agents in integrated pest management (IPM). The application frequency, related to the resistance development, was influenced by insecticide activity from potentiation, residual period, and the vulnerability to resistance development of chemical, with secondary pest. Chemical affected feeding, locomotion, flight, mating, and predator avoidance. Insecticides with negative cross-resistance by the difference of target sites and mode of action would be adapted to mixture, rotation and mosaic. Mixtures for delaying resistance depend on each component killing very high percentage of the insects, considering allele dominance, cross-resistance, and immigration and fitness disadvantage. Potential disadvantages associated with mixtures include disruption of biological control, resistance in secondary pests, selecting very resistant population, and extending cross-resistance range. The rotation would use insecticides in high and low doses, or with different metabolic mechanisms. Mosaic apply insecticides to the different sectors of a grid for highly mobile insects, spray unrelated insecticides to sedentary aphids in different areas, or mix plots of insecticide-treated and untreated rows. On the evolution of pest resistance, selectivity and resistance of parasitoids and predator decreased the number of generations in which pesticide treatment is required and they could be complementary to refuges from pesticides To enhance the viability of parasitoids, the terms on the insecticides selectivity and factors affecting to the selectivity in field were examined. For establishment of resistant parasitoid, migration, survivorship, refuge, alternative pesticides were considered. To use parasitoids under the pressure of pesticides, resistant or tolerant parasitoids were tested, collected, and/or selected. A parasitoid parasitized more successfully in the susceptible host than the resistant. Factors affecting to selective toxicity of predator are mixing mineral oil, application method, insecticide contaminated prey, trait of individual insecticide, sub-lethal doses, and the developmental stage of predators. To improve the predator/prey ratio in field, application time, method, and formulation of pesticide, reducing dose rate, using mulches and weeds, multicropping and managing of surroundings are suggested. Plant resistance, predator activity, selective insect growth regulator, and alternative prey positively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the ratio. Using selective insecticides or insecticide resistant predator controlled its phytophagous prey mites, kept them below an economic level, increased yield, and reduced the spray number and fruits damaged.

      • KCI등재

        상수원 이용 호소(대청호) 내 니트로페놀류 및 살충제류 모니터링

        문해란(Haeran Moon),김다혜(Da-Hye Kim),김기용(Ki Yong Kim),심원진(Wonjin Sim),오정은(Jeong-Eun Oh) 대한환경공학회 2020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2 No.7

        목적 : 본 연구는 대전을 포함한 한국 중부 지방의 상수원수로 사용되는 대청호 수역을 대상으로 니트로페놀류 3종(4-nitrophenol, 2,4-dinitrophenol, 2-methyl-4,6-dinitrophenol) 및 살충제류 5종(acetamiprid, dinotefuran, thiacloprid, triflumuron, chlorfluazuron)의 잔류실태 확인과 토지피복 및 월별 강수량 변화에 따른 물질의 거동 특성 파악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 2015년 6월부터 10월까지 매월 1회에 걸쳐 대청호 내 7곳의 지점에서 시료를 채수하였으며, 니트로페놀류 3종과 살충제류 5종은 고상 추출 카트리지를 통해 추출 후 LC-ESI/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니트로페놀류와 살충제류의 검출한계는 각각 0.4-1.2 ng/L, 0.2-5.0 ng/L 수준이며, 내부표준물질에 대한 평균회수율은 니트로페놀류(2,4,6-Tribromophenol) 93.1%, 살충제류(Acetamiprid-d3, Thiacloprid-d4) 각 68.7%, 41.3%로 나타났다. 결과 및 토의 : 3종 니트로페놀류의 검출빈도는 71.4-100% 수준이며, 총농도는 ND(불검출)-487 ng/L로 조사되었다. 5종 살충제류 중 네오니코티노이드계(acetamiprid, dinotefuran, thiacloprid)와 벤조일우례아계(triflumuron, chlorfluazuron) 의 검출빈도는 각각 28.6-100%, 0-28.6% 수준으로 조사되었으며, 총농도 수준은 ND-253 ng/L로 나타났다.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한 지점별 농도분포를 통해 니트로페놀류와 살충제류 모두 하천 상류와 하류 및 호소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조사 기간에 따른 지점별 농도 변화와 강우량 비교를 통해 니트로페놀류 3종은 전반적으로 강우량이 증가함에 따라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살충제류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에 한하여 하천 상류 및 하류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호소의 경우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월별 농도 변화를 통해 산림 위주 단일피복지인 주원천 상류에서 6월 검출되지 않았던 dinotefuran이 7-8월 증가추세를 보이다 9월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고, 댐앞 및 문의, 추동, 품곡천 하류에서는 dinotefuran 농도가 7월 대비 10월에 20배 이상 급격히 증가하였다. 결론 : 인구 3,470,000명 이상의 상수원으로 사용되는 대청호 내 니트로페놀류 검출빈도는 70% 이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미환경청 먹는물 수질기준 대비 약 1,000배 이상 낮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살충제류 중 네오니코티노이드계 3종의 평균 검출빈도는 72.2%로 높은 빈도를 보였으나 미환경청 식수안전기준이 존재하는 acetamiprid 는 기준치의 약 1% 미만 수준으로 조사되어 전반적으로 식수로써 안전한 수준으로 파악되었다. 지점별 농도 수준 분포와 강우량 변화 비교를 통해 산림 위주 단일 피복지인 하천의 상류에서 논, 밭, 주거, 교통 등 복합피복지인 하천 하류 및 호소로 갈수록 농도가 증가하고, 강수량 증가에 따라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통해 니트로페놀류 및 살충제류 모두 강우와 같은 비점오염원의 형태로 하천 하류와 호소로 집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별 농도 변화를 통해 주원천 상류 및 본류 3개 지점에서 특정 시기에 dinotefuran 농도가 증가하였는데, 이는 소나무 재선충 매개역할을 하는 솔수염하늘소 산란시기와 철쭉에 발생하는 심식충, 방패벌레, 응애류 등 병충해 방지를 위한 농약살포시기와 유사하여 살균제 사용이 금지된 상수원보호구역 내 직접적 농약 살포가 이뤄졌을 가능성을 암시한다.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distributions of three nitrophenols (4-nitrophenol, 2,4-dinitrophenol, 2-methyl-4,6-dinitrophenol) and five insecticides (acetamiprid, dinotefuran, thiacloprid, triflumuron, chlorfluazuron) in the Daecheong lake that is primary water resources for the central area in Korea including Daejeon. Furthermore, the effect of land use type and monthly precipitation on the concentration trends of nitrophenols and insecticides were assessed. Methods : River water samples were obtained for once in a month for five months (June to October in 2016) in seven sites of the Daecheong lake. All residues were analyzed by LC-ESI/MSMS after extraction using solid phase extraction cartridge. Method detection limit (MDL) of nitrophenols and insecticides were 0.4-1.2 ng/L and 0.2-5.0 ng/L, respectively. Average recoveries were 93.1% for nitrophenols (2,4,6-Tribromophenol), 68.7% and 41.3% for insecticides (Acetamiprid-d3, Thiacloprid-d4, respectively). Results and Discussion : Detection frequencies (DF) and total concentrations of three nitrophenols were 71.4 to 100%, and not detected (ND) to 487 ng/L, respectively. Among insecticides, DF of neonicotinoids (acetamiprid, dinotefuran, thiacloprid) and benzoylureas (triflumuron, chlorfluazuron) ranged 28.6 to 100%, and 0 to 28.6%. Total concentrations of insecticides were ND to 253 ng/L. Total concentrations of all target compound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upstream and downstream, and adjacent lake by Mann-whitney U test. According to raising precipitation, an increasing pattern of three nitrophenols was revealed in tributaries and lakes but not observed three neonicotinoids in three lake sites. In June, dinotefuran was not detected at the Juwon upstream site with a forest land coverage, however the concentrations rapidly increased from July to August, followed by a sharp decrease in September. For the other four sites (Daecheong dam, Munui, Chudong, and Pumgok streams), dinotefuran concentrations increased by over 20 times between July and October. Conclusions : In the Daecheong lake, which is used as a water supply source for over 3,470,000 personnel, three nitrophenol levels indicated 1,000 times lower than US EPA water quality criteria (WQC) unless high detection frequency (up to 70%). Similarly, there is only WQC among insecticides, acetamiprid showed under 1% of those of guideline. These results are acceptable as a drinking water supply source. To assess the correlation between characteristics of potential origin sources by land coverage and pollutant distributions, and relative monthly precipitation, it is indicated to be increased levels along with upstream surrounding with shrubland to downstream and adjacent lake covered with mixed land coverage (i.g. shrub, and human activities such as rice paddy, farm, transportation, and living). Besides, precipitation was higher as much as increasing concentration. It might be assumed that nitrophenols and insecticides spilled as non-target contamination sources with rainfall. Dinotefuran concentrations in Juwon upstream and three-site of lakes were massively increased in summer and autumn season considered as a pesticide spraying season for bug control such as Japanese pine sawyer, fruit moth, lace bug, and mites. These results implicated the possibility of using insecticides in a sanctuary where use of pesticides is prohibited.

      • KCI등재

        꽃노랑총채벌레 종합방제 - 화학농약 처리 후 안정적 천적 투입 시기

        김철영,이동현,이동희,함은혜,김용균 한국응용곤충학회 202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61 No.4

        시설재배지 고추를 가해하는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를 대상으로 미끌애꽃노린재(Orius laevigatus)를 이용한 생물적 방제가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대상 해충의 빠른 집단 성장은 화학 살충제의 투입이 때에 따라 요구된다. 본 연구는 화학 살충제와 천적의 이상적 종합 방제를 구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성이 높은 살충제 선발 및 이들 살충제 처리 이후 미끌애꽃노린재의 안전한 재투입 시기를 결정하기 위해 수행 되었다. 첫째로 꽃노랑총채벌레에 방제 효과가 높은 상용 살충제가 선발되었다. 총 17종류의 상용 살충제 가운데 5종류(pyriproxyfen+ spinetoram, abamectin, spinosad, acetamiprid, chlorpyrifos) 주성분을 갖는 상용 살충제가 꽃노랑총채벌레에 우수한 방제효과를 주는 약제로 선발되었다. 이들 5종류의 살충제에 대해서 미끌애꽃노린재의 감수성 반응은 꽃노랑총채벌레와 상이하였다. 특별히 아바멕틴과 스피네토람이 유기인계 또는 네오니코티노이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독성을 보였다. 이들 5종류의 살충제 처리 이후 잔류 독성을 미끌애꽃노린재를 이용하여 생물검정한 결과 유기인계 및 네오니코티노이드 약제는 비교적 오랜 기간 독성을 유지하지만, 아바멕틴과 스피네토람 약제의 경우 3일 이후에는 대상 천적에 피해를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잔류독성결과는 LC-MS/MS를 이용한 농약 잔류량 화학분석을 통해 뒷받침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높은 밀도로 증가한 꽃노랑총채벌레에 대해서 이 해충에 살충성이 높은 아바멕틴 또는 스피네토람의 약제를 살포하고 이후 3일 지나 미끌애꽃노린재의 투입을 통해 대상 해충의 평균 밀도를 경제적피해수준 이하로 유지할 수 있다는 종합방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 가정용 살충제 중 모기 살충제 제품의 살충성분 함량 및 휘산율 조사

        이민진(Minjin Lee),이채홍(Chaehong Lee),이지은(Jieun Lee),이정현(Junghyun Lee),탁준형(Junhyung Tak) 환경독성보건학회 2021 한국독성학회 심포지움 및 학술발표회 Vol.2021 No.5

        국내에 판매되는 모기 살충제 제품의 제형은 에어로솔, 액체전자모기향, 매트전자모기향, 모기향, 걸이형, 스티커/팔찌 형태로 확인되었다. 액체 및 매트 전자모기향은 즉효성 제품인 에어로솔 제형과는 달리 일정 시간(기간) 동안 꾸준히 효력을 발휘하는 제형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실제 제품이 주장하는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효력이 발휘되는지에 대한 효능시험의 확인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향후 활용을 위한 레퍼런스 구축의 목적으로 제품의 휘산시간(일자)에 따른 살충성분 방출량 곡선 정보 확보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살충제 휘산율 평가를 통해 제품 표시 및 광고 내용에 대해 실험을 통한 정량적 확인 및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휘산시간(일자) 별 살충제 주성분 잔량 분석을 시행하여 살충 효능 유지 정도를 분석적 관점에서 확인하였다. 액체 및 매트 전자모기향에 사용되는 살충성분 d,d-시스/트란스프랄레트린, d-시스/트란스알레트린, 메토플루트린에 대해 휘산 전 제품 자체의 살충성분 함량 조사와 일정한 시간으로 ( 0 ~ 21 )시간 또는 ( 0 ~ 45 )일 휘산 시켰을 경우 제품에 잔류하고 있는 살충성분 잔류량을 조사하였다. 각 제품에 대한 주성분 함량 분석 및 휘산성 평가를 통해 향후 각 살생물제품 개발 업체 및 제조 업체의 원료 및 제품 품질관리 및 신규 제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국내 살충제 나방류의 저항성관리

        박웅,장익환,강종수 한국응용곤충학회 2013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10

        전세계적으로살충제에 대한 곤충의 저항성발현을 막을수 있는 단일방법은 없 다. 그 원인으로는 각 지역에서의 살충제, 작물 과 해충의 복잡다양한 상호관계에 의한 것으로 보아야 할것이다. 최근에 개발되고있는 환경 및 인축독성에 보다 안전하고 활성이 높은 살충제에 대하여 농민의 효과적인 방제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살충제저항성 관리원칙을 만들어 관리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해충종합관리(IPM) 및 살충제저항성관리 (IRM)의 골격내에서 여러가지 방제수단 (화학적방제, 경종적방제,생물적방제등) 에 의하여 저항성발현을 최소화 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며 제품출시전후의 저항성 발현에 대한 Risk를 평가하고 저항성이 발현되기전에 관계기관, 학계, 관련업계, 판매상, 농민등의 적극적인 저항성관리를 위한 노력을 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제품이 출시되면 잠재적인 저항성발현에 대한 질문에 직면하게 될것이다. 이러 한 리스크를 쉽게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그것은 상황에 따라 매우 다양하고 이는 여 러가지 특징들 때문에 좌우되어진다고 생각되어진다. 약제의 지효성, 기존에 사용된 약제와의 연관성, 작용기작, 교차저항성등이 관 련되며 일반적으로 잔효력이 긴 약제는 잔효력이 짧은 약제보다 저항성이 발현될 가능성이 높고 또한 혼합제 선택시에도 각단제의 추천약량 및 잔효력이 고려되야 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각약제의 추천약량, 시즌중사용횟수, 처리된면적, 처리시 기등을 판단하여 적절한 방제를 할수 있도록 하여야한다. 해충의 생식율, 해충의 운동성, 먹이의 다양성, 해충의 크기 및 서식범위, 개체내 저항성인자의 분포범위, 유전적요인등도 해당되고 또한 년간 세대수가 많은 해충은 저항성의 발현이 다른 해충들에 비하여 빠르게 나타난다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기술적인 사실을 바탕으로 국내에서의 최근 개발된 Diamide계통약제에 의한 나방류의 저항성관리의 원칙을 제시하고자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