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복문에 사용된 ‘-(으)시-’의 사용 양상과 교육 방안 - 중국인 중,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조윤수 ( Cho Yoon-Su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2 한국어와 문화 Vol.31 No.-

        본 연구는 중급과 고급의 중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의 높임법 ‘-(으)시-’를 복문에서의 사용 양상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 방안에 대한 제언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높임법에 대한 인식 조사, 요구도 조사와 복문에서의 ‘-(으)시-’에 대한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 연구는 중국인 중급 학습자 15명과 중국인 고급 학습자 15명 총 30명을 대상으로 문장을 완성하는 문장 완성형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실험 후 일부 학습자들에게 사후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첫째로, 학습자들을 숙달도로 나누어 전반적인 복문에서의 ‘-(으)시-’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중급 학습자보다 고급 학습자가 복문에서의 ‘-(으)시-’의 사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났다. 좀 더 세부적으로 문장의 종류별로 학습자들의 ‘-(으)시-’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는데 중급과 고급 학습자 모두 내포문에 비해 접속문에서의 ‘-(으)시-’사용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났다. 두 집단 모두 접속문에서 ‘-(으)시-’를 더 올바르게 사용하였다. 중급 학습자 집단은 ‘대등 접속문→종속 접속문→관형사절 내포문→인용절 내포문→부사절 내포문’순으로 정답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고급 학습자 집단은‘대등 접속문→종속 접속문→관형사절 내포문→부사절 내포문→인용절 내포문’순으로 정답률이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주어의 일치성으로 문장을 분류하여 ‘-(으)시-’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는데, 중급과 고급 학습자 모두 문장의 주어가 동일한 경우보다 문장의 주어가 2개 이상일 경우에 ‘-(으)시-’를 더 잘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두 번째로, 문장 내에‘-(으)세요’의 유무에 따른 학습자들의 ‘-(으)시-’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문장에‘-(으)세요’가 포함된 경우 높은 정답률을 보였다. 세 번째로, 문장의 용언에 높임 어휘의 유무에 따른 학습자들의 ‘-(으)시-’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문장에 높임 어휘가 포함된 경우 유의미하게 높은 정답률을 보였다. 모든 문장 완성형 검사에서 학습자들을 숙달도로 나눠서 분석한 결과 고급 학습자의 ‘-(으)시-’ 사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를 보이며 우수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국인 학습자들의 이러한 사용 양상과 학습자들의 요구 사항을 바탕으로 한국어교육 분야에서의 교육 방안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단문에서의 ‘-(으)시-’ 사용 양상만 파악한 다른 연구들과 달리 중급과 고급 중국인 학습자의 복문에서의 ‘-(으)시-’ 사용 양상을 파악했으며 이에 관련된 교육 방안에 대한 제언을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 뒤따라 향후 교육 방안에 대한 제언을 가지고 구체적인 연구가 이어지길 바란다.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use of the Korean honorification method '-(으)시-' in the complex sentence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 Chinese learners and to suggest educational plans based on this. Therefore, in this study, a survey of learners' perceptions of the method of honorification, a survey of needs, and an experimental study on '-(으)시-' in the complex sentence were conducted. In the experimental study, a total of 30 Chinese intermediate learners and 15 Chinese advanced learners were conducted to complete sentences, and post-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ome learners after the experiment. First, we divided learners into proficiency and examined the use of '-(으) 시-' in overall complex sentence. As a resul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e of '-(으)시-' in the complex sentence by advanced learners than intermediate learners. In more detail, I looked at the patterns of learners' use of '-(으)시-' by sentence type, and both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significantly differed in the use of '-(으)시-' in the conjoined sentence compared to the embedded clause. Both groups used '-(으)시-' more correctly in the conjoined sentence. The intermediate learner group had a high correct answer rate in the order of "equal conjoined sentence → subordinate conjoined sentence → prenoun embedded clause → quoted embedded clause → adjunct embedded clause", and the advanced learner group had a high correct answer rate in the order of "equal conjoined sentence → subordinate conjoined sentence → prenoun embedded clause → adjunct embedded clause→ quoted embedded clause". Next, sentences were classified by the consistency of subjects to examine the use of '-(으)시-', and both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showed better use of '-(으)시-' when there were two or more subjects of sentences than when the subjects were the same. Second, I looked at the use patterns of '-(으)세요' by learner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으)세요' in the sentence. As a result, both groups showed a high rate of correct answers when the sentence included '-(으)세요'. Third, the use of '-(으)시-' by learner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vocabulary that honorific in the usage of the sentence was examined. As a result, both group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correct answer rate when the sentence included honorific vocabulary. As a result of analyzing learners by dividing them into proficiency in all sentence completion tests, advanced learners' use of '-(으)시-'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nd was excellent. Finally, based on these usage patterns of Chinese learners and the requirements of learners, suggestions for educational measure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presented. Unlike other studies that only identified the use of '-(으)시-' in simple sentenc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the use of '-(으) 시-' in the honorification of intermediate and high-end Chinese learners and suggested related educational plans. Following this study, I hope that specific research will continue with suggestions for future education plans.

      • KCI등재

        파생접사의 사용 양상과 생산성

        김민국(Kim, Mingook)(金玟局) 형태론 2011 형태론 Vol.13 No.1

        본고에서는 문어를 중심으로 ‘소설’, ‘신문’, ‘학술산문’이라는 세 사용역으로 나누어 파생접사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격식성, 정보전달성, 학술성’에 따라 파생접사의 사용 양상이 크게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격식성’과 ‘정보전달성’의 차이에 따라 ‘고유어’ 접사와 ‘한자어’ 접사의 사용 양상의 차이가 난다. 일부 접사는‘학술성’ 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또한 동일하게 ‘정보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사용역일지라도 ‘정보의 밀집성’과 ‘전달되는 정보의 성격’에 따라 접사의 사용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접사의 사용 양상에 미치는 사용역별 요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격식성, 2. 정보전달성(a. 정보의 밀집성, b 정보의 주/객관성), 3. 학술성 (a. 학술 용어상의 특성 b. 학술적 문체상의 특성). 또한 파생접사의 사용 양상의 차이가 생산성의 차이로 이어지는지 살펴보았는데 파생접사의 생산성은 그 접사의 사용 양상과는 무관할 수도 있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용역간의 생산성의 차이가 있다고 결론을 내린 플래그 외(1999)와는 상반되는 것인데 본고의 결과는 생산성이 접사가 가진 내재적 속성이라는 가설에 부합한 결과가 나왔다는 점에서 생산성과 관련된 연구에 또 하나의 논의를 보탤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shows that the usage pattern of derivational affixes appears differently across the written registers by several factors. Primarily the usage pattern of derivational affixes varies with ‘formality’, ‘information delivery’, and ‘academic subject’. The usage pattern of native Korean affixes and Sino-Korean affixes varies with ‘formality’ and ‘information delivery’. Though the purpose of two resisters is identically ‘information delivery’, the usage pattern of affixes varies with ‘density of information’ and ‘characteristic of information’. In addition,several affixes appear frequently in academic pros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usage pattern of affixes are as follows. 1. Formality 2. Information delivery (a. density of information b.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of information) 3. Academic subject (a. characteristic of academic writing b. characteristic of the formation of technical terms). Meanwhile, this article examines th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and morphological productivity of affixes. We conclude that the frequency and morphologicalproductivity of affixes is not relevant. This result conflicts with Plag et al. (1999) that shows that morphological productivity is affected by register. However, it seems to be that this conclusion is meaningful because our result accords with the hypothesis that morphological productivity is language internal property.

      • KCI등재후보

        국내 언어재활사의 음성사용 양상에 따른 음성장애지수 및 음성관련 삶의 질

        최소현(Choi, SoHyun)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21 동서정신과학 Vol.24 No.2

        본 연구는 음성사용 양상(음량, 음도, 말속도), 음성사용량이 음성장애지수 및 음성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현직 언어재활사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전문지식을 배우고 있는 예비 언어재활사가 치료 시에 어떤 음성사용 양상, 음성사용량을 가지는지, 음성장애지수(K-VHI-10) 및 음성관련 삶의 질(K-VRQOL)에는 어떤 영향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직 및 예비 언어재활사 137명에게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들의 주관적 음성사용 양상, 음성사용량, K-VHI-10, K-VRQOL를 수집한 뒤,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음성사용 양상(음량, 음도, 말속도), 음성사용량이 K-VHI-10 및 K-VRQOL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현직 및 예비 언어재활사의 음성사용 양상 중 K-VHI-10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현직 언어재활사의 음량으로 나타났다. K-VRQOL에는 현직 언어재활사의 말속도가 사회-심리 영역, 신체적 기능영역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성사용량이 K-VHI-10에 미치는 변수는 없었으나, 예비 언어재활사의 음성사용량이 K-VRQOL의 사회-심리 영역, 신체적 기능영역, 총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언어재활사가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음성 문제는 음성 오남용, 높은 음성사용량과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음량을 크게 말할수록 주관적 음성장애의 위험성은 증가하였으며, 음성사용량이 많을수록 음성장애로 인한 삶의 질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언어재활사는 본인의 음성장애를 예방 및 줄이기 위해 음성위생법을 실시하고, 음성사용량을 줄이는 등의 적극적인 자가음성관리가 필요하다. Speech-language pathologists more often feel subjective voice disorders rather than other professions despite learning vocal hygiene education and practicing education with patients that have voice disorders. Voice disorders are known to be highly related to vocal overuse, misuse and voice us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aspects of vocal use through intensity, speech rate and pitch, speech usage and K-VHI-10, K-VRQOL. After collecting data by conducting subjective aspects of vocal use, voice usage, K-VHI-10, and K-VRQOL online to 137 speech-language pathologists, correlation was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variable tha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K-VHI-10 was the voice intensity of current pediatric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nd the variable that exerts the mos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ocial–emotional and physical functioning of K-VRQOL was the speech rate of current pediatric speech-language pathologists. The voice usage of the current speech-language pathologists do not affect K-VHI-10 and K-VRQOL, while the voice usage of prospective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hows to significant influence. Consequently, from this study, it is revealed that the speech problem of speech rehabilitation is caused by the vocal overuse, vocal misuse and the high intensity of speech usage. In other words, the greater the intensity, the greater the risk of subjective vocal disorder, and the higher the intensity of vocal use, The lower the quality of life would become as a direct result of the voice disorder. Therefore, speech-language pathologists need active self-voice management, such as vocal hygiene practice and reducing voice usage in order to prevent or reduce impact of their voice impairment.

      • KCI등재

        서적・신문・잡지에서의 추량표현 「そうだ・ようだ・みたいだ・らしい」의 사용양상에 관한 연구 - 자연발화에서의 사용양상과 비교하여 -

        김선영 한국일본어문학회 2022 日本語文學 Vol.92 No.-

        본고에서는 추량표현「そうだ・ようだ・みたいだ・らしい」의 문장체에서의 사용양상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각 형식별, 의미용법별, 前接품사, 문장에서의 위치(술어, 비술어)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회화체의 분석 결과와 비교하여 전반적인 일본어모어화자의 이들 추량표현의 사용양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나아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도방안을 제언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형식별 사용양상을 보면 문장체에서는 「ようだ」「そうだ」「らしい」「みたいだ」순으로, 회화체에서는「みたいだ」「ようだ」「そうだ」「らしい」순으로 출현빈도가 높았다. 둘째, 의미용법별로 보면 문장체에서의「そうだ」는 「추량」이「양태」에 비해 사용빈도가 높았으나 회화체에서는 「양태」가 「추량」보다 사용빈도가 높았다. 「ようだ」는 회화체, 문장체 모두 「추량」「예시」「비유」순으로 사용빈도가 높았다. 한편 「みたいだ」는 문장체에서는 「비유」「추량」「예시」순으로「비유」용법이 월등히 높았으나, 회화체에서는 「추량」「비유」「예시」순으로 비슷한 사용비율을 보였다. 셋째, 각 형식에 前接하는 품사를 보면 의미용법에 따라 상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각 형식의 문장에서의 위치, 즉 술어, 비술어로 사용되는 사용양상을 보면 「そうだ」의 「추량」은 문장체, 회화체 모두 술어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았으며 「양태」는 문장체의 경우는 비술어로 나타나는 경우가 70%이상, 회화체인 경우는 술어로 나타나는 경우가 70%로 약간 다른 사용양상을 보였다.「ようだ」「みたいだ」는 의미용법 및 문체에 관계없이 비술어로 나타난 사용빈도가 훨씬 높았다.「らしい」는 문장체, 회화체 모두 약 90%이상 술어로 나타났다. 다섯째,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들 추량표현의 지도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자막번역에 나타난 우리말 피동 번역의 사용실태 고찰 - 일본 드라마 수동표현 회화문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정의상,정일영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6 비교일본학 Vol.38 No.-

        본 논문은 일본 드라마 회화문에 사용된 수동표현 중 우리말 자막에서 피동으로 번역된 다양한 사례를 분석해 실제 언어생활에 사용되는 광의적 의미에서의 우리말 피동의 사용실태 및 특징에 대한 고찰을 목표로 하였다. 948개의 우리말 자막 피동 번역의 사례에 사용된 피동표현을 유형별 빈도순으로 나열하면, ‘어휘적 피동’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다음으로는 ‘접미 피동’, ‘구문적 피동’, ‘피동관련 술어에 의한 피동’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4가지 피동표현 각각의 세부 유형별 사용빈도를 나타내면, ‘접미 피동’의 경우는 ‘리’에 의한 피동이, ‘어휘적 피동’의 경우는 ‘되다’에 의한 피동이, ‘구문적 피동’의 경우는 ‘어 지다’에 의한 피동이 각각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우리말 피동표현의 사용빈도에 대한 본 논문의 분석한 결과와 기존의 이론적인 면에서의 논의가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본어 수동의 하위 유형별 피동 번역의 사용실태를 보면 ‘직접수동’은 전체 수동의 90% 이상을 차지하므로, 수동 전체를 대상으로 할 때와 피동 유형별 사용빈도가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으나, ‘소유자수동’의 경우는 자막 번역의 피동 유형별 사용빈도가 동일하지 않았고, ‘사역수동’의자막 번역에서는 ‘직접수동’의 피동 번역에서 사용 빈도수가 낮았던 ‘게 되다’나 ‘당하다’가 가장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논문의 피동사례 분석 결과를 토대로, 기존의 피동관련 논의에서 나타난 몇 가지 문제점, 즉 ‘소유자피동’ 형성의 제약에 관한 문제, 우리말 ‘자동사’와 ‘피동사’의 구분처리 문제, ‘피동관련 술어에 의한 피동’의 우리말 피동의 하위범주 인정여부 문제 등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reality of usage and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assive in broad sense meaning to be used in real language life as analysis of the passive translation’s various cases from Korean subtitles in the passive expressions used in the Japanese drama’s colloquial expression. To list the 948 passive expressions used the Korean subtitle translation in the order of frequency of type, there are a lot of ‘lexical passivity’ overwhelmingly, followed by ‘suffix passivity’, ‘syntactical passivity’ and ‘passivity of the predicate related passive’. It indicated that these 4 passive expressions’ each frequency in use of a type, each passive expressions has been used most often them in the case of ‘suffix passivity’ is the passive of ‘Lee’, for ‘lexical passivity’ is by ‘duida’ and the case of ‘passivity of the predicate related passive’ is ‘uh jida’. This study can identify the similarity between the analysis result of passive expressions’ frequency of their use and an existing theory. To identify the subordinate type’s passive translation usage of Japanese passivity, ‘directly passivity’ accounts for more than 90 percent of all passive expressions so its almost the same when it targets the entire passive and subordinate type’s passive translation usage. However in the case of the ‘owner passivity’ its does not same as the translation subtitle’s passive expressions’ frequency of usage and in ‘causative passivity’ translation subtitle, it is used the most ‘ge duida’ or ‘danghada’ even of its have low percent in directly passive’s passive translation.

      • KCI등재

        2-4세 영유아 자발화에서의 보조사 사용 발달

        김하은,오소정,이윤경 한국언어치료학회 2022 言語治療硏究 Vol.31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ttern of use of the postpositional morpheme ‘Bojosa’ in spontaneous language of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two and four. Methods: A total of 60 children (20 in each of the three age groups) participated in the study. Spontaneous language samples were collected during conversation. For each child, 50 utterances were morphologically analyzed using the H-SAK program. The number of total Bojosa (NTB), number of different Bojosa (NDB), and NTB and NDB by subcategory of Bojosa were measured. The usage ratio of ’Bojosa’ subtypes was also calculated. Results: In the overall NTB and NDB, ANOVA analyses revealed a significant increase with increasing age. As for NTB by subcategory of Bojosa,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ge groups in ‘subject, limit, addition, selection, elevation’ Likewis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ge groups in NDB by subcategory of Bojosa in ‘control, limit, selection, elevation’. As a result of making a list of sub-function types of ‘Bojosa’, a total of 7 ‘Bojosa’ types were found for 2-and 3-year olds, and a total of 11 ‘Bojosa’ types for 4-year-olds. Conclusions: Although both the frequency of use and the total number of types of ‘Bojosa’ increased between the ages of two and fou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ensitivity and timing to reflect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for each function of Bojosa. Likewise, the number of forms used also varied by sub-function. 목적: 본 연구는 자발화에서 보조사의 사용 빈도와 유형수를 측정하여 영유아기 보조사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총 60명의 영유아(2세 후반, 3세 후반, 4세 후반의 세 연령집단별 각 20명씩)가 발화표본 수집에 참여하였다. 연구자와 책과 그림을 보며 대화하는 상황에서 아동 별로 50개 발화를 수집하여 H-SAK 프로그램을 사용해 형태소 단위로 분석하였고, 보조사의 사용은 보조사 전체 사용 빈도와 전체 유형수, 보조사 하위기능별 사용 빈도 및 유형수를 측정하였다. 이에 더해 보조사 하위유형별 사용 비율을 측정하였다. 결과: 전반적인 보조사 사용 빈도와 전체 유형수는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유의미한 증가 양상을 보였다. 하위기능별 보조사 사용 빈도는 ‘주제, 한정, 첨가, 선택, 높임’에서 연령집단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하위 기능별 보조사 유형수는 ‘대조, 한정, 선택, 높임’ 보조사에서 연령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모든 연령집단에서 ‘주제, 첨가, 높임’의 기능을 하는 보조사 사용 비율이 높았으며, 보조사 하위기능 형태 목록을 작성해본 결과, 2세와 3세 집단에서는 총 7개의 보조사 형태가 나타났으며, 4세는 총 11개의 형태가 나타났다. 결론: 보조사 전체 사용 빈도와 전체 유형수 모두 2~4세 시기에 증가하였으나 보조사의 기능별로 아동의 언어발달은 반영하는 민감도나 시기에서 차이가 있었고, 또 사용 빈도와 유형수 등 측정치에 따라 보조사 하위유형별 연령 간 차이 또한 다른 양상을 보였다. 하위 기능별로 사용되는 보조사의 형태 수도 달라지는 양상을 보였다.

      • 한국어 학습자의 빈도부사 사용양상 연구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를 중심으로-

        장서월 ( Zhang Shu Yue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3 한국어와 문화 Vol.33 No.-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빈도부사의 사용양상을 파악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빈도부사란 행동을 어느 정도 자주 하였는지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부사이다. 현재 사용되는 많은 한국어 교재에서는 빈도부사에 관한 내용이 부족하다. 이 때문에 많은 한국어 학습자들은 빈도부사를 사용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쉽게 오류를 범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빈도부사를 사용하는 양상을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를 한국어 학습자의 빈도부사 사용양상을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어 모어 화자가 사용하는 빈도부사와 ‘2017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에서 제시된 빈도부사 리스트와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가 사용하는 빈도부사가 무엇인지 초, 중, 고 등급별 한국어 학습자가 사용하는 빈도부사가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 그리고 한국어 학습자가 사용하는 빈도부사가 ‘2017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에서 제시된 빈도부사 리스트와 비교했을 때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한국어 모어 화자가 사용하는 빈도부사와 비교했을 때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학습자가 사용하는 빈도부사의 사용양상을 기반으로 한국어 교육에 있어 세 가지의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use of frequency adverb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Frequency adverbs are adverbs used to indicate how often an action has been performed. In Korean textbooks, there is a lack of content on frequency adverbs, and Korean learners have difficulty choosing and writing frequency adverbs, and errors often appear. In this study, it was judged that it was necessary to analyze the pattern of Korean learners using frequency adverbs, and the pattern of Korean learners' use of frequency adverbs was analyzed.In addition, it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frequency adverbs used by native Korean speakers and the frequency adverbs list presented in the 2017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Korean Standard Curriculum for International Use. Through this, we looked at the frequency adverbs used by Korean learners, the characteristics of frequency adverbs used by elementary, middle, and high grades, the differences between frequency adverbs used by Korean learners compared to the frequency adverbs presented in the 2017 International Standard Korean Curriculum Application Study. Finally, three suggestions were presented when teaching Korean based on the usage pattern of frequency adverbs used by Korean language learners.

      • 새터민 청소년의 유행어 인식 및 사용 특성 - 유행어 사용을 통해 본 새터민 청소년의 언어 적응 양상 -

        이현나,김화수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2013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0

        본 연구는 청소년 언어문화의 특징 중 하나인 유행어 사용에 주목하고, 다문화적 성격을 지닌 새터민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유행어 인식 및 사용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새터민 청소년의 언어적응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만 15세에서 24세의 새터민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 45 명씩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중 무성의한 답변을 한 설문지를 제외한 40부씩을 분 석하였다. 새터민 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유행어 인식을 빈도 분석한 결과, 유행어 사용의 빈도, 유행어 습득의 경로, 하루 중 매체 접촉 시간 등에서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유행어 사 용의 이유, 유행어를 알아듣지 못해 곤란했던 경험, 유행어 사용의 필요성, 유행어 습득을 위한 노력, 유행의 습득의 유익 등에서는 사회적 소속감을 중요시하고, 주변을 의식하여 의식적으로 유행어를 습득·사용하는 새터민 청소년의 이주민적 언어적응 양상이 뚜렷하게 드러났고, 언어 표현의 효율성과 재미를 추구하며 자연스럽게 유행어를 습득하는 일반청소년의 유행어 사용 양 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새터민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 간의 유행어 사용 특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새터민 청소년이 일반 청소년에 비해 유행어 친숙도 반응, 유행어 이해능력 및 표현능력의 점수 모두 유의미하게 낮게 산출되었다. 이는 새터민 청소년이 남한 사회에서 문화적 충격과 더불어 큰 언어적 이질감 을 경험함을 입증하는 결과라 볼 수 있다. 남한정착기간(36개월 미만, 36개월 이상)에 따른 새터 민 청소년 간의 유행어 사용 특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유행어 이해능력을 제외하고, 유행어 친 숙도 반응 및 유행어 표현능력 점수에서 남한정착기간이 36개월 이상인 새터민 청소년의 점수 가 유의미하게 높게 산출되었다. 이를 통해, 남한사회에 정착하고, 일정기간이 지나면 자연스럽 게 유행어에 적응해가는 양상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남한정착기간이 36개월 이상 인 새터민 청소년의 유행어 사용특성 변인 점수는 일반 청소년의 점수에 비해 모두 낮게 산출 되었는데, 이는 새터민 청소년이 남한 사회에 적응하는 기간과는 별도로 주변화되는 적응양상 이 두드러짐을 반증한다고 볼 수 있다. 새터민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 각각의 유행어 친숙도 반응, 유행어 이해능력, 유행어 표현 능 력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새터민 청소년은 유행어 사용 특성 각 하위변인 간 모두 유의 한 상관을 보였으나, 일반 청소년의 경우, 유행어 친숙도 반응과 유행어 표현능력 간 유의한 수준의 상관을 보이지 않은 것을 통해, 새터민 청소년은 자주 접한 유행어의 의미를 이해하고 그것이 자기화 되었을 때 표현하는 반면, 일반 청소년의 경우에는 친숙 정도와 관계없이 유행어 를 쉽게 모방하고, 유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남한 정착 기간(36개월 미만, 36개월 이상)에 따른 새터민 청소년 각각의 유행어 친숙도 반응, 유행어 이해능력, 유행어 표현능력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한 결과, 남한 정착 36개월 미만 새터민 청소년은 유행어 사용 특성 각 하위변인 간 모두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나, 남한 정착 36개월 이상 새터민 청소년은 일반 청소년의 유행어 사용특성 각 하위 변인 간 상관과 마찬가지로 유행어 친숙도 반응과 유행어 표현능력 간에는 유의한 수준의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 남한에 정착하고 36개월이 지나면, 생소한 유 행어라도 유행어를 공유하는 또래집단 및 주변인들의 유행어 사용 패턴을 모방하면서 친숙도와 크게 상관없이 유행어 사용이 습관화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유행어가 새터민 청소년의 남한 사회 조기 적응에 적잖은 영향을 미치 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한다는 것을 입증하며, 새터민 청소년의 남한 이주 초기에 유행어에 대 한 적응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focused on using buzzwords, one of the features of language culture of teenager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features of buzzword recognition and usage between teenage North Korean refugees (TNKRs), who have multiple cultures, and South Korean (SK) teenagers. It also tried to determine the language adaptation condition of TNKRs. By targeting 45 SK teenagers and 45 TNKRs from 15 years to 24 years old, the survey was carried out and after deleting questionnaires which were not answered honestly, 40 questionnaires of SK teenagers and 40 of TNKR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 from analysis of the frequency relating to buzzword recognition by TNKRs and SK teenage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the frequency of using buzzwords, the course of the acquisition of buzzwords, contact time of the media, and so on. However, in respect to the reasons for using buzzwords, the experiences of having trouble due to ignorance of them, the necessity of using attempts for acquiring them, merits of acquiring them, and so on, because TNKRs put emphasis on sense of belonging, it could be found, they showed the language adaptation condition, considering surroundings and acquiring · using buzzwords, which is the feature of teenagers of North Korean refugees. Moreover, these conditions were different from SK teenagers, who pursue effectiveness and fun of language expression and acquire them naturally. Results from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usage of buzzwords between TNKRs and SK teenagers, TNKRs showed lower scores in the degree of intimacy, understanding ability, and expression ability on buzzwords than SK teenagers. This result shows the experience of TNKRs as a linguistic difference as well as culture shock in the society of South Korea. After considering the settling period, (under 36 months, over 36 months), when the usage feature of buzzwords between TNKRs and SK teenagers was compared and analyzed, in respect to scores of the degree of intimacy and expression ability of buzzwords, without comprehension ability on them, over 36 months settled teenag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rough this, if some time has passed after settling in the society of South Korea, it was found, they adapted to buzzwords of South Korea naturally. However, in all variables of the features of buzzword usage of teenagers, teenagers over 36 months settled in the society of South Korea still showed lower scores than SK teenagers, which disproves adaptation condition neglected by the society regardless of settling period and adaptation time. Results from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the degree of intimacy, comprehension ability, expression ability of buzzwords between TNKRs and SK teenagers, in all low rank variables of the features of buzzword usage, TNKR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But, SK teenagers didn't show it in the degree of intimacy and expression ability of them. Therefore, it could be found, TNKRs expressed buzzwords after they understood and acquired them, but SK teenagers could imitate and spread them easily regardless of the degree of intimacy with them. After considering settling period, (under 36 months, over 36 months) when correlations of their degree of intimacy, comprehension ability, and expression ability of them were analyzed, in all low rank variables of the features of buzzword usage, teenagers under 36 months settled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But, teenagers over 36 months settled didn't show significant correlations in the degree of intimacy, and expression ability of them, which is similar to SK teenagers. Through this, after settling in the society of South Korea, if 36 months have passed, it is thought, despite unfamiliar buzzwords, as imitating patterns of usage of their peer group and other people, TNKRs make a habit of using them regardless of the degree of intimacy with them. This result proves, as one factor, buzzwords influence early adaptation of TNKRs to the society of South Korea significantly. Moreover it has also meaning, in the early period of settling in the society of South Korea, that adaptation education on buzzwords is required for TNKRs.

      • KCI등재

        어머니의 언어사용 환경에 따른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양상

        이은경(Lee, Eun-Kyoung),오성숙(Oh, Seong-S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가정 내에서 결혼이주민 여성인 어머니가 사용하는 언어환경에 따라 다문화가정 유아들의 언어양상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는 결혼이주민 여성과 그들의 자녀, 연구대상 유아의 유치원교사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과 참여관찰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이들 유아에게 표준화된 언어발달 검사를 실시하여 언어양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유아들이 경험하는 언어환경을 어머니가 다중언어를 사용하는 경우, 어머니가 모국어를 사용하는 경우, 어머니가 자신의 모국어와 배우자(부)의 모국어를 균형 있게 사용하는 세 가지 경우로 나누어 유아의 언어양상을 분석하였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가 다중언어를 사용하는 경우 유아는 복합문장이나 완성된 문장보다는 단문과 단어를 사용하였으며 수용어휘의 부족과 상황에 맞는 어휘사용에서 오류를 범하거나 혼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가 모국어를 주로 사용하는 경우는 또래와의 언어적 상호작용에서도 소극적인 태도나 침묵하기, 웃거나 고개끄덕이기 등의 비언어적 표현을 주로 사용하였다. 셋째, 어머니가 자신의 모국어와 배우자의 모국어를 균형 있게 사용하고 아버지가 지속적인 언어교육에 참여한 경우에 유아는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에서 혼란을 보이거나 큰 어려움이 없었으며 이중언어를 자연스럽게 구사하고 사회적 관계에서도 자신감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결혼이주민 여성이 사용하는 언어환경이 그들 자녀에게 깊은 영향을 미치며 유아의 언어발달을 위해서는 어머니의 한국어 학습에 대한 지속적인 지지와 육아에 대한 아버지의 역할증대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at finding language environments whic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xperience and what their linguistic characteristics are. To achieve the purpos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children and their mothers, whose nationalities are Philippines, Vietnam, China and Japan, and each child’s teacher. The language environments whic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xperience were categorized into three fields: the case that their mothers primarily speak in multi-lingual, the case that they communicate in mother tongue, and the case that they harmoniously use their native language and spouse’s mother tongu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that their mother primarily speaks in multi-lingual, children used more simple sentences or words than complex sentences or complete sentences, and experienced insufficient vocabulary ability, errors and linguistic confusion in proper word usage. Second, in the case that their mother communicates in their native languages, children often used non-verbal expressions in verbal interaction with peers, such as negative attitude, silence, just smiling and nodding. Third, in the case that a mother harmoniously uses her native language and her spouse’s mother tongue and her husband constantly participates in language training, children had no confusion or difficulty in vocabulary ability and expression, and had a good command of bilingual languages and showed confidence in social relationship.

      • KCI등재

        비격식체 종결어미 ‘아요’와 ‘세요’의 사용 양상 연구

        박기선 ( Park Keeseon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1 외국어교육연구 Vol.35 No.1

        이 논문은 초급 한국어 문법 항목 중 비격식체 종결어미인 ‘해요체’에 해당하는 ‘아요’와 ‘세요’의 구어 말뭉치를 대상으로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두 종결어미는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이 학습 초기에 가장 먼저 접하는 종결어미이며 이후 한국어로 의사소통 시 실제로 사용 빈도도 매우 높기 때문에 적격한 상황에서 그에 해당하는 의미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는 ‘아요’와 ‘세요’의 사용 양상에 따른 문법 정보의 제시가 이루어져서 학습자의 정확하고 유창한 의사소통을 유도해야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먼저, 공적 상황과 사적 상황에서 두루 사용되는 ‘아요’와 ‘세요’가 나타내는 [서술], [질문], [명령], [청유]의 의미 기능을 확인하고 유사 문법 항목으로서 두 종결어미의 사용 양상을 비교했다. 그 결과 두 종결어미는 모두 공적 상황(30.1%)에 비해 사적 상황(69.9%)에서 더 많은 빈도로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사적 상황에서 ‘아요’에 비해 ‘세요’는 대화자 간의 관계가 다소 거리감이 있을 때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동형이의 문법 항목으로서 ‘아요’와 ‘세요’의 의미 기능별 사용 양상에 대해서도 살펴 보았다. ‘아요’는 [서술(75%)] > [질문(14.4%)], [명령(10.1%)], [청유(0.23%)] 순으로 사용 빈도가 나타났으며 ‘세요’는 [명령(66.9%)], [서술(27.4%)], [질문(5.26%)], [청유(0.3%)] 순으로 사용 빈도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초급 한국어 비격식체 종결어미 ‘아요’와 ‘세요’의 동형이의 문법 항목으로서 문법 정보 기술을 보완하는 데에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atterns of using ‘ayo’ and ‘seyo’ in their spoken corpora under the informal sentence ending ‘haeyo style’ category among the elementary-level Korean grammar items. These two sentence endings are two of the first sentence endings that Korean learners encounter in their early days of study. The frequency of their actual uses is very high in Korean learners' communication. It is thus important that Korean learners should be able to use them for their meanings in proper situations.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needs to provide gramma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 patterns of ‘ayo’ and ‘seyo’ inducing learners' accurate and fluent communication. The study thus examined the semantic functions of ‘ayo’ and ‘seyo’ widely used both in public and private situations including [description], [question], [order] and [request] and compared these two sentence endings in their use patterns as similar grammar items. The results show that both of the sentence endings were used in higher frequency in private situations(69.9%) than public ones(30.1%). Interlocutors used ‘seyo’ more than ‘ayo’ when they had a sense of distance between them in conversations. The study also examined the use patterns of ‘ayo’ and ‘seyo’ as homograph grammar items by the semantic function. While ‘ayo’ recorded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in [description(75%)], which was followed by [question(14.4%)], [order(10.1%)], and [request(0.23%)] in the order, ‘seyo’ recorded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in [order(66.9%)], which was followed by [description(27.4%)], [question(5.26%)], and [request(0.3%)] in the order. The findings of the study may serve as basic data to supplement the description of grammar information of ‘ayo’ and ‘seyo’ two informal sentence endings in elementary Korean, as homograph grammar i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