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현대 미국 시민사회의 갈등구조와 그 변화에 관한 연구

        유팔무(YOU Pal-Moo) 지역사회학회 2011 지역사회학 Vol.12 No.2

        이 논문의 목적은 시민사회 이론을 미국에 적용하여 현대 미국 시민사회의 갈등과 갈등구조 및 그 변화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에 있다. 미국사회 전체를 국가-시민사회-경제의 3분구조로 파악하면서 갈등이론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의 초점은 주요 갈등의 이슈와 ‘갈등 축’(conflict axis)은 무엇인가, 그것은 과연 구조를 이루고 있는가, 갈등구조는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하였는가, 이 과정에서 경제와 정치는 어떤 작용을 하였는가 하는 점들이었다. 이를 위해 논문은 ‘연구의 목적과 이론적/ 개념적 분석 틀’, ‘현대 미국시민사회의 갈등구조 와 그 형성, 변화의 과정’, ‘시민사회 갈등구조의 형성, 변화와 경제적, 정치적 요인’ 등 세 파트로 구성되었다. 분석의 결과, 그 결론은 ⑴ 현대미국 시민사회의 갈등구조는 ‘다원주의 대 민족주의’를 중심축으로 하고 있다. ⑵ 갈등구조는 1954년~1974년 사이에 형성되어 그 후 부분적으로 변화하는 가운데 2000년대에 이르기까지 유지되고 있다. ⑶ 시민사회의 갈등구조 형성 및 변화의 과정에는 경제적 요인과 정치적 요인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⑷ 분열, 갈등하는 시민사회와 경제 및 정치 사이의 상호작용은 이 세 차원들 사이의 관계를 긴밀하게 해왔고, 경제세력과 정치세력들을 갈등의 양대 축으로 가르는 작용을 하였다. ⑸ 갈등론적, 3분법적 시민사회 이론의 설명력과 유용성이 어느 정도 논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and explain theoretically the structure of conflicts in the american civil society and its change since ‘1960s’. It analyzes the structure of conflicts in a conflict-theoretical perspective in regarding the whole american society as one which has threefold structure: state, civil society, and economy. The focuses of this analysis are followings: Which one is the main issue and axis of conflict? Does it have a fixed structure? How does it become to be structured and have changed? How do the state and the economy effect on conflicts of the civil society and their structural changes? This paper is composed of three parts. The content of first part is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the theoretical-conceptional framework”. The second theme is “the formation-process of the structure of conflicts in the american civil society since ‘1960s’. The third one is the conflict structure of civil society and the economic, political factors”. Results of analyses in this paper are: (1) the main axis of conflict structure in contemporary U.S. civil society is ‘Pluralism vs. Nationalism’. (2) this axis of conflicts has been formed and structured from 1954 to 1974, maintained its structure till to the 21th century basically unchanged. (3) politics and economy have effected variously on to the structure of conflicts in civil society. (4) in relation to the conflicts, the forces in the civil society, economy and politics have been interacting each other, and so, they all have been divided into the two conflicting lagers.

      • KCI등재

        협력적 관리구조와 조직성과간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 분석 : 자원봉사조직을 중심으로

        김이수 한국자치행정학회 2014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8 No.1

        본 연구는 과정지향적 관점에서 자원봉사조직을 대상으로 협력적 관리구조와 조직성과간 관계에 영향을 미치 는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협력의 구성요소를 협력적 관리 구조와 사회적 자본으로 분류하여 협력적 관리구조는 거버넌스, 행정, 조직자율성 등으로, 사회적 자본은 상 호성과 규범으로 분류한 이후 조직성과에 대한 협력적 관리구조와 사회적 자본의 주효과(main effect)와 조절 효과(moderating effect)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첫째, 조직성과중 자원봉사조직의 목표달성도를 제고하 기 위해서는 거버넌스, 조직자율성, 협력적 관리구조와 사회적 자본간 상호작용을 제고하고, 둘째, 조직의 수 요대응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협력적 관리구조 요인중 조직자율성을, 사회적 자본 요인중 상호성과 규범, 협 력적 관리구조 요인중 조직자율성과 사회적 자본 요인중 규범간 상호작용을 제고하고, 셋째, 조직의 형평성( 보완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협력적 관리구조 요인중 자율성, 사회적 자본(상호성, 규범), 협력적 관리구조와 사회적 자본 요인간 여러 상호작용항중 자율성과 상호성간, 자율성과 규범간 상호작용을 제고하고, 넷째, 조 직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조직의 효율성, 협력적 관리구조 요인중 거버넌스를 제고하고, 사회적 자본 수준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다문화 시대의 사회 계층 구조 변화

        김휘택(Hui-Teak, Kim)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0 다문화콘텐츠연구 Vol.9 No.-

        미국의 사회구조는 오랜 다문화 갈등을 겪으면서 수직구조에서 수평구조로 변화했다. 프랑스의 사회구조는 강력한 통합과 동화정책을 통해 그 구조의 변화를 늦추어 왔다. 이 때문에 프랑스는 여러차례 도시외곽의 소요사태를 겪은 바 있다. 또한 히잡 착용과 같은 문화적인 문제가 반복적으로 사회의 이슈가 되고 있다. 이 문제들은 이민자와 그 2세들이 프랑스 시민으로서의 초라한 위상을 보여준다. 그들은 자신의 문제들을 법에 호소하지 못하고, 그것을 폭력으로 해결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그러한 폭력 사태들을 프랑스 공권력이 매번 강압에 의해서 막아내고는 있지만, 그 재발 가능성 때문에, 사회는 위태롭기만 하다. 위와 같은 사실들은, 프랑스 사회의 전반적 사회구조가 수평화되어 가는 힘과 , 프랑스 정부나 비이민자들의 인식이 그 수직적 사회 구조를 잃지 않으려는 힘이 서로 충돌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프랑스 사회에서는 다문화 현상이 계속해서 진전되고 있다. 다문화 시대에 대처하려면, 다문화 시대로 인한 사회구조의 변화양상을 잘 파악해야 한다.

      • KCI등재

        현대문학 : 권위주의적 사회구조와 소설의 형식 -이청준 소설 <소문의 벽>을 중심으로

        김정관 ( Jeong Kwan Kim ) 반교어문학회 2012 泮橋語文硏究 Vol.0 No.32

        이 논문은 사회 구조와 소설의 형식 사이에 존재하는 구조적 상동성을 근거로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권위주의적 사회 구조의 본질과 문학 텍스트의 사회학적 의미를 구명하고, 나아가 이청준 작품 <소문의 벽>의 소설사회학적 가치를 재조명하려 하였다. <소문의 벽>은 한 소설가를 ``진술에 대한 공포증``에서부터 시작하여 ``정신분열증``에까지 이끈 억압구조의 정체를 밝히기 위해, 소설 속에서 또 다른 세 편의 소설(원소설 속의 주인공이 쓴 세 편의 소설)의 의미를 분석하고 있는, 일종의 알레고리적 액자소설이다. 이청준은 알레고리적으로 표현된 세 편의 서로 다른소설을, 그것을 포괄하고 있는 원소설 세계의 구조 속에 끼워 넣음으로써 원소설의 의미와 구조를 이해할 수 있게 만들고, 또한 이렇게 하여 이루어진 원소설의 의미구조를 보다 큰 현실의 전체구조 속에 집어넣음으로써, 원소설의 의미구조가 알레고리적으로 현실전체의 사회구조를 이해시키는 틀이 되게끔 하고 있다. 이처럼 <소문의 벽>은 표면적인 현실의 이면에 존재하는 사회의 정신적 구조를 드러내기 위한 양식상의 특징들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그 양식상의 특징들이 인간 현실의 본질상(本質像)을 암시하고 있는 알레고리적 세계와 구조적 동형체를 이루고 있다. 이 작품은 삽화적 소설들을 현실세계 전체 속으로 확장시켜 나아가는 방식을 사용하여, 결국 소설형식과 사회구조가 상동적인 관계로 만나는 체계적인 세계를 형성한다. 때문에 소설 속의, ``전짓불의 기억``에서 발아하여 ``소문의 벽``까지 이어지는 억압형태의 전개 양상은 전통사회의 부권적 통치체제에서 시작하여, 전쟁과 이데올로기적 싸움의 시기를 지나, 군부독재가 확립한 ``관료적 권위주의``의 사회구조에 이르는 한국 사회의 변화 양상과 구조적으로 상응한다. 이는 작품 전체가 현실의 권위주의적 사회구조를 통시적으로 함축하고 있으며, 소설 양식이 작가의 현실인식, 사회인식을 구조적으로 은유하고 있음을 증거하는 것이다. This thesis brings light on the nature of the framework of the authoritarian society and the soiciological meaning of the literature text, by analyzing the Lee Cheong-joon`s novel―『The Wall of the Rumor』 based on the structural homology that exists among the social structure and the novel form. 『The Wall of the Rumor』 fulfills the stylistic features to exposure the psychological structure of the society which is behind the superficial reality. In addition, the stylistic features constitute the structural identical shape with the allegoristic world that alludes the natural form of the human reality. Using the way that expands the episodic novels into the all over the realistic world, this work molds the systematic worldwide in which the social structure and novel form homologize. Therefore, in the novel, the developments with the oppressive forms from the ``an electric light`` to the ``the wall of the romor`` homologize structurally with the phase in Korean society, which has gone through from the paternal governing system in our traditional society via Korean war and ideological conflicts to the social structure with ``bureaucratic authoritarianism``. It proves that the novel style becomes the metaphor for the writer`s realistic and social recognition.

      • KCI등재후보

        공익법인 지배구조의 현황과 법제도적 개선방안 - 사회복지법인을 중심으로

        하승수(Seung-Soo Ha),김현수(Hyeon-Soo Kim) 한국비영리학회 2007 한국비영리연구 Vol.6 No.2

          한국에서는 사회복지법인 지배구조의 투명성ㆍ책임성과 관련해서 많은 문제제기가 이루어지고 있다. 사회복지법인의 부패, 불법행위 등이 여러차례 문제로 되면서 사회복지법인에 대한 신뢰를 깨뜨리고 있다.<BR>  이런 상황에서 사회복지법인의 지배구조를 개선할 것을 요구하는 목소리들이 제기되어 왔고, 정부는 그러한 사회적 요구들을 받아들여 사회복지법인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그리고 법 개정의 방향을 둘러싼 논쟁이 치열하게 진행되고 있다.<BR>  이 글에서는 사회복지법인 지배구조의 현황을 분석하고, 사회복지법인 지배구조의 입법적 기준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또한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을 둘러싼 논쟁의 쟁점들을 살펴보고, 앞서 모색한 입법적 기준을 바탕으로 하여 사회복지사업법의 바람직한 개정방향에 대해 제안해 보고자 한다.<BR>  결론적으로 이 글에서는 서로 충돌가능성이 있는 ‘사회복지법인의 공공성에 대한 요구’와 ‘사회복지법인의 자율성’이라고 하는 두 가지 가치의 조화를 제안한다. 이 두 가지 가치는 서로 충돌할 수 있지만, 이 두 가지를 조화시키는 것이야말로 사회복지법인 지배구조와 관련된 입법의 과제라고 할 것이다.<BR>  구체적으로 보면, 사회복지법인의 이사회는 좀 더 효과적으로 사회복지법인의 설립자나 대표이사를 감시ㆍ견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헌법이 허용하는 테두리 안에서 개방형 이사제의 도입이 필요하다. 또한 사회복지법인의 감사가 법인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실질적인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개방형 감사제의 도입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향으로 제도를 개선한다고 하더라도, 제도를 구체적으로 설계함에 있어서는 사회복지법인 운영의 자율성을 가능한 한 존중하는 방식으로 입법될 필요가 있다.   Nonprofit social welfare corporations are facing various questions regarding its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in Korea. Many corruptions and illegalities have undermined the credibility of nonprofit social welfare corporation.<BR>  Korean civil society had demanded reform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s governance. Recently the government tries to revise Social Welfare and Service Act for the improvement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s governance. And the debate is going on about the direction of the revision of the act.<BR>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s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s governance and find the legislative standards regarding social welfare corporation’s governance. And this paper tries to find desirable direction of the revision of Social Welfare and Service Act.<BR>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the harmony of two conflicting values; public demand on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and the freedom of the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 The two values conflict with each other. But the destiny of legislation is matching a conflict.<BR>  In the concrete, board of directors needs to monitor the founder and CEO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 more effectively. And the role of internal auditor needs to be enforced to increase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 In the same breath, the freedom of the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 needs to be respected as much as possible.

      • KCI등재

        A Visual Thesaurus Analysis of Aesthetics in Japanese Culture and Language

        Hyeja Park(박혜자)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21 다문화콘텐츠연구 Vol.- No.36

        한 나라의 사회문화적 배경을 이해하는 것은 그 나라에서 사용되는 특정 언어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요소가 된다. 그 이유는 특정 사회문화적 배경과 세계관이 특정 문화의 속성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일본의 사회문화와 언어적 특성은 매우 긴밀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점은 서구인들에게 일본 사회문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 작지 않은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다. 일본의 사회문화적 배경은 선불교와 신도사상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이러한 사회문화적 영향은 일본인들의 물질주의보다는 정신적인 세계에 대한 강조를 중시하는 사고를 형성하였다. 일본 사회는 다층적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문화적 구조는 전통적으로 서구문명과 사조를 능동적으로 수용해 온 지식계층과 일본의 고유한 문화를 유지하려는 또 다른 계층 간의 이중적 의식계층 구조에 기인하며, 이러한 이중적 사회 의식계층 간의 긴밀한 연결고리가 부재하는 것은 이중적 사회문화적 구조를 가져오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의 방안으로서 이중적 표현과 언어의 사용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일본인들의 이중적 의사표현(honne, 본 마음/tatemae, 사회적 표현) 내지는 언어의 간접성(indrectness)과 모호성(ambiguity) 등이 그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일본의 사회문화적 관계에서 나타나는 특이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은 일본 문화의 미학적 현상에서도 나타나는데, mono no aware(pathos of things, 애처로움), wabi(simple and austere beauty, 간소하고 차분함), sabi(rustic patina, 녹슬고 오래된 것으로부터의 정취) 그리고 yugen(mysterious and subtle grace, 심오한 아름다움) 등으로 대표되는 일본의 미학은 언어의 다의적 의미구조에 있어서도 반영되어 있다. 본 연구는 일본어의 미적 어휘의 다층적 구조를 통하여 일본의 사회문화적 현상과 언어적 현상 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고 있다. 특히, 일본어의 미적 어휘가 풍부하게 사용되기 시작한 11세기의 대표적 문학작품인 ‘겐지모노 가타리’의 미적 어휘(105개)를 추출하여, 이를 대상에 대한 단순한 표현에서부터 화자의 복잡한 감정이 담긴 표현으로 점진적으로 5개의 그룹으로 구분하여, 각 그룹의 어휘가 어느 정도의 다층적 어의를 포함하는 가를 분석함으로써 일본어의 다의적 구조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시각적 어의구조 분석 결과에 따르면, 일본의 미적 어휘는 다층적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단순한 미적 표현보다는 화자의 복잡한 감정을 나타내는 미적 표현의 경우, 다층적 어의구조가 더욱 분명하게 현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본어가 일본의 사회문화적 이중구조에 따른 갈등구조를 해소하기 위한 간접적 표현이 일본어의 언어적 특성에 영향을 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시도되고 있는 시각적 어의구조 분석은 한국어와 중국어 등 다른 아시아 언어들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러한 비교연구는 사회문화적 요소가 특정 언어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Understanding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of a country where a specific language is being spoken is a key to systematically understanding the language. In other words, important aspects of a specific language can be comprehended only in a particular cultural and world view context as much as the language makes an integral part of a particular culture. Japanese culture and language are known for their peculiar characteristics that are hidden from the bare eyes of the westerners. They are heavily influenced by Buddhism and Shintoism which emphasize spiritual depth instead of material affluence.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Japanese culture and language to provide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multi-layered meaning structure of the language by focusing on the aesthetic lexicon in Japanese using the text of the Tale of Genji (Genji monogatari) to show the multi-layered structure of Japanese culture and the language. The Japanese language is known for its bountiful lexicon expressing abstract concepts, natural phenomena, human emotion, moral and aesthetics. As a matter of fact, the ambiguity of the Japanese language has been a source of curiosity for many western linguists. This study uses a visual analysis (VA) which can be effective in investigating the structure of a specific language by showing the semantic structure of the lexicon of the language. The results show that the Japanese language reveals a complex semantic structure for the aesthetic lexicon that appears in the Tale of Genji. This complexity may arise from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of Japanese culture with multi-layered context and the communication pattern that results from the cultural context. The results of the study also suggest that the construction of an interactive system of visual thesaurus for the aesthetic lexicon can provide a useful tool for understanding the complicated semantic structure of the Japanese language. It should be an interesting and demanding task to apply the same tool to the studies of other Asian languages such as the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 연결망에서의 구조적 신호 : 위법 행동과 사회적 정체성에의 함의

        김우식 동아대학교 동아시아연구원 2004 동아시아 : 비교와 전망 Vol.2 No.-

        이 연구는 직접 연결이 없는 행위자들 사이에서 정보가 전달되는 방식 중에서 구조적 신호 기제를 소개한다. 구조적 신호는 직접적인 연결이 없는 행위자들 사이에서 정보가 전달되는 방식으로서 신호가 생성되는 사회조직의 구조적 특징을 담는다는 점에서 단순 신호 기제와는 다르다. 행위자가 속해있지 않은 다른 `조직이나 사회의 구조에서 발생하는 구조적 신호를 인지, 판독하는 능력은 행위자가 속한 사회조직과 신호가 발생한 곳의 사회조직이 비슷한 규칙에 의해 움직이거나 속한 곳의 작동규칙이 다양할 때 크다.따라서 신호판독능력은 행위자들이 속해있는 사회조직의 구조에 의해 달라진다. 뇌물수수에 대한 태도를 보면 귀속적 연결망 활동이 강한 사람은 상대편이 속한 조직이나 연결망에서도 규칙을 위반하는 원리가 작동될 것이라는 점을 신호로서 쉽게 판독하기 때문에 뇌물수수에 더 호의적일 수 있다. 또한 구조적 다양성이 큰 대도시에서 성장했거나 수직적 인간관을 가진 사람도 규칙 준수보다는 핵심 행위자들 간의 관계와 합의를 중시하는 원리에 익숙하기 때문에 뇌물수수에 더 호의적이다. 구조적 신호는 영화배우가 다른 배우나 감독과 같이 영화를 촬영하면서 형성하는 이미지와 정체성 구성에서도 핵심적이다.배우와 배우,배우와 감독,배우와 장르 간의 결합은 소비자들에게 구조적 신호로 작동해 이미지 구성의 기초가 된다. 감독이나 배우들은 영화산업 특유의 불확실성을 사회적 관계와 문화적 범주의 신중한 선택에 의해 해소하게 되는데 이 과정을 통해 사회적 연결망과 문화적 범주의 연결망이 서로 맞물린다. This article introduces a mechanism that explains how social actors are aware of structural signals, based on its structural position and structural isomorphism, and sympathize with violations of norms and laws. The article shows that a higher level of ascriptive network activities, a higher position in vertical structure and growing up in a large city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 higher level of endorsement of bribery. It offers a mechanism how actors receive signals from structure of social organizations around them. Structural signal also works in the creation of image and identity of movie actors when they work with certain directors. In this case, structural signal originates from the social network among actors and directors.

      • KCI등재

        유교사회 구성원리에 관한 연구

        이영찬(Lee Young-Chan) 동양사회사상학회 2006 사회사상과 문화 Vol.14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principles of confucian society. And the social structure is stipulated in terms of social relations and the system of these relations. The structural principle is drawn from the theory of lines, in which ‘position’, ‘response’, and ‘middle’ are stated, yin-yang theory, and neoconfucian theory.<BR>  The principle of social relations is clearly shown in the ‘situation of lines’ in ‘book of change’. For example, the structural principle of society can be found in yin-yang correct position and the principle of social relations is shown in yin-yang correct middle, and communicative principle of social relations is found in yinyang correct response.<BR>  The principle of social system is shown in yin-yang theory and neoconfucian theory. The yin-yang theory is said to define the functional balance and harmony between the elements of social systems. Through the equivalent relation of yin and yang, these two elements (1) can have equal structure based on the same foundation, (2) can have contradictory structure of unification between yin and yang, (3) can have the structure where yin and yang support each other, and (4) can have the structure that can be complemented in their functions.<BR>  Neoconfucian theory unifies and divides the elements that compose the confucian social systems both mutually and hierarchically, thus, being the principle that stipulates the organic relations in social systems. The implications that the social relations and the principles of social systems in confucianism helps to understand the modern society are summarized as follows:<BR>  First, Confucianism regards a society as a moral community and, therefore, is different from the artificial modern western world view.<BR>  Second, society does not rival the individuals or the nation in Confucianism. Society is closely unified with the individuals and the nation.<BR>  Third, society is regarded as a small universe in Confucianism and the social order follows the natural order.   본고는 유교사회의 구조적 원리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사회구조를 사회적 관계와 관계들의 체계로 규정하고 그 원리를 「주역」의 위位ㆍ응應ㆍ중中의 원리와 음양대대론, 그리고 리일분수론에서 추론하였다.<BR>  사회관계의 원리는 『주역』의 효덕爻德에서 잘 드러난다. 이를테면 괘효에 있어서 음양당위에서 사회의 구조적 원리를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음양의 시중에서 사회적 관계의 시의성時宜性의 원리를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음양정응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의 소통의 원리를 찾아볼 수 있다.<BR>  한편, 사회체계의 원리는 음양 대대이론과 리일분수론에 잘 나타난다. 음양 대대이론은 사회체계를 구성하는 요소들간의 기능적 조화와 균형을 규정하는 원리라 할 수 있다. 음양이 대대적 관계에 있음으로써 음양은 ① 동일한 뿌리에 기반을 둔 평등한 구조를 갖고, ② 음양간에 모순적 통일의 구조를 갖으며, ③ 음양 상호간에 존재의 조건이 되는 구조를 갖고, ④ 그리고 상호 기능적 보완의 구조를 갖는다.<BR>  그리고 리일분수론은 유교사회체계를 구성하는 요소들간의 상호적 또는 층차적 분화와 통합의 원리라 할 수 있다. 그래서 리일분수론은 사회체계의 유기적 관계를 규정하는 원리가 된다. 이와 같은 유교의 사회적 관계와 사회체계의 원리가 현대사회를 이해하는 데 품고 있는 의미를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BR>  첫째, 유교는 사회를 도덕공동체로 인식하고 있다. 그래서 인위적, 계약적인 서구 근대사회관과는 다르다.<BR>  둘째, 유교는 사회를 개인 혹은 국가와 대립시키지 않는다. 유가에 있어 사회는 개인과 국가와 긴밀히 통합되어 있다.<BR>  셋째, 유교는 사회를 소우주로 인식한다. 그래서 사회질서는 자연의 질서를 따른다.

      • KCI등재

        The Mediating 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Corporate Governance and Corporate Performance

        Jin-Hwan Han(한진환) 한국산업경제학회 2013 산업경제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기업지배구조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 그리고 기업의 경영성과간에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2004년부터 2008년까지 5년간 기업지배구조 등급과 사회적 책임지수(KEJI지수)가 측정된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기업지배구조 데이터는 ‘한국기업지배구조개선지원센터’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사회적 책임 데이터는 ‘경제정의연구소’의 KEJI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기업성과는 해당기업의 ROA와 ROE를 측정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먼저 독립변수인 지배구조와 사회적 책임, 기업성과 간의 관계가 같은 기간에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가 아닌 시차를 두고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로 가정하고 지배구조 등급은 2004년과 2007년 데이터를 이용하고 사회적 책임지수는 2005년과 2008년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기업성과는 2005년에서 2009년까지의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기업지배구조는 사회적 책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책임은 기업성과인 ROA와 ROE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지배구조는 기업성과인 ROA와 ROE에 사회적 책임의 매개작용을 통하여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기업의 지배구조가 양호하다는 것만으로는 ROA와 ROE가 향상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경영학에서 주로 논의되어 오던 지배구조와 기업성과와의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보다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는 연구결과로, 지배구조와 성과와의 직접적인 영향관계보다는 적정한 지배구조 하에서 사회적 책임과 같은 기업의 전략적 의사결정이 또한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corporate governance influences corporate performance through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this study, the companies assessed with the corporate governance ratings and KEJI indices for 5 years ranging from 2004 through 2008 were analyzed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ons among the corporate governance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corporate performance. For the corporate governance data, KCGS data were adopted while KEJI data for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ROA and ROE of each individual company were used for the corporate performance. As independent variables, corporate governance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corporate performance were assumed to have affects on each other under time difference, not concurrently. The corporate governance data were from 2004 through 2007, and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data were from 2005 through 2008, and the corporate performance data were those from 2005 through 2009. The analysis revealed that, firstly, the corporate governance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secondly,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orporate performance such as ROA and ROE, and thir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corporate performance, which may explain the direct interrelations of corporate governance and corporate performance in detail out of the long debates in the business administration. The results imply that the corporate strategic decision making such as ethical management under appropriate governance structure influences the corporate performance more, rather than they are directly related each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