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니엘 켈만의 팩션 『세계를 재다』에서 과학주의적 사유 실험과 통합적 지식의 문제

        유봉근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0 코기토 Vol.- No.67

        본 논문은 영상매체의 위력이 확대되면서 문자매체가 위축되는 경향을 보이는 시대에 소설가로 이름을 알린 다니엘 켈만의 『세계를 재다』를 분석한다. 1975년생의 다니엘 켈만은 19세기 독일의 유명한 자연탐구가 알렉산더 폰 훔볼트와 수학자 칼 프리드리히 가우스를 소설의 주인공으로 등장시킨다. 팩션이라는 장르는 실제와 허구의 경계를 허물고 작가의 메시지가 강화된 모습으로 오늘날 독자들을 매료시킨다. 당대의 인문주의자와 지식인, 과학자, 실험가, 탐험가들이 소설 속의 인물들이 되며, 이들은 전통의 고전문헌학과 성경 주석의 방법론인 해석학에 대하여 비판적 견해를 보인다. 등장인물들 대부분은 과학적 법칙을 찾기 위해 측정과 실험의 도구들을 이용하는 과학적 방식의 탐구를 통하여 세계를 이해하고자 시도 한다. 훔볼트는 프랑스인 봉플랑과 함께 라틴아메리카를 여행하여 새로운 세계를 탐사하고 측정한 결과를 책으로 저술하는 반면, 가우스는 수학과 교수로 세계를 측정하는 방식을 공식과 법칙으로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과학주의적 사유는 삶의 실천적 영역에서 통합적 지식의 필요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여기서 통합적 지식이란 세계에 대한 인문주의적 가치에 과학적 탐구와 수학적 측량의 결과를 결합하는 의미에서의 통합적 지식을 말한다. 과학주의는 통합적 사유를 위한 전제가 되며 프로이센을 떠나 아메리카로 향하는 가우스의 아들 오이겐에게 필요한 삶의 원칙으로 제시된다. 켈만의 소설 『세계를 재다』의 성공은 역사적 인물들이 삶의 실천적 영역에서 중요한 원칙들을 모의 실험하는 형식으로 전개되면서 독자들에게 필요한 메시지와 편안한 즐거움을 결합하여 문학적으로 형상화한 팩션적 특성과 양식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Daniel Kehlmanns Roman Die Vermessung der Welt ist eine fiktive Doppelbiografie des Mathematikers Carl Friedrich Gauß und des Naturforschers Alexander von Humboldt. Der Roman beginnt 1828 mit einer Reise Gauß" von Göttingen nach Berlin zur Teilnahme am Deutschen Naturforscherkongress, wohin ihn Humboldt eingeladen hat. In diese Rahmenhandlung sind die kapitelweise abwechselnd erzählten Lebensläufe von Gauß und Humboldt eingebunden. Beide waren zeitweilig auch als Landvermesser tätig, was dem Romantitel eine zunächst ganz praktische Bedeutung gibt: sie wollen die Welt vermessen, noch konkreter die Welt als Ganze wissen. Die beiden Hauptfiguren Gauß und Humboldt gehören zu den Repräsentanten der deutschen Intellektuellen. Das beiden Gemeinsame ist ihre auf meist unterschiedlichen Gebieten sich entwickelnde frühe wissenschaftliche Kompetenz, die aber immer nur romanhaft und ironisch mit Humor angedeutet wird. Was der Erzähler von den beiden mitteilt, ist hauptsächlich auf ihre wissenschaftlichen Projekte reduziert. Der Naturforscher bewältigt seine Forschungsaufgabe meistens mit dem Mittel de s visuellen Denkens, während der Mathematiker eher wissenschaftliche Einbildungskraft benötigt. Die beiden haben aber das gemeinsames Ziel, das ganzheitliche Wissen über die Welt zu gewinnen. Das visuelle Denken und die wissenschaftliche Einbildungkraft als Dynamik der modernen wissehschaftlichen Denksystems wirken zwar zusammen, aber sie ergänzen sich dabei. Diese ironische Entzauberung der Geschichte deutscher Intelligenzen, der Sensorik und Motorik des Denksystems, kann als eine der immanenten Deutungsmöglichkeiten verstanden werden.

      • KCI등재

        한국철학의 새로운 지평

        이향만 ( Hyang Man Lee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한국 철학논집 Vol.0 No.58

        이 논문은 지금까지의 한국철학을 성찰하고 새롭게 그 위상을 정립하는데 목적으로 두고 있다. 방법론적으로 몇 가지 관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언어와 사유의 관점에서 철학적 언어와 사유의 자기 동일성을 추구하였다. 둘째, 종교철학적 관점에서 유교 종교성의 문제를 성찰하였다. 셋째, 과학기술의 관점에서 동양적 과학정신의 필요성을 성찰하였다. 넷째, 사회생태적 관점에서 동아시아 생태철학의 의미를 고전을 통해 되새겨보았다. 다섯째, 생명윤리의 관점에서 생명성이 갖는 가치와 지향성을 살펴보았다. 여섯째, 미학적 관점에서 전통적인 한국철학의 미학적 방법론을 추론하였다. 결론부분에서 철학함의 구체적인 방법으로 사유실험과 행위실험 그리고 존재실험의 철학적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flect on the Korean philosophy so far and establish its new status. Several methodological points of view were presented. First, I pursued self - identity in terms of language and thought. Second, I investigate the phenomenon of Confucian religiosity from a religious philosophical point of view. Third, from the perspective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need for oriental scientific mind was examined. Fourth, I looked at the meaning of East Asian ecological philosophy from a social ecological point of view through Classics. Fifth, I examined the value and directionality of life - style in terms of bioethics. Sixth, the aesthetic methodology of traditional Korean philosophy was deduced from aesthetic point of view. In the conclusion section, the philosophical methodology of thought-experiment, act-experiment, and existence-experiment is presented as concrete method of philosophy.

      • KCI등재

        장우재의 연극미학과 사유실험

        심재민(Jae-Min Sh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5 No.3

        본 연구는 장우재가 제시하는 다양한 문제상황들이 동시대 한국 사회에서 어떤 의미맥락을 갖는지, 그리고 관객에게 어떤 사유의 기회를 제공하며 극장을 통한 공론화에 기여하는지 등에 대해서 다각도로 논구하였다. 또한 그의 사유실험이 극작술적 기능과 연결되어서 형식적 및 내용적으로 관객에게 어떤 극적 효과를 추동하는지, 그 결과 관객에게 새로운 사유를 주선할 수 있는지 등도 고려하였다. 따라서 이 사유실험은 작품 전체의 메시지와의 연관성 안에서도 파악되었다. 그리고 성숙한 시민사회를 위해 요구되는 공동세계의 공공성의 주목에 대한 새로운 관심이 사유실험에 입각한 각 작품의 논쟁지점 안에서 어떻게 성립될 수 있는지를 타진해보았다. 본고는 결국 장우재의 연극을 통해서 연극예술이 동시대 한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점검했을 뿐 아니라, 인간과 사회를 위한 연극예술의 궁극적 역할과 의미에 대한 메타적 차원의 자기성찰도 함께 고려하였다. This paper aims from various angles to examine the context of the problem situations that Jang Woo-Jae describes from contemporary korean society, to examine which chance of thinking is in this case given to the audience, and to examine whether through the plays in the theater this chance of thinking can be referred to public opinion. This study considers not only the contribution of Jang’s thought experiment that is connected to the dramaturgical function including the aspects of dramatic form and content to dramatic effects for the audience, but also the possibility of an arrangement for a new way of thinking by the audience. Thus, Jang’s thought experiment should be understood in connection with the whole message of his plays. And this study researches, how an new attention to the public nature of common world, which should be demanded for the sake of a mature civil society comes into existence within the point of contention in every play based on Jang’s thought experiment. Finally this paper inspects through Jang’s plays the possibility of contribution of performing art to contemporary korean society, and takes account of self-examination in meta-dimension of the theater regarding the role and meaning for the sake of human being and gemeinschaft.

      • KCI등재

        <태원지(太原誌)>의 일주(一周) 상상력과 다원(多元)의 세계관―고소설의 사유 실험에 대한 단상을 더하여―

        김수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2 民族文化硏究 Vol.95 No.-

        In the novel <Taewonji> in the late Joseon Dynasty, Confucian and non-Confucian thought work mutually. Although Confucianism’s concept of ‘destiny [天命]’ penetrates the superficial narrative, the concrete world conception is based on the experience of voyages in the West, the Daegu theory of the ancient Chuyeon, and the archaeological astronomy mathematics of the Qing dynasty, which has been focused on intellectual experiments since the 18th century, are getting involved. The acceptance of this intellectual movement is realized through narrative composition based on a sense of number, geography imagination, imagination around the world, and a multi-dimensional worldview. <Taewonji> is active in the use of numbers to the extent that it is said to be a novel made up of numbers. It embodies figures and imaginary geography with numerical information and images. This provides realistic impressions and logical realism to fictional characters and virtual worlds. <Taewonji> is a scene of natural displacement from the East Sea to the West Sea during the voyage, and by narrating the imagination of the circumnavigation, it reveals the mathematical logic and empirical worldview of round earth, and recognizes fictional works logically and empirically. However, the circle of <Taewonji> is not a simple physical cycle, but is connected to a symmetrical plural world that moves to the same space with a different order and character. Taewon, which arrived in this way, is a symmetrical plural world of Jungwon, and has the character of ‘the beginning of the Jungwon’, which is historically and civilly located in ancient times. <Taewonji> reflects the competitive knowledge field in the late Joseon Dynasty. However, the attitude of narrative thought experiments that do not passively accept the intellectual movement is also found. <Taewonji> provides an opportunity and experience to reexamine the cultural framework of the late Joseon Dynasty, which was taken for granted, by narratively adapting the thought experiment that causes tension in the existing cultural framework. It also shows the circumstances in which nove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participated in thought experiments with an open attitude to the dynamic intellectual environment. A novel cannot be completely free from the cultural framework of the times, but it also does not unilaterally accept the existing cultural culture. The novel participates in the field where the cultural framework of its time is reconstructed, and can serve as a place of experimentation to contemplate new thoughts through highly scalable popular writing. 조선후기 소설 <태원지> 속 유교적 사유는 비-유교적 사유와 상호구성적으로 작동한다. 유교의 ‘천명(天命)’ 개념이 표층 서사를 관통하지만, 구체적 세계 구상의 바탕에는 18세기 이후 조선 지식인의 사유 실험에서 주목한 서양의 항해 일주, 고대의 대구주설, 청나라의 고증학적 천문수학 등이 관여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지적 운동의 수용은 숫자 감각에 의한 서사 구성과 지리 상상, 일주의 상상력과 다원의 세계관으로 구현된다. <태원지>의 숫자 감각은 인물과 지리의 구체화에 기여하여 허구적 캐릭터와 가상세계에 논리적 실감성(實感性)을 제공한다. 일주의 상상력은 항해 도중 동해→서해의 전위(轉位)로 장면화되며 지구지원(地球地圓)에 대한 이론적⋅경험적 흔적을 드러냄으로써, 허구 작품을 논리적 세계로 인식하게 한다. <태원지>의 일주는 동일 공간으로의 회귀를 거부하고 질적으로 다른 유사 공간으로의 이동을 상상한다. 그렇게 하여 도착한 태원은 중원의 대칭적 다원 세계이자, 역사적⋅문명적 신화 시대로 재귀한 ‘태초의 중원’이라는 성격을 지닌다. <태원지>에는 조선후기에 경합하는 ‘지식장’의 모습이 반영되어 있다. 동시에 지적 운동을 수동적으로 수용하지 않으려는 서사적 사유 실험의 태도도 발견된다. 이것은 조선후기 문화틀에 대한 재검토의 기회와 계기를 제공하고, 소설이 역동하는 지적 환경에 열린 자세로 동참했던 정황을 보여준다. 소설은 시대의 문화틀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지만, 기존의 문화적 교양에 일방적으로 압도당하지 않는다. 소설은 자기 시대의 문화틀이 재구성되는 현장에 참여하며, 확장성이 높은 대중적 글쓰기를 통해 새로운 사유를 고민하는 실험장으로 역할 할 수 있는 것이다.

      • KCI등재

        R. M. 헤어의 아크라시아 문제에 관한 비판적 고찰 –도덕적 사유의 두 수준 이론을 중심으로-

        이민재 한국윤리학회 2019 倫理硏究 Vol.126 No.1

        The position of Hare(former)’ akrasia contended argues that sincere moral judgments necessarily motivate agents to act moral behaviour. Therefore Hare(former) denied the possibility of akrasia. However, The position of Hare(former)’ akrasia is criticized as being insufficient to account for everyday experiences such as moral conflicts, guilt, and regret that are often seen in reality, while being overly focused on language logic. 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 of Hare(latter)’ akrasia reveals a more persuasive discussion about akrasia problem by explaining the human being in reality considering the anthropological limits. the position of Hare(latter)’ akrasia is based on The Two-Level Model of Moral Thinking, and it examines the issue of akrasia from two perspectives. In other words, if we make a critical level, we will follow the position that the phenomenon of akrasia is not possible, but if we make an intuitive level, the phenomenon of akrasia is possible. However, in order to have the validity on argument of Hare’ akrasia, it is necessary to examine it carefully and analyze its limita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experimental ethics. The examination of the problem of the akrasia from the perspective of a critical moral thinking would not be easy to examine in an experimental ethical way, since there is no possibility of existence of a moralist in reality and there is no objective way to identify them. We have also looked at various aspects of patients with vmPFC injuries in order to examine the akrasia problem in terms of intuitive moral thinking, but still more empirical evidence is needed to justify the akrasia problem of Hare. In the end, it is not desirable to make conclusions based on limited research results. Therefore, it should be thoroughly reviewed based on experimental ethical evidence and developed and evolved in a better direction. 헤어의 아크라시아에 관한 전기 입장을 살펴보면, 진실한 도덕 판단에 이르는 한, 아크라시아 현상은 불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헤어의 아크라시아에 관한 전기 입장은 언어 논리에 지나치게 치중한 나머지, 현실에서 종종 볼 수 있는 도덕적 갈등, 죄책감, 후회와 같은 일상의 경험을 설명하는 데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는다. 이와 달리 헤어의 아크라시아에 관한 후기 입장은 인간학적 한계를 고려하여 현실의 인간을 설명함으로써 아크라시아 문제에 관해 좀 더 설득력 있는 논의를 펼친다. 헤어의 아크라시아에 관한 후기 입장은 도덕적 사유의 두 수준 이론을 통해, 아크라시아에 관한 논의를 2가지 관점에서 분석하여 아크라시아 문제를 바라본다. 즉, 비판적 수준의 도덕적 사유를 하게 되면 아크라시아 현상이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따르게 되지만, 직관적 수준의 도덕적 사유를 하게 되면 아크라시아 현상은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헤어의 아크라시아 논의가 타당성을 지니기 위해서는 실험윤리학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면밀히 검토하고 그 한계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비판적 수준의 도덕적 사유의 측면에서 바라본 아크라시아 문제에 관한 검토는 도덕주의자가 현실적으로 존재 가능성 유무와 설사 있다 하더라도 그들을 확인할 수 있는 객관적인 방법이 없기 때문에 실험윤리학적으로 검토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또한, 직관적 수준의 도덕적 사유의 측면에서 바라본 아크라시아 문제를 검토하기 위해 vmPFC 손상 환자에 관한 다양한 연구 결과를 살펴보았지만, 여전히 헤어의 아크라시아 문제를 정당화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경험 과학적 증거들이 필요한 시점이다. 결국, 헤어의 아크라시아 문제에 관한 논의는 더 많은 경험 과학적 증거를 통해 학문적 실효성이 검증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한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단정적인 결론을 내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실험윤리학적 증거를 바탕으로 철저히 검토하여 더 나은 방향으로 발전하고 진화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다양한 조건에 따른 지반함몰과 지중공동 확장에 대한 실험적 연구

        정성윤 ( Seongyun Jeong ),타렉카루이 ( Tarek Karoui ),정영훈 ( Yeonghoon Jeong ),김동수 ( Dongsoo Kim ) 대한지질공학회 2017 지질공학 Vol.27 No.2

        최근 도심지에서 자주 발생하는 지반함몰 문제는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지반함몰에 대한 시민들의 우려는 증가하고 있다. 그에 비해 지반함몰 발생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형실험을 통해 다양한 지하수 조건에서 지하수와 토사가 동시에 유실될 때의 지반함몰 발생 메커니즘을 평가하고자 한다. 실험을 통해서 밝혀진 지반함몰 메커니즘의 주요 인자는 지하수 흐름 방향, 유출부위 주변 수두차, 지중 공동 유지를 위한 지반 내 강도 등이다. 첫째로 지하수와 토사가 동시에 유실될 때 토사의 유실은 지하수 흐름 방향을 따라 발생하며 이는 지중 공동 생성 및 공동 확장 방향을 결정짓는 요소임을 확인했다. 둘째로 지하수 및 토사가 유실되는 위치 주변의 수두차가 높아질수록 지반함몰 발생 속도가 급격히 빨라지는 것이 실험적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지중 공동 확장으로 인해 최종적으로 갑작스런 붕괴를 일으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Recently frequent occurrence of ground subsidence cases has become social issue, and people`s concern on this problem has been growing accordingly. Meanwhile, understanding on the mechanism of ground subsidence formation is not enough. There-fore, this study aims for evaluating formation mechanism of ground subsidence under various groundwater conditions through model test when groundwater and soil are leaked together. Major factors found through model tests are direction of groundwater flow, head difference around the leakage point, and strehgth of the ground to support the underground cavity. Firstly, direction of groundwater flow has an influence on the direction of cavity expansion and ground collapse. Secondly, it is observed that the speed of ground subsidence formation increases as the head difference increases. Lastly, the expansion of the cavity can eventu-ally lead to a sudden collapse.

      • KCI등재

        동일성(Identity)의 기준에 대한 고찰

        유원기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04 인간연구 Vol.- No.6

        이 논문은 동일성의 기준, 즉 어떤 한 순간 있어서의 사람이 다른 시간의 사람과 동일하다고 말할 수 있는 필요 충분조건들이 무엇인가라는 문제를 다룬다. 잘 알려져 있듯이, '동일성'의 문제는 오래고도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온 난해한 철학적 문제들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많은 학자들이 오랫동안 그 문제를 논의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모두가 동의하는 동일성의 기준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필자는 동일성은 지속성을 전제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 필자는 '동일성'의 문제에서 '나'를 구성한다고 여겨지는 '변함 없이 지속되는 요소'를 찾으려는 노력이 왜 실패하게 되는가를 보임으로써, '동일성'에 관한 논의는 진정한 철학적인 문제가 아니라 단지 정합성을 요구하는 심리적인 문제에 불과하다는 것을 주장할 것이다. 이런 주장에 도달하기 위해서, 필자는 먼저 1) 변화의 문제에 관심을 가졌던 서양 고대 철학자들의 견해를 살핌으로써, '동일성'의 문제가 제기되는 철학사적인 배경을 고찰하면서 시작한다. 그런 뒤에, 일반적으로 '동일성'의 기준으로 고려되는 2) 신체적 지속성과 3) 정신적 지속성을 주장할 수 있는 근거가 사실상 없다는 것을 보인다. 이런 결론과 관련하여, 우리는 하나의 대안으로서 4) '지속성'을 전제함이 없이 '동일성'을 순수하게 기능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현대 심리철학의 기능주의적 관점을 검토하고, 이 설명도 일반적으로 우리가 이해하는 '동일성'의 기준에 대한 답변을 제시할 수 없음을 지적한다. 끝으로, 5)우리가 여전히 갖고 있는 '동일성' 해념은 사회적인 합의를 통한 인위적 또는 자의적인 개념이며, 진정한 의미에서의 철학적 문제가 아니라는 결론을 제시한다. This paper concerns the criteria of identity over time, i.e. the logically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a person at a time being the same person at another time. As well known, this problem of identity has been dealt with for a long time, but there seems to be no solution with which everybody agrees. Focusing on the idea that the identity presupposes continuity, I shall first try to show why the attempt to find a continuing element through time without any change, that is said to consist of cannot but fail. And I go on to claim that the discourse on the identity is not really a philosophical problem, but a psychological problem that requires the coherence system. In doing this, I shall start from considering the views of ancient philosophers who were interested in the problem of change, i.e.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that raises the problem of identity. And then I shall show that there is no ground for claiming the physical continuity and the psychological continuity. In relation to this claim, I shall examine the functionalist account of person that does not presuppose any continuity, but that understands a person purely in terms of his/her function and point out that this account also fails to present any criteria of identity. Finally, the conclusion we shall draw is that our conception of identity is an arbitrary conception that is based on a social consensus, not a philosophical problem in a strict sense.

      • KCI등재

        논문 : 박정희 연출론

        백로라 ( Ro Ra Paek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3 민족문학사연구 Vol.52 No.-

        박정희는 2000년대 이후 한국 현대연극의 영역에서 독자적인 위치를 점유하고 있는 실험연극 연출가로서 현재 연출 작업을 지속하고 있는 동시대 연출가에 해당한다. 이것은 박정희 연극에 대한 다양한 비평적 논의에도 불구하고 학문적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던 이유 중의 하나가 될 것이다. 박정희처럼 왕성한 공연활동을 지속하는 동시대 연출가들의 경우, 그 연출 미학적 세계가 변화와 발전의 단계에 놓여 있기 때문에 학문적 연구의 대상에서 흔히 제외되어 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연출가 연구가 완성된 연출세계를 구축하고 있는 이전 세대의 연출가들에 제한된다면, 다양한 연출 담론의 전개를 기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 연구 성과가 공연 현장과 괴리되는 현상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는 바로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여, 2000년대 이후 현재까지 활발한 공연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연출가 박정희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그 연출방법과 미학적 특징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첫째 박정희 연출 미학의 토대가 되는 연출의 기본 배경과 원리에 대해 밝히고, 둘째 극단 풍경의 공연활동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연출 작업과정 및 방법을 검토하며, 셋째 주요 작품에 드러난 연출 미학적 특징을 분석하고, 넷째 그 연출 미학적 성과와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박정희 연극을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는 한편, 박정희 자신뿐 아니라 신진 연출가들이 앞으로 새로운 연출 방법론을 모색하는 데 일정한 방향을 제시해 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directing esthetics of Jeonghee Park, one of the most compelling directors in contemporary Korean theater. Ever since her debut production of <Maids> in 2001, Park has been regarded as a prominent female director and brilliant experimental dramatist, noted for her ingenuity with texts and exquisite on-stage expressions. Her subsequent major works, including <Pyong Sim> (2003), <Balcony> (2004), <Railway> (2009), and <Marat, Sade> (2009), have received high praise from not only theater critics but audiences for their skillful combination of philosophical thinking and symbolic images. Although many theatrical reviews have praised the esthetics of Park`s productions, her directing has not yet received a systematic, in-depth analysis. This neglect seems to reflect Korean academics` frequent tendency to overlook contemporary directors who are still at the height of their careers and in the process of changing and developing their styles and methods. By contrast, this study starts from this exact phase of Park`s career to raise questions about the conventional restrictions on studying contemporary directors. If research on directors continues to focus only on those of the previous generation who have already fully consummated their directing esthetics, serious gaps will exist between the insights of research and current developments on stage. To begin filling in those gaps, this research has a twofold purpose in investigating Park`s directing methods and esthetic principles : first, to expand current discourse on contemporary directing esthetics second, to provide insights that could inform contemporary theatrical productions. This systematic and in-depth analysis of Park`s directing includes the following parts : investigation of the basic background and principles of her directing; examination of her working process and methods; analysis of her directing esthetics` characteristics as manifested in her works; and finally, discussion of the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of her directing style and methods. In sum,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alyze, and evaluate the underlying principles and structure of Park`s directing esthetics. Its intended results are to increase and intensify scholarly interest in contemporary directors and to contribute to the changes and developments that continue to occur on the Korean stage.

      • KCI등재

        Images and Figurations: Creative Cognition and Representation in Nietzsche

        Ruth A BURCH 한국니체학회 2018 니체연구 Vol.33 No.-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Nietzsche’s understanding of thinking as the partaking in transformative experimentation. In this writing, I argue that Nietzsche thinks in images. For him cognition ought to be based on new figurations that incarnate located narratives that improve the future. Nietzsche creatively synthesises in his experimental thought various domains of knowledge. He not only plays with metaphors but philosophical cheerfulness is also indispensable to his experimentations as Ruth Burch holds in her book entitled ‘Is Donna Haraway’s ‘Situated Knowledge’ Nietzschean ‘Gay Science?’ In The Birth of Tragedy, Nietzsche links art and science. In Daybreak and in Ecce Homo, he depicts the necessity of thinking in images and metaphors. His figurations that are a result of his right to responsibility embody future-enhancing stories.

      • KCI등재

        효과적인 철학, 논술, 윤리교육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수업 모델 연구(2)

        강순전(Soon Jeon Kang) 철학연구회 2010 哲學硏究 Vol.0 No.88

        Gemaß der lernerorientierten Didaktik und Methodik des deutschen neuen Schulfaches Praktische Philosophie studiert die vorliegende Forschung die Unterrichtsmethoden zum fruchtbaren Philosophie-, Essay- und Ethikunterricht. Sie stellt die Unterrichtsmethoden unter der Gliederung von 1) Methoden fur die Einfuhrung in den Unterricht, 2) die fur den Hauptteil des Unterrichts, 3) die fur den Abschluss des Unterrichts, 4) die fur Strukturierung des ganzen Unterrichts dar. Der zweite Teil wird wiederum in die Methoden der Form vom Sprechen und Horen, vom Lesen und vom Schreiben unterteilt. Wegen der Einschrankung vom erlaubten Umfang fur den Aufsatz wird diese Forschung in zwei Aufsatze geteilt. Der erste Aufsatz behandelte den Teil 1) und den ersten Unterteil des Teils 2). Als Methoden fur die Einfuhrung in den Unterricht stellten sich Partnerinterview, Brainstorming und Schneeball dar und als Methoden der Form vom Sprechen und Horen Fishbowl, Pro-Kontra-Argumention, Gruppenarbeit und das sokratische Gesprach. Dieser zweite Aufsatz stellt Lesekompetenz, Lesestrategie, Textanalyse, Mindmapping, Dilemma, kooperatives Lesen und Placemat im Bezug auf Methoden der Form vom Lesen dar und das einfache und dialektische Argumentieren, das kreative Schreiben und Gedankenexperiment als Methoden der Form vom Schreiben. Als Methoden fur den Abschluss des Unterrichts werden Blitzlicht, Feedback und Postersession und als Methoden fur Strukturierung des ganzen Unterrichts Sandwich und Lernstop betracht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